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001B1 - 모발콘디셔닝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콘디셔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001B1
KR940001001B1 KR1019900014692A KR900014692A KR940001001B1 KR 940001001 B1 KR940001001 B1 KR 940001001B1 KR 1019900014692 A KR1019900014692 A KR 1019900014692A KR 900014692 A KR900014692 A KR 900014692A KR 940001001 B1 KR940001001 B1 KR 940001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cree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conditioning composition
f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4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844A (ko
Inventor
하워드 버트위슬 데이비드
피터 죤 마티 버논
Original Assignee
유니레버 엔브이
에이치. 드 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버 엔브이, 에이치. 드 로이 filed Critical 유니레버 엔브이
Publication of KR910005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0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발콘디셔닝 조성물
본 발명은 모발에 바른후에 물로 씻어내도록 의도된 모발콘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햇빛의 해로운 영향으로부터 모발을 보호하기 위한 자외선차단제 물질을 함유하는 모발콘디셔닝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햇빛에 노출된 암색모발은 색이 바래고 동양인의 검출 머리는 붉은기를 띠게되며 금발머리는 누렇게되는 경향이 있다. 모발은 햇빛에 장시간 노출되면 거칠어지고 건조하게 되며 또한 윤기있는 외관을 상실하는 경향이 있다.
모발섬유에 효과적인 자외선 차단제를 코팅함으로써 햇빛에의 노출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모발을 보호할 수 있다.
모발에 바른후에 물로 씻어내도록 의도된 종래의 모발콘디셔닝조성물은 일반적으로 3가지상, 즉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장쇄 지방알콜로 이루어진 제1라멜라상, 미셀형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물로 대부분 이루어진 제2수상, 지방알콜 및 지방티크너, 예를들면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파라핀 왁스로 구성되는 제3지방(유성)상으로 구성된다.
지용성 자외선 차단제물질이 상술한 종래의 모발콘디셔닝조성물에 혼입되는 경우 이 물질은 주로 지방상내로 분배된다. 그리하여 조성물이 모발로부터 헹궈지게되면 대부분의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지방상이 물에 씻겨져서 자외선 차단물질의 효과는 모발에 거의 남아있지 않게 된다. 또한 침착된 자외선 차단물질도 지방덩어리내에 함유되어 있으므로 널리퍼져있지 못해 모발전체를 균일하게 보호하지 못한다.
수용성 자외선차단제는 콘디셔닝처리의 최종 헹굼단계에서 헹굼물에 의해 씻겨져 버리므로 콘디셔닝조성물에 사용하기에 부적당하다.
모발로부터 자외선차단 물질이 물에의해 씻겨져 버리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가 있어왔다. 예를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 4 104 368호(밀마스터)에는 콘디셔닝 및 UV 손상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한 모발 및 피부용 조성물로서 장쇄 제4급암모늄 양이온 및 산성수용성 자외선차단제 음이온으로 구성되는 수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대해 발표되어 있다. 여기서는 양이온 부분이 피부 및 모발에 다소 존재하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유럽특허제 EP-A-193392호(레브론)에는 모발에 바르고나서 그대로 방치해두는(씻어내지 않음) 무스제품에 대해 발표되어 있다. 이 조성물은 수용성 자외선 차단제 또는 수성 알콜상에 용해된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자는 모발콘디셔닝조성물로부터 지방상을 효과적으로 제외시키면서 오일인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씻겨져 버리는 자외선 차단제의 양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따라서 모발상에 유용하게 보존되는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광의적으로 본 발명은 라멜라상(이 라멜라 상은 자외선 차단제 오일 함유)을 함유하는 모발콘디셔닝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제1수상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제2라멜라상으로 구성되는 모발콘디셔닝조성물로서, 자외선 차단제 오일을 함유하며 그 조성물이 2개의 상으로 이루어지고 자외선 차단제 오일이 라멜라상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지용성 자외선 차단제 물질을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모발콘디셔닝조성물에 있어서 제3의 지방/유성상을 형성할 수 있는 지방물질의 양은 소량이며, 자외선 차단제 오일 및 임의선택적 성분인 지용성 자외선 차단제는 라멜라상으로 존재한다. 모발콘디셔닝조성물을 모발에 바르면 라멜라상이 모발상에 침착되어 모발에 윤기를 준다. 자외선 차단제 물질은 라멜라상에 의해 모발상에 운반되어 균일한 코팅으로 침착되어 모발을 균일하게 보호한다.
[라멜라상]
라멜라상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장쇄 지방알콜도 함유한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일반적으로 모발콘디셔닝제(이후에 다시 설명됨)로서 역할을 하나 다른 모발콘디셔닝제도 추가로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조성물중에 존재하는 계면활성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중량%이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를들면 다음과 같다.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릴 디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쿼터늄(quaternium)-5, 쿼터늄-31, 쿼터늄-18 및 이들의 혼합물
함유되는 장쇄지방알콜은 C14-C22, 바람직하게는 C16-C20지방알킬 또는 알케닐사슬을 가진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함께 사용되기에 특히 적합한 지방알콜은 세틸알콜과 스테아릴알콜의 혼합물(관용적으로 ″세토스테아릴알콜″이라 불림)이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함께 지방알콜을 사용하는 것은 라멜라상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보유하기 위한 공지기술이다. 지방알콜의 양은 이러한 목적에 요구되는 최소량에 약간의 과잉량을 합한 량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많은양의 지방알콜은 별도의 제3의 상을 형성하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적절한 중량비는 여러가지 비율로 혼합물을 만들어서 이것을 후술하는 바와같이 유리자방물질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세틸알콜과 스테아릴 알콜의 혼합물과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양이온 계면활성제 대 지방알콜의 적합한 중량비는 1 : 1.3-1 : 2, 바람직하게는 1 : 1.3-1 : 1.6 범위이다.
[자외선 차단물질]
본 발명의 모발콘디셔닝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 오일을 바람직하게 0.1-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2중량% 함유한다.
적합한 자외선 차단제 오일의 예를들면 2-에틸헥실-P-메톡시 신나메이트(파르솔(Parsol) MCX로서 시판중임),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기브-탄(Gi v-Tan) F 로서 시판중임),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네오-헬리오판(Neo-Heliopa n) E 1000)으로서 시판중임), 2-에틸헥실-P-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에스카롤(Esca lol) 507)로서 시판중임) 및 에틸디히드록시프로필-P-아미노 벤조에이트(아메르스크린(Amerscreen)P로서 시판중임)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모발콘디셔닝조성물의 라멜라상은 자체가 오일은 아니지만 지용성인 자외선 차단제 물질을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질은 일반적으로 지용성 고체이며 0.1-8중량%, 바람직하게는 0.2-2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적합한다.
바람직한 지용성 자외선 차단제 물질의 예를들면 벤조페논유도체, 예를들면 4,4'-테트라 히드록시벤조페논(유비눌(Uvinul) D50으로서 시판중임),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유솔렉스(Eusolex)4360으로서 시판중임), 디벤조일메탄유도체, 예를들면 t-부틸-4-메톡시디벤조일 메탄(파르솔(Parsol)1789로서 시판중임), 이소프로필디벤조일 메탄(유솔렉스 8020으로서 시판중임)등이 있다.
조성물이 지용성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경우 지용성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차단제 오일에 용해되어 라멜라상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자외선 차단제 오일과 함께 모발상에 남아있게 된다.
자외선 차단물질, 즉 자외선 차단제 오일과 지용성 자외선차단제의 총량은 모발콘디셔닝 조성물의 10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에 자외선 차단제 물질이 10중량% 보다 많은 양으로 함유되면 모발에 대한 보호의 증가가 더이상 관찰되지 않으며 모발에 기름기가 흐르는 상태로되는 경향이 있다.
[유리지방물질]
본 발명의 모발콘디셔닝조성물은 기본적으로 유리지방물질을 매우 소량 함유하는 2개의 상으로 구성된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유리지방물질″이란 라멜라상에 포함되지 않고 제3의 지방/유성상을 형성할 수 있는 지방물질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외선 차단제물질은 이에 포함되지 않는다. 유리지방물질의 양은 자외선 차단제 오일이 라멜라상에 존재하게 되도록 충분히 적은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0.4중량% 이하이다.
모발콘디셔닝조성물중 유리지방물질의 양은 약 36000rpm으로 2시간동안 초원심 분리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조성물은 층으로 분리되며, 존재하는 유리지방물질은 최상층인 가장 밀도가 낮은 층을 형성한다. 그 다음층은 라멜라층이며, 지방상을 사실상 함유하지 않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이 라멜라층은 대부분의 자외선 차단제 물질을 함유한다. 그 다음의 액체층은 기본적으로 물로 구성되어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 장쇄지방알콜 및 지방 티크너를 함유하는 종래의 모발콘디셔닝 조성물을 원심분리하면 자외선 차단제 물질은 분할되어 조성물에 존재하는 자외선 차단제 물질 총량의 약 39중량%는 지방상에 함유되고 약 49.7중량%는 라멜라상에 함유되며 약 11.3중량%는 수성액체상에 함유된다.
지방상을 사실상 함유하지 않는 본 발명의 모발콘디셔닝 조성물은 원심분리시 자외선 차단제가 분할되어 라멜라상에 자외선 차단제 총량의 약 81.5중량%가 함유되며 수성액체상에 약 18.5중량%가 함유된다.
이로써 모발섬유를 코팅하기에 유용한 비결합 자외선 차단제의 양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당히 증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방물질의 최소한 일부를 함유하는 별도의 제3의 지방/유성 상을 형성하는데 기여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하는 상기 지방물질의 총량은 조성물의 5중량% 이하, 보통은 5중량% 보다 훨씰 적다.
본 발명의 모발콘디셔닝조성물이 저함량의 유리지방물질을 함유하는 경우 이는 주로 본래 지방성인 향료 및 기타 미량성분에 기인하는 것이다.
[콘디셔닝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모발콘디셔닝제로서 역할을 한다. 본 조성물은 또한 양이온성 중합체, 비휘발성 실리콘, 휘발성실리콘, 단백질 가수분해물 또는 제4급화된 단백질 가수분해물 중에서 선택되는 기타 콘디셔닝제도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양이온성 중합체는 다음과 같다.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쿼터늄-19, 쿼터늄-23, 쿼터늄-40, 쿼터늄-57, 폴리(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디메틸부테닐암모늄 클로라이드) α, W-비스(트리에탄올 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디프로필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메틸-β-프로파니오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디알릴피페리디늄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제4급화 폴리(비닐알콜), 제4급화 폴리(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적합한 휘발성 실리콘 물질의 예를들면 다우코닝(Dow Corning) DC345으로서 시판되는 시클로메티콘, 및 유니온 카바이드(Union Carbide) 사에서 공급되는 휘발성 실리콘 7158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비휘발성 실리콘은 일반적으로 아미노 작용성 폴리디메틸 실록산이다. 그 예를들면 다우코닝 DC929로서 시판되는 아모디메티콘 및 다우코닝 Q8220으로서 시판되는 트리메틸실릴아모디메티콘이 있다.
적합한 단백질 유도체로는 라우릴 디모늄 히드록시프로필아미노 동물단백질 가수분해물(상품명 ″LAMEQUAT L″로서 시판됨) 및 황-함유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케라틴 가수분해물(상품명 ″CROQUATWKP″로서 시판됨)이 있다.
본 발명의 모발콘디셔닝조성물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콘디셔닝제를 0.0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성분]
본 발명의 모발콘디셔닝조성물은 중성중합체에 의해 농후화될 수 있다. 적합한 농후화제로서는 구아고무(자구아 검(Jaguar Gum) 또는 자구아 플러스(Jaguar Plus)로서 시판됨), 히드록시프로필 구아(자구아 HP60으로서 시판됨), 크산탄고무(켈잔(K elzan)으로서 시판됨) 및 히드록시에틸셀룰로즈(나트로솔(Natrosol) 150 또는 나트로솔 250HR 로서 시판됨)등이 있다.
본 조성물은 또한 모발콘디셔닝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기타 성분을 미량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의 예를들면 점도조절제, 유백제, 진주광택제, 향료, 착색제, 보존료 및 완충제 등이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1]
Figure kpo00001
나트로솔 250HR을 물에 용해시켜 80℃로 가열하였다. 세토스테아릴알콜과 세틸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를 함께 혼합한 다음 이것을 나트로솔 250HR 용액에 혼합하면서 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교반시키면서 냉각한 다음 파르솔 MCX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가하였다. 마지막으로 교반시키면서 파르솔 MCX를 가하였다.
다음의 모발콘디셔닝조성물들은 실시예 1에 설명한 바와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실시예 2]
Figure kpo00002
[실시예 3]
Figure kpo00003
[실시예 4]
Figure kpo00004
[실시예 5]
Figure kpo00005

Claims (12)

  1. 자외선 차단제 오일 물질을 함유하는 라멜라상으로 이루어진 모발 콘디셔닝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라멜라상은 추가로 지용성 자외선 차단제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콘디셔닝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제 오일은 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3(4-메틸 벤질리덴)캠포르, 2-에틸헥실-P-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및 에틸디히드록시프로필-P-아미노벤조에이트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콘디셔닝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지용성 자외선 차단제 물질은 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t-부틸-4-메톡시벤조일 메탄 및 이소프로필 디벤조일 메탄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콘디셔닝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지방 물질을 5중량% 이하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콘디셔닝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콘디셔닝제를 또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콘디셔닝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제 오일 물질은 0.1-10중량%의 량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콘디셔닝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라멜라상은 추가로 지용성 자외선 차단제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콘디셔닝 조성물.
  9. 제1,2,7,8항중 어느한항에 있어서, 지용성 자외선 차단제물질은 0.1-8주량%의 량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콘디셔닝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내에서의 자외선 차단제의 총량은 10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콘디셔닝 조성물.
  11. 제1수성상 및 오일 자외선 물질을 함유하는 제2라멜라상으로 이루어진 2개의 상으로 구성된 모발콘디션이 조성물로서, 이 조성물을 유리 지방 물질을 0.4중량% 이하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콘디셔닝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제2라멜라상은 지용성 자외선 차단제를 또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콘디셔닝 조성물.
KR1019900014692A 1989-09-18 1990-09-18 모발콘디셔닝 조성물 KR940001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98921074A GB8921074D0 (en) 1989-09-18 1989-09-18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GB8921074.4 1989-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844A KR910005844A (ko) 1991-04-27
KR940001001B1 true KR940001001B1 (ko) 1994-02-08

Family

ID=10663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4692A KR940001001B1 (ko) 1989-09-18 1990-09-18 모발콘디셔닝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0419164B1 (ko)
JP (1) JPH03130213A (ko)
KR (1) KR940001001B1 (ko)
AT (1) ATE114452T1 (ko)
AU (1) AU624543B2 (ko)
BR (1) BR9004624A (ko)
CA (1) CA2025089C (ko)
DE (1) DE69014517T2 (ko)
ES (1) ES2066143T3 (ko)
GB (1) GB8921074D0 (ko)
IN (1) IN171565B (ko)
ZA (1) ZA90743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921A (ko) * 1999-10-12 2001-05-07 유상옥 모발용 컨디셔너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14573D0 (en) * 1994-07-19 1994-09-07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
DE19538094C1 (de) * 1995-10-13 1997-02-20 Kao Corp Gmbh Verwendung einer wäßrigen Emulsion oder Dispersion als Haarpflegemittel
US6090370A (en) * 1997-06-27 2000-07-18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oration Use of selected benzotriazole and triazine derivatives for protecting human hair from the harmful effects of UV radiation
KR100527346B1 (ko) * 1999-02-03 2005-11-09 (주)네오팜 유사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다중 라멜라 에멀젼 형태의 화장료
US6808701B2 (en) 2000-03-21 2004-10-26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onditioning compositions
CA2471043C (en) 2001-12-21 2012-06-19 Rhodia Inc. Stable surfactant compositions for suspending components
US7666824B2 (en) * 2004-04-22 2010-02-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quid cleanser compositions
KR20150056867A (ko) 2007-03-23 2015-05-27 로디아 인코포레이티드 구조체화 계면활성제 조성물
JP2013514262A (ja) * 2009-12-18 2013-04-25 ロレアル ケラチン繊維を処理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25768A (en) * 1978-10-31 1982-06-15 Hoffmann-La Roche Limited Benzoxazole derivatives
US4567038A (en) * 1985-03-06 1986-01-28 Revlon, Inc. Sunscreen composition for hair protection
US4810489A (en) * 1986-12-04 1989-03-07 Bristol-Myers Company High oil phase pharmaceutical vehicles and sunscreen compositions having waterproof sun protection facto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921A (ko) * 1999-10-12 2001-05-07 유상옥 모발용 컨디셔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14452T1 (de) 1994-12-15
DE69014517T2 (de) 1995-04-13
KR910005844A (ko) 1991-04-27
ZA907433B (en) 1992-05-27
IN171565B (ko) 1992-11-21
GB8921074D0 (en) 1989-11-01
EP0419164B1 (en) 1994-11-30
EP0419164A1 (en) 1991-03-27
AU624543B2 (en) 1992-06-11
CA2025089A1 (en) 1991-03-19
JPH03130213A (ja) 1991-06-04
AU6249290A (en) 1991-03-21
DE69014517D1 (de) 1995-01-12
ES2066143T3 (es) 1995-03-01
JPH042565B2 (ko) 1992-01-20
BR9004624A (pt) 1991-09-10
CA2025089C (en) 1995-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2983A (en) Sunscreen compositions comprising pongomol
US5714136A (en) Hair cosmetic containing a cationic surfactant, fat and oil and an alkyl saccharide surfactant
CA2261423C (e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s
US5660818A (en) Bioflavonoids as agents for protecting the physical and/or cosmetic properties of keratinous superficial body growths
PT815834E (pt) Composicoes cosmeticas filtrantes fotoestabilizadas compreendendo um derivado de dibenzoilmetano e um composto amidado
EP0456459A2 (en) Cosmetic composition
KR940001001B1 (ko) 모발콘디셔닝 조성물
JP2013504578A (ja) 髪色保持のためのチオマーを含む化粧用組成物
JPH04210906A (ja) 退色を減ずるシャンプー
AU605396B2 (en) Emulsified hair cosmetic
JP3001871B2 (ja) 水に不溶なカチオン性界面活性剤とベンザルマロナート官能基を有するオルガノシロキサン系紫外線遮蔽剤を含有する水性分散液
WO2001047480A1 (de) Haut- und haarpflegemittel
JPH07330568A (ja) 遮蔽剤の相乗的混合物をベースとした光保護性化粧品組成物とその使用方法
DE102018127300A1 (de) Wirkstoffzusammensetzung zum Schutz künstlich gefärbter Haare
JP2003089624A (ja) 頭髪用リンス
EP4090308B1 (en) Hair care composition
JP2782346B2 (ja) 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用剤
JP2000178141A (ja) 毛髪化粧料
BR112020009871A2 (pt) cosmético para os cabelos
AU735323B2 (en) Sunscreen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2781626B2 (ja) 可溶化型透明化粧料
EP3714869B1 (en) Hair cosmetic comprising a specific ratio of dihydroxy-indol/indoline derivative, dimethylsilicone and amino-modified silicone
KR100654059B1 (ko) 알킬포스파티딜피지디모늄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모발광택 화장료 조성물
JPH11124315A (ja) 毛髪化粧料
JPH10273427A (ja) 毛髪処理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