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451B1 - 가발 - Google Patents

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451B1
KR940003451B1 KR1019890019387A KR890019387A KR940003451B1 KR 940003451 B1 KR940003451 B1 KR 940003451B1 KR 1019890019387 A KR1019890019387 A KR 1019890019387A KR 890019387 A KR890019387 A KR 890019387A KR 940003451 B1 KR940003451 B1 KR 940003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wig
wig base
colo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9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995A (ko
Inventor
노부모또 모또오리
고오스께 모찌즈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아데란스
오오기따 하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아데란스, 오오기따 하루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아데란스
Publication of KR900008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66Planting hair on bases for w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 Toy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발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발의 부분 단면도.
제2도는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어 있는 모발은 생략되어 있는 제1도의 가발의 약시도.
제3a도는 제2도의 가발의 헤어라인 부근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제3b도는 이마쪽으로부터 바라본, 제2도에 도시된 가발의 헤어라인의 일부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제4a도 내지 제4c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발 베이스에 장착될 모발의 제조방법의 예시도로서, 제4a도는 천연모발을 나타내고, 제4b도는 탈색된 모발을 나타내고, 제4c도는 식설된 모발을 나타낸다.
제5a도 내지 제5d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발 베이스에 장착될 모발의 다른 제조방법의 예시도로서, 제5a도는 그 단부가 기워져 있는 비착색 인공모발의 묶음(다발)을 나타내고, 제5b도는 가발 베이스의 색에 일치하여 그 전체길이에 걸쳐 염색된 비착색 모발의 묶음을 나타내고, 제5c도는 중앙부를 제외하고 사용자 자신의 모발의 색에 따라 염색된 가진 부분을 모발의 묶음을 보여주고, 제5d도는 식설된 묶음의 모발을 보여준다.
제6a도 내지 제6d도는 모발을 가발베이스에 장착 또는 식모하는 통상적 여러 방법의 예시도로서, 제6a도는 싱글법으로 식모된 모발을 나타내고, 제6b도는 팬 싱글법으로 식모된 모발을 나타내고, 제6c도는 팬더블법으로 식모된 모발을 나타내고, 제6d도는 더블법으로 식모된 모발을 나타낸다.
제7도는 통상적 가발에 있어 V식모법으로 인공피부로 된 가발베이스에 식모된 모발의 다른 예의 부분 단면도.
제8도는 통상적 가발에 있어 망으로 된 가발베이스에 식모된 모발의 또다른 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발 111 : 가발베이스
111a : 구멍 112 : 모발
112a : 위장부 112b : 모발부분
115 : 수지
본 발명은 헤어라인(머리털이 난 언저리)이 자연스럽게 보일 수 있으며 가발에 심어진 모발의 뿌리부가 두드러지지 않는 가발에 관한 것이다.
전체가발이나 부분가발이나 대머리용 가발을 포함하여 가발은 보통 사용자의 머리형태로 된 바깥으로 불룩한 곡면을 가진 가발베이스와 이 가발베이스에 부착된 다수의 모발로 구성되어 있다. 모발은 천연모발 및/또는 인공모발을 포함한다. 가발베이스는 보통 나일론사, 폴리에스테르사등에 의해 형성된 망 또는 망상체 또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사등에 의해 형성된 망 또는 망상체 또는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등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 인공피부로 만들어져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가발베이스는 망의 일부, 또는 사용자 자신의 두발의 가리마(모발분할영역)에 해당하는 망부분에 배치된 인공피부로 만들어진다.
통상 첨부도면의 제6a내지 6d도에 표시된 것처럼 천연모발 및 /또는 인공모발로 만들어진 복수개의 모발(3)(단지 하나만 표시됨)이 가발베이스(2)에 묶여져 가발(1)을 형성하고, 모발(3)이 가발베이스(2)의 표면으로부터 위로 돌출하는 한쌍의 모발부분(3c, 3c)을 형성하도록 가발베이스(2)에 고정 장착된다. 연질인공피부로 만들어진 가발베이스(2)는 폴리우레탄수지, 폴리카보네이드 수지등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구멍쌍(2a, 2a)(단지 한쌍만 표시됨)이 가발베이스(2)의 인공피부를 형성하는 수지내에 형성된다. 모발(3)은 식모침에 의해 구멍쌍(2a, 2a)을 통과하고 매듭(3a)에서 구멍쌍(2a, 2a)에 묶어진다.
망 또는 망상체로 만들어진 가발베이스는 나일론사, 폴리에스테르사등에 의해 형성되고 제6a도 내지 제6d도에 예시된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인공피부로 만들어진 가발베이스(2)에 모발(3)을 묶는 방법은 다수 알려져 있다. 제6a도에 예시된 묶음법은 싱글로 알려져 있다. 제6b도, 6c도, 6d도에 각각 예시된 묶음법은 싱글로 알려져 있다. 제6b도, 6c도 및 6d도에 각각 예시된 묶음법은 각각 팬싱글, 팬더블 및 더블로 불리운다. 제6a도 내지 6d도에 예시된 묶음법은 망으로 만들어진 가발베이스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가발베이스(2)위에 있는 매듭(3a)과 가발베이스(2)아래의 모발(3)의 부분(3b)은 두꺼운 곱슬머리를 만든다. 가발(1)을 사용자가 착용시 매듭(3a)에 있는 곱슬머리는 모발(3)가운데 있는 틈들을 통해 눈에 띄게된다. 더욱이 모발(3)이 더 많이 묶일수록 매듭(3a)에 있는 곱슬머리는 더욱더 커지고 더 눈에 띄게 된다.
제7도는 통상적으로 사용되어온 가발(10)을 보여준다. 가발(10)은 연질 인공피부로 만들어진 가발베이스(12)를 갖고있다. 소위 V식모법이 이용되어 모발(13)은 가발베이스(12)에 있는 구멍쌍(12a, 12a)을 단순히 통과하여 한쌍의 모발부분(13c, 13c)을 형성하나 묶이지는 않는다. 가발베이스(12)는 선형 또는 좁은 직사각형이 아니고 시이트형이기 때문에, 상술한 망의 경우와는 달리 모발(13)을 세게 묶을 필요가 없다. 모발(13)을 식설한 뒤 가발베이스(12)의 이면은 모발(13)이 가발베이스(12)의 이면으로부터 제자리 고정되어 있도록 수지로 도포된다. 또한 가발베이스(12)를 형성하는 인공피부는 인공피부가 사용자의 머리피부의 색을 들어 내도록 무색투명하거나 유백색등 반투명하다. 또한 인공피부는 인공피부를 가볍게하고 적합감등을 개선하기 위해 가급적 얇게 형성된다. 즉 인공피부는 0.1mm 내지 0.5mm로 형성된다. 또한 구멍쌍(12a, 12a)은 그 사이의 간격이 가급적 좁은 것이 좋다. 그러나 구멍쌍(12a, 12a)사이의 간격은 보통 0.8mm 내지 1mm이다. 그래서 가발베이스(12)의 이면을 따라 지나는 모발(13)의 부분(13b)이 제삼자의 눈 위치로 부터 선상으로 보일 수 있으면 좋지않다. 특히 흑발과 같은 짙은 색 모발은 눈에 띄인다.
모발이 망으로 만들어진 가발베이스에 장착 또는 부착되는 경우에는, 여러 모발부착 방향 또는 배향이 적당히 선택된다. 또한 제6a도, 6d도에 예시된 매듭을 튼튼하게 하여 매듭이 풀어지는 것을 막기위해 각종의 모발매듭이 또한 적당히 선택된다.
특히, 제8도에 도시된 것처럼 가발(20)은 복수의 사(22)(단하나만 표시됨)를 가진 망 또는 망상체로 만들어진 가발베이스(21)를 포함한다. 가발베이스(21)의 각 사(22)는 단면이 원형이다. 모발(23)(단하나만 표시됨)은 망을 형성하는 각사(22′)에 하나하나 묶이어야 한다. 이때문에 모발(23)은 화살표(R)로 표시된 것처럼 각도에 걸쳐 움직이지 않도록 이중으로 묶인다. 따라서 매듭(23a)은 비교적 큰 곱슬머리를 형성한다. 그리하여 매듭(23)이 더욱 눈에 띄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매듭들(23)은 모두 가발베이스(21)의 외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제삼자에게 매듭(23a)의 큰 곱슬머리가 눈에 띄게된다. 그래서 식설된 모발(23)은 부자연스럽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모발이 가발베이스를 형성하는 인공피부 및 /또는 망에 장착되더라도 장착부가 눈에 띄지 않고 헤어라인이 자연스럽게 보일 수 있는 가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을 따라, 인공피부 및/또는 망을 만들어진, 외부로 불룩한 표면을 가진 가발베이스, 및 가발베이스의 외부로 불룩한 표면에 대해 식설된 복수의 모발로 구성된 가발로서, 가발베이스에 식설된 모발의 뿌리부에서 모발색이 가발베이스에 대해 두드러지지 않는 가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발은 가발베이스에 식설된 모발의 뿌리부에서 가발베이스에 대하여 색깔이 두드러지지 않는다. 모발의 뿌리부는 색깔이 두드러지지 않기 때문에 인공피부 및/또는 망에 심어진 모발의 매듭은 두드러진 곱슬머리를 형성하지 않고 두드러지지 않는 곱슬머리를 형성한다. 그래서 매듭은 쉽게 보이지 않는다.
또한 모발일부가 인공피부의 이면을 지나 뻗는 경우에도 이 머리부분이 두드러지지 않기 때문에 제삼자의 눈의 위치로부터 인공피부를 통해 머리부분이 관찰되기가 어렵다. 그래서 자연스런 헤어라인이 제공되며 사용자의 두부의 모발이 가발인지 인식되지 못한다.
모발은 가발베이스에 식설된 모발의 뿌리부에서 가발베이스의 색깔과 사실상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발은 천연모발이고, 가발베이스에 식설된 모발의 뿌리부에서 탈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발은 인조모발이고 가발베이스에 식설되는 모발의 뿌리부에서 가발베이스와 같은 색으로 염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도, 3a도 및 3b도에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발(100)이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가발(100)은 본질적으로 또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두부형상에 맞추어 형성된 가발베이스(111)로 구성되어 있다. 가발베이스(111)는 인공피부 및 /또는 망 또는 망상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가발베이스(111)는 인공피부로 만들어져 있다. 가발베이스(111)는 통상 유백색 또는 살색이 착색된 투명 또는 반투명 폴리우레탄수지 등으로 가급적 유연하고 얇게 형성된다.
피부는 종족에 따라 서로 상이한 색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인공피부로 된 가발베이스(111)를 살색으로 착색시킬 때는 가발베이스(111)는 백인종, 흑인종, 황인종에 따라 맞추어 착색되어야 한다. 예컨대 가발베이스(111)는 백인종에 대해서는 백색에 가까운 핑크색, 황인종에 대해서는 황색에 가까운 갈색, 또한 흑인에 대해서는 갈색 또는 흑갈색으로 착색된다.
투명하거나 흑색 또는 살색으로 착색된 나일론사, 폴리에스테르사등에 의해 적당한 메시를 가진 망으로 형성시킨다. 망이 살색으로 착색될때는 망은 인공피부로 만들어지는 가발베이스(111)와 유사하게 각종족의 피부색에 맞게 착색된다. 망은 예컨대 2.54cm당 15 내지 50개 정도의 메시를 가진 것이 이용된다.
상기와 관련하여, 인공피부 및/ 또는망으로 만들어진 가발베이스(111)는 사용자의 두부색과 비슷한 색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모발(112)은 예컨대 선행기술 제6a도 내지 6d도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어떤 적당한 방법에 의해 가발베이스(111)에 심어진다. 상세하게는, 모발(112)은 가발베이스(112)에 형성된 구멍쌍(111a, 111a)을 통과하여 가발베이스(111)에 심어져 모발부분쌍(112b, 112b)을 형성한다. 가발베이스(111)의 이면에 수지(115)가 피복되어 모발(112)을 가발베이스(111)에 고정 장착한다. 모발(112)은 천연모발 및 /또는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인공모발일 수 있다. 모발(112)은 흑색, 백색, 금색, 적색 및 회백색의 천연모발 또는 이런색으로 착색된 인공모발을 사용한다. 모발(112)은 사용자 자신의 모발색에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모발(112)은 무색이고 투명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 모발(112)은 약 3mm 내지 8mm의 길이를 가진 실직적인 중심부를 갖고 있다. 중심부는 무색이거나 가발베이스(111)와 색이 같은 위장부 역할을 한다. 위장부(112a)는 가발베이스(111)에 있는 구멍쌍(111a, 111a)을 통과하거나 거기에 묶이어 공지의 V식모, 싱글식모법, 팬싱글식모법등에 의해 가발베이스(111)에 고정 장착된다.
가발베이스(111)가 살색으로 착색되면, 모발(112)의 위장부(112a)도 또한 각종족의 피부색에 일치하여 착색된다.
상기와 관련하여, 무색이거나 또는 가발베이스(111)와 색이 같은 위장부(112a)는 가발베이스(111)의 종류나 식모법에 따라 적당히 정해지는 그 길이를 갖는다. 또한 각각의 모발부분(112b, 112b)과 위장부(112a)사이에 뻗어있고 가발베이스(11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모발(112)의 부부은 약1mm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모발(112)의 부분의 각각은 모발(112)의 모발부분(112b, 112b)의 색으로 점변하는 천이구역역할을 한다.
위장부(112a)와 너무 길면 모발(112)은 두부피부에서 올라와 있는 것 또는 부상해 있는것처럼 보이고 반대로 모발(112)이 부자연스럽게 보인다. 또한 위장부(112a)가 너무 짧으면 모발부분쌍(112b, 112b)의 부분이 매듭폭에 영향을 미쳐 매듭이 두드러져 보인다. 그래서 위장부(112a)는 너무 길지도 않고 너무 짧지도 않은 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의한 가발의 가발베이스에 식설되는 모발의 여러 제조 방법을 다음에 기재하겠다. 수지시이트로 만들어진 인공피부를 가발베이스(111)로 이용하고 천연모발을 모발(112)로 사용하는 제1방법을 설명하겠다.
먼저 제4a도에 도시된 모발(112)을 제4b도에 도시된 것처럼 암모니아수, 과산화수소등으로 미리 완전히 탈색한다. 또는, 모발이 가발베이스(111)와 대략 같은색이 될때까지 모발(112)을 탈색한다.
상술과 같이 탈색된 천연모발(112)이 가발베이스(111)의 색과 상이하면 예컨대 가발베이스(111)가 핑크색이면 탈색된 천연모발(112)을 전체적으로 핑크빛을 띈 백색으로 염색한다. 또한 사용된 천연모발(112)의 색상이 옅고 가발사용자의 두부피부색과 원래 유사하면 탈색 또는 염색처리 또는 가공은 불필요하다.
이어서, 탈색된 천연모발(112)을 가발베이스(111)에 식설한다. 식모법은 주지의 V식모법, 싱글식모법, 팬싱글식모법등일 수 있다.
탈색이나 염색에 의해 가발베이스와 같은 색으로 된 천연모발(112)을 가발베이스(111)에 식설한다. 이어서 제4c도에 표시된 것처럼 모발(112)의 뿌리를 제외하고 사용자의 두부에 있는 모발의 색으로 천연모발(112)을 염색하여 쌍의 모발부분(112b, 112b)을 형성한다. 그래서 가발(100)이 완성된다. 가발베이스(111)와 같은 색을 유지하고 있는 모발(112)의 뿌리는 위장부(112a)로서의 역할을 한다.
가발베이스(111)로서 망을 이용하고 나일론, 폴리에스테르등과 같은 인공모발을 모발(112)로 사용하는 제2제조법을 다음에 설명한다.
먼저 제5a도에 표시된 것처럼 모발(112)을 다발로 하여 모발(112)의 다발을 재봉기로 끝을 기워서 식모시 흐트러지지 않게한다. 제5b도에 나타낸 것처럼 기운모발(112)의 다발을 양이온성 염료등에 의해 전체적으로 가발베이스(111)와 같은 색으로 염색시킨다.
가발베이스(111)와 색이 근사한 모발 가닥을 인공모발(112)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인공모발(112)을 단순히 기워서 다발로 한다.
이어서, 제5c도에 표시된 것처럼 위장부(112a)를 제외하고 가발베이스(111)의 색으로 염색된 각 인공모발(112)의 부분 또는 그대로 둔 각 인공모발(112)의 부분을 , 위장부(112a)를 제외하고, 하나하나 사용자 두부에 있는 모발의 색으로 염색하여 위장부(112a)역할을 하는 인공모발의 중앙부 3mm 내지 8mm를 남긴다. 그래서 인공모발(112)을 쌍의 모발부분(112b, 112b)으로 형성시킨다. 제5d도에 표시된 것처럼 위장부(112a)역할을 하는 중앙부분에 매듭이 형성되도록 모발(112)을 가발베이스(111)에 식설한다.
가리마부를 가발(100)의 좌측부에 형성하고 모발 소용돌이부를 가리마부에 맞추어 약간 왼쪽에 형성시키는 제3방법을 다음에 설명한다. 수지시이트로 만들어진 인공피부를 가발베이스(111)로 사용한다. 사용자의 두부에 있는 모발의 흐름을 따라 가리마부를 제외하고 사용자 자신의 모발과 색이 같은 정상모발을 가발베이스(111)영역에 심는다. 또한 가발베이스(111)와 같은 색으로 탈색된 모발(112)을 가발베이스(111)의 가리마 영역에 심는다. 이어서 가리마 영역에 있는 모발(112)의 뿌리는 위장부(112a)로 남기는 한편, 가리마 영역에 있는 모발(112)의 쌍의 모발부분(112b, 112b)을 가발베이스(111)의 다른 부분에 있는 모발과 같은 색으로 염색한다. 그리하여 가발(100)이 완성된다.
가리마영역을 가발(100)의 우측부에 형성하고 가리마영역에 일치시켜 모발 소용돌이부를 약간 우측에 형성시키는 제4제조법을 다음에 설명한다. 가발베이스(111)로서는 망을 사용하고 모발(112)로서는 인공모발을 이용한다. 미리 모발(112)을 무색인채로 다발화하고 식모시 흐트러지지 않도로 기운다. 한쌍의 부분 또는 각 모발(112)의 쌍의 머리부분(112b, 112b)을 사용자의 두부에 있는 모발색으로 하나하나 염색하고 위장부(112a)역할을 할 인공모발(112)의 중심부 3mm 내지 8mm는 남긴다. 위장부(112a)역할을 하는 중앙무색부에 매듭이 형성되도록 하고 가발베이스(111)에 모발(112)을 심는다. 그래서 가발(100)이 완성된다.
백스타일의 가발(100)을 형성하는 제5제조방법을 다음에 설명하겠다. 가발베이스(111)로서는 수지시이트로 만들어진 인공피부를 이용한다. 이마부만 제외하고 사용자 두부의 모발의 흐름을 따라 사용자 자신의 모발색과 같은 정상모발을 가발베이스(111)의 영역에 심는다. 가발베이스(111)와 같은 색으로 탈색된 (112)모발(112)을 이마영역에 심는다. 모발(112)을 가발베이스(111)에 식설한 후에는, 이마영역에 있는 모발(112)의 모발부분(112b, 112b)을 다른 영역에 있는 모발과 같은 색으로 염색하고, 위장부(112a)역할을 하는 모발(112)의 뿌리는 남겨둔다. 그래서 가발(100)은 완성된다.
이런식으로 형성된 가발(100)의 모발을 관찰하면 다음의 사실을 확인 또는 감지하게 된다. 즉, 무색이거나 가발베이스(111)와 같은 색으로 착색된 위장부(112a)는 식설되는 모발(112)의 뿌리의 영역에 위치되어 위장부(112a)는 가발베이스(111)와 유사해져서 보이지 않게 된다. 그래서 모발(112)의 모발부분(112b, 112b)은 위장부(112a)를 제외하고 제1도에서 점선으로 표시한것처럼 가발베이스(111)에서 자라난 것처럼 보인다.
이런식으로, 사용자의 두부는 실질적으로 구형이기 때문에, 제2도 및 제3a도에 있어서, "A"로 표시한 바와 같이 가발베이스(111)가 보이지 않는 각도로 특히 헤어라인부의 가발베이스(111)를 관찰하면 모발(112)의 뿌리부에 있는 위장부(112a)길이가 균일하지 않게 보인다. 따라서 헤어라인부의 선이 직선상으로 되지 않아 제3a 및 3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어라인부의 선은 자연스런 선으로 보인다.

Claims (18)

  1. 외부로 불룩한 표면을 갖고 있고 인공피부 및/또는 망으로 만들어진 가발베이스(111), 및 상기 가발베이스의 상기 외부로 불룩한 표면에 식설된 복수의 모발(112)로 되어 있는 가발에 있어서, 상기 모발(112)이 상기 가발베이스(111)에 식설된 상기 모발의 뿌리영역에 있어 상기 가발베이스(111)에 대해 색이 두드러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발베이스(111)가 사용자의 두부의 형상에 대략 일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3. 제1항에 있어서, 가발베이스(111)를 형성하는 상기 인공피부는 투명수지와 반투명수지중의 하나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상기 수지가 반투명해지도록 유백색과 살색중의 하나로 착색되는 특징으로 하는 가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발베이스(111)가 인공피부로 만들어지는 것과 상기 가발베이스가 인종의 색에 일치하는 살색으로 착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발베이스(111)가 망으로 만들어지는 것과 상기 망이 투명한 수지사(필라멘트)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발베이스(111)가 망으로 만들어지는 것과 상기 망이 인종의 색에 일치하는 살색으로 착색된 수지사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발베이스(111)가 망으로 만들어지는 것과 상기 망이 2.54cm당 15 내지 50개의 메시(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발베이스(111)가 사용자의 두부 피부색과 비슷한 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112)이 천연모발 및/또는 인공모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112)이 사용자 자신의 모발색에 일치하는 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112)의 각각의 쌍의 모발부분(112b) 및 그들 사이의 위장부(112a)를 갖고 상기 위장부는 가발베이스(111)에 고정 장착되는 것과, 상기 위장부가 무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112)의 각각은 쌍의 모발부분(112b) 및 그들 사이의 위장부(112a)를 갖고 상기 위장부는 가발베이스(111)에 고정 장착되는것과, 상기 위장부는 상기 가발베이스(111)의 색과 동일한 색으로 착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14. 제13항에 있어서, 각 모발부분(112b)과 상기위장부(112a)의 사이의 상기 모발(112)의 부분의 각각은 1mm의 길이를 가지는 것과, 상기 모발(112)의 상기 부분의 각각은 모발(112)의 상기 쌍의 모발부분(112b)의 색으로 점차적으로 착색된 천이영역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112)의 각각은 쌍의 모발부분(112b)과 그들 사이의 위장부(112a)를 가지며 상기 위장부는 상기 가발베이스(111)에 고정 장착되는 것과, 상기 가발베이스(111)는 살색으로 착색되는 것과, 상기 위장부(112a)는 상기 가발베이스(111)와 동일한 색으로 착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112)이 상기 가발베이스(111)에 식설되어 있는 상기 모발의 뿌리영역에 있어 상기 가발베이스(111)와 같은 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112)은 천연모발이고 상기 가발베이스(111)에 식설되어 있는 상기 모발의 뿌리영역에서 탈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112)은 인공모발이고, 상기 가발베이스(111)에 식설되어 있는 상기 모발의 뿌리영역에서 상기 가발베이스와 같은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KR1019890019387A 1988-12-29 1989-12-23 가발 KR940003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170231U JPH0519289Y2 (ko) 1988-12-29 1988-12-29
JP63-170231 1988-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995A KR900008995A (ko) 1990-07-02
KR940003451B1 true KR940003451B1 (ko) 1994-04-22

Family

ID=15901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9387A KR940003451B1 (ko) 1988-12-29 1989-12-23 가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5085233A (ko)
EP (1) EP0377173B1 (ko)
JP (1) JPH0519289Y2 (ko)
KR (1) KR940003451B1 (ko)
DE (1) DE68906773T2 (ko)
ES (1) ES204404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8642B2 (ja) * 1989-12-31 1995-07-26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かつら
KR100301362B1 (ko) * 1998-09-24 2001-12-31 박헌식 길이조절수단이부착된가발
JP4883554B2 (ja) * 2005-09-27 2012-02-22 株式会社アデランス 増毛具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157941A1 (en) * 2005-12-09 2007-07-12 Rene Of Paris Detachable hair bang
US20070131236A1 (en) * 2005-12-09 2007-06-14 Rene Of Paris Hairpiece
JP4989184B2 (ja) * 2006-10-25 2012-08-01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かつら及びその製造方法
US7753057B2 (en) * 2007-06-01 2010-07-13 Klix Hair, Inc. Hair extension system
CN102366179B (zh) * 2011-10-21 2015-07-01 蒋荣 一种新型碳纤维人工假发的制造方法
JP5730431B1 (ja) * 2014-07-09 2015-06-10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カツラ
US11140934B2 (en) * 2017-05-30 2021-10-12 Psykhe Hair Extensions, Inc Hair addi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45380A (en) * 1931-01-27 1932-02-16 Max Factor & Co Inc Toupee
GB637313A (en) * 1947-06-12 1950-05-17 Harman Deighton Steiner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construction of wigs
US2789567A (en) * 1955-08-29 1957-04-23 Jacoby Meyer Toupee construction
US3077891A (en) * 1961-03-16 1963-02-19 Lord & Lady Windsor Inc Toupe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3435831A (en) * 1965-12-11 1969-04-01 Tokyo Gihatsu Seikei Co Ltd Wig or a toupee
US3566889A (en) * 1968-08-09 1971-03-02 Bernice Cole Wig construction
US3606894A (en) * 1969-02-17 1971-09-21 James J Servino Hairpiece,scalp base therefor and method of making them
GB1411241A (en) * 1972-05-24 1975-10-22 Forbes J C Hairpieces
US4214033A (en) * 1976-10-18 1980-07-22 John David Clifton Novel mesh fabric and wig and hair-piece made therefrom
US4202359A (en) * 1976-10-18 1980-05-13 John David Clifton Novel mesh fabric and wig and hair-piece made therefrom
US4302491A (en) * 1977-11-07 1981-11-24 George Papageorgiou Hair simulating fiber
US4509539A (en) * 1984-02-08 1985-04-09 Charles Alfieri Hairpiece with simulated natural hairline front
US4739777A (en) * 1985-06-26 1988-04-26 Apollo Hair Systems, Inc. Hair replacement having color highlight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DE3542123A1 (de) * 1985-11-28 1987-06-04 Bergmann Gmbh & Co Kg Montur fuer ein haarteil
US4799502A (en) * 1985-12-24 1989-01-24 Aderans Co., Ltd. Wig
WO1989005104A1 (en) * 1987-12-09 1989-06-15 Aderans Kogei Co., Ltd. Wig, hair accessory and dyeing method for artificial 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35011A (en) 1992-08-04
US5085233A (en) 1992-02-04
ES2044045T3 (es) 1994-01-01
EP0377173B1 (en) 1993-05-26
JPH0290619U (ko) 1990-07-18
KR900008995A (ko) 1990-07-02
DE68906773D1 (de) 1993-07-01
JPH0519289Y2 (ko) 1993-05-21
DE68906773T2 (de) 1993-12-23
EP0377173A1 (en) 199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0946B1 (ko) 가발
KR100598708B1 (ko) 착용자의 자모 활용형 가발 및 그 제조방법
US6220249B1 (en) Wigs having length adjusting parts
US6352079B1 (en) Wig foundation with contoured front hairline
CN103720098B (zh) 假发以及假发的制造方法
US20060081267A1 (en) Hairpiec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940003451B1 (ko) 가발
US4658841A (en) Assembled wig or wig kit
JP2009534545A (ja) 婦人用ヘアリプレースメント
US4016889A (en) Hairpiece
US5634478A (en) Method for attaching pre-manufactured braids to natural hair on the scalp
JPH0768642B2 (ja) かつら
US5454385A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hair in a braid
US20040211436A1 (en) Hairstyle enhancement device
US3435831A (en) Wig or a toupee
JP2002275719A (ja) かつら用毛髪とそれを使用したかつら
KR100361376B1 (ko) 가발의 모근판 테두리 가공방법
KR200387208Y1 (ko) 가발용 망
US3628546A (en) Sectional hairpieces
KR102043446B1 (ko) 앞머리용 부분 가발
JPS6316481B2 (ko)
KR20120019920A (ko) 헤어라인용 가발
KR200365087Y1 (ko) 탈부착이 용이한 헤어피스 및 헤어피스 셋트
KR200191740Y1 (ko) 가발
KR100269270B1 (ko) 가발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