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039Y1 - 티브이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 보정회로 - Google Patents

티브이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 보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039Y1
KR940003039Y1 KR2019910020816U KR910020816U KR940003039Y1 KR 940003039 Y1 KR940003039 Y1 KR 940003039Y1 KR 2019910020816 U KR2019910020816 U KR 2019910020816U KR 910020816 U KR910020816 U KR 910020816U KR 940003039 Y1 KR940003039 Y1 KR 940003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high pressure
unit
horizontal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0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452U (ko
Inventor
백관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10020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039Y1/ko
Publication of KR9300124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4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0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9Arrangements or assemblies in supply circuits for the purpose of withstanding high vol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티브이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 보정회로
제1도는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 영상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각부 파형도.
제3도는 종래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 보정회로의 블럭도.
제4도는 본 고안 티브이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 보정회로의 블럭도.
제5도는 제4도에 따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류부 2 : 정전압부
3 : 보정저항부 4 : 수평발진증폭부
5 : 수평출력부 6 : 고압출력부
7 : 고압검출부 8 : 고압제어부
9 : 수상관 10 : 보정저항 선택부
C1,C2 : 콘덴서 D1 : 다이오드
FBT : 플라이백 트랜스 FH: 수평주파수
L1 : 편향요크 OP1,OP2 : 오피암프
R0-R18 : 저항 T1 : 트랜스
Q1-Q6 :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티브이나 모니터의 편향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두운 배경에 밝은 화면이 있을때 이 양 화면의 경계면이 빔전류차에 따른 고압의 변동에 의해 일그러지는 경우 이것을 고압출력에 따라 피드백 제어된 보정저항값에 의해 보정함으로써 보정회로의 전력소모를 줄이고, 효율을 높이는데 적당하도록 한 티브이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티브이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 보정회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젼압을 정류하는 정류부(1)와, 정류부(1)에서 정류된 전압을 전압 변동을 보상하여 일정 전압을 출력하는 정전압부(2)와, 정전압부(2)및 고압출력부(5)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을 보정해주는 보정저항(R0)과, 수평주사에 필요한 신호를 증폭하는 수평발진증폭부(4)와, 수평편향 전류를 흘려 수평주사를 행하는 수평출력부(5)와, 고압안정화를 이루어 안정된 고압을 수상관(9)에 인가하는 고압출력부(6)와, 고압출력부(6)에서 출력된 고압을 검출하는 고압검출부(7)와, 고압검출부(7)에서 검출된 고압을 제어하여 고압출력부(6)에 인가하는 고압제어부(8)와, 수상관(9)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티브이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 보상회로의 작용을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티브이나 모니터의 화면에서 어두운 배경에 밝은 화면이 주사되는 경우 특히, 제1도와 같이 구형파의 화이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이 양화면의 경계면이 빔전류차에 따른 고압 변동으로 구형과 화이트 신호는 사다리꼴형이 되어 일그러지는데 이것을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이라 한다.
본래의 화이트 신호는 사각형에서 사다리꼴이 되는데 이것은 화이트 신호를 수신하는 브라운관에 부가된 고압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평진폭이 화면의 하측 방향에서 넓어지기 때문인데 이러한 일그러짐을 개선키 위해 제3도와 같이 정전압부(2)와 수평출력부(5) 사이에 일그러짐 보정저항(R0)을 삽입하여, 수평출력부(5)에 공급된 전류가 밝은 화이트 신호 기간 동안 증가할 때 수평출력부(5)의 입력 전압을 제2c도와 같은 평균전류의 증가분(△IDC)과 상기 보정저항(R0)의 곱(△IDC× R0)만큼 감소시켜 입력하며, 이 감소된 입력된 따라 수평편향 전류가 감소함으로써 화이트 신호기간중의 수평 증폭의 증가를 줄여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을 보정하게 된다.
그러나, 티브이나 모니터가 대형화 고급화되면서 일그러짐이 적은 안정된 화면을 얻기 위해 고안된 종래의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 보정회로는 고정된 저항을 정전압부와 수평출력부 사이에 직렬접속함으로써 고압발생기의 고압 출력 변동에 따라서 입력전압의 감소량이 정해지나, 빔전류가 증가하지 않는 평균밝기를 유지하는 기간 동안은 보정저항을 통해 입력전류(IDC)가 흐르므로 이 전류와 보정저항의 곱, 즉 IDC× R0만큼의 손실을 가져오게 되므로 특히 대형 티브이등에서는 1∼수 와트의 전력 소비가 있게 되고, 또한 평균 밝기를 유지하는 동안 보정저항에 의해 감소된 입력전압이 인가되므로 미세한 고압저하, 휘도저하와 수평사이즈 변화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 보정 저항의 값을 빔전류에 따라 변화시키도록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 보정회로를 안출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고안 티브이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 보정회로의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1)와, 정류부(1)에서 정류된 전압을 전압변동을 보상하며 일정전압을 출력하는 정전압부(2)와, 정전압부(2)에서 발생된 수평출력부(5)의 구동전압중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을 보정해주는 보정저항부(3)와, 수평주사에 필요한 신호를 증폭하는 수평발진증폭부(4)와, 수평편향전류를 흘러 수평주사를 행하는 수평출력부(5)와, 고압안정화를 이루어 안정된 고압을 수상관(9)에 인가하는 고압출력부(6)와, 빔전류의 변화에 대응하는 고압을 검출하는 고압검출부(7)와, 고압검출부(7)에서 검출된 고압을 제어하여 고압출력부(6)에 인가하는 고압제어부(8)와, 수상관(9)과, 고압검출부(7)에서 검출된 검출 전압에 따라 보정저항부(3)의 저항값을 선택하는 보장저항선택부(10)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제5도로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2차측에서 발생한 고압은 수상관(9)에 흐르는 빔전류에 따라 변동하는데 이 변동된 고압은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고압측과 접지 사이에 접속된 브리더 저항(R1)과 검출 저항(R2)의 비에 의해 분압되어 저항(R3,R4) 및 오피암프(OP1)로 구성된 차동증폭기의 반전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3)측에 인가되고, 비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3)측에 인가되는 기준전압(ES1)과의 차전압이 증폭될 때, 여기서 검출저항(R2)에서 검출된 전압은 E2라 하면 저항(R3,R4) 및 오피암프(OP1)로 구성된 차동증폭기의 출력은 Eout=(ES1-ES2)가 되고, 이 출력전압은 저항(R5,R6)및 오피암프(OP2)로 구성된 차동증폭기의 반전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5)측에 인가되고, 비반전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5)측에 인가되는 기준전압(ES2)과의 차전압을 증폭하여 출력전압 Eout2=(ES2-Eout2)을 내게 된다. 따라서 빔전류가 증가되어 고압이 낮아진 경우 검출저항(R2)에서 검출된 검출전압(E2)은 낮아지고, 기준전압(ES1)과의 차가 커지므로 출력전압(EOUT1)은 증가되며, 출력전압(EOUT1)이 증가되면 기준전압(ES2)과의 차가 적어지므로 멀티 에미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측에 접속된 저항(R7,R8)에 걸리는 전압은 낮아지게 된다. 반면에 수상관(9)에 빔전류가 적게 흘러 고압이 높아지면 반대로 출력전압(EOUT1)은 감소하고, 출력전압(EOUT2)은 증가하게 되며, 멀티에미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위가 낮아지면 각 에미터에 접속된 저항(R10-R13)에는 전류가 적게 흐르게 되고 이때 각 에미터의 저항(R10-R13)이 일정한 크기(R13>R12>R11>R10)를 갖도록 구성하여 각 에미터 저항(R10-R13)에 걸리는 전압을 다르게 설정하면 빔전류가 가장 많이 흐르는 정도의 고압에서는 저항(R13)에 걸리는 전압이 이 저항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3)를 턴-온시켜 입력전압(B1 +)이 저항(R14)에 의해 제2c도와 같이 전원전압증가분(△IDC)과 저항(R14)의 곱(△IDC× R14)만큼 감소되어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일차측에 인가되므로 수편편향 전류가 감소하여 화이트 신호기간중에 수평증폭의 증가를 줄여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을 보정한다.
또한 빔전류가 적게 흘러 화면이 어두울 때는 고압이 상승하고 출력전압(EOUT2)이 증가하므로 멀티 에미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위가 높아지면 멀티 에미터 트랜지스터(Q2)의 각 에미터에 접속된 저항(R10-R13)에 흐르는 전류는 증가하므로 빔 전류가 적게 흐르는 어두운 화면에서는 각 저항(R10-R13)에 걸리는 전압이 이 저항(R10-R13)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3-Q6)의 베이스에 충분한 바이어스 전압이 되도록 설정하여 트랜지스터(Q3-Q6)를 턴-온시켜 입력전압(B1 +)을 저항(R14-R17)의 병렬 합성 저항분 만큼 작게 감소시켜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일차측에 공급하게 되며, 빔전류가 중간크기일 때는 위와 동일한 동작에 따라 트랜지스터(Q3,Q4)를 턴-온시켜 저항(R14,R17)의 병렬 합성저항으로 보정하거나, 또는 트랜지스터(Q3-Q5)를 턴-온시켜 저항(R14-R16)의 병렬 합성저항으로 보정한다.
따라서, 빔전류가 많이 흐르는 밝은 화면에서는 보정저항값을 최대로 하여 일그러짐을 보정 하고, 빔전류가 적게 흐를수록 보정저항값을 작게 하여 일그러짐 보정량을 크게 하고, 빔전류가 평균 밝기 이하의 어두운 화면에서는 보정저항값을 최소로 하여 보정저항으로 인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 보정저항의 저항의 값을 빔전류에 따라 변화시키도록 하여, 평균 밝기 이하의 화면에서 보정저항으로 인한 파워손실을 줄이도록 함으로써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 보정회로의 효률을 높이고, 입력전압 감소분을 작게함으로써 편향, 고압 출력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1)와, 정류부(1)에서 정류된 전압을 전압변동을 보상하여 일정전압을 출력하는 정전압부(2)와, 정전압부(2)에서 발생된 수평출력부(5)의 구동전압중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을 보정해주는 보정저항부(3)와, 수평주사에 필요한 신호를 증폭하는 수평발진증폭부(4)와, 수평편향 전류를 흘려 수평주사를 행하는 수평출력부(5)와, 고압안정화를 이루어 안정된 고압을 수상관(9)에 인가하는 고압출력부(6)와, 빔전류의 변화에 대응하는 고압을 검출하는 고압검출부(7)와, 고압검출부(7)에서 검출된 고압을 제어하여 고압출력부(6)에 인가하는 고압제어부(8)와, 상기고압검출부(7)에서 검출된 검출 전압에 따라 보정저항부(3)의 저항값을 선택함으로써 화면의 밝은 정도에 따라 보정량을 바꾸어 주는 보정저항선택부(1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 보정회로.
KR2019910020816U 1991-11-29 1991-11-29 티브이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 보정회로 KR940003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0816U KR940003039Y1 (ko) 1991-11-29 1991-11-29 티브이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 보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0816U KR940003039Y1 (ko) 1991-11-29 1991-11-29 티브이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 보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452U KR930012452U (ko) 1993-06-25
KR940003039Y1 true KR940003039Y1 (ko) 1994-05-11

Family

ID=1932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0816U KR940003039Y1 (ko) 1991-11-29 1991-11-29 티브이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 보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0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452U (ko) 199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9969B1 (ko)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사이즈조절장치
US4559481A (en) Raster width regulation circuit
CA2040253C (en) High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for video display apparatus
KR940003039Y1 (ko) 티브이 화이트 피크 일그러짐 보정회로
US4675581A (en) Raster positioning circuit for a deflection system
KR0156866B1 (ko) 화면폭 보정회로
KR19990005563A (ko) 다중 모드 모니터의 사이즈 보상회로
RU97120548A (ru) Схема стабилизации изображения для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приемника с экраном половинной ширины
US5945791A (en) High voltage system
KR100209505B1 (ko) 듀티(duty) 변경 회로
KR0137275B1 (ko) 텔레비젼 편향 장치
KR940009478B1 (ko) 화면의 수평사이즈 보정회로
KR0136648Y1 (ko) 화면의 수평크기 보상회로
GB2325601A (en) Horizontal width regulation circuit for a CRT display
JP2692445B2 (ja) 水平偏向高圧発生回路
JP3139530B2 (ja) 水平偏向高圧発生回路
KR0135196B1 (ko) 모니터의 수평 사이즈 안정화 회로(a stabilizing circuit of horizontal size of monitor)
KR200143628Y1 (ko)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사이즈 보정회로
KR950010736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화면비 변환장치
KR19980059116U (ko)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
JPS6184971A (ja) 水平偏向装置
KR19980079108A (ko) 모니터의 밝기 변화에 의한 화면 크기 변동 방지 회로
KR200158594Y1 (ko)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
JPH06261221A (ja) 高圧回路
JPS614133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