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725B1 - 주화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주화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725B1
KR930011725B1 KR1019870008389A KR870008389A KR930011725B1 KR 930011725 B1 KR930011725 B1 KR 930011725B1 KR 1019870008389 A KR1019870008389 A KR 1019870008389A KR 870008389 A KR870008389 A KR 870008389A KR 930011725 B1 KR930011725 B1 KR 930011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voltage
change
circuit
impe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629A (ko
Inventor
신지 요꼬모리
Original Assignee
후지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나까자또 요시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나까자또 요시히꼬 filed Critical 후지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6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2Testing the dimensions, e.g. thickness, diameter; Testing the deform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화 선별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압 변화를 도시한 설명도.
제3도는 종래예에 있어서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4도는 몇가지 종류의 주화에 대한 임피던스 변화를 도시한 설명도.
제5도는 종래예에 있어서의 전압 변화를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화 2 : 주화 통로
3 : 발진기 4, 4' : 차동 증폭 회로
5, 5' : 정류회로 6, 6' : 비교 회로
7a~7c, 7a'~7c', 8a~8c' : AND회로
본 발명은 주화의 진위를 판정하는 주화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화 선별 장치로서 주화 통로에 코일 센서를 설치하고, 주화가 통과할때의 코일 센서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여 주화의 진위를 판정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제3도는 종래의 이런 종류의 주화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선별 회로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다.
제3도에 있어서, 코일 센서(L1)와 고정 코일(L2) 및 2개의 저항(R)으로 브릿지 회로를 구성하며, 발진기(3)로부터 주화 선별에 적합한 주파수의 정현파가 공급되고 있다.
코일(L2)의 값은 코일 센서(L1)에 주화가 없을때의 값이 되며, 주화가 코일 센서(L1)에 없을 때 전압 V1- 전압 V2는 0으로 된다. 전압 V1- 전압 V2의 전압차는 차동 증폭 회로(4), 정류 회로(5)를 통하여 비교 회로(6)에 입력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주화(1)가 코일 센서(L1)를 통과할때의 임피던스 변화를 제4도에 도시한다.
제4도에 있어서, 주화(1)가 코일 센서(L1)에 없을때가 0점, 주화 A, B, C를 투입한때의 최대 변화점은 각각 A, B, C점을 나타낸다. 또한, 이 주화 A, B, C는 각각 외경, 재질, 두께등이 다르다. 또, A'는 위조 주화의 최대 변화점을 도시한다. 다음에, 주화 A, B, C를 투입한때의 정류 회로(5)의 출력 전압 V3의 변화는 제5도에 도시한다. 이 전압 V3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가 어떤가 비교 회로(6), AND회로(7)에서 주화(1)의 판정을 행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주화 선별 회로에서는, 예들 들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조 주화의 최대 변화점 A'가 진짜 주화의 최대 변화점 A에 위치하는 때는 0점으로부터의 임피던스차가 거의 같은 값이 되기 때문에 주화 A와 위조 주화 A'는 구별이 되지 않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을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고정밀도의 진위 식별을 행할 수 있는 주화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화의 통과에 의해,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수단과, 그 임피던스의 변화를 제1전압 변화로서 검출하는 제1검출 수단과, 제1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제1 전압 변화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가 없는가를 비교 판정하는 제1비교 판정 수단과, 상기 임피던스의 변화를 제2전압 변화로서 검출 수단과, 제2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제2전압 변화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가 없는가를 비교하는 제2비교 수단과, 제1비교 수단 및 제2비교 수단에 의한 비교의 결과 제1 및 제2전압 변화가 함께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때에 주화가 진짜 주화라고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화의 통과에 의한 임피던스 변화 수단의 임피던스의 변화를 제1 및 제2검출 수단에 의해 제 1 및 제2 전압 변화로써 구해 각각의 전압 변화를 소정의 기준치와 비교하고, 각각의 전압 변화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때의 판정수단에 의해, 통과한 주화가 진짜 주화하고 판정하도록 하였으므로, 보다 높은 식별 성능이 얻어진다.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다.
제1브릿지 회로는, 코일 센서(L1), 고정 코일(L2), 저항(R1, R2)으로 구성되고, 제2브릿지 회로를 코일 센서(L1), 고정 코일(L2') 및 저항(R1, R2')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 브릿지 회로에는 발진기(3)에 의해 정현파가 공급되고 있다,
코일(L2)의 값은 코일 센서(L1)에 주화가 없을때의 값, 즉 제4도에 있어서의 0점에 상당하는 값으로 설정하며, 코일(L2')의 값은 코일(L2)보다 아래의 값, 즉 제4도에서 0'점에 상당하는 값으로 한다. 전압차(V1-V2)는 차동 증폭 회로(4)를 통과하고, 정류 회로(5)를 통하여 전압 V3로 되어 비교회로(6)에 입력하며, 소정의 전압 범위, 즉 주화 A의 경우 VA+VA-, 주화 B의 경우 VB+, VB-주화 C의 VC+, VC-와 비교된다.
제2브릿지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V1-V2')은 차동 증폭회로(4)를 통과하며, 정류 회로(5)를 통하여 전압 V3'로 되어 비교 회로(6)에 입력하고, 소정의 전압 범위(주화 A의 경우 VA+, VA-, 주화 B의 경우 VB+, VB-,주화 C의 경우 VC+, VC-)와 비교된다. 주화 A 및 위조 주화 A'를 투입한때의 V3'의 전압 변화를 제2도에 도시한다.
제2도에 있어서, 주화 A와 주화 A'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0'로부터의 거리가 다르므로, 전압 V3'의 최대치는 다르다. 이때문에, 주화 A는 최대치가 VA+와 VA-의 사이가 되고 AND회로(7A')의 출력은 "1"이 된다.
위조 주화 A'는 이 범위로 되지 않으며, AND회호(7A')의 출력은 "1"이 되지 않는다. 이것은 제1브릿지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진짜 주화일때의 출력 전압과 거의 같더라도, 위조 주화에 있어서의 제2브릿지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은 진짜 주화일때의 전압 변화보다 크게 되기 때문이다. 또, 이 역도 일어나지만, 이들 AND회로(7A, 7A')의 출력을 입력하는 AND회로(8A)의 출력에 의해, 이러한 종류의 위조 주화를 진짜 주화의 확실히 구별할 수 있고, 선별 정밀도를 높일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주화의 영향에 의한 코일 센서의 임피던스 변화치를 두 종류의 전압 변화치로 하여 검출하고, 검출한 전압치의 각각이 소정의 번위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주화 검출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주화의 통로(2)를 통과하는 주화의 특성에 따라서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코일 센서(L1)와, 그 임피던스의 변화를 제1전압 변화(V3)로서 검출하는 제1검출 수단(L2, R1, R2, 4, 5)과, 상기 제1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제1전압 변화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지를 여부를 비교 판정하는 제1비교 판정 수단(6, 7A~7C)과, 상기 임피던스의 변화를 제2전압 변화(V3')로서 검출하는 제2검출 수단(L2', R1', R2', 4', 5')과, 상기 제2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제2전압 변화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가 여부를 비교 판정하는 제2비교 판정 수단(6', 7A'~7C')과, 상기 제1비교 판정 수단 및 제2비교 판정 수단에 의한 비교 판정의 결과, 상기 제1 및 제2전압 변화가 함께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 때에 상기 주화가 진짜 주화라고 판정하는 판정 수단(8A~8C)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선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검출 수단은 각각 제1 및 제2브릿지 회로(L1, L2, R1, R2; L1, L2', R1, R2')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선별 장치.
KR1019870008389A 1986-11-27 1987-07-31 주화 선별장치 KR930011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80830 1986-11-27
JP61280830A JPH0668789B2 (ja) 1986-11-27 1986-11-27 硬貨選別装置
JP86-280830 1986-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629A KR880006629A (ko) 1988-07-23
KR930011725B1 true KR930011725B1 (ko) 1993-12-18

Family

ID=1763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389A KR930011725B1 (ko) 1986-11-27 1987-07-31 주화 선별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668789B2 (ko)
KR (1) KR930011725B1 (ko)
AU (1) AU595942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656Y2 (ko) * 1986-12-01 1992-03-10
JPH01226093A (ja) * 1988-03-07 1989-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硬貨判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8594A (ja) * 1982-09-28 1984-04-04 富士電機株式会社 硬貨選別装置
JPS5958595A (ja) * 1982-09-28 1984-04-04 富士電機株式会社 硬貨選別装置
JPH049656Y2 (ko) * 1986-12-01 1992-03-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629A (ko) 1988-07-23
AU7994287A (en) 1988-06-09
AU595942B2 (en) 1990-04-12
JPS63136188A (ja) 1988-06-08
JPH0668789B2 (ja) 1994-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1798A (en) Coin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US52131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coins
US4091908A (en) Coin checking device for a vending machine
WO1993022747A1 (en) Coin validator
US4206775A (en) Coin sorting machine
US4579217A (en) Electronic coin validator
US61738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alidating coins
US4275806A (en) Coin sorting machine
KR930011725B1 (ko) 주화 선별장치
KR920002856B1 (ko) 경화판별장치
CA2184147C (en) Coin detectio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US53419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coins
KR100194748B1 (ko) 지폐류식별장치
US5480019A (en) Coin-distinguish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4431014A (en) Coin sorting machine
JPH05233914A (ja) 硬貨選別装置
JPS5856155B2 (ja) 硬貨選別装置
KR920005340B1 (ko) 자동판매기의 경화 선별 장치
KR940007865Y1 (ko) 주화선별장치
EP06033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COINS.
KR970000249B1 (ko) 경화 선별 장치
JPH07302363A (ja) 硬貨選別機
JPH05233915A (ja) 硬貨選別装置
JPH06231334A (ja) 硬貨選別処理装置における硬貨通路開放検知装置
JPS61250567A (ja) 入力信号試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