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251Y1 - 자동차용 핸들각도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핸들각도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251Y1
KR950003251Y1 KR92025549U KR920025549U KR950003251Y1 KR 950003251 Y1 KR950003251 Y1 KR 950003251Y1 KR 92025549 U KR92025549 U KR 92025549U KR 920025549 U KR920025549 U KR 920025549U KR 950003251 Y1 KR950003251 Y1 KR 9500032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ixing member
fixing
fixed
steer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5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599U (ko
Inventor
이병훈
Original Assignee
정몽원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92025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251Y1/ko
Publication of KR9400155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5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2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핸들각도 조정장치
제1도는 종래기술의 자동차용 핸들 각도 조정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종래 장치의 자유 물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핸들 각도 조정장치의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B선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장치의 자유 물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조향축 6 : 제1브래킷
8 : 제2브래킷 10 : 핀
42 : 고정 부재 44 : 틸드 로드
60 : 고정 기구
본 고안은 자동차용 핸들 각도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브래킷의 회전운동을 링크기구를 사용하여 하부컬럼의 축방향을 따른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줌으로써 핸들의 고정력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핸들 각도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의 신체조건이나 운전자세에 따라 핸들의 각도를 상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 각도 조정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핸들 각도 조정장치는 조향축과 브래킷사이의 고정부가 단순 마찰식이므로 레버의 조작에 의한 고정력이 미흡하며, 마찰면적이 적으므로 인해 핸들지지효과가 저하되었다.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3도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핸들 고정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종래 기술의 자동차용 핸들 각도 조정장치의 측면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자동차용 핸들 각도 조정장치는 조향축(2)에 용접(12) 고정되는 제1브래킷(6)과, 핀(10)에 의해 상기 제1브래킷(6)과 피봇가능하게 고정되며 조향 컬럼(4)에 용접(12) 고정되는 제2브래킷(8)과, 상기 제1브래킷 및 제2브래킷(6)(8)을 고정시키는 고정 기구(30)를 포함한다. 고정 기구(30)는 레버(14)와, 상기 레버(4)에 용접 고정되며 외면과 내면에 각각 나사선이 형성되는 어댑터(16)와, 상기 어댑터의 외면과 결합하는 외측 고정 부재(18)와, 상기 어댑터의 내면과 결합하는 내측 고정 부재(20)와, 상기 내측 고정 부재(20)내에 삽입되며 제2브래킷(8)의 경사구멍(28)에 결합되는 고정핀(22)을 포함한다. 내측 고정 부재(20)와 고정핀(22) 사이에는 스프링(20)이 삽입되어 고정핀(22)을 경사 구멍(28)을 향해 가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1브래킷(6)에는 슬로트(24)가 형성되며, 고정 기구(30)는 상기 슬로트(24)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 기구(30)의 외측 고정 부재(18)의 플랜지(19)는 슬로트(24)의 외측에 위치되며, 내측 고정 부재(20)의 플랜지(21)는 슬로트(24)의 내측에 위치된다.
이하에서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핸들 각도 조정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전술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제1브래킷(6)과, 제2브래킷(8)이 핀(10)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고정되며, 고정 기구(30)는 고정 핀(22)에 의해 제2브래킷(8)의 경사 구멍(28)에 고정되며, 고정 기구(30)는 제1브래킷(6)의 슬로트(24)를 따라 이동될 수 있으므로, 제1브래킷(6)과 제2브래킷(8)은 임의의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다.
레버(14)를 화살표(5)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레버(14)에 용접 고정된 어댑터(16)의 외측 우나사에 의해 외측 고정 부재(18)는 화살표(7)방향으로 이동하고, 어댑터(16)의 내측 좌나사에 의해 내측 고정 부재(20)는 화살표(9)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브래킷(6)과 외측 고정 부재(18)가 이격되므로 고정 기구(30)가 제1브라켓(6)의 슬로트(24)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이고, 이로써 핀(10)을 중심으로 조향컬럼(4)을 회전시켜 핸들을 소정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이제, 핸들을 소정의 각도로 위치시킨후 핸들을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레버(14)를 화살표(5)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작동의 역순으로서, 내측 고정 부재(20) 및 외측 고정 부재(18)가 제1브래킷(4)의 내ㆍ외측 표면에 압착되어 고정되며, 내측 고정 부재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핀(22)이 제2브래킷(6)의 경사 구멍(28)에 삽입 고정되어 있으므로 핸들의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3도에는 종래 장치의 하중 작용 관계를 나타내는 자유 물체도가 도시되어 있다. A점은 핀(10)의 위치이며, B점은 고정 기구(30)의 위치를 나타낸다. 따라서, 핸들에 작용하는 하중 F에 대해 고정 기구에 작용하는 하중은가 된다.
즉, 고정 기구에 가해지는 하중은 거리 a 및 b의 비율에 따라 달라지므로 a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고정 기구에 가해지는 하중은 작아질 수 있으나, a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게 된다.
또한,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브래킷과 고정 기구의 고정 부위가 마찰식으로 고정되며, 그 마찰 면적이 대단히 작으므로 고정력도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마찰 면적을 증가시키며, 핸들에 작용하는 하중 F를 보다 작게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의 핸들 각도 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조향축에 용접 고정되는 제1브래킷과 ; 피봇가능하게 고정되며 조향컬럼에 용접 고정되는 제2브래킷과 핀에 의해 상기 제1브래킷과 ; 상기 제1브래킷상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 부재와 ; 상기 고정 부재를 조이도록 사용되는 고정 기구와 ;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제2브래킷을 연결시키는 두개의 틸트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기구는 레버와, 상기 레버에 고정되며 외면과 내면에 각각 나사선이 형성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의 내면과 결합하며 고정 부재에 용접 고정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핸들 각도 조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제4도 내지 6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자동차용 핸들 각도 조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4도 및 5도에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핸들 각도 조정장치의 측면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핸들 각도 조정장치는 조향축(2)과 제1브래킷(6)이 용접 고정되어 있고, 조향컬럼(4)은 제2브래킷(8)과 용접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브래킷(8)은 제1브래킷(6)에 핀(10)으로 피봇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브래킷(6)상에 이를 감싸는 고정 부재(42)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42)는 고정 기구(60)에 의해 조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42)와 상기 제2브래킷(8)은 두개의 틸트 로드(4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고정 부재(42)의 양측에는 두개의 돌출나사부(62)가 형성되고, 각각의 돌출나사부(62)에는 틸트 로드(44)의 일단부가 너트(46)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고정된다. 틸트 로드(44)의 하단부는 제2브래킷(8) 양측에 구비된 돌출나사부(63)에 피봇 가능하게 설치되고, 볼트(48)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42)의 하측에는 두개의 하향 연장부(64)(65)가 형성되며, 상기 하향 연장부(64)에는 고정 기구(60)가 설치된다.
고정 기구(60)는 레버(52)와, 이 레버(52)에 볼트(56)로 고정되며 외면과 내면에 각각 나사선이 형성되는 어댑터(50)와, 상기 어댑터의 내면과 결합하여 고정 부재(42)의 하향돌출부(65)에 용접고정되는 볼트(48)를 포함한다. 어댑터(50)의 외면 나사부는 고정부재(42)의 일측 하향연장부(64)에 형성한 암나사부에 직접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제1브래킷(6)과 제2브래킷(8)이 핀(10)에 의해 키봇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고정 부재(42)가 제1브래킷(6)상에서 축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고정 부재(42)와 제2브래킷(8)이 2개의 틸트 로드(44)에 의해 연결된 것이므로, 제1브래킷(6)과 제2브래킷(8)은 임의의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다.
즉, 제4도 및 제5도에서와 같이, 레버(52)를 화살표(9)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레버(52)에 고정된 어댑터(50)의 외측 우나사에 의해 고정 부재(42)의 연장부(64)는 왼쪽으로 이동하고, 내측 좌나사에 의해 볼트(48)는 우측으로 이동됨으로써 고정 부재(42)의 연장부(64)(65)는 서로 이격되는 것이고, 이로써 조여져 있던 제1브래킷(6)과 고정 부재(42) 사이가 느슷해지므로 제1브래킷(6)의 축방향을 따라 고정 부재(42)가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핸들축의 조향축(2)은 핀(10)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5)(7)와 같이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소정의 각도로 조정할 수 있다. 핸들을 소정의 각도로 위치시킨 후 핸들을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레버(52)를 화살표(9)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고정 부재(42)의 연장부(64)는 어댑터(50)의 외측 우나사에 의해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또다른 연장부(65)에 고정된 볼트(48)는 어댑터(50)의 내측 좌나사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므로 고정 부재(42)의 하향 연장부(65)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하향 연장부(64)(65)는 서로 밀착 고정됨으로써 고정 부재(42)가 조여져 고정 부재(42)와 제1브래킷(6)이 압착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향축(2)을 소정각도로 조정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제6도에는 본 고안의 핸들 각도 조정장치의 하중 작용 관계를 나타내는 자유 물체도가 도시되어 있다. A점은 핀(10)의 위치이며, B점은 제2브래킷(8)과 틸트 로드(44)의 연결부인 돌출나사부(63) 위치이며, C점은 틸트 로드(44)와 고정 부재(42)의 연결부인 돌출나사부(62) 위치이다. 따라서 핸들에 작용하는 하중 F에 대해 제2브래킷(8)과 틸트 로드(44)의 연결부인 B점에 작용하는 하중은가 된다. 이러한 연결부(B점)의 하중은 틸트 로드(44)를 연결부 C점으로 전달되고, 틸트 로드(44)는 제1브래킷(6)과 θ만큼 경사를 이루므로 하중 f는 f1과 f2의 분력으로서 작용된다. 따라서,가 되며가 된다. 그러나, 고정 부재(42)가 제1브래킷(6)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므로 고정 부재(42)와 제1브래킷(6)의 고정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은가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의 핸들 각도 조정장치는 종래의 장치와 비교하여 각도 θ의 변화에 따라 cosθ만큼 적은 하중을 받게 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제4도 및 5도에 도시된 바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제1브래킷(6)이 고정 부재(42)에 의해 감싸여져 외주면 전체가 마찰면적이 되므로 종래의 장치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고정력을 갖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조향축(2)에 용접 고정되는 제1브래킷(6)과 ; 핀(10)에 의해 상기 제1브래킷(6)과 피봇가능하게 고정되며 조향 컬럼(4)에 용접 고정되는 제2브래킷(8)과 ; 상기 제1브래킷(6)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 부재(42)와 ; 상기 고정 부재(42)를 조이도록 사용되는 고정 지구(60)와 ; 상기 고정 부재(42)와 상기 제2브래킷(8)을 연결시키는 두개의 틸트 로드(44)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핸들 각도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60)는 레버(52)와, 상기 레버(52)에 고정되며 외면과 내면에 각각 나사선이 형성되는 어댑터(50)와, 상기 어댑터의 내면과 결합하며 고정 부재(42)에 용접 고정되는 볼트(48)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핸들 각도 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42)는 두개의 상기 틸트 로드(44)와 연결되는 두개의 돌출나사부(62)와, 상기 고정기구(60)가 결합되는 두개의 하향연장부(64)(65)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핸들 각도 조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50)의 외면 나사부는 상기 고정 부재(42)의 하향 연장부(64)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에 직접 결합되는 자동차용 핸들 각도 조정장치.
KR92025549U 1992-12-15 1992-12-15 자동차용 핸들각도 조정장치 KR9500032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5549U KR950003251Y1 (ko) 1992-12-15 1992-12-15 자동차용 핸들각도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5549U KR950003251Y1 (ko) 1992-12-15 1992-12-15 자동차용 핸들각도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599U KR940015599U (ko) 1994-07-19
KR950003251Y1 true KR950003251Y1 (ko) 1995-04-24

Family

ID=19346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5549U KR950003251Y1 (ko) 1992-12-15 1992-12-15 자동차용 핸들각도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2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599U (ko) 199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39859B2 (ja) 車輛の操舵リンク用のタイロッドアッセンブリ
EP1223096A1 (en)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a vehicle
US6074125A (en) Tie rod assemble for a motor vehicle and related method
US4240305A (en) Retaining clamp for an adjustable steering column
US4714262A (en) Variable length tie rod assembly
US4788878A (en)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EP0640051A1 (en) An operating mechanism for a hydraulic master cylinder
US4624152A (en) Clutch activating device
GB2087808A (en) Adjustable supporting device for tiltable steering column and shaft assembly
US4998983A (en) Manually operate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brake and accelerator of a motor vehicle
US5761966A (en) Clamping device for a steering column
US4363499A (en) Tiltable steering mechanism for automobiles
JP2007508190A (ja) 自動車
KR950003251Y1 (ko) 자동차용 핸들각도 조정장치
US7338079B2 (en) Extendable and contractable steering column apparatus
US6151982A (en) Steering apparatus for a car
JPH0511105Y2 (ko)
JPS61125963A (ja) チルト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3791197B2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H0454336Y2 (ko)
JPS6325265Y2 (ko)
JP2001080528A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ボックスの固定装置
JP2002046625A (ja) テレスコピックステアリングコラム
KR200323199Y1 (ko) 차량용스티어링칼럼의길이조절장치
JPS5951471B2 (ja) ステアリングハンドルの位置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