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046B1 - 전자제어연료 분사엔진의 가속시 연료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제어연료 분사엔진의 가속시 연료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046B1
KR930011046B1 KR1019890000883A KR890000883A KR930011046B1 KR 930011046 B1 KR930011046 B1 KR 930011046B1 KR 1019890000883 A KR1019890000883 A KR 1019890000883A KR 890000883 A KR890000883 A KR 890000883A KR 930011046 B1 KR930011046 B1 KR 930011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fuel
determined
engine
intake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0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980A (ko
Inventor
히로가쯔 후지다
기미도 가시와바라
요시아끼 간노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무라 켄조
미쯔미시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시키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무라 켄조, 미쯔미시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시키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90000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1046B1/ko
Publication of KR900011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제어연료 분사엔진의 가속시 연료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전자제어연료 분사엔진의 가속시 연료제어방법에 관한 크랭크 각신호, 공기량, 드로틀센서 출력전압, 정규분사, 비동기 분사등의 관계를 표시한 타이밍도.
제2도는 본 발명 방법을 실시하는 연료공급 제어장치의 개략도.
제3도는 종래의 전자제어연료 분사엔진의 가속시 연료제어 방법에 관한 크랭크 각신호, 공기량, 드로틀센서 출력전압, 정규분사, 비동기분사등의 관계를 표시한 타이밍도.
제4도는 기통판별기간 및 해당기통의 흡기밸브가 열려있는 기간을 표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다기통내연엔진 12 : 흡기관
13 : 에어클리이너 14 : 에어플로우센서
16 : 전자제어장치(ECU) 16a, 16b : 메모리
16c, 16d : 계수타이머 18 : 드로틀 밸브
19 : 드로틀센서(θt) 20 : 분사밸브
22 : 크랭크 각도위치센서( N) 24 : 센서
본 발명은 전자제어분사 엔진이 가속시 연료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기통 내연엔진의 각 흡기밸브의 바로 상류에 전자연료 분사 밸브를 각각 설치하고, 각기통의 소정의 크랭크 각도위치의 검출신호 발생시마다, 예를 들면 공기류량, 흡기관내 압력등의 엔진부하를 표시하는 파라미터치와 엔진회전수에 기초해서 연료량을 연산하고, 연산한 연료량을 해당기통에 분사, 공급하는 연료공급 방법은 널리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연료공급제어방법에 있어서, 연료를 각 기통에 분사, 공급하는 타이밍은, 저속운전시의 미연(未燃) 탄화수소의 배출량을 극력 억제하기 위하여 흡기공정이 개시되는 것보다 매우 빠른시점, 예를 들면 흡기공정 상사점전(上死点戰) 75
Figure kpo00001
CA에서 개시되고 있다. 그런데, 예를 들면 연료분사한 시점에서 엔진이 아이들 상태이고, 그후 흡기공정이 개시되기 전에 드로틀 밸브를 완전개방 상태로해서 엔진을 급가속하도록 하는 경우에, 해당 기통에는 드로틀 완전개방시의 공기가 공급되는데 대해서 연료는 아이들 운전에 필요한 양밖에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연료가 부족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연료분사 타이밍은 흡기공정중에서나 이것에 될 수 있는한 가까운 시점에서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료량의 연산에 필요한 엔진회전수의 검출에는, 예를 들면 소정의 크랭크 각도위치의 검출신호 발생시간 간격을 측정해서 행하기 때문에, 엔진회전수의 검출에는 검출지연이 수반된다. 또, 엔진부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치, 예를 들면 카르만 소용돌이 방식의 에어플로우 센서에 의한 공기류량의 검출도 그 검출기간으로서 적어도 상기 크랭크 각도위치 신호발생시간 간격의 기간은 필요하고, 흡기의 맥동(脈動)에 의한 측정오차를 배제하기 위하여 각 크랭크 각도위치 발생시의 측정치를 순차적으로 평균한 것을 공기류량 검출 치로하기 때문에, 순간의 공기류량의 검출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카르만 소용돌이 방식의 에어플로우 센서에 의해 얻게된 공기류량 검출치를 연료량의 연산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흡기공정중에 드로틀 밸브가 완전 개방 상태가 되어 엔진이 급가속되었을 경우에는, 흡기량의 검출지연 때문에 그 흡기 공정에 있는 기통에는 아이들상태에서 필요한 연료량밖에 공급할 수 없다. 따라서, 흡기량의 검출지연을 수반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카르만 소용돌이 방식의 에어플로우 센서등을 사용하는 한도에서는, 흡기공정중에 드로틀 밸브가 완전개방 상태가 되어 엔진이 급가속된 경우에는, 드로틀 밸브가 완전개방되므로 인한 흡입공기량의 증대에 대해서 필요한 연료량의 증가를 그 흡기공정중에 있는 기통에 분사할 수는 없었다.
그런데, 급가속시에 필요한 연료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의 제어장치가 드로틀 개방도를 엔진회전수에 동기(同期)하지 않는, 예를 들면, 10㎳ 마다의 샘플링시간 Ts마다 드로틀 개방도 변화량 △θ을 검출하고, 드로틀 개방도 변화량 △θ이 소정치보다 클때, 운전자가 차량을 가속코져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드로틀 개방도 변화량 △θ에 대응한 추가가속연료량을 엔진의 회전에 동기하지 않는 상기 샘플링시간 Ts에 동기해서, 그때 흡기공정에 있는 기통 및 배기공정중에 있는 기통에 비동기 분사하고 있었다. 즉, 샘플링시간 Ts마다 비동기분사를 행하는지 아닌지의 판정을 행하고, 비동기분사를 행해야 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사점전 75
Figure kpo00002
(이하 BTDC 75
Figure kpo00003
라고함)에서 흡기공정에 있다고 판정된 기통 및 그때 배기공정에 있는 기통에 대해서 비동기분사가 행하여지고 있었다.
지금, 예를 들면 4기통 MPI(멀티.포인트.인젝션) 엔진을 가상하고, #1기통→#3기통→$4기통→#2기통의 순서로 연료분사가 각기통마다 행하여지고, 그 순번에서 점화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엔진에 있어서는,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크랭크 각센서로부터 각 기통의 BTDC 75
Figure kpo00004
에서 올라가고, BTDC 5
Figure kpo00005
에서 내려가는 크랭크 각신호(이하, CA신호라고 함)외에, 기통판별을 행하기 위해서 특정의 기통(예를 들면, #4기통)이 흡기공정의 상사점에 오면 TDC 신호가 출력된다. 즉, 상기 TDC 신호로부터의 BTDC 75
Figure kpo00006
신호의 올라가는 것을 계수하므로서, 그 BTDC 75
Figure kpo00007
가 어느 기통에 대응하는 것인가를 판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서, BTDC 75
Figure kpo00008
신호가 올라가는 180
Figure kpo00009
CA마다 기통판별, 예를 들면 흡기공정인 기통의 판별을 행하고 있다. 즉, BTDC 75
Figure kpo00010
신호의 올라가는 것으로 흡기공정이라고 판별된 기통은 180
Figure kpo00011
CA뒤에 얻게되는 다음 BTDC 75
Figure kpo00012
신호가 올라갈때까지는 흡기 공정이라고 판정되게 된다.
다음에, 상기 기통판별과 그 기통판별에 의해 흡기공정이라고 판별된 기통의 흡기밸브가 실제 열려있는 기간에 대해서 제4도에 사용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통판별은 #1→#3→#4→#2기통의 BTDC 75
Figure kpo00013
마다 180
Figure kpo00014
CA마다 경신되어 간다. 예를 들면, #4기통의 BTDC 75
Figure kpo00015
신호로부터 #2기통의 BTDC 75
Figure kpo00016
신호가 얻게되는 과정을 일예로 설명한다. 이 과정에 있어서, #4기통의 BTDC 75
Figure kpo00017
신호가 얻게되는 시각 t1에서 #2기통의 BTDC 75
Figure kpo00018
신호를 얻게되는 시각 t2까지의 기간 A는 #4기통이 흡기공정에 있다고 판정되어 있다. 여기서, 실제로#4기통의 흡기밸브가 열려있는 것은 #4기통의 BTDC 20
Figure kpo00019
로부터 #2기통의 상사점후50℃(이하, ATDC 50
Figure kpo00020
라고 함)의 기간 B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비동기분사를 행할 것인지 아닌지의 판정이 샘플링시간 Ts마다 행하여지고, 그 결과 비동기분사를 행한다는 판정이 #2기통의 BTDC 75
Figure kpo00021
(#4 ATDC 105
Figure kpo00022
)까지 행하여졌을 경우에는 흡기공정에 있는 #4기통 및 배기공정에 있는 #2기통에 비동기분사할 수가 있다.
여기서, 아이들링상태(예를 들면, 700rpm)에 있어서, 10㎳의 샘플링시간중에, 크랭크축은 40
Figure kpo00023
CA정도 회전한다. 예를 들면 #4기통의 흡기공정에 있는 경우에, #4기통이 흡기공정에 있다는 판정이 종료하는 #4기통의 ATDC 105
Figure kpo00024
로부터 40
Figure kpo00025
CA이상진(즉, #4기응의 ATDC 65
Figure kpo00026
이전), 예를 들면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4기통의 상사점후 40
Figure kpo00027
(#4 ATDC 40
Figure kpo00028
)의 타이밍에서 드로틀 밸브를 전개방해서 가속을 행한 경우에는 #4 ATDC 40
Figure kpo00029
로부터 다음 차례의 기통판별이 행하여지는 #4 ATDC105
Figure kpo00030
(#2 BTDC 75
Figure kpo00031
)까지에 10㎳ 이상의 시간이 있다. 이 때문에, 10㎳의 드로틀 개방도변화량 △θ이 소정치 이상인가의 판정은 #4 ATDC 105
Figure kpo00032
까지 행하여진다. 그리고, 이 판정에서 상기 드로틀 개방도 변화량 △θ이 소정치 이상이라고 판정되면 그 시점에서 흡기공정에 있다고 판정되어 있는 #4기통 및 배기공정에 있는 #2기통에 비동기분사 S4a, S2a가 행하여진다. 이 때문에, #4기통의 흡입공기량 Al에 대해서 적정한 연료량이 공급된다.
그러나, #4 ATDC 65
Figure kpo00033
이후, 예를 들면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4 ATDC 85
Figure kpo00034
의 타이밍에서 드로틀 밸브를 완전개방했을 경우에는, #4 ATDC 85
Figure kpo00035
로부터 기통판정이 행하여지는 #4 ATDC 105
Figure kpo00036
까지의 시간이 10㎳ 이하가 된다. 이 때문에, 10㎳의 드로틀 밸브 개방도변화량 △θ이 소정치 이상인가의 판정은 #4 ATDC 105
Figure kpo00037
이후에 행하여진다. 가령, 그 드로틀 밸브개방도 변화량 △θ이 소정치이상이라고 검출되어도, #4 ARDC 105
Figure kpo00038
를 초과하면 비동기분사하는 기통은 #4기통으로 #2기통으로 전환되어 있기 때문에, #4기통에는 비동기분사는 행하여지지 않고, 이로부터 흡기 공정이 되는 #2기통 및 배기공정이 되는 #1기통에 비동기 분사가 행하여진다.
따라서, #4기통의 ATDC 65
Figure kpo00039
이전에 드로틀 밸브가 아이들상태로부터 완전개방으로된 경우에는 흡기공정에 있는 #4기통 및 배기공정에 있는 #2기통에 비동기 분사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4기통의 ATDC 65
Figure kpo00040
이후에 드로틀 밸브가 아이들상태로부터 완전개방으로 했을 경우에는, 흡기공정에 있는 #4기통 및 배기공정에 있는 #2기통에 비동기 분사할 수는 없다. 즉, #4기통의 ATDC 65
Figure kpo00041
이후에 드로틀 밸브가 아이들상태로부터 완전개방으로 했을 경우에는, #4기통에는 정규의 분사 S4만에 의해 연료가 공급되게 된다. 이 때문에, #4기통의 공기량중량 A2에 대한 적정한 연료보정이 행하여 지지않기 때문에, 공연비(空然比) A/F가 극단적으로 희박해져서, 리인스파이크가 생겨서, T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토오크다운이 발생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비동기 분사를 행하는 기통의 판별을 흡기공정의 기통의 상사점 근방마다 전환하고, 샘플링시간 Ts마다 드로틀 개방도 변화량 △θ이 소정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상사점 근방에 있어서 흡기공정이라고 판정된 기통 및 대응하는 배기공정의 기통에 비동기분사하므로서, 비동기분사를 흡기공정중 및 배기공정중에 있는 기통에 분사할 수 있는 기회를 증가시켜서, 가속시의 엔진출력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제어 연료분사 엔진의 가속시 연료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기통내연 엔진의 각기통의 소정크랭크 각도위치 신호의 발생마다 흡기공정에 있는 기통을 판별하고, 엔진의 부하를 표시하는 파라미터치와 엔진회전수에 기초한 제1의 수법에 의해 연산한 제1의 연료량을 해당 흡기공정이라고 판정된 기통에 분사, 공급하는 연료공급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소정크랭크 각도위치 신호보다 상사점 근방의 제2의 크랭크 각도위치 신호마다 비동기 분사를 행하는 흡기공정에 있는 기통을 판별하고, 소정시간마다 드로틀 개방도를 검출하므로서, 드로틀 개방도 변화량을 산출하고, 이 변화량이 소정치 이상이라고 판정했을때, 이 변화량에 대응하는 제2의 연료량을 제2의 크랭크 각도위치 신호로 흡기공정이라고 판정된 기통 및 그 기통에 대응하는 배기공정의 기통에 분사, 공급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연료분사 엔진의 가속시 연료제어 방법을 얻게 된다.
본 발명의 전자제어 연료분사 엔진의 가속시 연료제어 방법에 의하면, MPI(멀티.포인트.인적션) 기관에 있어서의 가속초기연료 보정인 비동기 분사를 흡기공정중 및 배기공정중에 분사하는 기회를 증가시켜서, 순간의 공기량 변화에 대해서 적정한 연료보정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2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 방법을 실시하는 연료공급 제어장치의 개략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11)은 다기통 내연젠인, 예를 들면 4기통의 엔진을 표시하고, (12)는 각 기통의 흡기포오트에 접속되는 흡기관을 표시하고 있다. 흡기관(12)의 대기쪽 단부에는 에어클리이너(13)가 장착됨과 동시에, 카르만 소용돌이식의 에어플로우센서(14)가 장착되어 있다. 에어플로우센서(14)는 전자제어장치(ECU)(16)의 입력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카르만 사용돌이 발생주기 신호를 상기 전자 제어장치(16)에 공급하고 있다. 또, 상기 흡기관(12)이 도중에는 드로틀 밸브(18)가 설치된다. 상기 드로틀 밸브(18)와 각 기통의 흡기밸브(도시않음)와의 사이에는, 각 흡기밸브의 바로 상류에 분사밸트(20)가 각각 설치된다. 각 분사밸브(20)은 전자제어장치(16)에 접속되어 전자제어장치(16)으로부터의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전자제어장치(16)의 입력쪽에는 상기 드로틀 밸브(18)의 밸브개방도를 검출하는 드로틀센서(θt)(19), 각 기통의 소정크랭크 각도위치, 예를 들면, 흡기행정의 상사점위치를 검출하는 크랭크 각도위치센서(N)(22), 및 엔진수온, 대기압등의 다른 엔진운전 파라미터치를 검출하는 센서(24)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 각도위치센서(22)는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각 기통의 BTDC 75
Figure kpo00042
에서 올라가고, BTDC 5
Figure kpo00043
에서 내려가는 크랭크각(CA)신호 및 기통판별을 행하기 위하여 특정의 기통(예를 들면, #4기통)이 흡기공정의 상사점에 왔을때 TDC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전자제어장치(16)는 상기 BTDC 75
Figure kpo00044
신호의 BTDC 75
Figure kpo00045
신호를 검출할때마다, 상기 TDC 신호를 참고해서 정규분사하는 기통데이터가 기억되는 메모리(16a)의 기통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경신하고, BTDC 5
Figure kpo00046
신호를 검출할때마다 비동기 분사를 행하는 기통데이터가 기억되는 메모리(16b)의 기통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경신시킨다. 이와 같이해서, 전자제어장치(16)는 상기 BTDC 75
Figure kpo00047
신호가 입력되는 180℃ CA마다 정규분사를 행하는 흡기공정에 있는 기통판별을 행하고, BTDC 5
Figure kpo00048
신호가 입력되는 180
Figure kpo00049
CA마다 비동기 분사를 행하는 흡기공정에 있는 기통의 판별을 행하고 있다.
따라서, BTDC 75
Figure kpo00050
신호로 정류분사를 행하는 흡기공정에 있다고 판별된 기통은 180
Figure kpo00051
CA후에 얻게되는 다음 BTDC 75
Figure kpo00052
신호까지는 기통데이터로서 메모리(16a)에 유지된다. 또, BTDC 5
Figure kpo00053
신호로 비동기 분사를 행하는 흡기공정에 있다고 판별된 기통은 180
Figure kpo00054
CA후에 얻게되는 다음 BTDC 75
Figure kpo00055
신호까지는 기통데이터로서 메모리(16a)에 유지된다. 예를 들면, 제4도에 있어서, 정규분석에 관한 기통판별에 있어서는, BTDC 75
Figure kpo00056
로부터 다음 BTDC 75
Figure kpo00057
의 기간 A까지의 BTDC 75
Figure kpo00058
에서 흡기공정이라고 판정된 #4기통이 흡기공정에 있다고 판정된다. 한편, 비동기 분사에 대한 기통판별에 관해서는, BTDC 5
Figure kpo00059
로부터 다음 BTDC 5
Figure kpo00060
까지의 기간 C에 있어서는 BTDC 5
Figure kpo00061
에서 흡기공정 있다고 판정된 #4기통이 흡기공정에 있다고 판정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료공급 제어장치에 있어서 실시되는 가속시 연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자제어장치(16)는 상기 CA신호의 입력을 기다려서, 상기 BTDC 75
Figure kpo00062
신호가 입력될때마다 기통판별을 행하고, 상기 메모리(16a)의 기통 데이터를 경신하고, 그 기통의 분사밸브(20)를 개방시켜서, 연료분사를 개시함과 동시에, 분사시간을 계수하는 계수타미어(16c)의 계시동작을 개시시킨다. 또, 전자 제어장치(16)는 상기 BTDC 75
Figure kpo00063
신호가 입력될때마다, 전회(前回) BTDC 75
Figure kpo00064
신호가 입력되고나서 금회(今回)BTDC 75
Figure kpo00065
신호가 입력될때까지의 주기로부터 엔젠회전수 N을 연산하고 있다. 또, 에어플로우센서(14)로부터의 카르만소용돌이 발생주기 신호에 의해 공기량 A를 연산한다. 그리고, 상기 엔진회전수 N 및 공기량 A로부터 엔진이 1흡기행정당 흡입하는 흡기량에 상당하는 값 A/N을 산출한다(제1의 수법). 그리고, 이값에 소정의 계수를 곱셈함과 동시에 엔진수온등 여러가지의 보정계수를 곱셈/및 가산해서 분사밸브(20)의 연료분사시간 T1을 결정한다. 그리고, 이 연료 분사시간 T1으로부터 상기 분사밸브(20)를 개방하는 시각을 산출하고, 타이머(16d)에 세트한다. 그리고, 타이머(16c)의 계수치가 타이머(16d)의 계수치에 일치하면 상기 분사밸브(20)가 폐쇄되어, BTDC 75
Figure kpo00066
신호에 동기한 연료분사, 소위 정규분사가 종료된다.
예를 들면, BTDC 75
Figure kpo00067
의 타이밍으로 행하여지는 기통판별에 있어서, 예를 들면 #4기통이 흡기공정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신호가 #4기통의 분사밸브(20)에 공급되어 정규분사 S4가 실행된다. 이하, 엔진이 정상상태에서 운행되고 있는 동안은, 순차 BTDC 75
Figure kpo00068
에 동기해서 흡기공정에 있다고 판정된 기통에 정규분사가 행하여진다. 즉, 정규분사 S2, S1, S3이 상기한 #4기통예의 분사와 마찬가지로해서 #2기통, #1기통, #3기통에 대해서 행하여진다.
또, 상기 전자제어장치(16)는 샘플링 시간 Ts(예를 들면, 10㎳)마다 드로틀센서(19)로부터 드로틀 개방도를 판독하고, 전회검출된 드로틀 개방도와 금회 검출된 드로틀 개방도와의 차이(드로틀 개방도 변화량 △θ)가 소정치 이상인지 판정해서,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운전자가 차량을 가속코저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해서, 상기 변화량 △θ에 대응한 가속중량용 연료량을 연산해서, 상기 BTDC 75
Figure kpo00069
에 동기해서 분사되는 정규분사 S1~S4와는 비동기로 상기 판정에 동기해서 상기 메모리(16b)에 유지된 기통데이터의 기통 및 그것에 대응하는 배기행정중인 기통에 비동기분사를 행한다. 여기서, 아이들링상태(700rpm)에서는, 10㎳의 샘플링시간 Ts중에, 크랭크축은 40
Figure kpo00070
CA정도 회전한다.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4기통이 흡기공정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4기통의 상사점후 40
Figure kpo00071
(이하, #4 ATDC 10
Figure kpo00072
)의 타이밍에서 드로틀 밸브가 아이들 상태로부터 완전개방된 경우에는, #2기통의 BTDC 5
Figure kpo00073
(#4 ATDC 175
Figure kpo00074
)까지에 10㎳이상 있으므로, 상기 샘플링시간 Ts마다 변화량 △θ이 소정치 이상이라고 판정되면, 이 판정에 동기해서 흡기행정중의 #4기통에 비동기분사 S4a가 행하여짐과 동시에, 배기행정중의 #2기통에 비동기분사 S2a가 행하여진다.
또, #4기통의 상사점후 85
Figure kpo00075
(이하 #4 ATDC 85
Figure kpo00076
)의 타이밍에서 드로틀 밸브가 아이들상태에서 완전개방되었을 경우에는, #4기통의 ATDC 175
Figure kpo00077
까지에 10㎳이상 있으므로, 상기 샘플링시간 Ts마다 변화량 △θ이 소정치 이상이라고 판정되면, 이 판정에 동기해서 흡기행정중의 #4기통에 비동기분사 S4a가 행하여짐과 동시에, 배기행정중의 #2기통에 비동기분사 S2a'가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4 ATDC 40
Figure kpo00078
혹은 #4 ATDC 85
Figure kpo00079
의 타이밍에서 드로틀 밸브가 완전 개방되었을 경우에는, 비동기분사 S4a, S2a, S4a', S2a'에 의한 연료분사량이 흡기 공정중인 #4기통 및 배기공정중인 #2기통에 중량되기 때문에, #4기통의 흡기공기량 A1, A2에 대한 적정한 연료보정이 행하여지고, B1, B2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양호한 과도토오크의 증대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드로틀 밸브의 완전개방이 #4 ATDC 140
Figure kpo00080
에서 행하여졌을 경우에는, #4 ADC 140
Figure kpo00081
로부터 #4기통의 ADC 175
Figure kpo00082
까지 10㎳ 이하가 되기 때문에, 비동기분사의 판정은 #4기통의 ATDC 105
Figure kpo00083
까지 종료하지 않기 때문에, 흡기공정중인 #4기통 및 배기공정중인 #2기통에는 비동기분사할 수 없다. 그런데, #4 ATDC 140
Figure kpo00084
이후에 있어서 드로틀 밸브가 완전개방되어도, 그때의 #4기통의 흡입공기량 A3의 증가는 소량이기 때문에, 연료보정을 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비동기분사를 #4기통과 배기공정중인 #2기통에 행하지 않아도 출력토오크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도 없다.
이와 같이, 비동기분사를 행하는 흡기공정에 있는 기통의 판별을 BTDC 5
Figure kpo00085
마다 행하고, 10㎳의 드로틀 개방도 변화량 △θ이 소정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BTDC 5
Figure kpo00086
에서 흡기공정이라고 판정된 기통에 비동기 분사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드로틀 밸브가 ATDC 135
Figure kpo00087
의 타이밍에서 완전개방되어도, ATDC 135
Figure kpo00088
로부터 BTDC 5
Figure kpo00089
(ATDC 175
Figure kpo00090
)까지 비동기분사의 판정이 종료하므로, 흡기공정중인 기통 및 배기 공정중인 기통에 비동기 분사시키는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고, 가속시의 엔진출력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비동기 분사하는 흡기공정에 있는 기통의 판별을 그 기통의 상사점 전 5
Figure kpo00091
로 하였으나, 흡기공정에 있는 기통의 상사점전 근방 혹은 상사점후 근방이라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비동기분사를 흡기공정중인 기통 및 배기공정중인 기통에 대해서 행하도록 하였으나, 흡기공정중인 기통에만 비동기 분사하도록 해도 좋다.

Claims (3)

  1. 다기통 내연엔진의 각 기통의 제1의 소정크랭크 각도위치 신호의 발생마다 흡기 공정에 있는 기통을 판별하고, 엔진의 부하를 표시하는 파라미터치와 엔진회전수에 기초한 제1의 수법에 의해 연산한 제1의 연료량을 해당 흡기공정이라고 판정된 기통에 분사ㆍ공급하는 연료공급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소정크랭크 각도위치 신호보다 상사점 근방의 제2의 크랭크 각도위치 신호마다 비동기 분사를 행하는 흡기공정에 있는 기통을 판별하고, 소정시간마다 드로틀 개방도를 검출하므로서, 드로틀개방도 변화량을 산출하고, 이 변화량이 소정치 이상이라고 판정했을때, 이 변화량에 대응하는 제2의 연료량을 제2의 크랭크 각도위치 신호로 흡기공정이라고 판정된 기통에 분사ㆍ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연료 분사엔진의 가속시 연료제어방법.
  2. 다기통 내연엔진의 각기통의 제1의 소정크랭크 각도위치 신호의 발생마다 흡기공정에 있는 기통을 판별하고, 엔진의 부하를 표시하는 파라미터치와 엔진회전수에 기초한 제1의 수법에 의해 연산한 제1의 연료량을 해당 흡기공정이라고 판정된 기통에 분사ㆍ공급하는 연료공급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소정 크랭크 각도위치신호보다 상사점 근방의 제2의 크랭크 각도위치 신호마다 비동기 분사를 행하는 흡기공정에 있는 기통을 판별하고, 소정시간마다 드로틀 개방도를 검출하므로서, 드로틀 개방도 변화량을 산출하고, 이 변화량이 소정치 이상이라고 판정했을때, 이 변화량에 대응하는 제2의 연료량을 제2의 크랭크 각도위치 신호로 흡기공정이라고 판정된 기통 및 그 기통에 대응하는 배기공정중인 기통에 분사ㆍ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연료 분사엔진의 가속시 연료제어방법.
  3. 제1항 혹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크랭크 각도위치 신호는 상사점진 5
    Figure kpo00092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연료분사 엔진의 가속시 연료제어방법.
KR1019890000883A 1989-01-27 1989-01-27 전자제어연료 분사엔진의 가속시 연료제어방법 KR930011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0883A KR930011046B1 (ko) 1989-01-27 1989-01-27 전자제어연료 분사엔진의 가속시 연료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0883A KR930011046B1 (ko) 1989-01-27 1989-01-27 전자제어연료 분사엔진의 가속시 연료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980A KR900011980A (ko) 1990-08-02
KR930011046B1 true KR930011046B1 (ko) 1993-11-20

Family

ID=1928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0883A KR930011046B1 (ko) 1989-01-27 1989-01-27 전자제어연료 분사엔진의 가속시 연료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10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363B1 (ko) * 1996-12-20 2001-06-01 이계안 비동기 분사량의 이원화 보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706B1 (ko) 2016-09-12 2018-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기행정을 이용한 mpi 연료 분사재개 방법 및 차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363B1 (ko) * 1996-12-20 2001-06-01 이계안 비동기 분사량의 이원화 보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980A (ko) 1990-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22512A (ja) 直噴火花点火式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577210B2 (ja) 内燃機関の電子制御燃料噴射装置
JPH0416622B2 (ko)
US4957086A (en) Fuel controll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30011046B1 (ko) 전자제어연료 분사엔진의 가속시 연료제어방법
KR910007341B1 (ko) 엔진제어장치
US4987889A (en) Method for controlling fuel at an acceleration time of an electronically-controlled fuel engine
JPH0718357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3733622B2 (ja) エンジンの気筒別燃焼制御装置
JPH0711251B2 (ja) 電子制御燃料噴射エンジンの加速時燃料制御方法
JPH0650078B2 (ja) 電子制御燃料噴射装置
JPH0336142B2 (ko)
JP2750797B2 (ja) エンジンのサージ検出装置及び空燃比制御装置
JPH0660584B2 (ja) 多気筒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JP2855383B2 (ja) 電子制御燃料噴射式内燃機関の割込み噴射制御装置
JPH03185247A (ja) エンジンの燃料制御装置
JPH0734193Y2 (ja) 内燃機関の電子制御燃料噴射装置
JPS62258152A (ja)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方法
JPH04101044A (ja) 多気筒内燃機関の燃料供給制御装置
JPH0696998B2 (ja) 多気筒エンジンの燃料制御方法及び装置
JPS6365152A (ja) 内燃機関の電子制御燃料噴射装置
JPH01142233A (ja) 電子制御燃料噴射エンジンの加速時燃料制御方法
JPS6035156A (ja) 内燃機関用燃料噴射装置
JPS639656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時期制御装置
JPS63314335A (ja) 多気筒内燃機関の電子制御燃料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