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784B1 - 안티록모듈레이터용 액압맥동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안티록모듈레이터용 액압맥동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784B1
KR940000784B1 KR1019890014057A KR890014057A KR940000784B1 KR 940000784 B1 KR940000784 B1 KR 940000784B1 KR 1019890014057 A KR1019890014057 A KR 1019890014057A KR 890014057 A KR890014057 A KR 890014057A KR 940000784 B1 KR940000784 B1 KR 940000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port
liquid
fluid
mas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4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549A (ko
Inventor
신지 야마다
데루히사 고우노
고우지 다까다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하라 쯔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하라 쯔네오 filed Critical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4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having expanding chambers for controlling pressure, i.e. closed systems
    • B60T8/4275Pump-back systems
    • B60T8/4291Pump-back systems having means to reduce or eliminate pedal kick-b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5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rate at which pressure is reapplied to or released from the brake
    • B60T8/5018Pressure reapplication using restrictions
    • B60T8/5025Pressure reapplication using restrictions in hydraulic brake systems
    • B60T8/5037Pressure reapplication using restrictions in hydraulic brake systems clo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티록모듈레이터용 액압맥동흡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전체구성도.
제2도 (a)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전체구성도.
제2도(b) 및 제2도(c)은 유량제어밸브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전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레이크폐달 2 : 마스터실린더
3 : 전자밸브 4 : 차륜브레이크
5 : 전자밸브 6 : 펌프
7,7' : 유로면적절환수단 8 : 리저어버
9A,9B,9C : 첵밸브 10 : 압력흡수수단
30 : 유량제어밸브 31 : 하우징
32 : 스푸울 70 : 하우징
71 : 액실 71a : 제1포오트
71b : 제2포오트 71c : 제3포오트
72 : 유동자 L1 : 주유로
L2 : 환류로 P1 : 분기점
P2 : 귀환점
본 발명은, 안티록모듈레이터용 액압맥동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안티록시에 차륜브레이크로부터 작동액을 환류로에 배출시키고, 이 환류로에 설치한 펌프에 의해 마스터실린더쪽으로의 전달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안티록장치는 보급기를 맞이하여, 원가 절감, 콤팩트화에 의한 소형차에의 적용이 급선무로 되어 있다.
상기 요구에 부응하는 안티록장치로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공소 49-28307호(독일특허 71944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a)마스터실린더와 차륜브레이크를 잇는 주(主)유로로부터 분기하고, 이 분기점보다도 상류쪽(즉, 마스터실린더쪽)의 주유로상에 있는 귀환점으로 작동액을 귀환시키는 환류로와, b)상기 환류로에 설치되어, 작동액을 환류시키는 펌프와, c)상기 분기점으로부터 작동액을 환류로에 배출하게 하므로서 차륜브레이크의 브레이크압력을 감압하고, 또, 상기 귀환점보다도 하류의 주유로에서부터 상기 분기점을 경유해서 차륜브레이크에 작동액을 공급하므로서 차륜브레이크의 브레이크압력을 가압하게하는 조압(調壓)수단을 가진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이하, 이런 종류의 방식을 환류방식이라고 칭함).
상기한 장치에 있어서는, 조압수단으로서, 귀환점과 분기점과의 사이의 주유로에 저자작도에 의한 상시개방의 입력밸브를 설치하는 동시에, 분기점과 펌프와의 사이의 환류로에 전자작동에 의한 상시 폐쇄의 출력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전자밸브의 절환에 의해 감압, 유지, 가압의 3가지 모우드에 의해 안티록시의 브레이크액압제어를 행하고 있다.
또, 마찬가지의 환류방식으로서, 영국특허(원)8512610에 상기 전자작동의 입력밸브 대신에, 비전자작동의 유량제어밸브를 설치하고, 1륜당 1개의 전자밸브에 의해 감압과 완(緩)승압의 2개의 모우드에 의해 안티록제어를 행하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환류방식의 안티록장치에 있어서는, 안티록감압시에 차륜브레이크로부터 배출된 작동액이 펌프에 의해 마스터실린더와 조압수단과의 사이에 귀환되기 때문에, 펌프의 맥동에 의거한 브레이크페달의 진동, 배관계의 진동에 의거한 소음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상기한 펌프의 맥동이 마스터실린더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하기 위하여 여러가지의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들면, 펌프토출구와 귀환점과의 사이에 드로틀(throttle)을 형성하고 이 드로틀과 펌프토출구와의 사이에 대면적을 가지는 완충실을 형성하는 방법(서독 특허출원 No.2643860호), 귀환점과 마스터실린더와의 사이에 마스터실린더로부터 귀환점을 향하는 쪽을 순(順)방향으로 하는 책밸브수단을 설치하고, 펌프토출압력을 마스터실린더에 전달하지 않는 방법(일본국 특공소 56-142733호, 동 특공소 61-16656호), 및 펌프토출압력을 받는 피스톤을 설치하고, 이 피스톤을 펌프작동시에 이동시켜서 마스터실린더와 상기 귀환점과의 사이를 드로틀연통시켜, 펌프맥동을 마스터실린더쪽으로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일본국 실개소 63-98869호)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제안되어 있는 펌프맥동의 전달방지 방법에는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즉, 상기 서독 특허의 방법에서는, 펌프토출량의 전체량이 드로틀을 통과하기 때문에, 드로틀 바로앞의 펌프토출압력이 중대하고, 펌프의 부하가 커지는 것, 대직경의 완충실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우징체가 대형화하고, 단전(端栓)등을 필요로하는 것등의 문제가 있다. 또, 일본국 특공소 56-142733호의 방법에서는 펌프토출구와 첵밸브와의 사이에 어큐뮤레이터를 필요로하고, 대형화, 원가상승등의 문제가 있다.
또, 상기 일본국 실개소 63-98869호의 방법에서는 통상 브레이크시에 피스톤이 이동하여 브레이크페달의 스트로우크가 증가하는 결점이 있는 동시에, 구조가 복잡해지고 원가가 높아진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소하려고 하는 것으로, 펌프의 맥동이 마스터실린더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장치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장치의 부가에 의해, 펌프의 부하증대, 통상 브레이크작동시에 있어서의 페달스트로우크의 증가, 장치의 대형화 및 원가상승이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환류식의 안티록장치에 있어서, 마스터 실린더와 귀환점과의 사이의 주유로의 일부의 유로면적을, 상기 펌프의 비작동시(즉, 안티록의 비제어시)에는 크게, 펌프의 작동시(안티록의 제어시)에는 작게하는 유로면적절환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펌프의 비작동시에는 마스터실린더와 귀환점의 사이에 대유로를 확보해서 통상 브레이크작동시의 듣기지연이나 풀리기지연이 없도록 하는 동시에, 펌프의 작동시에는 마스터실린더와 귀환점과의 사이의 일부를 소(小)유로로 드로틀하므로서, 마스터실린더쪽으로 전달되는 맥동을 감소하고, 또한, 안티록가압시에는 펌프로부터의 토출액의 이부를 조압수단을 통해서 차륜브레이크쪽으로 공급하고, 따라서, 펌프의 토출전체량이 드로틀을 통과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펌프의 부하증대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마스터실린터와 차륜브레이크을 잇는 주유로로부터 분기하고, 이 분기점보다도 상류쪽(즉 마스터실린더쪽)의 귀환점에서부터 주유로로 작동액을 귀환시키는 환유로와, 상기 환유로에 설치되어, 작동액을 환류시키는 펌프와, 상기 차륜브레이크로부터 작동액을 환유로로 배출시키므로서 차륜브레이크의 브레이크압력을 감압하고, 또, 상기 귀환점보다도 하류의 주유로로부터 차륜브레이크에 작동액을 공급하므로서 차륜브레이크의 브레이크압력을 가압시키는 조압수단을 가진 안티록모듈레이터용 액압맥동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실린더와 접속되는 제1포오트, 상기 펌프의 토출구와 접속되는 제2포오트를 가지는 액실과, 상기 액실내에 수납되고, 연직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통상은 중력을 받아서 연직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펌프와 작동하면 이 펌프의 토출액류에 의해 연직윗쪽으로 이동하는 유동자를 가지며, 유동자가 연직 윗똑으로 이동하므로서 상기 마스터실린더와 상기 귀환점과의 사이의 주유로의 유로면적이 감소하도록 구성되어 유로면적절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록모듈레이터용 액압맥동흡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포오트가 상기 귀환점에 접속되어 이루어진 것, 또는, 상기 액실의 연직상하 방향의 중간점에, 상기 조압수단에 접속되는 제3포오트를 형성하고, 이 연직윗쪽에 상기 제1포오트, 아래쪽에 상기 제2포오트를 배치하고, 상기 액실이 상기 귀환점으로서 구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포오트를 형성한 것에서는, 상기 유동자가 통상은 상기 제3포오트보다도 연직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펌프의 작동시에 유동자가 제3포오트를 넘어서 연직윗쪽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또, 상기 액실과 상기 펌프와의 사이에 펌프로부터 액실로 향하는 방향을 순방향으로하는 첵밸브를 설치하고 동시에, 상기 펌프의 토출구와 첵밸브와의 사이에 저압작도으 저강성의 압력흡수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의 것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첵밸브의 밸브체가 상기 유동자이고, 통상시에, 유동자가 상기 액실의 연직아래쪽에 존재하므로서 밸브실에서부터 제3포오트로 향하는 액을 차단시키고, 상기 첵밸브를 구성하도록한 것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유로면적절환수단을 환류로가 주유로와 합류하는 귀환점과 마스터실린더와의 사이에 설치하므로서, 안티록의 펌프작동시에 마스터실린더쪽으로의 유로를 자동적으로 소유로로하고 있기 때문에, 마스터실린더를 개재해서 브레이크페달에 전달되는 펌프의 맥동을 감소할 수 있다. 또, 비안티록의 펌프비작동시에는 상기 유로면적절환수단이 주유로에 연통하는 대유로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의 듣기나 풀리기에 지연을 발생시키는 일은 없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으로 나타낸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도면중, (1)은 브레이크페달, (2)는 브레이크페달(1)의 밟는 힘에 따라서 작동되는 마스터실린더, (4)는 차륜브레이크, (L1)은 상기 마스터실린더(2)와 차륜브레이크(4)를 잇는 주유로, (L2)는 주유로(L1)로부터 분기점(P1)에서 분기하고 이 분기점(P1)에서부터 상류쪽[즉, 마스터실린더(2)쪽]의 귀환점(P2)에서 주유로(L1)에 합류하는 환류로, (3)은 주유로(L1)의 분기점(P1)과 귀환점(P2)와의 사이에 설치한 전자밸브, (5)는 환류로(L2)에 설치한 전자밸브, (6)은 환류로(L2)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5)와 귀환점(P2)와의 사이에 설치한 작동액 환류용의 펌프이다.
상기 전자밸브(3)는 상기 개방상태로하는 동시에 전자밸브(5)는 상시 폐쇄상태로 하고 있으며, 안티록감압시에는 전자작동에 의해, 전자밸브(3)를 폐쇄작동, 전자밸브(5)를 개방작동하고, 차륜브레이크(4)로부터 작동액을 환류로 (L2)로 배출하고, 따라서 차륜브레이크(4)의 브레이크압력을 감압하는 한편, 브레이크압력의 재가압시에는 전자밸브(3)를 개방, 전자밸브(5)를 폐쇄작동하고, 상기 궈환점(P2)보다도 하류의 주유로(L1)로부터 차륜브레이크(4)에 작동액을 공급하여, 차륜브레이크(4)의 브레이크압력을 가압하고 있으며, 이들 전자밸브(3)와 전자밸브(5)에 의해 차륜브레이크압력의 조압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주유로(L1)에는, 마스터실린더(2)와 귀환점(P2)와의 사이에, 유로면적절환수단(7)을 설치하고 있다. 이 유로면적절환수단(7)은, 도시한 바와같이, 긴 기둥형상의 하우징(70)을 연직방향으로 배치하고 있으며, 이 하우징(70)내에 형성한 상하방향으로 긴 액실(71)을 연직방향으로 배치하고 있다. 하우징(70)의 상부벽에는 액실(71)의 상단부를 마스터실린더(2)와 주유로(L1)를 개재해서 연통하는 제1포오트(71a)를 형성하는 동시에, 하우징(70)의 하부벽에는 액실(71)의 하단부와 펌프(6)의 토출구멍(6a)을 접속하는 제2포오트(71b)를 형성하고 있다. 본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환류로(L2)가 주유로(L1)와 합류하는 귀환점(P2)을, 상기 유로면적절환수단(7)과 입력밸브(3)와의 사이의 주유로(L1)에 위치시키고, 유로면적절환수단(7)의 상기 제2포오트(71b)를 귀환점(P2)에 접속하고 있다.
유로면적절환수단(7)의 하우징(70)에는, 도시한 바와같이, 제1포오트(71a)와 액실(71)과를 연통하는 대직경의 유로(71d)와 소직경의 유로(71e)를 병렬로 형성하고 있으며, 대직경유로(71d)의 연직방향의 축선과 액실(71)의 연직방향의 축선을 일치시켜서 구성하고 있다. 액실(71)내에는 유동자(72)를 연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고 있으며, 이 유동자(72)는 플라스틱들의 경량제로 형성하고 있으나, 통상은 중력에 의해 도시한 바와같이 연직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있다.
유동자(72)의 외주면은 액실내면과 간격을 두고 상기한 바와같이 이동가능하게 배치하고, 이간격(71f)이 드로틀을 구성하고 있다. 다만, 간격(71f)의 드로틀 효과보다도 소직경유로(71e)의 드로틀효과쪽이 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유동자(72)의 상부면은 원추면(72a)으로하고, 이 유동자(72)가 상승하였을때에, 대직경유로(71d)를 축심부의 윗쪽돌출부에 의해서 폐색하는 한편, 소직경유로(71e)는 개구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또, 이 유동자(72)의 아래쪽부분에는 소직경의 스텝부(72b)를 형성하는 동시에, 바닥면 중앙에 개구해서 제2포오트(71b)와 대향하는 구멍부(72c)를 형성하고, 이 구멍부(72c)로부터 상기 스텝부(72b)의 측면에 개구하는 유로(72d)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2포오트(71b)로부터 펌프(6)의 토출액류가 액실(71)을 향해서 유입할때, 구멍부(72c), 유로(72d)를 경유해서 간격(71f)을 통과할 필요가 있어, (71f)를 통과하는 작동액의 점성에 의해 유동자(72)를 연직윗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종래와 마찬가지로, 펌프(6)는 모우터(61)에 의해서 구동하는 동시에, 상기 환류로(L2)의 전자밸브(5)와 펌프(6)와의 사이에는 리저어버(8)를 형성하고, 또한, 리저어버(8)와 펌프(6)과의 사이, 및 펌프(6)과 귀환점(P2)과의 사이에 각각 첵밸브(9A),(9B)를 설치하고, 환류로(L2)에 배출된 작동액은 분기점(P1)로부터 귀환점(P2)의 방향으로만 환류시키고 있다.
또, 상기 유로면적절환수단(7) 및 전자밸브(3)와 병렬로, 마스터실린더(2)와 차륜브레이크(4)를 연통하는 유로(L3)를 형성하고, 이 유로(L3L)에 첵밸브(9C)를 설치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제1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통상의 브레이트작동시, 즉, 안티록의 비제어시는, 도시한 바와같이, 전자밸브(3)는 개방, 전자밸브(5)는 폐쇄상태이고, 또한, 펌프(6)는 비작동상태이다. 따라서, 유로면적절환수단(7)의 액실(71)에는 제2포오트(71b)로부터 펌프(6)가 토출하는 액류가 도입되어 있지 않고, 유동자(72)는 도시한 바와같이, 중력에 의해 연직하단부에 위치하고, 마스터실린더(2)쪽으로 연통하는 대직경의 유로(71d)및 소직경의 유료(71e)도 모두 개구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유러면적절환수단(7)에 있어서, 마스터실린더(2)쪽으로부터 접속되는 제1포오트(71a)와 주유로(L1)의 귀환점(P2)에 접속되는 제2포오트(71b)와의 사이에 작동액의 대유로가 확보되어 있다.
상기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페달(1)의 밟는 힘에 따른 작동액이 마스터실린더(2)로부터 주유로(L1)을 통과하고, 유러면적절환수단(7), 전자밸브(3)를 거쳐서 차륜브레이크(4)에 도입된다. 또한, 이 통상의 브레이크작동시에는 유로면적절환수단(7)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같이 대유로가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듣기지연, 풀리기지연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안티록제어시, 전자밸브(3),(5)는 전자작동되고, 전자밸브(3)가 폐소ㅙ상태가 되어, 마스터실린더(2)로부터 차륜브레이크(4)에의 작동액의 공급을 차단하고, 또 전자밸브(5)가 개방상태가 되어 차륜브레이크로부터, 리저어버(8)에 작동액이 배출된다. 그 결과 차륜브레이크의 액압은 감소하고, 록상태가 해소된다. 그 후 안티록제어중에는, 전자밸브(3),(5)의 개폐와, 펌프(6)의 작동에 의해서, 차륜브레이크(4)의 액압의 증감이 반복해서 행해진진다. 따라서, 일단 리저어버(8)에 배출된 작동액은 펌프(6)에 의해 환류로(L2)를 통해서, 귀환점 P2로 환류된다. 그 때문에, 유러면적절환수단(7)의 제2포오트(71b)에는 펌프토출액류가 유입되고, 이 액흐름에 의해서 경량의 유동자(72)는 윗쪽으로 이동되고, 상부면의 원추면72(a)에 의해서 대직경의 유로(71d)를 폐쇄하고, 소직경의 유로(71e)만이 개구되어 있다. 즉, 안티록제어시의 펌프작동시에는, 마스터실린터(2)와 귀환점(P2)과의 사이가, 유러면적절환수단(7)에 의해서 소유로에 드로틀되게 된다. 따라서, 마스터실린더(2) 및 브레이크폐달(1)에 전달되는 펌프(6)의 맥동이 감소된다.
또, 안티록감압후에 재가압할때, 즉, 전자밸브(3)가 개방, 전자밸브(5)가 폐쇄 작동할때, 펌프(6)로부터의 토출액의 일부가 귀환점(P2)에서부터 전자밸브를(3)를 거쳐서 차륜브레이크(4)에 공급된다. 이와같이, 펌프(6)의 토출전체량이 유로면적절활수단(7)내의 소유로(드로틀)를 통과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펌프(6)의 부하중대의 문제가 없다.
또한, 펌프(6)의 작동중에 운전자가 브레이크압력의 저하를 바라고 브레이크페달(1)의 밟는 힘을 감소하였을때, 환류로(L2) 및 소유로를 구성하는 유로면적절환수단(7)을 바이패스해서, 차륜브레이크(4)로부터 유로(L3)를 통과하여 마스터실린더(2)쪽으로 작동액을 배출하고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상기 제1실시예와 상이한 주돤 점은, 유로면적저로환수단(7)을 환류로(L2)가 주유로(L1)에 함류하는 부위에 설치하고, 유로면적절환수단(7)의 액실(71)을 귀환점으로서 구성하고 그 때문에, 액실(71)의 측면에 제3포오트(71c)를 형성하고, 이 제3포오트(71c)를 주유로(L1)를 개재해서 조압수 단을 구성하는 유량제어밸브(30)에 접속하고 있는 점이며, 또한, 이 유량제어밸브(30)를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자밸브(3)대신에 설치하고 있다.
이하에, 제2실시예를 상술한다.
유로면적절환수단(7)의 액실(71)의 연직발향의 측벽에는, 그 중간점에 제3포오트(71c)를 형성하고 있다. 유러면적절환수단(7)의 다른 구조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액실(71)의 상단부에 주유로(L1)를 개재해서 마스터실린더(2)쪽으로 접속한 제1포오트(71a), 하단부에 환류로(L2)를 개재해서 펌프(6)의 토출구(6a)와 접속한 제2포오트(71b)를 형성하고 있고, 액실(71)내에 유동자(72)를 연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납하고 있다. 상기 제3포오트(71c)는 소직경유로(71e)의 개구단부에 인접해서 형성하고, 유동자(72)의 상승시에 이 유동자(72)에 의해 폐쇄되지 않도록 설정하고 있으며, 유동자(72)의 상승에 의한 대직경유로(71d)의 폐쇄시에, 소직경유로(71e)로부터 제3포오트(71c)에 연통하는 소유로가 확보되도록 하고 있다.
유량제어밸브(30)는, 도시한 바와같이, 하우징(31)에 형성한 구멍(31a)내에 수푸울(32)을 축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하게 끼워맞춤하고 있다. 하우징(31)에는, 상기 유로면적절환수단(7)의 제3포오트(71c)에 주유로(L1)를 개재해서 접속하는 입구(31b), 차륜브레이크(4)에 주유로(L1)를 개재해서 접속하는 제1출구(31c)와, 전자밸브(5)에 환류로(L2)를 개재해서 접속하는 제2출구(31d)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입구(31b)와 제1출구(31c)로 분기해서 형성한 출구(31e),(31f)를 구멍(31a)의 측면에 개구하는 한편, 제2출구(31d)를 구멍(31a)의 일단부면에 개구하고 있다.
상기 구멍(31a)내에 미끄럼가능하게 끼워맞춤하는 수푸울(32)에는, 축심부에 오리피스(33)를 끼워서 측방향의 제1통액로(35A)와 제2통액로(35B)를 형성하고 있다. 또, 스푸울(32)에는, 입구(31b)와 근접한 위치에, 외주홈부(32a)와, 이 외주홈부(32a)에 연통한 직격방향의 유로(32b)를 형성하는 동시에, 오리피스(33)끼운 위치에, 외주홈부(32c)와 직경방향의 유로(32d), 외주홈부(32e)와 직경방향의 유로(32f)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외주홈부(32a),(32c),(32e)는 스푸울(32)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입구(31b), 제1출구(31e),(31f)와 연통, 차단하고, 그 외면개구단부는 미터링에지(Metering edge)로 하고 있다. 스푸울(32)의 선단부는 스프링받침(32g)으로서 형성하고 있으며, 구멍(31a)의 일단부면과의 사이에 리터언스프링(34)을 장치하고 있다. 이 스프링받침면이 되는 구멍(31a)의 일단부에 상기 제2출구(31d)를 형성하고 있으며, 따라서, 제2출구(31d)를 스푸울(32)의 일단부쪽에 형성하는 감압실(36)과 연통시키고 있다.
또한, 다른 고성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2실시예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하면, 제2도(a)은 통상의 브레이크상태, 즉, 비안티록시를 나타내고, 유러면적절환수단(7)에서는 대유로가 확보되어 있고, 마스터실린더(2)쪽에서부터 제1포오트(71a)→대직경유로(71d) 및 소직경유로(7
1e)→제3포오트(71c)를 경유해서, 주유로(L1)로부터 유량제어밸브(30)의 입구(31b)에 작동액이 인도된다.
이 비안티록시, 유량제어밸브(30)에서는, 스푸울(32)은 리터엔스프링(34)에 의해 가압되어서 도면중 상단부위치에 있고, 입구(31b)→외주홈(32a)→유로(32b)→액통로(35A)→유로(32d)→외주홈(32c)→제1출구(32e),(31c)에 이르는 대유로가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페달(1)의 밟는 힘에 따른 작동액이 마스터실린더(2
)로부터 유로면적절환수단(7)의 대유로, 유량제어밸브(30)의 대유로로부터 차륜브레이크(4)에 송급하여, 브레이크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안티록의 감압이 개시되면, 전자밸브(5)가 개방되고, 유량제어밸브(3
0)에 있어서는 감압실(36)의 작동액이 제2출구(31d)로부터 환류로(L2)쪽으로 배출되어, 전자밸브(5)를 경유해서 리저어버(8)에 유입된다. 유향제어밸브(30)에서는, 감압실(36)로부터의 작동액의 유출에 의해, 오리피스(33)를 경계로해서 스푸울(32)의 양단부에 차압이 발생하고, 스푸울(32)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제2도(b)에 도시한 위치까지 이동하면, 외주홈(32c)의 에지(32h)에 의해 외주홈(32c)과 제1출구(31e)와의 연통을 차단하고, 상기 대유로를 폐쇄한다. 또한, 스푸울(32)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므로서, 에지(31i)가 열려서, 외주홈(32e)이 제1출구(31f)와 연통한다.
따라서,제1출구(31c),(31f)→외주홈(32e)→유로(32f)→감압실(36)→제2출구(31d)에 이르는 감압유로가 연통하고, 차륜브레이크(4)의 작동액이 환류로(L2)로 배출되고, 리저어버(8)에 저장된다. 이 안티록시에는 펌프(6)가 모우터(61)에 의해 구동되고, 환류로(L2)를 환류해서 유로면적절환수단(7)의 제2포오트(71b)에 보내진다.
안티록의 재가압시, 전자밸브(5)를 비급전으로하면, 제2출구(31b)로부터의 작동액의 유출은 정지하고 제2도(c)의 상태에서, 입구(31b)와 그 에지(32k)로 구성되는 가변오리피스, 외주홈부(32a)→유로(32b)→제1액통로(35A)→오리피스(33)→제
2액통로(35B)→유로(32f)→제1출구(31f),(31c)에 이르는 소유로가 확보된다.
이 경우 유량이 입구(31b)와 제1출구(31c)와의 차압에 의하지 않고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에지(32k)의 가변오리피그의 개방도가 자동조정된다. 즉, 오리피스(33) 전후에 발생하는 차압에 의한 가압력과 스프링(34)의 탄성력이 균형잡혀 있으며, 이 차압이 스프링(34)의 탄성력과 스푸울(32)의 유효단면적에 의해서 결정되는 일정한 값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스프링(34)의 탄성력을 작게 하므로서, 비교적 대직경의 오리피스(33)로 소유량(小流量)을 확보할 수 있고, 안티록시의 재가압속도를 작게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소요액량이 작은 차륜브레이크를 가진 소형차에의 적용이 용이하다. 또한, 당연한 일이지만, 감압시에도 동일한 소유량이 입규(31b)로부터 제2출구(31d)를 향해서 흐르게 된다.
상기 안티록시에 있어서의 펌프(6)의 회전시, 유로면적절환수단(7)에서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동자(72)가 제2포오트(71b)호부터 유입하는 펌프(6)의 토출액류에 의해 윗쪽으로 이동하고, 원추형상의 상부면(72a)에 의해서 대직경의 유로(71d)를 폐쇄하고, 펌프(6)의 토출구로부터의 액류는 소직경의 유로(71e)만을 통과해서 제1포오트(71a)를 향하여 흐르고, 마스터실린더(2) 및 브레이크페달(1)에의 펌프맥동의 전달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상이하게, 제3포오트(71c)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동자(72)가 귀환점에서부터 펌프(6)쪽의 환류로에 존재하게 되며, 따라서, 유동자(72)의 외주와 액실(71)의 내주의 간격(71f)을 작게 하여도, 통상, 브레이크시의 승압지연의 문제가 없어지기 때문에, 이 간격(71f)을 작게할 수 있다.
이 간격(71f)을 작게 하면, 펌프(6)의 액류의 대부분을 유동자(72)에 작용시킬 수 있고, 따라서, 펌프액류에 민감하게 반응해서 유동자(72)를 이동시켜, 펌프(6)의 맥동이 마스터실린더(2) 및 브레이크페달(1)에 전달되는 것을 신속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며, 제2실시예와 유로면적절환수단의 구성을 틀리게하는 동시에 이 유로면적절환수단(7')과 펌프(6)와의 사이에 압력흡수수단(10)을 설치하고 있는 것이다. 다른 구성은 제2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즉, 제3실시예에있어서는, 유로면적절환수단(7')의 하우징(70')을 원통형상으로 하고, 그 상단부의 귀퉁이부에 마스터실린더(2)쪽과 접속하는 제1포오트(71'a)를, 하단부의 중앙부에 펌프(6)와 접속하는 제2포오트(71'b)를, 상하방향의 측벽의 중간부에 유량제어밸브(30)와 접속하는 제3포오트(71'c)를 형성하고있다. 액실(71')은 도시한바와같이 상하방향을 동일단면적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 액실(71')내에 구체(球體)로 이루어진 유동자(72')를 연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납하고 있다. 이 유동자(72')는 액실(7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작은 간격(71'f)을 두고 있고, 액실(71')내에 제2포오트(71b)로부터 펌프토출액류가 유입되었을때, 이 액류에 의해 제3포오트(71'c)를 넘어서 도면중 쇄선으로 포시한 위치로 상승하고, 제1포오트(71'a)를 향하는 유로면적을 감소시키고 있다.
한편, 통상시[제2포오트(71'b)로부터 펌프토출액류가 액실(71')내에 유입되어 있지 않을때]는, 유동자(72')를 중력에 의해 바닥부(연직하방)에 위치시키고, 액실(71')로부터 제2포오트(71'b)로 향하는 쪽의 작동액의 흐름을 차단하여[즉, 펌프(6)으로부터 액실(71')로 향하는 쪽을 순방향으로 한다]를 첵밸브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제2포오트(71'b)와 펌프(6)의 토출구(6a)와의 사이의 환류로(L2)에는, 고분자탄성재등의 저강성의 흡수체(101)를 내재한 압력흡수수단(10)을 설치하고 있다. 이 압력흡수수단(10)을 설치하므로서, 펌프(6)의 작동시의 맥동을 작게하는 동시에, 상기의 첵밸브의 작용에 의해 통상 브레이크시의 압력흡수수단(10)으로의 압력부가를 방지하고 있으며, 그 때문에, 페달스트로우크가 증가하는 일이 없다. 당연한 일이지만, 압력흡수수단(10)은 피스톤을 스프링에 의해 가압한 구성으로한 것이라도 되는 것을 말한 것도 없다.
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유량제어밸브(30)의 작용등, 다른 작용은 제2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3실시예에서는 드로틀(71'f)이 안티록시의 주유로(L1)중의 드로틀과 유동자(72')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드로들을 겸하고 있으나, 제2실시예와 같이(71'a)와 병행하여 주유로(L1)중의 드로틀로서(71e)상당의 드로틀을 설치하고, 제3포오트(71c)를 제2도의 (71)에 상당하는 위치에 둘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방명에 의하면, 안티록시에 차륜브레이크로부터 작동액을 환류로에 배출하고, 이 환류로에 설치한 펌프에 의해 마스터실린더쪽으로 환류시키는 환류방식의 안티록장치에 있어서, 마스터실린더와 차륜브레이크를 잇는 작동액의 주유로에, 이 주유로와 상기 환류로가 합류하는 귀환점과 마스터 실린더와의 사이에, 안티록시의 펌프작도시에는 유로면적을 감소하는 유로면적절환수단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펌프작동시에 발생하는 맥동이 마스터실린더를 개재해서 브레이크폐달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면적절환수단은, 연직방향의 액실에 유동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한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원가상승이나 대형화의 문제는 없다.
또, 통상 브레이크작동시, 즉, 펌프가 비작동으로 펌프의 토출액류가 상기 액실에 유입되지 않을때는 중력에 의해 유동자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서, 이 유로면적절환수단내에 주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대유로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통상 브레이크작동시의 브레이크의 듣기지연이나 풀리기지연등의 단점은 발생하지 않고, 또한,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액류의 전체량을 항상 소유로의 드로틀을 통과시키는 구성은 아니기 때문에, 펌프의 부하증대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등 여러가지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6)

  1. 마스터실린더와 차륜브레이크을 잇는 주유로로부터 분기하고, 이 분기점(P1)보다도 상류쪽(즉 마스터 실린터쪽)의 귀환점(P2)에서부터 주유로로 작동액을 귀환시키는 환류로와, 상기 환류로에 설치되고, 작동액을 환류시키는 펌프와, 상기 분기점에 위치하고 차륜브레이크로부터 작동액을 환류로에 배출시키므로서 차륜브레이크의 브레이크압력을 감압하고, 또, 상기 주유로로부터 차륜브레이크에 작동액을 공급하므로서 차륜브레이크의 브레이크압력을 가압시키는 조압수단을 가진 안티록모듈레이터용 액압맥동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실린더와 접속되는 제1포오트(71a)와, 상기 펌프의 토출구와 접속되는 제2포오트(71b)를 가지는 액실과, 상기 액실내에 수납되고, 연직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통상은 중력을 받아서 연직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펌프가 작동하면 이펌프의 토출액류에 의해 연직위쪽으로 이동하는 유동자(72a)를 가지며, 유동자가 연직위쪽으로 이동하므로서 상기 마스터실린더와 상기 궈환점(P2)과의 사이의 주유로의 유로면적이 검소하도록 구성되는 액로면적절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록모듈레이터 액압맥동흡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포오트가 상기 귀환점에 접속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록모듈레이터용 액압맥동흡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실의 연직위쪽에 상기 제1포오트(71a), 아래쪽에 상기 제2포오트(71b)를 형성하는 동시에 양포오트의 중간에 제3포오트(71c)를 배치하고, 상기 액실(71)이 상기 귀환점(P2)으로서 구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록모듈레이터 액압맥동흡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자가 통상은 상기 제3포오트보다도 연직아래쪽에 위피하고, 상기 펌프의 작동시에 유동자가 제3포오트를 넘어서 연직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록모듈레이터 액압맥동흡수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실과 펌프와의 사이에 펌프에서부터 액실로 향하는 방향을 순방향으로 하는 첵밸브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펌프의 토출구와 첵벨브와의 사이에 저압작동, 저강성의 압력흡수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록모듈레이터 액압맥동흡수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책밸브의 밸브체가 상기 유동자이며, 통상시에, 유동자가 상기 액실의 연직아래쪽에 존재하므로서 밸브실에서부터 제3포오트로 향하는 액을 처단시키고, 상기 책밸브를 구성하도록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록모듈레이터 액압맥동흡수장치.
KR1019890014057A 1988-09-30 1989-09-29 안티록모듈레이터용 액압맥동흡수장치 KR940000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48717A JP2711314B2 (ja) 1988-09-30 1988-09-30 アンチロック用モジュレータ
JP63-248717 1988-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549A KR900004549A (ko) 1990-04-12
KR940000784B1 true KR940000784B1 (ko) 1994-01-31

Family

ID=17182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4057A KR940000784B1 (ko) 1988-09-30 1989-09-29 안티록모듈레이터용 액압맥동흡수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04301A (ko)
EP (1) EP0361502B1 (ko)
JP (1) JP2711314B2 (ko)
KR (1) KR940000784B1 (ko)
DE (1) DE6891109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2935C2 (de) * 1989-03-21 2003-05-2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lockiergeschützte, hydraulische Bremsanlage
DE3936850A1 (de) * 1989-11-06 1991-05-08 Bosch Gmbh Robert Blockierschutzvorrichtung fuer eine fahrzeugbremsanlage
JPH048655A (ja) * 1990-04-25 1992-01-13 Sumitomo Electric Ind Ltd アンチロック装置を備えたブレーキ回路
US5249854A (en) * 1990-04-25 1993-10-05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Braking circuit provided with antilocking apparatus
JP2592168B2 (ja) * 1990-04-25 1997-03-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アンチロック装置を備えたブレーキ回路
DE4016744A1 (de) * 1990-05-25 1991-11-28 Teves Gmbh Alfred Bremsdruckregelvorrichtung
DE4031318A1 (de) * 1990-10-04 1992-04-09 Teves Gmbh Alfred Hydraulische bremsanlage mit schlupfregelung fuer kraftfahrzeuge
JPH04283156A (ja) * 1991-03-11 1992-10-08 Nabco Ltd 脈圧緩衝装置
DE4112920A1 (de) * 1991-04-19 1992-10-22 Teves Gmbh Alfred Elektromagnetventil, insbesondere fuer schlupfgeregelte kraftfahrzeugbremsanlagen
JP2590386Y2 (ja) * 1991-05-31 1999-02-10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アンチスキッドブレーキ装置
DE9112163U1 (ko) * 1991-09-30 1993-01-28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e
DE4134490A1 (de) * 1991-10-18 1993-04-22 Teves Gmbh Alfred Blockiergeschuetzte hydraulische bremsanlage
DE4134459A1 (de) * 1991-10-18 1993-04-22 Teves Gmbh Alfred Blockiergeschuetzte hydraulische bremsanlage
DE4134445A1 (de) * 1991-10-18 1993-04-22 Teves Gmbh Alfred Blockiergeschuetzte hydraulische bremsanlage
US5628550A (en) * 1991-10-18 1997-05-13 Itt Automotive Europe Gmbh Anti-lock hydraulic brake system
JP2557843Y2 (ja) * 1991-11-19 1997-12-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液圧制御ユニット
EP0545338B1 (en) * 1991-11-30 1995-02-0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Antilock brake control fluid pressure system
EP0546729A1 (en) * 1991-12-11 1993-06-16 Lucas Industries Public Limited Company Improvements in hydraulic systems for vehicles
DE4212032C1 (en) * 1992-04-09 1993-09-09 Mannesmann Rexroth Gmbh, 97816 Lohr, De Power-operated-brake control system - uses pressure in brake cylinder to oppose pressure actuating brake valve
US5431489A (en) * 1992-06-12 1995-07-11 Mando Machinery Corporation Hydraulic anti-skid braking systems for automobiles
KR960007034B1 (ko) * 1994-03-22 1996-05-27 만도기계주식회사 차량용 미끄럼방지 제동장치
JPH0858548A (ja) * 1994-08-16 1996-03-05 Nisshinbo Ind Inc ブレーキ制御装置
JPH0958440A (ja) * 1995-08-28 1997-03-04 Akebono Brake Ind Co Ltd フェールセーフ機構を備えたアンチロック液圧制御装置
DE69723759T2 (de) * 1996-04-25 2004-04-15 Denso Corp., Kariya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DE19626289B4 (de) 1996-07-01 2008-08-1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Hydraulische Bremsanlage mit einer Rückförderpumpe
JPH10315947A (ja) * 1997-03-14 1998-12-02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磁弁及びそれを用いたアンチロック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74757B1 (ko) * 1972-03-09 1974-09-13 Citroen Sa
DE2851134A1 (de) * 1978-11-25 1980-06-12 Bosch Gmbh Robert Hydraulische kraftfahrzeug-bremseinrichtung
DE2945444A1 (de) * 1978-11-25 1981-05-21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Hydraulische kraftfahrzeug-bremseinrichtung
US4685749A (en) * 1983-10-20 1987-08-11 Nippondenso Co., Ltd. Hydraulic pressure control device for use in vehicle anti-skid braking system
GB8512610D0 (en) * 1985-05-18 1985-06-19 Lucas Ind Plc Hydraulic anti-skid braking systems
JPS63116966A (ja) * 1986-10-31 1988-05-21 Sumitomo Electric Ind Ltd 車両のブレ−キ圧力制御装置
US4988148A (en) * 1988-03-09 1991-01-29 Lucas Industries Public Limited Company Hydraulic anti-lock braking systems for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04301A (en) 1991-04-02
EP0361502B1 (en) 1993-12-01
EP0361502A2 (en) 1990-04-04
DE68911094T2 (de) 1994-04-28
JPH0295956A (ja) 1990-04-06
EP0361502A3 (en) 1990-10-17
KR900004549A (ko) 1990-04-12
DE68911094D1 (de) 1994-01-13
JP2711314B2 (ja) 1998-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0784B1 (ko) 안티록모듈레이터용 액압맥동흡수장치
KR920004576B1 (ko) 앤티록용 액압제어장치
US5472266A (en) Anti-lock hydraulic brake system
US5221129A (en) Multi-port solenoid valve in an antiskid brake control apparatus
KR100540231B1 (ko) 하이드로릭 부스터 브레이크 시스템
JPH07503203A (ja) アンチロック制御付ブレーキシステム
US6216457B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hydraulic brake boost pressure control system
KR102507712B1 (ko) 3-웨이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제동시스템
US5437501A (en) Antilock modulator
WO1997043154B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hydraulic brake boost pressure control system
JPH07503202A (ja) アンチロック制御付液圧ブレーキシステム
US3653209A (en) Vehicle hydraulic system
JP4263265B2 (ja) 一組の平行な油圧回路のための圧力制御装置
KR100386150B1 (ko) 브레이크압력제어장치
JPH048655A (ja) アンチロック装置を備えたブレーキ回路
US7213672B2 (en) Vehicle hydrostatic transmission circuit
JPH03287437A (ja) アンチロック装置を備えたブレーキ回路
JP2545413Y2 (ja)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装置
US4981198A (en) Hydraulic retarder and control
JPH048656A (ja) アンチロック装置を備えたブレーキ回路
US6024423A (en) Flow regulated braking system
JPH07503205A (ja) アンチロック制御付き液圧ブレーキシステム
EP0114502A1 (en) Hydraulic braking systems
JPH0428288Y2 (ko)
JPH0664514A (ja) 液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