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467Y1 - 래크피니언식 스티어링 장치의 차체에 대한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래크피니언식 스티어링 장치의 차체에 대한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467Y1
KR940001467Y1 KR2019900014256U KR900014256U KR940001467Y1 KR 940001467 Y1 KR940001467 Y1 KR 940001467Y1 KR 2019900014256 U KR2019900014256 U KR 2019900014256U KR 900014256 U KR900014256 U KR 900014256U KR 940001467 Y1 KR940001467 Y1 KR 9400014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
vehicle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nvex
circumferent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4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743U (ko
Inventor
요시미 고타케
게이지 노무라
Original Assignee
고요세이코 가부시기가이샤
쓰보이 우즈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요세이코 가부시기가이샤, 쓰보이 우즈히코 filed Critical 고요세이코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57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7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4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래크피니언식 스티어링 장치의 차체에 대한 부착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부착구조에 의하여 차체에 부착한 마이크로버스용 래크피니언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제2도의 I-I선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단면도.
제3도는 마운트부, 마운팅라버 및 부착브래킷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티어링 기어 상자 2 : 마운트 부
3 : 실린더 4 : 래크봉
5 : 피니언 축 6 : 외향플랜지
7 : 마운팅 러버
본 고안은 예를들어 마이크로버스의 래크피니언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차체에 부착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하, 좌우는 제1도의 상하, 좌우를 지칭한다.
종래, 래크피니언식 파워 스티어링장치를 차체에 부착시키는 구조에서는 스티어링 기어상자에 설치된 마운트부의 좌우양단에 각각 외향 플랜지가 형성되고, 양외향(밖으로 향함) 플랜지간에 있어서는 마운트부의 주위에 통상의 완충부재가 싸여있고, 마운트부에 완충부재를 개재시켜 애워싸는 형태로 대략 U자형의 포지부(에워싸서 지지함) 및 포지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차체의 고정부를 구비한 부착브래킷의 고정부가 차체에 나사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있었다(일본 실개소 62-4058호 공보 참조). 이 부착구조에서는 마운트부의 좌우양단에 형성된 외향 플랜지에 완충부재의 양단이 당접되므로써 래크봉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할때에 생기는 좌우방향의 힘을 받아 완충부재의 이동이 방지되는 동시에 좌우방향의 힘을 받아 완충부재의 이동이 방지되는 동시에 좌우방향의 부착강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부착구조에서는 완충부재의 내구성이 충분하지 않고, 또한 좌우 방향의 부착강성도 불충분하고 스티어링 휘일 조작시의 응답지연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문제를 해결하는 래크 피니언식 스티어링 장치를 차체에 부착시키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으며, 본 고안에 의하여 래크피니언식 스티어링 장치를 차체에 부착시키는 구조는, 스티어링 기어상자에 설치된 마운트부의 좌우양단에는 각각 바깥을 향하는 플랜지가 향성되고, 양 외향플랜지 사이에는 마운트부의 주위에 통상의 완충부재가 싸여져 있고, 마운트부에 완충부재를 개재시켜 에워싸여 있는 대략 U자 모양의 포지부 및 포지부의 양측에 연결된 차체의 고정부를 구비하는 부착브래킷의 고정부가 차체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은 구조에 있어서, 부착브래킷의 포지부에 포지되는 부분의 외주면에 그 외주방향으로 뻗은 볼록부()가 외주방향으로 전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고, 완충부재의 내주면에는 마운트부의 볼록부가 끼워지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완충부재의 외주면에 그 외주방향으로 뻗은 볼록부가 형성되고, 부착브래킷의 포지부의 내주면에는 완충부재인 볼록부가 끼워지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있다.
본 고안의 래크피니언식 스티어링장치를 차체에 부착시키는 구조에 따르면 래크봉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생기는 힘은 마운트부의 좌우 양단의 외향플랜지와 완충부재가 당접함으로써 그리고 마운트의 볼록부가 완충부재인 오목홈의 양측면과 당접하고 그리고 완충부재 외주면의 볼록부가 부착 브래킷의 포지부 내주면의 오목홈의 양측면에 당접됨으로써 받아진다. 따라서 이와같은 힘은 종래의 구조와 비교해서 큰 면적에 의해 받아지며, 그 결과 마운팅러버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좌우방향의 부착강성도 향상되는 스티어링 휘일조작시 응답지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마이크로버스의 래크피니언식 파워 스트어링 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하며, 래크피니언식 파워스티어링 장치에는 좌단부에 마운트부(2)가 형성된 스티어링 기어 상자(1)와 마운트부(2)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실린더(3)와 래크봉(4)이 끼워져 있다. 래크봉(4)의 좌우양단은 도시를 생략한 타이로드 및 이 타이로드 끝을 개재하여 너클아암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기어 상자(1)내에 있어서는 피니언축(5)의 하부에 설치된 피니언(도시를 생략)의 기어이와 래크봉(4)의 기어이가 서로 맞물리고 있다. 피니언축(5)에는 상단에 스티어링 휘일이 설치된 스티어링샤프트(다같이 도시생략)가 연결된다.
마운트부(2)의 좌우양단에는 각각 외향 플랜지(6)가 형성되며, 양 외향플랜지(6)사이에서는 마운트부(2) 주위에 마운팅러버(완충부재)(7)가 씌워져 있다. 그리고 마운트부(2)에 마운팅러버(7)를 개재시켜 포지하는 대략 U자 모양의 포지부(8a)를 가지는 부착브래킷(8)이 상기 포지부(8a)의 양측에 연결되어 차체에 고정부(8b)를 관통하는 볼트(9)에 의하여 상기 차체에 나사 고정됨으로써 래크피니언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차체에 부착되고 있다.
마운트부(2)의 횡단면형상은 가로로 긴 반장원형이고, 상하 양 평탄부분(2a, 2b) 및 이 평탄부분(2a, 2b)의 한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원호형상부분(2c)을 구비하고 있다.
마운트부(2)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측의 평탄부분(2a)으로 부터 원호형상부분(2c)을 지나사 하측평탄부분(2b)에 이르는 부분에는 원주방향으로 뻗은 볼록띠(볼록부)(11)가, 이들 3개의 부분(2a, 2b, 2c)의 원주방향 전방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볼록띠(11)는 횡단면에 있어서 선단을 향해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형상을 이루고 있다.
마운팅러버(7)의 좌우양 단부에 마운트부(2)의 외향 플랜지(6)에 당접하는 외향플랜지(12)가 형성되고 있다.
마운팅러버(7)의 횡단면형상은 가를 긴 반장원형으로 상하 양평탄부분(7a,7b) 및 이 평탄부분(7a, 7b)의 1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원호형상부분(7c)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하 양평탄부분(7a,7b) 및 원호형상부분(7c)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뻗고, 또 블록띠(11)가 끼워지는 오목홈(13)이 형성된다. 오목홈(13)은 마운팅러버(7)의 원주벽을 외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그결과, 오목홈(13)을 형성하며 마운팅러버(7)의 외주면에는 볼록띠(볼록부)(14)가 형성된다. 마운팅러버(7)의 원주벽에는 그 축선방향으로 뻗는 절단자국(15)이 전장에 걸쳐서 형성되고 있고, 제3도의 쇄선과 같이 절단자국(15)을 열어서 그 개구부에 마운트부(2)를 마운팅러버(7)내에 끼워넣도록하여 마운팅러버(7)가 마운트부(2)에 씌워지고 있다.
부착브래킷(8)의 포지부(8a) 내부면에는 주방향으로 뻗고, 또 블록띠(14)가 들어가 끼워지는 오목홈(16)이 형성된다. 포지부(8a)의 외주면 및 고정부(8b)의 차체에 대한 부착면과 반대측 면의 자유단부에는 각각 연속된 리브(17)가 형성되고 있다. 양 리브(17)에 있어서 포지부(8a)에 존재하는 부분은 마운팅러버(7)의 플랜지(12)에 당접되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 래크봉(4)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할때에 발생하는 힘은 마운트부(2)의 좌우양단의 외향플랜지(6)와 마운팅러버(7)의 외향플랜지(12)가 당접하는 것과, 마운트부(2)의 볼록띠(11)가 마운팅러버(7)의 오목홈(13)의 양측면과 당접되는 것과, 마운팅러버(7) 외주면의 볼록띠(14)가 부착브래킷(8)의 포지부(8a) 내부면의 오목홈(16)의 양측면에 당접되는 것 및 부착브래킷(8)의 리브(17)가 마운팅러버(7)의 플랜지(12)에 당접하는 것에 의하여 받아진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마운트부(2)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측 평탄부분(2a)으로 부터 원호형상부분(2c)을 지나서 아래측 평탄부분(2b)에 이르는 부분에는 주방향으로 뻗는 볼록띠(11)가 이들 3개의 부분(2a,2b,2c)의 주방향으로 전길이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볼록부를 단속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Claims (1)

  1. 스티어링 기어상자에 설치되는 마운트부의 좌우 양단에 각각 외향 플랜지가 형성되고, 양 외향 플랜지 사이에서 마운트부의 주위에 통상의 완충부재가 씌워지고, 마운트부에 완충부재를 개재시켜 포지하는 대략 U자형상의 포지부 및 이 포지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차체의 고정부를 구비하는 부착 브래킷 고정부가 차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래크피니언식 스티어링장치를 차체에 부착하는 구조에 있어서, 마운트부에 있어서 부착 브래킷의 포지부에 포지되는 부분의 외주면에 그 주 방향으로 뻗은 볼록부가 주방향의 전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고, 완충부재의 내주면에 마운트부의 볼록부가 끼워지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완충부재의 외주면에 그 주방향으로 뻗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부착브래킷의 포지부의 내주면에 완충부재의 볼록부가 끼워지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있는 테크피니언식 스티어링 장치를 차체에 부착하는 구조.
KR2019900014256U 1989-09-19 1990-09-17 래크피니언식 스티어링 장치의 차체에 대한 부착구조 KR94000146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0061 1989-09-19
JP1989110061U JPH0347875U (ko) 1989-09-19 1989-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743U KR910005743U (ko) 1991-04-22
KR940001467Y1 true KR940001467Y1 (ko) 1994-03-17

Family

ID=1452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4256U KR940001467Y1 (ko) 1989-09-19 1990-09-17 래크피니언식 스티어링 장치의 차체에 대한 부착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47875U (ko)
KR (1) KR94000146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299B1 (ko) * 2004-10-28 2011-04-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기어 튜브 고정 구조
KR101398372B1 (ko) * 2013-01-14 2014-05-23 이용신 차량용 도어락의 텀플러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47875U (ko) 1991-05-07
KR910005743U (ko) 199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4298A (en) Engine-mounting bracket
CA2292693A1 (en) Mount assembly for automotive power plant
US4827788A (en)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KR940001467Y1 (ko) 래크피니언식 스티어링 장치의 차체에 대한 부착구조
US6257602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the steering angle of a rack and pinion steering system
KR101027026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JP4033556B2 (ja) センターテイクオフ型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849314B2 (ja) 脱落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
KR100764165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마운팅 구조
KR950005688A (ko) 자동2륜차의 리어펜더 장착구조
JP3662673B2 (ja) 自動二輪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KR970004603Y1 (ko) 자동차 파워스티어링 리저버탱크 취부구조물
KR200202990Y1 (ko) 조향기어박스 장착용 마운팅브라켓의 구조
JPH0719953Y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310122Y2 (ko)
KR960009332Y1 (ko) 자동차의 범퍼 스테이 조립구조
KR900011219Y1 (ko) 차량의 전륜지지장치
KR0115612Y1 (ko)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취부구조
KR19980018619U (ko) 스티어링 기어 고정용 지그
KR0139025Y1 (ko) 자동차의 조향기어 고정구조
KR19980061295A (ko) 스티어링컬럼지지용 브라켓트의 보강구조
KR200142166Y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레버 장착용 브라켓트 고정구조
KR200202986Y1 (ko) 조향기어박스의 장착구조
JPH0747257Y2 (ja) 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の車体への取付構造
KR950003251Y1 (ko) 자동차용 핸들각도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