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933B1 - 쌍 접안 뷰파인더 - Google Patents

쌍 접안 뷰파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933B1
KR940003933B1 KR1019860006498A KR860006498A KR940003933B1 KR 940003933 B1 KR940003933 B1 KR 940003933B1 KR 1019860006498 A KR1019860006498 A KR 1019860006498A KR 860006498 A KR860006498 A KR 860006498A KR 940003933 B1 KR940003933 B1 KR 940003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lf mirror
mirror
viewfinder
eyepie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515A (ko
Inventor
박흥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60006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933B1/ko
Publication of KR880003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1Eye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scopes (AREA)
  • Viewfin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쌍 접안 뷰파인더
제1도는 종래 비디오 카메라를 보인 평면도.
제2도는 종래 뷰파인더의 내부 구조를 보인 광학 계통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쌍 접안 뷰파인더의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쌍 접안 뷰파인더의 내부 구조를 보인 광학 계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몸체 12, 13 : 접안부
121', 131' : 접안렌즈 14 : 음극선관
15 : 반거울 16 : 보정판
17 : 100% 반사거울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의 뷰파인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의 접안부를 설치하여 촬영을 편리하게 할수 있도록 한 쌍 접안 뷰파인더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이와 같이 하나의 접안부(1)를 구비한 뷰파인더(2)가 설치된 비디오 카메라를 보인 것으로, 3은 렌즈부, 4는 본체, 5는 그립부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하나의 접안부(1)가 구비된 뷰파인더(2)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극선관(6)에서 표시하는 좌우가 바뀐 화면을 거울(7)로 그 허상을 만들고 접안렌즈(8)을 통하여 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촬영시 하나의 접안부(1)를 통하여 한쪽 눈만으로 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눈은 감고 촬영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사용자에 따라서 한쪽 눈을 감지 못하는 경우에는 촬영이 용이 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두 눈으로 상을 보면서 촬영에 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이 편리하고 한쪽 눈만 감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도 편리함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쌍 접안 뷰파인더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에 2개의 접안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몸체의 내부에는 음극선관에서 표시된 화면을 1차로 반사시켜 제1허상을 맺게 하는 반거울을 설치하며, 이 반거울을 통과한 빛을 2차로 반사시켜 제2허상을 맺게 하는 100%거울을 설치하고, 제1, 제2허상을 같은 크기로 보기 위하여 서로 다른 촛점거리를 갖는 접안렌즈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접안 뷰파인더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쌍 접안 뷰파인더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쌍 접안 뷰파인더의 평면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광학 계통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1)에 2개의 접안부(12,13)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몸체(11)의 내부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을 표시하는 음극선관(14)에서 표시된 화면을 50%는 반사시켜 제1접안렌즈(12)에 전달시키고, 나머지 50%는 투과시키는 반거울(15)과 이 반거울(15)에 인접하여 반거울(15)을 통과한 빛의 경로를 보정해주는 투명한 평행판인 보정판(Compensator)(16)를 "V"자형으로 배열하며, 그 외측에는 100%반사 거울(17)을 설치하여 보정판(16)을 통과한 빛을 제2접안렌즈(13)측에 전달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쌍 접안 뷰파인더에서는 음극선관(14)에서는 종래와 같이 좌우가 바뀐 화면을 표시하게 되는데 그 화면을 반거울(15)로 반사시켜 허상을 만든다.
반거울(15)은 50%의 빛을 반사하고 50%의 빛은 투과하게 되므로 투과한 50%의 빛은 100% 반사거울(17)에서 반사되어 제2의 허상을 만든다.
제4도에서 반거울(15)에 의한 A(음극선관 상의 한점)의 하상이 A로 표시되어 있고, 100% 반사 거울(17)에서 반사된 허상은 A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쌍 접안 뷰파인더에서는 상기 A',A"의 쌍을 접안 렌즈(12',13')을 통하여 두눈으로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보정판(16)은 반거울(15)을 통과한 빛의 경로가 이탈되는 것을 보정하여 주는 역할을 하며, 그 두께는 반거울(15)의 두께와 같게 설정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접안렌즈(12')(13')의 촛점 거리는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반거울(15)와 100% 반사 거울(17)에 의한 A의 허상 A', A"는 접안렌즈(12',13')로부터 각각 상이한 곳에 잇게 되므로 접안렌즈(12',13')의 배율은 다르게 되어야 한다.
예를들어
Figure kpo00001
,
Figure kpo00002
,
Figure kpo00003
,
Figure kpo00004
를 각각 5cm라 하면,
Figure kpo00005
,
Figure kpo00006
이므로,
Figure kpo00007
,
Figure kpo00008
가 된다.
렌즈공식에서,
Figure kpo00009
이므로,
Figure kpo00010
이다.
여기서, l'는 렌즈에서 상까지의 거리, l은 렌즈에서 물체까지의 거리, f는 렌즈의 초점거리이다. 렌즈의 배율 m은,
m =l' / l 이므로
Figure kpo00011
.
Figure kpo00012
이며, 최종적으로 눈으로 보는 상의 거리가 같아야 하므로
Figure kpo00013
이 되려면,
Figure kpo00014
에서
Figure kpo00015
가 된다.
따라서 접안렌즈(12')(13')는 위의 결과를 만족하도록 촛점거리 f1=f2가 결정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뷰파인더의 몸체에 2개의 접안부를 형성하여 음극선관의 상을 두눈으로 동시에 볼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한쪽 눈을 감고 촬영해야 했던 종래의 불편함등을 해결하여 두 눈으로 상을 보면서 촬영에 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이 편리하고 한쪽 눈만 감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도 편리함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몸체(11)에 2개의 접안부(12)(13)를 일체로 형성하고, 몸체(11)의 내부에는 음극선관(14)에서 표시된 화면을 1차로 반사시켜 제1허상을 맺게 하는 반거울 (15)을 설치하며, 이 반거울(15)을 통과한 빛을 2차로 반사시켜 제2허상을 맺게 하는 100%거울(17)을 설치하고, 제1, 제2허상을 같은 크기로 보기 위하여 서로 다른 촛점거리를 갖는 접안렌즈(12')(1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접안 뷰파인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거울(15)을 통과한 빛의 경로 차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반거울(15)과 100%거울(17)사이에 반거울(15)과 같은 두께를 갖는 평행 보정판(1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 접안 뷰파인더.
KR1019860006498A 1986-08-06 1986-08-06 쌍 접안 뷰파인더 KR940003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6498A KR940003933B1 (ko) 1986-08-06 1986-08-06 쌍 접안 뷰파인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6498A KR940003933B1 (ko) 1986-08-06 1986-08-06 쌍 접안 뷰파인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515A KR880003515A (ko) 1988-05-17
KR940003933B1 true KR940003933B1 (ko) 1994-05-09

Family

ID=1925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498A KR940003933B1 (ko) 1986-08-06 1986-08-06 쌍 접안 뷰파인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93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515A (ko) 198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5741A (en) Image observing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utilizing the image observing apparatus
JP3129719B2 (ja) ビデオディスプレイ装置
KR960015066A (ko) 스테레오 카메라
TW318891B (ko)
JPH01166024A (ja) 実像式ファインダーのパララツクス調整機構
US4580886A (en) Rotatable snorkel system
EP3620844B1 (en) Eyepiece optical system, medical viewer, and medical viewer system
US4162827A (en) Wide angle objective for ophthalmoscopic instrument
JPH07152068A (ja) ファインダー装置
US3797915A (en) Binocular rangefinder-viewfinder with fresnel optics
JPH01185622A (ja) 一眼レフレックスカメラのファインダー光学系
KR940003933B1 (ko) 쌍 접안 뷰파인더
JPH11298917A (ja) ビデオカメラ用ステレオアタッチメント及びステレオビュア
JPS6345566B2 (ko)
TW200428027A (en) Binocular telescope with photographing function
JPH07110455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4302199B2 (ja) 複数人で観察可能な実体顕微鏡
CN101198895A (zh) 立体取景仪器
JP4154022B2 (ja) ファインダー系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US6141504A (en) Finder optical system
US2837967A (en) Devices for viewing binocularly fusible objects such as photographic images
JPH0779369A (ja) 立体ビューファインダー装置
JP2002082370A (ja) ファインダー系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H11196302A (ja) 撮像装置のビューファインダー
JPH0756213A (ja) カメラの双眼ファインダ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