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150B1 - 브레이크압력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압력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150B1
KR100386150B1 KR1019950051728A KR19950051728A KR100386150B1 KR 100386150 B1 KR100386150 B1 KR 100386150B1 KR 1019950051728 A KR1019950051728 A KR 1019950051728A KR 19950051728 A KR19950051728 A KR 19950051728A KR 100386150 B1 KR100386150 B1 KR 100386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valve body
valve
control device
brak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1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994A (ko
Inventor
유끼오 호소야
Original Assignee
닛신보세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보세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보세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00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1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8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ith failure responsive means, i.e. mean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faulty operation of the speed responsive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5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rate at which pressure is reapplied to or released from the brake
    • B60T8/5018Pressure reapplication using restrictions
    • B60T8/5025Pressure reapplication using restrictions in hydraulic brake systems
    • B60T8/5037Pressure reapplication using restrictions in hydraulic brake systems clos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nnecting the brake actuator to an alternative or additional source of fluid pressure, e.g.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4809Traction control, stability control, using both the wheel brakes and other automatic braking systems
    • B60T8/4827Traction control, stability control, using both the wheel brakes and other automatic braking systems in hydraulic brake systems
    • B60T8/4863Traction control, stability control, using both the wheel brakes and other automatic braking systems in hydraulic brake systems closed systems
    • B60T8/4872Traction control, stability control, using both the wheel brakes and other automatic braking systems in hydraulic brake systems closed systems pump-back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03/00Fluid-pressure and analogous brake systems
    • Y10S303/90ABS throttle control

Abstract

목적 : 이물질로 인해 막혀서 재 승압 불능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급 브레이크시에 충분한 액압을 공급하여 안정성 높은 브레이크 압력제어장치를 제공함.
구성 : 보어(12)내에 피스톤(16)을 수용하고, 피스톤(16)내에 밸브체(24)를 수용하며, 보어(12)와 피스톤(16) 사이에 형성한 제 1가변 조리개(32)와, 피스톤(16)과 밸브체(24)간에 형성한 제 2, 제 3가변 조리개(33, 34)를 직렬로 배치함과 동시에, 제 2가변 조리개(33)와 제 3가변 조리개(34) 사이에 호일 실린더측의 주 유로(I)와 연결하여 통하는 유로를 접속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
본 발명은 차륜의 락을 방지하는 안티로크 브레이크 시스템 (ABS)이나, 구동륜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트랙션 컨트롤 시스템(TCS) 장착 차량에 적용할 수 있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장치는 다수의 전자 작동식 밸브(입구밸브, 배출밸브)를 구비하는데, 전자작동식 밸브의 사용수를 줄이는 목적으로 입구밸브를 액압작동식 밸브로 구성한 브레이크 압력제어장치가 여러종류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특개평 1-30635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장치는 제 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실린더(60)와 호일 실린더(61)를 연결하여 통하는 주 유로(62)와, 주 유로(62)로 부터 분기하는 배출유로(63)의 분기지점에 액압작동식 유량제어 교체밸브(64)를 구비하며, 배출유로(63)에 종래와 동일한 전자 작동식 배출밸브(6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량제어 교체밸브(64)는 보어(66)에 수용한 내부통(67)과, 내부통(67)내에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수용되며 내부에 고정 오리피스(68)를 형성하는 스풀(spool : 69)과, 이 스풀(69)를 보어(66)의 구멍 안쪽으로 가세하는 리턴 스프링(7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내부통(67) 및 스풀(69)에는 지름방향을 향해 다수의 액통로가 뚫어 설치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문제점]
상기한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상기한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는 ABS의 작동에 따른 재 승압시에 있어,스풀(69)이 하강하여 대 유로를 차단하고, 스풀(69)내에 형성된 작은 단면의 고정오리피스(68)를 바이패스하여 호일 실린더(61)로 액을 공급하는 구조이다. 고정오리피스(68)는 단면지름이 0.2mm~ 0.3mm 로 매우 작기때문에 이물질로 막히기 쉽고, 분해소제하지 않는 한 막힌 이물질을 강제로 제거할 수단이 없다. 이와같이 고정오리피스(68)가 이물질로 막히면 승압불능 상태가 되어 브레이크력이 떨어지게 되는 난점이 있다.
(2) 상기한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를 입구포트(71), 액로(72~76), 제 1 출구(77)에 의해 대 유로를 형성하는데, 급 브레이크 시에는 스풀(69)이 리턴 스프링실(80)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대 유로가 스로틀링(throttling) 상태 혹은 차단상태로 되어 브레이크력이 부족하게될 위험성이 있다.
다시말해, 급 브레이크에 따른 스풀(69)에 고 유체력이 작용하면 스풀(69)이 리턴 스프링실(80) 방향으로 눌려진다. 이에 따라, 압박된 리턴 스프링실(80)내의 액이 스풀(69)의 외주를 통해 호일 실린더(61)와 연결하여 통하는 액로(78)로 유출하면, 스풀(16)의 강하 (리턴 스프링실(80) 방향의 이동)를 허용하고, 액로(75)와 액로(76)간의 연결되어 통함이 스로틀링 혹은 차단 상태로 되어 브레이크력이 떨어지게 된다.
(3) 상기한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는 내부통(67)과 스풀(69)에 각각 지름방향을 향하여 다수의 액로(72. 73. 75. 76. 78. 79)를 형성해야 하므로 비용상승을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물질로 막힌것을 해소하여 ABS 작동시 또는 TCS 작동시에 재승압 불능이 되는것을 피하고, 안전성이 높은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급브레이크시에 액압이 부족하지 않고,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브레이크 압력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로의 가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동시에 소형이며 저렴한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압력발생원과 차륜 브레이크를 연결하는 주 유로로부터 분기하여 배출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분기부에 제어된 비율로 브레이크 압력을 증압 및 감압하는 유량조정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유량 조정밸브와 배출유로 사이에 차륜 브레이크 압력을 감압하는 배출밸브를 구비한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정밸브는 보어에 수용한 내외 두개의 가동부재를 구비하는 액압작동식 밸브로 구성하며, 상기 보어에 압력발생원 측의 주 유로와 연결되어 통하는 입구와, 차륜 브레이크 측의 주 유로와 연결되어 통하는 출구와, 배출밸브와 연결되어 통하는 배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두개의 가동부재는 상기 입·출구 및 배출구를 연결하여 통하는 통액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액로에, 입구와 외측 가동부재 사이에 형성한 제 1가변 조리개와, 내외 2개의 가동부재 사이에 각각 형성한 제 2가변 조리개 및 제 3가변 조리개를 직렬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출구와 연결되어 통하는 통액로를 제 2가변 조리개와 제 3가변 조리개 사이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비 제어시에는 상기제 1 및 제 2가변 조리개가 비 스트롤링 상태이고, 상기 제 3가변 조리개가 스트롤링 상태이며, 제어시에는 내외 두개의 가동부재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상기 제 2가변 조리개를 스트롤링 상태로 바꾼후, 제 3가변 조리개를 비 스트롤링 상태로 바꾸며, 동시에 제 2가변 조리개 전후의 압력차에 의해 제 1가변 조리개의 개구면적을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정 밸브는 상기 보어에 미끄럼 운동이 가능 하도록 수용한 축 방향으로 관통구멍을 갖는 피스톤과, 상기 관통구멍내에 축 방향을 향해 이동가능하도록 수용한 밸브체를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입구와 관통구멍을 연결하여 통하는 제 1 통액로와, 상기 출구와 관통구멍을 연결하여 통하는 제 2통액로를 가지며, 상기 입구와 제 1통액로 사이에 형성되고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유로단면적이 변화하는 제 1가변 조리개와, 상기 제 1통액로와 제 2통액로 사이에 형성되고 피스톤과 밸브체의 상대적인 이동에 따라 유로 단면적이 변화하는 제 2가변 조리개와, 상기 제 2통액로 보다는 상기 배출구 가까이에 형성되고 피스톤과 밸브체의 상대적인 이동에 따라 유로의 단면적이 변화하는 제 3가변 조리개를 직렬로 배치하고, 제 2 및 제 3가변 조리개를 끼고 제 1통액로와 연결되어 통하는 입구실과, 제 2통액로와 연결되어 통하는 출구실과, 배출밸브와 연결되어 통하는 감압실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감압실 내에 피스톤을 입구실측을 향하여 가세하는 리턴 스프링을 설치하고, 비 제어시에는 입구와 출구 사이에 제 1가변 조리개와 제 2가변 조리개를 포함한 대 유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출구와 배출구 사이에 제 3가변 조리개를 포함한 소 유로를 형성하고,제어시에는 보어와 피스톤 및 밸브체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3가변 조리개를 비 스트롤링 상태로 하고 상기 소 유로를 대 유로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및 제 1가변 조리개를 스트롤링 상태로 하고 상기 대 유로를 소 유로로 전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피스톤에 대하여 감압실 방향으로의 이동위치를 일정하게 규제하는 돌기를 구비함과 동시에, 밸브체와 피스톤의 사이에 밸브체를 감압실 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을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피스톤에 대해 감압실 방향으로의 이동위치를 일정하게 규제하는 돌기를 구비함과 동시에, 밸브체와 입구실내의 보어 사이에 밸브체를 감압실 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을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피스톤의 관통구멍내에 밸브체의 상부 및 하부를 맞게 끼우는 환상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환상돌기와 밸브체 사이에 제 2 및 제 3가변 조리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상돌기의 적어도 한쪽이 피스톤에 고착된 부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피스톤의 환상돌기에 맞게 끼우는 밸브체의 상하부 중 적어도 한쪽이, 밸브체의 외주면을 부분적으로 절결하여 환상돌기와의 사이에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피스톤의 환상돌기에 맞게 끼우는 밸브체의 상하부 중 적어도 한쪽이 니들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피스톤의 환상돌기에 맞게 끼우는 밸브체가 원주형상을 띰과 동시에, 밸브체 상하부의 적어도 한쪽의 내부에 축로와, 상기 축로와 연결되어 통하는 지름방향의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지름방향의 통로와 환상돌기 사이에 제 2 또는 제 3가변 조리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밸브체를 감압실 방향으로 가세하는 상기 스프링을 출구실내에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피스톤의 관통구멍 도중에 소경(小經)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소경구멍과 연결되어 통하도록 지름방향으로 제 2통액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 2통액로와 밸브체 사이에 제 2 및 제 3가변 조리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브레이크 압력제어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이 피스톤을 직접 수용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보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이 유량조정 밸브와 배출밸브를 직렬로 수용하는 한개 또는 다수의 보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안티로크 브레이크 시스템 장착 차량 또는 안티 락브레이크 시스템 및 트랙션 컨트롤 시스템을 병용하여구비한 장착차량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본 발명에 따르면, 유량을 조정하는 모든 조리개를 가변 조리개로 구성하므로, 조리개에 이물질이 끼더라도 조리개의 가변운동으로 인해 이물질을 강제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유로가 막히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급 브레이크 시에 고압력을 받더라고 피스톤이 강하하지 않으며, 입구와 출구 사이에 대 유로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액압 부족을 해소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전체의 구성
제 1도는 ABS기능을 구비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압력 발생원인 마스터 실린더(1)와, 차륜브레이크인 호일 실린더(2)의 사이는 2계통의 주 유로(I, II)로 결합되어 있다. 주 유로(I, II)와 차량의 각 차륜이 구비한 호일 실린더(2)의 사이의 배관 방식은, 크로스배관 방식 또는 전후 배관 방식 중 어느것을 채용해도 좋으며, 이러한 배관방식은 공지되어 있다.
주 유로(I)와 모터(3)에 연동하여 가동하는 액압펌프(4) (보조액압원)의 사이는 배출유로(5)로 결합되며, 액압펌프(4)와 주 유로(I)의 사이가 토출유로(6)로 결합되어 있다. 배출유로(5)에는 전자력으로 작동하는 상시 개방식의 배출밸브(7)와 보조리저브(8)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주 유로(I)와 배출유로(5)의 분기부에는액압으로 작동하는 상시 개방식의 유량조정밸브(9)가 구비되어 있다. 각 차륜은 관련한 차륜의 속도를 감지하는 공지된 속도센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며, 각 센서는 공지한 전자모듈(도시안함)에 각각 접속하고, 전자모듈은 각 차륜의 스키트 경향이 확인되었을 때 모터(3), 배출밸브(7)에 전기적인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2) 유량조정 밸브
제 2도는 배출밸브(7)와 유량조정밸브(9)를 일체로 조립한 조립체의 비 작동상태의 딘면도를 도시한다.
하우징(11)은 배출밸브(7)와 유량조정밸브(9)를 직렬로 수용하는 이경(異經)의 한개 또는 다수의 보어(12)를 가진다. 보어(12)에는 구멍 안쪽에서부터 순서대로 입구(13), 출구(14)가 각각 형성되며, 입구(13)는 마스터 실린더 측의 주 유로(I)와 연결되어 통하고, 출구(14)는 호일 실린더(11)측의 주 유로(I)와 연결되어 통하고 있다. 배출구(15)는 보어(12)의 개구부측에 형성되며 배출밸브(7)를 통해 배출유로(13)와 연결되어 통한다. 통상의 피스톤(16)은 관통구멍(17)을 가지며, 보어(12)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관통구멍(17)내에는 피스톤(16)과 일체로 형성한 환상돌기(18)와, 관통구멍(17) 고착시킨 환상돌기인 부시(25)가 일정한 거리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다. 게다가 부시(25)를 사이에 끼고 그 양측에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통액로(19)와 제 2통액로(20)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보어(12), 피스톤(16), 배출밸브(7)로 둘러싸인 공간내에는, 구멍 안쪽에서 부터 순서대로 입구실(21), 출구실(22), 감압실(23)을 형성하고 있다. 제 1통액로(19)는 입구(13)와 입구실(2])을 연결하여 통하며, 제 2통액로(20)는출구(14)와 출구실(22)을 연결하여 통하고 있다.
밸브체(24)는 환상돌기(18) 및 부시(25)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지름의 원주체로서, 밸브체(24)상하부의 외주면의 일부가 좁은 폭으로 절삭되고, 환상돌기(18), 부시(25)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제 3 (a)도 참조)
또 제 3 (b) ~ (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24)의 외주면에 단면이 V자 형상 또는 원호 형상의 홈을 한개 또는 다수개 설치하고, 밸브체(24)를 환상돌기(18) 또는 부시(25)에 의해 가이드시키면서 유로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유로는 도시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한 유로구조를 적용해도 됨은 물론이다.
밸브체(24)의 외주홈(26)에 장착된 C형의 러테이너 링(27)이 환상돌기(18)의 상면에 맞붙음으로써, 피스톤(16)에 대한 밸브체(24)의 강하위치가 일정하게 규제되고 있다. 출구실(22)과 감압실(23) 사이는 연결되어 통하며, 통상적으로 작은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16)의 부시(25)하면과 리테이너 링(27)의 상면 사이에는 스프링(28)을 수축상태로 설치하며, 상기 스프링(28)의 복원력이 밸브체(24)를 구멍입구(감압실 (23)) 방향으로 꽉 누르고 있다.
또한 보어(12)를 배출밸브(7)가 봉쇄하고, 배출밸브(7)의 밸브체(29)와 환상돌기(18) 사이에 리턴 스프링(30)을 수축상태로 설치하며, 리턴 스프링(30)의 복원력은 피스톤(16)을 구멍안 입구실(21) 쪽으로 압박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리턴 스프링(30)의 스프링력은 상기 스프링(28)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밸브체(29) 상면에 구비한 슬릿구조의 슬리브(31)는 보어(12)에 대하여 밸브체(24)의 강하위치를 규제하는 부재이며, 환상돌기(18)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밸브체(24)의 하부를 슬리브(31)의 높이분 만큼 연장시켜 형성하면 슬리브(31)는 필요치 않게 된다.
또한 슬리브(31)를 사용할 경우, 리턴 스프링(30)의 하부가 슬리브(31)의 하부를 압박하도록 설치하면, 용접이나 나사고정 등의 고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슬리브(31)를 밸브체(29)에 부착시킬 수 있다.
하우징(11)과 피스톤(16)의 소재로서는, 동등한 열팽창 계수를 갖는 재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우징(11)과 피스톤(16)의 소재로 열팽창 계수가 서로 다른 소재를 사용했을 경우, 온도변화에 따라 보어(12) 내주와 피스톤(16) 외주의 클리어랜스가 변동하며, 양 부재(11, 16) 사이의 기밀성 상실이나 피스톤(16)의 미끄럼운동 불능 등의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소재예로서는, 하우징(11)과 피스톤(16)을 모두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하는 것이 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제 2가변 조리개(33)의 환상돌기(18) (부시(25)를 포함함)와 밸브체(24)의 소재도 동등한 열팽창계수를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량조정밸브(9)의 유량특성 결정의 주 요인인, 제 2가변 조리개(33)의 스트롤링 상태의 유로 단면적의 온도변화에 대한 변동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한 소재예로서는, 부시(25)와 밸브체(24)를 모두 스틸로 형성하는 것인데, 예시한 소재애 한정되지는 않는다.
(3) 가변 조리개
제 2도에 있어서, 보어(12), 피스톤(16), 밸브체(24) 사이에는 제 1내지 제 3가변 조리개(32, 33, 34)를 직렬로 형성하고 있다.
입구(13)와 피스톤(16)의 제 1통액로(19)의 환상홈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1가변 조리개(32)는 피스톤(16)이 보어(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미끄럼운동함으로써 유로단면적이 변화한다. 부시(25)와 밸브체(24) 상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2가변 조리개(33)는 통상적으로 대류를 형성하고 있고, 제어시에 피스톤(16)과 밸브체(24)가 상대적 이동함으로써 유로 단면적이 변화한다. 환상돌기(18)와 밸브체(24)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3가변 조리개(34)는, 통상적으로 소 유로를 형성하고 있고, 피스톤(16)과 밸브체(24)의 상대적 이동에 따라 유로 단면적이 변화한다.
본 발명은
①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보어(12), 피스톤(16), 밸브체(24) 사이에 형성한 제 1, 제 2, 제 3가변 조리개(32, 33, 34)를 압력발생원과 연결되어 통하는 입구(13)와 배출밸브(7)와 연결되어 통하는 배출구(15)를 접속하는 액로에 직렬로 배설하는 점과,
② 차륜 브레이크에 연결되어 통하는 출구(14)로 통하는 액로를 제 2가변 조리개(33)와 제 3가변 조리개(34) 사이에 접속시키는 점에서, 종래의 장치와 그 구조상 다르다.
(4) 배출밸브
제 2도에 도시한 배출밸브(7)는 공지한 전자밸브로서, 밸브체(29)의 플렌지(35)외측에 리테이너 링(26)을 세트시키고 하우징(11)의 보어(12) 구멍입구에 이탈방지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밸브체(29)의 중심에 상기 감압실(23)과 연결되어 통하는 통로(37)을 형성하고, 통로(37)의 하부에 밸브판(38)을 형성하고 있다. 배출밸브(7)는 도움형상의 슬리브(39), 마그네트 코어(40), 스프링(41), 밸브체(42)와 일체구조로 된 아마추어(43)를 조립하여 구성되는 아마추어 어젬블리와, 슬리브(39)에 외장한 코일(44)을 구비한다.
배출밸브(7)는 코일(44)에 급전되지 않을 때는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밸브체(42)를 밸브시트(38)에 압박시키고, 감압실(23)과 배출유로(5)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며, 코일(44)에 전류를 공급하면 아마추어(43)에 전자력이 작용하여, 밸브체(42)가 밸브시트(38)로 부터 떨어지고 감압실(23)과 배출유로(5) 사이가 서로 연결되어 통하는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스프링(41)의 스프링력은, 배출밸브(7)가 비 자화시에 밸브체(42)에 밸브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액압력보다 크게 설정해 둔다.
또한, 도면 중 10은 밸브체(29)에 장착시킨 밀폐 부재, 45는 밸브체(29)에 뚫어 설치한 통로, 46은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한 부재임과 동시에 밸브체(29)의 하부개구를 폐쇄하는 요크링이다.
[작동]
다음에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비 제어시
제 2도는 브레이크 페달을 힘껏 밟고, 차륜의 스키드경향이 감지되지 않을 때(비 제어시)의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를 도시하며, 배출밸브(7)는 자화(磁化)되지 않으므로 밸브기구를 닫으며, 펌프도 정지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피스톤(16)이 리턴 스프링(30)의 스프링력을 받아 보어(12) 구멍 안쪽으로 압박받고 있기 때문에, 제 1가변 조리개(32)의 유로 단면적은 최대를 유지한다. 또한 밸브체(24)가 스프링(28)으로 아래쪽으로 늘려지고 있기 때문에, 제 2가변 조리개(33)의 유로 단면적도 최대를 유지하며, 제 3가변 조리개(34)의 유로가 스트롤링 상태에 있다. 따라서,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한 압액은, 주 유로(1), 입구(13), 제 1통액로(19), 입구실(21), 출구실(22), 제 2통액로(20), 출구(14)에 의해 구성되는 대 유로를 거쳐 호일 실린더로 공급된다.
(2) 제어시 (감압)
제 4도, 5도는 차륜의 스키드 경향이 감지되어 ABS 작동을 개시하고, 제동압력을 감압할 때의 작동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우선, 배출밸브(7)가 전류를 공급받아 페쇄밸브에서 개방밸브로 전환되고, 감압실(23)과 배출유로(5)가 연결되어 통하는 상태로 된다. 동시에 펌프(4)가 모터(3)의 구동을 받아 가동된다.
소 유로를 형성하는 제 3가변 조리개(34)의 작용에 의해 리턴 스프링(30)을 수축하면서 피스톤(16)이 감압실(23) 방향을 향해 이동(도면에서는 강하)을 개시한다. 밸브체(24)는 스프링(28)의 스프링력을 받아 피스톤(16)과 병행 이동한다. 이동함에 따라, 밸브체(24)가 슬리브(31)에 맞붙여 이동을 정지하는데, 피스톤(16)은계속해서 이동한다.
제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16)만 이동하면 제 2가변 조리개(33)의 유료 단면적이 비 스트롤링 상태에서 스트롤링 상태로 전환하며, 그후에 제 3가변 조리개(34)가 스트롤링 상태에서 비 스트롤링 상태로 전환한다.
그 결과, 호일 실린더(2)의 압액은, 주 유로(I), 출구(14), 제 2통액로(20), 출구실(22), 제 3가변 조리개(34), 감압실(23), 통로(37, 45)를 거쳐 배출유로(5)로 배출되기 때문애, 호일 실린더(2)의 압력은 감압된다. 배출유로(5)로 배출된 액은, 보조리저브(8)에 일시적으로 수용되거나, 혹은 펌프(4)를 통해 주 유로(I)로 환류된다.
한편, 피스톤(16)은 제 1가변 조리개(32)를 구성하는 입구(13)와 제 1통액로(19)가 연결되어 통하는 것을 일단 차단하는데, 그 후에는 피스톤(16)이 미소한 범위에서 왕복운동을 반복하여 제 1가변 조리개(32)를 개폐하며. 마스터 실린더(1) 측에서 부터 입구실(21)을 거쳐 출구실(22)로 일정한 유량의 액이 유입한다.
출구실(22)로 유입한 일정 유량의 액은, 상기한 바와같이 개방밸브인 상태의 출구밸브(7)를 경유하여 배출유로(5)로 배출된다. 제 5도는 이 상태를 도시한다.
(3) 증압시
ABS가 중압모드로 바뀌면 제 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배출밸브(7)가 폐쇄밸브로 전환하며, 감압실(23)과 배출유로(5) 사이가 연결되어 통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호일 실린더(2)의 감압은 정지된다. 배출밸브(7)가 닫혀지더라도, 제 1 및 제 2가변 조리개(32, 33)의 스트롤링 상태가 유지되므로, 펌프(4)로부터 주유로(I)로 환류된 액은, 상기 제 1 및 제 2가변 조리개(32, 33)를 통과할 때 일정한 유량으로 조정된 후, 호일 실린더(2)로 공급된다. 그 결과, 호일 실린더(2)의 액압이 완만하게 상승한다.
여기서, 각 가변 조리개에 의한 유량조정작용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피스톤(16)이 강하하여 입구(13)와 제 1통액로(19)가 연결되어 통하는 것을 차단하고, 액의 유입이 정지된 상태에서,
피스톤(16)이 압력을 받는 면적을 A,
리턴 스프링(30)의 하중을 F1,
스프링(28)의 하중을 F2,
입구실(21)의 압력을 P1,
출구실(22) (호일 실린더(2), 감압실(23))의 압력을 P2,
라 하면, 피스톤(16)에 작용하는 상향 및 하항력의 균형상태는 다음 식 1로 구해진다.
이때에 P1과 P2의 압력차 △P (일정치)는, 상기 식 1로부터 다음 식 2가 된다.
즉 입구실(21)의 압력이 출구실(22)의 압력보다 일정치(△P) 높아졌을 때에 제 1가변 조리개(32)가 폐쇄상태로 된다.
제 1가변 조리개(32)가 폐쇄되고, 입구(13)로부터 입구실(21)로 액이 유입되는것이 정지하면, 입구실(21)과 출구실(22)은 제 2가변 조리개(33)를 통해 연결되어 통하고 있으므로, 입구실(21)과 출구실(22)의 압력차는 상기 일정치보다 작아지며 (P1 - P2 < △P), 따라서 이때의 피스톤(16)에 작용하는 상향 및 하향의 힘의 상태는 다음 식 3과 같이 된다.
즉 제 1가변 조리개(32)가 폐쇄상태가 되면, 피스톤(16)을 위쪽으로 누르는 힘 (식 3의 우변)이, 피스톤(16)을 아래쪽으로 누르는 힘 (식 3의 좌변)보다 커져서 피스톤(16)이 위쪽으로 이동하며, 제 1가변 조리개(32)가 개방되어 입구(13)에서 입구실(21)로 액이 유입해 들어온다. 입구실(21)로 액이 유입해 들어오면, 제 2가변 조리개(33)의 작용 효과에 의해 입구실(21)과 출구실(22)의 압력차(P1 - P2)가 증가하여 피스톤(16)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며 입구실(21)과 출구실(22)의 압력차(P1 - P2)가 일정치 (△P)로 된 상태 (P1 - P2 = △P)에서 제 1가변 조리개(32)가 폐쇄된다.
이상과 같이 피스톤(16)은 제 1가변 조리개(32)가 개폐하는 왕복운동을 반복하며, 입구(13)로부터 일정 유량의 액을 차륜 브레이크로 공급한다.
한편, 입구(13) (마스터 실린더(1))의 압력과 출구실(22) (호일 실린더(2))의 압력차가 일정치(△P) 이하가 되면 리턴 스프링(30)과 스프링(28)의 스프링력에 의해 피스톤(16)은 위쪽으로 이동하고, 제 1도의 비제어시의 상태로 복귀한다.
제 2실시예
제 7도는 ABS 기능과 TCS 기능을 병용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적용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성]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와 작동은 앞서 설명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와 제 1실시예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① 주 유로(I)와 펌프(4)의 흡인측 배출유로(5) 사이에 흡인유로(47)를 추가적으로 구비한 점.
② 주 유로(I)의 흡인유로(47)와의 합류부로 부터 하류측에 트랙션 컨트롤용 상기 개방식의 제 1 전자밸브(48)를 구비한 점.
③ 흡인유로(47)에 트랙션 컨트롤용 상시개방식 제 2전자밸브(49)를 구비한 점.
④ 배출유로(5)의 흡인 유로(47)와의 합류부로부터 상류측에 액압펌프(4)방향으로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일방향 밸브(50)를 구비한 점.
⑤ 제 1전자밸브(48) 전후의 주 유로(I)를 접속하는 릴리프밸브(51)를 끼워 넣은 바이패스 유로(52)를 형성한 점.
[작동]
다음에 제 2실시예에 관련된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비 제어시
비 제어시에는 제 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제어요소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추가한 각 요소는 다음과 같은 상태에 있다.
제 1 전자밸브(48) : 개방 밸브상태
제 2 전자밸브(49) : 폐쇄 밸브상태
또한, 비제어시의 통상적인 브레이크 작동은 제 1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2) ABS 제어시
ABS 제어시에는, 추가 부품인 제 1전자밸브(48)가 개방밸브 상태에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 2전자밸브(49)가 폐쇄밸브 상태에 있다는 점만이 상기 제 1 실시예와 다르며, 그 밖의 작동은 제 1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3) TCS 제어시
TCS가 작동하면, 우선 제 1전자밸브(48)가 폐쇄밸브로 전환됨과 동시에, 제 2전자밸브(49)가 개방밸브로 전환되며, 펌프(4)가 작동한다. 흡입유로(47)를 통해 펌프(4)로 액을 퍼올리고, 비작동 상태의 유량조정밸브(9)를 통과시켜 호일실린더(2)로 압액을 공급하여 구동륜의 오버스핀을 제어한다. 오버스핀이 억제되면, 배출밸브(7)를 열고 강압하여 브레이크력을 약화시킨다. 이 시점에서 유량조정밸브(9)가 이미 설명한 제 1실시예의 감압작동과 동일한 작동을 개시한다. 이후, 배출밸브(7)의 개폐에 의해 구동차륜의 브레이크 압력 증압 및 감압을 제어하여 구동륜의 오버스핀을 접속시킨다.
한편, TCS제어중, 제 1전자밸브(48)는 폐쇄밸브를 유지하며, 펌프(4)로 부터의 토출압액이 마스터 실린더(1)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펌프(4)로 부터의 과잉토출압액은 릴리프밸브(51)를 경유하여 마스터 실린더(1) 측으로 배출된다.
제 3실시예
제 8도는 유량조정밸브(109)를 구성하는 밸브체(124)의 끝단부(124a,124b)중 적어도 한쪽의 형상을 니들모양으로 형성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또한 환상돌기인 부시(125)와 환상돌기(118)를 앞의 제 1실시예와 상하반대로 조합하여 구비해도 좋다.
제 4실시예
제 9도는 밸브체(224) 내부에 유로를 형성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원주형상을 띠는 밸브체(224)의 상부와 하부의 내부에는, 축로(224c,224d)와, 각 축로(224c, 224d)를 연결시켜 통하게 하는 통로(224e, 224f)가 각각 뚫어 설치되어 있다. 축로(224c)와 통로(224e)에 의해 입구실(221)과 출구실(222) 사이를 연결시켜 통하게 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축로(224d)와 통로(224f)에 의해 출구실(222)과 감압실(223) 사이를 연결하여 통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지름방향의 통로(224c)와 환상돌기인 부시(225)의 사이에 제 2가변 조리개(233)를 형성함과 동시에, 지름방향의 통로(224f)와 환상돌기(218)와의 사이에 제 2가변 조리개(233)를 또는 제 3가변 조리개(234)를 형성하고 있다.
제 5실시예
제 10도는 제 2 및 제 3가변 조리개(333, 334)를 구성하는 피스톤측의 밸브부를 피스톤(316)에 직접 형성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관통구멍(317)의 도중에 지름이 균일한 소경구멍(317a)이 형성되며, 상기 소경구멍(317a)에 교차하여 제 2통액로(320)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324)는 거의 중앙에 형성한 대경부(324g)와, 그 양측에 형성한 소경부(324h, 324i)로 이루어지며, 소경부(324h)와 상기한 소경구멍(317a)과의 사이에 대 유료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구실(321)측에 위치하는 밸브체(324)의 소경부(324h)의 일부에 스토퍼(324j)가 돌출설치 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324j) 상면과 피스톤(316)에 구비한 리테이너링(324)과의 사이에 스프링(328)이 배설되어 있다. 스프링(328)의 스프링력을 받아 밸브체(324)는 스토퍼(324j)의 하면이 피스톤(316)의 입구실(321) 저면에 맞붙어서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특히 제 2, 제 3가변 조리개(333, 334)를 구성하는 피스톤(316)측의 밸브부를 피스톤(316)에 직접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의 부시(25) (제 2도 참조)를 생략할 수 있고, 구성부품의 갯수를 줄일 수 있다.
제 6실시예
제 11도는 스프링(428)을 보어(412) 구멍바닥과 밸브체(424) (스토퍼(424j) )와의 사이에 설치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5실시예와 같은 리테이너 링(354)은 불필요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량조정 작동시에 밸브체(424)에 리턴스프링(430)의 스프링력만이 작용하기 때문에, 제어차압의 정수를 쉽게 설정할 수 있게 되며, 보다 정확한 유량조정이 가능해지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제 7실시예
이상의 실시예는 피스톤을 직접 하우징의 보어구멍에 수용시키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 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516)과 하우징(511)의 보어(512)사이에 가이드 통(555)을 끼우는 경우도 있다.
상기 가이드 통(555)의 사용 목적은 보어(512)의 제조교차를 거칠게 하여 보어(512)을 쉽게 가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이드 통(555)에 제 1, 제 2통액로(519,520)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한 실시예의 입구 및 출구에 상당하는 액로(556,557)가 각각 뚫어 설치되어 있으며, 제 1통액로(519)와 액로(556)의 사이에 제 1 가변 조리개를 형성하게 된다.
제 1도는 ABS 기능을 구비한 브레이크 압력제어장치에 적용한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액압시스템도.
제 2도는 배출밸브와 유량조정밸브를 일체로 조립한 조립체의 단면도.
제 3도는 제 2도에 있어서의 선III - III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밸브체에 형성하는 유로의 형태를 예시한 설명도.
제 4도는 브레이크 압력제어장치의 일부를 생략한 도면으로서, ABS 작동개시 직후의 작동을 도시한 개념도.
제 5도는 브레이크 압력제어장치의 일부를 생략한 도면으로서, 제어압력을 감압할 때의 작동을 도시한 개념도.
제 6도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의 일부를 생략한 도면으로서, 제어압력을 승압시킬 때의 작동을 도시한 개념도.
제 7도는 ABS 기능과 TCS 기능을 병용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적용한 제 2실시예에 관련된 액압시스템도.
제 8도는 유량조정밸브를 구성하는 밸브체의 형상을 니들 모양으로 한 제 3실시예에 관한 설명도로서, 배출밸브와 유량조정밸브와의 조립체의 일부를 생략한 단면도.
제 9도는 밸브체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제 4실시예에 관련된 설명도로서, 배출밸브와 유량조정밸브를 조립시킨 조립체의 일부를 생략한 단면도.
제 10도는 제 2 및 제 3가변 조리개를 구성하는 피스톤측의 밸브부를 피스톤에 직접형성한 제 5실시예에 관련된 설명도로서, 배출밸브와 유량조정밸브를 조립시킨 조립체의 일부를 생략한 단면도.
제 11도는 스프링을 보어와 밸브체의 사이에 설치한 제 6실시 예에 관 관련된 설명도로서, 배출밸브와 유량조정밸브를 조합시킨 시킨 조립체의 일부를 생략한 단면도.
제 12도는 피스톤과 보어를 조립시킨 조립체의 일부를 생략한 단면도.
제 13도는 종래의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의 개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I. II. 주 유로
1. 마스터 실린더 (압력발생원) 2. 호일 실린더 (차륜 브레이크)
3. 모터 4. 액압 펌프
5. 배출 유로 6. 토출 유로
7. 배출 밸브 9. 유량조정 밸브
11. 하우징 12. 412. 512. 보어
13. 입구 14. 출구
15. 배출구 16. 216. 316. 416. 516. 피스톤
17. 관통구멍 18. 218. 환상돌기
19. 519. 제 1통액로 20. 520. 제 2통액로
21 221. 321. 입구실 22. 222. 322. 출구실
23. 223. 감압실 24. 밸브체
25. 225. 부시 (bush) 26. 외주홈
27. 36. 리테이너 링 28. 328. 428. 스프링
29. 밸브체 30. 430. 리턴 스프링
31. 슬리브 32. 제 1가변 조리개
13. 233. 333. 제 2가변 조리개 34. 234. 334. 제 3가변 조리개
35. 밸브체의 플렌지 37. 통로
38. 밸브판 39. 슬리브
40. 마그네트 코어 41. 배출밸브의 스프링
42. 배출밸브의 밸브체 43. 아마추어
44. 코일 45. 밸브체에 뚫어설치한 통로
46. 밸브체의 개구를 폐쇄하는 요크링
47. 흡입 유로 48. 상시 개방의 제 1전자 밸브
49. 상시 개방의 제 2전자밸브 50. 원 웨이 밸브(일방향밸브)
51. 릴리프 밸브 52. 바이패스 유로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이루어지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고정 오리피스가 존재하지 않고, 유량을 변화시키는 모든 조리개가 유로단면을 변화하는 가변 조리개로 구성되기 때문에 가변 조리개에 자정작용이, 이물질에 의한 유로폐쇄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제동의 안정성이 보다 향상된다.
(2) 입구와 출구를 연결시켜 통하게 하는 유로를 바이패스하여 감압실과 차륜브레이크를 접속하기 위한 유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급 브레이크시에 피스톤을 감압실 방향으로 누르는 고압력이 작용하더라도, 감압실의 액이 유출하지 않으므로 피스톤의 이동을 저지하고, 입구와 출구의 사이에 대 유로를 유지시켜 충분한 액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 확보면에 있어서도 우수하다.
(3) 피스톤 및 보어의 지름방향의 유로가 각각 두개이므로, 가공수가 줄어든다.
(4) 보어의 지름방향의 유로가 2개로 적으며, 또한 두개의 유로간 위치관계가 높은 가공 정밀도를 필요로하지 않으므로 가이드통을 생략하여 피스톤을 직접 하우징의 보어에 수용하기 쉽게 되며, 장치가 콤팩트화되고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Claims (16)

  1. 압력발생원과 차륜 브레이크를 연결하는 주 유로로부터 분기하여 배출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분기부에, 제어된 비율로 브레이크 압력을 증압 및 감압하는 유량조정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유량조정 밸브와 배출유로사이에 차륜 브레이크 압력을 감압하는 배출밸브를 구비한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정 밸브는 보어에 수용한 내외 두개의 가동부재를 구비하는 액압작동식 밸브로 구성하며,
    상기 보어에 압력발생원측의 주 유로와 연결되어 통하는 입구와, 차륜 브레이크측의 주 유로와 연결되어 통하는 출구와, 배출밸브와 연결되어 통하는 배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두개의 가동부재는 상기 입· 출구 및 배출구를 연결하여 통하는 통액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액로에, 입구와 외측 가동부재 사이에 형성한 제 1가변 조리개와, 내외 2개의 가동부재 사이에 각각 형성한 제 2가변 조리개 및 제 3가변 조리개를 직렬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출구와 연결되어 통하는 통액로를 제 2가변 조리개와 제 3가변 조리개 사이에 접속하고, 비 제어시에는 상기 제 1 및 제 2가변 조리개가 비 스트롤링 상태이고,
    상기 제 3가변 조리개가 스트롤링 상태이며, 제어시에는 내외 두개의 가동부재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상기 제 2가변 조리개를 스트롤링 상태로 바꾼 후, 제 3가변 조리개를 비 스트롤링 상태로 바꾸며, 동시에, 제 2가변 조리개 전후의 압력차에 의해 제 1가변 조리개의 개구면적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정 밸브는 상기 보어에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도록 수용한 축 방향으로 관통구멍을 갖는 피스톤과, 상기 관통구멍내에 축 방향을 향해 이동가능하도록 수용한 밸브체를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입구와 관통구멍을 연결하여 통하는 제 1통액로와, 상기 출구와 관통구멍을 연결하여 통하는 제 2통액로를 가지며, 상기 입구와 제 1통액로 사이에 형성되고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유로단면적이 변화하는 제 1가변 조리개와, 상기 제 1통액로와 제 2통액로 사이에 형성되고, 피스톤과 밸브체의 상대적인 이동에 따라 유로단면적이 변화하는 제 2가변 조리개와, 상기 제 2통액로 보다는 상기 배출구 가까이에 형성되고 피스톤과 밸브체의 상대적인 이동에 따라 유로의 단면적이 변화하는 제 3가변 조리개를 직렬로 배치하고, 제 2 및 제 3가변 조리개를 직렬로 배치하고, 제 2 및 제 3가변 조리개를 끼고 제 1통액로와 연결되어 통하는 입구실과, 제 2통액로와 연결되어 통하는 출구실과, 배출밸브와 연결되어 통하는 감압실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감압실내에 피스톤을 입구실 측을 향하여 가세하는 리턴 스프링을 설치하고, 비제어시에는 입구와 출구사이에 제 1가변 조리개와 제 2가변 조리개를 포함한 대 유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출구와 배출구 사이에 제 3가변 조리개를 포함한 소 유로를 형성하고, 제어시에는 보어와 피스톤 및 밸브체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3가변 조리개를 비 스트롤링상태로 하고 상기 소 유로를 대 유로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및 제 1가변 조리개를 스트롤링 상태로 하고 상기 대 유로를 소 유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피스톤에 대하여 감압실 방향으로의 이동위치를 일정하게 규제하는 돌기를 구비함과 동시에, 밸브체와 피스톤의 사이에 밸브체를 감압실 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을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피스톤에 대해 감압실 방향으로의 이동 위치를 일정하게 규제하는 돌기를 구비함과 동시에, 밸브체와 입구실내의 보어 사이에 밸브체를 감압실 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을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피스톤의 관통구멍내에 밸브체의 상부 및 하부를 맞게 끼우는 환상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환상돌기와 밸브체 사이에 제 2 및 제 3가변 조리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돌기의 적어도 한쪽이 피스톤에 고착된 부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피스톤의 환상돌기에 맞게 끼우는 밸브체의 상하부 중 적어도 한쪽이 밸브체의 외주면을 부분적으로 절결하여 환상돌기와의 사이에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피스톤의 환상돌기에 맞게 끼우는 상하부의 적어도 한쪽이 니들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피스톤의 환상돌기에 맞게 끼우는 밸브체의 상하부 중 적어도 한 쪽의 내부에 축로와, 상기 축로와 연결되어 통하는 지름방향의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지름방향의 통로와 환상돌기 사이에 제 2 또는 제 3가변 조리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밸브체를 감압실 방향으로 가세하는 상기 스프링을 출구실내에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
  11. 제 2항에 있어서,
    피스톤의 관통구멍 도중에 소경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소경구멍과 연결되게 하여서 지름방향으로 제 2통액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 2통액로와 밸브체 사이에 제 2 및 제 3가변 조리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피스톤을 직접 수용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보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유량조정밸브와 배출밸브를 직렬로 수용하는 한개 또는 다수의 보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알루미늄을 기본재료로 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
  1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안티로크 브레이크 시스템 장착차량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
  1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안티로크 브레이크 시스템 및 트랙션 컨트롤 시스템 장착차량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제어 장치.
KR1019950051728A 1995-06-05 1995-12-19 브레이크압력제어장치 KR100386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5/161508 1995-06-05
JP7161508A JPH08324413A (ja) 1995-06-05 1995-06-05 ブレーキ圧力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994A KR970000994A (ko) 1997-01-21
KR100386150B1 true KR100386150B1 (ko) 2003-08-14

Family

ID=15736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1728A KR100386150B1 (ko) 1995-06-05 1995-12-19 브레이크압력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13641A (ko)
JP (1) JPH08324413A (ko)
KR (1) KR100386150B1 (ko)
DE (1) DE19622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3767A (ja) * 1996-01-16 1997-07-29 Nisshinbo Ind Inc ブレーキ圧力制御装置
US5913577A (en) * 1996-12-09 1999-06-22 Caterpillar Inc. Pilot stage of an electrohydraulic control valve
DE19711442A1 (de) * 1997-03-19 1998-09-24 Itt Mfg Enterprises Inc Einlaßventil mit integrierter Blende
US6305759B1 (en) 1998-08-19 2001-10-23 Alliedsignal Truck Brake Systems Company Trailer ABS modulator with direct exhaust and control line/volume drain capability
US6700776B2 (en) * 2001-05-17 2004-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er
US10710563B2 (en) * 2014-10-31 2020-07-14 ZF Active Safety US Inc. Pump attenuator bypass valve
CN109626332A (zh) * 2018-12-26 2019-04-16 杨丝婷 制氧装置用微孔控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10722B2 (en) * 1988-05-31 1991-05-23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Antilock mechanism
US5310253A (en) * 1990-11-16 1994-05-10 Alfred Teves Gmbh Braking pressure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994A (ko) 1997-01-21
DE19622624A1 (de) 1996-12-12
JPH08324413A (ja) 1996-12-10
US5713641A (en) 1998-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44544B1 (en) Antilock mechanism
US5603483A (en) Solenoid valve
KR940000784B1 (ko) 안티록모듈레이터용 액압맥동흡수장치
US5248191A (en) Pressure control valve for continuous pressure control to wheel cylinder
JP3598409B2 (ja) 液圧ブレーキ装置における液圧制御弁装置
US5472266A (en) Anti-lock hydraulic brake system
KR920004577B1 (ko) 앤티록용 유량제어밸브
EP0353635A1 (en) Fluid pressure controller for antilock brake control device
KR100314299B1 (ko) 슬립 제어를 하는 유압 제동 시스템
JPH07151261A (ja) 電磁比例式圧力制御弁
US5628550A (en) Anti-lock hydraulic brake system
KR100386150B1 (ko) 브레이크압력제어장치
JPH07503203A (ja) アンチロック制御付ブレーキシステム
US6202697B1 (en) Proportional pressure control valve
US5445447A (en) Hydraulic anti-locking systems for vehicles
EP0916566B1 (en) Flow rate regulating valve of hydraulic pump
JPH07503202A (ja) アンチロック制御付液圧ブレーキシステム
US5437501A (en) Antilock modulator
JPH09193767A (ja) ブレーキ圧力制御装置
US5713726A (en) Pump apparatus
US5651423A (en)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0220977B1 (ko) 차량용 수압앤티록제동시스템
US4825751A (en) Controlled bypass and flow-control valve unit for 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
CA2206902C (en) Brake valve
JPH09193770A (ja) ブレーキ圧力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