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865Y1 - 주화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주화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865Y1
KR940007865Y1 KR2019910018024U KR910018024U KR940007865Y1 KR 940007865 Y1 KR940007865 Y1 KR 940007865Y1 KR 2019910018024 U KR2019910018024 U KR 2019910018024U KR 910018024 U KR910018024 U KR 910018024U KR 940007865 Y1 KR940007865 Y1 KR 940007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il
detection
phase connection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8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454U (ko
Inventor
유동찬
Original Assignee
유동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동찬 filed Critical 유동찬
Priority to KR20199100180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865Y1/ko
Publication of KR9300094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4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8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8Testing the magnetic or electric propert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2Testing the dimensions, e.g. thickness, diameter; Testing the de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화선별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주화 선별장치의 요부개략도.
제 2a, b도는 본고안의 재질 및 두께 겸용코일 구성도 및 직경 검출 코일 구성도.
제 3a, b도는 제 2a, b도는 각각의 검출회로에 의해 A/D변환기 입력단자에 나타난 일예의 출력전압 파형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 5 도는 본고안에 있어서 주화의 판별 프로그램 흐름도.
본 고안은 공중전화기, 자동판매기등에 사용되는 주화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화의 재질 및 두께겸용 검출코일 1쌍으로 하되 동상 및 역상으로 접속하여 주화통로에 배치시켜 주화 검출시간의 단축은 물론 주화검출의 정확도를 높이고, 주화 선별장치의 소형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 주화 선별장치에 있어서는 주화통로에 3개의 검출코일을 두어 외형, 두께, 재질을 검사케하며, 이들 검사 요소마다에 각각 독립된 복수의 발진회로를 구성케하여 주화의 외형, 두께, 재질에 대해 각각 선별토록하여 왔으나, 이 경우에는 주화통로에 3개의 검출코일이 코아에 권취된 상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되므로, 검출코일의 구성 배치상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 주화 선별장치 전체의 크기가 대형화되는 결점이 지적되며, 주화의 검출에 있어서도 외형을 검출한 다음 두께를 검출하고, 두께를 검출한 다음 재질을 검출하는 검출순서를 밟기 때문에 주화의 검출시간이 길어 전체적 동작시간에 길게 됨과 동시에, 각 검출 요소마다에 독립된 복수의 발진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복잡한 회로구성을 가지게 되는등의 결점이 지적된다.
본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나의 코아에 동상 및 역상으로 접속시킨 두께 및 재질 겸용 검출코일을 주화통로에 배치하여 보다 신속하게 주화의 검출을 행하게 하고, 간단한 회로구성 및 주화 선별장치의 소형화를 가져올 수 있게 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주화 선별장치(1)내에 주화통로(2)에 직경 검출용코일(3)이 배치되는 것에 있어서, 하나의 코아(4A)에 동상접속코일(4B) 및 역상접속코일(4C)을 1쌍으로하여 접속시킨 재질 및 두께 겸용 검출코일(4)을 직경 검출용코일(3) 일측의 주화통로(2)에 대향 배치케하고, 역상접속코일(4C) 및 동상접속코일(4B)의 일측 각각을 마이크로 컴퓨터(PC)와 연결된 선택스위치부(S)를 연결한 다음, 동상접속코일(4B)과 역상접속코일(4C)이 공동 접속된 일측에 발진회로부(5)를 연결하고, 발진회로부(5)출력단에 주파수 레벨 변환기(6) 및 증폭기(7)와 정류회로(8)를 각각 연결하되, 주파수 레벨 변환기(6) 출력측은 마이크로 컴퓨터(PC)로 정류회로(8) 출력측은 A/D변환기(9)를 거쳐 마이크로 컴퓨터(PC)로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일방, 직경 검출용코일(3)은 별도의 공진회로(10)와 증폭기(11) 및 정류회로(12)를 거쳐 상기 A/D변환기(9)측으로 연결시켜서 구성시킨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발진회로부(5)는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측에 저항(R1)을 연결하고, 이에 병렬로 다이오드(D1), 저항(R2) 및 콘덴서(C1)를 접속하며, 트랜지스터(Q)의 에미터측에 저항(R3)을 콜렉터측에는 콘덴서(C2) (C3)를 직렬 접속시켜서 구성되어 있으며, 공진회로(10)은 콘덴서(C4)와 직경 검출용 코일(3)을 직렬 접속 구성시켰다. 또한 정류회로(8) (12)는 다이오드(D2) (D3)와 저항(R7) (R8) 및 콘덴서(C6) (C7)를 연결하고, 저항(R9) (R10)과 콘덴서(C8) (C9)를 직병렬 접속시킨 것이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서의 13은 주화토입구, 14는 주화통로상의 경사판, 15는 게이트, 16은 실 주화통로, 17은 위조 주화통로, 18은 주화통로 양측벽, G는 주화이다.
상기 주화통로상의 경사판(14)은 그 경사각을 임으로 조절 가능하게 할 때 주화의 주행속도가 조절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주화토입구(13)에 투입주화(G)가 투입되어 재질 및 두께 겸용 검출코일(4)에 접근되면 재질 및 두께 겸용 검출코일(4)은 마이크로 컴퓨터(PC)의 지정된 모드(예 : 모드A = 역상접속측)에 의한 신호에 의하여 선택스위치부(S)가 상기 검출코일(4)의 역상 접속코일(4C)측으로 접속되어 발진회로부(5)의 트랜지스터(Q)의 콜렉터측에 신호가 인가되는데 이때 검출코일(4)과 콘덴서에 의한 LC공진회로 특성은 주화(G)의 도전도, 투자율등에 의해 변환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의 콜렉터 전압 및 발진주파수 변화로서 나타나게 되고, 발진회로부(5)의 발진 주파수는 주파수 레벨 변환기(6) 및 증폭기(7)와 정류회로(8)에 각각 입력되어 주파수 레벨 변환기(6)측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마이크로 컴퓨터(pc)에 입력되어 일정 시간 동안 주파수 분 즉, 펄스 숫자를 세어 투입된 주화(G)의 재질 및 두께를 분석하게 되며, 증폭기(7)와 정류회로(8)를 거친 검출 직류전압은 A/D변환기(9)를 거쳐 마이크로 컴퓨터(PC)에 입력되어 마이크로 컴퓨터(PC)내의 ROM 또는 RAM에 기 메모리 데이터와 투입된 주화(G)의 재질 및 두께를 판별하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비교케 하므로써 투입된 주화(G)의 재질 및 두께 검출전압 파형은 제 3 도(a)에 도시한 예시와 같이 투입주화(G)가 검출코일(4)를 통과했을때 A/D변환기(9) 입력단자에 나타나게 된다. (제 3 도 (a)의 "VA" 참조)
이와같은 상태에서 마이크로 컴퓨터(PC)로부터 재차 지정된 모드(예 : 모드 B=동상접속측) 신호가 선택스위치부(S)측으로 입력되면 선택스위치부(S) 접점은 검출코일(4)의 동상접속코일(4B)측으로 접속되어 상기 역상접속코일(4C)측으로 접속된 작용과 동일하게 동상접속코일(4B)에 의해 검출된 주파수 성분을 분석케 함과 동시에 마이크로 컴퓨터(9)내의 기 메모리된 데이터와 비교케하여 투입된 주화(G)의 재질을 판별케 되는 것이다.(제 3 도(a)의 "VB"참조)
상기에 있어서, 역상접속코일(4C)에 의한 검출신호 및 동상접속코일(4B)에 의한 검출신호는 주화(G)의 종류에 따라 자속이 변화하게 되는 것이며, 즉, 자속이 주화에로의 침투정도에 따라 도전도의 차이, 주화 내부의 전류등에 의해 발진회로부(5)의 공진회로에 의해 결정되는 발진주파수를 적당한 값으로 정하여 역상접속코일(4C)에 의한 검출신호는 주화(G)의 재질 및 두께에 적합하도록 하고, 동상접속코일(4B)에 의한 검출신호는 주화(G)의 재질에 접합하도록 하는 것이며, 마이크로 컴퓨터(PC)에 의한 모드지정은 역상접속코일(4C)측을 먼저 지정하여 검출하여도 되고, 동상 접속코일(4B)측을 먼저 지정하여 검출하여도 무방하는데, 이는 주화선별에 있어서 최대한 불필요한 동작을 억제하여 보다 신속한 주화검출츨 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PC)의 모드지정에 의해 재질 및 두께 겸용 검출코일(4)을 통한 주화(G)는 검출코일(4)의 역상접속 및 동상접속에 의한 검출 즉, 주어진 시간동안 주화(G)의 재질 및 두께 또한 재질을 검출하여 판별케 하므로써 투입된 주화(G)의 재질을 적어도 1번이상 판별케하여 주화선별의 정확도를 높일수 있게 되는 것이며, 특히, 투입된 주화(G)를 검출하여 발진회로부(5)로부터 출력되는 발진주파수를 분석하여 일정 시간동안 펄스를 카운팅하게 하므로써 검출코일(4)의 검출전압 이외에 펄스 카운팅에 의해서도 투입된 주화(G)의 재질 및 두께를 판별케하여 주화선별의 정밀도를 더욱 높이게 할 수 있다.
한편, 재질 및 두께 겸용 검출코일(4)을 지난 주화(G)는 직경검출코일(3)을 지나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주화(G)의 크기 및 투자율등에 의해 공진회로(10)의 공진전압이 변화되어 증폭기(11)에 의해 증폭되고, 증폭된 전압은 정류회로(12)에 의해 정류되어 A/D변환기(9) 측으로 입력 즉, 제 3b 도에 도시한 예시와 같이 투입주화(G)가 검출코일(3)을 통과한 예시의 전압파형이 입력되게 된다.(제 3b 도의 "VC"참조) A/D변환기(9)의 디지탈 출력신호는 마이크로 컴퓨터(PC)의 ROM 또는 RAM에 기록된 주화 데이터와 비교되어 판별하게 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투입된 주화(G)의 재질, 두께 및 직경에 관련된 검출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PC)에서 판별하여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검출결과 데이타를 출력시켜 위조 주화인 경우에는 위조 주화통로(17)측으로, 실 주화인 경우에는 실주화통로(16)측으로 주화를 반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하나의 코아에 검출코일을 동상 및 역상으로 접속시킨 한쌍의 검출코일을 주화통로에 배치케 하므로써, 주어진 시간 즉, 주화가 재질 및 두께 겸용 검출코일을 통과하는 동안 주화의 재질 및 두께검출을 행하므로써, 검출면적을 적게하여 선별장치의 소형화를 가져오며 또한, 검출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재질검출을 적어도 1번이상 검출케 함과 동시에 펄스 카운팅에 의해 주화의 재질 및 두께를 검출하여 판별케 하므로써 검출신뢰성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또한 검출코일을 동상 및 역상으로 접속시켜 한쌍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예로써 역상접속코일측에 의해 검출된 데이타가 마이크로 컴퓨터의 ROM 또는 RAM에 기록된 주화 데이타와 비교되어 필요한 데이타가 추출된다면 동상접속코일측에 의해 검출된 데이타는 불필요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데이타의 추돌동작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어 작용의 간단성을 제공할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주화선별장치(1)내의 주화통로(2)에 직경검출용 코일(3)이 배치되는 것에 있어서, 하나의 코아(4A)에 동상접속코일(4B) 및 역상접속코일(4C)을 1쌍으로 하여 접속시킨 재질 및 두께 겸용 검출 코일(4)을 직경 검출코일(3) 일측의 주화통로(2)에 대행 배치케하고, 역상접속코일(4C) 및 동상접속코일(4B)의 일측 각각을 마이크로 컴퓨터(PC)와 연결된 선택스위치부(S)를 연결한 다음, 동상접속코일(4B)과 역상 접속코일(4C)이 공통 접속된 일측에 발진회로부(5)를 연결하고, 발진회로부(5) 출력단에 주파수 레벨 변환기(6) 및 증폭기(7)와 정류회로(8)를 각각 연결하되, 주파수 레벨 변환기(6) 출력측은 마이크로 컴퓨터(PC)로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선별장치.
KR2019910018024U 1991-10-28 1991-10-28 주화선별장치 KR9400078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8024U KR940007865Y1 (ko) 1991-10-28 1991-10-28 주화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8024U KR940007865Y1 (ko) 1991-10-28 1991-10-28 주화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454U KR930009454U (ko) 1993-05-26
KR940007865Y1 true KR940007865Y1 (ko) 1994-10-24

Family

ID=19321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8024U KR940007865Y1 (ko) 1991-10-28 1991-10-28 주화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8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959B1 (ko) * 2018-04-30 2019-02-12 한국씨엠이엔지(주) 교량용 터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959B1 (ko) * 2018-04-30 2019-02-12 한국씨엠이엔지(주) 교량용 터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454U (ko) 199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5154A (en) Coin selection apparatus
US4488116A (en) Inductive coin sensor for measuring more than one parameter of a moving coin
US3901368A (en) Coin acceptor/rejector
US4601380A (en) Apparatus for checking the validity of coins
US49711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coins utilizing coin-derived signals containing different harmonic components
US557309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metallic tokens and coins
GB2143663A (en) Checking coins
JPH0786939B2 (ja) 硬貨識別装置
US6640955B1 (en) Coin inspection method and device
US5191956A (en) Electronic method and circuit for analyzing analog signals
US4275806A (en) Coin sorting machine
KR940007865Y1 (ko) 주화선별장치
EP1125256B1 (en) Improved sensor for coin acceptor
KR950007840Y1 (ko) 주화 선별장치
RU218642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рки подлинности монет, жетонов и других плоских металлических предметов
KR930011725B1 (ko) 주화 선별장치
JPS5838446Y2 (ja) 貨幣選別装置
JP3168737B2 (ja) 硬貨選別装置
JPS6226065B2 (ko)
KR960009518B1 (ko) 주화선택장치
JPH0115113B2 (ko)
JPS61262992A (ja) 硬貨選別装置
JPH05233914A (ja) 硬貨選別装置
JPS61262990A (ja) 硬貨選別装置
JP2538288B2 (ja) 硬貨選別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