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345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345B1
KR940002345B1 KR1019930024475A KR930024475A KR940002345B1 KR 940002345 B1 KR940002345 B1 KR 940002345B1 KR 1019930024475 A KR1019930024475 A KR 1019930024475A KR 930024475 A KR930024475 A KR 930024475A KR 940002345 B1 KR940002345 B1 KR 940002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ata
pixel
image data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4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쓰시 미쯔도미
히로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22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 G09G3/3629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using liquid crystals having memory effects, e.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 G09G3/364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using liquid crystals having memory effects, e.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with use of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22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 G09G3/3629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using liquid crystals having memory effects, e.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2Special driving of display border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2Graphics controller able to handle multiple formats, e.g. input or output forma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7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sub-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Image Generation (AREA)
  • Forg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표시장치
제1도는 본발명에 의한 화상 정보출력회로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정보출력회로를 포함하는 그래픽스 제어기 및 강 유전성 액정표시 패널 유닛트의 전체 구성도.
제3도는 픽섹ㆍ멀티플렉서(11)의 데이타 변화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
제4a 내지 c도는 팰리트 RAM 내의 팰리트 레지스터의 제조 데이타와 실제의 표시패널의 화소배치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5도는 VRAM으로부터의 화상데이타와 팰리트 레지스터의 어드레스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도면.
제6도는 픽셀 셀렉터(14)의 데이타 변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
제7도는 경계 레지스터의 구성 및 경계 레지스터와 표시패턴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
제8도는 표시화면상의 경계부의 위치와 수평 및 수직의 블랭킹 신호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9도는 본발명에 의한 화상 정보 출력회로로부터의 전송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제10도는 IBM 상의 퍼스널ㆍ컴퓨터에 있어서 표시 모우드를 나타내는 도면.
본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등, 전계(電界)에 대하여 쌍안정성(메모리성)을 갖는 2치화(値化) 표시소자를 사용한 표시장치에 적용하기에 알맞는 화성정보의 출력회로에 관란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등의 디스플레이는 대화면, 고해상도화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고, 종래의 것도 포함하여 많은 표시모우드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잘 사용되는 IBM(International Businness Machines Corp.) (등폭상표)사의 퍼스널 컴퓨터의 그래픽스 환경을 예로들면, CGA(Color Graphic Adapter), EGA(Enhanced Graphic Adapter), VGA(Video Graphic Adapter)등 10수 종류에 달하는 표시 모우드가 있고, 각각 해상도가 표시가능한 색의 수도 다르다.
제10도는 그의 일람표이다.
(1) 표시색에 대하여 ;
제10도에서 알수있는 바와같이, 각 표시모우드에 의하여 1픽셀당 구성 비트수(비트/픽셀)가 다르고, 화상 메모리(VRAM)중의 기억 포맷도 상이하다. 당연히, 1픽셀당 구성비트수가 많은 모우드의 쪽이 다색(多色)표시가 가능하다.
여기서 IBM 사의 퍼스널 컴퓨터의 그래픽스 환경에 있어서의 가장 다색표시가 가능한, 표시모우드(13)(h)(VGA)를 일례로 들면, 그의 칼라 정보의 출력흐름은 아래와 같다.
우선 VRAM에 있는 어떤 어드레스가 억세스되면, VRAM 중의 화상데이타(비트/픽셀 ; 모우드(13)(h))는, 미리 색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칼라 팰리트내의 칼라 레지스터를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로서 작용한다.
VGA의 경우, 칼라 팰리트는 18비트(R, G, B의 각 6비트)의 칼라 레지스터를 256개 갖고 있고, 이 칼라레지스터에 색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VRAM으로 부터의 화상데이타에 의하여 256개 중에서 하나의 칼라레지스터가 선택될때 각각 6비트 구성되는 R, G, B의 칼라데이타는 판독되고, 같은 칼라팰리트내에 있는 D-A 콘버터로 유도된다. R, G, B, 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 D-A 콘버터는 6비트의 칼라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CRT)로 보낸다.
이와같은 칼라정보의 출력방식(칼라 팰리트+아날로그 출력)은, VRAM의 데이타량이 많지 않더라도 다색 표시가 실현될 수 있는 점이나, 칼라 레지스터의 데이타를 바꾸어 입력함으로써, VRAM중의 데이타를 바꾸어 입력하지 않더라도 표시 화면상의 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점, 또 디스플레이와의 접속 개수를 적게 할 수 있는 등의 잇점이 있고, 현재의 주로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의 표준적인 수법으로 되어 있다.
(2) 해상도에 대하여 ;
제10도에 있어서 해상도에 관하여도 각 표시모우드마다 상이하고, 예를들면 모우드 D(h)의 경우에는 320×200 픽셀(화소), 모우드 12(h)의 경우에는, 640×480 픽셀이다. 이와같은 다종류의 표시모우드 전부를 하나의 디스플레이(CRT)로 지원하는 것은 종래부터 비교적 곤란하다고 되어 있고, 표시 가능한 표시모우드를 규정(제한)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멀티스캔'이나 '멀티싱크'로 불리우는 일부의 자동 추미추미(追尾)형의 CRT등에서는 비교적 광범위의 표시모우드를 지원하기 위하여, 각 표시모우드에 따라 전자빔의 주사주파수를 전환하는 수법을 취하고 있다. 이때문에 표시정보가 적은(해상도가 낮은)표시모우드로 표시를 하면, 문자나 수자가 이가 빠져서 표시되는 것이 많다.
상기와 같은 표시색 및 해상도가 상이하는 각종 표시모우드를 강유전성 액정의 메모리성을 갖는 액정을 사용한 표시장치에 적용하여 표시하는 경우, CRT 등에 표시하는 경우와는 달라서, 이하의 같은 것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1) 표시색에 관하여 ;
강유전성 액정 표시장치등으로 대표되는 2치(値)화 표시소자를 사용한 표시장치의 경우, CRT등과 같이 1픽셀(화소)내에서 아날로그 적으로(깊이방향으로)계조를 표현하는것, 즉 3차원적으로 계조표시를 하는 것이 어렵다.
2치화 표시소자로 계조표시를 행하게하는 경우, 깊이방향의 계조(칼라)데이타를 가로방향(퍼지는 방향)으로 전개하는 처리를 행하고, 2차원적으로 표시(면적 계조)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표시색이 다른 각종 표시 모우드를 강유전성 액정 표시장치등으로 표시시키는 경우 표시모우드에 따라, 본래 CRT용의 깊이방향의 계조(칼라)데이타를 실제의 표시장치의 화소의 배치에 따라 가로방향(퍼지는 방향)의 계조 데이타로 변환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2) 해상도에 관하여 ;
고해상도(1000×1000 화소 이상)의 강유전성 액정 표시장치등의 표시장치에 대하여 종래부터 CRT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표시모우드로 표시를 하려고하면, 액정표시장치의 유효 화소수(해상도)에 비하여 CRT 표시모우드의 해상도가 낮기(표시정보가 적기)때문에, 액정표시장치측에 나머지 화소(화소가 남는다)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액정표시장치측에서 세로ㆍ가로의 전극을 복수개 묶어서 동시 구동함으로써 확대표시를 할수도 있다.
예를들면 1280×1024 화소등의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에 의해서, 모우드 D(h)(320×200 호소)의 화면을 표시시키는 경우 1배∼4배까지의 확대표시를 실현할 수 있따. 이와같은 확대표시를 채용하더라도, 액정표시장치의 유효화소수(해상도)와 표시모우드의 해상도와의 관계에 따라서는 유효표시영역의 외부에 나머지 화소가 생긴다.
따라서 이 유효표시영역의 나머지 화소의 부분(경계부)에 대하여 적절한 처리를 할 필요가 있다.
CRT로 저해상도의 표시모우드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전자빔의 주사주파수를 내려 형광표시면을 가늘게함으로써 빔의 쐬이지 않은 부분은 흑색(어두움)으로 유지된다. 그러나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의 경우에는 화상 데이타의 입력이 없으면 그 화소의 상태가 보증되지 않는다(명 또는 암, ON 또는 OFF).
이 때문에 나머지 화소의 부분에도 데이타를 입력하여 구동제어하여 주는 것이 필요하다.
본발명은 종래부터의 CRT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화상정보출력회로에서는 실현할 수 없는 상기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종래부터의 CRT등에서 사용되어온 각종 표시모우드에서의 화면을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등의 2치화 표시소자를 사용한 표시장치상에 화상 데이타의 손실없이 표시하기 위한 화상정보출력회로를 실현하는데 있다.
본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쌍안정성(메모리성)을 가진 강유전성 액정등을 사용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상 메모리로부터 판독되는 화상데이타를 1화소 데이타씩 다음 단계로 유도하는 제1의 멀티플렉서, 제1의 멀티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에 의거하여, 화소데이타를 출력하는 팰리트 RAM, 다시 팰리트 RAM로부터의 화소데이타를 표시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출력포맷으로 변환하는 제2의 멀티플렉서를 가지며, 본체 CPU로부터의 표시 모드요구에 따라 화상 데이타의 변환처리 및 유효표시영역 외의 영역(프레임부)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다종 다양한 표시모드에 적응할 수 있는 표시장치의 화상 정보 출력회로를 실현하는 것이다.
제2도는 화상 정보의 공급원인 퍼스널컴퓨터등의 본체 장치쪽에 설치된 그래픽스 제어기와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와의 전체구성도이다. 본발명에 의한 화상정보출력회로는 제2도에 있어서의 그래픽스 제어기내에 설치되어 있다.
표시패널은 주사전극 1024개, 정보전극 2560개를 매트릭스상에 배치하고, 배향처리를 한 2매의 유리판속에 강유전성 액정을 봉입한 것으로서, 주사선은 주사전극 구동회로, 정보선은 정보 전극 구동회로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1화소(픽셀)은 제2도의 표시패널중 ○내에 표시한 바와같이 3 : 2의 면적비로 분할된 2비트/픽셀구성을 취하고 있고, 1화소당 4레벨의 계조표시가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본발명에 의한 화상정보출력회로로부터 표시정보를 받아, 주사전극구동회로 및 정보전극 구동회로를 제어한다.
그래픽스 제어기는 표시기능 전반을 관장하는 CPU(중앙연산처리장치, 이하 GCPU)와 VRAM(화상정보기억용 메모리), 및 본발명에 의한 화상정보출력회로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로 구성되어 있고, 호스트CPU와 표시장치의 사이의 표시정보의 관리나 통신전반을 제어하고 있다.
제1도는 본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구성도이다.
본 회로는 VRAM으로부터의 화상데이타를 면적계조 데이타로 변환하는 계조 변환부(1), 유효표시영역의 데이타를 결정하기 위한 경계 레지스터(2), 주사선 어드레스 발생부(3), 액정표시장치에 화상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출력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데이타 선택기(4)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면에 따라 그 동작을 설명한다.
(1) 계조 변환부
VRAM(5)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데이타는 상기의 IBM사 그래픽스 환경하의 표시모드를 예로들면, 모드(3)(h)일때 4비트/픽셀, 모드(13)(h)일때는 8비트/픽셀이라는 식으로 표시모드마다 1픽셀(화소)당의 구성 비트수가 다르다.
본실시예에서는 VRAM(5)내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데이타는 VRAM(5)에의 1회의 판독 조작(억세스)으로 항상 2바이트(16비트)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VRAM(5)에의 1회의 억세스로 출력되는 화소의 수는 표시모드에 따라 다르며, 예컨대 모드(3)(h)의 경우에는 4화소분, 모드(13)(h)의 경우에는 2화소 분이 1회의 억세스로 출력된다.
후술하는 패리트 RAM(12)는 1화소단위로 계조변환을 행하므로, VRAM(5)로부터 판독된 화상데이타를 1화소 단위로 팰리트 RAM(12)에 유도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설치된 것이 픽셀 멀티플렉서(11)이다.
제3도는 픽셀 멀티플렉서(11)의 화상 데이타 변환 포맷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들 변환 모드의 전환은 GCPU(6)로부터의 명령으로 행하여진다(제2도).
예컨대 표시모드(3)(h)일때, VRAM으로부터는 1회의 억세스로 4화소분(4비트/픽셀)의 화상데이타가 출력되므로, 픽셀멀티플렉서(11)는 변환모드(B)로 동작시키게 된다.
이 변환모드(B)의 경우, 픽셀 멀티플렉서(11)는 VRAM(5)으로부터 출력되는 4화소분의 데이타를 포함한 VSD0∼15부터 제1의 위상에서 VSD0∼3및 VSD4∼7의 2화소분의 데이타를 추출하여 각각 Q0∼3, Q8∼11로 하여 팰리트 RAM(12), 팰리트 RAM(13)으로 유도한다. 다음에 제2의 위상에서 이번에는 VSD8∼11, VSD12∼15의 2화소분의 데이타를 각각 Q0∼3, Q8∼11로하여 팰리트 RAM(12), 팰리트 RAM(13)으로 유도한다. 이와같이 멀티플렉서(11)는 2회의 위상으로 나누어 화상데이타를 팰리트 RAM 부(12,13)로 유도한다. 또, 제3도에 있어서, 변환모드 A 및 C는 각각 VRAM내의 화상데이타 포맷이 8비트/픽셀 및 2비트/픽셀의 경우의 변환모드이고, 상기 4비트/픽셀의 경우와 똑같이 화상데이타가 1화소단위로 팰리트 RAM(12)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팰리트 RAM(12,13)은 VRAM(5)로부터의 화소데이타(색정보)를 각각 1화소단위로 실제의 표시패널의 화소의 ON/OFF 데이타로 변환하는 부분이다.
본발명에 의한 <깊이 방향의 색정보>로부터 <가로 방향의 계조정보>(면적 계조)로의 변환은 여기서 실현된다.
제1도의 실시예에서는 팰리트 RAM이 2개 병렬로 설치되어 있으나, 이것은 팰리트 RAM에서의 화상 데이타 변환속도가 요구되는 표시장치로의 전송 속도에 비하여 늦는것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고, 팰리트 RAM의 처리속도가 충분히 빠르면 1개라도 전혀 문제가 없다.
반대로, VRAM(5)의 판독속도나 멀티플렉서(11,14)의 동작속도가 충분히 빠른 경우에서는 그에따라 팰리트 RAM의 수를 증가시키면 그만큼 변환계로서의 처리속도를 올리는 것도 가능하다.
팰리트 RAM(12,13)은 각각 팰리트 레지스터라고 불리는 8비트 길이의 레지스터 256개로 구성되어 있고, 미리 GCPU(6)에 의하여 화소의 색정보에 따른 계조정보(화소의 ON/OFF 데이타)가 입력된다. 그리고, 본실시예에서는 팰리트 RAM(12,13)에는 같은 계조 정보가 입력되도록 구성되어있다.
또, 각 팰리트 RAM에의 입력조작 및 판독조작은 임의의 타이밍으로 행할 수 있으나, 통상은 1수평 주사기간마다 또는 1수직 주사기간마다 필요에 따라 행한다.
제4a 내지 c도는 팰리트 RAM 내의 팰리트 레지스터의 계조데이타(화소의 ON/OFF 데이타)와 실제의 표시 패널의 화소 배치와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제4c도에는 본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표시패널의 최소화소단위가 나타나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1화소는 면적비 3 : 2로 분할되어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됨으로써 4레벨의 계조표시를 실현하고 있다.
또, 4b및 a도는 확대 표시모드에서의 1화소의 취급을 도시하고 있다. 각각 4화소, 16화소분을 중합하여 1화소로서 취급함으로써 2배, 4배의 확대표시를 행함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계조수도 8레벨, 16레벨로 증가한다.
제4a 내지 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팰리트 레지스터의 계조데이타는 그대로 표시 패널상의 각 화소의 ON/OFF 데이타와 1 : 1로 대응하고 있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VRAM(5)로부터의 화소데이타(색정보)는 팰리트 RAM의 팰리트 레지스터를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로서 작용한다.
예컨대 VRAM(5)로부터의 화소 데이타(색정보)가 4비트/픽셀의 경우, 16개의 팰리트 레지스터중에서 1개를 선택한다. 또, 화소데이타가 8비트/픽셀 및 2비트/픽셀의 경우에는, 각각 256개, 4개의 팰리트 레지스터중에서 1개를 선택한다.
어느 팰리트 레지스터가 선택되면, 그중에 기억되어 있는 계조데이타 PL0∼7, PH0∼7이 출력되고, 다음단계의 픽셀 멀티플렉서(14)로 유도된다.
픽셀멀티플렉서(14)는 팰리트 RAM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소의 ON/OFF 데이타(최대 8비트의 데이타)을 표시패널의 확대표시모드(예, 1X, 2X, 4X)에 따라 표시 가능한 비트수로 변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제6도는 픽셀 멀티플렉서(14)의 변화모드를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표시패널로 2배(2X) 확대표시를 행하는 경우, 변환모드 B가 선택된다.
이때 1화소당의 취할수 있는 계조 데이타수는 4비트이므로, 팰리트 RAM(12,13)으로부터 출력되는 8비트 데이타 PL0∼7, PH0∼7중에서 각각 하위 4비트(PL0∼3, PH0∼3)만이 추출되고, PIX0∼7로 출력된다. 또, 변환모드 A 및 C는 각각 4배(4X), 등배(1X)시의 변환 포맷을 표시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VRAM(5)내의 화소데이타(색정보)는 2개의 멀티 플렉서(11,14)와 팰리트 RAM에 의하여 표시 패널상의 계조데이타로 변환된다.
(2) 경계 레지스터부
전술한 바와같이 액정표시장치의 유효화소수가 표시모드의 해상도보다 클 경우 유효표시영역외의 나머지 화소(경계부)에 어떤 패턴을 표시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 경계부에 출력하는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하여 어떤 설치된 것이 경계 레지스터(2)이다.
제7도는 경계 레지스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경계 레지스터는 기본적으로 8비트 길이의 레지스터 1개로 되어 있고, 각 비트가 각각 경계 데이타 BD0∼7(제7도)에 대응하고 있다.
또, 경계 레지스터(2)는 이른바 더블 버퍼의 구성으로 되어 있고, GCPU(6)로부터 임의의 타이밍으로 바꾸어 입력할 수 있다. 실제의 경계 데이타는 수평동기신호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타이밍으로 경계 레지스터 출력단에 세트된다.
이 경계 레지스터(2)에 설정된 데이타를 송출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은 수평 및 수직의 블랭크신호(HBlank, VBlank)이다. 기본적으로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의 블랭크신호의 어느 것이 L0레벨(블랭크 기간내)에 있을때에 경계 데이타가 출력되고, 그 이외의 기간에서는 유효 표시영역내의 화상데이타가 출력된다.
상세히는 후술하는 데이타 셀렉터의 동작에서 설명한다.
(3) 주사선 어드레스 데이타 발생부
표시패널의 주사선 어드레스 데이타(A0∼15)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 주사선 어드레스 발생부(3)이다. 주사선 어드레스 발생부(3)는 액정표시장치 측의 디스플레이 제어기에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Hsync)를 클록으로 하는 12비트의 이진카운터(주사선 4096개 까지 선택가능)이다. 본 카운터는 GCPU(6)에서 카운트치(주사선 어드레스 데이타)를 임의의 타이밍으로 프리세트할수 있다.
더욱이, 카운트업의 폭(몇개의 주사선이 점프되고 주사되는지 나타내는)도 설정할 수 있다.
(4) 액정표시장치에의 출력부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에의 화상데이타 전송 포맷은 이미 본 출원인들이 일본국 특원소 61-212184호, 혹은 특원소 63-285141호등에 있어서 메모리성을 갖는 표시소자에 있어서 고해상도 표시를 실현하기 위하여 통신방법에 관하여 제안하고 있다.
화상데이타의 전송에 관한 이들 제안에 의하면, 주사선 어드레스정보와 화상 정보가 재기록될 필요가 있는 주사선에 대하여 동일 전송선상에 직렬시분할 전송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런 전송 포맷을 실현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 데이타 선택기(4)이다.
데이타 선택기(4)는 계조변환(階調變換)에 의한 화상데이타(PD0∼7), 경계데이타(BD0∼7) 및 GCPU(6)으로 부터의 타이밍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주사선 어드레스 데이타(A0∼15)의 3종류의 데이타를 시분할로 전환하며 표시장치에 전환된 데이타를 보낸다.
제9도는 상기 제안의 방법을 따르는 본발명에 의한 화상정보 출력회로로서 작용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전송 포맷의 1예이다.
제9도에 있어서, 수평 블랭킹신호(HBlank)가 수평동기신호(Hsync)이 L0레벨(블랭크 기간내)로 세트되는 주기동안 입력되면, 데이타 선택기(4)는 GCPU(6)로부터의 타이밍제어에 의해 우선 주사선 어드레스 데이타(A0∼15)를 2사이클(4클록(CLK))로 출력한다. 다음에, HBlank가 Hi 레벨로 세트되기까지의 주기동안엔 경계 레지스터(2)로부터의 경계 데이타(BD0∼7)는 계속해서 통신선(PIX0∼7)상에 전송된다.
HBlank가 Hi 레벨로 세트될 때(블랭크주기의 완료 후), 계조변환하는 유효 표시영역내의 화상 데이타(PD0∼7)는 통신선(DIX0∼7)상에 전송된다.
제9도에 있어서, 유효표시 영역내의 화상데이타로서 1280 화소(640화소)분의 정보가 전송되면 GCPU(6)는 다시 HBlank를 L0레벨로 세트한다.
HBlank가 L0레벨로 세트될 때 데이타 선택기(4)는 다시 경계데이타(BD0∼7)가 통신선(PIX0∼7)에 전송되게 하고, 전체 화소의 데이타(640화소)의 전송을 끝낸다.
또, 제9도는 수평주사 방향의 전송타이밍에 관하여 도시한다.
데이타 선택기(4)는 수직 주사방향에 관한 수직 블랭키 신호를 사용하여 경계영역의 유효표시영역을 또한 구별하여, 출력데이타를 전환한다.
더욱이, HBlank 및 VBlank의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유효표시영역은 화면상의 임의의 위치에 또한 표시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쌍안정성(메모리성)을 갖는 강유전성 액정등을 사용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상메모리에서 판독되는 화상데이타를 1화소분마다 다음 단계로 유도하는 제1멀티플렉서, 제1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데이타에 의거하여 미리 정해진 화소의 ON/OFF 데이타를 출력하는 팰리트 RAM, 다시 팰리트 RAM으로 부터의 데이타를 표시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출력 포맷으로 변환하는 제2의 멀티플렉서를 갖는 화상정보출력회로가 제공된다. 본체 CPU로부터의 표시 모드요구에 상응하는 화상데이타의 변환처리 및 유효표시영역의 (프레임부)의 처리를 행한다.
그러므로 종래 CRT등에서 사용되어 온 각종 표시모드에서의 표시화면은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등과 같은 2치화 표시소자를 사용하는 표시장치상에 화상의 손실없이 표시되어 질 수 있다.

Claims (4)

  1. 메모리성을 갖는 액정을 사용한 표시채널을 이용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화상데이타를 표시하는 유효표시영역외의 영역에 프레임 화상테이타를 표시하는 프레임 표시수단으로 구성되며, 그 프레임 표시수단은 화상데이타의 수평 및 수직 블랭킹주기내에 프레임 화상데이타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성을 갖는 액정은 강유전성 액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표시수단은 상기 유효표시영역외의 영역의 프레임화상데이타의 설정을 화상데이타의 1수평 주사주기내 또는 1수직 표시주기내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표시수단은 상기 유효표시영역외의 영역에 표시하는 프레임 화상데이타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19930024475A 1989-10-06 1993-11-17 표시장치 KR940002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61297A JP2877381B2 (ja) 1989-10-06 1989-10-06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89-261297 1989-10-0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5904A Division KR940002237B1 (ko) 1989-10-06 1990-10-06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345B1 true KR940002345B1 (ko) 1994-03-23

Family

ID=173598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5904A KR940002237B1 (ko) 1989-10-06 1990-10-06 표시장치
KR1019930024475A KR940002345B1 (ko) 1989-10-06 1993-11-17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5904A KR940002237B1 (ko) 1989-10-06 1990-10-06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421772B1 (ko)
JP (1) JP2877381B2 (ko)
KR (2) KR940002237B1 (ko)
AT (1) ATE132287T1 (ko)
AU (1) AU638754B2 (ko)
CA (1) CA2027043C (ko)
DE (1) DE69024448T2 (ko)
DK (1) DK0421772T3 (ko)
ES (1) ES2081942T3 (ko)
GR (1) GR301892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360B2 (ja) * 1989-09-01 2001-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JPH0455890A (ja) * 1990-06-25 1992-02-24 Canon Inc 画像データ制御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US5420603A (en) * 1991-02-20 1995-05-30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JP3143493B2 (ja) * 1991-06-21 2001-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DE69431006D1 (de) 1993-01-11 2002-08-29 Canon Kk Abschneidung des Farbtonbereichs
AU674037B2 (en) * 1993-01-11 1996-12-05 Canon Kabushiki Kaisha Colour gamut clipping
AU679320B2 (en) * 1994-03-11 1997-06-26 Canon Kabushiki Kaisha Computer display system controller
ES2114812B1 (es) * 1996-03-25 1999-02-16 Desarrollos Electronicos Proym Aparato para facilitar informaciones preprogramadas.
JPH09325741A (ja) * 1996-05-31 1997-12-16 Sony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
WO1998010405A1 (en) * 1996-09-03 1998-03-12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image shading depending on image resolution
US5758135A (en) * 1996-09-24 1998-05-26 Seiko Eps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ast clocking a digital display in a multiple concurrent display system
JP2982722B2 (ja) * 1996-12-04 1999-11-29 日本電気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JP3572473B2 (ja) 1997-01-30 2004-10-06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液晶表示制御装置
GB0000715D0 (en) * 2000-01-14 2000-03-08 Micropix Technologies Limited A liquid crystal display
JP4161574B2 (ja) * 2000-05-24 2008-10-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カラー/白黒切換可能携帯端末及び表示装置
CN111175562A (zh) * 2019-12-31 2020-05-19 常州瑞莱博自动化科技有限公司 双稳态液晶电流指示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1268A (en) * 1980-07-31 1982-0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rame signal generator
JPS6151554U (ko) * 1984-09-05 1986-04-07
JPS6167024A (ja) * 1984-09-10 1986-04-07 Canon Inc 液晶素子の駆動法
JPS61213896A (ja) * 1985-03-19 1986-09-22 株式会社 アスキ− デイスプレイコントロ−ラ
JP2535324B2 (ja) * 1985-05-13 1996-09-18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JPS6334593A (ja) * 1986-07-30 1988-02-15 ホシデン株式会社 多階調表示方法
DE3852148T2 (de) * 1987-06-19 1995-04-06 Toshiba Kawasaki Kk Anzeigemodusumschaltsystem für ein Plasmaanzeigegerät.
JP2797435B2 (ja) * 1989-05-26 1998-09-17 ヤマハ株式会社 表示コントロー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21772B1 (en) 1995-12-27
DE69024448T2 (de) 1996-05-23
EP0421772A3 (en) 1992-11-19
ATE132287T1 (de) 1996-01-15
CA2027043A1 (en) 1991-04-07
AU638754B2 (en) 1993-07-08
AU6385890A (en) 1991-04-11
DK0421772T3 (da) 1996-01-29
EP0421772A2 (en) 1991-04-10
JPH03123386A (ja) 1991-05-27
CA2027043C (en) 1995-02-14
KR910008602A (ko) 1991-05-31
KR940002237B1 (ko) 1994-03-19
JP2877381B2 (ja) 1999-03-31
DE69024448D1 (de) 1996-02-08
ES2081942T3 (es) 1996-03-16
GR3018924T3 (en) 199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345B1 (ko) 표시장치
US686202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960003962B1 (ko) 스캐닝 프레임 또는 복수의 도트 각각의 그레이 스케일 디스플레이 제어용 칼라 패널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EP0843300B1 (en) Display gradation controller for a passive liquid crystal display
AU652370B2 (en) Multiple buffer computer display controller apparatus
KR860001671B1 (ko) 텍스트 문자 서입방법 및 화상표시 제어장치
EP0540294B1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with display control device
EP0464555B1 (en) Image data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KR100517153B1 (ko)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및 화상 표시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0496370B1 (ko) 액정 구동 장치
KR100492832B1 (ko) 표시 장치
US6124842A (en) Display apparatus
KR100463412B1 (ko) 의사계조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이를 표시하는 표시방법
KR100259262B1 (ko) 액정표시판넬 인터페이스 장치
KR100229623B1 (ko) 다계조 처리장치
JP3126681B2 (ja) 表示装置、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20040015910A (ko) 액정 표시 장치
CA2010744C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for reproducing color image on crt display device and matrix type display device
KR900008222Y1 (ko) 액정 모니터의 계조표현 회로
KR920010341B1 (ko) Pdp모듈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