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358B1 - 유체 흐름 차단용 노즐댐 - Google Patents

유체 흐름 차단용 노즐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358B1
KR940000358B1 KR1019850002836A KR850002836A KR940000358B1 KR 940000358 B1 KR940000358 B1 KR 940000358B1 KR 1019850002836 A KR1019850002836 A KR 1019850002836A KR 850002836 A KR850002836 A KR 850002836A KR 940000358 B1 KR940000358 B1 KR 940000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ealing
anchor
dam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476A (ko
Inventor
죠셉 윌헬름 죤
리 칼룬 그레고리
헨리 다우슨 폴
윌리암 크라머 아더
Original Assignee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이. 제이. 카타비아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이. 제이. 카타비아니 filed Critical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50007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2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 F16L55/128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introduced axially into the pipe or hose
    • F16L55/136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introduced axially into the pipe or hose the closure device being a plug fixed by radially expanding or deforming a split ring, hook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22Drums; Headers; Accessories therefor
    • F22B37/221Covers for drums, collectors, manholes or the like
    • F22B37/222Nozzle dams introduced through a smaller manway, e.g. fold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21Closure or weather strip s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Nozzle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Sealing Using Fluids, Sealing Without Contact, And Removal Of Oi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체 흐름 차단용 노즐댐
제1도는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되는 입구 및 출구 노즐 그리고 맨웨이를 보다 명확히 도시하기 위해 일부를 절개한 핵 증기 발생기 용기의 하단부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핵 증기 발생기 용기의 노즐중 하나에 위치되어 설치되었으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특징에 따라서 만들어진 노즐댐의 확대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3-3을 따라 취했으며, 평면도로 예시된 노즐댐의 앵커 단부의 축소된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노즐댐중 중앙 축 조립체의 확대된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선 5-5를 따라 취한 평면도.
제6도는 리테이너 블록을 제거한 제2도의 노즐댐의 정부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선 7-7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의 확대도.
제8도는 제2도의 노즐댐을 설치할 때 사용되는 센터링 기구를 예시하며, 제2도와 유사한 축소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센터링 기구의 정부 평면도.
제10도는 장력 장치가 설치된 것을 예시하며, 제2도의 축 조립체중 상부의 확대도.
제11도는 맨웨이를 통과하기 위해 접혀진 노즐댐의 축 및 앵커 조립체를 예시하며, 제1도의 핵 증기 발생기 용기의 맨웨이의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와 유사한 도면으로 맨웨이를 통과하기 위해 맨웨이와 공축으로 설치되어 접혀진 노즐댐의 밀봉 조립체의 단면도.
제13도는 제2도와 유사한 도면으로 설치작업중 일부가 조립된 상태를 예시하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특징에 따라서 만들어진 노즐댐의 축소된 단면도.
제14도는 제13도와 유사한 도면으로 노즐에 설치된 노즐댐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9 : 맨웨이 30,31 : 노즐
40 : 노즐댐 41 : 축 조립체
80 : 앵커 조립체 100 : 밀봉 조립체
본 발명은 도관 또는 노즐과 같은 관형 부재에 유체 밀봉 또는 차단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핵 증기 발생기의 1차 유체 노즐내에 댐 또는 밀봉체를 제공하는데 적용된다.
전형적인 핵 증기 발생기는 수직으로 설치된 외피 또는 용기를 포함하고 있다. 용기의 하단부에서 관판은 다수의 관으로 구성된 관다발을 지지하고 있으며, 각 관의 모양은 보통 역 U형이다. 관판 아래에 있는 용기의 부분은 관다발의 수직 레그 바로 아래에 각각 설치된 입구 및 출구 플리넘으로 격벽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용기는 그들 플리넘과 각각 연결되는 1차 유체 입구 및 출구 노즐을 구비하고 있다. 각 노즐은 용기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보통 절두 원추형부와 원통형부를 가지고 있다. 노즐은 도관에 의해 관련 원자로 용기에 연결되어 있다.
원자로를 통해 순환하므로써 가열된 1차 유체는 먼저 1차 유체 입구 노즐을 통해 증기 발생기 용기의 입구 플리넘으로 들어간 다음 상류하여 관다발을 통과한 후 출구 플리넘으로 흘러 들어가며 다시 출구 노즐을 통해 원자로심으로 되돌아 간다. 관판 위에 있는 관다발은 물과 같은 2차 유체에 잠겨 있으며, 관다발은 2차수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증기로 변화하기 위한 열교환기로써의 역할을 수행한다.
원자로는 연료 교체를 위해 주기적으로 가동정지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가 증기 발생기에 작업을 할 수 있는 편리한 시간이다. 이를 위해 원자로는 배수되어 증기 발생기 용기의 입구 및 출구 노즐의 수위 아래에 있게 된다. 관다발과 입구 및 출구 플리넘도 배수되며, 그때 이들을 차단하기 위해 입구 및 출구 노즐에 댐이 설치된다. 일단 이들 댐이 위치되면 원자로는 증기 발생기에서 행해지는 작업에 아무런 방해를 주지 않고 연료 교체 작업을 하도록 물로 다시 채워진다. 물은 연료 교체 작업중 차폐체 및 감속재로서의 역할을 하지만 증기 발생기내에 설치된 댐은 이러한 물질이 증기 발생기의 용기로 흐르는 것을 방지해 준다. 또한 증기 발생기 용기는 1차 유체 도관과 원자로를 오염시키지 않고 화학적인 오염 제거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이제까지는 보통 두형태의 고정 노즐댐이 사용되어 왔다. 그 한 형태는 노즐에 삽입되는 부분 밀봉체 또는 댐판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신장되는 핀을 수용하기 위해 노즐의 내부 표면에 구멍을 뚫어야 했다. 상기 판은 노즐의 내부 표면과 마찰 결합을 위해 주위에 방사상 팽창부를 갖는 밀봉 다이어프램을 포함하고 있었다.
또다른 형태의 댐은 용접 등에 의해 노즐 내부에 부착링을 설치해야 했으며, 상기 링은 보울트와 같은 적당한 패스너에 의해 노즐댐 판이 부착되는 부착링의 역할을 했다. 이들 두 기술은 모두 노즐의 변형을 필요로 했으며, 증기 발생기가 작동된 후 그러한 변형이 수행된다면 작업자는 방사선에 피폭되었다. 또한 이들 두 형태의 댐은 노즐을 통한 1차 유체의 흐름에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노즐 내부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부착링의 경우에는 흐름 통로를 변경하게 되었다.
또한 노즐내에 삽입되어 노즐을 막도록 팽창되는 팽창백(bag) 또는 다이어프램등을 사용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팽창 밀봉체는 노즐 내부 표면에 잘 부착되지 않고 걸리지 않으므로 양측상의 매우 제한적인 압력 차이에만 지탱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은 매우 제한적인 범위에만 사용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증기 발생 용기의 1차 유체 노즐을 밀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장치는 추가된 구성적 및 작동상의 장점을 제공하는 반면 종전 밀봉 설비의 단점을 제거하였다.
본 발명은 노즐의 어떠한 변형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설치를 위한 보울트 또는 핀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여기서 설치 기구는 노즐을 통한 1차 유체의 흐름 통로에 아무런 방해를 주지 않으며, 또한 1차 및 백엎(backup)밀봉을 포함하는 2중 밀봉 능력을 제공하여 댐의 양측에서 압력이 증가하여도 견딜 수 있으며, 노즐내의 위치에 댐을 지지하는 힘을 증가하도록 댐을 가로지른 압력 차이에 반응하며, 비교적 작은 개구를 통해 증기 발생 용기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접을 수 있는 노즐댐을 제공한다.
넓은 의미에서 본 발명은 증기 발생 용기의 플리넘에서 내부 표면을 갖는 1차 유체 노즐을 통해 흐르는 유체를 차단하기 위한 노즐댐에 있으며, 밀봉 위치를 가지고 있으며, 노즐내에서 신장되어 설치되며, 유체밀봉을 형성하기 위해 노즐의 전체 내부 표면과 마찰 결합되어 노즐을 폐쇄시키는 유체 불침투성의 밀봉 장치와, 밀봉 장치에 연결되었으며, 밀봉 위치에서 밀봉 장치를 확고히 지지하도록 노즐의 내부 표면과 마찰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는 앵커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지 예로써 주어진 부수 도면을 참고로 한 양호한 실시예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제1도에는 참고번호(20)으로 표시되었으며 용기(21)를 포함하고 있는 증기 발생기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용기(21)는 보통 수평으로 설치된 관판(22)에 의해 상단부와 분리되는 반구형 차단부를 가지고 있다. 관판(22)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은 관다발(23)이며, 관다발은 관판(22)내의 구멍을 통해 설치된 하단부를 갖는 다수의 역 U형 관(24)을 포함하고 있다. 관판(22) 아래에 있는 용기(21)의 부분은 벽(25)에 의해 입구 플리넘(26)과 출구 플리넘(27)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관(24)의 두 수직 레그부와 연통되어 있다. 용기(21)에는 입구 및 출구 플리넘(26,27)에 접근할 수 있도록 맨웨이(29)(하나만 도시됨)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두개의 노즐(30,31)이 용기(21)에서 외부로 돌출되었으며, 각각 입구 및 출구 플리넘(26,27)과 연결되어 있다. 이들 각 노즐은 외부 원통형부(32)를 가지고 있으며, 외부 원통형부는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35)를 포함하고 있다. 각 노즐(30,31)의 외측 단부는 관련 원자로 용기(도시안됨)로 뻗어 있는 관련 도관(30)으로 적당한 용접부(37)(제2도에 도시됨)에 의해 고정되는 환상 단부 벽(36)을 규정한다.
일반적으로 증기 발생기 용기에는 최소한 두 형태의 노즐이 구비되어 있다. 그중 하나의 형태는 원통형부(32)가 비교적 길고 절두 원추형부(34)가 비교적 짧은 것이며, 이러한 형태는 노즐(30)로 예시되어 있다. 또다른 형태는 원통형부(32)가 비교적 짧으며 절두 원추형부(34)가 비교적 긴 것이며, 이러한 형태는 노즐(31)로 예시되어 있다. 정상적으로 용기(21)상의 두 노즐은 동일한 형태를 가지겠지만 두 형태는 제1도에 예시를 목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도 내지 제7도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특징에 따라서 만들어졌으며, 참고번호(40)으로 지적된 노즐댐을 예시하고 있다. 노즐댐(40)은 노즐의 내면에 노즐댐(40)을 정박시키기 위한 앵커 조립체(80)를 설치하고 있는 축 조립체(41)와 노즐의 유체 밀봉을 제공하기 위한 밀봉 조립체(100)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제2도, 4도 및 5도에서 축 조립체(41)는 원통형 외부 슬리이브(42)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슬리이브는 한 단부에 내부 나선부(43)를 그리고 다른 단부에 확대된 직경의 내부 나선부(45)를 가지고 있다. 세개의 긴 슬롯(46)이 외부 슬리이브(42)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세개의 동일한 각도로 간격진 위치에서 종방향으로 뻗어 있다. 외부 슬리이브(42)의 하단부에 끼워져 있는 것은 외부 슬리이브(42)의 확대 직경부(45)와 나선 결합되는 외부 나선 바디(51)를 갖는 트러스트 리테이너 링(50)이다. 바디(51)의 하단부에는 방사상 외부로 신장된 환상 플랜지(5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플랜지는 외부 슬리이브(42)의 인접 단부와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트러스트 리테이너 링(50)은 공축으로 환상 트러스트 베어링(54)이 안착되도록 파여진 상단부(53)를 갖는 보어를 규정하고 있다.
공축으로 외부 슬리이브(42)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은 트러스트 베어링(54)에 공축으로 회전할 수 있게 수용되는 감소된 직경의 비나선 하단부(56)를 갖는 긴 외부나선 구동나사(55)이다. 구동나사(55)는 하단부(56)의 삽입을 제한하기 위해 트러스트 베어링(54)의 상단부와 결합되도록 설치된 확대 직경의 환상 플랜지(57)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나사(55)의 상단부에는 횡단면이 육각형이 축방향 보어(58)를 구비하고 있다. 용접과 같은 것에 의해 구동나사(55)의 상단부에 고정된 것은 방사상 외부로 신장된 환상 베어링 칼라(59)이다.
외부 슬리이브(42)내에서 구동나사(55)를 둘러싸서 나선 결합된 것은 원통형 주행너트(60)이며, 상기 너트는 주위에 동일한 각도로 간격져 있는 지점에서 뻗어 있는 세개의 방사상 보어(61)를 가지고 있다. 보어(61)에는 세개의 핀(62)이 각각 수용되며, 세개의 핀은 각각 외부 나선부(63)와 육각형 외측 단부(64)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보어(61)는 각각의 핀(62)이 외부 슬리이브(42)내의 슬롯(46)을 통해 외부로 뻗어 있도록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핀(62)은 외부 슬리이브(42)에 관한 주행너트(6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슬롯(46)과 협동하는 반면 외부 슬리이브(42)에 관한 주행너트(60)의 종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구동나사(55)의 회전은 주행너트(60)의 상응하는 종방향 이동에 영향을 줄 것이며, 이러한 이동은 슬롯(46)의 길이에 의해 제한된다.
축 조립체(41)는 또한 긴 회전축(65)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축은 구동나사(55)의 상단부에 있는 육각형 보어(58)속으로 삽입될 크기의 육각형 하단부(66)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회전축(65)이 회전하면 구동나사(55)가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65)상에서 육각형 단부(66)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은 확대직경의 환상 베어링 플랜지(67)이며, 상기 플랜지(67)의 외경은 구동나사(55)상의 베어링 칼라(59)의 외경과 동일하다. 회전축(65)의 육각형 단부(66)를 둘러싸고 있는 것은 두개의 벨레빌 스프링(68)이며, 상기 스프링(68)은 베어링 칼라(59)와 베어링 플랜지(67)사이에서 사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65)의 상단에는 감소된 직경의 육각형 팁(69)이 있다.
회전축(65) 밖에는 원통형 회전관(70)이 활주 수용되며, 상기 관(70)은 회전축(65)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 보어(71)를 가지고 있다. 회전축(65) 중간의 외부 표면에는 환상 홈(72)이 형성되어 있으며, O-링(73)이 회전축(65)과 회전관(70)사이의 유체 밀봉을 제공하도록 상기 홈에 안착되어 있다. 회전관(70)은 원통형 외부 나선부(75)를 구비하고 있는 확대된 직경의 하단부(74)를 가지고 있으며, 나선부(75)는 외부 슬리이브(42)의 나선부(43)와 결합되며, 베어링 칼라(59)와 베어링 플랜지(67)를 수용하며 둘러싸고 있다. 따라서 회전관(70)은 외부 슬리이브(42)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확대된 직경의 하단부(74)로부터 방사상 외부로 뻗어 있는 것은 외부 슬리이브(42)의 상단부와 결합되도록 설치된 환상 쇼울더(76)이다. 회전관(70)의 확대 단부(74)는 베어링 플랜지(67)와 결합되는 트러스트 베어링(78)을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원통형 요부(77)를 가지고 있다. 확대 단부(74)의 위에 있는 회전관(70)의 부분은 외부 나사(79)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제2도 내지 제5도를 참고하면, 앵커 조립체(80)는 환상 캐리지(81)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캐리지(81)는 외부 슬리이브(42) 주위에 공축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종방향으로 활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캐리지(81)를 통해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것은 핀(62)을 각각 수용하기 위한 세개의 원통형 보어(82)(제4도 참조)이다. 특히 보어(82)는 주행너트(60)내의 보어(61)와 각각 일선상에 있으며, 핀(62)은 각각 보어(82)에 삽입된다. 외부 나선부(63)는 주행너트(60)내의 보어(61)속으로 돌출된 내측 단부의 위치에 핀(62)을 고정 설치하기 위해 보어(82)내의 내부 나선부와 나선 결합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모양에 핀(62)의 육각형 단부(64)가 캐리지(81)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캐리지(81)는 주행너트(6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외부 슬리이브(42)와 구동나사(55)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캐리지(81)는 각각 인접하는 핀(62)사이에 세 세트의 방사상 외부로 뻗어 있는 클레비스 아암(83)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각 세트는 세개의 링크(86)중 상응하는 하나의 인접 단부를 선회할 수 있게 연결하도록 상응하는 선회 핀 또는 보울트(85)를 수용하기 위해 클레비스 아암(83)을 관통하는 선형 구멍(84)을 가지고 있다. 링크(86)의 외측 단부는 선회 핀 또는 보울트(87)에 의해 세개의 긴 레그(90)의 단부 중간에 각각 형성된 이어(ear)(88)에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레그(90)는 그 내측 단부에 한쌍의 클레비스 아암(92)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아암(92)은 선회 핀 또는 보울트(91)에 의해 환상 칼라(94)로부터 방사상 외부로 뻗어 있는 세개의 러그(93)중 상응하는 하나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칼라(94)는 외부 슬리이브(42)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확대 직경의 단부(45)에 접속되어 있다. 레그(90)의 외측 단부는 핀 또는 보울트(95)에 의해 세개의 앵커 피이트(96)에 각각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앵커 피이트(96)는 관련 노즐(30 혹은 31)의 원통형 내부 표면(33)과 마찰 결합되도록 마찰 패드(97)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서 노즐댐(40)은 노즐(31)에 설치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그러한 노즐댐(40)은 각각의 노즐(30) 및 (31)에 설치될 것이기 때문에 다음 설명은 어떤 형태의 노즐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특히 제2도, 6도, 7도, 10도 및 12도를 참고하면, 밀봉 조립체(100)는 접을 수 있는 원형 밀봉판(101)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밀봉판(101)은 두개의 측면부(112)에 힌지 연결된 중앙부(102)를 가지고 있다. 중앙부(102) 및 측면부(112)의 각각은 상부 표면에 다수의 경량화 요부를 구비하고 있어서 워플(waffle)형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중앙부(102)는 일반적으로 평행한 정부 및 저부 표면(103,105)을 가지고 있으며, 정부 표면(103)은 그 중심에 사각형 요부(104)를 가지고 있다. 중앙부(102)는 적절한 단부면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평행 측면(106)을 가지고 있다. 각 측면(106)에 형성되어 있는 것은 긴 밀봉홈(107)이며, 상기 밀봉 홈(107)은 정부 표면(103)에 평행하게 종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측면(106)의 대향 단부에 인접하여 정부 표면(103)을 향해 위로 뻗어 있는 단부를 가지고 있다. 탄성 밀봉 부재(108)가 각 밀봉 홈(107)에 끼워진다. 중앙부(102)는 중앙 원통형 보어(109)를 형성하고 있다(제10도 및 12도). 보어(109)에 안착되는 것은 환상 밀봉 부재(110)이며, 상기 부재(110)는 보어(109)와 일선상에 있으며, 방사상 외부로 뻗어 있는 상부 및 하부 플랜지를 가지고 있다. 그중 상부 플랜지는 보충 요부(111)에 안착되며 적당한 패스너(110a)에 의해 제위치에 고정된다(제4도).
각 측면부(112)는 실제 평행한 정부 및 저부 표면(113,115)을 가지고 있다(제6도 및 12도). 각 정부 표면(113)의 내측 연부는 요부(114)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요부(114)의 크기는 밀봉판(101)이 평탄한 밀봉상태로 설치될 때 요부(114)가 밀봉판(101)의 중앙에 확대된 단일 정방형 요부를 형성하기 위해 중앙부(102)내의 요부(104)대향측과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측면부(112)의 각각은 중앙부(102)상의 측면(106)중 관련되는 하나와 결합되는 평탄한 측면(116)을 가지고 있다. 측면부(112)는 각각 아아치형 외부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그 크기는 밀봉판(101)이 평탄한 밀봉 상태로 설치되었을 때 연속 원통형 주변 표면(117)을 형성하기 위해 중앙부(102)의 아아치형 단부 표면과 연속되도록 되어 있다. 밀봉판(101)의 전 둘레에서 주변 표면(117)에 형성되어 있는 것은 요부(118)이다. 각부(102,112)상의 주변 표면(117)을 통해 뻗어 있는 것은 앞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게 될 최소한 하나의 인플레이션 보어(119)(제7도)이다.
중앙부(102)는 두개의 힌지 조립체(120)에 의해 두개의 측면부(112)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각 힌지 조립체(120)는 다수쌍의 힌지판(121)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쌍의 판(121)은 인접 측면부(112)와 중앙부(102)의 저부 표면(105,115)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힌지판(121)은 힌지핀(122)을 수용하기 위한 선상 부싱을 가지고 있어서, 측면부(112)가 제6도 및 7도에 예시된 평탄한 밀봉 상태와 제12도에 예시된 접혀진 위치 사이에서 중앙부(102)에 관해 접혀질 수 있게 선회하도록 피아노형 힌지를 제공하게 된다. 리테이너 판(124)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되는 탄성 밀봉편(123)은 힌지 조립체(120)에 포함되어 있으며, 밀봉판(101)의 전체 저부 아래에 깔려 있다. 밀봉판(101)은 평탄 밀봉 상태에서 4개의 래치 조립체(125)에 의해 유지된다(제6도 및 7도). 각 래치 조립체(125)는 관련 측면부(112)의 정부 표면(113)에 고정되어 있는 키이퍼(126)와 중앙부(102)의 정부 표면(103)에 고정된 설치 브래킷(127)을 포함하고 있다. 래치 부재(128)는 관련 키이퍼(126)와 래칭 결합을 위해 선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선회 핀(129)에 의해 설치 브래킷(127)상에 선회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아아크형 설치 슈우(shoe)(130)는 각각 나사(132)에 의해 밀봉판(101)의 주변 표면(117)에서 중앙부 및 측면부(102,112)에 고정되어 있다. 설치 슈우(130)는 전체 밀봉판(101) 주위에 뻗어 있는 환상 설치 슈우를 규정하는데 협동한다. 상기 설치 슈우는 방사상 외부로 뻗어 있는 환상 플랜지(133)를 가지고 있으며, 그의 상부 표면은 밀봉판(101)의 정부 표면(103,113)과 동일 평면상에 있게 된다.
설치 슈우(13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은 EPDM과 같은 압축성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아아크형 고정 밀봉부재(135)이며, 상기 부재(135)는 밀봉판(101)이 전체 밀봉판(101) 주위에 원주상으로 뻗어 있는 연속 환상 밀봉을 형성하기 위해 평탄한 밀봉 상태에 있을 때 작동한다. 밀봉 부재(135)는 방사상 외부로 뻗어 있는 환상 플랜지(137)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플랜지(137)는 상응하는 설치 슈우(130)의 플랜지(133) 바로 아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137)는 플랜지(133)의 주변 단부를 지나 방사상 외부로 약간 돌출되어 있으며, 절두 원추형 밀봉 표면(138)을 구비하고 있다. 밀봉 부재(135)는 아래에 서술될 밀봉판(101)의 관련 부분에서 상응하는 보어(119)와 일선상에 설치된 방사상 보어(도시안됨)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밀봉 조립체(100)는 팽창 밀봉체(140)를 포함하고 있으며, 밀봉체(140)는 플랜지(137)의 바로 아래에서 고정 밀봉 부재(135)의 외측 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팽창 블래더(bladder)(141)를 포함하고 있다. 블래더(141)는 보통 평탄한 토러스(torus)의 형태이며, 팽창 끼움 장치(도시안됨)를 가지고 있다. 상기 끼움 장치는 관련 팽창 보어(119)와 고정 밀봉 부재(135)를 통해 뻗어 있는 적당한 도관(도시안됨)에 의해 압축공기 또는 다른 적당한 팽창 유체의 소스에 연결되어 있다. 전체 외주를 따라 블래더(141)의 외부 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은 밀봉 부재(142)이며, 상기 부재(142)는 EPDM과 같은 압축성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또한 밀봉 표면(138)과 공축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절두 원추형 밀봉 표면(143)을 가지고 있다. 팽창시 블래더(141)는 밀봉 표면(143)이 관련 노즐(30 또는 31)의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35)과 밀봉 결합되도록 방사상 외부로 팽창된다(제2도 참조).
특히, 제2도, 4도, 6도 및 7도를 참고하면, 밀봉 조림체(100)는 또한 실제 평행한 저부 및 정부 표면(151,153)을 갖는 사각형의 리테이너 블록(150)을 포함하고 있다. 저부 표면(151)은 밀봉판(101)이 평탄한 밀봉상태로 설치되어 있을 때 밀봉판(101)의 요부(104) 및 (114)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각형 요부에 안착되게 된다. 환상 밀봉 표면(152)은 저부 표면(151)의 중앙에 달려있으며, 밀봉판(101)내에서 밀봉 부재(110)의 상부 환상 플랜지와 유체 밀봉 결합을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리테이너 블록(150)은 중앙 원통형 보어(155)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어(155)는 그 하단부에 확대 직경부(156)를 가지고 있고 그 상단부에 정부 표면(153)과 연통되는 부분 구형 요부(157)를 가지고 있다. 사용시 리테이너 블록(150)이 밀봉판(101)상의 요부에 안착될 때 보어(155)는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축 조립체(41)의 상부를 수용하기 위해 협동하도록 밀봉판(101)내의 보어(109)와 공축으로 설치된다.
밀봉판(101)상의 위치에 리테이너 블록(150)을 고정시키기 위해 부분 구형 로크너트(160)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크기는 리테이너 블록(150)의 부분 구형 요부(157)에 안착되도록 되어 있다. 로크너트(160)는 그 주위에 뻗어 있는 환상 홈(161)을 가지고 있으며, 홈(161)속에는 리테이너 블록 요부(157)의 부분 구형 표면과 로크너트(160)사이에 유체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밀봉링(162)이 안착되어진다. 로크너트(160)는 그 중앙에 육각형 구동부(164)를 간직하고 있는 평탄한 원형 정부(163)를 가지고 있다. 회전관(70)과 나선 결합되는 내부 나선 보어(165)는 로크너트(160)를 통해 축 방향으로 뻗어 있다. 로크너트(160)는 단일편으로 기계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1도 및 12도에는 앵커 조립체(80)와 밀봉 조립체(100)를 접을 수 있다는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면을 예시하고 있다. 이와같이 접을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노즐댐(40)이 관련 플리넘(26 혹은 27)의 내부로부터 노즐(30 혹은 31)에 부착되어야 하며, 이들 플리넘으로의 접근은 노즐(30 및 31)보다 더 적은 직경을 갖는 맨웨이(29)에 의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즐댐(40)은 조립된 상태에 있는 증기 발생기 용기 속으로는 삽입될 수 없으며, 또한 밀봉판(101)이 평탄한 밀봉 상태로 있을 때도 삽입될 수 없다. 그러나 밀봉판(101)이 접혀진 상태에 있을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도에서 처럼 맨웨이(29)를 통해 끼워진다. 유사하게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조립체(80)도 구동나사(55)를 회전함에 의해 주행너트(60)와 캐리지(81)를 최대로 상승된 위치로 당기게 하여 접을 수 있으며, 이때 핀(62)은 슬롯(46)의 상단부를 속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링크(86)는 축 조립체(41)의 종축과 평행하게 되며, 레그(90)는 위로 접혀져서 앵커 조립체(80)와 축 조립체(41)의 결합체가 쉽게 맨웨이(29)를 통과하도록 해준다. 리테이너 블록(150)과 로크너트(160)의 크기는 쉽게 맨웨이(29)를 통과하도록 되었다.
제8도 및 9도에는 노즐댐(40)의 설치시 사용되는 센터링 기구(190)를 예시하고 있다. 센터링 기구(190)는 확대된 직경의 단부(192)를 갖는 긴 중공관(191)을 포함하고 있다. 세개의 힌지 결합된 센터링 아암(193)은 관(191)에 고정되어 그 주위에 동일한 각으로 간격진 지점에서 확대된 직경부(192)의 바로 위로부터 방사상 외부로 뻗어 있다. 각각의 센터링 아암(193)은 관(191)에 고정되어 그 축에 수직으로 뻗어 있는 내부(194)와 긴 외측 단부(196)를 포함하고 있으며, 내부(194)와 단부(196)는 힌지(195)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각 외측 단부(196)는 노즐(30 혹은 31)의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35)과 결합되도록 설치된 베어링 팁(197)에서 종료한다.
외측 단부(196)는 관(191)의 축에 평행하게 하방으로 뻗어 있는 접혀진 위치(도시안됨)와 제8도 및 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축 단부(196)가 내부(194)에 관해 축 방향 하방으로 약간 기울어 있는 센터링 위치 사이에서 접혀질 수 있다.
래치(198)는 외측 단부(196)를 센터링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노즐 댐(40)의 작동을 이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노즐댐(40)의 몇몇 부분이 상술한 방법으로 관련 맨웨이(29)를 통해 분리되어 삽입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밀봉판(101)가 앵커 조립체(80)는 접어진다.
다음 센터링 기구(190)가 축 조립체(41)상에 설치되며, 관(191)은 회전관(70)위로 끼워진다.
확대된 직경부(192)는 회전관(70)의 확대부(74)를 수용한다. 센터링 개구(190)의 힌지된 센터링 아암(193)은 그들의 신장된 센터링 상태로 걸러진다.
다음 축 조립체(41)가 노즐(30 혹은 31)로 삽입되며, 앵커 조립체(80)는 노즐(31)의 외측 단부와 접하게 된다.
센터링 기구(190)의 베어링 팁(197)은 제8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노즐에 관해 축 조립체(41)의 내측 단부를 센터링 하며 노즐의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35)과 결합될 것이다.
앵커 조립체(80)와 축 조립체(41)를 제 위치에 유지하고 축 조립체(41)의 외측 단부를 센터링 하기 위해 앵커 피이트(96)가 노즐(31)의 원통형 내부 표면(33)과 완전히 결합될때까지 회전축(65)은 앵커 조립체(80)의 레그(90)가 접하지 않도록 육각형 립(69)에 가해진 적당한 공구에 의해 회전된다.
그때 센터링 기구는 제거된다.
밀봉판(101)은 그때 평탄한 밀봉 상태로 안접혀져 있으며, 래치 조립체(125)의 폐쇄에 의해 그 상태로 걸러지게 된다. 그때 밀봉판(101)은 고정 밀봉 부재(135)의 밀봉 표면(138)이 노즐(31)의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35)을 속박할때까지 축 조립체의 내측 단부위로 끼워진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밀봉판(101)내의 밀봉 부재(110)와 보어(109)는 외부 슬리이브(42)의 내측 단부 위로 자유롭게 끼워질 것이라는 것을 알수 있다.
리테이너 블록(150)은 그때 축 조립체(41)의 내측 단부위로 끼워져 밀봉판(101)의 정부 표면에 있는 요부에 안착되며, 환상 밀봉 표면(152)는 밀봉 부재(110)와 밀봉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로 크너트(160)는 리테이너 블록(150)이 밀봉판(101)과 결합되어 있도록 하기 위해 리테이너 블록(150)내의 부분구형 요부(157)에 완전히 안착될때까지 회전관(70)의 내측 단부상에서 아래로 나선 결합된다.
다음 공기 공급체가 적당한 도관(도시안됨)에 의해 팽창 밀봉체(140)에 연결된다.
이렇게 하여 이 부분이 조립 되었을때 노즐댐(40)은 노즐(30 혹은 31)에 완전히 안착되지만 밀봉판(101)의 대향측면 사이의 상당한 압력 사이를 견딜수 있도록 충분히 걸러 있지 못하다.
왜냐하면 이 지점에서 설치는 단순히 회전축(65)과 로크너트(160)에 가해진 수동 공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노즐댐(40)을 제 위치에 좀더 확고히 설치하기 위해 장력 조립체(170)가 구비되어 있다.
제10도를 참고하면 장력 조립체(170)는 환상 블록(171)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블록(171)은 축 조립체(41)와 로크너트(160) 내측 단부위로 끼워지며, 리테이닝 블록(150)의 정부 표면(153)에 대향하여 안착된다.
환상 블록(171)의 상단부에 있는 요부에 안착되어 있는 것은 환상 외부링(172)이며, 상기 링(172)은 적당한 로울핀(173)에 의해 환상 블록(171)에 고정되어 있다.
외부 링(172)은 또한 환상 쇼울더(174)를 가지고 있다. 외부 링(172)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은 유압피팅(175)을 수용하는 챔버이다. 짧은 축방향 통로(176)는 유압 챔버와 환상 쇼울더(174)를 연결 시킨다.
외부링(172)내에 공축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은 환상 내부 링(177)이며, 상기링(177)은 확대된 직경의 상부(178)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상부(178)는 외부링(172)의 쇼울더(174)상에 안착되어 있다.
O-링(179)은 외부 및 내부링(172,177)사이의 유체 밀봉을 제공하는 반면 그들의 상대적인 축방향 활주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외부 링(172)의 내부 표면과 내부링(177)의 외부 표면에 있는 보충적인 환상 홈에 안착되어 있다.
육각형 소켓 부재(180)는 환상 블록(171)내에 설치되어 블록(171)의 쇼울더와 환상 리테이닝 플랜지(181)사이에 간직되어 진다.
소켓 부재(180)는 환상 블록(171)이 리테이너 블록(150)상에 안착될 때 함께 구동되도록 로크너트(160)의 육각형 구동 스터드(164)위로 끼워 지도록 설치되며, 또한 환상 블록(171)에 관해 자유롭게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소켓 부재(180)의 외부 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은 축(185)의 한단부에 인접하여 고정된 기어(184)와 결합 되도록 설치된 기어 부재(183)이며, 상기 축(185)은 환상 블록(171)내의 보충 보어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축(185)은 실제로 축 조립체(41)의 종축에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또한 내측 단부 위로 돌출되어 있다.
그 상단부에는 축(185)의 수동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횡방향 핸들(186)을 구비하고 있다.
축(185)은 리테이닝 링(187)에 의해 외부 링(172)에 대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원통형 로크 관(188)은 내부 링(177)과 회전관(70) 사이에 수용되어 회전관(70)과 나선 결합된다.
로크 관(188)은 장력 조립체(170)를 리테이너 블록(150)에 대향한 위치에 간직하고 회전축(65)의 축소된 육각형 립(69)에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내부링(177)의 인접 단부와 접합 되도록 설치 되었으며 그 상단부에 확대된 직경의 환상 헤드(189)를 구비하고 있다.
작동시 토크 관(188)을 제외한 장력 조립체(170)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조립체(41)의 내측 단부 위에서 리테이너 블록(150)에 대향하여 끼워진다.
그때 로크관(188)은 환상 헤드(189)가 내부 링(177)의 상단부를 속박할때까지 회전관(70)에 나선 결합된다. 유압 피링(175)은 장력 조립체(170)에 가해질 가압된 유압 유체의 관련 소스에 연결되어 있다.
공기는 통로(176)를 통해 흐르며 반대 방향으로 외부 및 내부 링(172)을 공기압적으로 구동한다.
좀더 상세히 서술하면, 외부링(172)은 환상 블록(171)에 대향하여 구동되며, 이는 또한 축 조립체(41)의 축방향으로 그리고 노즐(30 혹은 31)의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밀봉판(101)에 대향하여 리테이너 블록(150)을 구동한다. 따라서 밀봉 표면(138)은 설치 슈우(130)상에서 플랜지(133)의 외측 연부가 노즐(30 혹은 31)의 절두 원충형 내부 표면(35)을 확고히 속박할때까지 플랜지(137)를 압축하면서 절두 원추형 내부표면(35)과 좀더 확고히 밀봉 결합되도록 구동된다.
동시에 내부링(177)은 축 조립체(41)에 고정된 로크관(188)의 환상 헤드(189)에 대향하여 구동된다. 따라서 축 조립체(41)는 노즐(30 혹은 31)의 내부로 당겨지며, 외부 슬리이브(42)의 확대된 직경의 단부(45)는 캐리지(81)를 향해 내부로 당기도록 앵커 조립체(80)의 칼러(94)를 속박한다.
이와같은 칼라(94)의 축방향 내부 이동은 레그(90)를 길게 뻗도록 하며, 앵커 피이트(96)와 마찰 패드(97)를 노즐(30 혹은 31)의 원통형 내부 표면(33)과 좀더 확고히 결합되도록 해준다.
따라서 장력 조립체(170)는 앵커 조립체(80)와 밀봉 조립체(100)를 공기 압적으로 단단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노즐댐(40)이 이런 방법으로 충분히 단단하게 되었을때, 축(185)이 소켓 부재(180)를 회전 시키도록 수동으로 회전되며, 축 조립체(41)에 관해 리테이너 블록(150)을 확고히 잠그기 위해 로크너트(160)를 리테이너 블록(150)에 대향하여 아래로 구동한다.
장력 조립체(170)는 그때 제거된다.
또한 그때 밀봉 캡(도시안됨)이 축 조립체(41)의 내부 단부를 밀봉하면서 회전관(70)의 내부 단부 위로 나선 결합된다.
이와같이 상기부분이 조립되어 장력이 걸릴때 압축 공기가 약 60PSIG로 블래더(141)를 팽창 시키고 노즐(30 혹은 31)의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35)과 확고한 마찰 결합을 이루도록 밀봉 표면(143)을 공기압적으로 구동하기 위해 팽창 밀봉체(140)에 가해진다. 상기 공기압은 노즐댐(40) 그 위치에 있는 동안 계속된다.
상술한 구조의 노즐댐(40)은 어떤 다른 부착 수단이 없이, 그리고 노즐 자체의 어떠한 변경도 없이 노즐(30 혹은 31)의 내부 표면상에 확고히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이다.
또한 이러한 설비는 노즐 댐(40)을 아주 공고히 설치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밀봉 조립체(100)의 양측면 사이의 비교적 큰 압력 차이에도 견딜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설비의 또다른 중요한 장점은 노즐(30 혹은 31)을 폐쇄하기 위해 두개의 분리된 밀봉체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첫번째 밀봉체는 팽창 밀봉체(140)이며, 이는 노즐(30 혹은 31)의 유체 폐쇄를 제공하기 위해 밀봉편(123), 밀봉 부재(110), 밀봉 링(162) 및 밀봉 캡과 협동한다.
밀봉 부재(108)는 밀봉판 부분(102,112) 사이의 횡방향 유제 흐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두번째 밀봉체는 고점 밀봉체이며, 팽창 밀봉체(140)용 백엎(backup)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고정된 밀봉부재(135)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팽창 밀봉체(140)에 대한 공기압이 어떠한 이유로 인해 상실될 경우 노즐(30 혹은 31)의 유체 폐쇄는 고정 밀봉체에 의해 여전히 유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중요한 장점은 노즐댐(40)의 압측상에 중요한 압력 헤드를 지탱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증깁 발생기 용기(21)내부의 압력이 도관(38)내의 압력보다 클 경우 압력 헤드는 밀봉 조립체(100)가 보다 확고하게 노즐(30 혹은 31)의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35)과 결합되도록 해줄 것이다.
밀봉 조립체(100)의 이동은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설치 슈우(130)가 이미 노즐의 내부 표면(35)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관(38)내의 압력이 증기 발생기 용기(21)내의 압력보다 클 경우 압력은 밀봉판(101)을 밀봉되지 않는 방향으로 용기(21)의 내부로 이동 시키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방향으로의 지나친 이동은 앵커 조립체(80)에 의해 방지된다.
좀더 상세히 서술하면, 밀봉판(101)이 노즐(30 혹은 31)의 내부로 이동하려는 경향은 축 조립체(41)의 상응하는 내 향이동을 유발하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아암(90)의 내부 단부를 내향하도록 구동하여 앵커 피이트(96)와 노즐(30 혹은 31)의 원통형 내부 표면(33) 사이의 마찰 압력을 증가 시키게 될 것이다. 그러나 앵커 조립체가 이미 장력 조립체(170)에 의해 단단해져 있기 때문에 축 조립체(41)의 지나친 내향 이동은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밀봉 조립체(100)를 제 위치에 설치함에 있어서 고정 밀봉 부재(135)의 밀봉 플랜지(137)가 약간 압축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리하여 밀봉판(101)이 노즐(30 혹은 31)의 내부로 약간 이동하는 것은 수용되는 반면 노즐의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35)과 밀봉 부재(135) 사이의 밀봉 관계는 여전히 유지된다.
이와 같이 허용 가능한 이동은 앵커 조립체(80)에 의해 허용되는 축 조립체(41)의 이동보다 크기 때문에 압력 헤드가 노즐댐(40)의 외측에 있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밀봉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팽창 밀봉체(140)는 노즐(30 혹은 31)의 절두원추형 내부 표면(35)과 밀봉 접촉을 상실하지 않고 밀봉판(101)의 좀더 큰 축방향 이동도 수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제13도 및 14도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특징에 따라 만들어진 노즐 댐(200)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는 또한 팽창 밀봉체와 고정 밀봉체로 구성되는 두개의 밀봉 기구를 포함하고 있지만, 이 경우 두개의 밀봉체는 서로에 대해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결합되어서 뿐만 아니라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노즐댐(200)은 한 단부가 앵커 조립체(202)에 고정된 긴 외부 나선 축(201)을 포함하고 있다. 좀더 상세히 서술하면, 축(201)은 동일한 각도로 간격저방사상 외부로 뻗어 있는 세 세트의 클레비스 아암(204)(단지 두세트만 도시됨)을 구비하고 있는 기부판(203)에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클레비스 아암(204)은 선회 핀 또는 보울트(205)에 의해 긴 레그(206)의 내측 단부에 선회할 수 있게 고정 되었으며, 그 외측 단부는 핀 또는 보울트(207)에 의해 앵커 푸우트(208)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삼각대 배열을 제공한다.
또한 앵커 조립체(202)는 환상 칼라(21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칼라(210)는 축(201)을 둘러 싸도록 설치되었으며 그 종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칼라(210)는 방사상 외측으로 뻗어 있는 세 세트의 클레비스 아암(211)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각각은 선회핀 또는 보울트(212)에 의해 링크(213)의 내측 단부에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되었으며, 그 외측 단부는 선회핀 또는 보울트(214)에 의해 한 관련 레그(206)의 중간쯤에 선회할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칼라(210)가 축(210)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앵커 조립체(202)는 제14도에 예시된 팽창된 설치위치와 동일한 목적으로 제11도에 예시된 것과 유사한 접혀진 위치(도시안됨)사이를 이동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노즐댐(200)은 축(210)에 설치된 팽창 미봉 조립체(220)를 포함하고 있다.
팽창 밀봉 조립체(220)는 하부 원형 베어링 판(215)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판(215)은 그 중심부에 원통형 보어(126)를 구비하고 있어서 축을 수용하게 되며, 축(201)의 종방향으로 베어링 판(215)의 자유로운 활주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세개의 팽창 블래더(221)가 구비되어 서로 고정되어 있으며, 각 블래더(221)는 밀봉 결합 상태로 설치되고 축(201)을 수용하기 위해 작은 중앙 개구를 갖는 토러스의 형태이다. 블래더(221)중 아래의 것은 베어링 판(215)에 고정되어 있으며, 반면 위의 것은 상부 베어링 판(222)에 고정되어 축(201)을 따라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각 블래더(221)는 공기압 타이어에서와 같이 내부 십자나사 또는 코우드를 가지고 있어서 팽창시 블래더가 강직하게는 되지만 계속 뻗어 나가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베어링 판(222)위에 있는 것은 너트(223)이며, 상기 너트(223)는 축(201)과 나선 결합되며, 핸들(224)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 베어링 판(222)은 공기압 피팅(225)을 구비하고 있어서 블래더(221)의 내측과 연결되어 있다. 각 블래더의 주위에 고정되어 있는 것은 설치 링(226)이며, 이들 각각은 환상의 방사상 팽창 블래더(227)를 가지고 있다. 각 블래더(227)의 외측 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은 관련 노즐(30 혹은 31)의 원통형 내부 표면(33)과 마찰 밀봉 결합할 수 있는 압축성 밀봉링(228)이다.
노즐 댐(200)은 또한 접을 수 있는 밀봉판(231)을 포함하고 있는 고정 밀봉 조립체(230)를 가지고 있다. 밀봉판(231)은 힌지로 상호 연결된 중앙부(232)와 두개의 측면부(240)를 가지고 있다.
중앙부(232)는 방사상 외부로 뻗어 있는 상하부 플랜지를 갖는 환상 밀봉 부재(235)를 안착시키는 원형보어(233)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 상부것은 중앙부(232)의 정부 표면에 있는 요부에 안착된다.
측면부(240)는 힌지 조립체(241)에 의해 중앙(232)에 연결 되었으며, 상기 힌지 조립체(232)는 제2도 내지 12도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설명한 힌지 조립체(120)와 실제 동일한 것이다.
밀봉부(232,240)의 각각은 아아크형 주변 벽(242)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벽(242)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평탄한 밀봉 상태로 설치될때 밀봉판(231)을 둘러싸는 환상 원통형 벽을 규정하기 위해 협동하게 된다. 또한 밀봉부(232,240)의 각각은 밀봉 조립체(230)가 평탄한 밀봉 상태로 설치 될때 힌지조립체(241)에 인접하여 서로 동끼리 결합되는 직립 평행 측벽(243)을 포함하고 있다. 측면부(240)의 내측벽(243)과 주변벽(242)을 상호 연결하는 것은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횡방향 웨브(244)이다.
주변벽(242)의 외측벽에 고정되어 있는 것은 밀봉부재(245)이며, 상기 부재(245)는 평탄한 밀봉 상태로 설치될때 밀봉판(231)을 둘러싸는 환상 밀봉체를 규정하기 위해 작동한다.
밀봉편(246)은 밀봉판(231) 아래에 걸려 있으며 밀봉부재(235 및 245) 사이를 폐쇄 시킨다. 밀봉판(231)은 그를 통해 뻗어 있는 공기압 피팅(247)을 구비하고 있다. 피팅(247)은 도관부(248)에 의해 피팅(225)에 연결되어 있으며, 도관(249)에 의해 또한 블래더(221,227)를 팽창시키기 위해 압축 공기의 관련 소스에 연결되어 있다.
노즐댐(200)은 또한 환상 리레이닝 블록(25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블록(250)은 축(201)의 내측 단부위에서 공축으로 수용될 수 있으며 밀봉 부재(235)와 밀봉 결합될수 있는 저부 표면(251)을 가지고 있다. 리테이닝 블록(250)은 내측 상단부에서 절두 원추형 경사부(253)을 갖는 원통형 보어(252)를 가지고 있다. 리테이닝 블록(250)으로부터 방사상 외부로 뻗어 있는 것은 다수의 날개(254)이며, 이들 각각은 평탄한 밀봉 상태로 설치될 때 밀봉판(231)상에서 횡방향 웨브(244)중 관련되는 하나의 내측 단부와 베어링 결합을 하도록 설치된 경사진 베어링 판(255)을 외측 단부에 가지고 있다. 너트(256)는 축(201)과 나선 결합되며, 리테이닝 블록(250)의 경사부(253)와 밀봉 결합될 수 있는 것은 절두 원추형부(257)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계로 절두 원추형부(257)내의 보충 홈에는 노즐댐(40)의 너트(160)에 관해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너트(256)와 리테이너 블록(250) 사이에 효과적인 유체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O-링(도시안됨)이 구비되어 있다. 너트(256)는 또한 수동 작동을 위해 외측으로 뻗어 있는 다수의 핸들(258)을 구비하고 있다.
작업시 노즐 댐(200)의 부품들은 노즐(30 혹은 31)내에서 조립을 위해 맨웨이(29)를 통해 분리되어 삽입된다. 앵커 조립체(202)와 고정 밀봉 조립체(230)는 접을 수 있고 팽창 밀봉 조립체(220)는 유연하기 때문에 상기 삽입은 용이하게 수행된다. 래치 조립체(도시안됨)는 노즐댐(40)의 밀봉판(101)에 관해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탄한 밀봉 상태에 있을때 밀봉판(231)을 걸리 위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부품들이 증기 발생기의 용기(21)내에 설치되었을때 팽창 밀봉 조립체(220)는 축(201)위로 끼워지며 너트(223)는 바라는 지점까지 하향한다. 팽창 밀봉 조립체(220)는 그때 밀봉 링(228)이 노즐(30 혹은 31)의 원통형 내부 표면(33)과 느슨한 마찰 결합 상태가 될때까지 팽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팽창은 하부 베어링 판(215)을 칼라(210)와 속박되도록 구동하는 역할을 하며, 축(201)을 따라 하부로 밀려져 앵커 조립체(202)의 래드(206)를 펴게하며, 노즐(30 혹은 31)의 원통형 내부 표면(33)과 마찰결합 하도록 앵커 피이트(208)를 이동시킨다. 그때 너트(223)는 정확한 지점에 위치하여 상하부 베어링판(222,215) 사이에 블래더(221)를 확고히 클램프한다. 이러한 초기 및 부분 팽창은 압축 공기의 소스를 피팅(225)에 직접 연결함에 의해 수행되거나 도관(248,249)을 통해 수행되기도 한다.
그때 고정 밀봉 조립체(230)는 평탄한 밀봉 상태로 걸려지며, 환상 밀봉 부재(245)가 노즐(30 혹은 31)의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35)과 마찰 밀봉 결합 상태로 될때까지 축(201)위로 끼워진다. 다시 리테이닝 블록(250)과 너트(256)가 가해지며, 너트(256)는 노즐(30 혹은 31)의 내부 표면에 대해 밀봉 부재(245)를 확고히 압축하기 위해 하향 이동한다. 팽창 밀봉 조립체(220)는 그때 완전히 팽창되어, 밀봉 링(228)을 가압하여 노즐(30 혹은 31)의 내부 표면(33)과 밀봉 결합 되도록 하며 또한 앵커 조립체(202)를 팽창시켜 내부 표면(33)과 마찰 결합 되도록 한다. 상기 공기압은 그때 노즐댐(200)이 위치에 있을 동안 유지된다.
이와 같이 노즐댐(200)은 노즐을 변경하지 않고 노즐(30 혹은 31)을 완전히 폐쇄할 수 있으며, 1차 및 2차 밀봉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다시 말해 1차 밀봉을 블래더(221,227) 및 밀봉링(228)에 의해 제공된다. 그러나 공기압의 손실이 있을 경우에도 2차 밀봉은 밀봉면(246), 밀봉 부재(235) 및 너트(256)와 리테이닝 블록(250) 사이의 밀봉 등의 협조로 밀봉 부재(245)에 의해 제공된다.
노즐댐(200)은 양측상에서 가해지는 상당한 압력에도 견딜수 있어야 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노즐의 내측단부 상에서의 압력 헤드는 고정 밀봉 부재(230)를 노즐(30 혹은 31)의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35)과 더 단단하게 결합 시키도록 할 것이다. 만약 상기 압력이 블래더(221)에 느껴질 경우에 앵커 조립체(202)를 좀더 확고히 걸리도록 블래더는 하부 베어링판(215)에 대향하여 구동될 것이다.
노즐(30 혹은 31)의 외측 단부 상에서의 압력 헤드는 블래더(221)를 내측으로 이동 시키려 하겠지만, 이러한 이동은 축(201)에 확고히 고정된 상부 베어링 판(222)에 의해 저지될 것이다. 그러나 축(201)의 심각한 내향 이동은 상기 이동이 앵커 조립체(202)를 팽창시키려고 할 것이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방지될 것이며, 더 이상의 심각한 팽창은 불가능한 것이다. 그리하여 압력 헤드는 팽창 밀봉 조립체(220)나 고정 밀봉 조립체(230)의 밀봉을 파괴 할 정도로 충분히 축(201)을 이동 시키지 못할 것이다.
노즐댐(200)의 팽창 밀봉 조립체(220)와 고정 밀봉조립체(230)는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서술했지만 약간의 수정으로 축(201)과 앵커 조립체(202)와의 조합으로 다른 것과 독립적으로 사용될수도 있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면, 팽창 밀봉 조립체(220)는 양측 사이의 상당한 압력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또는 공기압의 손실이 무관하도록 할 경우 사용될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조를 가지며, 노즐의 어떠한 수정도 없이 노즐을 효과적으로 그리고 확고히 폐쇄할 수 있으며, 2중 밀봉 능력을 제공하며, 작은 직경의 맨웨이를 통해 증기 발생기의 용기 속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는 개선된 노즐댐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Claims (12)

  1. 증기 발생 용기의 플리넘에서 내부 표면을 갖는 1차 유체 노즐을 통해 흐르는 유체를 차단하기 위한 노즐댐에 있어서, 밀봉 위치를 가지고 있으며, 노즐 내부를 가로질러 신장되어 설치되어, 유체 밀봉을 형성하기 위해 노즐의 전체 내부 표면과 마찰 결합되어 노즐을 폐쇄 시키는 유체 불침투성의 밀봉 장치와 ; 밀봉 장치에 연결되었으며, 밀봉 위치에서 밀봉 장치를 확고히 지지 하도록 노즐의 내부 표면과 마찰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는 앵커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흐름 차단용 노즐댐.
  2. 제1항에 있어서, 밀봉장치는 팽창 밀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흐름 차단용 노즐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노즐의 내부 표면과 마찰 결합되며, 앵커 장치는 노즐의 내부 표면과 결합되는 마찰력을 증가하기 위해 밀봉 장치 양측상의 압력 차이에 반응하는 압력 반응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흐름 차단용 노즐댐.
  4. 제3항에 있어서, 압력 반응 장치는 앵커 장치가 노즐의 내부 표면과 결합되는 마찰력을 증가하기 위해 앵커 장치를 방사상으로 팽창 시키려고 하는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흐름 차단용 노즐댐.
  5. 제4항에 있어서, 압력 반응 장치는 노즐을 축방향으로 신장시키는 건축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축은 한단부가 밀봉 장치에 연결 되었으며, 연결 장치가 축의 다른 단부를 앵커 장치에 연결시키며, 연결 장치는 앵커 장치를 방사상으로 팽창시키기 위해 밀봉 장치상의 압력 변화에 반응하여 설정된 방향으로 축의 축방향 이동에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흐름 차단용 노즐댐.
  6. 제5항에 있어서, 앵커 장치의 제어 설치중 노즐내에 축을 센터링 하기 위한 센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흐름 차단용 노즐댐.
  7. 제1항에 있어서, 유체 불침투성 밀봉 장치는 노즐의 전외부 표면 주위에 마찰 결합되는 제1 및 제2유체 불침투성 밀봉 장치를 포함하며, 지지장치는 제1 및 제2밀봉 장치와 상호 연결되어 그들을 지지하며, 상기 지지 장치는 제1유체 밀봉을 형성하고 노즐을 폐쇄하도록 제1밀봉 장치와 협동하며, 또한 상기 지지장치는 제2유체 밀봉을 형성하고 노즐을 폐쇄하도록 제2밀봉 장치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흐름 차단용 노즐댐.
  8. 제7항에 있어서, 밀봉 상태에서의 제2밀봉 장치는 지지 장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흐름 차단용 노즐댐.
  9. 제7항에 있어서, 지지 장치는 밀봉 상태에서 제1 및 제2밀봉 장치를 확고히 지지하기 위해 노즐의 내부 표면과 결합되는 앵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흐름 차단용 노즐댐.
  10. 제1항에 있어서, 밀봉 장치는 탄성 압축 부분을 갖는 고정된 강직한 밀봉 부재를 포함하며, 절두 원추형 밀봉 표면이 압축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흐름 차단용 노즐댐.
  11. 제1항에 있어서, 밀봉 장치는 원의 평행하고 동일한 현을 따라 접을 수 있는 원형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흐름 차단용 노즐댐.
  12. 제1항에 있어서, 앵커 장치는 노즐의 중앙에 설치된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수의 앵커부재가 앵커의 걸린 모양과 접근 모양 사이의 선회 운동을 위해 동일한 각으로 간격진 지점에서 베이스 부재상에 선회할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흐름 차단용 노즐댐.
KR1019850002836A 1984-04-30 1985-04-26 유체 흐름 차단용 노즐댐 KR940000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5,354 1984-04-30
US06/605,354 US4637588A (en) 1984-04-30 1984-04-30 Non-bolted ringless nozzle dam
US605354 1984-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476A KR850007476A (ko) 1985-12-04
KR940000358B1 true KR940000358B1 (ko) 1994-01-17

Family

ID=24423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836A KR940000358B1 (ko) 1984-04-30 1985-04-26 유체 흐름 차단용 노즐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637588A (ko)
EP (1) EP0163087B1 (ko)
JP (1) JPS60238601A (ko)
KR (1) KR940000358B1 (ko)
CA (1) CA1241245A (ko)
DE (1) DE3578450D1 (ko)
ES (1) ES8704281A1 (ko)
ZA (1) ZA8526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1326A (en) * 1984-09-17 1987-06-09 Westinghouse Electric Corp. Dual seal nozzle dam and alignment means therefor
FR2585101B1 (fr) * 1985-07-16 1987-11-27 Framatome Sa Obturateur amovible pour orifice accessible seulement par un passage etroit
FR2595668B1 (fr) * 1986-03-17 1988-06-03 Bertin & Cie Dispositif d'obturation d'un orifice a l'interieur d'une enceinte accessible seulement par un autre orifice de dimensions inferieures a celles de l'orifice a obturer
ES8703804A1 (es) * 1986-05-22 1987-03-01 Empresarios Agrupados Sa Sistema de montaje para cierres de toberas en tanques y depositos
DE3730658A1 (de) * 1987-09-11 1989-03-23 Siemens Ag Abdichtvorrichtung fuer eine rohrleitung, insbesondere fuer eine loopleitung an einer dampferzeugerkalotte
US4856510A (en) * 1988-04-06 1989-08-15 Kowalewski Ryszard J Tracheal tube inflator
US4932441A (en) * 1988-05-18 1990-06-12 The Presray Corporation Nozzle dam seal assembly for nuclear steam generator or the like
FR2641361B1 (fr) * 1988-12-29 1991-04-19 Framatome Sa Dispositif d'obturation autoclave d'une portion d'une canalisation primaire d'un reacteur nucleaire a eau sous pression
US4957215A (en) * 1989-02-13 1990-09-18 Cliff Evans Segmented nozzle dam
US5007460A (en) * 1989-04-03 1991-04-16 Nuclear Energy Services, Inc. Adjustable nozzle dam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US5092367A (en) * 1990-01-09 1992-03-03 Cues, Inc. Asymmetrical skid assembly
US5171514A (en) * 1991-02-01 1992-12-15 Westinghouse Electric Corp. Nozzle dam having a unitary plug
US5167905A (en) * 1991-09-20 1992-12-01 Westinghouse Electric Corp. Foldable nozzle dam having a foldable extrusion-resistant seal or gasket
WO1994020782A1 (de) * 1993-03-05 1994-09-15 Riepl Guenther Verschluss zum verschliessen eines medienkanals eines druckleitungssystems für ein unter druck stehendes medium
US5522432A (en) * 1993-03-19 1996-06-04 Combustion Engineering, Inc. Main steam line plug and locking ring
US5402828A (en) * 1993-05-04 1995-04-04 Pino; Richard Closure device with dual-mandrel-acutated peripheral seal
US5325406A (en) * 1993-09-15 1994-06-28 The Brand Companies Quick installation non-bolted nozzle dam system
US6672257B1 (en) 1994-05-06 2004-01-06 Foster-Miller, Inc. Upper bundle steam generator cleaning system and method
US5564371A (en) * 1994-05-06 1996-10-15 Foster Miller, Inc. Upper bundle steam generator cleaning system and method
US5695003A (en) * 1994-07-19 1997-12-09 Foster-Miller, Inc. System for sealing the nozzle of a steam generator
US5653555A (en) 1995-05-19 1997-08-05 Inliner, U.S.A. Multiple resin system for rehabilitating pipe
US5699838A (en) 1995-05-22 1997-12-23 Inliner, U.S.A. Apparatus for vacuum impregnation of a flexible, hollow tube
US5893567A (en) * 1997-03-11 1999-04-13 Anag A. Nussbaumer Ag Sealing system for sealing an opening
WO2002050619A2 (en) * 2000-12-21 2002-06-27 Foster-Miller, Inc. Steerable delivery system
US7478650B2 (en) * 2002-06-19 2009-01-20 Saint-Gobain Technical Fabrics Canada, Ltd. Inversion liner and liner components for conduits
KR100886461B1 (ko) 2008-02-14 2009-03-03 배석동 하수관거 차수로봇용 가물막이 수밀패널
WO2011098774A1 (en) * 2010-02-11 2011-08-18 Air Bag Stopper Holdings Limited Pipe seal
FR2957709B1 (fr) * 2010-03-18 2012-10-05 Areva Np Obturateur pour conduit de fluide de reacteur nucleaire, notamment pour drain de fond de generateur de vapeur
US20120306169A1 (en) * 2011-06-03 2012-12-06 General Electric Company Hinge seal
US8544852B2 (en) 2011-06-03 2013-10-01 General Electric Company Torsion seal
EP3199775B1 (en) * 2016-01-27 2019-05-08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heat loss in a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CN107131387A (zh) * 2017-05-09 2017-09-05 中北大学 一种基于自锁式的管道内封堵气囊及导流装置
FR3090071B1 (fr) * 2018-12-14 2021-03-05 Framatome Sa Dispositif d’obturation d’un conduit à éléments rigides déployables, système d’obturation et procédé d’installation associés
EP3922414A1 (de) * 2020-06-09 2021-12-15 Andreas Stihl AG & Co. KG Gehäus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2879C (ko) *
US1202704A (en) * 1916-08-23 1916-10-24 George B Goff Expansion bolt and plug.
US1808411A (en) * 1928-05-14 1931-06-02 Donald R Hinkston Pipe plug
US2238710A (en) * 1940-07-15 1941-04-15 Harry S Shapiro Adjustable cover
DE814366C (de) * 1949-12-28 1951-09-20 Chemische Werke Huels G M B H Abdichtung
US2942666A (en) * 1956-12-27 1960-06-28 Jersey Prod Res Co Wireline plugging device
US3052302A (en) * 1960-07-25 1962-09-04 Shell Oil Co Tool carrier with by-pass
US3204697A (en) * 1961-05-08 1965-09-07 Cities Service Gas Company Gas well casing test packer
US3473555A (en) * 1967-08-15 1969-10-21 Expando Seal Tool Inc Fluid flow precluding tool
US3537483A (en) * 1967-10-12 1970-11-03 Columbia Gas Syst Retractable pipe plug
US3593749A (en) * 1969-08-04 1971-07-20 Edwin E Reardon Pipeline pig stopper
US3618811A (en) * 1969-09-15 1971-11-09 Harsco Corp Releasable fluid seal or test plug for conduits
US3707758A (en) * 1970-04-16 1973-01-0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Installation for mounting sealing rings and the like, especially for radioactive enclosures
US3722895A (en) * 1970-12-30 1973-03-27 Dravo Corp Sealing device
US3884261A (en) * 1973-11-26 1975-05-20 Frank Clynch Remotely activated valve
FR2349771A1 (fr) * 1976-04-28 1977-11-2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tancheite pour enceinte a vide
US4185806A (en) * 1976-09-01 1980-01-29 Dremann George H Fluid material flow control valve
GB1594935A (en) * 1976-11-01 1981-08-05 Gen Descaling Co Ltd Closure for pipe or pressure vessel and seal therefor
US4285368A (en) * 1977-07-27 1981-08-25 Mueller Co. Pipeline stopper and pipe fitting
CA1141611A (en) * 1979-02-02 1983-02-22 Timothy H. Wentzell Nozzle plug for submersible vessel
US4482076A (en) * 1979-02-02 1984-11-13 Combustion Engineering, Inc. Nozzle plug for submersible vessel
US4291727A (en) * 1979-02-28 1981-09-29 Institute Of Gas Technology Pipeline flow restrictor and process
US4248271A (en) * 1979-06-08 1981-02-03 Burgess James N Locking cap for pipe openings
US4262702A (en) * 1979-12-20 1981-04-21 Halliburton Company Conductor pipe plug
NL178188C (nl) * 1980-10-29 1986-02-03 Petroles Cie Francaise Afsluiter.
US4422477A (en) * 1981-02-27 1983-12-27 Hughes Tool Company Pressure energized pipeline plug
US4349204A (en) * 1981-04-29 1982-09-14 Lynes, Inc. Non-extruding inflatable packer assembly
US4518015A (en) * 1982-02-24 1985-05-21 The Presray Corporation Inflatable plug
US4470946A (en) * 1982-08-30 1984-09-11 Automation Industries, Inc. Removable pipeline plug
FR2532715A1 (fr) * 1982-09-07 1984-03-09 Thome Paul Dispositif d'obturation du circuit primaire de reacteurs nucleaires
US4483457A (en) * 1983-03-31 1984-11-20 Combustion Engineering, Inc. Hinged steam generator nozzle pl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852622B (en) 1985-11-27
JPS60238601A (ja) 1985-11-27
EP0163087A3 (en) 1986-02-12
CA1241245A (en) 1988-08-30
ES542668A0 (es) 1987-03-16
ES8704281A1 (es) 1987-03-16
US4637588A (en) 1987-01-20
EP0163087B1 (en) 1990-06-27
DE3578450D1 (de) 1990-08-02
EP0163087A2 (en) 1985-12-04
KR850007476A (ko) 1985-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0358B1 (ko) 유체 흐름 차단용 노즐댐
EP0175221B1 (en) Dual-seal nozzle dam
US4575185A (en) System for a fiber optic cable for remote inspection of internal structure of a nuclear steam generator
JPS61165070A (ja) 原子炉容器ボトル穴の膨張可能なプラグ
JPS642209B2 (ko)
FI113082B (fi) Laite virtauksen sulkemiseksi putkistossa
US4214760A (en) Seal for adjacent plates
JPS6017966B2 (ja) 原子力原動所、特に加圧水形原子炉の蒸気発生器
KR920011059B1 (ko) 원격 설비 증기 발생기 노즐 댐 시스템
US4682630A (en) High pressure nozzle dam
JPH0593793A (ja) 導管封止装置
US6317477B1 (en) Floating pool seal assembly with leak limiting annular support structure
EP0215294A3 (en) Apparatus for the hydraulic expansion of tubes
US5048570A (en) Multisectioned nozzle dam
US2577292A (en) Shaft seal mechanism
GB2259745A (en) Sealing a conduit end
US4860919A (en) Bi-directional sealed nozzle dam
JPH0447193B2 (ko)
KR840000335B1 (ko) 회전 재생식 열교환기의 신속이탈기구
US4040475A (en) Axially movable sector plate support for rotary regenerative heat exchanger
US4115072A (en) Retractable fluids spraying assembly
SK61094A3 (en) Device for drying inserting of the tube into pressure vessel, mainly into blast furnace
EA028051B1 (ru)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вала, расположенного поперечно в сосуде с жидкостями под давлением или с подвижным гранулированным материалом
RU228518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крытия действующе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CA1253408A (en) Removable shutter for an orifice which is only accessible by means of a narrow pass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