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446B1 - 앞머리용 부분 가발 - Google Patents

앞머리용 부분 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446B1
KR102043446B1 KR1020180069569A KR20180069569A KR102043446B1 KR 102043446 B1 KR102043446 B1 KR 102043446B1 KR 1020180069569 A KR1020180069569 A KR 1020180069569A KR 20180069569 A KR20180069569 A KR 20180069569A KR 102043446 B1 KR102043446 B1 KR 102043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user
bangs
wig
fore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주)피에이인터네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에이인터네셔널 filed Critical (주)피에이인터네셔널
Priority to KR1020180069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53Fastening thereof
    • A41G5/0073Fastening thereof by mechanical fasteners, e.g. clasps, buttons,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46Hair pieces forming hair extensions from bundles of h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 부위의 두께를 감소하여 자연스러운 헤어 라인을 연출할 수 있는 앞머리용 부분 가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모발에 착용 시 이마 및 상기 이마 주변에 위치하는 모발부; 일면 전체에 상기 모발부가 결합되며, 가변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모발부의 형태를 유지하는 모발 지지부; 및 상기 모발 지지부의 타면에 결합되어 상기 모발 지지부를 상기 사용자의 모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모발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발 지지부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가발 착용 상태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자연스러운 헤어 라인을 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앞머리용 부분 가발{PARTIAL WIG FOR BANG}
본 발명은 착용 부위의 두께를 감소하여 자연스러운 헤어 라인을 연출할 수 있는 앞머리용 부분 가발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가발이 탈모 부위를 가리거나, 부족한 머리 숱을 보완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가발은 부족한 부분의 보완 용도를 넘어 새로운 스타일을 시도하기 위한 미용 도구로 사용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외모와 미용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가발을 착용하는 사람들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가발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다양한 헤어 스타일을 시도하기 위해서는 염색이나 펌, 커트 등의 시술이 불가피하며, 이러한 시술은 모발의 손상을 동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시술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한번 시술하면 추가 시술까지 일정 기간이 지나야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시술이 가능한 문제가 있다.
특히 앞머리의 경우 한번 커트를 하게 되면 앞머리가 있는 스타일을 바꾸기 위해 모발이 다 자랄 때까지 다른 시술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스타일이 본인에게 어울리지 않더라도 장시간 헤어 스타일을 바꿀 수 없어 앞머리가 있는 헤어 스타일은 손쉽게 도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특허등록 제10-1790763호에 다양한 헤어 연출이 가능한 부분 가발을 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부분 가발은 앞머리나 정수리, 정수리 뒤쪽이나 옆 부분을 커버하는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만들어져 활용된다.
그 중 앞머리 가발(120)은, 전술한 선행 문헌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머리의 형상으로 인조 모발을 배열한 뒤 고정용 머리띠(110)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121)를 구비한다.
고정부(121)는 소정 크기로 형성되며, 인조 모발이 복수의 층으로 배열되어 고정된 형태이다. 작은 면적의 고정부(121)에 인조 모발을 복수 층으로 배치하므로 고정부(121)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다. 고정부(121)의 두께 때문에 모발에 장착 시 장착 부위가 모발 위로 돌출될 수밖에 없는 형태이다. 따라서 별도의 고정용 머리띠(110) 등에 부착함으로써 앞머리 가발(120)의 착용 라인을 가려주는 형태로 착용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앞머리 가발(120)은 두께가 있는 고정부(121)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가발 착용 부위의 헤어 라인이 자연스럽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별도의 고정용 머리띠(110) 등으로 가발 착용 부위를 커버하지 않으면 자연스러운 헤어 라인을 연출하지 못하고 가발을 착용했음이 드러나 사용자의 불만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790763호(등록일 2017.10.20)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스러운 헤어 라인을 연출할 수 있는 앞머리용 부분 가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 지지부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가발 착용 상태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앞머리용 부분 가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앞머리용 부분 가발은 사용자의 모발에 착용 시 이마 및 상기 이마 주변에 위치하는 모발부; 일면 전체에 상기 모발부가 결합되며, 가변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모발부의 형태를 유지하는 모발 지지부; 및 상기 모발 지지부의 타면에 결합되어 상기 모발 지지부를 상기 사용자의 모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모발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모발 지지부는 적어도 한 겹의 원단으로 구성되되 'U'자 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이마 쪽을 향하며, 소정의 폭을 갖는 곡선 형태의 곡선부와, 상기 곡선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부를 포함한다.
상기 모발부는 복수의 인조 모발이 상기 모발 지지부 상에 단층 또는 다층으로 식재되어 형성되며, 상기 곡선부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앞머리를 형성하는 앞머리부와, 상기 직선부에 배치되며 상기 앞머리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옆머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옆머리부는 상기 앞머리부 보다 긴 길이를 갖지며, 상기 앞머리부 보다 그 길이가 점차 길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모발 지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모발에 착용 시 상기 모발부에 의해 상기 곡선부 및 상기 직선부가 가려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모발 결합부는 상기 직선부 상에 각각 결합되는 핀 본체와, 상기 핀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핀을 구비하는 결합 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핀은 상기 사용자의 모발에 장착될 때 상기 사용자의 모발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사용자의 모발에 착용될 때, 상기 곡선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마를 향해 배치되고, 상기 직선부는 상기 사용자의 모발의 일부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모발 지지부는 적어도 한 겹의 원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모발 결합부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며 상기 모발 결합부가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부와, 상기 사용자의 이마 쪽을 향하며, 소정 길이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소정의 두께로 감싼 원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발부는 복수의 인조 모발이 상기 모발 지지부 상에 단층 또는 다층으로 식재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앞머리를 형성하는 앞머리부와,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며 상기 앞머리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옆머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옆머리부는 상기 앞머리부 보다 긴 길이를 갖지며, 상기 앞머리부 보다 그 길이가 점차 길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사용자의 모발에 착용될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마를 향해 배치되고, 상기 안착부부는 상기 사용자의 모발의 일부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모발 결합부는 상기 안착부 상에 각각 결합되는 핀 본체와, 상기 핀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핀을 구비하는 결합 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핀은 상기 사용자의 모발에 장착될 때 상기 사용자의 모발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앞머리용 부분 가발은 모발 지지부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가발 착용 상태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자연스러운 헤어 라인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앞머리용 부분 가발은 모발 지지부를 가변 가능한 U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두상 및 이마 형태에 따라 앞머리용 부분 가발의 형태를 바꿀 수 있으므로 자연스러운 헤어 라인을 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앞머리용 부분 가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앞머리용 부분 가발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앞머리용 부분 가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앞머리용 부분 가발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앞머리용 부분 가발의 주요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앞머리용 부분 가발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앞머리용 부분 가발의 실제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앞머리용 부분 가발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사용자의 모발'이란 가발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고유 모발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또한, '인조 모발'이란 인모(사람의 모발) 또는 가모(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인조 모발)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모발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따라서 '인조 모발'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고 해서 인모로 만들어진 부분 가발이 권리 범위에서 배제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앞머리용 부분 가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앞머리용 부분 가발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앞머리용 부분 가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앞머리용 부분 가발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앞머리용 부분 가발의 주요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앞머리용 부분 가발(100)은 사용자의 앞머리를 형성하는 모발부(110)와, 모발부(110)에 결합되어 모발부(110)의 형태를 유지하는 모발 지지부(130)와, 모발 지지부(130)에 결합되어 모발 지지부(130)를 사용자의 모발(10)에 결합시키는 모발 결합부(150)를 포함한다(사용자의 착용 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외측, 앞머리용 부분 가발을 뒤집었을 때 노출되는 부분을 내측으로 정의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발부(110)는 인모 또는 다양한 재질의 인조 모발로 만들어지며, 사용자가 착용했을 때 이마에 위치하여 앞머리 역할을 하는 앞머리부(110a)와, 앞머리부(110a)의 양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모발(10)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옆머리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앞머리부(110a)는 뱅(bang) 헤어(앞머리를 눈썹에 이르는 정도까지 일자로 자른 머리 모양)나 시스루 뱅(see-through bang) 헤어(이마가 살짝 보이는 느낌의 뱅 헤어) 스타일, 뱅 헤어보다 숱이 많거나 길이가 긴 스타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앞머리부(110a)는 사용자의 이마의 넓이나 눈썹의 위치 등에 따라 길이를 잘라 사용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앞머리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머리부(110a)는 모발 지지부(130)의 중앙 쪽에 결합된다(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앞머리부(110a)가 끝나는 모발 지지부(130)의 양단부 쪽에는 옆머리부(110b)가 형성된다.
옆머리부(110b)는 앞머리부(110a)와 동일한 길이에서 좀더 긴 길이까지 순차적으로 인조 모발이 길어지도록 배치된다. 옆머리부(110b)는 앞머리부(110a)와 사용자의 모발 옆부분을 유선형으로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옆머리부(110b)는 특정 길이를 갖기 보다는 옆머리부(110b)로부터 자연스럽게 모발 길이가 길어지면서 앞머리부(110a)와 옆머리부(110b)의 일단이 유선형 또는 사선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다. 옆머리부(110b)는 모발 지지부(130)의 양단부 쪽에 치우쳐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모발부(110)가 앞머리부(110a)와 옆머리부(110b)로 구분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별도의 옆머리부(110b)가 없이 앞머리부(110a)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옆머리부(110b)는 앞머리부(110a)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고 더 짧은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발 지지부(130)는 앞머리부(110a)를 구성하는 인조 모발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원단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모발 지지부(130)는 면사 등과 같은 천연 섬유 소재 또는 합사(천연 섬유 이외의 합성 섬유 소재) 재질의 원단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모발 지지부(130)는 통기성을 고려하여 망사나 레이스와 같이 짜임이 성긴 원단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모발 지지부(130)는 앞머리부(110a)의 형상에 대응하여 인조 모발을 배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발 지지부(130)는 인조 모발이 식재(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 겹의 원단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모발 지지부(130)는 'U'자 형태로 만들어지며, 모발 지지부(130)를 구성하는 원단을 'U'자 형태로 가공하여 만들어진다. 모발 지지부(130)의 외측은 인조 모발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다만, 모발 지지부(130)의 가장자리 일부분(U자형 굴곡의 안쪽 가장자리)이 노출되는데, 이 부분을 헤어 라인부(132)라고 정의한다. 모발 지지부(130)의 곡선 부위를 곡선부(134), 곡선부(134)를 중심으로 양단까지를 직선부(136)로 정의한다.
모발 지지부(130)의 곡선부(134)는 사용자가 펼치면 일자에 가깝게 또는 일자 형태로 펼쳐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발 지지부(130)는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만들어져 사용자에 의해 그 형태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자신의 두상이나 이마 형태에 따라 'U'자 형태 그대로 변형하지 않고 앞머리용 부분 가발(100)을 착용해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유선형으로 모발부(110)를 벌린 형태로 앞머리용 부분 가발(100)을 착용해 사용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모발부(110)를 일자로 펼쳐 앞머리용 부분 가발(100)을 착용해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모발부(110)는 'U'자 형태가 가변적인 것과 가변되지 않은 것으로 나뉘어 제작될 수 있다.
모발 지지부(130)는 일면 전체에 인조 모발이 식재된다. 인조 모발이 식재된 모발 지지부(130)의 외측은 인조 모발에 의해 가려지고, 내측은 앞머리용 부분 가발(100)을 뒤집으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노출된다.
모발 지지부(130)는 복수 겹의 원단을 'U'자 형상으로 만든 후 가장자리의 올이 풀리지 않도록 오버로크, 인터로크 등의 방법으로 올풀림 방지 처리를 해 만들어질 수 있다.
헤어 라인부(132)는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므로 박음질 부위가 좁고 촘촘한 인터로크 방식으로 처리하고, 곡선부(134)와 직선부(136)는 상대적으로 박음질 부위가 넓은 오버로크 방식으로 마감할 수 있다.
또는, 모발 지지부(130)는 인조 모발이 식재될 수 있는 두께와 짜임 구조를 갖는 원단을 'U'자 형상으로 만든 후 가장자리에 올풀림 방지 처리를 할 수도 있다. 올풀림 방지 처리는 전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모발 지지부(130)에는 복수의 인조 모발이 결합되어 모발부(110)를 구성한다. 모발 지지부(130)의 곡선부(134)에는 앞머리부(110a)에 해당하는 인조 모발이 식재된다. 모발 지지부(130)의 직선부(136)에는 옆머리부(110b)에 해당하는 인조 모발이 식재된다. 자연스러운 앞머리 스타일의 연출을 위해 곡선부(134)와 직선부(136)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앞머리부(110a)와 옆머리부(110b)로 길이가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는 인조 모발이 식재될 수 있다.
인조 모발은 한 가닥을 반으로 접어 접힌 부분을 모발 지지부(130)의 일면에 배열해 고정할 수 있다. 또는 접지 않은 인조 모발 가닥을 모발 지지부(130) 상에 배열해 고정할 수 있다. 인조 모발을 고정하는 방법은 바느질 방법, 매듭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모발 지지부(130) 상에 인조 모발을 배치해 고정한 후 인조 모발의 배열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여러 줄로 박음질을 하여 인조 모발을 고정할 수 있다. 도 5에 점선으로 표현된 선이 박음질 선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박음질이 아닌 묶기나 엮기 방식 등으로 인조 모발을 모발 지지부(130) 상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는 인조 모발을 모발 지지부(130) 상에 다층으로 배치해 식재할 수도 있다(편의상 곡선부의 반경이 넓은 쪽을 외측, 결합 핀의 단부가 있는 쪽을 내측으로 정의함).
예를 들어, 도 5를 기준으로 모발 지지부(130)의 곡선부(134) 외측에 인접하여 한 층의 인조 모발을 배치해 고정한 후, 해당 층보다 좀더 곡선부(134) 내측으로 이격된 부분에 다시 한 층의 인조 모발을 배치해 고정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곡선부(134)와 직선부(136)의 외측부터 내측까지 다층으로 인조 모발을 배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조 모발을 배치하면 인조 모발과 모발 지지부(130)가 결합되는 부분의 두께가 어느 한 부분만 두꺼워지지 않고 균일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모발(10)에 착용 시 앞머리용 부분 가발(100)이 사용자의 두피에 인접하게 되므로 자연스러운 헤어 라인을 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발 지지부(130)가 'U'자 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인조 모발이 'U'자 형의 모발 지지부(130)를 따라 넓게 배치될 수 있다. 종래에는 인조 모발이 식재되는 부분이 이마 길이의 일부에 해당하는 길이였다(선행문헌 도 1 참조). 따라서 한정된 길이의 원단에 인조 모발을 식재하므로 앞머리 가발의 두게가 두꺼워지고 장착 시 장착 부위가 두피로부터 돌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앞머리용 부분 가발은 인조 모발을 'U'자 형의 원단에 배치하므로 인조 모발이 식재되는 면적이 기존에 비해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인조 모발이 식재되는 모발 지지부(130)를 종래 앞머리 가발 대비 1/2 내지 1/3 두께로 만들 수 있다.
모발 지지부(130)는 직선부(136)의 내측에 모발 결합부(150)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모발(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모발 결합부(150)는 모발부(110)가 식재되지 않은 면에 결합되는 핀 본체(152)와, 사용자의 모발(10)에 고정되는 결합 핀(154)으로 구성된다. 모발 결합부(150)는 굽힘 방향에 따라 열리거나 닫히는 똑딱이 헤어핀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핀 본체(152)와 결합 핀(154)의 연결 부위는 소정 간격을 두고 볼록하게 이격될 수 있다.
핀 본체(152)는 모발 지지부(130)의 직선부(136) 상에 고정되며, 직선부(136)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 또는 그보다 다소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핀 본체(152)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부터 복수의 결합 핀(154)이 연장 형성된다.
결합 핀(154)은 사용자의 모발(10)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핀의 단부가 사용자 모발(10)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모발(10) 단부를 향하는 방향은 도 5를 기준으로 결합 핀(154)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이다.
모발 지지부(130)의 외측 방향으로 핀 본체(152)를 가압하면 핀 본체(152)와 결합 핀(154)이 연결된 부분이 상호 이격되어 모발 결합부(150)가 열림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모발 지지부(130)를 적당한 위치에 배열한 후 결합 핀(154)을 모발에 빗질하듯이 삽입하면 핀 본체(152)와 결합 핀(154)의 사이에 사용자의 모발(10)이 삽입된다. 모발 결합부(150)의 열림 상태에서 앞머리용 부분 가발(100)을 장착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앞머리용 부분 가발(100)을 배치한 후 모발 지지부(130)의 내측 방향으로 핀 본체(152)를 가압하면, 결합 핀(154)과 핀 본체(152)가 연결된 부분이 밀착되면서 모발 결합부(150)가 닫힘 상태가 된다. 핀 본체(152)와 결합 핀(154)의 사이에 사용자 모발(10)이 삽입된 상태에서 모발 결합부(150)가 닫힘 상태가 되므로 앞머리용 부분 가발(100)이 사용자의 모발(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자는 사용자의 모발(10)에 앞머리용 부분 가발(100)을 고정해 착용 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앞머리용 부분 가발의 착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앞머리용 부분 가발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앞머리용 부분 가발의 실제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앞머리용 부분 가발(100)을 착용하는 경우, 헤어 라인부(132)가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 후 모발 결합부(150)를 사용자의 모발(10)에 결합해 앞머리용 부분 가발(100)을 착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모발(10)을 일부 들어 올리고 그 아래에 앞머리용 부분 가발(100)을 장착하므로 모발 결합부(150)가 사용자의 이마 라인 보다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앞머리부(110a)는 사용자의 이마에 위치하고, 옆머리부(110b)는 이마 옆부분 쪽에 위치하게 된다. 옆머리부(110b)는 사용자의 모발(10)과 자연스럽게 섞여 앞머리부(110a)의 단부와 사용자의 모발까지 연결되는 헤어 라인이 자연스러운 유선형이 되도록 한다.
모발 지지부(130)는 사용자의 두피 쪽에 배치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헤어 라인부(132) 역시 사용자의 모발(10) 아래로 배치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자연스러운 헤어 라인이 연출된다.
도 7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앞머리가 없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앞머리용 부분 가발을 착용하였으나, 사용자 고유의 모발과 구분되지 않고 자연스러운 앞머리와 헤어 라인이 연출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앞머리용 부분 가발(100)이 기존 앞머리 가발보다 얇은 모발 지지부(130)를 갖고 있으며, 'U'자 형의 모발 지지부(130)에 인조 모발이 식재되어 있어 모발이 자연스럽게 펼쳐지기 때문이다. 'U'자 형의 모발 지지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그 벌어지는 폭이 좁은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고, 벌어지는 폭이 넓은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본인의 두상 형태나 이마 형태에 따라 적당하게 모발 지지부(130)의 형태를 조절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앞머리용 부분 가발(100)은 앞머리부(110a)와 옆머리부(110b)가 구비되므로 앞머리에서 옆머리까지 연결되는 헤어 라인이 자연스럽게 유선형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자 본인의 앞머리와 같이 자연스러운 헤어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모발부가 앞머리부와 옆머리부를 구비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옆머리부는 필요에 따라 생략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앞머리용 부분 가발(100)은 앞머리부(110a)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모발 지지부(130)가 소정의 면적을 갖는 U자 형태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모발 지지부(130)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앞머리용 부분 가발을 도시한 배면도이다(전술한 실시 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앞머리용 부분 가발(100')은 사용자의 앞머리를 형성하는 모발부(110')와, 모발부(110')에 결합되어 모발부(110')의 형태를 유지하는 모발 지지부(130')와, 모발 지지부(130')에 결합되어 모발 지지부(130')를 사용자의 모발(10')에 결합시키는 모발 결합부(150')를 포함한다.
모발 지지부(130')는 한 쌍의 모발 결합부(150')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안착부(132')와, 안착부(132')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연결부(134')를 포함한다. 연결부(134')는 와이어(136')에 원단을 감싼 형태로 만들어진다.
안착부(132')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형태의 모발 결합부(150')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모발 결합부(150')가 충분히 지지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안착부(132')는 모발 결합부(150')의 크기보다 다소 큰 크기로 형성되며, 모발 결합부(15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안착부(132')는 모발 결합부(150')가 안착될 뿐만 아니라, 인조 모발이 식재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안착부(132')는 복수 겹의 원단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안착부(132')의 외측면에는 인조 모발이 식재되고, 내측면에는 모발 결합부(150')가 고정된다.
연결부(134')는 낚시줄 등과 같이 강도가 좋고 직경이 작은 와이어(136')에 인조 모발을 식재할 수 있는 원단을 소정 두께로 감아 만들어진다(와이어의 재질은 다양하게 선택 적용될 수 있다). 연결부(134')는 'U'자 형상으로 만들어지며, 일단이 한쪽의 안착부(132')에 결합되고 타단이 다른 쪽의 안착부(132')에 결합된다.
연결부(134')가 와이어(136')를 이용해 만들어지므로, 앞머리용 부분 가발(100')의 착용 각도나 위치에 따라 모발 지지부(130')는 'U'자형이 아닌 벌어진 'U'자형이나 일자형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이마가 일자가 아닌 둥근 형태이므로, 이마 형태에 맞게 앞머리용 부분 가발(100')을 착용하면 연결부(134')가 자연스럽게 'U'자형을 유지한 상태로 사용자의 모발에 장착된다. 즉, 연결부(134')가 'U'자형을 유지한 상태로 착용되는 상태가 일반적인 착용 상태이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모발부(110)는 모발 지지부(130) 상에 단층 또는 다층으로 식재된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연결부(134')가 와이어(136')에 원단을 소정 두께로 감은 선형이므로 모발부(110')는 연결부(134') 상에 단층으로 식재될 수 있다. 즉, 인조 모발이 식재되는 안착부(132')와 연결부(134')의 형태에 따라 모발부(110')가 다른 형태로 식재되는 것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안착부(132') 상에 식재되는 옆머리부(도면부호 미표기)는 기존 실시 예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연결부(134') 상에 식재되는 앞머리부(도면부호 미표기)만 단층으로 식재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134') 상에 식재되는 인조 모발을 지그재그로 배치함으로써 단층이 아닌 2개 층을 이루도록 인조 모발을 식재할 수도 있다. 인조 모발은 안착부(132') 및 연결부 상에 한 가닥씩 필요한 숱만큼 완전히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안착부(132') 상에는 완전히 고정되고 연결부(134') 상에 묶음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인조 모발이 묶음 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 사용자가 인조 모발을 잡고 움직이면 인조 모발이 연결부(134') 상에서 약간씩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앞머리부에 해당하는 인조 모발의 숱이나 모양을 변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앞머리용 부분 가발 110: 모발부
130: 모발 지지부 132: 헤어 라인부
134: 곡선부 136: 직선부
150: 모발 결합부

Claims (11)

  1. 사용자의 모발에 착용 시 이마 및 상기 이마 주변에 위치하는 모발부;
    일면 전체에 상기 모발부가 결합되며, 가변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모발부의 형태를 유지하는 모발 지지부; 및
    상기 모발 지지부의 타면에 결합되어 상기 모발 지지부를 상기 사용자의 모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모발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모발 지지부는
    적어도 한 겹의 원단으로 구성되되 'U'자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이마 쪽을 향하며, 소정의 폭을 갖는 곡선 형태의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선부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착용하는 사용자의 두상이나 이마 형태에 따라 'U'자 형태가 가변적으로 벌어지거나 오무려진 형태로 사용자의 두상이나 이마에 착용되는 앞머리용 부분 가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지지부는
    적어도 한 겹의 원단으로 구성되되 'U'자 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이마 쪽을 향하며, 소정의 폭을 갖는 곡선 형태의 곡선부와,
    상기 곡선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부를 포함하는
    앞머리용 부분 가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부는
    복수의 인조 모발이 상기 모발 지지부 상에 단층 또는 다층으로 식재되어 형성되며,
    상기 곡선부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앞머리를 형성하는 앞머리부와,
    상기 직선부에 배치되며 상기 앞머리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옆머리부를 포함하는
    앞머리용 부분 가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옆머리부는
    상기 앞머리부 보다 긴 길이를 갖지며, 상기 앞머리부 보다 그 길이가 점차 길어지는
    앞머리용 부분 가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지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모발에 착용 시 상기 모발부에 의해 상기 곡선부 및 상기 직선부가 가려지는
    앞머리용 부분 가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결합부는
    상기 직선부 상에 각각 결합되는 핀 본체와,
    상기 핀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핀을 구비하는 결합 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핀은 상기 사용자의 모발에 장착될 때 상기 사용자의 모발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앞머리용 부분 가발.
  7.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모발에 착용될 때,
    상기 곡선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마를 향해 배치되고,
    상기 직선부는 상기 사용자의 모발의 일부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앞머리용 부분 가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지지부는
    적어도 한 겹의 원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모발 결합부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며 상기 모발 결합부가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부와,
    상기 사용자의 이마 쪽을 향하며, 소정 길이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소정의 두께로 감싼 원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앞머리용 부분 가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부는
    복수의 인조 모발이 상기 모발 지지부 상에 단층 또는 다층으로 식재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앞머리를 형성하는 앞머리부와,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며 상기 앞머리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옆머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옆머리부는
    상기 앞머리부 보다 긴 길이를 갖지며, 상기 앞머리부 보다 그 길이가 점차 길어지는
    앞머리용 부분 가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모발에 착용될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마를 향해 배치되고,
    상기 안착부부는 상기 사용자의 모발의 일부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앞머리용 부분 가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결합부는
    상기 안착부 상에 각각 결합되는 핀 본체와,
    상기 핀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핀을 구비하는 결합 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핀은 상기 사용자의 모발에 장착될 때 상기 사용자의 모발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앞머리용 부분 가발.
KR1020180069569A 2018-06-18 2018-06-18 앞머리용 부분 가발 KR102043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569A KR102043446B1 (ko) 2018-06-18 2018-06-18 앞머리용 부분 가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569A KR102043446B1 (ko) 2018-06-18 2018-06-18 앞머리용 부분 가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446B1 true KR102043446B1 (ko) 2019-11-12

Family

ID=6857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569A KR102043446B1 (ko) 2018-06-18 2018-06-18 앞머리용 부분 가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4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3204A (ko) * 2009-03-12 2009-04-01 위병환 머리띠형 부분가발
KR20160017827A (ko) * 2014-08-06 2016-02-17 (주)핑크에이지 앞머리용 부분 가발
KR101790763B1 (ko) 2017-04-24 2017-10-26 김석권 다양한 헤어 연출이 가능한 부분 가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3204A (ko) * 2009-03-12 2009-04-01 위병환 머리띠형 부분가발
KR20160017827A (ko) * 2014-08-06 2016-02-17 (주)핑크에이지 앞머리용 부분 가발
KR101790763B1 (ko) 2017-04-24 2017-10-26 김석권 다양한 헤어 연출이 가능한 부분 가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0054B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hairpiece and device resulting therefrom
EP1843673B1 (en) Hair extension device
KR100457922B1 (ko) 탈부착이 용이한 헤어피스 및 헤어피스 셋트
US5337763A (en) Multi-use hair piece
US7661434B2 (en) Hair-on-hair extension system
US7320327B2 (en) Hair extension attachment
US6832614B2 (en) Hair extension attachment
US5979462A (en) Hair appliance
US8859926B2 (en) Hair extension device
US20200375292A1 (en) Artificial hair apparatus and method
US20070157941A1 (en) Detachable hair bang
US20180228236A1 (en) Hair extension
CN110430772B (zh) 包括可变定位的分离区域的假发装置
US5647384A (en) Hair pieces and mounting for hair pieces
US20050098191A1 (en) Hair extension attachment
US20150189936A1 (en) Integrated hair piec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844139B1 (ko) 서로 다른 길이의 줄(날개형 식모라인)을 이용하는부분가발
KR101966834B1 (ko) 붙임 머리 및 그 제조방법
US20080035164A1 (en) Thin hair holder and enhancer and method therefor
US20190090564A1 (en) Hair piece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2043446B1 (ko) 앞머리용 부분 가발
JPH0519289Y2 (ko)
KR100628294B1 (ko) 길이가 자라는 연장가발
US3628546A (en) Sectional hairpieces
KR102331216B1 (ko) 가발용 헤어 캡 및 이를 구비한 가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