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776B1 - 방전등의 점등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전등의 점등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776B1
KR940003776B1 KR1019900011933A KR900011933A KR940003776B1 KR 940003776 B1 KR940003776 B1 KR 940003776B1 KR 1019900011933 A KR1019900011933 A KR 1019900011933A KR 900011933 A KR900011933 A KR 900011933A KR 940003776 B1 KR940003776 B1 KR 940003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lamp
circuit
lighting
discharge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729A (ko
Inventor
아끼히로 우에다
미쯔또시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테크 가부시끼가이샤
쯔루미 쯔도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7918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91698A/ja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테크 가부시끼가이샤, 쯔루미 쯔도무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테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5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8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during the transitional start-up phase
    • H05B41/38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during the transitional start-up phase for a transition from glow to ar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02Details
    • H05B41/04Starting switches
    • H05B41/042Starting switch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high-pressure mercury or sodium lamps or low-pressure sodium lamps
    • H05B41/2881Load circuit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8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during the transitional start-up phase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전등의 점등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등 점등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 구성도.
제2a도, 제2b도는 제1도의 방전등 점등장치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 전압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등 점등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회로 구성도.
제4a도, 제4b도는 제3도의 방전등 점등장치의 릴레이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 타이밍 파형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등 점등장치의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 구성도.
제6a도, 제6b도는 제5도의 방전등 점등장치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 전압 파형도.
제7도는 제1도, 제3도, 제5도에 나타낸 방전등 점등장치의 시동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 구성도.
제8도는 제1도, 제3도, 제5도에 나타낸 방전등 점등장치의 시동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 구성도.
제9도는 제1도, 제3도, 제5도에 나타낸 방전등 점등장치의 시동회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 구성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등 점등장치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회로 구성도.
제11a도, 제11b도는 제10도의 방전등 점등장치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 전압 파형도.
제12도는 제10도에 나타낸 방전등 점등장치의 시동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 구성도.
제13도는 제10도에 나타낸 방전등 점등장치의 시동회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 구성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등 점등장치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회로 구성도.
제15도는 제14도에 있어서 릴레이 변환회로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도.
제16a도에서 제16i도는 제14도의 방전등 점등장치의 통상 점등시의 각부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 타이밍도.
제17a도에서 제17i도는 제14도의 방전등 점등장치의 비점등 및 점멸을 포함한 점등시의 각부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 타이밍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제1의 직류전원 16 : 쵸크코일
14 : 콘덴서 18 : 고압 방전등
100 : 점등회로 102 : 인버터회로
104 : 구동회로 200 : 시동회로
204 : 저항
본 발명은 방전등의 점등방법 및 방전등의 점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전등의 방전 개시후에 점등회로의 출력을 방전등에 공급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방전등의 점등방법 및 방전등의 점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방전등 점등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 63-150982호 공보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방전등 점등장치로서는 스위칭 소자로서 4개의 트랜지스터를 설치한 인버터회로를 전원에 접속해서 점등회로를 구성하고, 그 점등회로의 출력단자에 쵸크코일 및 펄스트랜스의 2차권선을 통해 방전등을 접속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전술한 펄스트랜스의 1차권선은 사이리스터, 정전압 도통소자, 복수의 콘덴서 및 저항으로 구성되는 시동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그래서 이 시동회로에서 전술한 방전등에 대해 펄스전압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방전등 점등장치에서는 전원이 온되면 인버터회로가 발진동작을 개시하여 인버터회로의 출력에 의해 시동회로가 동작한다.
즉 정전압 도통소자가 온ㆍ오프 동작하여 이것에 의해 사이리스터가 온ㆍ오프 동작한다.
그래서 펄스트랜스의 2차권선에 고압펄스가 발생하여 방전등의 양끝사이에 가해진다.
이 고압펄스에 의해 방전등이 시동 점등해서 이후 인버터회로의 출력에 의해 점등되게 된다.
방전등이 점등하면 방전등의 양끝간의 전압이 저하하므로 시동회로의 동작은 정지된다.
그러나 전술한 것처럼 펄스트랜스의 2차권선을 점등회로의 출력단자와 방전등과의 사이에 끼워 넣는 것으로는 2차권선의 일방이 방전등에 직접 접속되고 타방이 점등회로를 통해 방전등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2차권선에 발생하는 고압펄스가 점등회로에서 소멸되어 버린다.
때문에 고압펄스의 펄스전압을 필요이상으로 높게 할 필요가 있었다.
또 전술한 2차권선에 발생하는 고압펄스나 펄스전류가 점등회로로 들어가 트랜지스터등의 스위칭 소자를 파괴할 위험이 있었다.
또 방전등을 고주파, 또는 고주파를 중첩한 점등 파형으로 점등하는 경우 2차권선의 인덕턴스값이 대단히 크게 되기 때문에 적정 전력을 방전등으로 공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때문에 인덕턴스값을 작게하는 것이 생각되나 인덕턴스값을 작게하면 시동시에 충분한 고압펄스가 얻어지지 않아서 시동 점등이 불가능한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펄스전압을 줄이지 않고 방전등에 공급할 수 있고 또 시동시 점등회로로의 고압펄스나 펄스전류의 공급을 방지해서 점등회로의 스위칭 소자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방전등의 점등방법 및 방전등의 점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전등의 점등장치는 방전등의 초기 방전개시에 요하는 시동시의 고전압을 공급하는 공정과, 주점등에 필요한 소정의 전력보다는 작은 전력공급으로 전술한 초기 방전을 유지시키는 공정과, 초기 방전이 유지되어 있는 사이에 전술한 방전등에 대해 전술한 방전등의 주점등에 필요한 소정 전력을 공급한는 공정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의 발명에 따른 방전등 점등장치는 방전등과, 그의 출력단자가 전술한 방전등에 접속되어 방전등에 소정의 전력을 공급해서 주점등시키는 점등회로와, 전술한 방전등에 대해 전술한 점등회로와 병렬로 접속되어 방전등이 초기 방전을 개시하고 또 전술한 점등회로에서 방전등으로 공급되는 소정의 전력보다도 작은 전력으로 초기 방전을 유지하는 시동회로로 되는 방전등 점등장치에 있어서 시동회로의 동작에 의해 초기 방전이 개시해서 유지되고 있는 사이에 전술한 점등회로에서 소정의 전력을 방전등으로 공급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방전등 점등장치는 제1의 직류전원(12)에 고주파 출력용의 인버터회로(102)를 접속해서 점등회로(100)를 구성하고, 그 점등회로(100)의 출력단자, 즉 전술한 인버터회로(102)의 출력단자에 콘덴서(14) 및 쵸크코일(16)을 직렬로 통해 방전등 예를 들면 고압 방전등(18)을 접속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술한 인버터회로(102)는 각각의 게이트가 구동회로(104)에 접속된 2개의 MOS형 트랜지스터(106) 및 (108)을 가지고 있다.
이들 MOS형 트랜지스터(106) 및 (108)의 소스와 드레인의 사이에는 도시한 극성의 다이오드(110) 및 (102)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전술한 트랜지스터(106)의 소스에는 전술한 트랜지스터(108)의 드레인이 접속되고, 트랜지스터(106)의 드레인과 트랜지스터(108)의 소스사이에는 전술한 직류전원(12)이 접속되어 있다.
또 전술한 구동회로(104)는 트랜지스터(106) 및 (108)를 교대로 스위칭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또 구동회로(104)에는 직류전원(114)의 음극 및 이 직류전원(114)의 양극에 콜렉터가 접속된 트랜지스터(116)의 에미터가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트랜지스터(116)는 구동회로(104)의 제어용으로 후술하는 것처럼 그 베이스에 가해지는 전압에 의해 구동회로(104)의 온·오프, 즉 인버터회로(102)(점등회로(100))의 동작, 비동작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방전등(18)에는 점등회로(100)외에 시동회로(200)가 접속되어 있다.
이 시동회로(200)에 있어서 방전등(18)과 병렬로 고전압 발생장치로서의 펄스트랜스(202)의 2차권선(2022)이 접속되어 있다.
또 전술한 펄스트랜스(202)의 2차권선(2022)과 병렬로 저항(204) 및 콘덴서(206)로 구성되는 직렬회로가 접속되고, 또 전술한 콘덴서(206)에는 반도체 스위치(208)를 통해 펄스트랜스(202)의 1차권선(2021)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시동회로(200)의 저항(204) 및 콘덴서(206)의 직렬회로에는 저항(62) 및 트랜지스터(64)의 콜렉터, 에미터를 직렬로 끼워 제2의 직류전원(66)이 접속되어 있다.
또 트랜지스터(64)의 베이스와 콜렉터 사이에는 저항(68)이 접속되어 있어서 전술한 베이스에는 후술하는 것처럼 소정의 전압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제1의 전원(12)과 제2의 전원(66)은 공통이라도 좋다.
여기서 전술한 트랜지스터(116)의 베이스, 에미터 사이에는 제2a도에 나타낸 타이밍으로 a1-a2간 전압이 가해진다.
또 전술한 트랜지스터(64)의 베이스, 에미터 사이에는 제2b도에 나타낸 타이밍으로 b1-b2간 전압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방전등 점등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2a도, 제2b도에 나타낸 시간 t0에 있어서 트랜지스터(64)의 베이스, 에미터 사이에 b1-b2간 전압이 가해져 그 트랜지스터(64)가 온 된다.
이리하여 시동회로(200)가 저항(52)을 끼워서 제2의 직류전원(66)에 접속되어 동작이 개시된다.
시동회로(200)가 동작하면 펄스트랜스(202)의 1차권선(2021)에 주기적으로 펄스전류가 흘러 그의 2차권선(2022)에 고압펄스가 발생한다.
이 고압펄스는 방전등(18)의 양끝간에 가해진 방전등(18)이 초기 글로우 방전을 개시하여 그후 시동회로에서의 전력공급에 의한 초기 글로우 방전은 유지된다.
이때 공급되는 전력은 주점등시 필요한 소정의 전력값보다 작다.
그후 시간 t1으로 되면 점등회로(100)의 트랜지스터(116)의 베이스, 에미터간에 a1-a2간 전압이 가해져 그의 트랜지스터(116)가 온 된다.
이리하여 구동회로(104)가 동작을 개시해서 트랜지스터(106) 및 (105)가 교대로 스위칭 동작한다.
이에 따라 인버터회로(102)에서 콘덴서(14) 및 쵸크코일(16)을 통해 시동회로에서 방전등으로 공급되는 전력보다도 큰 소정의 값의 고주파 전력이 방전등(18)으로 공급되도록 된다.
이에 따라 방전등(18)은 초기 글로우 방전에서 주방전의 아크 방전으로 이행하여 정상의 점등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그래서 시간 t2의 타이밍으로 트랜지스터(64)가 오프되면 시동회로(200)의 동작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먼저 시동회로(200)를 동작시켜 방전등(18)을 초기 글로우 방전시킴과 동시에 이 글로우 방전을 작은 전력으로 소정 시간 유지시켜 그후 점등회로를 동작시켜서 방전등(18)을 초기 글로우 방전에서 주 아크 방전으로 이행시키고 있다.
즉 방전등이 방전을 개시해서 임피던스가 저하한후 점등회로(100)를 동작시키므로 점등회로(100)의 트랜지스터(106) 및 (108)에 큰 전압이 걸리지 않고 따라서 스위칭 손실이 크게 되는 일없이 트랜지스터(106) 및 (108)를 안전 영역에서 스위칭 동작시킬 수 있다.
특히 초기 방전이 유지되고 있는 경우 방전등(18)의 임피던스는 저하되 있으므로 펄스트랜스(202)의 2차권선(2022)에 발생하는 펄스는 방전등(18)에 흡수되어 예를 들면 점등회로(100)의 동작중에 들어가 트랜지스터(106) 및 (108)가 파괴되는 위험은 없다.
또 방전등(18)이 초기 방전개시하기 이전은 점등회로(100)가 동작하고 있지 않으므로 고압펄스가 트랜지스터(106) 및 (108)에 가해져도 이것들이 파괴되는 일은 없다.
또 펄스 트랜지스터(202)의 2차권선(2022)은 점등회로(100)에서의 고주파 출력에 대해서는 고임피던스로 된다.
따라서 2차권선(2022)에서 전력 손실을 일으킬 위험이 없고 방전등(18)은 적정전력으로 점등 동작되게 된다.
또 동실시예에서는 트랜지스터(116)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점등회로(100)의 동작 타이밍을 취했으나 전원(12) 자체의 온·오프에 의해 점등회로(100)의 동작 타이밍을 취해도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다음에 제3도 및 제4a도, 제4b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또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도에 있어서 쵸크코일(16)과 방전등(18)의 사이에 비교적 인덕턴스값의 큰 쵸크코일(20)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래서 전술한 쵸크코일(20)과 병렬로 제1의 릴레이(22)의 항상 열린 접점(22m)이 접속된다.
이 항상 열린 접점(22m)은 제1의 릴레이 구동회로(24)에 의해 제4a도에 나타난 타이밍으로 온ㆍ오프 동작되도록 된다.
또 제2의 직류전원(66)에 대해 제2의 릴레이(70)의 항상 열린 접점(70m) 및 저항(72)을 직렬로 끼워 시동회로(200)가 접속된다.
전술한 제2의 릴레이(70)는 제2의 릴레이 구동회로(72)에 의해 제4b도에 나타난 타이밍으로 온ㆍ오프 동작되도록 된다.
또 점등회로(1001)는 전술한 제1도의 점등회로(100)에서 전원(114), 제어용 트랜지스터(116)등의 점등회로의 타이밍 회로를 제외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 시간 t0의 타이밍으로 제2의 릴레이 구동회로(72)에 의해 제2의 릴레이(70)가 온 되면 그의 항상 열린 접점(70m)이 닫힌다.
이리하여 시동회로(200)가 먼저 동작해서 펄스트랜스(202)의 2차권선(2022)에서의 고압펄스에 의해 방전등(18)이 시동점등되어 방전등(18)이 초기 글로우 방전을 발생한다.
이때 시동회로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주점등에 요하는 전력보다 작다.
또 점등회로(1001)도 동작되나 그 점등회로(1001)의 출력단자와 방전등(18)과의 사이에는 2개의 쵸크코일(16) 및 (20)이 직렬로 끼워져 있다.
때문에 점등회로(1001)에서의 고주파 출력에 대한 코일(16) 및 (20)의 합성 임피던스는 크고, 따라서 방전등(18)에 공급되는 고주파 전력은 작다.
때문에 이 시점에서 방전등(18)이 아크 방전으로 이행하는 일은 없다.
그후 시간 t1의 타이밍에서 제1의 릴레이 구동회로(24)에 의해 제1의 릴레이(22)가 동작되면 그의 항상 열린 접점(22m)이 닫히게 된다.
이에 의해 쵸크코일(20)이 단락되므로 방전등(18)에 적정한 고주파 전력이 공급되어 방전등(18)은 초기 글로우 방전에서 주 아크 방전으로 이행해서 항상 점등 동작하도록 된다.
그래서 또 시간 t2의 타이밍에서 제2의 릴레이(70)가 오프되어 시동회로(200)의 동작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방전등(18)의 초기 방전 개시전은 릴레이(22m)가 열려 있으므로 방전등(18)에 가해지는 고압펄스가 동작중의 점등회로(1001)의 트랜지스터(106)(108)에 직접 가해지는 일은 없다.
릴레이(22m)가 닫히는 것은 방전등(18)의 초기 방전이 개시하고부터 이므로 제2의 실시예는 제1의 실시예와 같이 트랜지스터의 손실을 작게할 수 있고 또 트랜지스터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의 실시예에서는 제1도에 나타낸 전원(114), 트랜지스터(116)등의 점등회로의 타이밍회로를 제외했으나 이들의 회로는 있어도 좋다.
이들 회로를 설치함으로서 점등회로의 동작을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같은 타이밍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제5도, 제6a도, 제6b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또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5도에 있어서 쵸크코일(20)의 양단에는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26)의 다이오드(261)의 캐소드와 다이오드(262)의 애노드의 접속점과 다이오드(263)의 캐소드와 다이오드(264)의 애노드의 접속점이 접속되어 있다.
그래서 다이오드(261)의 캐소드와 다이오드(263)의 캐소드를 접속점과, 다이오드(262)의 애노도와 다이오드(264)의 애노드의 접속점간에 트랜지스터(28)의 콜렉터 에미터가 접속되어 있다.
또 전술한 트랜지스터(28)의 베이스, 에미터는 증폭기(30)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증폭기(30)는 제3의 직류전원(32)에 접속된 타이머(34)에 의해 구동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전술한 트랜지스터(64)의 베이스, 에미터에는 포토커플러(74)의 포토트랜지스터(74a)의 콜렉터, 에미터가 접속되어 있다.
그래서 전술한 포토커플러(74a)의 발광 다이오드(74b)는 증폭기(76)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 증폭기(76)는 제4의 직류전원(78)에 접속된 타이머(80)에 의해 구동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전술한 증폭기(30)에서 전술한 트랜지스터(28)의 베이스, 에미터간에 가해지는 c1-c2간 전압은 제6a도에 나타내는 타이밍으로 가해진다.
또 전술한 증폭기(76)에서 포토커플러(74)를 통해 전술한 트랜지스터(64)의 베이스, 에미터간에 가해지는 b1-b2간 전압은 제6b도에 나타내는 타이밍으로 가해지도록 되어 있다.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간 t0의 타이밍으로 먼저 타이머(80)에 의해 증폭기(76)가 구동된다.
이어서 트랜지스터(64)가 온되어 시동회로(200)가 구동된다.
이에 의해 펄스트랜스(202)의 2차권선(2022)에서 고압펄스가 발생되어 방전등(18)이 시동 점등되어 방전등(18)은 초기 글로우 방전을 발생한다.
이때 시동회로에서 방전등으로 공급되는 전력은 주점등에 필요로 되는 전력보다도 작다.
또 점등회로(1001)도 동작되나 그의 점등회로(1001)의 출력단자와 방전등(18)과의 사이에는 2개의 쵸크코일(16) 및 (20)이 직렬로 끼워져 있다.
때문에 점등회로(1001)에서의 고주파 출력에 대한 코일(16) 및 (20)의 합성 임피던스는 크게 되고 따라서 방전등(18)으로 공급되는 고주파 전력은 작게 되어 이 시점에서 방전등(18)이 아크 방전으로 이행하는 일은 없다.
그후 시간 t1의 타이밍에서 증폭기(30)가 타이머(34)에 의해 구동되어 트랜지스터(28)가 온 된다.
이에 의해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26)을 통해 쵸크코일(20)이 단락되어 점등회로(1001)에서 방전등(18)으로 적정한 고주파 전력 공급되어 방전등(18)은 초기 글로우 방전에서 주 아크 방전으로 이행하여 정상 점등 동작하도록 된다.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쵸크코일(20)이 다이오드 브릿지(26)에 의해 바이패스 되어 점등회로(1001) 시동회로(200)와 직접 접속되는 것은 방전등(18)이 초기 방전을 개시한 후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도 제1, 제2의 실시예와 같이 트랜지스터의 손실을 작게할 수 있고 또 트랜지스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타이머(80)에 의해 시간 t2의 타이밍에서 트랜지스터(64)가 오프해서 방전등(18)의 점등후 필요없어진 시동회로(200)의 동작이 정지하여 필요없는 전력의 소모를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제1도, 제3도, 제5도에 나타낸 각 실시예에 있어서 시동회로에는 1차권선 및 2차권선이 각각 1개의 펄스트랜스(202), 저항(204), 콘덴서(206) 및 반도체 스위치(208)로 구성되는 것을 사용했으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7도는 시동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시동회로(2001)는 2개의 1차권선(21011)(20012)과, 1개의 2차권선(2102)을 갖는 고압 발생장치로서의 펄스트랜스(210)를 가지고 있다.
전술한 펄스트랜스(210)의 일방의 1차권선(21011)의 일단은 저항(204)과 콘덴서(206)와의 직렬회로의 저항(204)과 콘덴서(206)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타단은 관 방향성 3단자 사이리스터(212)의 애노드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전술한 펄스트랜스(210)의 타방의 1차권선(21012)의 일단을 저항(214), 콘덴서(216) 및 저항(218)의 직렬회로의 저항(214)과 콘덴서(216)과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타단은 반도체 스위치(208)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전술한 콘덴서(216)와 저항(218)과의 접속점에는 전술한 사이리스터(212)의 게이트가 접속되어 있다.
그래서 전술한 2차권선(2102), 저항(204) 및 (214)의 각 일단은 방전등(18)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콘덴서(206), 저항(218) 및 반도체 스위치(208)의 타단 및 전술한 사이리스터(212)의 캐소드는 방전등(18)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동회로(2001)를 사용해도 펄스트랜스(210)의 2차권선(2102)에는 고압펄스가 발생하므로 전술한 제1도, 제3도, 제5도에 나타낸 시동회로(200)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이다.
제8도는 시동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제1의 전원(12)에 스위칭 소자로서 4개의 트랜지스터(36)(38)(40)(42)를 설치한 인버터회로(120)를 접속해서 점등회로(1002)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점등회로(1002)의 출력단자에는 쵸크코일(16)을 통해 방전등(18)이 접속되어 있다.
그래서 전술한 방전등(18)에는 펄스트랜스(202)의 2차권선(2022)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펄스트랜스(202)의 1차권선(2021)은 시동회로(2022)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시동회로(2022)의 입력단자에는 저항(62) 및 트랜즈스터(64)를 직렬로 끼워 제2의 직류전원(66)이 접속됨과 동시에 전술한 방전등(18)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시동회로(2022)는 전술한 제2의 직류전원(66)에 콘덴서(202)를 병렬로 접속하여 이 콘덴서(220)에 저항 (222)을 끼워 콘덴서(224)를 병렬로 접속하고 있다.
그래서 콘덴서(224)에 전술한 펄스트랜스(202)의 1차권선(2021) 및 콘덴서(226)를 직렬로 끼워 정전압 도통소자(228)를 병렬로 접속하고 있다.
또 각 트랜지스터(36)(38)(40)(42)에는 각각 서지 흡수용의 다이오드(44)(46)(48)(50)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인버터회로(120)는 트랜지스터(36)와 (38)가 저주파에서 온·오프 구동되도록 되어 있고 또 트랜지스터(40)과 (42)가 고주파에서 온·오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동 실시예에 있어서 먼저 단자 b1-b2사이에 전압이 가해져 트랜지스터(64)가 온하여 시동회로(2002)가 동작된다.
이리하여 펄스트랜스(202)의 2차권선(2022)에서 고압펄스가 발생하여 방전등(18)으로 가해진다.
따라서 방전등(18)은 시동 점등되어 초기 글로우 방전을 개시한다.
그래서 이 초기 글로우 방전이 어느 시간 유지되면 인버터회로(120)의 구동 회로(도시않음)가 동작을 개시한다.
그러면 트랜지스터(36) 및 (38)가 저주파에서 스위칭 동작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40) 및 (42)가 고주파로 스위칭 동작한다.
이리하여 인버터회로(120)에서는 고주파가 저주파에 중첩된 점등파형이 방전등(18)으로 공급되어 방전등(18)은 초기 글로우 방전에서 주 아크 방전으로 이행하도록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방전등(18)의 정상 점등시에는 고주파가 저주파에 중첩된 점등 파형이 인버터회로(120)에서 공급되므로 음향적 공명(acoustic resonance)을 방지할 수 있는 외에 점등회로의 부하 특성도 개선된다.
제9도는 시동회로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회로는 제8도의 인버터회로(120)의 각 트랜지스터(36)(38)(40) 및 (42)에 병렬로 접속된 다이오드(44)(46)(48) 및 (50)를 제거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인버터회로(120')는 각 트랜지스터(36)(38)(40) 및 (42)를 각각 저주파로 온·오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트랜지스터(36)(40)와 트랜지스터(38)(42)가 교대로 스위칭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인버터회로(120')를 저주파에서 구동하는 것에 있어서는 최초는 시동회로(2002)에 의해 방전등(18)을 글로우 방전으로 유지시키고 그후 점등회로(1003)를 동작해서 방전등(18)을 글로우 방전에서 아크 방전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도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등 점등장치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시동시에 방전등(18)을 글로우 방전시키지 않고 아크의 직류 초기 방전으로 유지시켜 그후 점등회로(100)에서의 전력공급에 의해 방전등(18)의 주 점등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의 것이다.
즉 방전등(18)에는 시동회로(2003)가 접속되어 있다.
이 시동회로(2003)에는 각각 고압발생 장치로서의 제1, 제2의 펄스트랜스(230)(232), 반도체 스위치(234), 단 방향성 3단자 사이리스터(236)를 가지고 있다.
또 저항(238), 콘덴서(240), 저항(242)를 직렬로 접속해서 구성되는 제1의 직렬회로와, 저항(244), 콘덴서(246)를 직렬로 접속해서 구성되는 제2의 직렬회로를 갖추고 있다.
그래서 제2의 직류전원(66)에는 트랜지스터(64), 저항(62) 전술한 제2의 펄스트랜스(232)의 2차권선(2322) 및 제1의 펄스트랜스(230)의 2차권선(2302)을 직렬로 통해 전술한 방전등(18)이 접속되어 있다.
제2의 직류전원(66)에는 트랜지스터(64) 및 저항(62)을 직렬로 통해 전술한 제1의 직렬회로 및 제2의 직렬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그래서 제1의 펄스트랜스(230)의 1차권선(2301)은 그 일단이 제1의 직렬회로의 저항(238)과 콘덴서(240)와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타단이 반도체 스위치(234)를 통해 제2의 직류전원(66)의 음극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2의 펄스트랜스(232)의 1차권선(2321)의 일단은 제2의 직렬회로의 저항(244)과 콘덴서(246)와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타단은 사이리스터(236)를 통해 제2의 직류전원(66)의 음극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점등회로(100)의 제어용 트랜지스터(116)의 베이스, 에미터간에서 제11a도에 나타낸 타이밍으로 a1-a2간 전압이 가해진다.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64)의 베이스, 에미터간에는 제11b도에 나타낸 타이밍으로 b1-b2간 전압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먼저 시간 t0에서 트래지스터(64)의 베이스, 에미터간에 b1-b2간 전압이 가해져서 트랜지스터(64)가 온한다.
이리하여 시동회로(2003)가 저항(62)을 통해 제2의 직류전원(66)에 접속되어 동작을 개시한다.
시동회로(2003)에 있어서 콘덴서(240) 및 (246)이 충전되어 먼저 반도체 스위치(234)가 도통한다.
그래서 이 반도체 스위치(234)가 도통한 후, 콘덴서(240)에서 제1의 펄스트랜스(230)의 1차권선(2301) 및 반도체 스위치(234)를 통해서 방전된다.
따라서 제1의 펄스트랜스(230)의 2차권선(2302)에 고압펄스가 발생하여 방전등(18)으로 가해진다.
이어서 사이리스터(236)이 도통하여 콘덴서(246)에서 제2의 펄스트랜스(232)의 1차권선(2321) 및 사이리스터(236)을 통해 방전된다.
따라서 제2의 펄스트랜스(232)의 2차권선(2322)으로 방전등(18)의 초기방전을 개시하고 또 유지하는데 충분한 에너지를 가진 고압펄스가 발생하여 방전등(18)으로 공급된다.
이리하여 방전등(18)은 시동회로(2003)에 의해 직류의 초기 아크 방전으로 유지된다.
이때 시동회로(2003)에서 방전등(18)으로 공급되는 전력은 주 점등에 필요로 되는 소정의 전력보다도 작다.
그후 시간 t1으로 되면 트랜지스터(116)의 베이스, 에미터간에 a1-a2간 전압이 가해져 트랜지스터(116)가 온된다.
이리하여 구동회로(104)의 동작이 개시되고 트랜지스터(106)(108)가 교대로 스위칭 동작된다.
그러면 인버터회로(102)에서 콘덴서 및 쵸크 코일(16)을 통해 점등 유지에 필요한 고주파 전력이 방전등(18)으로 공급되도록 된다.
그래서 시간 t2의 타이밍에서 트랜지스터(64)가 오프되어 시동회로(2003)의 동작이 정지된다.
이와같이 해서 방전등(18)은 글로우 방전되지 않고 직접 아크 방전 유지된 후에 점등 상태로 된다.
따라서 글로우 방전에서 아크 방전으로 이행시 잘 발생하는 점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글로우 방전시는 방전등의 램프 전압이 높고 따라서 글로우 방전 상태에서 방전등을 점등회로에 접속하는데는 점등회로의 스위칭 소자의 내압을 높게 설정할 필요가 있으나 동 실시예에서는 아크 방전 상태에서 방전등을 점등회로에 접속하기 위해 점등회로의 스위칭 소자로서는 그 정도 높은 내압은 불필요하게 된다.
다시말하면 점등회로의 스위칭 소자가 파괴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시동회로의 구성은 동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제12도, 제13도에 나타낸 것같은 구성의 것이라도 좋다.
제12도는 제10도의 방전등 점등장치의 시동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시동회로(2004)는 1개의 1차권선(2481) 및 2차권선(2482)으로 구성되는 고압발생 장치로서의 펄스트랜스(248)를 가지고 있다.
또 전술한 시동회로(2004)에 있어서 전술한 펄스트랜스(248)의 1차권선(2481)의 일단은 저항(250)과 콘덴서(252)와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타단은 반도체 스위치(254)를 통해 방전등(18)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전술한 저항(250)의 타단에는 펄스트랜스(248)의 2차권선(2482)을 통해 전술한 방전등(18)의 일단이 접속되고 전술한 콘덴서(252)의 타단에는 전술한 방전등(18)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제13도는 제10도에 나타낸 방전등 점등장치의 시동회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시동회로(2005)는 2개의 1차권선(25411) 및 (25412)과, 1개의 2차권선(2542)으로 구성되는 고압발생 장치로서의 펄스트랜스(254)를 가지고 있고 이 펄스트랜스(254)의 일방의 1차권선(25411)의 일단은 저항(256)과 반도체 스위치(258)와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타단은 콘덴서(260) 및 저항(262)을 직렬로 통해 방전등(18)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전술한 시동회로(2005)에 있어서 타방의 1차권선(25412)의 일단은 저항(264)과 콘덴서(266)와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타단은 단방향성 3단자 사이리스터(268)를 통해 방전등(18)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전술한 저항(256)(264)의 타단에는 펄스트랜스(254)의 2차권선(2542)을 통해 전술한 방전등(18)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 전술한 반도체 스위치(258), 콘덴서(260)의 타단에는 방전등(18)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 사이리스터(266)의 게이트는 콘덴서(260)와 저항(262)과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또 시동시에 직접 아크 방전되는 회로는 제10도, 제12도와 제13도에 나타낸 시동회로를 사용하면 제3도에 나타낸 점등회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회로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방전등 점등장치는 직류전원(12)에 승압용의 인버터회로(130)를 접속하고 있다.
전술한 인버터회로(130)는 주지의 회로에서 1쌍의 MOS형 트랜지스터(106) 및 (108)와, 각 트랜지스터(106) 및 (108)을 스위칭 제어하는 푸시풀(push-pull) 구동 제어 회로(132) 및 출력트랜스(134)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인버터회로(130)의 출력단자 즉 전술한 출력트랜스(134)의 2차권선(1342)에는 다이오드(136)(138) 콘덴서(140)(142)로 구성되는 주지의 배전압 정류회로(144)가 접속되어 있다.
그래서 이 배전압 정류회로(144)의 출력단자인 전술한 콘덴서(140)(142)의 직렬회로의 양단간에는 점등회로(1004)를 구성하는 허브 브릿지 회로(146)를 접속하고 있다.
전술한 허브 브릿지 회로(146)는 주지의 회로에서 직렬 접속된 한쌍의 MOS형 트랜지스터(148)(150)와, 이들의 트랜지스터(148)(150)을 스위칭 제어하는 허브 브릿지 구동제어 회로(152)를 설치하고 있다.
또 전술한 트랜지스터(148)의 드레인을 전술한 콘덴서(140)의 양극단자에 접속하고 전술한 트랜지스터(150)의 소스를 전술한 콘덴서(142)의 음극단자에 접속하고 있다.
그래서 전술한 트랜지스터(148)의 소스와 트랜지스터(150)의 드레인과의 접속점과, 콘덴서(140)(142)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제1의 통전 검출회로(154), 제3의 릴레이(156)의 항상 닫히 점점(156m) 한류쵸크(current limiting choke)를 직렬로 끼워 방전등(18)을 접속하고 있다.
전술한 방전등(18)에는 제2의 통전검출회로(160)를 통해 시동회로(2006)가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시동회로(2006)는 제4의 릴레이(162)의 항상 열린 접점(162m)을 통해 콘덴서(140)로 접속되고 콘덴서(140)에서 동작 전원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내부에 설치된 콘덴서가 소정의 시정수(時定數)를 가지고 충전된다.
전술한 콘덴서의 충전 레벨이 소정의 레벨에 달하면 콘덴서에서 방전시켜 고압발생 장치로서의 펄스트랜스에 의한 펄스를 포함한 전류가 발생되고, 이것은 간헐적으로 반복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전술한 직류전원(12)에는 릴레이 변환회로(164)가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릴레이 변환회로(164)에는 예를 들면 제15도에 나타낸 것처럼 구성되어 있다.
즉 전술한 직류전원(12)에는 저항(302) 및 (304)의 직렬분압회로와, NPN형의 트랜지스터(306) 및 전술한 제4의 릴레이(162)와의 직렬회로와, NPN형의 트랜지스터(308)와 제3의 릴레이(156)와의 직렬회로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전술한 각 릴레이(156)(162)에는 각각 서지 흡수용의 다이오드(310)(312)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전술한 저항(302) 및 (304)의 접속점에는 비교기(comparator)(314)의 비반전 입력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이 비교기(314)의 출력단자와 비반전 입력단자(+)와의 사이에는 저항(316)이 접속되어 있다.
비교기(314)의 반전 입력단자(-)에는 전술한 제2의 통전검출회로(160)를 구성하는 다이오드(318), 저항(320) 및 포토커플러(322)의 포로트랜지스터(322T)가 직렬로 통해 전원(12)의 양극에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포토커플러(322)의 발광다이오드(322D)는 전술한 시동회로(2006)와 방전등(18)과의 통전로등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제1의 통전검출회로(154)는 커런트 트랜스(324)를 가지고 있고, 그 트랜스(324)의 1차권선(3241)이 전술한 허브 브릿지 회로(146)와 방전등(18)과의 통전로중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커런트 트랜스(324)의 2차권선(3242)의 양단간에는 저항(326)이 접속되어 있다.
또 전술한 2차권선(3242)의 양단자는 각각 다이오드(328)(330)을 끼우고 또 저항(332)을 공통으로 끼워서 콘덴서(334)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 2차권선(3242)의 중간 탭은 전술한 콘덴서(334)의 타단에 접속됨과 동시에 직류전원(12)의 음극에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콘덴서(334)와 저항(332)의 접속점은 다이오드(336)를 통해 비교기(314)의 반전 입력단자(-)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전술한 비교기(314)의 출력단자와 직류전원(12)의 음극과의 사이에는 저항(338)(340)의 직렬회로와, 다이오드(342) 및 콘덴서(344)의 직렬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그래서 콘덴서(334)는 병렬로 접속된 저항(346)(348)의 직렬회로와 함께 지연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또 저항(338)과 (340)의 점속점에는 전술한 트랜지스터(308)의 베이스가 접속되고, 마찬가지로 전술한 저항(346)(348)의 접속점에는 제너다이오드(350)를 통해 트랜지스터(306)의 베이스가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같은 구성의 실시예의 동작을 제16a도에서 제16i도 및 제17a도 및 제17i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6a도에 나타낸 것처럼 시간 t11에서 직류전원(12)이 온하면 비교기(314)의 출력이 제16b도에 나타낸 것처럼 하이레벨로 된다.
그러면 제16c도에서 제16f도에 나타낸 것처럼 트랜지스터(306)(308)가 각각 온한다.
이어서 제16d도에서 제16g도에 나타낸 것처럼 약간 지연된 시간 t12에서 제4도의 릴레이(162) 및 제3의 릴레이(156)가 동작한다.
이에 따라 제4도의 릴레이(162)의 항상 열린 접점(162m)이 닫힘과 동시에 제3의 릴레이(156)의 항상 닫힌 접점(156m)이 개방된다.
이리하여 시동회로(2005)가 전원(12)에 접속되어 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이 시동회로(2006)에서는 콘덴서로의 충전이 개시되어 시간 t12에서 소정시간 T1경과후(시간 t13)에 그 충전 레벨이 소정 레벨에 도달하면 제16e도에 나타낸 것같은 펄스가 발생해서 방전등(18)으로 공급된다.
그래서 방전등(18)이 초기방전을 개시하면 펄스에 계속해서 방전 전류가 흐른다.
이때 시동회로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주점등에 필요로 되는 전력보다 작다.
또 이 전류가 흐르면 포토커플러(322)의 발광다이오드(322D)가 동작해서 포토트랜지스터(322T)가 온 동작한다.
이리하여 다이오드(318)를 통해 비교기(314)의 반전 입력단자(-)에 하이레벨의 전압이 공급된다.
그러면 전술한 반전 입력단자(-)로의 입력레벨이 비반전 입력단자(+)로의 입력레벨보다도 높게 되고 제16b도에 나타낸 것처럼 비교기(314)의 출력레벨이 로우레벨로 된다.
따라서 제16f에 나타낸 것처럼 트랜지스터(308)는 시간 t13에서 즉시 오프되고 제3의 릴레이(156)가 약간 지연되어 시간 t14에서 오프된다.
따라서 릴레이(156)의 항상 열린 접점(156m)이 온한다.
이리하여 제16h도에 나타낸 것처럼 하프 브릿지 회로(146)에서 방전등(18)에 대해 주방전에 필요한 전력의 공급이 개시된다.
이 전류의 공급이 개시되면 커런트 트랜스(324)의 2차권선(3242)에 전압이 발생하여 다이오드(336)를 통해서도 비교기(314)의 반전 입력단자(-)에 하이레벨의 전압 공급이 개시된다.
또 비교기(314)의 출력이 로우레벨로 되면 콘덴서(314)가 저항(346)(348)을 통해 방전되게 된다.
그래서 시동회로(2006)에서 다음의 펄스가 발생하기전의 시간 T2(<T1) 경과후 (시간 t15)에 제16c도에 나타낸 것처럼 트랜지스터(306)가 오프되고 약간 지연되어 시간 t16에서 제16d도에 나타낸 것처럼 제4의 릴레이가 오프된다.
이리하여 시동회로(2006)는 전원(12)에서 분리되게 되어 방전등(18)으로의 전류공급 동작이 정지된다.
그래서 시간 t16이후는 하프 브릿지 회로(146)에서만 전류가 공급되어 방전등(18)은 점등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방전등(18)에는 시동 개시후 제16i도에 나타낸 것처럼 램프 방전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상 서술한 동장은 방전등(18)이 통상 시동 점등한 경우로 예를 들면 재시동을 행할 때에는 시동이 부드럽게 되지 않고 최초의 펄스에서 시동 점등되지 않는 경우나 점등후에 점멸로 되는 경우이다.
제17a도에서 제17i도는 이와 같은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즉 제17a도에 나타낸 것처럼 시간 t21에서 직류전원(12)이 오프된 후 다시 시간 t22에서 전원(12)이 온된 것으로 한다.
그러면 제17c도에서 제17f도에 나타낸 것처럼 트랜지스터(306)(308)가 각각 온한다.
이어서 제17d도에서 제17g도에 나타낸 것처럼 시간 t23에서 제4의 릴레이(162) 및 제3의 릴레이(156)가 동작해서 제4의 리레이(162)의 항상 열린 접점(162m)이 닫힘과 동시에 제3의 릴레이(156)의 항상 닫힌 접점(156m)이 개방된다.
여기서 제17e도에 나타낸 것처럼 시간 t24에 있어서는 시동회로(2006)에서 최초의 펄스가 방전등(18)으로 공급되나 방전등(18)에서는 시동 점등할 수 없었던 것으로 한다.
그러면 시동회로(2006)에서는 다시 콘덴서로의 충전이 개시되어 소정시간(T3) 경과후(시간 T25)에 2번째의 펄스가 발생한다.
따라서 방전등(18)이 시동점등되어 제17f도에 나타낸 것처럼 트랜지스터(308)가 오프된다.
이어서 시간 t26에서 17g도에 나타낸 것처럼 제3의 릴레이(156)가 오프된다.
이리하여 하프 브릿지 회로(146)가 방전등(18)에 접속되어 제17h도에 나타낸 것처럼 그 회로(146)에서 전류가 방전등(18)으로 공급되도록 된다.
그후 제17c도에 나타낸 것처럼 소정의 지연시간 T4을 두고 시간 t27에서 트랜지스터(306)가 오프되어 제17d도에 나타낸 것처럼 제4의 릴레이(162)가 오프된다(시간 t28). 이리하여 시동회로(2006)에서 방전등(18)으로의 전류공급동작이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제17i도 시간 t29로 나타낸 것처럼 방전등(18)이 점멸하는 일이 있으면 커런트 트랜스(324) 2차권선(3242)에 전압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포토커플러(322)의 포토트랜지스터(322T)는 시동회로(2006)의 동작 정지에 따라 이미 오프되어 있다.
따라서 비교기(314)의 반전 입력단자(-)로의 입력레벨은 로우레벨로 된다.
이리하여 비교기(314)의 출력은 제17b도에 나타낸 것처럼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반전한다.
이것을 받아서 시간 t30에서 트랜지스터(306)가 온해서 제4의 릴레이(162)가 동작하여 그의 항상 열린 접점(162m)이 닫혀서 시동회로(2006)가 즉시 동작한다.
한편 트랜지스터(308)가 온해서 제3의 릴레이(156)가 동작하고 항상 닫힌 접점(156m)이 개방해서 하프 브릿지 회로(146)를 방전등(18)에서 즉시 떼어낸다.
이렇게 해서 방전등(18)이 점멸한 때에는 시동회로(2006)가 즉시 동작함과 동시에 하프 브릿지 회로(146)가 즉시 분리되어 방전등(18)은 시동 점등 제어되도록 된다.
이와같이 시동회로(2006)가 동작해서 방전등(18)에 펄스를 포함한 전류가 공급될 때에는 점등회로(1004)인 하프 브릿지 회로(146)는 방전등(18)에서 분리되므로 펄스가 하프 브릿지 회로(146)로 들어가 하프 브릿지 회로(146)내의 반도체 소자, 예를들면 MOS형 트랜지스터(106) 및 (108)가 파괴될 위험이 없다.
또 시동회로(2006)에서 방전등(18)으로 전류를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 하프 브릿지 회로(146)를 방전등(18)에 접속해서 그 하프 브릿지 회로(146)에서 방전등(18)으로의 전류의 공급을 개시시켜 그후 시동회로(2006)로 부터 다음의 펄스가 발생하기 전에 시동회로(2006)를 전원에서 분리해서 그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시동회로(2006)에서의 전류 공급과 하프 브릿지 회로(146)에서의 전류 공급을 오버랩 시킬 수 있고 또 방전등(18)의 점등 유지를 안정해서 행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전류 공급의 오버랩이 있어도 그 사이 시동회로(2006)에서는 펄스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펄스가 하프 브릿지 회로(146)로 들어갈 위험은 전혀 없다.
또 동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전검출회로를 포토커플러나 커런트 트랜스로 구성한 것에 대해 설명했으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또 동 실시예에서는 시동회로에서 방전등으로의 전류 공급의 정지를 시동회로를 전원에서 분리함으로서 행했으나 이것은 시동회로를 방전등에서 분리함으로써 행해도 좋다.
또 동 실시예에서는 점등회로를 하프 브릿지 회로로 구성했으나 꼭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2)

  1. 방전등(18)과, 이 방전등에 출력단자가 접속되어 방전등에 소정의 전력을 공급해서 주 점등시키는 점등회로(100)와 전술한 점등회로와 병렬적으로 방전등에 출력단자가 접속되어 방전등이 초기 방전을 개시하고 또 전술한 점등회로에서 방전등으로 공급되는 소정의 전력보다도 작은 전력으로 초기 방전을 유지하는 시동회로로 이루어지는 방전등 점등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시동회로의 동작에 의해 전술한 방전등의 시동후 초기 방전이 유지되고 있는 사이에 전술한 점등회로에서 소정의 전력을 전술한 방전등으로 공급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회로(64)(104)(11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장치.
  2. 방전등에 고전압을 공급해서 초기 방전을 개시시키고, 초기 방전이 개시한 후 주점등에 필요한 전력보다도 작은 전력을 방전등에 공급해서 방전등의 초기 방전을 유지시키고, 초기 방전이 개시되어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 점등회로에서 전술한 방전등을 주점등시키는 소정의 전력을 공급해서 주방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방법.
KR1019900011933A 1989-08-01 1990-08-01 방전등의 점등장치 및 방법 KR940003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97918 1989-08-01
JP19791889A JPH02291698A (ja) 1989-02-17 1989-08-01 放電灯点灯装置及びその点灯方法
JP1202935A JPH0367494A (ja) 1989-08-07 1989-08-07 放電灯点灯装置
JP1-202935 1989-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729A KR910005729A (ko) 1991-03-30
KR940003776B1 true KR940003776B1 (ko) 1994-04-30

Family

ID=16465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1933A KR940003776B1 (ko) 1989-08-01 1990-08-01 방전등의 점등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67494A (ko)
KR (1) KR9400037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729A (ko) 1991-03-30
JPH0367494A (ja) 199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107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high intensity gas discharge lamp ballast
JP4476817B2 (ja) 放電灯点灯装置
JP3918151B2 (ja) 放電灯点灯回路
JPH06260291A (ja) 車輌用放電灯の点灯回路
JP2001006888A (ja) 放電灯点灯回路
EP0411617A2 (en) Method of lighting discharge lamp and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US6867553B2 (en) Continuous mode voltage fed inverter
US20090267528A1 (en) Lamp driving circuit
KR100596950B1 (ko) 저압 가스 방전 램프용 동작 회로
US6392365B1 (en) Hot restrike protection circuit for self-oscillating lamp ballast
JP2001006890A (ja) 放電灯点灯回路
US77330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eliminating DC bias on electrolytic capacitors and shutdown detecting circuit for current fed ballast
KR940003776B1 (ko) 방전등의 점등장치 및 방법
US6952085B2 (en) Continuous mode ballast with pulsed operation
JP2006228676A (ja) 放電灯点灯装置
JP2005011798A (ja) 高圧パルス発生装置及び放電灯点灯装置
JPS6210000B2 (ko)
JP3230540B2 (ja) 蛍光管駆動回路
JP2005228735A (ja) 制御回路を動作させるためのチャージポンプ回路
JPH07114994A (ja) 放電灯点灯装置
JPH09238474A (ja) 電源装置,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JPH11329775A (ja) 放電灯点灯装置
JPH0864374A (ja) 放電灯点灯装置
JPH02291698A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その点灯方法
JPH10125482A (ja) 放電灯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