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450B1 -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450B1
KR940001450B1 KR1019900702638A KR900702638A KR940001450B1 KR 940001450 B1 KR940001450 B1 KR 940001450B1 KR 1019900702638 A KR1019900702638 A KR 1019900702638A KR 900702638 A KR900702638 A KR 900702638A KR 940001450 B1 KR940001450 B1 KR 940001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s
disc
recording medium
main
main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0447A (ko
Inventor
기요시 오사또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700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0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4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4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specially adapted to record on, or to reproduce from, more than one track simultaneous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 G11B7/0903Multi-beam tracking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tilt, skew, warp or inclination of the disc, i.e. maintain the optical axis at right angles to the dis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원 발명에 관한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일예의 요부(要部)의 개략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요부에 있어서의 광학계에 사용되는 반도체레이저부의 설명을 위한 도면.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요부와 함께 사용되는 디스크의 일예의 평면도.
제4도는 본원 발명에 관한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일예에 의한 디스크상에 있어서의 빔스폿형성상태의 도면.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요부에 있어서의 광학계 및 신호형성회로의 구체구성예의 구성도.
제6도는 본원 발명에 관한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다른 예에 의한 디스크상에 있어서의 빔스폿형성상태의 도면.
제7도는 본원 발명에 관한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광검출부의 구체구성예에 개략구성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원 발명은 복수의 광빔을 발생시켜서, 그것들을 각각 최소한 주빔과 1개의 부빔으로 분할하여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입사시켜서, 트래킹에러신호를 형성하면서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한 정보기록 또는 디스크형 기록매체로부터의 정보재생을 행하는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한 정보의 기록 또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의 재생을 광학적으로 행하는 광학식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광빔을 입사시켜서, 기록될 정보에 의거한 기록트랙을 형성하는, 또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형성된 기록트랙으로부터 정보를 독해하기 위한 광학계를 구성하는 광학헤드장치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광학헤드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광빔발생원으로부터 발해진 광빔이 콜리메이터렌즈에 의해 평행광속화된 후빔스플리터를 통해서 대물렌즈에 도입되고, 대물렌즈를 통해서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입사되며, 또 디스크형 기록매체로부터의 반사광빔이 대물렌즈를 통하여 빔스플리터에 도입되고, 빔스플리터에 의해 그 광축방향이 변화되어 광검출부에 입사하게 된다. 그리고, 광학헤드장치에 있어서의 광검출부로부터 얻어지는 반사광빔에 대한 검출출력에 의거하여, 정보독해신호, 포커스에러신호 및 트래킹에러신호가 형성된다.
트래킹에러신호의 형성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형식이 알려져 있으나, 그중의 하나로서 디스크형 기록매체로부터의 반사광빔이 2분할 광검출소자를 사용하여 검출되고, 2분할 광검출소자의 각각으로부터 얻어지는 검출출력의 차가 취해짐으로써 트래킹에러신호가 형성되는 이른바 푸쉬풀(push-pull)방식이 있다. 푸쉬풀방식이 채탤될 때에는 트래킹에러신호를 얻기 위한 광학구성 및 그것에 부수되는 신호처리회로의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게 되는 이점이 있으나, 그 반면 예를 들면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그것에 광빔을 입사시키는 대물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직경방향의 경사를 갖게 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 반사광빔의 2분할 광검출소자에 대한 입사위치의 디스크형 기로매체에 입사하는 광빔의 트래킹 상태에 기인되지 않는 변동이 발생하고, 그결과 트래킹에러신호에 직류오프셋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푸쉬풀방식에 수반되는 문제점의 해소를 도모하려고 하는 것으로서, 일본국 특개소 61(1986)-94,246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개선된 푸쉬풀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이 개선된 푸쉬풀방식에 의해 트래킹에러신호가 형성됨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광빔발생원으로부터 발해진 광빔이 분할되어 얻어지는 최소한 2개의 광빔이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그 직경방향에 있어서의 상호간격이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있어서의 기록트랙에 대한 트랙피치의 절반분의 기수배에 상당하는 2개의 빔스폿을 형성하도록 입사되며, 이러한 것으로 인하여 디스크형 기록매체로부터의 2개의 반사광빔이 각각 2분할 광검출소자에 의해 검출되고, 한쪽의 반사광빔을 검출하는 2분할 광검출소자의 각각으로부터 얻어지는 검출출력의 차로부터, 다른쪽의 반사광빔을 검출하는 2분할 광검출소자의 각각으로부터 얻어지는 검출출력의 차가 양 반사광빔간의 광량차에 따른 레벨조정이 되어 감산됨으로써, 트래킹에러신호가 얻어지도록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지는 트래킹에러신호는 예를 들면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그것에 광빔을 입사시키는 대물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직경방향의 경사를 갖게 되는 경우 등에도, 직류오프셋성분이 제거되어서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입사하는 광빔의 트래킹상태에 적정하게 대응한 것으로 된다.
광학식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는 1개의 광빔을 발생하여, 그것을 그대로 또는 복수개의 광빔으로 분할하여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입사시켜서,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한 정보의 기록, 또는 디스크형 기록매체로부터의 정보재생을 1기록트랙씩 행하는 것외에, 동시에 복수개의 광빔을 발생하여 그것들을 각각 그대로 또는 복수개의 광빔으로 분할하여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입사시켜서,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한 정보의 기록, 또는 디스크형 기록매체로부터의 정보재생을 복수기록트랙씩 행하는 이른바 멀티채널형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멀티채널형의 광학식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도, 트래킹에러신호의 형성에 있어서는 상술한 개선된 푸수풀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트래킹에러신호를 얻기 위한 광학구성 및 그것에 부수되는 신호처리회로의 구성의 간략화와 양질의 트래킹에러신호의 형성 등의 관점에서 요망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상술한 개선된 푸쉬풀방식에 따른 트래킹에러신호의 형성은 1개의 광빔을 발생하여, 그것을 그대로, 또는 복수개의 광빔으로 분할하여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입사시켜서,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한 정보의 기록, 또는 디스크형 기록매체로부터의 정보재생을 1기록트랙씩 행하는 광학식 디스크플레이어에의 적용이 제안되어 있을 뿐이고, 트래킹에러신호의 형성에 있어서 개선된 푸쉬풀방식이 적용된 멀티채널형의 광학식 디스크 플레이어는 발견되지 않으며, 멀티채널형의 광학식 디스크플레이어로서 트래킹에러신호의 형성에 있어서 푸쉬풀방식이 채용됨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트래킹에러신호에 있어서의 직류오프셋의 문제가 수반되고 있다.
[발명의 개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원 발명은 동시에 복수개의 굉빔을 발생하여, 그것들을 각각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입사시켜서,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한 정보의 기록, 또는 디스크형 기록매체로부터의 정보재생을 복수기록트랙씩 행하는 멀티채널형으로 된 것에 의해서, 트래킹에러신호의 형성이 개선된 푸쉬풀방식이 적용되어 행해지고, 트래킹에러신호를 얻기 위한 광학구성 및 그것에 부수되는 신호처리회로의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양질의 트래킹에러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 발명에 관한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N개의 광빔을 발생하고, 그것들을 각각 주빔과 최소한 1개의 부빔으로 분할하여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입사시키는 동시에, 디스크형 기록매체로부터의 N개의 주빔과 최소한 N개의 부빔을 광검출수단에 도입하는 광학계와, 그 광학계에 있어서의 광검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검출출력에 의거하여 신호형성을 행하는 신호형성회로부를 구비하고, 광학계가 디스크형 기록매체상에 있어서 N개의 주빔에 의해서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있어서의 직경방향의 간격이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있어서의 트랙피치의 정수배에 상당하는 N개의 주빔스폿이 배열형성되는 동시에, N개의 부빔의 각각에 의해서 그것에 대응하는 주빔에 의해 형성된 주빔스폭과의 사이의 간격이 주빔스폿의 상호간격의 N배에 상당하게 되는 부빔스폿이 형성되고, 주빔스폿의 각각 및 그것에 대응하는 부빔스폿이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있어서의 직경방향으로 트랙피치의 절반분의 기수배에 상당하는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되는 동시에, 디스크형 기록매체상에 배열형성되는 N개의 주빔스폿중 끝에 위치하는 것을 형성하는 주빔 및 그것에 대응하는 부빔을 각각 실질 2분할 광검출소자로 검출하게 하고, 또한 신호형성회로부가 광학계에 있어서의 주빔을 검출하는 실질 2분할 광검출소자의 각각으로부터 얻어지는 검출출력간의 차와, 광학계에 있어서의 부빔을 검출하는 실질 2분할 광검출소자의 각각으로부터 얻어지는 검출 출력전의 차에 의거하에 트래킹에러신호를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원 발명에 관련된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트래킹에러신호의 형성에 제공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로부터의 주빔 및 부빔은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그 직경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이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있어서의 기록트랙에 대한 트랙피치의 절반분의 기수배에 상당하는 2개의 빔스폿을 형성하게 되고, 또 이러한 주빔 및 부빔이 각각 실질 2분할 광검출소자에 의해 검출되어서, 주빔을 검출하는 실질 2분할 광검출소자의 각각으로부터 얻어지는 검출출력의 차와 부빔을 검출하는 실질 2분할 광검출소자로부터 각각 얻어지는 검출출력의 차에 의거하여 트래킹에러신호가 얻어지도록 되며, 따라서 트래킹에러신호의 형성이 개선된 푸쉬풀방식이 적용되어 행해지게 된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에 관련된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의하면, 트래킹에러신호를 얻기 위한 광학구성 및 그것에 부수되는 신호처리회로의 구성이 간략화되고, 더욱이 얻어지는 트래킹에러신호가 예를 들면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그것에 주광빔 부광빔을 입사시키는 대물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직경방향의 경사를 갖게 되는 경우 등에도 직류오프셋성분이 제거되어서,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입사하는 각 주빔의 트래킹상태에 적정하게 대응한 것으로 되게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제1도는 본원 발명에 관한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일예의 요부를 이루는 광학계 및 신호형성회로부를 포함하는 부분의 개략구성을 도시한다.
제1도에 도시한 본원 발명에 관한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일예의 요부는 정보재생계를 구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그 광학계가 2개의 레이저광빔 La 및 Lb을 독립으로 출사하는 반도체레이저(10), 대물렌즈(12), 광검출부(14)를 포함하여 1개의 유니트를 형성하기 위해 구성되며, 정보기록 및 정보재생이 광학적으로 행해지는 정보기록매체로 된 디스크 D의 반경방향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반도체레이저(10)는 예를 들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2개의 반도체레이저소자(16A) 및 (16B)가 공통의 지지부재(18)에 창작되어 이루어지는 레이저광발생부를 내장하게 되며, 반도체레이저소자(16A) 및 (16B)에 의해 레이저광빔 La 및 Lb이 각각 발사된다. 그리고, 반도체레이저부(10)로부터 발사된 2개의 레이저광빔 La 및 Lb이 각각 콜리메이터렌즈(20)를 통해서 평행광속화되어, 그레이팅(22)에 도입된다. 그래이팅(22)에 있어서는 레이저광빔 La 및 Lb이 각각 0차광빔 및 0차광빔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1차광빔의 3개의 광빔으로 분할되어서, 레이저광빔 La 에 대해서는 0차광빔의 주빔 Lam이 되는 동시에 ±1차광빔이 부빔 Lap 및 Lan이 되고, 또 레이저광빔 Lb에 대해서는 0차광빔이 주빔 Lbm이 되는 동시에 ±1차광빔이 부빔 Lbp 및 Lbn이 된다(제1도에 있어서는 간략화를 위해 주빔 Lam과 부빔 Lap 및 Lan이 레이저광빔 La과 함께 하나의 실선으로 표시되며, 또 주빔 Lbm과 부빔 Lbp 및 Lbn이 레이저광빔 Lb와 함께 하나의 1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레이팅(22)으로부터 얻어지는 2개의 주빔 Lam 및 Lbm 및 4개의 부빔 Lap, Lan, Lbp 및 Lbn은 각각 빔스플리터(24)를 그 광축방향으 변화시키지 않고 통과하며, 1/4파장판(26)을 통하여 대물렌즈(12)에 입사하고 , 대물렌즈(12)에 의해 접속상태가 되어서 디스크 D에 입사된다.
디스크 D는 예를 들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공(30)이 형성되는 동시에 그 주위에 정보기록영역(32)이 형성되며, 정보기록영역(32)에 중앙공(30)을 에워싼 나선형의 가이드그루부(34)가 미리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그루부(34)에 따라 나선형의 기록트랙이 형성된다. 기록트랙은 예를들면 1.6μ 정도의 매우 작은 트랙피치로 형성되먀, 편의상 1주분(周分)이 한개의 기록트랙이 된다.
디스크 D에 입사한 2개의 주빔 Lam, Lbm 및 4개의 부빔 Lap, Lan, Lbp, Lbn은 각각 디스크 D의 정보기록영역(32)에 형성된 가이드그루부(34) 또는 기록트랙에 의한 변조를 받아 반사되어, 반사주빔 Lam', Lbm' 및 반사주빔 Lap', Lbn', Lbp', Lbn'이 된다. 그리고, 디스크 D로부터의 반사주빔 Lam', Lbm' 및 반사부빔 Lap', Lan', Lbp', Lbn'은 각가 대물렌즈(12)를 통과하고, 다시 1/4파장판(26)을 통하여 빔스플리터(24)에 도입되고, 빔스플리터(24)에 의해서 그 광축방향이 변화되어 수광렌즈(28)를 통하여 광검출부(14)에 도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대물렌즈(12), 빔스플리터(24), 1/4파장판(26) 및 수광렌즈(28)는 그레이팅(22)으로부터 얻어지는 2개의 주빔 Lam, Lbm 및 4개의 부빔 Lap, Lan, Lbp, Lbn을 각각 디스크 D에 입사시키는 동시에, 디스크 D로 부터의 2개의 반사주빔 Lam', Lbm' 및 4개의 반사부빔 Lap', Lan', Lbp', Lbn'을 각각 광검출부(14)에 도입하는 광로형성부를 구성하고 있다.
대물렌즈(12)에 의해서 2개의 주빔 Lam, Lbm 및 4개의 부빔 Lap, Lan, Lbp, Lbp이 디스크 D에 입사되는데 있어서는 그레이팅(22), 대물렌즈(12), 빔스플리터(24), 1/4파장판(26) 및 수광렌즈(28)에 의해 구성되는 광로형성부가 조정되며,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D에 있어서의 정보기록영역(32)상에 있어서, 2개의 주빔 Lam, Lbm에 의해서 디스크 D에 있어서의 직경방향의 간격이 트랙피치 Tp에 상당하는 2개의 주빔스폿 Qam, Qbm이 상호 간격 Rm을 가지고 기룩트랙(36)상에 각각 형성되며, 또 2개의 부빔 Lap, Lan에 의해서 그것들에 대응하는 주빔 Lam에 의해 형성된 주빔스폿 Qam과의 사이의 간격 Rs이 2개의 주빔스폿 Qam, Qbm의 상호간격 Rm의 2배에 상당하는 부빔스폿 Qap, Qan이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2개의 부빔 Lbp, Lbn에 의해서 그것들에 대응하는 주빔 Lbm에 의해 형성된 주빔스폿 Qbm과의 사이의 간격 Rs이 2개의 주빔스폿 Qam, Qbm의 상호간격 Rm의 2배에 상당하는 부빔스폿 Qbp, Qbn이 각각 형성되며, 또한 주빔스폿 Qam 및 그것에 대응하는 부빔스폿 Qap, Qan이 각가 디스크 D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으로 트랙피치의 절반분 Tp/2의 기수배, 예를 들면 3Ts/2에 상당하는 간격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주빔스폿 Qbm 및 그것에 대응하는 부빔스폿 Qap, Qbn이 각각 디스크 D에 있어서의 직경방향으로 트랙피치의 절반분 Tp2의 기수배, 예를들면 3Tp/2에 상당하는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된다.
그리고, 디시크 D로부터의 2개의 반사주빔 Lam', Lbm' 및 4개의 반사부빔 Lap', Lan', Lbp', Lbn'이 각각 입사되는 광검출부(14)는 2개의 반사주빔 Lam', Lam'과, 4개의 반사부빔 Lap', Lan', Lbp', Lbn'중 반사부빔 Lan', Lbp'를 검출하는 4개의 광검출소자를 가진 것이 되며, 광검출부(14)에 있어서의 4개의 광검출소자로부터 얻어지는 검출출력이 신호형성회로(40)에 공급되고, 신호형성회로(40)에 있어서 포커스에러신호 Sf, 트래킹에러신호 St, 주빔스폿 Qam에 의한 재생신호로서의 재생정보신호 Sia 및 주빔스폿 Qbm에 의한 재생신호로서의 재생정보신호 Sib가 형성된다.
제5도는 광검출부(14) 및 신호형성회로(40)의 구체구서예를 도시한다.
이 구체구성예에 있어서, 광검출부(14)에는 반사주빔 Lam'을 검출하는 4분할된 광검출영역(60a), (60b), (60c), (62d)을 구비한 광검출소자(60), 반사주빔 Lbm'을 검출하는 4분할된 광검출영역(62a), (62b), (62c), (62d)을 구비한 광검출소자(62), 반사부빔 Lam'을 검출하는 2분할된 광검출영역(64A), (64B)을 구비한 광검출소자(64) 및 반사부빔 Lbp'을 검출하는 2분할된 광검출영역(66A), (66B)을 구비한 광검출소자(66)가 배열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광검출소자(60)에 있어서의 광검출영역(60a)-(60d)으로부터 얻어지는 검출출력신호 S0a, S0b, S0c, S0d 및 광검출소자(62)에 있어서의 광검출영역(62a)-(62d)으로부터 얻어지는 검출출력신호 S2a, S2b, S2c, S2d 가 신호형성회로(40)의 일부를 형성하는 재생정보신호 및 포커스에러신호형성부(42)에 공급되고, 재생정보신호 및 포커스에러신호형성부(42)에 있어서 검출출력신호 S0a-s0d 및 S2a-S2d에 의거하여 재생정보신호 Sia 및 Sib와 포커스에러신호 Sf가 형성되어 각각 송출된다.
또한, 신호형성회로(40)에 있어서는 검출출력신호 SOa 및 SOb가 가산부(44a)에 공급되어 가산되고, 합출력신호 S0A(=S0a+S0b)가 형성되는 동시에, 검출출력신호 S0c 및 S0d가 가산부(44b)가 공급되어 가산되고, 합출력신호 S0B(=S0a+S0d)가 형성된다. 합출력신호 S0A 및 S0B는 각각 4분할된 광검출영역(60a), (60b), (60c), (60d)을 구비한 광검출소자(60)가 실질적으로 광검출영역(60a)와 (60b)이 합체되는 동시에 광검출영역(60c)와 (60d)이 합체되어 이루어진는 2분할된 광검출영역을 구비한 광검출소자로서 기능하여 얻어지는 검출출력신호와 등가이다. 이들 합출력신호 S0A 및 S0B는 감산부(46a)에 공급되어 차가 취해지며, 감산부(46a)로부터 차출력신호 Ssa(=S0A-S0B)가 얻어진다. 또, 검출출력신호 S2a 및 S2b가 가산후(44c)에 공급되어 가산되고, 합출력신호 S2A(=S2a+S2b)가 형성되는 동시에, 검출출력신호 S2c 및 S2d가 가산부(44d)에 공급되어 가선되고, 합출력신호 S2B(=S2c+S2b)가 형성된다. 합출력신호 S2A 및 S2B도 각각 4분할된 광검출영역(62a), (62b), (62c), (60d)을 구비한 광검출소자(62)가 실질적으로 광검출영역(62a)와 (62b)이 합체되는 동시에 광검출영역(62c)와 (62d)이 합체되어 이루어지는 2분할된 광검출영역을 구비한 광검출소자로서 기능하여 얻어지는 검출출력신호와 등가이다. 이들 합출력신호 S2A 및 S2B는 감산부(46b)에 공급되어 차가 취해지고, 감산부(46b)로부터 차출력신호 Ssb(=S2A-S2B)가 얻어진다. 그리고, 차출력신호 Ssa 및 Ssb는 가산부(48)에 공급되어 가산되고, 가산부(48)로부터 합출력신호 S1(=Ssa+Ssb)가 얻어진다.
한편, 광검출소자(64)에 있어서의 광검출영역(64A) 및 (64B)으로부터 얻어지는 검출출력신호 S4A 및 S4B가 감산부(46c)에 공급되어 차가 취해지고, 감산부(46c)로부터 차출력신호 Ssc(=S4A-A4B)가 얻어진다. 또, 광검출소자(66)에 있어서의 광검출영역(66A) 및 (66B)으로부터 얻어지는 검출출력신호 S6A 및 S6B가 감산부(46d)에 공급되어 차가 취해지고, 감산부(46d)로부터 차출력신호 Ssd(=S6A-A6B)가 얻어진다. 그리고, 차출력신호 Ssc 및 Ssd는 가산부(50)에 공급되어 가산되고, 가산부(50)로부터 합출력신호 S2(=Ssc+Ssd)가 얻어진다.
가산부(48)로부터 얻어지는 합출력신호 S1는 직접 감산부(54)의 한쪽의 입력단에 공급되며, 그에 대해 가산부(50)로부터 얻어지는 합출력신호 S2는 레벨조정부(52)에서 게인 1/Gs으로 레벨조정된 후, 감산부(54)의 다른족의 입력판에 공급된다. 레벨조정부(52)에 있어서의 게인 1/Gs은 주빔 Lam 또는 Lbm의 강도에 대한 부빔 Lap 및 Lan의 각각, 또는 Lap 및 Lan의 각각의 강도의 비 Gs에 따라 설정된다. 감산부(54)에 있어서의 합출력신호 S1와 게인 1/Gs으로 레벨조정된 합출력신호 S2와의 차가 취해지고, 감산부(54)로부터 얻어지는 차출력신호(S1-S2/Gs)가 트래킹에러신호 St가 되어서 출력단자(56)에 도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트래킹에러신호 St가 얻어짐에 있어서, Ia 및 Ib를 각각 주빔 Lam 및 Lbm의 강도로 하고, u를 디스크 D의 정보기록영역(32)에 있어서의 주빔스폿 Qam 및 Qbm의 각각의 기록트랙(36)의 중앙으로부터의 디스크 D의 직경방향의 변위로서 다음의 식이 성립한다.
Ssa=S0A-S0B
=Ia[a·cos[2π(u-Tp/2)/Tp]+b]
Ssb=S2A-S2B
=Ib[a·cos[2π(u+Tp/2)/Tp]+b]
Ssc=S4A-S4B
=Gs·Ia[a·cos(2π u/Tp)+b]
Ssd=S6A-S6B
=Gs·Ib[a·cos(2π u/Tp)+b]
단, a는 진폭이며, b는 직류오프셋성분이다.
따라서, 다시 다음의 식이 성립된다.
St=S-S2/Gs
=(Ssa+Ssb)-(Ssc+Ssd)/Gs
=-2(Ia+Ib)·a·cos(2π u/Tp)
이것으로부터, 출력단자(56)에 얻어지는 트래킹에러신호 St는 직류오프셋성분이 제거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제6도는 본원 발명에 관한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정보재생계를 구성하는 광학계에 의해 레이저광빔이 정보기록 및 정보재생이 광학적으로 행해지는 정보기록매체가 된 디스크 D'의 정보기록영역(32')에 입사된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 있어서, 디시크 D'는 외관은 제3도에 도시한 디스크 D와 같은 것이나, 그 정보기록영역(32')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2개의 가이드그루브(34')사이에 8개의 기록트랙(36')이 동일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디스크 D'로부터 정보재생을 행하는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광학계는 8개의 레이저광빔을 독립으로 발생하고, 그것들의 각각을 그레이팅에 의해서 0차광빔으로 이루어지는 주빔과 ±1차광빔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부빔으로 분할하여, 그레이팅으로부터 얻어지는 합계 24개의 광빔을 8개의 주빔을 인접하는 2개의 가이드그루브(34') 사이에 있어서의 8개의 기록트랙(36')에 각각 대응시켜 입사시켜서, 이로써 동시에 8개의 기록트랙(36')으로부터의 정보신호의 독해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디스크 D'의 정보기록영역(32')상에는 8개의 주빔에 의해서 디스크 D'에 있어서의 직경방향의 간격이 트랙피치 Tp'에 상당하는 8개의 주빔스폿 Q1m, Q2m, Q3m, Q4m, Q5m, Q6m, Q7m 및 Q8m이 각각 기록트랙(36')상에 위치하도록 배열형성되며, 또 16개의 부빔의 각각에 의해서 그들에게 대응하는 주빔에 의해 형성된 주빔스폿과 사이의 간격이 주빔스폿 Q1m-Q8m의 상호간격의 8배에 상당하는 부빔스폿이 형성된다. 제6도에 있어서, 부빔스폿에 대해서는 주빔스폿 Q1m을 형성하는 주빔에 대응하는 2개의 부빔중의 한쪽에 의해 형성되는 부빔스폿 Q1n과 주빔스폿 Q8m을 형성하는 주빔에 대응하는 2개의 부빔중의 한쪽에 의해 형성되는 부빔스폿 Q8p만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주빔스폿 Q1m-Q8m과 그것에 대응하는 2개의 부빔스폿은 각각 디스크 D'에 있어서의 직경방향으로 트랙피치의 절반분 Tp'/2의 기수배, 예를 들면 15Tp'/2에 상당하는 간격으로 배치되게 된다.
또, 디스크 D'의 정보기록영역(32')에 상술한 바와 같은 빔스폿을 형성하는 주빔 및 부빔이 디스크 D'의 정보기록영역(32')에 있어서 반사되는 얻어지는 반사주빔 및 반사부빔이 도입되는 광검출부에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빔스폿 Q1m-Q8m으로부터의 반사주빔 L1m', L2m', L3m', L4m', L5m', L6m', L7m', L8m'을 각각 검출한다. 각각 4분할된 광검출영역을 구비한 8개의 광검출소자(71), (72), (73), (74), (75), (76), (77), (78), 부빔스폿 Q1n으로부터의 반사부빔 L1n'을 검출하는 2분할된 광검출영역을 구비한 광검출소자(79) 및 부빔스폿 Q8p'을 검출하는 2분할된 광검출영역을 구비한 광검출소자(80)가 배열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광검출부에 접속된 신호처리회로에 있어서, 광검출소자(71)-(78)로부터 얻어지는 검출출력신호의 각각에 의거하여, 8개의 주빔에 의한 재생신호로서 8종의 재생정보신호가 형성되는 동시에 포커스에 러신호가 형성된다. 또한, 디스크 D'의 정보기록영역(32')상에 배열형성되는 8개의 주빔스폿 Q1m-Q8m중 양단에 위치하는 주빔스폿 Q1m 및 Q8m으로부터의 반사주빔 L1m' 및 L8m'을 각각 검출하는 광검출소자(71) 및 (78), 부빔스폿 Q1n로부터의 반사부빔 L1n'을 검출하는 광검출소자(79) 및 부빔스폿 Q8p로부터의 반사부빔 L8p'을 검출하는 광검출소자(80)가 제5도에 도시된 광검출소자(60), (62), (64) 및 (66)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선정되고, 광검출 소자(60), (62), (64) 및 (66)로부터 얻어지는 검출출력신호에 의거하여 트래킹에러신호 St를 형성하는 제5도에 도시된 회로와 동일하게 구성된 회로가 사용되어서, 광검출소자(71), (78), (79) 및 (80)로부터 얻어지는 검출출력신호에 의거하여 트래킹에러신호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트래킹에러신호도 제5도에 도시된 회로에 있어서의 출력단자(56)에 얻어지는 트래킹에러신호 St와 마찬가지로 직류오프셋성분이 제거된 것이 된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상술한 예는 2개 또는 8개의 광빔을 독립으로 발생시켜 그것들을 주빔과 2개의 부빔으로 분할하여, 정보기록 및 정보재생이 광학적으로 행해지는 기록매체로 된 디스크에 입사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본원 발명에 관한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사용되는 광빔의 수가 특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복수개 즉 N개의 광빔을 발하여 그것들을 주빔과 최소한 1개의 부빔으로 분할하여, 정보기록 및 정보재생이 광할적으로 행해지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입사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때에는 광학계가 디스크형 기록매체상에 있어서, N개의 주빔에 의해서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있어서의 직경방향의 간격이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있어서의 트랙피치의 정수배에 상당하는 N개의 주빔스폿이 배열형성되는 동시에, N개의 부빔의 각각에 의해서 대응하는 주빔에 의해 형성된 주빔스폿과의 사이의 간격이 주빔스폿의 상호간격의 N배에 상당하게 되는 부빔스폿이 형성되고, 주빔스폿의 각각 및 그것에 대응하는 부빔스폿이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있어서의 직경방향으로 트랙피치의 절반분의 기수배에 상당하는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되며, 또 광검출부가 디스크형 기록매체상에 배열형성되는 N개의 주빔스폿중 끝에 위치하는 것을 형성하는 주빔 및 그것에 대응하는 부빔을 각각 실질 2분할 광검출소자로 겅출하게 된다.
또한, 상술의 예에 있어서는 트래킹에러신호의 형성이 정보재생계를 구성하는 광학계 및 신호형성회로부를 포함하는 부분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본원 발명에 관한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정보기록계를 구성하는 광학계 및 신호형성회로부를 포함하는 부분에 있어서, 즉 복수의 주빔이 정보기록 및 정보재생이 광학적으로 행해지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한 정보기록을 행하는 것으로 됨으로써, 디스크형 기록매체로부터의 복수의 반사주빔 및 반사부빔에 의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래킹에러신호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Claims (4)

  1. N개(N개 2이상의 플러스의 정수)의 광빔을 발하는 광빔발생원(10), 상기 N개의 광빔을 각각 주빔과 최소한 1개의 부빔으로 분할하는 광빔분할수단(22), 광검출수단(14) 및 상기 광빔분할수단(22)으로부터 얻어지는 N개의 주빔과 최소한 N개의 부빔을 디스크형 기록매체(D)에 입사시키는 동시에, 이 디스크형 기록매체(D)로부터의 N개의 주빔과 최소한 N개의 부빔을 상기 광검출수단(14)에 도임하는 광로형성부(12,24,26,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학계와, 상기 광검출수단(22)으로부터의 검출출력에 의거하여 신호형성을 행하는 신호형성회로부(40)를 구비하고, 상기광로형성부(12,24,226,28)가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D)상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주빔에 의해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D)에 있어서의 직경방향의 간격이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D)에 있어서의 트랙피치의 정수배에 상당하는 N개의 주빔스폿이 배열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N개의 부빔의 각각에 의해서 그것에 대응하는 주빔에 의해 형성된 주빔스폿과의 간격이 상기 주빔스폿의 상호간격의 N배에 상당하게 되는 부빔스폿이 형성되고, 상기 주빔스폿의 각각 및 그것에 대응하는 부빔스폿이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D)에 있어서의 직경방향으로 상기 트랙피치의 절반분의 기수배에 상당하는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되며, 상기 광검출수단(22)이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D)상에 배열형성되는 N개의 주빔스폿중 끝에 위치하는 것을 형성하는 주빔 및 그것에 대응하는 부빔을 각각 실질 2분할 광검출소자로 검출하게 되고, 또한 상기 신호형성회로부(40)가 상기 광검출수단(14)에 있어서의 주빔을 검출하는 실질2분할 광검출소자의 각각으로부터 얻어지는 검출출력간의 차와, 상기 광검출수단(14)에 있어서의 부빔을 검출하는 실질 2분할 광검출소자의 각각으로부터 얻어지는 검출출력간의 차에 의거하여 트래킹에러신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디스크형 기록매체(D)상에 형성되는 N개의 주빔에 의한 주빔스폿이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D)에 있어서의 기록트랙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신호형성회로부(40)가 광검출수단(14)에 있어서의 주빔을 검출하는 실질 2분할 광검출소자의 각각으로부터 얻어지는 검출출력간의 차, 또는 부빔을 검출하는 실질 2분할 광검출소자의 각각으로부터 얻어지는 검출출력간의 차에 대한, 상기주빔의 강도에 대한 상기 부빔의 강도의 비에 따른 레벨조정을 행하는 레벨조정부(5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신호형성회로부(40)가 N개의 주빔을 검출하는 N개의 2분할검출소자의 각각에 있어서의 2분할된 광검출영역의 각각으로부터 얻어지는 검출출력의 차에 따른 신호의 합과, N개의 부빔을 검출하는 N개의 2분할 검출소자의 각각에 있어서의 2분할된 광검출영역의 각각으로부터 얻어지는 검출출력의 차에 따른 신호의 합과의 사이의 차에 의거하여, 트래킹에러신호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019900702638A 1989-04-24 1990-04-23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9400014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104,201 1989-04-24
JP1104201A JP2684763B2 (ja) 1989-04-24 1989-04-24 光学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
JP89-104201 1989-04-24
PCT/JP1990/000522 WO1990013116A1 (en) 1989-04-24 1990-04-23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0447A KR920700447A (ko) 1992-02-19
KR940001450B1 true KR940001450B1 (ko) 1994-02-23

Family

ID=14374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2638A KR940001450B1 (ko) 1989-04-24 1990-04-23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40577A (ko)
EP (1) EP0423364B1 (ko)
JP (1) JP2684763B2 (ko)
KR (1) KR940001450B1 (ko)
DE (1) DE69020293T2 (ko)
WO (1) WO19900131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3683B2 (en) 2003-11-24 2009-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is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000282A (nl) * 1990-02-06 1991-09-02 Philips Nv Optische aftastinrichting met meerdere aftastvlekken.
JPH04313819A (ja) * 1991-01-30 1992-11-05 Pioneer Electron Corp 光スポット位置検出装置
JP2935908B2 (ja) * 1991-01-30 1999-08-1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スポット位置検出装置
JPH04305821A (ja) * 1991-04-02 1992-10-28 Sony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US5367512A (en) * 1991-04-02 1994-11-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ulti-beam optical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with independent error detection for each beam
JPH05242512A (ja) * 1991-12-19 1993-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US5353273A (en) * 1992-08-04 1994-10-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channel optical head and data storage system
JP2875689B2 (ja) * 1992-08-20 1999-03-31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の焦点制御方法
DE4300739C2 (de) * 1992-12-22 1999-07-08 Agfa Gevaert Ag Verfahren zur Korrektur von Zeilenpositionsfehlern beim Aufzeichnen und Abtasten von Informationen mit einem Laserstrahl
JPH06309672A (ja) * 1993-04-26 1994-11-04 Sony Corp 光ディスク記録媒体及び光ディスク装置
FR2724042B1 (fr) * 1994-08-30 1997-01-03 Thomson Csf Systeme d'ecriture/lecture optique d'un support d'enregistrement et application a un disque d'enregistrement
US5519679A (en) * 1994-10-12 1996-05-21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spot sampled tracking in an optical data storage system
DE19514881A1 (de) * 1995-04-22 1996-10-24 Thomson Brandt Gmbh Kompatibles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ät
JPH0991721A (ja) * 1995-09-29 1997-04-04 Nec Corp トラック誤差検出装置
US5793549A (en) * 1995-11-15 1998-08-11 Zen Research N.V. Methods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read out of data from multiple tracks of an optical storage device
US5907526A (en) * 1995-11-15 1999-05-25 Zen Research N.V. Methods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reading multiple tracks of an optical storage medium
DE19614970A1 (de) * 1996-04-17 1997-10-23 Thomson Brandt Gmbh Kompatibles Aufzeichnungs- oder Wiedergabegerät
KR100224915B1 (ko) * 1996-10-29 1999-10-15 윤종용 다중 트랙 스캔 가능한 광픽업의 트랙 스캔방법
US5917797A (en) * 1997-08-15 1999-06-29 Zen Research Nv Multi-beam optical pickup assembly and methods using a compact two-dimensional arrangement of beams
TW336311B (en) * 1997-10-15 1998-07-11 Ind Tech Res Inst Method and device for focusing and tracking of an optical head
US6411573B1 (en) 1998-02-20 2002-06-25 Zen Research (Ireland), Ltd. Multi-beam optical pickup
US6137763A (en) * 1998-09-24 2000-10-24 Zen Research N.V. Method and apparatus for buffering data in a multi-beam optical disk reader
US6229771B1 (en) 1998-10-09 2001-05-08 Zen Research (Ireland),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focus error signals in a multi-beam optical disk drive
US6233210B1 (en) * 1998-10-09 2001-05-15 Lsi Logic Corporation Optical drive error tracking method and apparatus
US6584059B1 (en) * 1999-02-17 2003-06-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6999484B2 (en) 2003-03-18 2006-02-14 Eastman Kodak Company Parallel access data storage system using a combination of VCSEL arrays and an integrated solid immersion lens array
CN1985311A (zh) * 2004-07-14 2007-06-2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在多光束盘驱动器中的聚焦控制
JP2008542961A (ja) * 2005-05-31 2008-11-2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光学システム
TW200733089A (en) * 2005-08-16 2007-09-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system with a number of radiation sourc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9212A (en) * 1981-07-30 1984-05-15 Rca Corporation Multi-beam optical record and playback apparatus
US4449215A (en) * 1982-03-24 1984-05-15 Rca Corporation Apparatus for varying track spacing in multi-track optical record systems
US4720825A (en) * 1984-02-06 1988-01-19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Optical data reproducing devices having improved trick play capability
US4617654A (en) * 1984-06-12 1986-10-14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atrix circuit for optical disc systems
US4621351A (en) * 1984-07-06 1986-11-04 Storage Technology Partners Ii Beam alignment system
JPS6194246A (ja) * 1984-10-15 1986-05-13 Sony Corp 光学式ヘッドのトラッキング誤差検出方法
US4633455A (en) * 1985-03-25 1986-12-30 Rca Corporation Headwheel for a multiple beam optical tape playback system
JPS61224147A (ja) * 1985-03-29 1986-10-04 Canon Inc 光学的記録再生方法
JPH01144236A (ja) * 1987-12-01 1989-06-06 Canon Inc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NL8800133A (nl) * 1988-01-21 1989-08-16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met optische straling aftasten van een informatievlak.
JPH01256031A (ja) * 1988-04-04 1989-10-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ディスクのトラッキング方法
US4982395A (en) * 1988-10-03 1991-01-01 Storage Technology Partners Ii Composite optical grating for optical disk data storage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3683B2 (en) 2003-11-24 2009-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is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20293D1 (de) 1995-07-27
WO1990013116A1 (en) 1990-11-01
EP0423364A4 (en) 1992-03-11
JP2684763B2 (ja) 1997-12-03
KR920700447A (ko) 1992-02-19
EP0423364A1 (en) 1991-04-24
EP0423364B1 (en) 1995-06-21
DE69020293T2 (de) 1995-10-26
JPH02282930A (ja) 1990-11-20
US5140577A (en) 1992-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1450B1 (ko)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950010418B1 (ko) 광기록재생장치
US4775968A (en) Tracking error detecting system for optical head
EP0426879A1 (en) Optic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5892744A (en) Optical disk drive tracking error detection unit
US4771411A (en) Device for scanning a radiation-reflecting information surface with optical radiation
KR100375514B1 (ko) 광픽업장치
JPH10149564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トラッキングエラー検出方法
US7535814B2 (en) Optical pickup device
JP2003317280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4797870A (en)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335408B1 (ko) 포커스옵셋조정가능한광픽업장치
JP2005339646A (ja) 光ピックアップ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回折格子
JPH06195744A (ja) 光記録再生装置および光記録媒体
KR100234333B1 (ko) 광픽업장치
JPH0954972A (ja) 光ヘッド装置
JP2616722B2 (ja) 光ヘッド装置
KR940003547B1 (ko) 광학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00224890B1 (ko) 다중 트랙 스캔용 광픽업 장치
KR100294230B1 (ko) 기록밀도가다른광기록매체들에호환가능한광픽업
KR0174474B1 (ko) 광 픽-업 장치
KR100463424B1 (ko) 광 픽업장치의 광검출기
JPH0482021A (ja) 光記録再生装置
KR100207685B1 (ko) 광픽업장치
JP2000268400A (ja) 光学的情報再生装置及び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