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726B1 - 나무벽돌 부설틀 - Google Patents

나무벽돌 부설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726B1
KR940003726B1 KR1019880701645A KR880701645A KR940003726B1 KR 940003726 B1 KR940003726 B1 KR 940003726B1 KR 1019880701645 A KR1019880701645 A KR 1019880701645A KR 880701645 A KR880701645 A KR 880701645A KR 940003726 B1 KR940003726 B1 KR 940003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en
laying
bricks
frame
wooden bri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1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1847A (ko
Inventor
이사오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이사오 하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사오 하야시 filed Critical 이사오 하야시
Publication of KR890701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1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01C5/22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or prefabricated foundation uni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나무벽돌 부설틀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제7도는 본 발명의 첫번째 제1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제1도는 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나무벽돌을 유지한 상태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나무벽돌을 유지한 부설틀을 상호접속수단으로 접속하는 상태를 표시한 부분절결 단면도.
제6도는 나무벽돌을 유지한 부설틀을 자갈 기초위에 부설한 상태를 표시한 부분절결 확대 단면도.
제7도는 나무벽돌을 유지하여 자갈 기초위에 부설한 부설틀 중, 인접하는 부설틀 서로를 접속수단으로 접속한 부분을 표시한 부분절결 단면도이다.
제8도~제13도는 본 발명의 첫번째 제2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제8도는 그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C-C선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D-D선 단면도.
제11도는 나무벽돌을 유지한 상태의 평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E-E선 단면도.
제13도는 제11도의 F-F선 단면도이다.
제14~제18도는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제14도는 그 평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G-G선 단면도.
제16도는 제14도의 H-H선 단면도.
제17도는 나무벽돌을 유지한 상태의 평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I-I선 단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공원내의 도로, 일반도로의 보도 또는 주차장의 노면, 혹은 일시적으로 개최되는 전시회장용 등의 도로, 기타 도로의 나무벽돌 포장에 사용되는 나무벽돌을, 해당하는 도로의 기초위에 배설하여 유지하며, 나무벽돌 포장을 조성하는 나무벽돌 부설틀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에, 나무벽돌을 사용한 포장은 보행자 천국 등이 실시되는 모올거리나 공원내 혹은 정원 기타에서 약간 보여진다.
이와 같은 나무벽돌에 의한 포장은 보통 다음과 같이 하여 시공되고 있다.
우선 첫번째는, 기초를 반죽하지 않은 모르타르로 대강 평활하게 구성하고, 그후 그 기초위에, 복수의 나무벽돌을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나무망치 등으로 각 나무벽돌 사이가 들쭉날쭉하지 않도록, 또한 나무벽돌 아랫부분이 반죽하지 않은 모르타르속에 약간 매몰되도록 두들겨 맞춘다.
다음에 각 나무벽돌 사이의 메지(目地)에 용융아스팔트를 주입하여 굳히고, 그위에 모래를 장입하는 것이었다.
두번째는, 고르게한 모르타르로 평탄하게 마무리한 콘크리이트 기초위에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그위에 블로운 아스팔트(blown asphal) 용액을 도포한 후에 복수의 나무벽돌을 차례로 한개씩 적당한 간격을 두고서 배설하며, 그후에 각 나무벽돌 사이의 메지에 블로운 아스팔트용액을 주입하여 굳혀, 메지마무리를 하는 것이었다.
물론 이 경우에도 나무벽돌을 기초위에 배설할때에는, 각 나무벽돌사이의 들쭉날쭉한 것을 없애기 위해서 나무망치 등으로 두들겨 맞출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상의 나무벽돌 포장의 시공에는 많은 문제가 있어, 실용에 견디어낼 수 없다.
우선 상기한 그 첫번째 또는 두번째와 같은 나무벽돌의 부설시공으로는, 어느것도 다수의 나무벽돌을 한개씩 배열하고 윗면을 두들겨 맞추는 것이므로, 작업능률이 극히 좋지 않다. 더구나 포장면의 평활성 확보도 쉽지는 않다.
또 목축에 의하여 나무벽돌의 배열을 실시하는 것이므로, 당연히 각 나무벽돌사이의 메지폭을 일정하게 구성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더우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나무벽돌부설에서는, 나무벽돌을 모르타르나 아스팔트로서 기초에 고정하고, 또한 메지도 모르타르나 아스팔트로 견고히 하는 것이므로, 빗물 등을 땅밑으로 투과시킬 수 없어, 나무벽돌 포장면 위에 물이 고이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결과 나무벽돌의 부식 등을 야기시키기도 한다.
또 상기와 같이 나무벽돌은 아스팔트 등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 있으므로, 수분을 내포한 나무벽돌의 팽창, 혹은 건조된 나무벽돌의 수축 등을 흡수할 수도 없다. 그래서, 복수의 나무벽돌을 소정의 배열로 늘어놓고, 각 나무벽돌을 서로의 간격에 아스팔트, 아크릴계 고무 또는 우레탄계 고무 등의 결합재를 충전하여 결합하여, 판형상의 복합 나무벽돌로 성형하는 것이 제안되기에 이르렀다(일본국 특허출원공개소59(1984년)-91006호).
또 복수의 나무벽돌을 결합재에 의해 상기한 예와 같이 병렬로 굳게 붙여서 결합한 것이었고, 상기한 결합재로서, 수지와 고무팁을 혼합하여 그 안팎으로 연이어 통하는 공극부(空隙部)를 구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기에 이르렀다(일본국 실용신안출원공개소61(1986년)-192010호).
그러나, 전자는 그것들로 도로 등을 포장했을 경우에는, 결합재에 투수성이 없으므로, 빗물 등을 지하로 투과시킬 수 없어, 포장면에 물이 고이는 난점이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서 나무벽돌의 부식문제가 있다. 또 결합재가 충분하게 유연성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습도의 변화에 따르는 나무벽돌의 신축에 반드시 충분한 대응을 할 수 있지는 않다고 하는 난점도 있다.
더욱이, 나무벽돌을 결합재로 결합시키는 공정이 쉽지는 않다고 하는 극히 중요한 문제점도 있다.
후자는 투수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었지만, 상기한 구성으로는, 실제상 투수성을 확보하는 것이 쉽지는 않으며, 전자의 예와같이 결합재에 의한 나무벽돌의 결합공정은 쉬운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나무벽돌과는 독립된 부설물로서, 이것에의 나무벽돌의 부착이 쉬운 부설틀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이것으로 나무벽돌을 유지시켜 보도 등에 부설한 경우에, 나무벽돌의 습기변화 등에 따르는 신축을 충분하게 허용할 수 있는 부설틀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이것으로 나무벽돌을 유지시켜 도로에 부설한 경우에, 그 위를 보행하는 보행자에 의해, 또는 그 위를 주행하는 자동차에 의해 외력을 받게 되지만, 이 경우에 나무벽돌의 변형을 허용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그러나 나무벽돌의 변형을 일정한 안전범위내로 한정하면서, 나무벽돌의 깨어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부설틀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유지해야할 나무벽돌의 평면형상에 따라서는, 나무벽돌사이에 넓은 메지간격이 벌어지게 되므로, 이 간격을 번거롭지 않게 메우는 수단을 구비한 부설틀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첫번째는, 틀 본체속에, 복수의 나무벽돌의 유치구획을 부설할때의 나무벽돌의 배열에 대응시켜 배열구성하고, 각 유지구획속에 나무벽돌의 고정수단을 설치하고, 또한 각 유지구획의 구획벽에, 탄성을 갖고 구획 안쪽으로 비스듬히 아래로 향한 플랜지를 내어붙인 나무벽돌 부설틀이다.
본 발명의 두번째는, 틀 본체속에, 복수의 나무벽돌의 유지구획을 부설할때의 나무벽돌의 배열에 대응시켜 배열구성하고, 각 유지구획속에 나무벽돌의 고정수단을 설치하고, 각 유지구획의 구획벽에, 탄성을 갖고 구획안쪽으로 비스듬히 아래로 향하는 플랜지를 내어붙여 구성하고, 또 각 유지구획 사이의 폭이 넓은 결합수단위에, 위끝이 유지구획내로 유지되는 나무벽돌의 윗면과 같은 높이인 복수의 탄성돌기를 세워 설치한 나무벽돌 부설틀이다.
상기한 유지구획은, 어느것도 유지대상으로 되는 나무벽돌에 따라서 여러가지 칫수형상으로 구성하면 좋다.
평면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과 같은 사변형, 혹은 평면이 원형 등인 나무벽돌이 일반적이므로, 보통 이들 중 한 종류의 나무벽돌을 적절한 배열로 유지하도록, 또는 복수종류의 형상인 나무벽돌을 조합시켜서 적절한 배열로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예를들어, 대상으로되는 나무벽돌의 평면형상을 정사각형으로 결정했을 경우에는, 복수의 유지구획, 예를 들어 9개의 유지구획을 종횡으로 3열씩 구성한다.
이런 경우는, 구획판을 격자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와 같이 종횡으로 유지구획을 배열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한 구획판의 각 해당되는 부분이 각 유지구획의 구획벽으로 되고, 구획벽은 인접하는 유지구획 서로에 공통으로 된다. 이것은 나무벽돌의 하나의 기본적인 배열이다.
예를 들어, 평면이 원형인 나무벽돌을 유지하는 유지구획을 상기한 것과 같이 종횡으로 배열한 부설틀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는 구획벽을 평면으로 보아 환상(環狀)의 둘레벽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둘레벽의 바깥둘레는 인접하는 구획벽의 바깥둘레와 적당한 결합수단으로 결합한다.
결합수단은 구획벽과 일체로 성형한 결합판이 적당하다.
또 예를 들어, 평면이 직사각형인 나무벽돌을 유지하는 유지구획을 3열정도, 그 길이방향쪽면에 접할 수 있도록 배열한 부설틀을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런데 전기한 나무벽돌의 고정수단은, 예를 들어, 나무벽돌을 얹어놓은 받침대를 주체로 하여 구성한다.
이 받침대는 유지구획의 가장 아랫부분으로부터 약간 위로 솟아오른 대로서 구성한다.
또 이 받침대는 윗면의 가장자리 부분을 약간 높게 구성한다. 그 안쪽은 상대적으로 약간 낮은 평면으로 된다. 이 안쪽의 평면에는 앞뒤로 관통하는 1개 또는 2개 정도의 나사구멍을 뚫어 설치한다.
또 그 주위에 1개 이상의 작은구멍을 뚫어 설치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받침대는, 유지구획이 정사각형 또는 원형평면과 같은 형상인 경우에는, 중앙부에 1개 구성하는 것이 적당하다.
직사각형평면 등의 유지구획의 경우에는, 그 길이를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복수의 받침대를 배치하는 것이 적당하다.
그리고, 상기한 받침대는 유지구획의 구획벽 아랫부분 근처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아암에 의해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더욱이 상기한 구획벽의 아랫부분 안쪽, 받침대의 아랫부분 주위 및 상기한 아암의 아랫부분 양쪽에는 침하(沈下)방지판을 수평방향으로 내어붙이는 것이 좋다.
또 전기한 플랜지는, 예를 들어, 구획벽의 윗부분으로부터 구획내의 아래쪽으로 향해, 전기한 바와같이, 비스듬히 아래를 향하게 구성한다. 구획벽과의 사이의 각도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25∼35°정도가 적당하다.
상기한 플랜지의 폭은, 특별히 안정되지 않지만, 나무벽돌 두께의 1/3, 1/4 정도가 좋다. 보통 9∼13㎜로 된다.
상기한 플랜지는 아래끝을 유지구획에 장입한 나무벽돌의 바깥둘레에 맞닿게 하여, 나무벽돌을 탄성적으로 꽉 조이면서 감싸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플랜지에는,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간격으로 투수용(透水用) 홈을 형성해 놓는다.
부설된 나무벽돌 사이에 빗물 등이 들어갔을 경우에, 이들을 기초위로 흘러내리도록 하고, 아울러 기초를 투수성있게 구성하여, 빗물 등을 지하로 침투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이와같이 하면 나무벽돌의 주위에 빗물 등이 고이지 않으므로, 부식 등을 방지할 수도 있다.
특히, 발명의 두번째에 대해서는 전기한 바와같이, 탄성돌기를 각 유지구획 사이의 폭이 넓은 결합수단 위에 세워 설치한다. 이것은 특히 평면이 원형인 나무벽돌을 유지하는 부설틀에 있어서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유지구획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넓은 간격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한 빈틈에는, 인접하는 유지구획을 결합하는 결합수단, 예를들어 결합판을 구성하고, 이 위에 복수의 탄성돌기를 세워 설치한다. 이들의 탄성돌기는, 상하로 관통하는 통체(筒體)로 구성하지만, 특수성의 관점에서 볼때 바람직하다.
또 이들 나무벽돌의 부설틀 둘레쪽에는, 어느 것이라도, 부설시에 인접하는 부분을 상호 접속하기 위해서, 암수의 접속수단을 필요에 따라서 구성한다. 그리고 이들 부설틀은, 충분한 강도를 갖고 있는 플라스틱재로 성형하는 것이 적당하다. 폴리프로필렌 등이 적당하다.
본 발명의 부설틀은,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것으로, 아래와 같이 나무벽돌을 유지시켜서 보도 등의 포장에 사용할 수 있다.
나무벽돌은 미리 방부처리를 실시해 둔다.
우선 처음에 유지구획이 미리 정해져 있는 평면형상의 나무벽돌을 부설틀의 각 유지구획에 장입한다.
나무벽돌의 장입은 윗쪽으로 놓여진 부설틀에 윗쪽으로부터 밀어넣는다. 유지구획의 둘레벽에는 플랜지를 비스듬히 아래로 향하여, 또한 탄성을 갖게 구성하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나무벽돌을 밀어넣으면, 그것의 하강에 따라 플랜지는 구획벽 쪽으로 후퇴되어, 나무벽돌의 장입이 원활하게 된다. 만약 나무벽돌의 칫수가 예정보다 약간 크거나 또는 작을 경우에도, 그 칫수의 약간의 차이는 상기한 플랜지가 흡수한다.
예를 들어, 나무벽돌의 칫수가 약간 커서 밀어넣기가 쉽지 않을 경우도, 나무망치 등으로 때려넣을 수 있다.
부설틀의 전체 유지구획에 나무벽돌을 장입시킨 후에는, 예를들어 고정수단을 전기한 바와같이 나사구멍이 있는 받침대로서 구성했을 경우에는, 부설틀을 뒤집어서, 상기한 나사구멍에 나사를 삽입하고 나무벽돌의 아랫부분에 나사결합한다. 이 작업은 전동 드라이버 등을 사용하여 능률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와같은 나무벽돌의 장입작업을 반복하여, 나무벽돌을 필요한 수의 부설틀 각 유지구획으로 장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보도 기타의 필요한 부설영역에의 부설공사는, 자갈 기초 또는 콘크리트 기초 등의 적당한 기초조성으로 실시한다.
상기한 자갈기초는, 소요영역을 300㎜ 정도 깊이로 판 후, 자갈을 투입하고, 충분히 압력을 가하여 평활하게 마무리한다. 또, 파내는 깊이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콘크리트기초는 소요영역을 판후에, 일반 공법으로 두드려 윗면을 평활하게 마무리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자갈 또는 콘크리트 기초위에, 전기한 나무벽돌을 유지한 부설틀을 종횡으로 배설한다.
부설틀의 둘레쪽에 접속수단을 구성했을 경우에는, 그들에 의해 인접하는 부분을 상호접속 배설한다. 이와같은 작업을 필요한 영역에 걸쳐 실시하여 부설을 완료한다.
따라서 나무벽돌에 의한 평활한 포장을, 부설틀을 연이어 설치하여 경험이 없는 사람이라도 대단히 쉽게 능률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더욱이 이상과 같이하여 부설된 나무벽돌은, 전기한 바와같이 부설틀의 유지구획으로 장입되고, 구획벽으로부터 내어붙인 플랜지에 의해, 그 둘레쪽이 유지되고 있으므로, 부설된 후에도 여러가지 유리한 작용을 받을 수 있다. 우선 상기한 플랜지는, 탄성을 갖고 있으므로, 나무벽돌이 수분 함유상태의 변화에 따르는 신축을 흡수할 수 있다.
또 나무벽돌은 상기와 같이, 플랜지에 의해 탄성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부설된 노면상을 주행하고 또는 보행하는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여러가지 충격 등을 받아도, 그 나무벽돌의 변형은 플랜지가 후퇴하는 범위내로 한계를 부여하게 되므로, 필요이상의 변형이 방지되며, 특히 각 부분 등에 발생하기 쉬운 나무결을 따라 깨어지는 것 등이 방지된다. 더욱이 이와 같이 부설된 나무벽돌 포장에서는 투수성이 확보된다. 이상은 본 발명의 첫번째, 두번째 어느것도 동일하다.
더구나 본 발명의 두번째 경우에는, 유지구획 사이에 큰 간격이 발생할 경우, 특히 원형평면의 나무벽돌을 유지하는 유지구획을 포함하는 부설틀의 경우에 대단히 유효하다.
즉, 유지구획 사이의 결합수단에 탄성돌기를 다수 세워 설치하는 것이므로, 간격이 있어도 보행 등에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는다.
전기한 바와같이, 탄성돌기를 통체로 구성하면, 투수성도 양호하게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첫번째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9개의 정사각형 평면의 유지구획(1), (1)…을 종횡으로 3열씩 배열한 부설틀을 구성한다.
상기한 유지구획(1), (1)…은, 각각 사방을 구획벽(2), (2), (2), (2)으로 둘러싼 것이고, 그들의 구획벽(2), (2)…는, 각각 서로 인접하는 유지구획(1), (1) 사이의 것은 공통으로 구성하고, 또 부설틀의 바깥벽을 이루는 위치의 구획벽(2), (2)…은, 부설틀의 바깥벽과 공통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유지구획(1), (1)…은, 4열로 나란히 종방향 직렬로 3개 1조인 구획벽 군(群) (2), (2), (2) 및 4열로 나란히 횡방향 직렬로 3개 1조의 구획벽 군(2), (2), (2)에 의하여 구성된 격자형상 구획내에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구획벽(2), (2)…은, 부설틀의 바깥벽과 공통인 것들은 두께를 2㎜로, 기타는 2배의 두께인 4㎜로 형성한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나무벽돌(b-1), (b-1)을 유지한 부설틀을 소정영역에 연이어 설치하여 배치했을 경우에, 서로 인접하는 부설틀의 바깥벽에 접하는 나무벽돌(b-1), (b-1) 상호간의 간격이 부설틀 내부의 나무벽돌(b-1), (b-1) 상호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런데, 상기한 부설틀은, 상기한 바와같이 또한 제1도 및 제3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평면으로 보아 정사각형으로, 1변을 330㎜로, 높이로 40㎜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각 유지구획(1), (1)…의 1변에 길이는 110㎜이다. 그리고 후자의 칫수는 양쪽의 구획벽(2), (2)의 중심으로부터 중심까지의 거리를 표시한 것이다.
부설틀의 바깥벽과 공통인 구획벽(2)과 안쪽의 구획벽(2)과의 거리는 바깥벽과 공통인 쪽에 대해서는, 중심으로부터가 아니고, 바깥면으로부터의 거리를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각 유지구획(1), (1)…의 사방의 구획벽(2), (2)…에는, 제1도∼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양끝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각각 그 위끝으로부터 구획의 안쪽 비스듬히 아래로 향하여 플랜지(3), (3)를 돌출 설치한다. 구획벽(2), (2)…과의 사이의 각도는 약 30°로 구성하였다.
상기한 플랜지(3), (3)…의 돌출방향의 폭은 10㎜로 하였다. 그리고 상기한 플랜지(3), (3)…는 통상 유지구획(1), (1)…의 안쪽을 향해 5㎜정도 뻗어있다.
또 상기한 각 플랜지(3), (3)…에는, 도중의 2곳에 투수용홈(4), (4)을 형성한다.
또 상기한 유지구획(1), (1)…의 중앙 아랫부분에는, 특히 제1도, 제2도 및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각각 나무벽돌의 받침대(5)를 배치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받침대(5), (5)…는 유지구획(1), (1)…가장 아랫부분으로부터 10㎜정도 위로 솟아오른 원형대로 한다.
또, 받침대(5), (5)…는, 윗면에, 주위 가장자리 부분을 남기고 그 안쪽을 1㎜정도 낮은 원형의 평면부(6)로 한다.
상기한 원형의 평면부(6), (6)…의 중심에는, 표면에서 뒷면으로 관통하는 1개의 나사구멍(7)을 뚫어 설치한다.
또 그 주위에 상기한 나사구멍(7)과 직선상으로 나란히 2개의 작은 결합구멍(8), (8)을 뚫어 설치한다.
상기한 받침대(5)는, 제1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유지구획(1)의 안쪽 네 귀퉁이로부터 각각 아암(9)을 연장하여 지지한다.
더구나, 상기한 받침대(5), (5)…아랫부분 주위, 상기한 아암(9), (9)…의 아랫부분 양쪽 및 상기한 구획벽(2), (2)…의 아랫부분 안쪽에는, 각각 침하방지용 플랜지(10)를 수평방향으로 내어붙인다.
그런데,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기한 부설틀 바깥벽의 4변 중의 한각을 끼고 인접하는 2변에는, 각각 2개의 접속돌출부(11), (11)를 돌출설치하고, 다른 2변에는 대응하는 접속 구멍부(12), (12)를 구성한다. 상기한 1변의 접속돌출부(11), (11)는, 부설틀의 각 부분에 위치하는 유지구획(1), (1)의 구획벽(2), (2)으로 구성한다. 또 부설틀의 동일한 바깥벽과 공통으로 되어있는 구획벽(2), (2)에 구성한다.
제2도, 제4도, 제5도 및 제7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접속돌출부(11), (11)는, 침하방지용 플랜지(10), (10)…의 두께를 약간 초과하는 정도만큼 윗쪽으로 위치시켜 부설틀의 바깥쪽으로부터 돌출시킨다. 돌출폭은 바깥벽의 두께, 즉 2㎜보다 약간 폭넓게, 4㎜정도 돌출시킨다. 높이방향의 두께는 6㎜정도로 한다.
또, 제1도 및 제3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상기한 접속돌출부(11), (11)…의 바깥벽 길이방향의 길이는, 플랜지(3), (3)…의 투수용홈(4), (4) 사이의 길이와 같은 정도, 즉 45㎜ 정도로 정한다.
한편 부설틀 바깥벽의 한변인 전기한 접속구멍부(12), (12)는, 상기한 접속돌출부(11), (11)와 대응시켜서, 부설틀의 각 부분에 위치하는 유지구획(1), (1)의 구획벽(2), (2)에 구성한다.
제2도, 제4도, 제5도 및 제7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접속구멍부(12), (12)는, 침하방지용 플랜지(10), (10)…의 두께정도 만큼 윗쪽으로 위치시켜 부설틀의 바깥벽에 뚫어설치한다. 접속구멍부(12), (12)의 구멍 아래끝으로부터의 높이는 6㎜를 약간 초과하는 정도로 한다.
또, 상기한 접속구멍부(12), (12)…의 바깥벽 길이방향의 길이는, 플랜지(3), (3)…의 투수용홈(4), (4) 사이의 길이와 같은정도, 즉 45㎜를 약간 초과하는 정도로 한다.
또, 상기한 전체 구성요소는 폴리프로필렌을 주재료로 하고, 내후제(耐候劑) 등을 혼합한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성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설틀을 상기와 같이 구성했기 때문에,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그 유지구획(1), (1)…정사각형 평면의 나무벽돌(b-1), (b-1)…을 유지시켜 보도 등의 포장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부설틀의 칫수상, 한변이 100㎜, 높이가 40㎜인 정사각형 평면의 나무벽돌이 (b-1), (b-1)…이 유지대상으로서 적당하다. 역시 상기한 나무벽돌(b-1), (b-1)…은, 당연히 방부베를 함침시키는 등에 의해 방부처리를 실시하여 둔다.
우선 부설틀을 보도 등에 부설하기에 앞서, 그 각 유지구획(1), (1)…에 나무벽돌(b-1), (b-1)…을 장입하여 유지시킨다. 나무벽돌(b-1), (b-1)…은, 제1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부설틀을 위로 향하게 해놓고, 그 유지구획(1), (1)…속에 윗쪽으로부터 차례로 밀어넣는다.
구획벽(2), (2)…의 플랜지, (3), (3)…는, 특히 제2도, 제4도, 제5도, 제6도 및 제7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비스듬히 아래로 향하게 구성되어있고, 탄성을 구비한 폴리프로필렌을 주재료로하는 플라스틱으로서 성형하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나무벽돌(b-1)의 밀어넣는 동작에 따라 아래끝쪽이 구획벽(2), (2)…쪽으로 후퇴되어, 나무벽돌(b-1)의 장입을 원활하게 받아들인다. 약간 힘들경우는, 나무망치 등으로서 때려넣을 수 있다.
이 조작을 각 부설틀에 대해 유지구획(1), (1)…의 수만큼 반복하여 나무벽돌(b-1), (b-1)…을 각 부설틀로 장입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계속해서, 나무벽돌(b-1), (b-1)…의 유지구획(1), (1)…에의 장입이 완료된 부설틀을 뒤집어서, 각 받침대(5), (5)…의 뒷면으로부터 나사구멍(7)에 나사(13)를 삽입하고, 뒷면에서 나무벽돌(b-1)에 나사결합하여, 나무벽돌(b-1)을 받침대(5) 위에 고정한다. 나사(13)를 나무벽돌(b-1)에 나사결합하는 것은 전등 프라이버로 실시하는 것이 능률적이다.
제3도는 상기와 같이하여, 나무벽돌(b-1), (b-1)…을 유지구획(1), (1)…에 유지한 부설틀을 표시하고 있다.
제4도는 나사(13+13)…로 나무벽돌(b-1), (b-1)…을 받침대(5), (5)…위에 고정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보도 등에 부설할 때는, 자갈기초 또는 콘크리트 기초를 조성하여 실시한다. 여기서는 공원안의 보도에 자갈기초를 조성하여 부설하는 예를 표시한다. 이 자갈기초(14)는, 소요되는 영역을 30㎝정도 탄후에, 그 속에 자갈을 투입하고, 충분히 압력을 가하여 평활하게 마무리한 것이다.
상기한 자갈기초(14)위에, 전기한 나무벽돌(b-1), (b-1)…을 유지한 부설틀을 종횡으로 배설한다. 이 작업은, 부설틀을 인접하는 그들 서로를 접속하면서 단순하게 자갈기초(14)위에 배치하는 것이다.
인접하는 부설틀 서로는, 예를들어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한쪽의 부설틀 바깥벽의 접속돌출부(11), (11)를 다른 부설틀의 접속구멍부(12), (12)에 끼워맞춰서 서로를 접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부설틀 서로 중 접속하면서 소정영역에 걸쳐서 부설작업을 실시하면, 공사가 완료된다.
이와같이 하여, 나무벽돌(b-1), (b-1)…에 의한 평활한 포장을 부설틀을 연이어 설치하여 배치한다고 하는 극히 간단한 작업으로서 완성시킬 수 있다.
제6도는, 상기와 같이하여 자갈기초(14)위에 부설된 나무벽돌(b-1), (b-1)…을 유지한 부설틀의 일부분을 표시한 것이다.
또 제7도는 자갈기초(14)위에 부설된 인접하는 부설틀 서로의 접속부분을 표시한 것이다.
또 이상과 같이하여, 부설틀에 의해 부설된 나무벽돌(b-1), (b-1)…사이의 메지에는, 특별히 충전제를 충전할 필요는 없지만, 원한다면 모래 등을 충전할 수도 있다. 다만 메지에 충전제를 장입할 경우에는, 이것에 의하여 투수성을 잃지 않도록 충전제의 성질을 충분히 검토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부설된 나무벽돌(b-1), (b-1)…은, 전기한 바와같이, 특히,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그 둘레쪽이 유지구획(1), (1)…의 구획벽(2), (2)…으로부터 비스듬히 아래로 향해 돌출설치되어 있는 플랜지(3), (3)…의 아래끝으로 감싸져 있고, 플랜지(3), (3)…는 그 자체의 탄성을 갖고 있으므로, 나무벽돌(b-1), (b-1)…의 수분함유 상태의 변화에 따르는 신축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나무벽돌(b-1), (b-1)…의 변형은, 유지구획(1), (1)…의 범위에 한정되므로, 부설노면상을 주행 또는 보행하는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 의해 외부로부터 여러가지 충격등을 받더라도, 나무결을 따라 깨어짐 등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또 이상의 부설틀을 사용한 나무벽돌(b-1), (b-1)…에 의한 포장에서는 부설틀의 구획벽(2), (2)…에 돌출설치된 플랜지(3), (3)…에 투수용홈(4), (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빗물 등이 이들을 통하여 자갈기초(14)위로 흘러내리게 할 수 있다. 자갈기초(14)는 당연히 투수성이 있으므로, 빗물 등을 지하로 침투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부설된 부설틀속의 일부분의 나무벽돌(b-1)에 손상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손상이 발생된 나무벽돌(b-1)을 다음과 같이 하여 교환할 수 있다.
우선, 손상이 발생된 나무벽돌(b-1)의 윗면에 바아(bar)의 앞끝 또는 끝(chisel)의 앞끝날 등을 세우고, 쇠망치 등으로 그 뒷부분을 때려서 해당하는 나무벽돌(b-1)을 깨고, 나사(13)결합을 풀어 유지구획(1)으로부터 꺼낸다.
다음에, 쇠망치 등에 의해, 받침대(5)의 윗면에 노출된 상기한 나사(13)를 자갈기초(14)쪽으로 두들겨 떨어뜨린다. 그후, 받침대(5)의 원형 평면부(6)에 접착제를 칠한 뒤에 해당하는 유지구획(1)에 새로운 나무벽돌(b-1)을 장입한다.
이와 같이 하면 나무벽돌(b-1)의 뒷면에 접착제가 접착결합되고, 나무벽돌(b-1)과 받침대(5)와의 고착이 확보되어, 유지구획(1)안에 고정된다. 접착제의 원형 평면부(6)에 대한 결합은, 여분의 접착제가 작은 결합구멍(8), (8)을 통하여 받침대(5)의 뒷면에 까지 넘치고, 넘친 접착제가 작은 결합구멍(8), (8)의 안지름보다 지름이 큰 구 형상으로 굳어져 강화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첫번째 제2실시예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3열로 직사각형 평면의 유지구획(21), (21), (21)을 나란히 설치하여 부설틀을 정사각형 평면으로 구성한다.
상기한 유지구획(21), (21), (21)은 각각 서로 인접하는 유지구획(21), (21) 사이의 구획벽(22)은 공통으로 구성하고, 또 부설틀의 바깥벽을 이루는 위치의 구획벽(22), (22)…은 부설틀의 바깥벽과 공통으로 구성한다.
또 상기한 구획벽(22), (22)…은 부설틀의 외벽과 공통인 것들은 두께를 2㎜로 기타는 2배의 두께인 4㎜로 형성한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직사각형 평면의 나무벽돌(b-2), (b-2)…을 유지한 부설틀을 소정영역에 연이어 설치한 경우에 서로 인접하는 부설틀의 바깥벽에 접하는 나무벽돌(b-2), (b-2)…상호간의 간격이 부설틀 내부의 나무벽돌(b-2), (b-2)…상호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런데, 상기한 부설틀은 상기한 바와같이, 또한 제8도 및 제1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평면으로 보아 정방형이며, 1변을 330㎜로, 높이를 40㎜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각 유지구획(21), (21)…의 짧은변의 길이는 110㎜로, 긴변의 길이는 330㎜이다.
또 상기한 칫수는, 짧은변은 양쪽의 구획벽(22), (22)의 중심으로 중심까지의 거리를 표시한 것이다. 부설틀의 바깥벽과 공통인 구획벽(22)과, 안쪽 구획벽(22)과의 칫수는 바깥벽과 공통인 폭에 대해서는, 중심으로부터가 아니고 바깥면으로부터의 거리를 표시한 것이다.
긴변에 대해서는, 바깥벽의 바깥쪽으로부터 반대쪽 바깥쪽까지의 길이이다. 즉, 부설틀의 1변의 칫수와 동일하다.
상기한 각 유지구획(21), (21)…사방의 구획벽(22), (22)…에는, 제8도-제1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그 짧은변에는 한개의 플랜지(23)를, 긴변에는 3개의 플랜지(23), (23), (23)를 구획안쪽에 아랫방향으로 돌출설치한다. 플랜지(23), (23)…의 벽방향 길이는 70㎜로 하고, 돌출방향의 폭은 10㎜로 한다. 구획벽(22), (22)…과의 각도는 30° 정도로 정한다.
따라서 구획안쪽에는 통상 아랫끝이 5㎜ 정도 돌출하고 있다. 그런데 짧은변의 플랜지(23)는 구획벽(22)의 중앙에 위치시킨다. 양쪽에 간격이 20㎜씩 남는다.
한편 긴변에는 구획벽(22)의 중앙에 한개의 플랜지(23)를 배치하고, 그 양쪽에는 각각 40㎜의 간격을 두고서 각 한개의 플랜지(23)를 배치한다.
또 상기한 각 유지구획(21), (21), (21)에는 대틀(24), (24)이 구획내를 3등분하는 위치에 배치구성한다. 대틀(24), (24)은 제8도, 제10도 및 제1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각각 양끝을 긴벽쪽의 구획벽(22), (22)에 접속시킨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한다. 높이는 10㎜로 위로 솟아있고 폭은 10㎜로 구성한다.
더욱이 상기한 각 유지구획(21), (21) 안에는 제8도, 제9도, 제10도, 제12도 및 제1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기한 대틀(24), (24)에 의해 구분된 3개의 정사각형 영역의 중앙 아랫부분에 위치시켜, 각각 나무벽돌(b-2)의 받침대(25)를 배치구성한다.
상기한 각 받침대(25), (25)…는 유지구획(21), (21)…의 가장 아랫부분으로부터 10㎜ 위로 솟은 대좌(台座)로 한다. 즉, 상기한 대틀(24), (24)과 동일 높이로 한다.
또 상기한 받침대(25), (25)…는 윗면에 주위 가장자리 부분을 남기고 그 안쪽을 1㎜ 정도 낮은 오목한 평면부(26)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오목한 평면부(26), (26)…는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받침대(25), (25)…의 평면형상과 닮은꼴로 된다.
상기한 오목한 평면부(26),(26)…에는, 표면으로부터 뒷면으로 관통하는 2개의 나사구멍(27), (27)을 뚫어 설치한다.
또 상기한 각 받침대(25), (25)…의 바깥둘레 부분으로부터, 특히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방사방향으로 45°의 등각도 간격으로서 8개의 아암(29), (29)…을 돌출시켜 각각 구획벽(22), (22)…의 아랫부분 또는 전기한 대틀(24), (24)에 결합한다.
또 상기한 구획벽(22), (22)…의 아랫부분 안쪽, 대틀(24), (24)…의 아랫부분 양쪽, 받침대(25), (25)…의 아랫부분 주위, 상기한 아암(29), (29)…의 아랫부분 양쪽에는, 침하방지용 플랜지(30)를 수평방향으로 내어 붙인다.
더구나 제8도 및 제1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기한 부설틀 바깥벽의 4변중 한각을 끼고 인접하는 2변에는, 각각 2개의 접속돌출부(31), (31)를 돌출설치하고, 다른 2변에는 대응하는 접속구멍부(32), (32)를 뚫어 설치한다.
상기한 1변의 접속돌출부(31), (31)는 부설틀의 모퉁이 부분에 위치하는 2개의 전기한 정사각형 영역의 구획벽(22)(긴변쪽), 또는 (22), (22)(짧은변쪽)으로 구성한다.
유지구획(21)의 짧은변쪽에 대해서는, 당연히 부설틀의 동일한 바깥벽과 공통으로 되어있는 구획벽(22), (22)으로 구성한다.
제9도, 제10도 및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접속돌출부(31), (31)는 침하방지용 플랜지(30), (30)…의 두께보다 약간 윗쪽으로 위치시켜 부설틀의 바깥벽보다 돌출시킨다. 돌출폭은 바깥벽의 두께, 즉 2㎜보다 약간 폭넓게, 4㎜ 정도 돌출시킨다. 높이방향의 두께는 6㎜ 정도로 한다.
또 제8도 및 제1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기한 접속돌출부(31), (31)…의 바깥벽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는 45㎜ 정도로 정한다. 이 방향의 위치는 대응하는 플랜지(23)의 중심위치와 서로 중심을 맞춘 위치로 한다.
한편 부설틀 바깥벽의 1변인 전기한 접속구멍부(32), (32)는 상기한 접속돌출부(31), (31)와 대응시켜 부설틀의 모퉁이부분에 위치하는 전기한 정사각형 평면영역의 구획벽(22)(긴변쪽) 또는 (22), (22)(짧은쪽)로 구성한다.
제9도, 제10도 및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접속구멍부(32), (32)는 침하방지용 플랜지(30), (30)…의 두께만큼 윗쪽으로 위치시켜 부설틀의 바깥벽에 뚫어 설치한다. 접속구멍부(32), (32)…의 구멍아래 끝으로부터의 높이는 6㎜를 약간 초과하는 정도로 한다.
또 상기한 접속구멍부(32), (32)…의 바깥벽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한 접속돌출부(31), (31)…의 해당 방향의 길이를 약간 초과하는 길이, 즉 45㎜를 약간 초과하는 정도로 한다.
또 상기한 전체 구성요소는 폴리프로필렌을 주재료로 하고, 내후제 등을 혼합한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성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설틀을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것으로 유지구획(21), (21)…에 유지되는 것이 직사각형 평면의 나무벽돌(b-2), (b-2)…인 것을 제외하고는, 전기한 제1실시예와 같이 사용되며,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부설틀의 칫수상으로, 짧은변이 100㎜, 긴변이 320㎜, 높이가 40㎜인 직사각형 평면의 나무벽돌(b-2), (b-2)…이 유지대상으로서 적당하다.
우선, 부설틀을 보도 등에 부석하기에 앞서 그 각 유지구획(21), (21)…에 나무벽돌(b-2), (b-2)…을 장입하여 유지시킨다. 이 순서 및 그때의 부설틀의 각 구성요소의 작용 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1도는, 전기한 제1실시예와 같은 순서로, 부설틀의 유지구획(21), (21), (21)에 각각 직사각형 평면의 나무벽돌(b-2)을 유지시킨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제12도는 유지구획(21), (21), (21)에 장입시켜, 각 받침대(25), (25)…위에 얹혀진 나무벽돌(b-2), (b-2), (b-2)을 나사구멍(27), (27)…을 통하여 삽입된 나사(33), (33)…로 나사결합하여 고정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제1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대틀(24), (24)도 받침대(25), (25), (25)와 함께 나무벽돌(b-2)을 얹어 놓는 대좌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보도 등에 부설할 때는 자갈기초 또는, 콘크리트 기초를 조성하여 실시한다.
상기한 기초 조성도 전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또 상기한 기초에 나무벽돌(b-2), (b-2)…을 유지한 부설틀의 부설순서 및 부설후의 작용효과도 전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두번째에 대한 실시예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제1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틀 본체(40)속에 9개의 원형평면인 유지구획(41), (41)…을 종횡으로 3일씩 배치하여 부설틀을 구성한다.
상기한 유지구획(41), (41)…은, 그 주위의 결합판(55), (55)…에 의하여 틀본체(40)속에 유지된다. 틀본체(40)는 상기한 결합판(55), (55)…과 바깥 가장자리의 바깥벽으로 구성되고, 이 속에 상기와 같이, 유지구획(41), (41)…을 배열하는 것이다.
또, 이 부설틀의 틀본체(40)도, 전기한 2건의 실시예와 같이 1변이 330㎜의 정사각형 평면으로 하고, 외벽의 두께는 2㎜로 하고, 높이는 40㎜로 한다. 또 상기한 유지구획(41), (41)…의 안지름은 각각 106㎜로 한다.
상기한 각 유지구획(41), (41)…은, 각각 환상의 구획둘레벽(42)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구획둘레벽(42), (42)…의 두께는 2㎜이다.
또 상기한 각 유지구획(41), (41)…의 구획둘레벽(42)에는, 제14도, 제15도, 제17도 및 제1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각각 그 위끝으로부터 구획안쪽 비스듬히 아랫쪽으로 플랜지(43)를 돌출설치한다.
상기한 플랜지(43), (43)…의 돌출방향폭은 10㎜로 하고, 구획둘레벽(42), (42)…과의 각도는 30°로 한다. 그리고 플랜지(43), (43)…의 아래끝은 구획중심 방향으로 대략 5㎜ 정도 돌출시킨다.
또 상기한 각 플랜지(43), (43)…에는, 제14도, 제15도 및 제1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각각 45°의 등각도 간격으로 8개소에 투수용 홈(44), (44)...을 형성한다.
상기한 각 유지구획(41), (41)...의 아랫부분 중앙에는, 제14도, 제15도 및 제 1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각각 나무벽돌(b-3)의 받침대(45)를 위로 솟게 배치한다.
상기한 받침대(45), (45)…는, 유지구획(41), (41)…의 가장 아랫부분으로부터 10㎜ 정도 위로 솟은 원형대좌로 한다.
또 받침대(45), (45)…는, 윗면에 주위 가장자리를 남기고 그 안쪽을 1㎜ 정도 낮은 오목한 원형부분(46)으로 구성한다.
상기한 오목한 원형부분(46), (46)…의 중심에는, 표면으로부터 뒷면으로 관통하는 1개의 나사구멍(47)을 뚫어 설치한다. 더욱이 그 주위에 상기한 나사구멍(47)과 직선상으로 나란히 2개의 작은 결합구멍(48), (48)을 뚫어 설치한다.
상기한 받침대(45)는, 제1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그 주위에 90°의 등각도 간격으로 4개의 아암(49), (49)…을 돌출시켜, 이들을 유지구획(41)의 구획둘레벽(42)의 내면에 결합시킨다.
또, 상기한 받침대(45), (45)…의 아랫부분 주위, 상기한 아암(49), (49)…의 아랫부분 양쪽 및 상기한 구획둘레벽(42), (42)…의 아랫부분 안쪽에는, 침하방지용 플랜지(flange)(50)를 수평방향으로 내어붙인다.
더욱이 각 유지구획(41), (41)…을 전기한 배열로 결합하는 결합판(55)에는, 제14도, 제16도 및 제1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탄성을 갖고 있는 답압통체(踏壓筒體)(56), (56)…를 세워설치한다.
답압통체(56), (56)…는 그 위끝이, 유지구획(41), (41)…에 장입되는 나무벽돌(b-3), (b-3)…의 윗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높이를 정한다.
본 예에서는 답압통체(56), (56)…위끝의 높이를 부설틀의 가장 아랫부분으로부터 50㎜로 하였다.
그런데, 제14도, 제15도, 제17도 및 제1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전기한 틀본체(40) 바깥벽의 4변중 한각을 끼고 인접하는 2변에는, 각각 2개의 접속돌출부(51), (51)을 돌출설치하고, 다른 2변에는 대응하는 접속구멍부(52), (52)를 뚫어설치한다.
상기한 1변의 접속돌출부(51), (51)는 틀본체(40)의 모퉁이 부분에 위치하는 유지구획(41), (41)의 구획둘레벽(42), (42)과 부분적으로 중복하는 바깥벽으로 구성한다.
또, 제15도 및 제1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접속돌출부(51), (51)는 침하방지용 플랜지(50), (50)…의 두께를 약간 초과하는 정도만큼 윗쪽으로 위치시켜 틀본체(40)의 바깥벽보다 돌출시킨다. 돌출된 폭은 외벽의 두께, 즉 2㎜보다 약간 폭넓게 4㎜ 정도 돌출시킨다. 높이방향의 두께는 6㎜ 정도로 한다.
또, 제14도 및 제1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기한 접속돌출부(51), (51)…의 바깥벽 길이방향의 길이는 45㎜ 정도로 설정한다.
한편 틀본체(40) 바깥벽의 1변의 전기한 접속구멍부(52), (52)는, 상기한 접속돌출부(51), (51)와 대응시켜 배치하는 것으로서 틀 본체(40)의 모퉁이부분에 위치하는 유지구획(41), (41)의 구획벽(42), (42)과 중복하는 위치의 바깥벽에 뚫어 설치하여 구성한다.
제15도 및 제1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접속구멍부(52), (52)는 침하방지용 플랜지(50), (50)…의 두께정도만큼 윗쪽으로 위치시켜 틀본체(40)의 바깥벽에 뚫어설치한다.
접속구멍부(52), (52)의 구멍아랫부분으로부터의 높이는 6㎜를 약간 초과하는 정도로 한다.
또 상기한 접속구멍부(52), (52)...바깥벽 길이방향의 길이는 45㎜를 약간 초과하는 정도로 한다.
또 상기한 전체구성요소는 폴리프로필렌을 주재료로 하고, 내후제 등을 혼합한 플라스틱으로 일체를 성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설틀을 상기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이하에 설명한 바와같이, 그 유지구획(41), (41)…에 원형평면의 나무벽돌(b-3), (b-3)…을 유지시켜 보도 등의 포장에 사용할 수 있다. 유지대상으로서는, 지름 100㎜, 두께 40㎜인 원형평면의 나무벽돌(b-3), (b-3)…이 적당하다.
우선 보도 등에 부설하기에 앞서 부설틀의 각 유지구획(41), (41)…에 나무벽돌(b-3), (b-3)…을 장입한다.
이 순서 및 그때의 부설틀의 각 구성요소에 의한 작용효과는, 전기한 본 발명의 첫번째 2건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제17도는 나무벽돌(b-3), (b-3)…을 유지한 부설틀을 표시하고 있다.
제18도는 유지구획(41), (41)…에 장입되어 나사(53), (53)…로 받침대(45), (45)…에 나무벽돌(b-3), (b-3)…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 보도 등의 소요 부설영역의 기초구성도 전기한 2건의 실시예와 완전히 동일하다.
더욱이, 나무벽돌(b-3), (b-3)…을 유지한 부설틀의 기초위로의 부설순서도 전기한 본 발명이 첫번째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부설된 부설틀에 작용효과도 대부분 전기한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위한 것은 다음과 같은 점이다.
본 예에서는, 유지구획(41), (41)…사이의 결합판(55), (55)…위에 답압통체(56), (56)…를 세워 설치하였기 때문에, 이 위를 사람이 보행하고 자동차가 주행할 수 있으며, 원형평면의 유지구획(41), (41)…사이에 발생하는 큰 간격에도 특별한 처치는 필요하지 않다.
또 답압통체(56), (56)…는, 상하로 관통되어 있으므로, 빗물 등을 기초위로 흘러내리게 할 수도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부설틀은, 공원속에 조성되는 보도, 일반도로의 보도 또는 주차장 등에 대하여, 나무벽돌을 유지한 후에 부설하여, 간단히 능률적으로 나무벽돌에 의한 포장을 완성시킬 수 있다.
더구나 이와 같이 하여 완성된 나무벽돌에 의한 포장은, 노면이 평활하게 되고, 나무벽돌의 신축을 허용하며, 또한 투수성이 우수하다.

Claims (2)

  1. 틀 본체속에, 복수의 나무벽돌 유지구획을 부설할때의 나무벽돌 배열에 대응시켜 배열구성하고, 각 유지구획 속에 나무벽돌의 고정수단을 설치하고, 또한 각 유지구획의 구획벽에 탄성을 갖고 있으며 구획 안쪽으로 비스듬히 아래로 향한 플랜지를 내어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벽돌 부설틀.
  2. 틀 본체속에, 복수의 나무벽돌 유지구획을 부설할때의 나무벽돌 배열에 대응시켜 배열구성하고, 각 유지구획 속에 나무벽돌의 고정수단을 설치하고, 각 유지구획의 구획벽에 탄성을 갖고 있으며 구획 안쪽으로 비스듬히 아래로 향한 플랜지를 내어붙여 구성하며, 더욱이 각 유지구획 사이의 폭이 넓은 결합수단 위에, 위끝이 유지구획안으로 유지되는 나무벽돌의 윗면과 같은 높이인 복수의 탄성돌기를 세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벽돌 부설틀.
KR1019880701645A 1987-07-22 1987-07-22 나무벽돌 부설틀 KR940003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87/000534 WO1989000625A1 (en) 1987-07-22 1987-07-22 Frame for laying wooden bric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1847A KR890701847A (ko) 1989-12-21
KR940003726B1 true KR940003726B1 (ko) 1994-04-28

Family

ID=13902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1645A KR940003726B1 (ko) 1987-07-22 1987-07-22 나무벽돌 부설틀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328639B1 (ko)
JP (1) JPH081042B2 (ko)
KR (1) KR940003726B1 (ko)
CN (2) CN1016722B (ko)
AT (1) ATE85818T1 (ko)
AU (1) AU608240B2 (ko)
CA (1) CA1288270C (ko)
DE (1) DE3784252T2 (ko)
DK (1) DK170409B1 (ko)
NZ (1) NZ225293A (ko)
WO (1) WO19890006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3304A (ja) * 1989-06-28 1991-02-13 Hayashi Bussan:Kk 路面用敷設枠
FR2658225A1 (fr) * 1990-02-09 1991-08-16 Soprema Sa Dallette de matiere plastique destinee au recouvrement des terrasses de batiments.
DE29710241U1 (de) * 1996-07-05 1997-08-14 Bkn Karl Boegl Gmbh & Co Baust Befestigung von Verkehrsflächen im Freien mit Pflastersteinen oder Platten
DE19746549C2 (de) * 1997-10-22 2001-05-23 Hermann Fendt Belagelement
AU746602B2 (en) * 1998-01-16 2002-05-02 Ezydeck Pty Ltd Support for paving or decking
AUPP137798A0 (en) * 1998-01-16 1998-02-05 Ezydeck Pty Ltd Decking tile
GB2358426A (en) * 2000-01-13 2001-07-25 Roderick Walter Sterling Paving template for laying paving in geometrical shapes
US6601360B2 (en) * 2001-03-20 2003-08-05 Barry Spiers Modular deck tiles
NL1030517C2 (nl) * 2005-11-25 2007-05-29 Las Pers B V Vlonderrooster alsmede een daaruit samengestelde vloer.
EP1845194B1 (en) * 2006-04-12 2012-06-27 Forniture Industriali B.M.G. Modular member for manufacturing raised walking or road planes and process for laying such modular member
NL1034231C2 (nl) * 2007-08-06 2009-02-16 Daan Herman Kuik Hoogenboom Cc Werkwijze voor het uitneembaar in een omgeving aanbrengen van een of meer bedekkingselementen, samenstel, gestel en bedekkingselement daarvoor.
IT1390597B1 (it) * 2008-07-29 2011-09-09 Gio' Speedy Di Giovanni Iovene Sistema per la realizzazione di pavimentazioni in legno, a quadri o rettangoli, prive di chiodi, viti e colla.
JP4635104B1 (ja) * 2010-03-03 2011-02-23 日本興業株式会社 舗装用ブロック連結部材
JP2015055029A (ja) * 2013-09-10 2015-03-23 株式会社 林物産発明研究所 敷材
CN106381796B (zh) * 2016-11-22 2019-08-02 中国建筑材料科学研究总院 一种混凝土透水路面、其铺设方法及其保养修复方法
CN109423942A (zh) * 2017-08-30 2019-03-05 上海质优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透水钢渣混凝土复合式人行道
JP7104410B2 (ja) * 2018-10-29 2022-07-21 株式会社津田ペイブトンテクニック ブロック舗装方法、ブロック舗装構造及びブロック舗装用強化板
RU199580U1 (ru) * 2020-06-03 2020-09-08 Рустам Зефярович Салахудинов Модульный блок для садовой дорожки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4140C (de) * J. MARKMANN in Hamburg-Hohenfelde II, Alsterstrafse 29pt Strafsenpflaster aus in eiserne Rahmen gespannten Holzklötzen
FR654648A (fr) * 1928-12-17 1929-04-09 Procédé et dispositif de construction et revêtement de chaussées
JPS5719396Y2 (ko) * 1978-01-17 1982-04-23
JPS6231106U (ko) * 1985-08-06 1987-02-24
JPH0310161Y2 (ko) * 1986-02-19 1991-03-13
JPH0310162Y2 (ko) * 1986-03-26 1991-03-13
AU7108587A (en) * 1986-12-04 1988-06-09 T.A. Taylor & Son Pty Ltd Rubber paving support pad
JPS63236801A (ja) * 1987-03-26 1988-10-03 白鳥 香 ブロツクタイルの保持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89000625A1 (en) 1989-01-26
CA1288270C (en) 1991-09-03
CN1060324A (zh) 1992-04-15
DE3784252T2 (de) 1993-06-03
DK170409B1 (da) 1995-08-21
EP0328639A4 (en) 1990-04-10
KR890701847A (ko) 1989-12-21
CN1020773C (zh) 1993-05-19
CN1030806A (zh) 1989-02-01
NZ225293A (en) 1991-10-25
EP0328639B1 (en) 1993-02-17
JPS6433301A (en) 1989-02-03
ATE85818T1 (de) 1993-03-15
EP0328639A1 (en) 1989-08-23
AU608240B2 (en) 1991-03-28
JPH081042B2 (ja) 1996-01-10
CN1016722B (zh) 1992-05-20
DK124889D0 (da) 1989-03-15
AU7805187A (en) 1989-02-13
DE3784252D1 (de) 1993-03-25
DK124889A (da) 198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3726B1 (ko) 나무벽돌 부설틀
US5006011A (en) Frames for installing wooden bricks
CN110206073B (zh) 格构柱桩与主体结构节点防水施工方法
ES2890940T3 (es) Rejilla de estabilización del suelo
KR100834516B1 (ko) 연성을 갖는 보도블록
CN211006779U (zh) 格构柱桩的止水环装置
CN210684361U (zh) 一种园林地砖
JPH0310162Y2 (ko)
JPH0310825Y2 (ko)
JPH0310161Y2 (ko)
JPH0354166Y2 (ko)
JP3084611B2 (ja) ブロックとブロックアレイ
JPH047204Y2 (ko)
JPH06167004A (ja) 道路縁石形成用の枠体
JPH047205Y2 (ko)
CN214523547U (zh) 一种排水涵管转运装置
CN212801092U (zh) 一种防止边角侧掀的海绵城市透水砖
CN212388288U (zh) 一种透水砖
JPH0485401A (ja) 複合木レンガ
JP2790530B2 (ja) 複合木レンガ
JPH0327042Y2 (ko)
JPH078561Y2 (ja) 天然石敷石
JPH0428842B2 (ko)
JPH0959906A (ja) 化粧舗装面の施工用ユニットとその施工法
KR0138955Y1 (ko) 논두렁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