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269B1 - 동면 엇당김 샷시(同面引違 sash) - Google Patents

동면 엇당김 샷시(同面引違 sa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269B1
KR940003269B1 KR1019900008158A KR900008158A KR940003269B1 KR 940003269 B1 KR940003269 B1 KR 940003269B1 KR 1019900008158 A KR1019900008158 A KR 1019900008158A KR 900008158 A KR900008158 A KR 900008158A KR 940003269 B1 KR940003269 B1 KR 940003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sh
piece
frame
grate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207A (ko
Inventor
다스히꼬 이에나가
Original Assignee
후지샤시 가부시끼가이샤(不二サシシ 株式會社)
호리꼬미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샤시 가부시끼가이샤(不二サシシ 株式會社), 호리꼬미 도시오 filed Critical 후지샤시 가부시끼가이샤(不二サシシ 株式會社)
Publication of KR910001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 E05D15/1013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 E05D15/101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with an intermediate tilt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06B3/4627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with the sliding wing flush closing or moving a considerable distance towards the opening when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consisting of two or more independent parts movable each in its own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only the wing moving transversely
    • E05D2015/103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only the wing moving transversely the wing supported on arms extending from the carria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only the wing moving transversely
    • E05D2015/1039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only the wing moving transversely the wing sliding transversely on the carria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4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 E05D2015/1049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the carriage swinging or rotating in a transverse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4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 E05D2015/105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with slanted or curved track sections or cams
    • E05D2015/1057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with slanted or curved track sections or cams the carriage swinging or rotating in those track s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면 엇당김 샷시(同面引違 sash)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동면 엇당김 샷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도는 각 부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1A-1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1B-1B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2A-2A선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2B-2B선 단면도.
제6도는 제2도의 2C-2C선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5A-5A선 단면도.
제8도는 제5도의 5B-5B선 단면도.
제9도는 제5도의 5C-5C선 단면도.
제10도는 제5도의 5D-5D선 단면도.
제11도는 제5도의 5E-5E선 단면도.
제12도는 제1도의 1C-1C선 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부분 확대도.
제14도는 제12도의 12A-12A선 단면도.
제15도는 제1도의 1D-1D선 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15A-15A선 단면도.
제17도는 제15도의 15B-15B선 단면도.
제18도는 제1도의 1E-1E선 단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18A-18A선 단면도.
제20도는 제1도의 1F-1F선 단면도.
제21도는 제20도의 20A-20A선 단면도.
제22도는 제20도의 20B-20B선 단면도.
제23도는 제1도의 1G-1G선 단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23A-23A선 단면도.
제25도는 제23도의 23B-23B선 단면도.
제26도는 제1도의 1H-1H선 단면도.
제27도는 제26도의 26A-26A선 단면도.
제28도는 제1도의 1Ⅰ-1Ⅰ선 단면도.
제29도는 제28도의 28A-28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틀
Figure kpo00001
2 : 하틀
Figure kpo00002
3,3' : 각각 좌·우틀 A,A' : 내(內) 샷시
B,B' : 외(外) 샷시 R : 개구부
1a,2a,3a,3a' : 옥외단부편(屋外端部片)
1b,2b,3b,3b' : 수납편 4,4',4'',4''' : 제1취부홈
5 : 제1조임재(tightening material) 6,6',6'',6''' : 제2취부홈
7 : 조임재 8,30 : 윗막이 또는 상레일
Figure kpo00003
9,31 : 아랫막이 또는 하레일
Figure kpo00004
10,32 : 창살
11 : 글래스판넬(Glass panel) 13a,13b : 단부(段部)
15,15' : 중간수납편 16,16' : 분리수납편
19,19' : 블럭체 20,21' : 제1조임재
21,21' : 제2조임재 24 : 가이드레일
25,25' : 외샷시 중앙 드로잉편 27,27' : 편 스페이서
28,28' : 돌조 33 : 상가이드레일
37 : 하안내홈 38 : 창살측 하안내재
40,44 : 안내캡 42,42' : 보조블럭
46 : 출입절결(notch) 50 : 배수구
52 : 샷시 지지편 66 : 조절스크류
70 : 차측 71 : 주체틀
81 : 조작핸들 86,86' : 중개편
90,90' : 돌자 100 : 규제편
본 발명은 샷시창이 폐쇄상태에 있을 때에는 내 샤시(內 sash)와 외샷시를 동일한 평면상으로 하여, 수평으로 습동되게 하고 개방시에는 창샷시를 수평으로 습동되게 하여 여닫도록 동면엇당김 샷시(single-plane sash window)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종래의 기술은 특공소 62-37194호 공보 기재 내용과 같이, 하틀에 안팎으로 하안내(下案內) 레일을 옥내의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병설하고, 하안내 레일을 따라 전동(轉動)하는 하차(下車)에 외샷시(外障子)를 받아 지지시키는 한편, 내측의 하안내레일을 따라 전동하는 하차(下車)에 지지편의 일단을 회동 자체로 추착(樞着) 즉, 피봇팅 가능하게 착설하고, 지지편의 다른 일단은 내샷시에 회동자제로 취부하여 내샷시를 상기 지지편을 통하여 하안내레일을 따라 전동하는 하차(下車)에 의해 수납되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 샷시창의 예를 보면, 내외 샷시의 중량을 하틀에 실려서 부하(負荷)를 주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창틀의 폭을 통상 수평적으로 슬라이딩하게 하는 즉, 수평방향으로 습동하는 샷시의 창틀의 폭처럼 좁게할 수 없다.
즉, 종래의 동면 엇당김 샷시 창은 닫을 때에는 꽉 끼운 샷시와 같은 외관형태를 얻기 위해 안출된 수평 슬라이딩 샷시창으로 되어 있으나, 이 때문에 창틀의 외관상의 창틀의 폭이 좁은 그 만큼 동면 엇당김 샷시로서의 기능이 증대되어야만 하지만, 상기 종래예와 같이 내외샷시의 중량을 하틀에 걸도록 하면 틀은 이 부하에 견딜 수 있는 하중강도를 가져야하고 따라서 적어도 내외샷시의 하중을 분산시켜 부하를 걸 수 있을 정도로 창틀의 폭이 늘어나야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예에 의하면, 내 샷시축의 하안내레일이 외 샷시측의 하안내레일에 평행하게 하틀에 병설되도록 하였으므로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이행할 때, 내 샷시 전체를 실내측으로 변위시키는 조작을 필요로하고, 따라서 개방조작이 번잡하여, 내 샷시의 변위상의 필요성 때문에 중량이 큰 내 샷시를 이용하는데는 부적당하다.
본 발명은 외 샷시의 중량을 하틀에 걸리게 하는 한편, 내 샷시의 중량은 상틀에 걸리게하여 샷시의 총중량을 상틀과 하틀로 분산시키고, 이에 따라 창틀의 겉보기 폭을 좁게해도 문제가 없는 동면 엇당김샷시(同面引違 sash)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예에서와 같이 내 샷시 전체를 실내측에 변위시켜 샷시 개방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는 동면 엇당김 샷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claim 1항) 취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면 엇당김 샷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상의 엇당김 샷시는 창틀(A)에 외(外) 샷시(B)와 내(內) 샷시(B')를 조합하여 구성한 것으로(제1도 참조, 제1도는 각 부재의 배치관계를 보이고 있으므로 제1도와 기타 도면을 대조하여 보면 이해가 용이할 것임) 이중 창틀(A)에 예컨대 제2도 또는 제15도와 같이 상틀(1), 하틀(2) 및 좌우의 선틀(3, 3')을 상호 조립부착되고 또한 샷시(B, B')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R)가 설치되어 있다.
창틀(A)의 개구부(R)는 상틀(1)의 옥외단부편(1a), 하틀(2)의 옥외단부편(2a) 좌선틀(3)의 옥외단부편(3a) 및 우선틀(3a')의 옥외단부편(3a')로 구성되고, 각 옥외단부편(1a, 2a, 3a, 3a')의 선단 즉, 상기 개구부(R)의 가장 자리부를 옥내측면에 서로 연통되는 제1취부홈(4, 4', 4'', 4''')을 설치하고, 이들에 제1조임재(5)를 취부하여 상기 개구부(R)를 둘러 싸도록 배치하고 그 선단(5')을 옥내방향으로 제1취부홈(4, 4', 4'', 4''')으로부터 돌설(突設)한다.
또한, 제2도, 제5도, 제6도, 제15도, 제20도 등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틀(1), 하틀(2) 및 좌우의 선틀(3, 3')의 상기 옥외단부편(1a, 2a, 3a, 3a')측에 선단이 이 옥외단부편(1a, 2a, 3a, 3a')의 선단보다 외측, 즉 창틀(A)의 외주측에 위치한 수납편, 즉, 받이멈춤부편(受止部片)(1b, 2b, 3b, 3b')을 설하고, 이 멈춤부편(1b, 2b, 3b, 3b')의 옥내면측에 상호 연통하는 제2취부홈(6, 6', 6'', 6''')을 설치하고, 이들에 제2조임재(7)를 취부하여 제2조임재(7)의 선단(7')을 제2취부홈(6, 6', 6'', 6''')으로부터 옥내 방향으로 돌설한다.
상기 외샷시(B)는 윗막이(8) 즉 상레일 아랫막이 즉, 하레일(9), 창살(10) 및 선대(10') 그리고 글래스판넬(11)을 서로 취부하여 구성한 것으로(제2도, 제4도, 제23도 및 제26도 참조) 이중 글래스판넬(11)은 내외의 조임재(12, 12') 사이에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2도, 제4도, 제23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샷시 폐쇄시에는 외샷시(B)의 상레일(8), 하레일(9) 및 선대(10')가 상레일(8), 하레일(9) 및 선대(10)의 각각의 외단부편(8a, 9a, 10a')의 단부를 향하여 상틀(1), 하틀(2) 및 좌선틀(3)의 옥외단부편(1a, 2a, 3a)으로부터 개구부(R)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창틀(A)의 바깥주의 가까이 위치되게 배치한다.
또한, 창살(10)의 외면측에는 선대(10')측에 점차 끌려들어가도록 하여 횡단면 개단상의 제1단부(13a) 및 제2단부(13b)를 설치하고, 이 제1단부(13a)에는 막이부제2취부홈(6b)를 설하고, 이 취부홈(6b)에 샷시 폐쇄시에 상기 제2조임재(7)와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는 중앙 제2조임재(14)를 취부하여 그 선단(14')을 옥내방향으로 돌출되게 하며, 제2단부(13b)의 창살(10)의 옥내단 사이에 창살 외면(13c)에는 상하 한 쌍의 L형의 중간 수납편(15, 15')(제3도)와 상·하 1쌍의 분리수납편(16, 16')(제2도)를 우선틀(3') 방향으로 돌설한다.
또한 창살(10)의 옥외단부편(10a)에 가까운 선틀(3) 측의 일단에는 선단(17')이 외샷시(B)의 상기 외 타이트재(12)에 접촉하고 외 샷시(B) 폐쇄시에 샷시(B)의 제1조임재(5)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어 제3의 중앙 조임재(17)의 선단부(17')와 접촉되도록 되어 중앙 제2라이트제(17)를 취부하며, 제1단부(13a)로부터 우선틀(3') 방향에 돌출하는 옥외단부편(10a)의 다른 일단에는 샷시 폐쇄시에 선단(18')가 내 샷시(B')의 외조임재(12)에 접촉하며, 또한 제1조임재(5)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중앙 제1조임재(18)를 취부한다.
한편,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살(10)의 옥외측의 상하 양단에는 블럭체(19, 19')를 취부하고, 이 블럭체(19, 19')에 중앙 제1조임재(18)와 중앙 제3조임재(17)의 각각의 단부 사이에 가설한 제1조임재(20, 20')와 중앙 제2조임재(14)의 단부에 연속케한 제2조임재(21), (21')와를 각각 취부하고 샷시 폐쇄시에 제1조임재(20, 20')가 상기 제1조임재(5)에, 제2조임재(21, 21')가 상기 제2조임재(7)에 접촉하여 외샷시 창살(10)과 상·하틀(1, 2) 사이에서 캡을 봉하는 수(水) 기밀효과를 얻도록 한다.
외샷시(B)는 상레일(8)의 상외단부편(8a')을 상틀(1)의 옥외단부편(1a)과 멈춤부편(1b)으로 구성한 상안내부(22)에 계합케하고 또한, 밑막이(9)의 하외단부편(9a')을 하틀(2)의 옥외단부편(2a)과 멈춤부편(2b)으로 구성한 하안내부(22')에 각각 계합케하고, 하레일(9)의 옥외내측에 설한 하차(23)를 하틀(2)에 돌설한 안내레일(24) 위에 전동 자재로 창틀(A)에 조립취부하고, 상·하레일(8, 9)의 상기 외단부편(8a, 9a')의 선틀(3, 3') 사이의 방향 중앙의 옥내면측에 좌우로 테이퍼를 구비한 외샷시 중앙드로잉편(25, 25')을 돌설하며, 샷시 폐쇄시에 이들 중앙드로잉편(25, 25')이 옥내외 방향으로 겹쳐 맞도록 외샷시 중앙수납편(26, 26')를 상기 멈춤부편(1b, 2b)상에 왼쪽반의 중앙에 드로잉편(25, 25')과 대칭되게 설한다(제23도, 제24도, 제25도 참조).
샷시 폐쇄시에는 외샷시드로잉편(25), (25')의 양측에는 상기 외단부편(8a', 9a')의 옥외면측에 상기 드로잉편(25, 25')과 대략 같은 모양으로 좌우로 테이퍼 가장자리를 구비한 스페이서(27, 27', 27'', 27''')를 돌설하고, 이 스페이서(27, 27')가 접촉하는 돌조(28, 28')를 상기 상·하틀의 상기 옥외단부편(1a, 2a)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옥내방향으로 향하여 돌설하고, 이 돌조(28, 28')의 좌선틀(3)측의 1반쪽에는 샷시 폐쇄시에 상기 스페이서(27, 27')의 놋치(notch) 즉, 끼음부(29, 29')를 설치한다(제26도, 제27도 참조).
상기 내 샷시(B')는 상레일(30), 하레일(31), 창살(32) 및 선대(32') 및 글래스판넬(11')을 상호 조립취부하여 구성한 것으로(제2도, 제15도, 제20도 참조) 글래스판넬(11')은 외 샷시(B)의 글래스판넬(11)과 같이 옥내외의 조임재(12, 12') 사이에 게재시킨다.
또한, 제2도 및 제1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샷시 폐쇄시에 창살(32)을 제하고, 각각의 레일(30, 31, 32')의 옥외단부편(30a, 31a, 32a')의 선단은 상기 외 샷시(B)와 대략 같은 상틀(1), 하틀(2) 및 우선틀(3')의 옥외단부편(1a, 2a, 3a')로부터 개구부(R)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한다.
창살(32)은 외 샷시(B)의 창살(10)의 옥외단부편(10a)의 횡폭내에 들어 가도록 되어 있다.
내 샷시(B')는 상틀(1)에 설한 상안내레일(33)을 따라 이동하는 창살측 걸이차(34)로 앞측걸이차(35) 및 상안내제(36)를 상기 상레일(30)에 취부하고 하틀(2)에 설한 하안내홈(37)을 따라 이동하는 창살측 하안내제(38) 및 호앞측 하안내제(39)를 상기 아랫막이(31)에 취부하고, 이들 걸이차(34, 35) 및 안내제(36, 38, 39)의 이동에 수반하여 개방시에 외 샷시(B)에 병렬하여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 안내레일(33)은 예컨대 제6도, 제15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틀(1)의 옥내단부편(1c) 및 이 옥내단부편(1c)과 상기 받이멈춤부편(1b)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중간부편(1a)의 하단을, 안내간격(40)을 두도록 하여 상대방 방향으로 굴곡하여 형성한 수평부편으로 구성하고, 이 상안내레일(33)을 구성하는 상기 중간부편(1a)과 옥내단부편(1c)의 수평부편의 상기 좌선틀(3')측의 상틀(1)의 단부를 절결(41)하고, 이 끼움부(41)에 상보조블럭(42)을 맞춰 꽉 끼우며, 이것을 스크류(43)로 상기 상틀(1)에 체결 부착하며(제20도, 21도 참조), 상 보조블럭(42)에 설한 굴곡간격(44)의 일단을 상기 안내간격(40)에 일치시키며, 다른 일단을 상틀(1)의 옥외단부편(1)에 인접시킨다.
즉, 상안내레일(33)은 외 샷시(B)의 상안내부(22)와 옥내측에서 평행되게 배치하고, 상안내레일(33, 33') 사이의 안내간격(40)은 상호 보조블럭(42)으로 구성한 굴곡간력(44)에 연통되어 있고, 상기 각 걸이차(34, 35)는 상안내레일(33, 33')을 따라 주행하는 한편, 상안내제(36)는 안내간격(40) 및 굴곡 간격(44)에 계합되어 이들 간격(40, 44)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안내홈(37)은 예컨대 제6도, 제11도,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틀(2)의 옥내단부편(2c) 및 이 옥내단부편(2c)에 인접하는 중간부편(2d)에 의해 구성되고, 상안내레일(33)과 상안내부(22)와의 관계와 같이 외 샷시(B)의 하안내부(22')와 옥 내측에 평행하게 배치한 것이다.
이 하안내홈(37)을 구성하는 상기 중간부편(2d)의 대략 중앙에, 즉, 샷시 폐쇄시에 외 샷시(B)의 창살(10)과 내 샷시(B')의 창살(32)이 겹쳐 합쳐지는 부분에 상기 창살 측 하안내제(38)의 제1로울러(38a)가 하틀(2)의 상기 중간부편(2d)과 이 중간부편(2d)의 옥외측에 배치한 상기 안내레일(24)로 구성하는 홈(45)에 출입하는 출입절결(出入切缺)(46) 즉, 출입용 놋치(notch)를 설한다(제6도, 제11도 참조).
또한 제22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우선틀(3') 즉 중간부편(2d)과 안내레일(24)의 하틀단부에 상기 놋치를 형성하고 이(41')에 상보조블럭(42')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하보조블럭(42')을 끼워 맞추고 이것을 스크류(43')로 하틀(2)에 체결부착하고, 상기 하보조블럭(42')에 설한 굴곡홈(47)의 일단을 상기 하안내홈(37)에 일치시키며, 다른 일단측의 개구단(47')을 안내레일(24)의 옥외측에 설한 하틀(2)의 상기 받이 멈춤부편(2b)에 인접시키며, 이 개구단(47')을 하보조블럭(42)과 받이멈춤부편(2b)과의 사이의 간격(48)을 통하여 받이멈춤부편(2d)에 설한 드레인 공(孔)(49)에 연통시킨다.
창살측 하안내제(38) 및 호(戶) 앞측 하안내제(39)는 하안내홈(37)을 따라 이동하고, 제2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 앞측 하안내제(39)는 이 하안내홈(37)과 연통하는 굴곡홈(47)을 출입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드레인 공(49)은 하틀(2)의 옥외단측 하단에 설한 배수구(50)를 통하여 옥외와 연통되어 있다(제22도).
상기 창살측 걸이차(34)(제7도, 8도 및 제9도 참조)는 상기 상안내레일(33)을 따라 전동하는 차륜(34a)을 차측(51)에 의해 회동자재로 주착한 주체틀(52)의 창살(32)측의 일단에 잠금겸용의 상부 드로잉로울러(53)를 회동자제로 주착하고, 주체틀(52)의 중간부에는 샷시 지지편(54)의 기단축을 지지축(55)으로 회동자재로 추착하며, 이 지지축(55)과 상기 상부드로잉로울러(53)와의 사이에 코일스프링(56)을 부세시킨 제1스톱퍼(57)를 임의대로 올리고 내리는 등 기복(起伏) 자재로 설치한다.
또한, 주체틀(52)의 선틀(32°)측의 일단에는 상기 안내간격(40)을 통하여 지지부편(58)을 걸어 설하고, 이 지지부편(58)에 로울러(59)를 상기 샷시 지지편(54)의 중간부에 설한 제1호상홈(弧狀溝)(60)에 계합한다.
이 제1호상홈(60)에 인접시켜 상기 지지축(55) 사이에 개재시켜 상기 주체틀(52)에 걸어 설한 제2스톱퍼(62)를 계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샷시 지지편(54)의 선단에 측핀(63)을 걸어 설하고, 이 축핀(63)에 각통상(角筒狀)의 중개틀(64)을 느슨하게 조립 부착하며, 이 중계틀(64)을 내 샷시(B')의 상레일(30)에 고정한 접속블럭(65)에 종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조립부착하고, 이 접속블럭(65)에 상레일(30)의 하면으로부터 관통시킨 조절스크류(66)의 선단을 상기 중계틀(64)에 나합시킨다.
다시말해, 내 샷시(B')의 창살(32)측은 샷시 지지편(54)을 사이에 두고 창살축 걸이차(34)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스톱퍼(57)는 샷시 폐쇄시에 상기 상틀(1)의 중앙부, 즉 안내간격(40)의 바로 위에 설한 돌출부가장자리(67)에 상단(57')이 당접되어 상기 코일스프링(56)에 대항하여 엎드려 있고, 샷시 개방시에는 코일스프링(56)의 단턱에 의해 기립하여 하단(57'')이 상기 샷시 지지핀(54)의 기단(54')의 옥내단면에 당접하여 샷시 지지편(54)의 지지축(55)을 지지점으로 하는 일방향(제9도에서와 같은 반시계방향)의 회동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고, 샷시 개방시에는 다른 일방향(제9도에서의 시계방향)의 회동은 상기 제2스톱퍼(62)가 제2호상홈(61)의 측벽구성부의 옥외단에 종설한 돌조(68)에 계지하여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절스크류(66)는 이를 조작함에 따라 내샷시 상레일(30)과 상틀(1)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고, 도시한 부호(69)는 덮개판을 나타낸다.
상기 호 앞측 걸이차(35)는 상기 창살측 걸이차(34)와 상안내제(36) 사이에서 상안내제(36)측에 배치되고, 제18도 및 제19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안내레일(33)을 따라 전동하는 차륜(35a)을 차측(70)에 의해 회동자재로 티붓팅 착설된 주체틀(71)에 분기부편(分岐部片)(71', 71'')을 걸어 설하고 이 분기부편(71, 71'')에 각각 받이 지지로울러(72, 72')를 옥내외 방향으로 회동자제로 피봇팅설치하여 구성한 것으로 내샷시(B')의 상레일(30)의 상면에 샷시 지지틀(73)을 돌설하고, 이 샷시 지지틀(73)에 상대하여 입설(立設)한 한 쌍의 지지부편(73', 73'')을 옥외방향으로 향하여 돌설하여 받이 지지로울러(72, 72'')에 옥내외방향으로 이동자제로 받이 지지시킨다.
즉, 내 샷시(B')의 선대(32')측은 샷시 지지틀(73)을 사이에 넣어 호앞 축 걸이차(35)에 옥내외 방향 변위 자재로 받아 지지시킨다.
상안내제(36)는 제20도 및 제2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 샷시(B')의 호 앞에 기간을 회동자재로 취부항 아암편(片)(74)의 선단에 로울러(36a, 36a')를 회동자재로 추착하여 구성하고 내 샷시(B')의 호 앞 즉 선대(32')축 상부는 상기 안내간격(40) 및 굴곡간격(44)을 따라 이동하는 상안내재(36)의 로울러(36a), (36a')에 규제되어 선틀(3, 3') 사이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창살측 하안내제(38)는 제6도, 제10도 및 제11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창살(32)에 스크류(43'')로 지착(止着)한 취부편(74)의 수평부편(75')에
Figure kpo00005
자형의 완편(76)의 기단을 회동자재로 피봇팅설치하고, 이 아암편(76)의 선단측에 상기 제1로울러(38a)와 제2로울러(38)를 나란히 회동자재로 착설한다.
각 로울러(38a, 38b)를 상기 하 안내홈(37)에 계합하고, 제1로울러(38a)는 샷시 폐쇄시에 상기 출입절결(46)을 통하여 홈(45)에 이동하여 샷시(B, B')에 의한 개구부(R)의 폐쇄조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내 샷시(B')의 창살측 하부는 이 창살측 하 안내제(38)에 의해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한편, 부호(77)는 취부편(75)의 상기 수평부편(75')을 받는 받이지지로울러로서, 이 받이지지로울러(77)는 받이 멈춤부편(2b)과 안내레일(24) 사이에서 하틀(2)에 회동자제로 착설된다.
호 앞축 하 안내제(39)는 주로 제22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호 앞측 안내제(39)는 상기 상 안내제(36)와 대략 같은 모양으로 구성되고, 기단을 호 앞에 회동자재로 착설한 아암편(78)의 선단에 회동자재로 추착한 로울러(39a, 39a')를 하 안내홈(37)에 계합하여, 이 하 안내홈(37)과 이에 연통하는 굴곡홈(47)을 따라 내 샷시(B')의 호 앞, 즉 선대(32')측 하부를 안내한다.
도시된 부호(79)는 샷시 폐쇄시에 상기와 같이 외 샷시(B)의 창살(10)의 횡폭내로 수납되는 내 샷시(B')의 상기 창살(32)의 상하방향의 대략 중앙에 설한 길이로 된 긴 구멍으로 이 긴구멍(79)을 막지않도록 앉음틀
Figure kpo00006
(80)을 취부하며, 이 앉음틀(80)에 조작핸들(81)을 지지시킨다(제12도, 제14도 참조).
이 조작핸들(81)의 회동축(82)의 선단에 피니언(83)을 설하고, 이 피니언(83)에 치합하는 상ㆍ하 랙크(84, 84')의 기판(84a, 84a')에 설한 절결(85, 85') 상하 중개편(86, 86')의 부편(86a, 86a')를 계합하고, 상ㆍ하의 중개편(86, 86')는 각각 상하 종동간(縱動杆)(87, 87')의 하단 또는 상단을 취부한다(제14도 참조).
제5도 및 제7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종동간(87)의 상단에는 상 드로잉부재(88)를 취부하고, 또한, 하종동간(87')의 하단에는 제5도 및 제10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하 드로잉부재(88')를 각각 취부한다.
상 드로잉부재(88)의 상단에는 상기 상 드로잉로울러(53)를 계리하는 잠금겸용의 상 드로잉편(89)을 설하고, 하 드로잉부재(88')의 하단에는 하틀(2)에 설한 안내레일(24)을 계지하는 잠금 겸용의 하드로잉편(89')을 설한다.
부호 90은 상기 상 드로잉부재(88)의 하단에 샷시 폐쇄시에 있어서의 샷시(B)의 창살(10) 방향으로 돌설한 상 분리돌자(90')(제5도, 제7도 참조)는 하 드로잉부재(88')의 상단에 상 분리돌자(90)와 같이 창살(10) 방향으로 돌설한 하 분리돌자(제2도, 제5도, 제10도 참조)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샷시의 폐쇄시에는 이들 돌자(90, 90')와 선틀(3, 3') 사이의 방향에 접촉하여 상호 겹쳐 맞추어 상ㆍ하 분리수납편(16, 16')을 상기와 같이 외 샷시 창살(10)의 상기 내면(13c)에 설한다.
또한, 도시한 부호(91, 91')는 상ㆍ하 종동간(87, 87')의 중간부에 설한 상ㆍ하 중간드로잉로울러(제3도 참조. 이 제3도는 하 중간 드로잉로울러(91')를 나타내고 있다)이고, 이 중간드로잉로울러(91, 91')가 계지하는 상ㆍ하 중간드로잉받이편(15, 15')를 상기 드로잉받이편(16, 16')와 같이 창살내면(13c)에 상기와 같이 설하고, 중간드로잉로울러(19, 19')는 중간드로잉받이편(15, 15')에 압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 압접시에 내 샷시(B')의 창살(32)의 외단부편(32b)에 압접하는 중앙 제2조임재(14)를 상기와 같이 외 샷시(B)의 창살(10)의 제1단부(13a)에 설한다(제2도 참조).
부호 92는 상 드로잉부재(88)의 상부에 일단을 취부한 상판스프링(제7도 참조(92')는 하 드로잉부재(88')의 합부에 일단을 취부한 하판스프링(제10도 참조)이고, 상판스프링(92)의 다른 일단은 상접속편(93)의 기단에 취부하고, 이 상접속편(83)의 선단에 상 횡동간(94)의 기부를 취부하는(제15도 참조) 상횡동간(94)은 전술한 제2조임재(7)를 붙였다 떼었다 하는 내 샷시 상레일(30)의 외 단부편(30b)가 옥외측벽을 구성하는 상 횡 안내홈(95a)에 상기 상 종동간(87)과 같이하여(즉, 창살(32)에 설한 종 안내홈(95)에 상 종동간(87)을 개합한 것과 같이하여) 계합하고(제7도, 15도, 16도 참조), 이 상횡동간(94)의 선단에 상 중간부드로잉(96)을 취부한다.
상 중간부드로잉(96)은 제15도 및 제16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옥외측에 서서 올라가는 입상부편(96a)을 구비하고, 이 입상부편(96a)의 중간부에 상 중간드로잉받이편(7)의 출입절결(98)을 설한다.
상 중간부드로잉받이편(97)은, 상틀(1)의 우선대(3')측에 대략 중간부로서, 중간부편(1a)의 대략 바로 아래에서 상기 상틀(1)에 걸어 설한 것이다(제15도 참조).
상기 하판 스프링(92')의 다른 일단은 하 접속편(93')의 기단에 취부하고, 이 하접속편(93')에 하횡동간(94')의 기부를 취부한다.
하 횡동간(94')은 상 횡동간(94)을 상 횡 안내홈(95a)에 계합한 것과 같이 상기 제2조임재(7)를 붙이고 떼는 하레일(31)의 외 단부편(31b)이 옥외측벽을 구성하는 하 횡 안내홈(95b)에 계합한다(제10도, 15도 참조).
이하 횡동간(94')의 선단에 하 중간부드로잉편(96')을 취부한다.
하 중간부드로잉(96')은 상 중간부드로잉(96)과 대략 같이 구성한 것으로, 제15도 및 제17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옥외측에 수직 걸이편(96a')을 구비하고, 수직걸이편(96a')의 중간부에 하 중간부드로잉받이편(97')의 출입절결(98')을 설한다.
하 중간부드로잉받이편(97')은 상기 상 중간부드로잉받이편(97)과 상하방향대칭위치에 배치하고, 하틀(2)에서 우선틀(3')과 샷시 폐쇄시에 있어서의 외샷시(B)의 창살(10) 위치와의 대략 중앙부로서 밑틀받이 멈춤부편(2b)의 근방에서 상기 하틀(2)에 입설한 것이다(제15도 참조).
부호 99는 외 샷시(B)보다 항상 옥내측에 존재하는 내 샷시(B')의 창살(32)의 외 샷시 창살(10)과의 대향면(32e)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설한 지지편(제12도, 14도 참조)이며, 이 지지편(99)의 1쌍의 수평부편(99a, 99a') 사이에 규제편(100)의 기부를 계합하여 이 규제편(100)을 상기 수평부편(99a, 99a')에 측(101)에 의해 회동자재로 착설한다.
규제편(100)은 중앙부편(100a)과 이 중앙부편(100a)의 상ㆍ하로 연설한 규제부편(100b, 100b')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홈상의 틀제로 이루어지고, 중앙부편(100a)의 외측에는 종방향을 따라 돌부편(100')을 설하여 구성한 것으로, 규제부편(100b, 100b')의 선단측을 축(101)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편(99)에 회동자재로 착설하고, 축(101)에 말아서 감은 코일 스프링(102)에 의해 제12도의 시계방향, 즉 전술한 돌부편(100')이 대향면(32e)으로부터 떨어져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탄지시키며, 코일스프링(102)의 탄력에 의해 상기 규제부편(100b), (100b')은 전술한 상 중개편(86) 및 하중개편(86')의 종동궤적 위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상중개편(86)의 하단에 상 규제부편(100b)이 계지하는 상 규제받이편(103)을 하중개편(86')의 상단에 하규제부편(100b')이 계지하는 하 규제받이편(103')을 각각 외 샷시 창살(10) 방향으로 돌설한다.
또한, 제2도에서와 같이, 좌ㆍ우 선틀(3, 3')의 전술한 받이멈춤부편(3b, 3b')와의 사이의 적당한 곳에는 로울러틀(104)을 설하고, 이 로울러(104)를 내외 샷시(B, B')의 선대(10', 32')의 옥내단부편(10c', 32c')을 누르는 드로잉보조로울러(104a)를 회동자재로 착설한다.
또한, 부호(105)는 좌선틀(3)의 옥내측에 우선틀(3') 방향으로 회동자재로 지지한 핸들로서, 이 핸들(105)과 일체로 하여 아암편(106)을 설하고, 이 아암편(106)을 샷시 폐쇄시에 외 샷시(B)의 외측즉의 샷시 선대(10')의 외면에 설한 홈(107)에 계합하도록 하여 위치시키고, 이 아암편(106)의 선단에는 누름로울러(108)를 회동자재로 취부한다(제28도, 29도 참조).
부호 109는 전술한 드레인공(49)의 덮개이다.
다음, 각 부의 동작에 대해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9도, 11도, 18도, 20도-22도, 또는 제27도는 내 샷시(B')를 전부 개방 또는 부분개방한 상태일때의 각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제12도 및 제14도 중의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편(100)은 코일스프링(102)에 탄지되어 제12도의 시계방향으로 축(101)을 지지점에 회동하고, 이 규제편(100)의 상 규제부편(100b)은 상 규제받이편(103)에, 하 규제부편(100b')은 하 규제받이편(103')에 각각 계지하고, 상 규제받이편(103)에 상 중개편(86)을 사이에 넣고 취부한 상 종동간(87)은 상승을 규제받으며, 하 규제받이편(103')에 하 중개편(86')을 사이에 넣고 취부한 하 종동간(87')은 하강을 규제받는다.
즉, 상ㆍ하 중개편(86, 86')는 상ㆍ하 택크(84, 84')를 사이에 넣어 피이언(83)에 연계시킨다.
상기 규제에 의해 조작핸들(81)을 잘못 회동시킨다 해도 이 핸들(81)의 회동조작은 될 수 없도록 방지한 것이다.
또한, 한편 제1스톱퍼(57)의 하단(57'')이 샷시 지지편(54)의 기단(54')의 옥내단면에, 제2스톱퍼(62)가 돌조(68)에 각각 계지되는 상태로 되고 샷시 지지편(54)의 회동은 저지된다.
따라서 호 앞측 걸이차(35)에 대하여 내 샷시(B')의 선대(32')측은 창살(32)측과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상 안내재(36)의 아암편(74), 창살측 하 안내재(38)의 아암편(76), 호앞측 하 안내재(39)의 아암편(78)의 각각의 회동은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내 샷시(B')와 서로 엇당겨지는 상태에 있는 외 샷시(B)를 좌 선틀(3) 방향으로 누르면, 외샷시(B)는 하차(23)의 안내레일(24)위를 따라 전동함에 의해 좌선틀(3) 방향으로 이동하고, 선대(10')의 옥내단부편(10c')의 좌선틀(3)에 설한 드로잉보조로울러(104a)에 접촉한다.
또한, 상레일 상외단부(8a')의 하레일 하외단부(9a')에 설한 스페이서(27, 27')가 놋치(29, 29')와 부분적으로 옥내의 방향으로 겹쳐 합쳐지고, 여기에 외 단부편(8a', 9a')에 설한 외 샷시 중앙 인기편(25, 25')의 외샷시 중앙 드로잉받이편(26, 26')과 부분적으로 옥내의 방향으로 겹쳐 합쳐져서 제2도, 제4도 또는 제23도에서와 같은 폐쇄상태의 직전상태로 된다.
이 상태로부터 또는 외 샷시(B)의 좌선틀(3) 방향으로의 이동조작과 동시에 내 샷시(B')를 우선틀(3') 방향으로 이동, 즉, 폐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창살측 걸이차(34)의 차륜(34a) 및 호 앞측 걸이차(35)의 차륜(35a)은 상 안내레일(33을 따라 주행하고, 상 안내재(36)의 로울러(36a)는 안내간격(40)을 따라 이동하고 굴곡간격(44)내로 전진한다.
또한, 창살측 하 안내재(38)의 로울러(38a, 38b)는 하 안내홈(37)을 따라 이동하고(제1로울러(38a)는 제11도에서와 같이 출입절결(46)부에 이른다). 호 앞측 하 안내재(39)의 로울러(39a)는 하 안내홈(37)을 따라 이동하여 굴곡홈(47)내로 전진하며, 선대(32')의 옥내단부편(32c')은 외 샷시(B)의 선대 옥내단부편(10c')과 같이 드로잉보조로울러(104a)에 접촉하고 내 샷시(B')는 제9도 및 제11도에서 부분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A)에 대하여 고차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단(57')이 돌연(67)에 당접하여 제1스톱퍼(57)는 코일스프링(56)에 대향하여 엎드리고, 샷시지지편(54)의 기단(54') 옥내단면으로부터 벗어나서, 이와 동시에 샷시 지지틀(73) 즉, 선대(32')측은 호 앞측 걸이차(35) 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고, 각 아암편(74, 76, 78)의 움직임에 대한 규제는 해제된다.
다음, 조작핸들(81)을 눌러 내 샷시(B')의 창살(32)부를 옥외방향, 즉 외 샷시(B)의 창살(10) 방향으로 누르면, 창살측 하 안내재(38)의 제1로울러(38a)는 출입절결(46)을 통하여 홈(45)내로 이동하며, 내 샷시 선대(32')는 외 샷시 선대(10')와 같이 드로잉보조로울러(104a)와 우선틀(3')의 받이멈춤부편(3b') 사이에 겨우 끼워진다.
한편, 돌부편(100')이 외 샷시 창살(10)의 옥내단면에 계지하여 코일스프링(102)에 대항하여 규제편(100)은 회동하고, 규제편(100)의 상하 규제부편(100b), (100b')은 상ㆍ하 규제받이편(103), (103')의 규제를 해제하고, 조작 핸들(81)은 회동조작 가능상태로 된다.
다음, 조작 핸들(81)을 회동시키면, 회동축(82)에 취부한 피니언(83)이 회동하여 상ㆍ하 택크(84, 84')를 종동시키고, 상 택크(84)의 상승에 따라 상중개편(86)을 사이에 넣으면 상종동간(87)은 상승하고, 이 상종동간(87)에 연결한 드로잉부재(88)도 상승한다.
이 상인기재(88)에 설한 상 분리돌자(90)는 상 분리받이편(16)에 접촉하고 중합하며, 또한 하 랙크(84')의 강하에 따라 하 중개편(86')을 사이에 넣어 하종동간(87')은 강하하고, 이 하종동간(87')에 연결한 하 드로잉부재(88')도 하강하며, 이 하 드로잉부재(88')에 설한 하 분리돌자(90')는 하 분리받이편(16')에 접촉하여 종합하며, 상 분리돌자(90)와 상 분리받이편(16) 사이의 종합접촉 및 하 분리돌자(90')와 하 분리받이편(16') 사이의 종합접촉에 의해, 내 샷시(B')는 우선틀(3') 방향으로 외 샷시(B)는 좌선틀(3) 방향으로 눌러지며, 내외 샷시(B, B')의 선대(10', 32')는 보조로울러(104a)와 받이멈춤부편(3b, 3b')에 끼워져 내외 샷시(B, B')의 선대(10', 32') 측은 옥외방향으로 드로잉되며, 이와 동시에 외 샷시(B)의 위 아래막이(8, 9) 스페이서(27, 27')는 놋치(29, 29')에 계합되고, 외 샷시 중앙드로잉편(25, 25')이 중앙드로잉받이편(26, 26')에 옥내외 방향으로 겹쳐 합쳐져서 외 샷시(B')의 상ㆍ하레일(8, 9)의 중앙부도 옥외방향으로 드로잉된다. 외 샷시(B)의 창살부(10)도 다음에 설명할 상ㆍ하 중간드로잉받이편(15, 15')과 상ㆍ하 중간드로잉로울러(91, 91')와의 압접관계에 의해 옥외 방향으로 드로잉되어 외 샷시(B) 전체로서 옥외방향으로 드로잉되면, 외 샷시(B)의 상레일(8), 하레일(9) 및 선대(10')외 각 옥외단부편(8a, 9a, 10a')측의 외 조임재(12)가 제1조임재(5)에 접촉하고, 창살(10)의 상ㆍ하 양단에 설한 제1조임재(20), (20')가 제1조임재(5)의 상ㆍ하틀쪽에 접촉한다.
또한, 상레일(8), 하레일(9) 및 선대(10')의 외단부편(8b, 9b, 10b')이 제2조임재(7)에 접촉하고, 창살(10)의 상ㆍ하 양단에 설한 제2조임재(21, 21')가 제2조임재(7)의 상ㆍ하틀 부측에 접촉하고, 외 샷시(B)와 창틀(A) 간의 옥내외 이중의 수기밀(水氣密) 라인상태로 된다.
또한, 상 드로잉부재(88)의 상승에 따라 이 드로잉부재(88)에 취부한 상 드로잉편(89)은 제5도 또는 제7도에 보는 바와 같이 상부드로잉로울러(53)에 접촉하고, 하 드로잉받이편(88')의 강하에 의해 이 드로잉재(88')에 취부한 하 드로잉받이편(89')은 제5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하틀(2)에 설한 안내레일(24)에 접촉하여 내 샷시(B')의 창살(32)의 상부와 하부는 드로잉되고(선대(32'))측은 드로잉보조로울러(104A)에 압접함에 따라 우선틀(3')의 받이멈춤부편(3b')측에 드로잉된다.
또한, 창살(32)의 중간부는 상ㆍ하 종동간(87, 87')에 설한 상ㆍ하 중간드로잉로울러(91, 91')가 외 샷시 창살(10)의 내면(13c)에 설한 상ㆍ하 중간드로잉받이편(15, 15')에 압접하여 옥외방향으로 드로잉된다.
또한, 상기 상 드로잉부재(88)의 상승에 수반하여 상판스프링(92)을 사이에 넣어 상횡동간(94)은 선대(32')(우선틀 3') 방향으로 전진하고, 상회동간(94)에 취부한 상 중간부드로잉(96)은 상기 내 샷시(B')의 옥외방향으로의 누름 변위 조작에 의해 출입절결(98)을 통하여 입상부편(96a)의 옥내측에 위치한 상 중간부드로잉받이편(97)의 옥외측면에 압접한다.
또한 상기 하 드로잉부재(88)의 강하에 수반하여 판스프링(92')을 사이에 넣어 하 횡동간(94')은 선대(32') 방향으로 전진하고, 이 하 횡동간(94')에 취부한 하 중간부드로잉(96')은 전술한 내 샷시(B')의 옥외 방향으로의 누름변위조작에 의해 출입 절결(98')을 통하여 수직걸이편(96a')의 옥내측에 위치한 하 중간부드로잉받이편(97')의 옥외측면에 압접되며, 이들의 압접에 의해 내 샷시(B')의 상ㆍ하 레일(30, 31)의 중간부터는 옥외방향으로 드로잉된다.
또한, 전술한 각 부위 드로잉에 따라 외 샷시 창살(10)의 옥외단부재(10a)에 구비한 중앙 제1조임재(18)에 내 샷시(B')의 외 조임재(12)가 접촉하고, 이 외 조임재(12)에 외 샷시(B)와 같이 상ㆍ하틀(1, 2)의 옥외단부편(1a, 2a) 및 우선틀(3')의 옥외단부편(3a')에 설한 제1조임재(5)가 접촉하며, 또한 외 샷시(B)와 대략 같이 상레일(30), 하레일(31) 및 선대(32')의 외단부편(30b, 30b, 32b')가 제1조임재(7)에 접촉하여 상기 외 샷시(B)와 창틀(A)간의 옥내외 이중의 수기밀라인 상태와 동일한 평면상의 옥내외 이중의 수기밀라인 상태와 동일한 평면상의 옥내외 이중의 수기밀라인 상태로 되고, 외 샷시 창살(10)과 내 샷시 창살(32) 사이에는 내 샷시 창살(32)측의 전술한 외 단부편(32b)의 중앙 제2조임재(14)의 접촉과 전술한 중앙 제1조임재(18)에 대한 내 샷시 창살부(32)의 외조임재(12)의 접촉에 따라 옥내외 이중의 수기밀상태로 된다.
그리고, 개구부(R)(창)의 개방조작은 조작핸들(81)을 조작함에 의해 각 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면 내 샷시(B')는 외 샷시(B)의 옥내면측으로 이동하며, 또한 핸들(105)을 조작하면 아암편(106)은 이에 연동하여 회동되고, 이 아암편(106)에 설한 누름로울러(108)는 외 샷시(B)를 우선틀(3')에 누르고, 이 결과 스페이서(27, 27')의 놋치(29, 29')로부터 이탈, 즉 이 샷시(B)의 개방조직이 원활히 행해진다.

Claims (3)

  1. 상틀, 하틀 및 좌ㆍ우의 선틀을 서로 조립부착하여 개구부를 설한 창틀에 내 샷시(innr sash)와 외 샷시를 상기 개구부내에서 상호 엇당김이 자유로이 되어 조립 부착되도록 하고 아울러, 내 샷시를 일방의 선틀측에, 외 샷시를 다른 일방의 선틀측에 각각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폐쇄시킬때, 내외 샷시의 글래스판넬의 각각의 옥외단면이 서로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한 동면 엇당김(同面引遠) 샷시에 있어서, 상기 외 샷시를 하틀에 설한 하 안내레일상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한쌍의 하차(下車)에 의해 받아지지케 하는 한편, 내 샷시를 상틀에 설한 상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한쌍의 걸이차에 의해 받아지지시키며, 상기 하 안내레일로부터 옥내속에 위치시킨 상 안내레일의 일방의 선틀측의 단부와 이 일방의 선틀사이에 상기 하 안내레일 방향으로 점차 근접하도록 굴곡한 굴곡 간격을 설하고, 이 굴곡간격에 이 굴곡간격을 따라 이동하는 로울러를 계합하며, 이 로울러를 일단에서 회동자재로 부착시킨 아암편의 다른 일단을 상기 내 샷시의 선대측의 상단에 회동자재로 취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면 엇당김 샷시(同面引違 sash).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안내레일을 안내간격을 두어 옥내외 방향으로 나란히한 한쌍의 수평부편(水平部片)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면 엇당김 샷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간격과 상기 굴곡간격을 상호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면 엇당김 샷시.
KR1019900008158A 1989-06-13 1990-06-02 동면 엇당김 샷시(同面引違 sash) KR940003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49854A JPH0317369A (ja) 1989-06-13 1989-06-13 同面引違いサッシ
JP1-149854 1989-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207A KR910001207A (ko) 1991-01-30
KR940003269B1 true KR940003269B1 (ko) 1994-04-16

Family

ID=1548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158A KR940003269B1 (ko) 1989-06-13 1990-06-02 동면 엇당김 샷시(同面引違 sash)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H0317369A (ko)
KR (1) KR940003269B1 (ko)
DE (1) DE4018388C2 (ko)
FR (1) FR2648174B1 (ko)
GB (1) GB223270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550B1 (ko) * 2006-10-18 2007-08-29 (주)미리텍 2단의 문체가 동일선상으로 정렬되며 닫히는 미닫이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6514C2 (nl) * 1997-07-09 1999-01-12 Johannes Maria Musters Samenstel voorzien van een opening begrenzend kozijn en een ten opzichte van het kozijn verschuifbaar raam alsmede een werkwijze voor het openen en sluiten van een in een kozijn verschuifbaar raam.
CN2486689Y (zh) * 2001-07-18 2002-04-17 陆中选 一种新式改进型推拉平开多功能组合窗
WO2007119873A1 (ja) * 2006-04-12 2007-10-25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oration 走査型電子顕微鏡
DE102015106449A1 (de) * 2015-04-27 2016-10-27 Brombach + Gess GmbH & Co. KG Außenwandkonstruktion für Kabinen von Wasserfahrzeug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17312A (en) * 1940-10-18 1943-04-20 Andersen Corp Window construction
CH622855A5 (en) * 1977-08-05 1981-04-30 Karl Haab Cupboard with sliding doors
US4374210A (en) * 1981-09-18 1983-02-15 The Upjohn Company Polyurea-polyurethane from a mixture of a polyol, an aromatic diamine, and an isocyanate-terminated prepolymer
JPS58204282A (ja) * 1982-05-20 1983-11-28 昭和鋼機株式会社 引違い窓
JPS5991281A (ja) * 1982-11-15 1984-05-25 立山アルミニウム工業株式会社 引き障子の開閉装置
JPS6339577A (ja) * 1986-08-06 1988-02-20 Hitachi Ltd 耐熱性/耐酸性グルコアミラ−ゼを生産する嫌気性細菌
GB2194578A (en) * 1986-08-15 1988-03-09 Reytrac Ltd Sliding do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550B1 (ko) * 2006-10-18 2007-08-29 (주)미리텍 2단의 문체가 동일선상으로 정렬되며 닫히는 미닫이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207A (ko) 1991-01-30
GB2232705A (en) 1990-12-19
DE4018388C2 (de) 1995-08-24
FR2648174A1 (ko) 1990-12-14
FR2648174B1 (ko) 1995-06-30
DE4018388A1 (de) 1990-12-20
JPH0317369A (ja) 1991-01-25
GB2232705B (en) 1993-10-06
GB9011758D0 (en) 1990-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09363B1 (en) A bolting system for doors, windows and the like with blocking members automatically slided from the door frame into the wing
US6679002B2 (en) Retractable screen system
US3964784A (en) Sliding roof construction
US6427749B1 (en) Power-driven shutter assembly
US6161336A (en) Hinged and sliding door assembly for vehicles
US3934635A (en) Overhead door for a container having a vertical opening such as a truck trailer
US4591214A (en) Cabinet closure assembly
US5489134A (en) Automobile with movable roof storable in trunk lid
GB2203483A (en) A door hinge
US3466805A (en) Breakaway for a sliding closure
KR940003269B1 (ko) 동면 엇당김 샷시(同面引違 sash)
ITMI961472A1 (it) Dispositivo per l'azionamento di un tettuccio apribile di autoveicoli e simili
US7001001B1 (en) Cabinet
EP0367429A3 (en) Recreational vehicle door assembly
EP0823527B1 (en) Opening mechanism for coplanar doors
US6257651B1 (en) Hatchback door for a motor vehicle
JPS60104418A (ja) スライド式サンル−フ
KR930006406B1 (ko) 싱글 슬라이딩 샷시
JP2687313B2 (ja) 恒温槽
US6471258B1 (en) Latching mechanism of an anti-finger catching system
JPH09184360A (ja) 三連式引き戸装置
JPH02120487A (ja) 扉の走行案内装置
EP0383061B1 (de) Rolladen für ein Abdeckteil einer Wand- oder Dachöffnung, insbesondere für ein Dachfenster
CN216380901U (zh) 一种钢质门锁扣板调节组件
JP2676461B2 (ja) 引違い窓の連窓用窓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