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435Y1 - 조립식 난간 - Google Patents

조립식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435Y1
KR940000435Y1 KR2019910015041U KR910015041U KR940000435Y1 KR 940000435 Y1 KR940000435 Y1 KR 940000435Y1 KR 2019910015041 U KR2019910015041 U KR 2019910015041U KR 910015041 U KR910015041 U KR 910015041U KR 940000435 Y1 KR940000435 Y1 KR 940000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railing
longitudinal
assembl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5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841U (ko
Inventor
심상규
Original Assignee
심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상규 filed Critical 심상규
Priority to KR2019910015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435Y1/ko
Publication of KR9300068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8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4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23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난간
제1도는 종래의 난간의 조립정면도.
제2도는 종래의 난간의 결합부위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3도는 종래의 난간의 결합부위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4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조립난간 가로대의 사시도.
제5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조립 난간가로대의 측면도.
제6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조립 난간가로대의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A-A선 단면도.
제8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조립난간의 조립공정도.
제9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조립난간의 부분확대도.
제10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조립난간의 조립정면도.
제11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조립난간의 세로대의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로대 2 : 세로대
본 고안은 아파트와 같은 건축물에 설치하는 난간을 조립식으로 만들므로서 조립설치가 용이하고 외관이 미려하며 사용강도가 견고한 조립식 난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아파트와 같은 건축물 (이하, "건축물"이라함)에 설치되는 난간을 형성할때에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파이프 또는 사각파이프로 형성된 철봉을 난간의 길이에 맞춰 상부 가로대(101)와 하부가로대(102)를 재단하고 난간의 높이에 알맞도록 재단하여 세로대(103)를 다수개 형성한 다음 상부가로대(102)와 하부가로대(103)의 사이에 다수개의 세로대(103)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한 다음 가로대(101, 102)와 세로대(103)의 접촉면이나 접촉선을 따라 용접을 접합하여 만들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위와 같이 형성되는 난간에 페인트 도장을 하여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렇게 난간의 접합부를 용접하여 접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규모가 작은 난간은 난간제조 공장에서 생산하여 건축물에 까지 운반하여 조립할수도 있겠으나, 규모가 큰 난간은 가로대와 세로대를 각각 규격별로 절단하여 건축물에 까지 운반한 다음 건축현장에서 각 접합부마다 일일히 용접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용접기를 건축 현장에 까지 운반하여야 하고 또, 용접접합 시간이 많이 걸리며 특히 철관을 용접으로 접합할때에는 용접 고열로 인하여 용접부위는 물론이고 철관전체가 고열로 인해 변형 또는 변색되기 때문에 용접 접합하여 만든 난간은 품질상에 문제점이 따르고 제작설치비가 높아지며 또한 용접 접합하여 만든 난간에 페인트 도장을 할 경우에는 단일색으로 페인트 도장을 하여야 하므로 난간의 모양이 단조롭고 품위가 없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원 고안은 가로대와 세로대를 접합함에 있어 용접접합을 하지 않고 세로대에 내, 외접부를 형성하여 가로대와 간단한 기구 조작으로 접합 조립하므로서 난간의 제조작업이 용이하고, 색이나 무늬가 다양한 난간을 만들고자 한 것으로 첨부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난간은 일반적으로 상부 가로대(1A)와 하부가로대(1B)로 되는 가로대(1)의 사이에 세로대(2)를 다수개 배열하여 이들을 접합하여 만들고 있으나, 때에 따라서는 상부가로대(1A)에만 세로대(2)를 접합하고 하부가로대(1B)는 생략하는 대신 세로대(2)의 하부 즉, 하부가로대(1B)에 접합되어야 할 세로대(2)의 하부는 건축물에 큰크리트로 난간벽을 쌓으면서 그 콘트리트 난간벽 안에 매설하여 일체로 양생하는 경우도 있으며, 반대로 이번에는 하부가로대(1B)에 세로대(2)를 다수개 배열하여 이들을 접합하며 상부 가로대(A)는 생략하고 세로대(2)의 상부를 콘트리트 난간벽이나 또는 다른 구조물에 연결할수도 있을 것이다.
본원 고안에서는 상부가로대(1A)와 하부가로대(1B) 사이에 세로대(2)를 접합하거나, 상부가로대(1A) 또는 하부가로대(1B)중 어느 하나의 가로대(1)에 세로대(2)를 접합하던, 가로대(1)와 세로대(2)와의 접합방법과 접합하여 되는 난간 구조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가로대(1)중 상부가로대(1A) 또는 하부 가로대(1B)의 어느 하나에 세로대(2)를 접합하는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4도와 제5도에는 본원 고안에 따른 난간 제조용 가로대(1)의 사시도와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가로대(1)는 원통형관이나 삼각형관등 다각형 관으로 된 관소재를 난간의 길이에 알맞게 재단하여 절단한다음 가로대몸체(11)에는 세로대(2)를 접합 고정하고자 하는 위치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정하여 세로대(2)의 내접합부(22; 추후설명)가 끼워질수 있는 크기로 세로대 끼움구멍(12)을 뚫는다.
세로대(2)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1)와 마찬가지로 원통형관이나 다각형관으로 된 관소재를 난간의 높이를 맞춰 설계된 길이로 재단하여 절단하며 이와같이 재단된 세로대 몸체(21)의 양단부 또는 어느 한쪽단부(상부 또는 하부가로대중 어느 하나의 가로대에만 접합할 경우)는 가로대(1)의 세로대 끼움구멍(12)에 알맞게 끼워지도록 내접합부(22)를 형성하고 내접합부(22)에 인접하여 세로대몸체(21)의 원둘레를 따라 가로대몸체(11)의 외원통부에 밀착조립되는 부위로서 외접합부(23)를 형성한다.
제6도 및 제7도에서는 세로대(2)의 외접합부(23)의 하나의 형상으로 외접합부(23) 끝단을 삼각형상으로 하여 세로대 몸체(21)와 일체로 형성하고 있거나, 외접합부만을 별도로 만들어 세로대몸체(21)의 외원주면에 접합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제11도에서는 외접합부(23)의 다른하나의 형상으로 세로대몸체(21)를 말아부쳐 만들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위와같이 형성되는 가로대(1)에 세로대(2)를 접합하여 조립난간을 만드는 방법을 제8도와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가로대(1)에 가공하고 있는 모든 세로대 끼움구멍(12)에 세로대(2)의 내접합부(22)를 끼워 넣어 난간을 가조립한 다음 (제8a도)가로대(1)안으로 헤드가 테이퍼지도록 가공된 함마를 장착하여 이 함마(H)를 작동하도록 만들어진 컬링기(Curling)를 삽입하여 함마(H)를 각각의 세로대 내접합부(22)에 대고(제8b도) 컬링기(C)를 조작하여 함마(H)로 내접합부(22)를 확개하면서 내접합부(22)를 가로대(1)의 내원통부에 컬링(말아부침)작업한다.(제8c도)
컬링작업시에 세로대(2)의 외접합부(23)에 지그(J)를 받처대면 외접부(23)가 가로대(2)의 외원통부에 밀착되면서 컬링작업이 보다 확실이 될수 있을 것이다.
위와같이 컬링작업이 끝나고 컬링기(C)를 가로대(1)에서 꺼내면 가로대(1)에 세로대(2)는 확실한 위치에서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원 고안에 따른 조립난간은 가로대와 세로대의 접합부를 하나하나씩 용접하지 않고 가조립상태에서 동시에 조립작업하여 접합하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능률이 크게향상되는 것이며, 세로대 내, 외 접합부에 의하여 가로대를 내, 외원통표면을 밀착 접합하기 때문에 강도가 매우 높다.
그리고 종래와같이 용접에 의한 고열의 발생우려가 없으므로 가로대와 세로대를 만드는 관소재를 여러가지 색깔이나 무늬등으로 미려하게 장식하여 만들거나 또는 관소재를 합성수지재로 코팅하여 만들어 조립난간을 형성하면 조립난간이 녹슬지 않고 사용수명이 길어지며 미려한 장식으로 건축물의 품위를 한층 격상하는 효과를 얻을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용접에 의하여 접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용접이 가능한 철채로만 난간을 만들어 왔으나, 본원 고안에 따른 조립난간은 철제는 물론이려니와 철재이외에도 가공성이 있는 재질이면 모두가 다 조립난간을 만드는 소재로 사용될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가로대 몸체(11)에 세로대 끼움구멍(12)을 다수개 뚫은 가로대(1)와, 세로대몸체(21)에 내접합부(22)를 형성하며 내접합부(22)에 인접하여 외접합부(23)가 형성된 세로대(1)를 구비하여, 상기 가로대(1)의 세로대 끼움구멍(12)에 가로대(2)의 내접합부(22)를 끼워 넣은 다음 내, 외접합부(22, 23)가 가로대(2)의 내, 외 원통부에 밀착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난간.
KR2019910015041U 1991-09-14 1991-09-14 조립식 난간 KR940000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5041U KR940000435Y1 (ko) 1991-09-14 1991-09-14 조립식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5041U KR940000435Y1 (ko) 1991-09-14 1991-09-14 조립식 난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841U KR930006841U (ko) 1993-04-24
KR940000435Y1 true KR940000435Y1 (ko) 1994-01-24

Family

ID=19319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5041U KR940000435Y1 (ko) 1991-09-14 1991-09-14 조립식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4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841U (ko) 199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42427A (en) Tubular railing and fence construction
US5375809A (en) Assembly for forming a poured concrete wall construction
KR940000435Y1 (ko) 조립식 난간
KR200432863Y1 (ko)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KR200226498Y1 (ko) 난간용 지주의 조립식 구조관
KR200198997Y1 (ko) 조립식 난간
KR200181556Y1 (ko) 베란다용 난간의 결합구조
KR880004254Y1 (ko) 조립난간
KR200201260Y1 (ko) 3중벽 파이프패널 구조물
KR200145037Y1 (ko) 무용접 난간대
KR100349977B1 (ko) 파이프패널 구조물
KR200232726Y1 (ko) 조립식 울타리
US6330894B1 (en) Wood bending jig
KR200211926Y1 (ko) 계단난간의 설치부재
KR102543262B1 (ko) 조립식 난간
JPS5844195Y2 (ja) バルコニ−・手摺等の格子組立構造
KR940003697Y1 (ko)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구
KR100863705B1 (ko) 펜스의 제조방법
KR200384090Y1 (ko) 베란다용 난간대
KR19990037149U (ko) 조립식난간
KR20110085387A (ko) 울타리용 난간파이프 결합구조
KR19980069039U (ko) 휀스 연결용 브라켓
JP3434372B2 (ja) トラス用接合治具
EP0581825A4 (en) SCAFFOLDING ELEMENT AND WORK PLATFORM.
JPH034220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