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9116U -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9116U
KR19980059116U KR2019970003619U KR19970003619U KR19980059116U KR 19980059116 U KR19980059116 U KR 19980059116U KR 2019970003619 U KR2019970003619 U KR 2019970003619U KR 19970003619 U KR19970003619 U KR 19970003619U KR 19980059116 U KR19980059116 U KR 199800591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oltage
size
vertical
flyback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6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4490Y1 (ko
Inventor
노진두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036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490Y1/ko
Publication of KR199800591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1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4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4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85Maintaining dc voltage const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장치는, 1차측 권선으로부터 입력된 B+ 전압을 승압시켜 수상관의 애노드에 공급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10)와 ; 화면의 수평/수직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해 모드에 따라 수평/수직 사이즈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20) ; 및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10)의 1차측 권선을 통해 B+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마이콤(20)으로부터 입력된 수평/수직 사이즈 신호에 의해 수평/수직 편향 전류를 생성하여 수평/수직 편향 코일에 공급하는 수평/수직 편향 회로(30)가 구비된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10)의 2차측 권선으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전압을 감지하여 보정 전압을 출력하는 고압 감지부(40)와 ; 상기 마이콤(20)으로부터 수평/수직 편향 회로(30)로 공급되는 상기 수평/수직 사이즈 신호의 크기를 상기 보정 전압에 따라 조절하는 수평/수직 사이즈 보정부(50)로 구성되어 있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10)의 2차측 권선으로부터 검출된 펄스 전압에 따라, 상기 마이콤(20)으로부터 수평 편향 회로(30)로 공급되는 상기 수평 사이즈 신호의 크기를 상기 보정 전압에 따라 가변시킴으로써, 수상관의 빔커런트 변동시 고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화면 사이즈 변동을 방지한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
본 고안은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빔 커런트 변동에 따른 고압 변동으로 인해 모니터 화면의 사이즈가 변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진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의 주전원 회로는 스위칭 전원 회로( SMPS : Switched Mode Power Supply )로 구현되는 바, 상기 스위칭 전원 회로(SMPS)로부터 출력된 전원 전압은 회로의 각 필요 부분에 공급되어 모니터 회로를 구동시킨다.
이때 수상관( Cathode Ray Tube : CRT )의 애노드(Anode)에는 고전압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스위칭 전원 회로(SMPS)로부터 출력된 전원 전압 중 가장 높은 전압을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Flyback Transformer : FBT )를 통해 승압시켜 수상관의 애노드에 공급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모니터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로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 전원 회로(SMPS)로부터 출력된 전원 전압 중 가장 높은 전압( 약 200V 정도 )을 B+ 전압으로 안정화시킨 후, 상기 B+ 전압을 플라이백 트랜스포머(10)의 1 차측 권선에 입력 승압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10)의 2 차측 권선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압은 정류 다이오드(D1)에 의해서 직류 고압(: 약 2.500V )으로 변환된 후 수상관의 애노드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10)의 1 차측 권선에 인가되는 B+ 전압은 수평 편향 회로(30)로 인가되어, 톱니파 전류를 생성시킨다.
도 1 에 도시된 수평 편향 회로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모니터의 수평 편향 회로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이콤(20)으로부터 출력된 수평 동기 신호(H.sync)는 수평 발진부 IC(IC)에서 수평 구동 신호(H.drive)로 적절히 신호 변조되어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TR1)에 공급된다.
상기 수평 구동 신호(H.drive)는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TR1)를 온시키고 수평 구동 트랜스포머(HDT)를 통해서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단자에 전류를 공급해준다.
충분한 베이스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TR2)가 턴온되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의 B+ 전원 전류가 수평 편향 코일(HD.Y)을 통해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TR2)로 흐르게 된다.
이와같이 트랜지스터(TR2)가 온되는 동안은 수평 톱니파의 유효 주사 기간의 후반부에 해당되고, 이어서 수평 구동 신호(H.drive)에 따라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TR2)가 급격히 턴오프되면 수평 편향 코일(HD.Y)에 축적된 전류가 귀선 커패시터(RE.C)를 충전시킨다.
상기 귀선 커패시터(RE.C)가 완전히 충전되면 수평 편향 코일(HD.Y)로 다시 방전하고 이에 따라 수평 편향 코일(HD.Y)에 전류가 다시 축적된다.
이와 같이 귀선 커패시터(RE.C)의 충전 및 방전의 전기간이 귀선 기간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수평 편향 코일(HD.Y)에 에너지가 축적되어 편향 코일 전압이 댐퍼 다이오드(D.D)에 순방향의 바이어스를 인가할 정도가 되면 댐퍼 다이오드(D.D)가 도통되고 편향 코일(HD.Y)에 흐르는 전류는 제로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댐퍼 다이오드(D.D)에 흐르는 전류가 수평 톱니파의 유효 주사 기간의 전반부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전류가 제로가 되는 시점에서 수평 구동 신호(H.drive)에 의해 다시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TR2)가 온되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수평 편향 코일(HD.Y)에 톱니파 전류가 흐르게 되어서 수평 편향이 이루어지고 수평 주사를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다중모드 모니터는 컴퓨터내의 비디오 카드로부터 수신되어진 신호에 따라 비디오 화상을 재현하게 되는데, 상기 수신 신호의 타이밍 파라미터에 따라 회로의 각 부분의 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비디오 모드에 따른 모니터의 분류를 표 1 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비디오 모드에 따른 분류
비디오 모드 수평 주파수( kHz ) 수직 주파수( Hz ) 해상도( H*V )
CGA 15.75 60 640*200
EGA 21.8 60 640*350
VGA 31.5 60/70 720*350640*480
SVGA 35∼37 INTERLACE 1024*768800*600
고해상도 모드 48∼75 60∼70 1024*7681280*1024
상기 표 1 에서와 같이 비디오 카드에서 지원하는 모드에 따라 수평 주파수와 수직 주파수가 다르고, 특히 다양한 모드를 지원하는 비디오 카드, 예를 들어 VGA 와 SVGA 및 고해상도 전용 모드를 지원하는 비디오 카드를 모니터에 탑재한다면, 각 모드의 수평 주파수가 갖는 범위는 약 30 ~ 75 KHz 정도가 된다.
즉, 다중 모드 모니터에서 모드가 변경될 경우에 모니터 내부 회로에서 변경되어져야 할 부분이 있게 되는데 예를 들면, 화상의 크기 및 위치의 변경, 수평 수직의 동기화 및 편향부의 최적화, 그리고 각종 편향 보정 회로의 재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모드 변경시 상기 파라미터의 재조정은 마이콤(20)에서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마이콤(20)은 모드에 따라 각종 제어 신호의 레벨을 달리하여 출력하게 되어 있다.
특히, 모드 변경시 수평·수직 주파수가 달라지게 되면 모니터의 수평·수직 화면 사이즈가 변동하게 되므로, 수평·수직 화면의 사이즈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마이콤(20)은 변경된 모드에 따라 수평·수직 사이즈 신호(H.size·V.size)를 출력한다.
예컨데, 수평 화면의 크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편향량에 의해 정해지고 편향량은 수평 편향 코일(HD.Y)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가변되므로, 사용자가 키조작( user control )에 의해 수평 사이즈(H.size)를 조절하면 이에 따라 마이콤(20)이 적당한 PWM 신호를 출력하여 수평 편향 코일(HD.Y)에 흐르는 전류를 가변시켜 수평 화면의 수평 크기를 조정한다. 즉, 수평 편향 코일(HD.Y)에 흐르는 전류를 보정하여 화면의 수평 크기가 상하, 중앙에서 일정하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모니터에서는,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10)가 수상관의 부하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빔 커런트( Beam Current )의 많고 적음에 따라( 화면의 밝기 변화에 따라 ) 고압()이 변동하여 화면의 수평 및 수직 사이즈가 변동한다. 즉, 빔 커런트가 증가하면 애노드 전압( 고압 :)이 하강하여 화면의 사이즈가 커지고, 반대로 빔 커런트가 감소하면 애노드 전압()이 상승하여 화면의 사이즈가 작아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모니터는 여러 가지 이유( 특히 화면의 밝기 변화에 따른 빔 커런트의 변동 )로 인해 고압()의 변동이 심하게 되는데, 고압()의 변동이 심하게 되면 이에 따라 화면의 사이즈가 변동하게 되어 화질이 열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압()의 변동량을 검출하여, 마이콤(20)으로부터 출력되는 수평·수직 사이즈 신호(H.size·V.size)의 크기를 상기 고압() 변동량에 따라 가변시켜 고압()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화면의 사이즈 변동을 방지하도록 되어진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는, 1 차측 권선으로부터 입력된 B+ 전압을 승압시켜 수상관의 애노드에 공급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와 ; 화면의 수평·수직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해 모드에 따라 가변적인 직류 레벨의 수평·수직 사이즈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 ; 및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1 차측 권선을 통해 B+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입력된 수평·수직 사이즈 신호에 의해 수평·수직 편향 전류를 생성하여 수평·수직 편향 코일에 공급하는 수평·수직 편향 회로가 구비된 모니터에 있어서, 고압의 변동량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2 차측 권선으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펄스 전압에 따라 보정 전압을 출력하는 고압 감지부와 ;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수평·수직 편향 회로로 공급되는 상기 수평·수직 사이즈 신호의 크기를 상기 보정 전압에 따라 조절하는 수평·수직 사이즈 보정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의 장치는, 상기 고압 감지부가 고압의 변동량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2 차측 권선으로부터 출력된 펄스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펄스 전압에 따라 보정 전압을 수평·수직 사이즈 보정부에 출력하면, 상기 수평·수직 사이즈 보정부가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수평·수직 편향 회로로 공급되는 상기 수평·수직 사이즈 신호의 크기를 상기 보정 전압에 따라 가변시킴으로써, 수상관의 빔 커런트 변화시 고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수상관의 화면 사이즈 변동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모니터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10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20 : 마이콤
30 : 수평 편향 회로 40 : 고압 감지부
50 : 수평 사이즈 보정부 41 : 직류 변환부
42 : 전류 증폭부( 달링톤 회로 : Q1,Q2) 43 : 보정 전압 출력부
Q3 : 트랜지스터 D1 : 정류 다이오드
R 1,2,3,4,5,6,7,8 : 저항 C 1,2 : 커패시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10)와 ; 마이콤(20) ; 수평 편향 회로(30) ; 고압 감지부(40) ; 및 수평 사이즈 보정부(5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압 감지부(40)는, 정류 다이오드(D1)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10)의 2 차측 권선으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 변환부(41)와 ; 달링톤 회로(Q1,Q2)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변환된 직류 전압을 베이스단을 통해 입력받아, 상기 베이스 전압에 따라 콜렉터단에 공급되는 소정 전압(Vcc1)을 전류 증폭하여 에미터단을 통해 출력하는 전류 증폭부(42) ; 및 저항(R3)과 커패시터(C1)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증폭된 전류를 전압 성분으로 변환하여 보정 전압을 출력하는 보정 전압 출력부(4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사이즈 보정부(50)는, 베이스단이 저항(R4)을 통해 상기 보정 전압을 인가받고, 콜렉터단이 저항(R5)을 통해 상기 마이콤(20)으로부터 수평 사이즈 신호(H.size)를 입력받고, 에미터단이 수평 편향 회로(30)에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저항(R6,R7,R8)을 통해 소정 전압(Vcc2)을 인가받는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및 효과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먼저,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10)의 2 차측 권선으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전압을 직류 변환부(41)의 정류 다이오드(D1)를 통해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 후, 달링톤 회로(Q1,Q2)의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달링톤 회로(Q1,Q2)의 제 1 트랜지스터(Q1)와 제 2 트랜지스터(Q2) 각각의 콜렉터단에 소정 전압(Vcc1)이 공급되므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제 2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을 통해 에미터단으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변화하게 된다.
즉, 빔 커런트의 변화에 의해 고압이 변화하면,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10)의 2 차측 권선으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전압도 변화하므로, 상기 달링톤 회로(Q1,Q2)의 베이스단에 입력되는 전압도 변화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달링톤 회로(Q1,Q2)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도 변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달링톤 회로(Q1,Q2)는 전류 증폭용으로 사용되므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10)의 2 차측 권선으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전류를 작게 설정할 수 있어, 다른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달링톤 회로(Q1,Q2)로부터 출력된 전류()는 저항(R3)을 통해 전압 성분으로 바뀐 후 상기 수평 사이즈 보정부(50)의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 입력된다.
즉, 상기 저항(R3)에 의해 감지되는 (A) 포인트 전압이 보정 전압이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 입력되는 보정 전압의 차이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베이스간 전류()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고, 상기 콜렉터-베이스간 전류()의 변화에 따라 에미터-콜렉터간 전류()의 변화가 발생하므로, 결국 상기 저항(R6,R7,R8)에 의해 감지되는 (B) 포인트 전압이 수평 사이즈 신호(H.size)가 되어 상기 수평 편향 회로(30)에 입력된다.
즉, 고압이 변동하면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10)의 2 차측 권선으로부터 검출되는 펄스 전압이 변화하여, (A) 포인트 전압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B) 포인트 전압도 변화하게 되므로, 고압의 변동량에 따라 상기 마이콤(20)으로부터 수평 편향 회로(30)로 공급되는 상기 수평 사이즈 신호(H.size)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화면의 수평 사이즈뿐만 아니라, 화면의 수직 사이즈까지 그 이용을 확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치는, 상기고압 감지부(40)가 고압의 변동량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10)의 2 차측 권선으로부터 출력된 펄스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펄스 전압에 따라 보정 전압을 수평 사이즈 보정부(50)에 출력하면, 상기 수평 사이즈 보정부(50)가 상기 마이콤(20)으로부터 수평 편향 회로(30)로 공급되는 상기 수평 사이즈 신호(H.size)의 크기를 상기 보정 전압에 따라 가변시킴으로써, 수상관의 빔커런트 변동시 고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화면 사이즈 변동을 방지한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측 권선으로부터 입력된 B+ 전압을 승압시켜 수상관의 애노드(Anode)에 공급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10)와 ; 화면의 수평·수직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해 모드에 따라 가변적인 직류 레벨의 수평·수직 사이즈 신호(H.size·V.size)를 출력하는 마이콤(20) ; 및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10)의 1 차측 권선을 통해 B+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마이콤(20)으로부터 입력된 수평·수직 사이즈 신호(H.size·V.size)에 의해 수평·수직 편향 전류를 생성하여 수평·수직 편향 코일(HD.Y·VD.Y)에 공급하는 수평·수직 편향 회로(30)가 구비된 모니터에 있어서,
고압()의 변동량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10)의 2 차측 권선으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펄스 전압에 따라 보정 전압을 출력하는 고압 감지부(40)와 ; 상기 마이콤(20)으로부터 수평·수직 편향 회로(30)로 공급되는 상기 수평·수직 사이즈 신호(H.size·V.size)의 크기를 상기 보정 전압에 따라 조절하는 수평·수직 사이즈 보정부(5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감지부(40)는,
정류 다이오드(D1)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10)의 2 차측 권선으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 변환부(41)와 ;
달링톤 회로(Q1,Q2)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변환된 직류 전압을 베이스단을 통해 입력받아, 상기 베이스 전압에 따라 콜렉터단에 공급되는 소정 전압(Vcc1)을 전류 증폭하여 에미터단을 통해 출력하는 전류 증폭부(42) ; 및
저항(R3)과 커패시터(C1)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증폭된 전류를 전압 성분으로 변환하여 보정 전압을 출력하는 보정 전압 출력부(4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사이즈 보정부(50)는,
베이스단이 저항(R4)을 통해 상기 보정 전압을 인가받고, 콜렉터단이 저항(R5)을 통해 상기 마이콤(20)으로부터 수평 사이즈 신호(H.size)를 입력받고, 에미터단이 수평 편향 회로(30)에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저항(R6,R7,R8)을 통해 소정 전압(Vcc2)을 인가받는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
KR2019970003619U 1997-02-28 1997-02-28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 KR2001644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619U KR200164490Y1 (ko) 1997-02-28 1997-02-28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619U KR200164490Y1 (ko) 1997-02-28 1997-02-28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116U true KR19980059116U (ko) 1998-10-26
KR200164490Y1 KR200164490Y1 (ko) 2000-01-15

Family

ID=19496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619U KR200164490Y1 (ko) 1997-02-28 1997-02-28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4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735B1 (ko) * 2000-07-25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밝기에 따른 고압 출력부 제어 회로
KR100437811B1 (ko) * 2002-01-29 2004-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735B1 (ko) * 2000-07-25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밝기에 따른 고압 출력부 제어 회로
KR100437811B1 (ko) * 2002-01-29 2004-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4490Y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4849A (en) Circuit and method for adjusting horizontal retrace time and limiting pulse peak in display device
US6020694A (en) Horizontal size regulation circuit of display device
KR200164490Y1 (ko)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
US6124686A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KR970005223B1 (ko) 고압안정화 회로
KR100218011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귀선 시간 조정 펄스 발생 회로
KR19990005563A (ko) 다중 모드 모니터의 사이즈 보상회로
KR100209505B1 (ko) 듀티(duty) 변경 회로
RU97120548A (ru) Схема стабилизации изображения для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приемника с экраном половинной ширины
JPH10164390A (ja) セミワイド画面テレビジョン受信機の画面安定化回路
JPH08237511A (ja) マルチスキャン対応水平偏向ドライブ回路
KR100541731B1 (ko) Crt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81382B1 (ko) 모니터의 고압발생회로
JPH11127364A (ja) 水平偏向回路
KR100613479B1 (ko) 모니터의 고압 발생회로
KR950000152Y1 (ko) 고압안정화 회로
KR200330773Y1 (ko) Crt 디스플레이장치
KR20020020361A (ko) 영상표시기기의 광대역 스위칭 드라이브 보상회로
JPH11154849A (ja) ノコギリ波形発生器、水平偏向制御回路及び高電圧制御回路
KR100281389B1 (ko) 수평구동트랜스포머의 구동전압 보상회로
KR0142764B1 (ko) 프로젝션 티브이의 다중 모드시 고압 안정화회로
JP3858815B2 (ja) 陰極線管装置
JPH1132229A (ja) 水平偏向高圧発生回路
KR19980027248U (ko) 다중모드 모니터에서의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보호회로
KR19990003853A (ko) 다중 모드 모니터의 수평 편향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