KR940004057Y1 - 블록 성형기용 이송대차의 전선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 성형기용 이송대차의 전선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057Y1
KR940004057Y1 KR2019910015014U KR910015014U KR940004057Y1 KR 940004057 Y1 KR940004057 Y1 KR 940004057Y1 KR 2019910015014 U KR2019910015014 U KR 2019910015014U KR 910015014 U KR910015014 U KR 910015014U KR 940004057 Y1 KR940004057 Y1 KR 9400040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rum
pulley
wound
wire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5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389U (ko
Inventor
이익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산기공
이익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산기공, 이익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산기공
Priority to KR2019910015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057Y1/ko
Publication of KR9300063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3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0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0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5/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Industrial outlines or plant installations
    • B28B15/005Machines using pallets co-operating with a bottomless moul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for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0Moulds with means incorporated therein, or carried thereby, for ejecting or detaching the moulded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블록 성형기용 이송대차의 전선처리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이송대차가 활차 상에 안치된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이송대차가 양생실로 진입한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 드럼부분의 측면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 드럼부분의 정면 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이송대차 정면에 설치된 구동기어 부분의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블록성형기와 큐빈 적재기 및 양생실의 평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블록 성형기 나 : 큐빈 적재기
다 : 양생실 1 : 레일
2 : 활차 4 : 이송대차
5 : 프레임 7 : 수직안내롤러
8 : 수평 안내롤러 12 : 전자 클러치
13 : 드럼 18 : 토오크 모터
28 : 유압펌프 29 : 구동기어
33 : 전선 35 : 지지롤러
36 : 와이어 로우프
본 고안은 블록 성형기에 있어서, 이송대차가 제품 파렛트를 싣고 양생실이나 큐빈적재기의 레일내로 진입할때 활차의 콘트롤 박스와 연결되어 이송대차상에 설치된 각종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의 이송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제품 파렛트의 이송을 이송대차를 이용하지 않고 지계차가 직접 양생실내로 진입토록 한 것으로서 인력이 낭비 될뿐 아니라 지게차에서 내뿜는 매연이나 소음이 작업환경을 나쁘게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레일을 따라 활주하는 활차와 이송대차에 의해 제품 파렛트를 이송토록 하므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러나 이송대차가 양생실이나 적재기 쪽으로 이동할때 활차의 콘트롤박스에 연결된 전선을 이송대차에 설치된 단자 박스에 전선을 연결하여 모터나 리미트 스위치등의 각종 전기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처리가 문제가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활차 프레임상의 상단부에 고정된 와이어로우프를 안내롤러를 통하여 권취드럼상에 권취토록하여 와이어로우프가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음 와이어로우프에 전선을 걸어두므로서 이송대차의 전후진시 전선이 항상 와이어로우프상에 걸려있게하여 전선이 처지거나 당겨져 손상되지 않으면서 활차의 콘트롤박스로부터 이송대차에 전원을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블록 성형기(가)와 큐빈 적재기(나) 및 양생실(다) 전방에 이들을 연결하는 레일(1)을 따라 활주하는 활차(2)를 안치하고 활차(2)의 레일(3)상에는 이송대차(4)를 안치하여 활차(2)가 이동하면 이송대차(4)는 활차(2)상에서 좌우로 이동되게 하고 활차(2) 일측에는 프레임(5)을 입설하였다.
활차(2)의 레일(3)상에 안치된 이송대차(4)의 지지간(6)에 수직안내롤러(7)와 수평안내롤러(8)를 설치하고 하부 지지프레임(9)상에는 유압모터(10)를 고정설치하고 유압모터(10)의 일측 지지프레임(9)상에 고정설치된 브라켓(11)에는 전자 클러치(12)가 형성된 드럼(13)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드럼(13)의 축봉(14) 좌우에는 스프로켓(15)(16)을 각각 끼워 설치하였다.
드럼(13)의 일측 스프로켓(15)은 고정틀(17)상에 안치된 통상의 토로크모터(18)의 구동스프로켓(19)과 체인(20)으로 연결하고, 타측 스프로켓(16)은 이송대차(4)의 피동축봉(21)에 끼워진 스프로켓(22)과 체인(23)으로 연결하고 동축(21)에 끼워진 스프로켓(26)과 연결하고 구동축봉(25) 일측에 끼워진 기어(27)는 프레임(9)의 저면에 고정설치된 유압펌프(28)의 구동기어(29)와 치합되게 하여 유압펌프(28)가 회전하면 구동기어(29)와 치합된 피동기어(27)가 회전하고 따라서 체인(30)(23)으로 연결된 피동축봉(21)과 드럼(13)이 회전되게 하였다.
활차(2)의 프레임(5) 내부를 관통한 원전선(31)을 활차(2)상에 안치된 콘트롤박스(32)와 연결하고 콘트롤박스(32)에서 인출한 전선(33)은 다시 프레임(5) 내부를 통하여 프레임(5) 상부로 인출되게 하고 전선(33)의 단부는 이송대차(4)의 지지간(6) 일측에 고정된 단자박스(34)에 연결하되 전선(33)에는 일정간격으로 지지롤러(35)를 연설하여 지지롤러(35)가 활차(2)의 프레임(5) 상단에 고정되어 이송대차(4)의 지지간(6)에 설치된 수평롤러(8)와 수직안내롤러(7)(7′)를 지나 드럼(13)에 권취되어 지지간(6) 상단에 팽팽하게 연결된 와이어 로우프(36)상에 걸려 지지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미 설명부호(37)은 제품파렛트(38)은 구동바퀴(39)는 양생실 레일(40)은 유압 실린더(41)은 유압탱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활차(2)상에 안치된 이송대차(4)에 제품 파렛트(37)를 적재한 후 양생실(다)의 레일(39) 전방에 정지 시키면 활차(2)상에 설치된 레일(3)과 일치하게 되고 이때 유압 모터(10)에 의해 구동기어(29)를 회전 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와 치합된 피동기어(27)가 회전하고 스프로켓(26)이 회전하여 체인(30)으로 연결된 피동 축봉(21)의 스프로켓(24)을 회전 시키게 되므로 이송대차(4)는 제품 파렛트(37)를 싣고 양생실(다)내로 진입하면서 드럼(13)에 권취된 와이어 로우프(36)를 풀어주게 된다.
이때 드럼(13)에 권취된 와이어 로우프(36)의 풀리는 량은 피동 축봉(21)에 끼워진 구동 바퀴(38)의 이동거리와 동일하게 조정하게 되고, 이 조정은 이동 축봉(21)의 스프로켓(22)과 드럼(13)에 끼워진 스프로켓(16)의 치차수로서 조정이 가능하게 되며, 이송대차(4)가 전후진 할때에는 전자 클러치(12)가 서로 맞물려 회전되게 하므로서 드럼(13)이 회전하여 와이어 로우프(36)를 풀어주게 된다.
이때 와이어 로우프(36)상에 걸려 지지되는 전선(33)은 제2도에서와 같이 순차적으로 풀려나가면서 지지롤러(35)가 와이어 로우프(36)에 걸려 있게 하므로서 전선(33)이 처지지 않게 하였다.
이송대차(4)가 전진하여 이송대차(4)상에 안치된 파렛트(37)를 양생실(다)내에 이송 적재한 후 이송대차(4)는 후진하게 되고 따라서 피동축봉(21)이 후진하여 드럼(13)이 역회전 하게 되므로 풀렸던 와이어 로우프(36)는 다시 드럼(13)에 감기게 되고 이송대차(4)의 후진이 완료되어 활차(2)상에 원복이 완료되면 전자 클러치(12)가 작동하여 드럼(13)과 일측 스프로켓(16)이 끼워진 축봉(14′)을 분리 시킨후 토로크 모터(18)를 작동시켜 레일(39)과 구동바퀴(38)의 미끄럼에 의해 다소 느슨하게 처진 와이어 로우프(36)를 팽팽하게 감아주게 되고 이때 토로크 모터(18)에 의해 드럼(13)이 회전하더라도 전자 클러치(12)가 동력을 차단한 상태이기 때문에 이송대차(4)는 이동하지 않고 드럼(13)만 회전하게 되며 토로크 모터(18)가 회전하여 드럼(13)에 와이어 로우프(36)를 다 권취 하였을 경우에는 토로크 모터(18)는 공회전만하게 되며 일정시간이 지나면 토로크 모터(18)는 정지하고 활차(2)가 주레일(1)을 따라 이송하여 다음 작업을 대기하게 된다.
이때 이송대차(4)의 진입 거리는 감지센서의 작동에 의해 일정 거리만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송대차(4)가 양생실(다)내로 진입할때 드럼(13)에 권취된 와이어 로우프(36)는 이송대차(4)의 이송거리 만큼 풀리게 되어 항상 장력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전선(33)은 풀리면서 전선(33)의 지지롤러(35)가 와이어 로우프(36)에 걸려 지지되게 하므로서 전선(33)이 처지지 않게 하고, 원복이 완료된 후에는 전자 클러치(12)가 동력을 차단한 후 토로크 모터(18)를 작동시켜 레일(39)과 구동바퀴(38)의 미끄럼에 의해 다소 느슨해진 와이어 로우프(36)를 다시 팽팽하게 되감아 다음 작업을 대기하게 하므로서 와이어 로우프(36)의 처진량의 누적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여 이송대차(4)의 이송시 전선(33)이 처지지 않고 안전하게 콘트롤 박스(32)의 전원을 이송대차(4)에 공급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블록성형기(가)와 큐빈 적재가(나) 및 양생실(다) 전방에 설치된 주레일(1)에 이송대차(4)가 안치된 활차(2)를 이송 가능하게 설치한 제품 파렛트 이송장치에 있어서, 활차(2) 일측에 세워 설치된 프레임(5)에 와이어 로우프(36)를 고정하고 타단은 수평 안내롤러(8)와 수직 안내롤러(7)(7′)를 지나 드럼(13)상에 권취하고, 와이어 로우프(36)상에는 전선(33)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지지롤러(35)를 연결 설치하여 이송대차(4)가 전후진하면 와이어 로우프(36)가 풀리거나 감기고 동시에 와이어 로우프(36)에 연결된 전선(33)이 확개되거나 중첩되게 하여서 된 블록 성형기용 이송대차의 전선 이송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드럼(13)이 설치된 축봉(14)의 양측에 스프로켓(115)(16)을 끼워 설치하되 일측 스프로켓(16)과 드럼(13) 사이에는 전자 클러치(12)를 설치하고 타측 스프로켓(15)는 토로크 모터(18)의 구동 스프로켓(19)과 체인(20)으로 연결하여 느슨해진 와이어 로우프(36)를 되감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성형기용 이송 대차의 전선 이송 처리 장치.
KR2019910015014U 1991-09-12 1991-09-12 블록 성형기용 이송대차의 전선처리 장치 KR9400040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5014U KR940004057Y1 (ko) 1991-09-12 1991-09-12 블록 성형기용 이송대차의 전선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5014U KR940004057Y1 (ko) 1991-09-12 1991-09-12 블록 성형기용 이송대차의 전선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389U KR930006389U (ko) 1993-04-23
KR940004057Y1 true KR940004057Y1 (ko) 1994-06-17

Family

ID=1931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5014U KR940004057Y1 (ko) 1991-09-12 1991-09-12 블록 성형기용 이송대차의 전선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0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790B1 (ko) * 2002-04-03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790B1 (ko) * 2002-04-03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389U (ko) 199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6746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wrapping a stack of goods in film
KR940004057Y1 (ko) 블록 성형기용 이송대차의 전선처리 장치
US4497085A (en) Apparatus for feeding modules of seed cotton into disperser apparatus
KR0134954B1 (ko) 로울형상 자재의 격납장치
JP2006036411A (ja) 金属帯コイル搬送用台車、金属帯コイルの搬送方法、及び金属帯コイルの貯留、搬送設備列
JP3544425B2 (ja) トンネルキルンに備える移載装置
JPH06100108A (ja) ロール物移載装置
US3593869A (en) Crane apparatus with hoist means located between spaced platforms
CN215945555U (zh) 一种物流运输用物流箱
KR910007933Y1 (ko) 입체주차장치
US3464572A (en) Apparatus for loading bagged mail from a loading dock into a highway vehicle
JP3013579B2 (ja) 移動台車式搬送装置
JP2888373B2 (ja) 単結晶用ストックカート
CN211845920U (zh) 一种辊道式agv运输装置
KR101561898B1 (ko) 컨테이너 대차 이송 장치
GB1111620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handling and storing of materials
JPH0310128Y2 (ko)
CN211444808U (zh) 一种方便调节使用的配重装置
JP2766709B2 (ja) 搬送装置
JP3837070B2 (ja) 自動倉庫
JPS6351945B2 (ko)
JPH058683A (ja) 配線機能付き鋼線輸送車
JPS6143242B2 (ko)
KR940003333Y1 (ko) 권사기의 콘 이송장치
KR950001672Y1 (ko) 원형순환식 주차설비의 팔렛트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6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