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308B1 - 가변용량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가변용량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308B1
KR940003308B1 KR1019870009655A KR870009655A KR940003308B1 KR 940003308 B1 KR940003308 B1 KR 940003308B1 KR 1019870009655 A KR1019870009655 A KR 1019870009655A KR 870009655 A KR870009655 A KR 870009655A KR 940003308 B1 KR940003308 B1 KR 940003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plate
plate
sleeve
piston
variable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233A (ko
Inventor
유키오 다카하시
켄이치 가와시마
마사루 이토
아츠시 스기누마
구니히코 다카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미타 가츠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미타 가츠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880004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5/00Multi-stage pumps
    • F04B25/04Multi-stage pump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056Rotary to or from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Y10T74/18296Cam and slide
    • Y10T74/18336Wabbl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변용량형 압축기
제1a도, 제1b도 및 제2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변용량형 압축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3도는 상기 실시예의 지지점 위치이동방식의 압축기와 종래의 지지점 위치고정방식의 압축기를 비교하여 양자의 경사판 경사각 변화상태와 이것에 대응하는 경사판 경사각 제어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선도.
제4도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의 제1종래예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
제5a도, 제5b도는 상기 종래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제6도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의 제2종래예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
제7도는 상기 제2종래예의 일부의 절단상태로 단면으로 나타낸 일부생략 단면도.
제8도는 상기 제2종래예의 일부를 투시하여 나타낸 개략설명도.
제9도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의 제3종래예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개략설명도.
본원 발명은 가변용량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피스톤을 지지하는 경사판의 경사각을 변경하여 피스톤의 행정(行程)제어 및 압축기용량을 제어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가변용량형 압축기는 기관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에 경사판기구를 설치하고, 경사판기구에 액설형 피스톤을 지지시켜서 경사판기구의 경사판의 경사각을 변경하여 피스톤행정을 변화시키고, 이와 같이해서 실린더의 흡입 및 토출용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경사판의 경사각제어는 경사판을 지지하는 지지점을 중심으로 소정범위에서 경사판을 경사회전시켜서 제어하는 것이며, 이 경사회전동작을 행하기 위한 기구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형식이 있다.
예를들면 제1예로서 미합중국 특허 제2,964,234호가 있다. 이 특허에서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동축(40)에 회전토크 전달용 돌기편(41)을 설치하고, 경사판(42)에 캠홈(43)을 설치하고, 이 캠홈(43)을 돌기편(41)측에 고정시킨 지지점핀(4)에 걸어맞추고,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어 경사판(4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리브(45)의 축방향 이동과 캠홈(43)을 지지점핀(44)의 둘레에 이동시켜서 경사판의 경사회전동작, 경사각제어를 하는 것이다. 이 타입은 지지점핀(44)을 고정하고, 캠홈(43)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제2의 예로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4,061,443호가 있다. 이 특허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동축(50)에 토크전달용 귀축(耳軸)(51)을 설치하고, 이 귀축(51)측에 캠홈(52)를 설치하며, 한편 경사판(53)측에는 지지점핀(54)를 부착하여 이 지지점핀(54)을 캠홈(52)에 걸어 맞추고, 또한 경사판(53) 자체를 구동축(50)에 끼운 슬리브(55)와 연결핀(57)을 통해서 연결하여, 이 슬리브(55)의 이동과 지지점핀(54)을 귀축(51)측의 캠홈(52)에 따라서 이동시킴으로써, 경사판의 경사회전동작, 경사각제어를 하는 것이다. 이 타입은 제1의 종래예와는 반대로 지지점핀(54)측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캠홈(52)을 고정시킨 점에 특징이 있다.
제2의 예로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4,178,135호가 있다. 이 특허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동축(60)에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판(61)을 설치하여, 구동판(61)면위에 캠면(62)을 형성하고, 한편 경사판(63)측에는 지지점롤러(64)를 부착하여 이 지지점롤러(64)를 스프링(65)으로 캠면(62)측에 가세하여, 지지점롤러(64)의 캠면(62)에 따른 이동과 경사판(63)을 지지하는 지지핀(66)의 축방향 이동에 의하여 경사판의 경사회전동작, 경사각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 타입은 지지점롤러(64)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캠면(62)을 고정시킨 점에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경사판의 경사각 제어기구는 여러가지 형태의 것이 존재하나, 이들 종래예에 있어서는 하기하는 바와같은 개선해야 될 점이 있다.
먼저 상기의 제1종래예에 있어서는 경사판(42)측의 캠홈(43)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지지점핀(44)을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지지점(지지점핀 44)의 위치는 경사판(42)의 경사각(θ)이 변환하여도 변화하지 않는다. 이것은 제5a도, 제5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피스톤측에서 받는 가스압축력(FG)의 작용점과 지지점과의 거리(YP)가 일정하기 때문에, 가스압축력(FG)이 일정하면 지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경사각(42)의 경사회전모멘트(MT)=(MT=FGㆍYP)가 경사각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된다. 그런데 경사판(42)의 경사각제어는 상기 가스압축력(FG)에 기인하는 경사회전모멘트(MT)와, 이 가스압축력과 반대방향에서 제어력(FC)을 가하는 크랭크실내압 또는 경사판(42)이 위치하는 핀(45)에 가해지는 부하력등과의 밸런스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 경우에는 경사판의 경사각을 작게 제어(피스톤 행정을 작게)하는데는 크랭크실내압 또는 핀(45)에 가하는 부하력등의 제어력(FC)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때의 경사각제어응답성을 좋게하기 위해서는 제어력(FC)을 될 수 있는대로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제어력(FC)의 증가분을 작게하면 경사각제어응답성이 빨라진다. 그러기 위해서는 밸런스 관계상 경사회전모멘트(MT) 자체를 작게할 필요가 있다. 경사회전모멘트, (MT)를 작게하는데는 경사판의 지지점에서 가스압축력(FG)의 작용점까지의 거리(YP)를 경사판의 경사각이 작아짐에 따라 짧게할 필요가 있으며, 그 때문에 지지점위치(44)를 경사판의 경사각이 작아짐에 따라 구동축(40)측에 이동시킬 기구가 필요하다. 특히 압축기의 토출압력, 흡입압력이 동일조건이며, 가스압축력의 작용점과 샤프트중심까지의 거리(YG)는 변화하지 않으므로, 경사회전모멘트(MT) 나아가서는 제어력(FC)을 작아지게 하기 위해서는 거리(YP)측을 짧게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예에서는 지지점위치가 고정이기 때문에, 경사각이 작아짐에 따라서 거리(YP)를 짧게 한다고 하는 배려가 되어 있지 않았다.
상기 제2종래예는 경사판(53)측의 지지점핀(54)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구동축(50)측의 캠홈(52)를 고정시켰기 때문에, 제1종래예와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본 예는 구동축(50)에 장착한 슬리브(55)에 슬롯(slot)(56)을 설치해서 슬롯(56)에서 귀축(51)을 돌출시키고 있는 구조를 채용하기 때문에, 제6도, 제7도, 제8도(제7도는 제6도의 슬리브 50근처를 절단상태로 단면으로 표시한 도면, 제8도는 제6도의 슬리브 50근처를 투시하여 구동축 50을 윗쪽에서 본 약도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슬롯(56)을 설치한쪽의 구동축(50)의 수압면적(A) (X표로 표시한 부분)이 작아지고, 그 결과 피스톤(58)에 의한 가스압축력(Fg)의 레이디얼하중(P)의 수압면적이 작은 A부에 집중하고, A부의 슬리브면압력이 증가하며, 슬리브(55)가 이동을 반복하는 사이에 슬리브와 구동축 사이에 마모가 생기기 쉬운 경향이 있었다.
제3의 종래예의 경우에는 경사판(64)의 경사회전지지점(지지점롤러 64)을 구동판(61)에 설치한 캠면(62)에 스프링(65)을 사용하여 맞닿게 함으로써 캠면(62)에서의 지지점롤러(64)의 이탈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기동시에는 피스톤(67)의 관성력 및 피스톤(67)과 실런더내경(68)간의 마찰력으로 지지점롤러(64)를 구동판(61)의 캠면(62)에서 이탈하는 힘이 작용하여 지지점롤러(64)가 순간적으로 이탈되어 다음 순간에 스프링(65) 및 가스압축력으로 캠면(62)에 되돌아오며, 그 때의 충돌력이 반복되면 캠면(62) 또는 지지점롤러(64)에 마모가 발생한다. 따라서 실린더ㆍ피스톤간에 톱클리어런스를 항상 일정하게 하도록 설정된 캠면궤적과 지지점롤러와의 관계가 변화하고, 사용하는 동안에 톱클리어런스가 커진다고 하는 점에 대한 배려가 되어있지 않았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여러가지 기술적과제를 해결함으로써, 경사판의 경사각제어응답성이 우수하고, 더구나 내구성 및 용량제어정밀도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가변용량형 압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동축에 끼워 장착된 슬리브와, 이 슬리브에 경사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경사판등을 구비하여,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과 경사안내용 캠궤도를 따른 경사판의 이동에 의하여 경사판의 경사각을 변화시키는 방식인 이 종류의 가변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 경사판의 경사각 제어기구를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즉 상기 구동축에는 경사판의 일부를 접촉하여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경사판에 전달하는 구동판을 상기 슬리브의 근처에 배치하고, 이 구동판에 상기 경사판 경사안내용 캠궤도를 구성하는 폐곡선(閉曲線) 루트(loop)의 캠홈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경사판측에는 지지점핀을 배치하고, 이 지지점핀을 상기 구동판측의 캠홈에 걸어 맞추어서 이 지지점핀을 경사판의 경사각이 작아질수록 상기 캠홈에 따라서 상기 구동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원 발명에 의하면, 경사판의 경사각제어를 하는 경우에는 경사판측에 배치된 지지점핀이 경사판의 경사각이 작아질수록 구동축측으로 이동한다. 환언하면 경사판의 경사회전모멘트의 거리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지지점핀이 캠홈에 따라서 이동한다. 따라서 거리가 짧아진 분량만큼 경사 회전모멘트가 작아지며, 이에 대한 경사판경사제어력도 경사회전 모멘트가 작아지는 분량만큼 작아지므로 경사판의 경사제어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로, 본원 발명은 슬리브의 근처에 배치한 구동판측에 캠홈을 설치하였으므로, 제2종래예와 같은 캠홈부착 귀축돌출용 슬롯을 슬리브에 설치할 필요성이 없어져서 슬리이브의 전체길이를 전체둘레에 걸쳐서 구동축외주면에 접촉시킬 수 있고, 따라서 피스톤의 가스압축시에 슬리브에 작용하는 레이디얼하중의 수압면적을 극력 넓혀서 슬리브 및 구동축간의 면압력을 저감할 수 있어 압축기 운전시의 슬리브, 구동축의 시간경과적인 마모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한다.
셋째로, 본원 발명은 구동판에 설치한 캠홈을 지지점핀을 둘러싼 폐곡선루프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압축기를 기동할때에 반동이 생겨도 제3종래예와 같이 지지점핀이 캠면에서 순간적으로 크게 이탈함에 따른 사태를 방지하고, 따라서 캠홈의 캠궤도면에 충격력이 가해지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며, 캠홈의 마모를 방지하여 항상 지지점판의 캠궤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나아가서는 실린더와 피스톤간의 톱클리어런스를 설정치의 상태로 유지하여 압축기의 용량제어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를 제1도와 제2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와 제2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변용량형 압축기의 종단면도이고, 제1도에 경사판(15)이 최대경사각의 상태 즉 압축기가 최대 용량으로 운전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제2도에 경사판(15)의 경사각이 제로인 상태 즉 압축기의 용량이 제로에서 운전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중(1)은 압축기 본체, (2)는 전자(電磁)클러치, (3)은 압축기의 프론트 커버, (4)는 리어커버, (5)는 프론트커버(3)와 리어커버(4) 사이에 개재시켜서 이루어진 실린더블록이다.
(6)은 압축기의 구동축이고, 구동축(6)은 기관의 동력을 전달하는 전자클러지(2)를 통해서 회전하는 것이며, 그 한끝이 프론트커버(3)의 레이디얼베어링(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끝이 실린더블록(5)의 중심부에 레이디얼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9)는 구동축(6)에 압입 고착된 구동판이고, 구동판(9)은 한면이 프롤트커버(3)의 안쪽에 설치한 스러스트베어링(10)에 지지되어서 구동축(6)과 함께 회전하며, 또한 다른 면에는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캠홈(12)을 구비한 귀부분(耳部)(11)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13)은 구동판(9)의 일부에 설정된 경사면부이고, 경사판(15)의 최대경사시에 경사판(15)의 일부가 경사면부(13)에 면접촉(面接觸) 한다.
(14)는 구동축(6)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넣은 슬리브이고, 슬리브(14)의 외주면에는 좌우양측(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에 핀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배설되어 있다. 이 슬리브(14)의 내주면은 전체길이, 전체둘레에 걸쳐서 구동축(6)의 외주면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리브(14)는 경사판(15)이 최대경사각에 있을때는 슬리브의 한끝이 구동판(9)에 접촉하고, 또한 경사판의 경사각이 제로일 때는 구동축(6)의 실리더블록(5) 측에 설치한 리테이닝링(30)에 슬리브의 다른끝이 접촉하며, 이와같이해서 슬리브(14)가 구동판(9)과 리테이닝링(30)과의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규제되어 있다.
(15)는 경사판이고, 경사판(15)은 구동축(6)보다도 충분히 구경(口徑)을 크게한 보스부(15a)를 가지며 보스부(15a)를 구동축(6)에 끼워 맞추는 동시에 그 배면부에 지지점핀(16)을 부착한 귀부(17)를 형성하고, 이 귀부(17)와 구동판(9)측의 귀부(11)를 겹쳐합친 상태로 접촉시키고, 또한 지지점핀(16)이 캠홈(12)에 캠곡선(폐곡선)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 맞추어진다. 그리고 경사판(15)의 보스부(15a) 내주면에는 지름중심을 향해서 좌우 한쌍의 연결핀(18)이 대향 배설되고, 이 핀(18)이 슬리브(14)의 핀구멍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경사판(15)은 이와같은 부착구조로 이루어지고, 구동축(6)의 회전과 동기하여 구동판(9)이 회전하면 귀부분(11)과 귀부분(17)과의 접촉에 의해 구동판(9)의 회전력이 경사판(15)에 전달되어서 소정의 궤적으로 요동 회전하는 것이며, 또한 슬리브(14)의 축방향이동과 지지점핀(16)의 캠홈(12)내의 이동에 의하여 경사판의 경사각을 변경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경사판(15)이 회전할 때는 연결핀(18)을 통해서 슬리브(14)도 동기 회전한다.
(19)는 피스톤지지체이고, 피스톤지지체(19)는 고리모양으로 형성되고, 레이디얼베어링(20)을 통해서 경사판(15)의 보스부(15a)의 외주면에 지지되며, 또한 배면측이 스러스트베어링(21)을 통해서 지지되어 있다. 피스톤 지지체(19)는 이 레이디얼베어링(20) 및 스러스트베어링(21)에 지지되어서 경사판(15)이 요동회전하여도 그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고, 경사판(15)의 요동 운전만이 전달된다. 또한 피스톤 지지체(19)는 실린더블록(5)에 설치한 실린더보어(22)와 대향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보어(22)는 실린더블록(5)중에 둘레방향으로 같은 간격을 두고 적당수 배설되고, 각 실린더보어(22)에는 피스톤(23)이 왕복 이동하도록 수용되며, 이 피스톤(23)과 피스톤지지체(19)가 콘로드(24)를 통하여 슬라이딩 대우(對偶)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25)는 실린더보어(22)내에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흡입포트, (26)은 실린더보어(22)에서 압축된 가스를 외부에 토출하기 위한 토출포트, (27)은 피스톤지지체(19)의 회전정지기구이고, 회전정지기구(27)는 피스톤지지체에 부착한 슬라이더(28)와 슬라이더를 왕복 이동시키는 안내봉(29)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압축기의 경사판의 경사각제어(압축기 용량제어)는 기본적으로는 각 피스톤(23)에 작용하는 실린더보어(22)내의 가스압축력(FG)에 기인하는 경사회전모멘트(MT)와 가스압축력(FG)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크랭크실내압 또는 슬리브(14)에 작용하는 부하력등의 경사제어력(FC)과의 밸런스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력(FC)을 가스압축력(FG)에 기인하는 경사회전모멘트(MT) 보다도 충분히 작게하면,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경사회전모멘트가 상대적으로 커져서 경사판(15)은 설정된 최대경사각까지 기울며, 이때 슬리브(14)의 한끝이 구동판(9)의 일부에 접촉하고 그 이상으로 경사판(15)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 상태로 구동축(6)을 회전시켜서 구동판(9)과 경사판(15)이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경사판(15)은 최대경사각으로 요동 회전하며, 이 요동 회전력중에서 회전을 제외한 요동 요소만이 베어링(20), (20)을 통하여 피스톤지지체(19)에 전달되어 피스톤(23)을 최대행정으로 동작시킨다.
또한 경사제어력(FC)을 크게 할수록 그 분량만큼 슬리브(14)가 실린더블록(5)측(화살표 X방향)으로 이동하며, 지지점핀(16)이 캠홈(12)에 따라서 구동축(6)을 접근하도록 이동하여 경사판(15)의 경사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제어된다. 그리고 경사제어력(FC)의 크기가 소정치에 이르면, 슬리브(14)가 리테이닝링(30)의 위치까지 이동하고, 지지점핀(16)이 캠홈(12)내의 구동축(6)의 가장 가까운쪽 끝까지 이동하며, 경사판(15)의 경사각이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로가 되며, 압축용량이 제로가 된다.
그리하여 이와같이 지지점핀(16)이 경사판의 경사각이 작아짐에 따라서 차차 구동축(6) 가까운 쪽으로 이동하면 경사회전모멘트의 지지점위치(지지점핀 16)에서 가스압축력(Fg)의 작용점까지의 거리(YP)가 짧아지고, 그 분량만큼 경사회전모멘트(MT)(MT=FGㆍLG)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경사판의 경사제어력도 이에 대응하여 작게할 수 있고, 경사판의 경사제어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도는 본 실시예와 같이 지지점위치를 변화시켜서 경사각 제어를 하는 경우와 이와 반대로 지지점핀을 최대 경사각시의 지지점 위치에 고정하여 이 지지점핀의 주위에 캠홈을 이동시켜서 경사판의 경사제어를 하는 경우를 비교하여, 경사판의 경사각과 경사제어력(FC)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선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의 특성선도는 실선이 본 실시예의 지지점 이동방식의 것, 1점쇄선이 지지점위치 고정방식의 것이며, 토출압력(Pd)을 14kg/cm2G 8kg/cm2G로 하여 양자의 경사제어력(FC)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으로부터도 명백한 바와같이, 토출압력(Pd)의 값의 여하에 관계하지 않고, 경사판의 경사각이 작아질수록 지지점위치를 이동시킨 본 실시예와 지지점 위치를 고정시킨 경사판제어방식의 것과의 경사각제어력(FC)의 차가 커지며, 본 실시예는 경사판의 경사각에 대한 제어력(FC)을 지지점위치 고정방식의 것보다 작게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슬리브(14)와 상기 제2종래예와 같은 슬롯(56)(제6도-제8도 참조)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슬리브(14)의 내주면을 거의 전체길이, 전체둘레에 걸쳐서 구동축(6)의 외주면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피스톤(23)의 가스압축에 기인하는 레이디얼하중(P)에 의한 면압력을 저감화하고, 슬리브(14)와 구동축(6)간에 마모가 생기는것을 극력 탕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압축기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슬리브(14)의 전체길이를(ℓ), 구동축(6)의 지름을(d)로 하고, 이 슬리브(14)에 슬롯을 설치한 경우와 설치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여, 슬롯을 설치한 경우에 대한 슬롯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의 면압력비(λ)를 식으로 나타내면 하기의 식과 같이 된다.
Figure kpo00002
여기서 A는 슬롯면적이다. 이 식에서도 명백한 바와같이 면압력비(λ)는 슬롯을 설치한 경우에 비해
Figure kpo00003
만큼 저감되어 λ<1로 되어 면압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한 제3종래예(제9도 참조)와 같이 지저점위치(지지점롤러 64)가 개방캠면(62)에 접촉하는 일이 없이, 폐곡선으로 둘러싸인 캠홈(12)에 거의 클리어런스를 갖지않고 걸어 맞추어지므로 압축기의 기동시에 지지점핀(16)이 순간적으로 캠면에서 이탈하여 다시 캠면에 충돌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고, 캠궤도면에 마모가 생기는 것을 극력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캠궤도면의 정밀도에 마모에 의한 차질이 야기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며, 그 결과로 피스톤과 실린더간의 톱클리어런스를 항상 일정하게 하도록 설정된 캠면궤적과 지지점핀과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의 용량제어의 정밀도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경사판(15)의 최대경사각을 구동판(9)에 슬리브(14)의 한끝을 접촉시켜서 규정할 수 있고, 그 결과 구동판(9)의 캠궤도면(캠홈 12)에서 경사판(15)의 최대경사각을 규정시킬 필요가 없으며, 캠홈(12)의 가공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올릴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경사판의 경사각제어를 하는데에 필요한 제어력을 작게할 수 있으므로 경사판의 경사각 제어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경사각제어부품의 마모를 방지하여 압축기의 내구성 및 용량제어의 정밀도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5)

  1. 구동축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 장착되는 슬리브와, 이 슬리브의 외주에 연결핀을 통하여 경사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사판과, 이 경사판에 베어링을 통해서 지지되는 피스톤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판을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으로 요동 회전시켜, 이 요동회전에 의하여 피스톤지지체를 요동시키며, 또한 실린더 보어내의 피스톤을 왕복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슬리브의 축방향이동과 상기 경사판의 경사안내용 캠궤도면에 따른 이동에 의하여, 경사판의 경사각을 가변으로 하고, 피스톤의 행정길이를 변화시키는 방식의 가변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 고정되고, 상기 경사판의 귀부분에 접척하여 이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경사판에 전달하는 구동판과, 상기 경사판 경사안내용의 캠궤도면을 가진 폐곡선의 캠홈에 걸어 맞추어지고, 또한 상기 경사판측에 배설되는 지지점핀과, 상기 경사판의 내주부에 연결핀에 의하여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상기 슬리브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점핀이 경사판의 경사각이 작아질수록 상기 캠홈을 따라서 상기 구동축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가변용량형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경사판이 설정 최대경사각도까지 경사회전하면 슬리브의 한끝이 상기 구동판에 접촉하도록 설정하여, 상기 피스톤의 최대행정을 규정하고 있는 가변용량형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판은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귀부분을 구비하고, 이 귀분을 경사판의 끝면에 설치한 한쌍의 경사판 귀부분에 지지점핀을 통하여 걸어 맞추고 있는 가변용량형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판의 배면은 스러스트베어링을 통하여 프론트커버의 안쪽면에 배치되어 있는 가변용량형 압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은 구동판 반대측을 향해서 일부 단면이 L자형상이고, 거기에 스러스트베어링 및 레이디얼 베어링을 통하여 피스톤지지체를 지지하고 있는 가변용량형 압축기.
KR1019870009655A 1986-09-03 1987-09-01 가변용량형 압축기 KR940003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6-205880 1986-09-03
JP61205880A JPH0733822B2 (ja) 1986-09-03 1986-09-03 可変容量形圧縮機
JP205880 1986-09-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233A KR880004233A (ko) 1988-06-07
KR940003308B1 true KR940003308B1 (ko) 1994-04-20

Family

ID=1651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655A KR940003308B1 (ko) 1986-09-03 1987-09-01 가변용량형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82712A (ko)
JP (1) JPH0733822B2 (ko)
KR (1) KR940003308B1 (ko)
CA (1) CA129173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42391C1 (de) * 1984-11-20 1986-01-02 Hydromatik Gmbh Nachfuehreinrichtung fuer den Kaefig eines Segmentwalzlaegers einer Wiege,einer hydraulischen Axialkolbenmaschine in Schraegachsenbauart
JPS63205473A (ja) * 1987-02-19 1988-08-24 Sanden Corp 斜板式可変容量圧縮機
JPS6477771A (en) * 1987-09-18 1989-03-23 Hitachi Ltd Variable delivery compressor
JPH0325868U (ko) * 1989-07-24 1991-03-18
JPH0370877A (ja) * 1989-08-10 1991-03-26 Sanden Corp 斜板式圧縮機
US5241872A (en) * 1991-05-20 1993-09-07 Sauer Inc. Swashplate centering mechanism for a variable displacement pump
JPH05172052A (ja) * 1991-12-18 1993-07-09 Sanden Corp 可変容量斜板式圧縮機
JPH05312144A (ja) * 1992-05-08 1993-11-22 Sanden Corp 可変容量斜板式圧縮機
JP4007637B2 (ja) * 1997-03-31 2007-11-14 サンデン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AT408898B (de) * 1998-04-27 2002-03-25 Joerg Thurner Axialkolbenverstellmaschine
US6210124B1 (en) * 2000-01-27 2001-04-03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KR100709294B1 (ko) * 2006-11-30 2007-04-19 학교법인 두원학원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US20090196768A1 (en) * 2008-02-01 2009-08-06 Caterpillar Inc. Floating cup pump assembly
CN101655079B (zh) * 2009-05-11 2011-11-02 浙江水利水电专科学校 双面导向盘无级变量四柱塞高压泵
DE102015009852B4 (de) 2015-07-30 2021-08-12 Audi Ag Kältemittelkreislauf für ein Fahrzeu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es Kältemittelkreislauf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4234A (en) * 1954-05-13 1960-12-13 Houdaille Industries Inc Constant clearance volume compressor
US4061443A (en) * 1976-12-02 1977-12-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riable stroke compressor
US4178135A (en) * 1977-12-16 1979-12-11 Borg-Warner Corporation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US4475871A (en) * 1982-08-02 1984-10-09 Borg-Warner Corporatio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4526516A (en) * 1983-02-17 1985-07-02 Diesel Kiki Co., Ltd. Variable capacity wobble plate compressor capable of controlling angularity of wobble plate with high responsiveness
JPS60175782A (ja) * 1984-02-21 1985-09-09 Sanden Corp 容量可変型揺動式圧縮機
US4688997A (en) * 1985-03-20 1987-08-25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with variable angle wobble plate and wobble angle control unit
US4685866A (en) * 1985-03-20 1987-08-11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Variable displacement wobble plate type compressor with wobble angle control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33822B2 (ja) 1995-04-12
US4782712A (en) 1988-11-08
KR880004233A (ko) 1988-06-07
CA1291738C (en) 1991-11-05
JPS6361779A (ja) 1988-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3308B1 (ko) 가변용량형 압축기
KR100231382B1 (ko) 사판형 압축기
US4178135A (en)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CA2085771C (en) Swash plate type compressor with swash plate hinge coupling mechanism
US4425837A (en) Variable displacement axial piston machine
US4492527A (en) Wobble plate piston pump
JPH0861237A (ja) 斜板式圧縮機
EP0338762B1 (en) Starting displacement setting device i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3066879B2 (ja) 可変容量式斜板型圧縮機
US4553905A (en) Variable capacity wobble plate compressor with high stability of capacity control
JPH0697034B2 (ja) 可動斜板式コンプレッサ
KR950011369B1 (ko) 요동판식 압축기
JPH10196525A (ja) 斜板式圧縮機
JP3975132B2 (ja) 内燃機関の圧縮比可変装置
JPH0925872A (ja) ウォッブル板装置を備えた往復動ピストン型機械
KR100244817B1 (ko) 개량된 사판 지지수단을 가진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US4793240A (en) Adjustable device for axial piston pump/motor of a tilting axis type
US4990063A (en) Control cylinder device i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2611382B2 (ja) 揺動斜板式圧縮機
KR100305039B1 (ko) 편두피스톤형 압축기
JP3060670B2 (ja) 可変容量型揺動斜板式圧縮機
JP3277600B2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2527355B2 (ja) 可変速油圧モ―タ
JP2006291749A (ja) 可変容量型圧縮機
JP2567011B2 (ja) 可変容量式斜板型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