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451B1 -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451B1
KR930010451B1 KR1019910011035A KR910011035A KR930010451B1 KR 930010451 B1 KR930010451 B1 KR 930010451B1 KR 1019910011035 A KR1019910011035 A KR 1019910011035A KR 910011035 A KR910011035 A KR 910011035A KR 930010451 B1 KR930010451 B1 KR 930010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valve
passage
reverse
back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1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미요시 이또오
Original Assignee
스즈끼 가부시끼가이샤
우찌야마 히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734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0359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1734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013398B2/ja
Application filed by 스즈끼 가부시끼가이샤, 우찌야마 히사오 filed Critical 스즈끼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4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61/6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61/6625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controlling of shifting being influenced by a signal derived from the engine and the main coupling
    • F16H61/66263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controlling of shifting being influenced by a signal derived from the engine and the main coupling using only hydraulical and mechanical sensing or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hydraulic
    • F16H61/0265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hydraul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s
    • F16H61/027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hydraul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s characterised by initiating reverse gearsh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23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2061/0485Smoothing ratio shift during range shift from neutral (N) to reverse (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 F16H61/68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 interruption of dr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51Control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1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고, 제1도는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의 회로 구성도.
제2도는 변속기의 스프트 제어장치의 일부 단면 설명도.
제3도는 중립위치에 있어서 매뉴얼 시프트 밸브 및 시프트 서어보밸브의 동작 설명도.
제4~8도는 시프트기구를 후진 주행위치로부터 중립위치를 지나 전진주행위치에 조작하였을 때의 각 조작위치에 있어서 매뉴얼 시프트 밸브 및 시프트 서어보 밸브의 각 동작 설명도.
제9~13도는 시프트기구를 전진 주행위치로 부터 중립위치를 지나 후진 주행위치로 조작하였을 때의 각 조작위치에 있어서 매뉴얼 시프트 밸브 및 시프트 서어보 밸브의 각 동작 설명도.
제14~2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고, 제14도는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용 플로우 차아트.
제15도는 슬리이브와 기어와의 맞물림 미스상태를 표시하는 요부확대도.
제16도는 변속기의 유압제어 회로의 개략도.
제17도는 시프트 서어보 밸브의 평면도.
제18도는 시프트 서어보 밸브의 정면도.
제19도는 주차위치(P)의 경우의 시프트 서어보 밸브의 동작을 표시하는 개략도.
제20도는 후진주행위치(R)의 경우의 시프트 서어보 밸브의 동작을 표시하는 개략도.
제21도는 전진주행위치(D)의 경우의 시프트 서어보 밸브의 동작을 표시하는 개략도.
제22도는 저속주행위치(L)의 경우의 시프트 서어보 밸브의 동작을 표시하는 개략도.
제23도는 주차위치(P)의 경우의 시프트 서어보 밸브의 위치를 표시하는 개략도.
제24도는 후진주행위치(P)의 경우의 시프트 서어보 밸브 위치를 표시하는 개략도.
제25도는 전진주행위치(D)의 경우의 시프트 서어보 밸브위치를 표시하는 개략도.
제26도는 저속주행위치(L)의 경우의 시프트 서어보 밸브위치를 표시하는 개략도.
제27~33도는 종래예를 표시하고, 제27도는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의 회로 구성도.
제28도는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의 일부 단면 설명도.
제29~33도는 시프트기수를 조작하였을 때의 각 조작위치에 있어서 매뉴얼 시프트 밸브 및 시프트 서어보밸브의 각 동작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변속기 4, 408 : 제1시이브
6, 406 : 제2시이브 8, 410 : 유압클러치
10, 516 : 전후진 전환기구 24 : 오일펌프
28 : 라인압 통로 32, 420 : 라인압 제1제어벨브
40 : 레신 제어밸브 44 : 솔레노이드 레귤레이터 밸브
48 : 릴리프 밸브 70 : 루프 레귤레이터 밸브
74, 456 : 냉각 제어밸브 86 : 클러치 제어밸브
98, 472 : 매뉴얼 시프트 밸브 102, 480 : 시프트 서어보 밸브
112 : 매뉴얼 시프트 로드 114, 168 : 스푸울 밸브체
158 : 피스톤 164, 486 : 시프트 서어보 로드
166, 488 : 시프트 포오크 208 : 유압급배기구
402 : 무단변속기 404 : 유압제어회로
414 : 라인압통로 424 : 라인압 제2제어밸브
428 : 레이시오압제어 밸브 432 : 클러치압 제어밸브
454 : 레이시오압통로 464 : 클러치압통로
514 : 충간축 518 : 전진기어
520 : 후진기어 522 : 전환슬리브
538 : 시프트기구 586 : 유압공급 정지기구
620 : 확인스위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속기에 설치한 전후진 전환기구의 전환동작이 불량하게 되었을 때의 전환동작의 불량해소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수 있음과 동시에, 전후진 전환기구의 특히 저온시에 있어서 전환동작음이 발생을 감소할 수 있는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며, 또한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내연기관의 구동력을 소요의 변속비로 변환하여 인출함과 동시에, 출력하는 구동력을 단속하기 위하여 유압의 공급 및 배출에 의한 걸어맞춤 또는 이탈동작되는 유압클러치를 갖는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자동차등의 차량에 있어서는, 내연기관의 발생하는 구동력을 주행상태에 따라 적절히 인출하기 위하여 변속기를 설치하고 있다. 변속기에는 주행상태에 따라 내연기관의 구동력을 운전자가 수동에 의하여 소요의 변속비로 변환하여 인출하는 수동변속기 또는 주행상태에 따라 내연기관의 구동력을 소요의 변속비로 자동적 그리고 무단계로 변환하여 인출하는 자동, 즉 무단 변속기등이 있다.
변속기로서는 일본 특개소 62-196443호 공보에 개시되는 것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되는 차량용 변속기의 시프트제어 방법은, 시프트레버가 비주행 위치로 붙어 주행위치로 조작된후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내에 동기 맞물림 장치의 슬리브가 유단변속기의 기어단의 성립을 표시하는 위치에 도달하지 않을 때에는, 자동 클러치를 사이에 두고 미리 정해진 소정의 크기의 토오크를 단시간 전달시켜 동기 맞물림장치의 동기링과 유단 변속기의 출력기어와의 사이에 상대회전력을 부여하고, 상대회전 불능이였던 동기링 및 출력기어의 상대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대회전 불량에 기인하는 기어단의 전환불능을 해소하고 있다.
또 일본 특개소 63-1840호 공보에 개시되는 것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되는 부변속기를 갖춘 차량용 변속장치는, 차량정지시에 있어서 시프트 조작레버가 전진 또는 후진위치로 전환됨에도 불구하고 슬리브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도달하지 않을때에는, 회전 부재의 회전을 소정량 허용하여 전진용기어 또는 후진용기어를 슬리브에 소정량 상대회전시켜, 슬리브가 전진용기어 또는 후진용 기어와의 간섭을 재빨리 해소하고, 기어소음을 억제함과 동시에, 부변속기의 기어단을 한층 확실히 성립시키고 있다.
더욱 상기 부단 변속기의 시프트 기구에 관하여 일본 특개소 57-144330호 공보, 동특개소 58-156754호 공보, 동특개소 60-159452호 공보, 동특개소 60-159453호 공보등의 거이 대개가 기게식 시프트 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이 기계식 시프트 기구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데, 유입식 시프트기구를 사용하면 기계식 시프트 기구에 비하여 시프트동작을 원활히 행할수 있다라는 이점이 있고, 최근 보급중이다.
그런데,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로서는 제27도에 표시하는 것에 있다. 도면에서 (902)는 변속기이다. 이 변속기(902)는 제1시이브(904)와 제2시이브(906)와의 사이에 걸린 벨트(도시하지 않음)의 회전반경을 유압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증감시켜 변속비를 연속적으로 그리고 우단계적으로 변화시켜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내연기관의 구동력을 자동적으로 소요의 변속비에 의하여 변환하여 인출하는 것이다.
이 변속기(902)는, 유압에 의하여 걸어맞춤 이탈동작되는 유압클러치(908)와 전후진 걸어맞춤 상태로 전환동작되는 전후진 전환기구(910)와를 갖추고 있다. 유압클러치(908)는 도시하지 않는 유압실에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걸어맞춤 이탈동작된다.
전후진 전환기구(910)는 제28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회전축(912)에 전진용 기어열(914)을 구성하는 전진용 전환기어(916)와 후진용 기어열(918)을 구성하는 후진용 전환기어(920)를 회전이 자유로이 축받이하고 회전축(912)에 회전분가능하고 그리고 축방향 이동가능으로 장착한 전환 슬리브(922)에 의하여 전진용 전환기어(016)와 후진용 전환기어(920)와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회전축(912)에 연결하여 전후진 걸어맞춤 상태로 전환된다. 변속기(902)는 제1시이브(904), 제2시이브(906), 유압클러치(908), 전후진 전환기구(910)를 동작하기 위한 유압을 발생하는 오일펌프(924)를 설치하고 있다. 오이펌프(924)는 흡입측을 스트레이너(926)를 사이에 두고 오일팬(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함과 동시에 토출측을 라인압 통로(928)에 접속하고 있다. 라인압 통로(928)에는 라인압 제1제어밸브(920)라인압 제2제어밸브(332), 레이시오제러밸브(934), 솔레노이드 레귤레이터 밸브(936), 릴리프 밸브(938)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레귤레이터 밸브(936)는, 라인솔레노이드 밸브(940) 및 레신솔레노이드 밸브(942)를 사이에 두고 상기 라인압 제1제어밸브(930)는 및 레이시오 제어밸브(934)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상기 라인압 제2제어밸브(932)는 벨트(도시하지 않음)등을 윤활하는 유활계에 접속됨과 동시에 루우프 레귤레이터 밸브(944)를 사이에 두고 오일펌프의 흡입측에 접속되어 있다. 이 루우프 레귤레이터 밸브(944)에는 냉각 제어밸브(946)가 접속되어 있다. 냉각 제어밸브(946)는 오일쿨러(948)와 유압클러티(908)로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라인압 통로(928)에는 유압클러치(908)에 공급되는 유압인 클러치압을 조정하는 클러치 제어밸브(950)가 접속되어 있다. 클러치 제어밸브(950)는 클러치 솔레노이드 밸브(95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솔레노이드 레귤레이터 밸브(936)에 접속되어 있다.
클러치 제어밸브(950)에 의하여 조정된 유압은 매뉴얼 시프트 밸브(954)로 부터 시프트 서어보 밸브(956)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유압클러치(908)에 공급 배출된다.
매뉴얼 시프트 밸브(354)는 상기 라인압 통로(928)에 접속되어 있다. 매뉴얼 시프트 밸브(954)는 밸브 보디(958)의 접동구멍(960)(摺動孔)내에 매뉴얼 시프트 로드(962)를 접동이 가능하게 내장하고, 이 매뉴얼 시프트 로드(962)에 스푸를 밸브체(964)를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시프트 저어보 밸브(956)는 밸브 보디(966)의 실린더(968)내에 피스톤 (970)을 접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피스톤(970)에 의하여 실린더(986)내를 제1실(972)과 제2실(974)로 구획하여 설치하고, 피스톤(970)의 일단측에 시프트 서어보 로드(976)를 연결하여 설치하고 이 시프트 서어보 로드(976)의 중간부에 스푸울 밸브체(978)를 설치함과 동시에 타단측에 전후 전환기구(910)의 전환슬리브(22)에 걸어맞춤하는 시프트 포오크(980)을 고정설치하고 있다.
상기 매뉴얼 시프트 밸브(954)는 시프트기구(982)의 작동로드(984)에 의하여 전환동작되고, 클러치 제어밸브(950) 및 라인압 통로(928)로 부터의 유압을 시프트 서어 밸브(956)에 공급배출한다. 시프트 서어보 밸브(956)는 매뉴얼 시프트 밸브(954)에 의한 라인압 통로(928)로 부터의 유압의 제1실(972) 및 제2실(974)로의 공급배출에 의하여 전환동작되고, 상기 유압클러치(908)에 유압을 공급배출함과 동시에 상기 전후진 전환기구(910)을 전환 동작한다.
따라서, 시프트 서어보 밸브(956)에는, 제1실(972) 및 제2실(974)의 어느 한쪽에 유압이 항상 공급되고, 제29~3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시프트 서어보로드(976)를 화살표(A) 방향 및 화살표 (B) 방향의 어느한쪽에 항상 가압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
상기 시프트기구(982)는 예를들면, 주차위치(P)와 후진 주행위치(R)와 중립위치(N)와 전진 주행위치(D) 및 저속 주행위치(L)와의 각 조작위치를 갖고 있다. 시프트기구(982)의 각 조작위치(PㆍRㆍNㆍDㆍL)에 있어서, 매뉴얼 시프트 밸브(956) 및 시프트 서어보 밸브(956)는 제29~33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각각 전환 동작한다.
이때 시프트기구(982)의 각 조작위치(PㆍRㆍNㆍDㆍL)에서 전후진 전환기구(910)는 예를들면, 이하와 같이 각각 전진 걸어맞춤상태(FWD)와 후진 걸어맞춤상태(REV)와의 걸어맞춤상태로 된다.
즉, 주차위치(P)와 후진주행위치(R)에 있어서, 시프트 서어보 밸브(956)의 제2실(97)에 유압이 공급되므로서 시프트 서어보 로드(976)를 화살표(B)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작용하고, 후진 걸어맞춤상태 REV로 된다. 중립위치(N)와 전진주행위치(D)와 저속속행위치(L)에 있어서는 시프트 서어보 밸브(956)의 제1실(972)에 유압이 공급됨으로서 시프트 서어보 로드(976)을 화살표(A)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작용하고, 전진 걸어맞춤상태(FWD)로 된다.
조작위치 걸어맞춤상태
P REV
R REV
N FWD
D FWD
L FWD
결국, 전후진 전환기구(910)의 전진 걸어맞춤상태(FWD)와 후진 걸어맞춤상태(REW)와의 전환동작은, 시프트기구(982)의 후진 주행위치(R)와 중립위치(N)와의 사이에서 행해지고 있었다. 또는 전후진 전환기구(910)의 전진 걸어맞춤상태(FWD)와 후진 걸어맞춤상태(REV)와의 전환동작은 시프트기구(982)의 중립위치(N)와 전진 주행위치(D)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것이 있다.
따라서, 전후진 전환기구(910)의 전진 걸어맞춤상태(FWD)와 후진 걸어맞춤상태(REV)와의 전환동작은, 시프트기구(982)의 특정의 일조작 위치와 이 일조작위치에 인접하는 타조작위치와의 사이에서 행해지고 있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문제점)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전후진 전환기구(910)의 전진 걸어맞춤상태(FWD)와 후진 걸어맞춤상태(REV)와의 전환동작이 시프트기구(982)의 특정의 일조작 위치와 이 일조작 위치에 인접하는 타조작 위치와의 사이에서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 전후진 전환기구(910)의 전환동작이 불량으로 되었을 경우에, 전환동작의 불량을 해소하기 위한 시프트기구(982)의 조작을 용이하게 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예를들면, 전후진 전환기구(910)의 전진 걸어맞춤상태(FWD)와 후진 걸어맞춤상태(REV)와 의 전환동작이 시프트기구(982)의 후진 주행위치(R)과 중립위치(N)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에 있어서, 시프트기구(982)를 후진 주행외치(R)로 부터 중입위치(N)를 지나 전진 주행위치(D)로 조작하였을 때에는, 후진 주행위치(R)에 있어서 전후진 전환기구(310)가 후진 걸어맞춤상태(REV)에 있고(제30도), 중립위치(N)로 조작되면 전진 걸어맞춤 상태(FWD)로 전환 동작된다(제31도). 이때, 전후진 전환기구(910)의 전환동작이 불량하게 되면, 시프트기구(982)를 전진 주행위치(D)로 조작하더라고(제32도), 차륜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주행이 불능으로 된다.
이와같은 경우에, 운전자는 시프트기구(982)를 한번 중립위치(N)로 조작한 후에 재차 전진 주행위치(D)로 조작함으로서, 전후진 전환기구(910)의 전환동작이 불량을 해소하려고 한다. 그러나 중립위치(N)와 전진주행위치(D)에 있어서는, 어느것이든 전후진 전환기구(910)의 걸어맞춤상태가 전진 걸어맞춤상태(FWD)인 것이로, 시프트 서어보밸브(956)의 제1실(972) 및 제2실(974)에 공급배출되는 유압이 전후진 전환기구(910)를 전진 걸어맞춤상태(FWD)로 하기 위하여 피스톤(970)을 화살표 (A) 방향으로 누르고 있기 때문에, 전후진 전환기구(910)의 전환동작의 불량을 해소할수가 없다. 전환동작의 불량을 해소하는 데는 시프트기구(982)를 한번 후진 주행위치(R)에 조작한 후에 다시 중립위치(N)를 지나 전진 주행위치(D)로 조작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후진 전환기구(910)의 전환동작의 불량의 경우에, 시프트기구(982)를 한번 후진 주행위치(R)에 조작한 후에 다시 중립위치(N)를 지나 전진 주행위치(D)로 조작하는 것은 운전자에 대하여 심리적인 저항이 되기 때문에 전환동작의 불량을 해소하는 조직을 용이하게 행하기 어려운 좋지못한 단점이 있다.
결국, 운전자는 시프트기구(982)를 중립위치(N)로부터 전진 주행위치(D)로 조작하였을 때에 전후진 전환기구(910)의 전환동작이 불량하게 되면, 중립위치(N)로부터 전진 주행위치(D)로의 조작에 의하여 전환 동작이 불량하게 됐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후진 주행위치(R)로 조작하는 것을 생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시프트기구(982)를 한번 후진 주행위치(R)로 조작하는 것은 운전자에 대하여는 심리적인 저항이 되고, 전환동작의 불량을 해소하는 조작을 용이하게 행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 상기 종래의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특히 유온이 낮은 상태에서 시프트기구(982)를 중립위치(N)와 후진 주행위치(R)와의 사이에서 조작하였을 때, 중립위치(N)로 부터 후진 주행위치(R)로의 조작시 보다도 후진 주행위치(R)로 부터 중립위치(N)로의 조작시에, 전후진 전환기구(910)의 발생하는 전환동작음이 크게되는 문제가 있다.
이 전환 동작음의 발생상태를 설명한다.
시프트기구(982)를 후진 주행위치(R)로부터 중립위치(N)로 조작하면, 제30ㆍ3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매뉴얼 시프트 밸브(954)가 전환동작되어 시프트 서어보 밸브(956)의 제1실 (972)에 유압인 라인압이 공급됨과 동시에 제2실(974)의 라인압이 배출되고, 피스톤(970)을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후진 주행위치(R)에 있어서, 유압클러치(908)는 제30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매뉴얼 시프트 밸브(954)로 부터 시프트 서어보 밸브(956)를 사이에 두고 유압인 클러치압을 공급되고, 걸어맞춤되어 있다. 또 후진 주행위치(R)에 있어서, 전후진 전환기구(910)는, 후진 걸어맞춤상태(REV)로 되어있다.
시프트기구(982)가 중립위치(N)로 조작되면, 유압클러치(908)는 제3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시프트 서어보 밸브(956)로부터 매뉴얼 시프트 밸브(954)를 사이에 두고 유압인 클러치압을 배출되고, 이탈된다. 또 중립위치(N)에 있어서 전후진 전환기구(910)는 후진 걸어맞춤(REV)로 부터 전진 걸어맞춤상태(FWD)로 전환동작되는 것으로 된다.
이와같이 시프트기구(982)를 후진 주행위치(R)로부터 중립위치(N)로 조작하면, 유압클러치(908)로 부터 유압인 클러치압이 배출되고, 전후진 전환기구(910)가 후진 걸어맞춤상태(REV)로부터 전진 걸어맞춤상태(FWD)로 전환 동작된다.
그런데, 유압클러치(908)로 부터의 클러치압의 배출 보다도 시프트 서어보밸브(56)의 전환동작이 빠르고 특히 저온시에 있어서는 점성이 높아짐에 따라 유압클러치(908)로 부터의 클러치압으 배출 보다도 시프트 서어보 밸브(956)의 전환동작이 빨라지므로, 유압클러치(908)로 부터 클러치압이 완전히 배출되어 있지 않는 상태, 즉 유압클러치(908)가 완전히 이탈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전후진 전환기구(910)의 전진 걸어맞춤상태(FWD)로의 전환동작이 행해지므로서, 전진용 기어열(914)의 맞물림에 의한 전환동작음의 발생의 원인으로 되었다.
더욱, 시프트기구(982)를 중입위치(N)로 부터 주행위치(R)에 조작하는 경우에는, 중립위치(N)에 있어서 유압클러치(908)로 부터 유압인 클러치압이 완전히 배출되어 있고, 후진 주행위치(R)에 조작되면 유압클러치(908)에 유압인 클러치압이 공급됨과 동시에 전후진 전환기구(310)가 전진 걸어맞춤상태(FWD)로부터 후진 걸어맞춤상태(REV)로 전환동작되는 것으로 된다.
이때 유압클러치(908)로의 클러치압의 공급보다도 시프트 서어보 밸브(956)의 전환동작이 빨라지므로, 유압클러치(908)에 클러치압이 완전히 공급되어 있지 않는 상태, 즉, 유압클러치(908)가 완전히 걸어맞춤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전후진 전환기구(910)의 전진 걸어맞춤상태(FWD)로부터 후진 걸어맞춤상태(REV)로의 전환동작이 완료함으로서, 후진용 기어열(918)의 맞물림에 의한 전환동작음을 발생하는 일도 없다.
그런데, 종래의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시프트 기구에 의하여 변속기의, 예를들면, 전후진 걸어맞춤 상태를 전환하는 전후진 전환기구를 기계적으로 전환 동작시키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이 기계식의 시프트기구의 경우에는 원활한 시프트 조작이 얻을수 없다라는 문제가 있다.
그리하여, 시프트 기구에 의하여 매뉴얼 시프트 밸브를 전환동작시켜 시프트 밸브에 유압을 공급 배출하고, 이 시프트 서어보 밸브에 의하여 변속기의, 예를들면, 전후진 걸어맞춤상태를 전환하는 전후진 전환기구를 전환동작시키는 것이 있다. 이와같은 유압서어보식의 시프트 기구에 의하면, 시프트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런에, 유압서어보식의 시프트 기구는, 동작시에 기어와 슬러브와의 맞물림하는 챔퍼부위가 거이 정점끼리에서 맞닿고, 걸어맞춤 불량인 스톱현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기계식 시프트 기구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스톱현상이 일어나는 것이지만, 셀렉트 레버와 시프트 부위가 직접 연동되어 있으므로, 걸아맞춤 불량인 스톱현상이 일어났을 경우에, 셀렉트 레버가 지시위치에 까지 동작하지 않고, 걸어맞춤 불량인 것을 확인 할 수 있고, 재차 셀렉트 레버를 동작시켜 시프트 동작을 다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유압식 시프트 기구에 있어서는, 시프트미스, 즉 걸어맞춤 불량에 의한 스톱현상이 일어났을 경우에, 셀렉트레버가 지시위치까지 동작하여 전진주행위치(D) 또는 후진 주행위치(R)를 지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톱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차량이 발진불능으로 된다고 하는 좋지 못한 형편이 된다.
또 스톱현상이 일어났을 경우에, 기어 또는 슬리브의 어느 한편을 회전시켜, 스톱현상을 해소하여 시프트 동작을 완료시키는 것도 고려되지만, 스톱현상시에 클러치를 접속하여 기어를 회전시키면 챔퍼부위에서 제동음이 발생하여, 기어 또는 슬리브의 적어도 한쪽이 손상되는 염려가 있다라는 단점이 있다.
(발명이 목적)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변속기에 설치한 전후진 전환기구의 전환동작이 불량하게 되었을 때의 전환동작의 불량해소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수 있음과 동시에, 전후진 전환기구의 특히 저온시에 있어서 전환동작음의 발생을 감소할 수 있는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를 실현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더 목적은 무단변속기의 전후진 전후진 걸어맞춤 상태를 전환하는 전후진 전환기구를 전환동작시켜 유압을 공급배출하기 위하여 클러치압을 서어보 실린더 압으로하는 시프트 서어보 밸브를 설치하고 시프트 서어보 밸브의 서어보 로드단부에 시프트 서어보 밸브위치를 확인하는 확인 스위치를 설치하고 전후진 전환기구의 걸어맞춤 상태가 확인 스위치에 의하여 걸어맞춤 불량이라고 확인되었을 때에 서어보 실린더압을 일단 저하시켜 재차 서어보 실린더압을 상승시켜 전후진 전환기구의 걸어맞춤 상태의 불량을 해소하기 위하여 구성한 것으로, 전진기어 또는 후진기어의 어느 한쪽의 기어와 전환 부재와의 걸어맞춤 불량을 해소할수 있고 시프트 동작을 확실히 이룰수 있는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를 실현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압에 의하여 걸어맞춤 이탈동작되는 유압클러치와 전후진 걸어맞춤상태로 전환동작되는 전후진 전환기구를 갖는 변속기의 시프트기구에 의하여 전환동작되어 유압을 공급배출하는 매뉴얼 시프트 밸브를 설치하고 이 매뉴얼 시프트 밸브에 의한 유압의 공급배출에 의하여 전환 동작되어 상기 유압클러치에 유압을 공급배출함과 동시에 상기 전후진 전환기구를 전환동작하는 시프트 서어보 밸브를 설치한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기구가 후진 주행위치로 부터 중립위치를 지나 전진 주행위치로 조작되었을 때에는 상기 전후진 전환기구를 중립위치까지 후진 걸어맞춤 상태로 유지시켜 전진 주행위치로 조작되면 전진 걸어맞춤 상태로 전환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시프트 기구가 전진 주행위치로 부터 중립위치를 지나 후진 주행위치로 조작되었을 때에는 상기 전후진 전환기구를 중립위치까지 전진 걸어맞춤 상태로 유지시켜 후진 주행위치로 조작되면 후진 걸어맞춤으로 전환동작되게끔 상기 시프트 서어보 밸브에 유압을 급배하여 전환동작되는 유압급배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내연기관의 구동력을 소요의 변속비로 변환하여 인출함과 동시에 출력하는 구동력을 단속하기 위한 유압의 공급배출에 의하여 걸거나벗김 동작되는 유압클러치를 갖는 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무단변속기의 전후진 걸어맞춤 상태를 전진기어와 후진기어와 양기어 사이의 전환부재에 의하녀 전환되는 전후진 전환기구를 설치하고 이 전후진 전환기구를 전환동작시켜 유압을 공급배출하기 위한 클러치압을 서어보 실린더 압으로하는 시프트 서어보 밸브를 설치하고, 시프트 서어보밸브의 시프트 서어보로 로드 단부에 시프트 서어보 밸브 위치를 확인하는 확인 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전후진 전환기구의 전진기어 또는 후진기어의 어느한쪽의 기어와 전환부재와의 걸어맞춤 상태가 확인 스위치에 의하여 걸어맞춤 불량이라고 확인된 경우에는 적어도 상기 시프트 서어보 실린더압을 일단 저하시켜 재차 서어보 실린더압을 상승시켜 전후진 전환기구의 전진기어 또는 후진 기어의 어느 한쪽의 기어와 전환부재와의 걸어맞춤 상태의 불량을 해소하기 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유압공급배출기구에 의하여, 시프트기구가 후진주행위치로 부터 중입위치를 지나 전진 주행위치, 또는 전진 주행위치로 부터 중립위치를 지나 후진 주행위치로 조작되었을 때에는 전후진 전환기구를 중립위치까지, 이 중립위치의 앞의 후진 주행위치에 있어서 후진 걸어맞춤상태, 또는 전진 주행위치에 있어서 전진 걸어맞춤상태로 유지시켜, 중립위치로 부터 전진주행위치, 또는 후진 주행위치로 조작되면, 전후진 전환기구를 전진 걸어맞춤상태, 또는 후진 걸어맞춤상태로 전환동작 되도록 시프트 서어브 밸브에 유압을 공급배출하여 전환 동작된다.
이로서 변속기에 설치한 전후진 전환기구의 전환동작이 불량으로 되었을 때, 시프트 기구를 한번 중립위치로 조작한 후에 재차 전진 주행위치, 또는 후진 주행위치로 조작함으로서 중립위치에서 시프트 서어보 밸브의 유압을 한번 배출시켜, 조작에 의한 재차의 전진 주행위치 또는 후진 주행위치에서 다시 한번 시프트 서어보 밸브로 유압을 공급시키므로, 전환동작이 확실히 행해지는 것이 된다.
또, 중립위치로 부터 전진 주행위치, 또는 후진 주행위치로 조작되면, 전후진 전환기구를 전진 걸어맞춤 상태, 또는 후진 걸어맞춤상태로 전환동작되므로, 중립위치에서 이탈되어 있는 유압클러치가 시프트기구의 전진 주행위치 또는 후진 주행위치로의 조작에 의하여 걸어맞춤되는 상태에 있어서, 즉 유압클러치가 완전히 걸어맞춤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전후진 전환기구의 전환 동작을 행하게 할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함으로써, 전진기어 또는 후진 기어의 어느 한쪽의 기어와 전환부재와의 걸어맞춤이 불량일 경우에는 서어보 실린더압을 일단 저하시켜 재차 서어보 실린더압을 상승시켜 전후진 전환기구의 전진기어 또는 후퇴기어의 어느 한편의 기어와 전환부재와의 걸어맞춤 불량을 해소하고 시프트 동작을 확실히 달성하고 있다.
(제1 실시예)
다음에 이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면에 입각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13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다. 제1도에서 2는 변속기이다 .이 변속기(2)는 제1시이브(4) 및 제2시이브(6)에 감겨진 벨트(도시하지 않음)의 회전반경을 유압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증감시켜 변속비를 연속적으로 그리고 무단계적으로 변화시켜,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내연기관의 구동력을 자동적으로 소요의 변속비에 의하여 변환하여 인출하는 것이다.
이 변속기(2)는 유압에 의하여 걸어맞춤 이탈동작되는 유압클러치(8)와 전후진 걸어맞춤 상태로 전환동작되는 전후진 전환기구(10)를 갖추고 있다. 유압클러치(8)는 도시하지 않는 유압실에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걸어맞춤이탈동작된다. 전후진 전환기구(10)는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회전축(12)에 전진용 기어열(14)을 구성하는 전진용 전환기어(16)와 후진용 기어열(18)을 구성하는 후진용 전환기어(20)와를 회전이 자유로이 축받이되어, 회전축(12)에 회전불가능한 그리고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장착한 전환 슬리브(22)에 의하여 전진용 전환기어(16)와 후진용 전환기어(20)와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회전축(12)에 연결하여 전후진 걸어맞춤 상태로 전환된다.
더욱, 전진용 전환기어(16)는 전진용 기어열(14)을 구성하는 전진용 출력기어(도시하지 않음)에 맞물림되어 있다. 또 후진용 전환기어(20)는 후진용 기어열(18)을 구성하는 아이들러 기어를 사이에 두고 후진용 출력기어(도시하지 않음)에 맞물려 있다.
변속기(2)는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1시이브(4), 제2시이브(6), 유압클러치(8), 전후진 전환기구(10)을 동작하기 위한 유압을 발생하는 오일 펌프(24)를 설치하고 있다. 오일펌프(24)는 흡입측을 스트레이너(26)를 사이에 두고 오일팬(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함과 동시에 토출측을 라인압 통로(28)에 속하고 있다. 라인압 통로(28)는 제2시이브(6)에 접속되어 있다.
이 라인압 통로(28)의 도중에는 제1통로(30)에 의하여 라인압 제1제어밸브(32)가 접속되고, 제2통로(34)에 의하여 라인압 제2제어밸브(36)가 접속되고, 제3통로(38)에 의하여 레이시오제어밸브(40)가 접속되고, 제4통로(42)에 의하여 솔레노이드 레귤레이터 밸브(44)가 접속되고, 제5통로(46)에 의하여 릴리프밸브(48)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라인압 제1제어밸브(32)와 라인압 제2제어밸브(36)와는 제6통로(50)에 의하여 접속되어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레귤레이터 밸브(44)에는 타단측을 분리한 제7통로(52)에 의하여 라인솔레노이드 밸브(54)및 레이시오 솔레노이드 밸브(56)가 접속되어 있다. 라인솔레노이드 밸브(54)는 제8통로(58)에 의하여 상기 라인압 제1제어밸브(32)에 접속되어 있다.
레이시오 셀로노이드 밸브(56)는 제9통로(60)에 의하여 상기 레이시오 제어밸브(40)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 레이시오 제어밸브(40)는 제10통로(62)에 의하여 제7통로(52)를 사이에 두고 솔레노이드 레귤레이터 밸브(44)에 접속됨과 동시에 제11통로(64)에 의하여 상기 제1시이브(4)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라인압 제2제어밸브(36)는 제12통로(66)에 의하여 벨트(도시하지 않음)등을 윤활하는 윤활제에 접속됨과 동시에 제13통로(68)에 의하여 루우프 레귤레이터 밸브(70)를 사이에 두고 오일펌프(24)의 흡입측에 접속되어 있다. 제13통로(68)의 도중에는 제14통로(72)에 의하여 냉각 제어밸브(74)가 접속되어 있다. 냉각 제어밸브(74)는 제15통로(76)에 의하여 상기 레이시오제러밸브(40)의 제11통로(64)에 접속되고, 또 제16통로(78)에 의하여 오일쿨러(80)가 접속됨과 동시에 제17통로(82)에 의하여 상기 유압클러치(8)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라인압 통로(28)의 도중에는 제18통로(84)에 의하여 상기 유압클러치(8)을 걸어맞춤 이탈동작시키는 유압을 조정하는 클러치 제어밸브(86)가 접속되어 있다. 클러치 제어밸브(86)는 제19통로(88)에 의하여 클러치 솔레노이드 밸브(90)를 사이에 두고 라인압 제1제어밸브(32) 및 솔레노이드 레귤레이터 밸브(44)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 클러치 제어밸브(86)는 제20통로(92)에 의하여 상기 제13통로(68)의 도중에 접속됨과 동시에, 제21통로(94)에 의하여 상기 냉각 제어밸브(74)에 접속되어 있다.
더욱 상기 라인압 통로(28)의 도중에는 제22통로(96)에 의하여 매뉴얼 시프트 밸브(98)가 접속되어 있다. 매뉴얼 시프트 밸브(98)는 제23통로(100)에 의하여 상기 제21통로(94)를 사이에 두고 클러치 제어밸브(86)에 접속되어 있다. 이 매뉴얼 시프트 밸브(98)는 라인압 통로(28)의 유압인 라인압을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에 공급배출함과 동시에 클러치 제어밸브(86)로부터의 유압인 클러치압을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유압클러치(8)에 공급배출한다.
매뉴얼 시프트 밸브(98) 및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는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매뉴얼 시프트 밸브(98)는 변속기(2)의 시프트기구(104)의 작동로드(106)에 의하여 전환 동작된다. 이 시프트기구(104)는 예를들면, 주차위치(P)와 후진 주행위치(R)와 중입위치(N)와 전진 주행위치(D) 및 저속 주행위치(L)와의 각 조작위치를 갖고 있다. 시프트기구(104)의 이들 각 조작위치(PㆍRㆍNㆍDㆍL)에 있어서 매뉴얼 시프트 밸브(98)는 각각 전환 동작되어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유압을 공급배출하고,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에 의하여 전후진 전환기구(10)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 전진 걸어맞춤상태(FWD)와 후진 걸어맞춤상태(REW)로 전환동작시킨다.
상기 매뉴얼 시프트 밸브(98)는 밸브 보디(108)의 접동구멍(110)내에 매뉴얼 시프트 로드(112)를 접동가능으로 내장하고, 스푸울 밸브체(114)를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밸브 보디(108)에는 접동구멍(110) 내주면에 원 환상의 제1흠부(116)~제7흠부(128)를 설치함과 동시에 접동구멍(110) 양단에 제1개방부(130)ㆍ제2개방부(132)를 설치하고 있다.
또 매뉴얼 시프트 로드(112)는 일단측을 상기 시프트기구(104)의 작동로드(106)에 연결되어 있다. 스푸울 밸브체(114)는, 접동구멍(110)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제1대경부(134)~제5대경부(142)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들 제1~제5대경부(134~142) 사이에 각각 제1소경부(144)~제4소경부(150)를 설치하고, 제5대경부(142) 외측에 제5소경부(152)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는 밸브 보디(154)의 실린더(156) 내에 피스톤(158)을 접동가능으로 설치하고, 이 피스톤(158)에 의하여 실린더(156) 내를 제1실(160)과 제2실(162)로 구획하면 설치하고 있다. 상기 피스톤(158)에는 시프트 서어보 로드(164)의 일단측을 연결하여 설치함과 동시에 시프트 서어보 로드(164)의 타단측에 상기 전후진 전환기구(10)의 전환슬리브(22)에 걸어맞춤되는 시프트 포오크(166)를 고정하고 있다.
또 시프트 서어보 로드(164)는 밸브 보디(154)의 접동구멍(168) 내를 접동 가능으로 내장되고, 스푸을 밸브체(170)을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밸브 보디(154)의 접동구멍(168) 내주면에는 원 환상의 제1흠부(172)~제6흠부(182)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스푸울 밸브체(170)는 접동구멍(168)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제1대경부(184)~제3대경부(188)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들 제1~제3대경부(184~188) 사이에 각각 제1소경부(190)ㆍ제2소경부(192)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매뉴얼 시프트 밸브(98)의 밸브 보디(108)에 설치한 제1흠부(116)는, 제24통로(194)에 의하여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의 밸브 보디(154)에 설치한 제4흠부(178)에 접속되어 있다. 매뉴얼 시프트 밸브(98)의 제2흠부(118)는 상기 제23통로(100)에 의하여 제21통로(94)를 사이에 두고 클러치 제어밸브(86)에 접속되어 있다.
매뉴얼 시프트 밸브(98)의 제3흠부(120)는 제25통로(196)에 의하여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의 제3흠부(176)에 접속되어 있다. 매뉴얼 시프트 밸브(98)의 제4흠부(122)는 도시하지 않는 오일팬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매뉴얼 시프트 밸브(98)의 제5흠부(14)는 제26통로(198)에 의하여 시프트 서어브 밸브(102)의 제2실(162)에 접속되어 있다.
매뉴얼 시프트 밸브(98)의 제6흠부(126)는 상기 제22통로(96)에 의하여 라인압통로(28)에 접속되어 있다. 매뉴얼 스프트 밸브(98)의 제7흠부(128)는 제27통로(200)에 의하여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의 제1실(160)에 접속되어 있다. 매뉴얼 시프트 밸브(98)의 제1개방부(130), 제2개방부(132)는 도시하지 않는 오일팬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의 제1흠부(172) 및 제6흠부(182)는 도시하지 않는 오일팬에 접속되어 있다. 이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의 제2흠부(174) 및 제5흠부(180)에는 각각 제28통로 (202) 및 제29통로(204)의 일단측이 접속되어 있다. 이들 제28통로(202) 및 제29통로(204)의 타단측은 집합하여 제30통로(206)에 접석됨고 동시에 이 제30통로(206)의 타단측을 상기 유압클러치(8)의 유압실(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고 있다.
이로서 시프트기구(104) 주차위치(P)와 후진 주행위치(R)와 중립위치(N)와 전진 주행위치(D) 및 저속 주행위치(L)와의 각 조작위치에 조작하면, 시프트기구(104)의 이들 각 조작위치(PㆍRㆍNㆍDㆍL)에서 매뉴얼 시프트 밸브(98)는 각각 전환 동작되어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에 유압인 클러치압 및 라인압을 공급배출하고,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에 의하여 유압클러치(8)에 클러치압을 공급배출하여, 걸어맞춤 이탈동작 시킴과 동시에 전후진 전환기구(10)를 각각 전진 걸어맞춤상태(FWD)와 후진 걸어맞춤상태(REV)에 전환동작 시킨다.
즉 시프트기구(104)에 의하여 매뉴얼 시프트 밸브(98)를 전환동작하면, 밸브 보디(108)와 수푸를 밸브체(114)와의 걸어맞춤상태가 전환되고, 유압인 라인압 및 클러치압이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고 공급배출된다.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는 피스톤(158)에 의하여 구획된 제1실(160) 및 제2실(162)에 공급배출되는 라인압에 이하여 시프트 서어보 로드(164)를 화살표(AㆍB) 방향으로 이동되어 전환 동작된다.
이로서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의 밸브 보디(154)와 스푸울 밸브체(170)와의 걸어맞춤상태가 전환되고, 유압클러치(8)에 클러치압을 공급배출하여 걸어맞춤 이탈동작시킨다. 또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는 시프트 서어보 로드(164)의 화살표(AㆍB) 방향으로 이동에 의하여 시프트 포오크(166)가 전후진 전환기구(10)를 각각 걸어맞춤상태(FWD)와 후진 걸어맞춤상태(REV)로 전환동작 시킨다.
이와 같은 시프트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기구(104)가 후진 주행위치(R)로부터 중립위치(N)를 지나 전진 주행위치(D)에 조작되었을 때에는 전후진 전환기구(10)를 중립위치(N) 까지 후진 걸어맞춤상태(REV)로 유지시켜 전진 주행위치(D)로 조작되면, 전진 걸어맞춤상태(FWD)로 전환동작시킴과 동시에, 시프트기구(104)가 전진주행위치(D)로부터 중립위치(N)를 지나 후진 주행위치(R)로 조작되었을 때에, 전후진 전환기구(10)를 중립위치(N)까지 전진 걸어맞춤상태(FWD)로 유지시켜 후진 주행위치(R)로 조작되면 후진 걸어맞춤상태(REV)로 전환동작 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에 유압을 공급배출하여 전환동작 시키는 유압공급배출기구(208)를 설치하고 있다.
이 유압공급배출기구(208)는 상기 매뉴얼 시프트 밸브(98)에 설치되어 있다. 유압급배기구(208)는 매뉴얼 시프트 밸브(98)의 밸브 보디(108)에 설치한 제6홈부(126)ㆍ제7홈부(128)ㆍ제2개방부(132)와 매뉴얼 시프트 밸브(98)의 매뉴얼 시프트 로드(112)에 설치한 제4대경부(140)ㆍ제5대경부(142)ㆍ제4소경부(150)에 의하여 구성된다.
유압공급배출기구(208)를 구성하는 상기 각부(126ㆍ128ㆍ132ㆍ140ㆍ142ㆍ150)는 제6도 및 제1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시프트기구(104)가 후진 주행위치(R)로부터, 또는 전진 주행위치(D)로부터 중립위치(N)로 조작되었을 때 제4대경부(140)가 제22통로(96)와 제27통로(200)를 연통시키지 않고 제22통로(96)를 봉쇄하고, 제5대경부(142)가 제2개방부(132)를 봉쇄하는일 없이 제4소경부(150)에 의하여 제2개방부(132)와 제27통로(200)를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 시프트기구(104)가 중립위치(N)로 조작되었을때 제26통로(198)는 매뉴얼 시프트 로드(112)의 제3소경부(148)에 의하여 제4홈부(122)에 연통되어 있다.
결국, 유압공급배출기구(208)는, 시프트기구(104)가 중립위치(N)로 조작되었을때,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의 제1실(160) 및 제2실(162)을 각각 제27통로(200)ㆍ제2개방부(132) 및 제26통로(198)ㆍ제4흠부(122)를 사이에 두고 오일팬에 연통함으로서,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의 피스톤(158)의 이동을 저지하는 것이다.
다음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시프트기구(104)가 주차위치(P)로부터 후진 주행위치(R)ㆍ중립위치(N)ㆍ전진 주행위치(D)ㆍ저속 주행위치(L)의 순으로 조작된 경우를 설명한다.
시프트기구(104)가 주차위치(P)로 조작되어 있는 경우에,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매뉴얼 시프트 밸브(98)는 제4소경부(150)와 제2개방부(132)에 의하여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의 제1실(160)을 제27통로(200)에 의하여 오일팬에 연통함과 동시에 제3소경부(148)에 의하여 제2실(162)를 제26통로(198)에 의하여 제22통로(96)에 연통하고 있다.
이로써,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는 제1실(160)의 라인압을 배출됨과 동시에 제2실(162)에 라인압을 공급되므로, 피스톤(158)이 시프트 서어보 로드(164)를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시켜 시프트 포오크(166)에 의하여 전후진 전환기구(10)를 후진 걸어맞춤상태(REV)로 되게 하였다. 이에 매뉴얼 시프트 밸브(98)는, 제23통로(100)를 봉쇄함과 동시에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에 의하여 제29통로(204)를 사이에 제30통로(206)에 연통되어 잇는 제24통로(194)를 오일팬에 연통하고 있으므로, 유입클러치(8)의 클러치압을 배출하여 이탈시키고 있다.
시프크기구(104)가 후진 주행위치(R)로 조작되면,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매뉴얼시프트 밸브(98)는 제4소경부(150)와 제2개방부(132)에 의하여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의 제1실(160)을 제27통로(200)에 의하여 오일팬에 연통함과 동시에, 제3소경부(148)에 의하여 제2실(162)를 제26통로(198)에 의하여 제22통로(96)에 연통한다.
이로써,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는 제1실(160)의 라인압을 배출됨과 동시에 제2실(162)에 라인압을 공급되므로 피스톤(158)이 시프트 서어보 로드(164)를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도 유지되고 전후진 전환기구(10)를 후진 걸어맞춤상태(REV)로 시키고 있다. 이때 매뉴얼 시프트 밸브(98)는, 제23통로(100)를 제24통로(194)에 연통함과 동시에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에 의하여 제28통로(202)를 봉쇄하여 상기 제24통로(194)가 제29통로(204)를 사이에 두고 제30통로(206)에 연통되므로, 유압클러치(8)에 클러치압을 공급하여 걸어맞춤 동작시키는 것으로 된다.
시프트기구(104)가 중입위치(N)로 조작되면,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매뉴얼 시프트 밸브(98)는 제4소경부(150)과 제2개방부(132)에 의하여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의 제1실(160)을 제27통로(200)에 의하여 오일팬에 연통함과 동시에 제4대경부(140)에 의하여 제22통로(96)를 봉쇄하고 또, 제3소경부(148)에 의하여 제2실(162)을 제26통로(198)에 의하여 오일팬에 연통한다.
이로써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는 제1실(160)의 라인압을 배출됨과 동시에 제2실(162)의 라인압을 배출되므로 피스톤(158)이 이동을 저지 당하여 시프트 서어보 로드(164)를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유지시켜, 전후진 전화기구(10)를 후진 걸어맞춤상태(REV)로 유지시킨다. 이때 매뉴얼 시프트 밸브(98)는 제23통로(100)로 봉쇄함과 동시에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에 의하여 제29통로(204)를 사이에 두고 제30통로(206)에 연통되어 있는 제24통로(194)를 오일팬에 연통하므로, 유압클러치(8)의 클러치압을 배출하여 이탈동작 시키는 것으로 된다.
시프트기구(104)가 전진 주행위치(D)로 조작되면,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매뉴얼 시프트 밸브(98)는 제4대경부(140)가 제22통로(96)를 개방하여 제5대경부(142)가 제2개방부(132)를 봉쇄하여, 제4소경부(150)에 의하여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의 제1실(160)를 제27통로(200)에 의하여 제22통로(96)에 연통함과 동시에 제3소정부(148)에 의하여 제2실(162)를 제26통로(198)에 의하여 오일팬으로 연통한다.
이로서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는 제11실(160)에 라인압을 공급됨과 동시에 제2실(162)의 라인압을 배출되므로, 피스톤(158)이 시프트 서어보 로드(164)를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시켜 전후진 전환기구(10)를 전진 걸어맞춤 상태(FWD)로 전환동작 시킨다. 이때 매뉴얼 시프트 밸브(98)는 제23통로(100)를 제25통로(196)에 연통함과 동시에 이 제25통로(196)를 시프트 서어보 밸브(192)에 의하여 제28통로(202)를 사이에 두고 제30통로(206)로 연통시키므로, 유압클러치(8)에 클러치압을 공급하여 걸어맞춤 동작시키는 것으로 된다.
시프트기구(104)가 저속 주행위치(L)로 조작되면,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매뉴얼 시프트 밸브(98)는 제4소경부(150)에 의하여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의 제1실(160)을 제27통로(200)에 의하여 제22통로(96)에 연통함과 동시에, 제3소경부(148)에 의하여 제2실(162)를 제26통로(198)에 의하여 오일팬에 연통한다.
이로써,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는 제1실(160)에 라인압을 공급함과 동시에 제2실(162)의 라인압을 배출되므로, 피스톤(158)이 시프트 서어보 로드(164)를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유지시켜 전후진 전환기구(10)를 전진 걸어맞춤상태(FWD)로 시키고 있다.
이때, 매뉴얼 시프트 밸브(98)는 제23통로(100)를 제25통로(196)에 연통함과 동시에 제25통로(196)를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에 의하여 제28통로(202)를사이에 제30통로(206)에 연통시키므로, 유압클러치(8)에 클러치압을 공급하여 걸어맞춤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시프트기구(104)가 주차위치(P)로부터 후진 주행위치(R)ㆍ중립위치(N)ㆍ전진 주행위치(D)ㆍ저속 주행위치(L)의 순으로 조작되었을 경우에 시프트기구(104)의 각 조작위치(PㆍRㆍNㆍDㆍL)에서 전후진 전환기구(10)는 이하와 같이 각각 전진 걸어맞춤상태(FWD)와 후진 걸어맞춤상태(REV)와의 걸어맞춤.
결국, 전후진 전환기구(10)는 시프트기구(104)가 중립위치(N)로부터 전진 주행위치(D)로 조작되면 후진 걸어맞춤상태(REV)로부터 전진 걸어맞춤상태(FWD)로 전환동작되는 것이다.
잠시후에 시프트기구(104)가 저속 주행위치(L)로부터 전진 주행위치(D)ㆍ중립위치(N)ㆍ 후진 주행위치(R)ㆍ주차위치(P)의 순으로 조작된 경우를 설명한다.
시프트기구(104)가 저속 주행위치(L)로 조작되어 있는 경우는 제1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8도와 마찬가지로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의 제1실(160)에 라인압을 공급됨과 동시에 제2실(162)의 라인압을 배출되어 있으므로, 피스톤(158)이 시프트 서어보 로드(164)를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하고, 전후진 전환기구(10)를 전진 걸어맞춤상태(FWD)로 시키고 있다.
또 클러치 제어밸브(86)에 연통하는 제23통로(100)를 제25통로(196)ㆍ제28통로(202)를 사이에 두고 제30통로(206)에 연통시키고 있으므로, 유압클러치(8)에 클러치압을 공급하여 걸어맞춤 시키고 있다.
시프트기구(104)가 전진 주행위치(D)로 조작되면, 제1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7도와 마찬가지로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의 제1실(160)에 라인압을 공급됨과 동시에 제2실(162)의 라인압을 배출되므로 전후진 전환기구(10)를 전진 걸어맞춤상태(FWD)로 되게한다. 또 클러치 제어밸브(86)에 연통하는 제23통로(100)를 제25통로(196)ㆍ제28통로(202)를 사이에 두고 제30통로(206)에 연통시키고 있으므로, 유압클러치(8)에 클러치압을 공급하여 걸어맞춤 시키고 있다.
시프트기구(104)가 중립위치(N)로 조작되면, 제1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매뉴얼 시프트 밸브(98)는 재4소경부(150)와 제2개방부(132)에 의하여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의 제1실(160)을 제27통로(200)에 의하여 오일팬에 연통함과 동시에 제4대경부(140)에 의하여 제22통로(96)를 봉쇄하고, 또 제3소경부(148)에 의하여 제2실(162)을 제26통로(198)에 의하여 오일팬에 연통한다.
이로써 시프트 서어보 밸브9102)는 제1실(160)의 라인압을 배출됨과 동시에 제2실(162)의 라인압을 배출되므로, 피스톤(158)이 이동을 저지되어 시프트 서어보 로드(164)를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유지시켜, 전후진 전환기구(10)를 전진 걸어맞춤상태(FWD)로 유지시킨다.
이때 매뉴얼 시프트 밸브(98)는 제23통로(100)를 봉쇄함과 동시에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에 의하여 제28통로(202)를 사이에 두고 제30통로(206)에 연통되어 있는 제25통로(196)를 오일팬에 연통하므로서, 유압 클러치(8)의 클러치압을 배출하여 이탈동작 시키는 것으로 된다.
시프트기구(104)가 후진 주행위치(R)에 조작되면, 제10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매뉴얼 시프트 밸브(98)는 제4소경부(150)와 제2개방부(132)에 의하여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의 제1실(160)을 제27통로(200)에 의하여 오일팬에 연통함과 동시에 제4대경부(140)가 제22통로(96)를 개방하고, 또 제3소경부(148)에 의하여 제2실(162)를 제26통로(198)에 의하여 제22통로(96)에 연통한다.
이로써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는 제1실 (160)의 라인압을 배출됨과 동시에 제2실 (162)에 라인압을 공급되므로, 피스톤(158)이 시프트 서어보 로드(164)를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시켜, 전후진 전환기구(10)를 후진 걸어맞춤상태인(REV)에 전환동작 시키는 것으로 된다.
이때, 매뉴얼 시프트 밸브(98)는 제23통로(100)를 제24통로(194)에 연통함과 동시에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에 의하여 제28통로(202)를 봉쇄하여 상기 제24통로(194)가 제29통로(204)를 사이에 두고 제30통로(206)에 연통되므로, 유압클러치(8)에 클러치압을 공급하여 걸어맞춤 동작시키는 것으로 된다.
시프트기구(104)가 주차위치(P)로 조작되면, 제9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매뉴얼 시프트 밸브(98)는 제4소경부(150)와 제2개방부(132)에 의하여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의 제1실(160)을 제27통로(200)에 의하여 오일팬에 연통함과 동시에 제3소경부(148)에 의하여 제2실(162)을 제26통로(198)에 의하여 제22통로(96)에 연통하고 있다.
이로써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는 제1실(160)의 라인압을 배출됨과 동시에 제2실(162)에 라인압을 공급되므로, 피스톤(158)이 시프트 서어보 로드(164)를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시킨상태로 유지하고, 전후진 전환기구(10)를 후진 걸어맞춤상태(REV)로 시키고 있다.
이때 매뉴얼 시프트 밸브(98)는 제23통로(100)를 봉쇄함과 동시에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에 의하여 제29통로(204)를 사이에 두고 제30통로(206)에 연통되어 있는 제24통로(194)를 오일팬에 연통시키므로 유압클러치(8)의 클러치압을 배출하여 이탈시키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시프트기구(104)가 저속 주행위치(L)로부터 전진 주행위치(D)ㆍ중립위치(N)ㆍ후진주행위치(R)ㆍ주차위치(P)의 순으로 조작된 경우에 시프트기구(104)의 각 조작위치(LㆍDㆍNㆍRㆍP)에 있어서 전후진 전환기구(10)는 이하와 같이 각각 전진 걸어맞춤(FWD)와 후진 걸어맞춤(REV)과의 걸어맞춤 상태로 된다.
즉, 전후진 전환기구(10)는 시프트기구(104)가 중립위치(N)로부터 후진 주행위치(R)로 조작되면, 전진 걸어맞춤상태(FWD)로부터 후진 걸어맞춤상태(REV)로 전환 동작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는 매뉴얼 시프트 밸브(98)의 각부에 의하여 구성된 유압공급배출기구(208)에 의하여 시프트기구(104)가 후진 주행위치 R로 부터 중립위치 N을 지나 전진 주행위치(D) 또는 전진 주행위치(D)로부터 중립위치(N)를 지나 후진 주행위치(R)로 조작되었을 때에는 전후진 전환기구(10)를 중립위치(N)까지 이 중립위치(N)의 앞의 후진 주행위치(R)에 있어서 후진 걸어맞춤상태(REV) 또는 전진 주행위치(D)에 있어서, 전진 걸어맞춤상태(FWD)로 유지시켜 시프트기구(104)가 중립위치(N)로부터 전진 주행위치(D) 또는 후진 주행위치(R)로 작되면, 전후진 전환기구(10)를 전진 걸어맞춤상태(FWD) 또는 후진 걸어맞춤상태(REV)로 전환 동작시키도록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에 유압을 공급배출하여 전환 동작시키고 있다.
이로써 변속기(2)에 설치한 전후진 전환기구(10)의 전진용 기어열(14)이나 후진용기어열(18)의 맞물림에 의하여 전환 동작이 불량으로 되었을 때에, 시프트기구(10)를 한번 중립위치로 조작한 후에 재차 전진 주행위치(D) 또는 후진 주행위치(R)에 조작함으로서 중립위치(N)에 있어서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의 유압을 한번 배출시켜 조작에 의한 재차의 전진 주행위치(FWD) 또는 후진 주행위치(REV)에 있어서 다시한번 서프트 서어보 밸브(102)로 유압을 공급시키므로, 전환동작이 확실히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또 시프트 기구(104)가 중립위치(N)으로부터 전진 주행위치(D) 또는 후진 주행위치(R)로 조작되면, 전후진 전환기구(10)를 전진 걸어맞춤상태(FWD) 또는 후진 걸어맞춤(REV)으로 전환동작 시키므로, 중립위치(N)에 있어서 이탈되어 있는 유압클러치(8)가 시프트기구(104)의 전진 주행위치(D) 또는 후진 주행위치(R)로의 조작에 의하여 걸어맞춤되는 상태에 있어서, 즉 유압클러치(8)가 완전히 걸어맞춤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전후진 전환기구(10)의 전환동작을 행하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전후진 절환기구(10)의 전환동작이 불량으로 되었을 때에는 한번 중립위치(N)로 되돌림으로서 전환동작의 불량을 해소하는 조작이 행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전후진 전환기구(10)의 전환동작의 불량해소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유압클러치(8)가 완전히 걸어맞춤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전후진 전환기구(10)의 전환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전후진 전환기구(10)의 특히 저온시에 있어서 전환동작음의 발생을 감소할 수가 있다.
그리고, 특별한 가공을 필요로 하는일 없이, 매뉴얼시프트 밸브(98)에 유압급배기구(208)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원가면에서 유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더욱,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시프트 서어보 밸브(102)의 제1ㆍ제2살(160ㆍ162)에 연통하는 제26통로(198) 및 제27통로(200)에 각각 제1조리개(210) 및 제2조리개(212)를 설치함으로써 전환동작음의 발생을 더욱 감소시킬 수가 있다.
(제2실시예)
이하 도면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4~2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표기하는 것이다.
제16도에서, 402는 차량의 변속기, 예를들면, 무단변속기이고, 404는 시프트 제어장치의 유압제어 회로이다. 이 무단변속기(402)는, 변속비를 연속적으로 변환시켜 내연기관(도시하지 않음)의 동력을 소요로 변환하여 인출하고, 유압제어회로(404)의 유압으로 동작되는 제1시이브(406)와 제2시이브(408)와 클러치, 즉 유압클러치(410)를 갖고 있다.
유압제어회로(404)에는, 오일펌프(4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오일펌프(412)는 오일팬(도시되지 않음)내의 오일을 흡인하고, 이 오일을 라인압 통로(414)로 보내어 제2시이브(408)로 공급하는 것이다.
오일팬과 오일펌프(412) 사이에는, 오일을 여과하는 오일스트레이너(4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라인압통로(414)에는, 제1통로(418)를 사이에 두고 제1라인압제어밸브(420)가 연통되고, 제2통로(422)를 사이에 두고 제2라인압제어밸브(424)가 연통되고, 제3통로(426)를 사이에 두고 레이시오압제어밸브(428)가 연통되고, 제4통로(430)를 사이에 두고 클러치압제러밸브(432)가 연통되고, 제5통로(434)를 사이에 두고 솔레노이드 레귤레이터 밸브(436)가 연통되고, 그리고, 제6통로(438)를 사이에 두고 릴리프 밸브(440)가 연통되고 있다.
상기 제1라인압제어밸브(420)와 제2라인압제어밸브(424)와는, 제7통로(442)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제1라인압제어밸브(420)에는 라인 솔레노이드(444)가 설치된 제8통로(446)가 연통되어 있다.
또 상기 레이서오압제어밸브(428)에는 레이시오 솔레노이드(448)가 설치된 제9통로(450)가 연통되어 있다.
제8통로(446)와 제9통로(450)는, 접속부(452)에서 접속되어 있다.
이 레이시오압제어밸브(428)는, 레이시오압통로(454)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시이브(406)에 연통하고 있다.
이 레이시오압통로(454) 도중에는 냉각제어밸브(456)에 연락하는 제10통로(458)가 접속되어 있다.
냉각제어밸브(456)에는 제11통로(460)를 사이에 두고 오일쿨러(462)가 연통되고, 클러치압통로(464)를 사이에 두고 상기 클러치압제어밸브(432)에 연락되고, 냉각오일통로(466)를 상기 유압블러치(410)에 연통되어 있다.
클러치압통로(464) 도중에는 제12, 13통로(468, 470)를 사이에 두고 매뉴얼 시프트 밸브(472)가 연통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압제어밸브(432)에는, 제14통로(474)를 사이에 두고 클러치 솔레노이드(476)가 연통되어 있다.
이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는, 서어보 실린더(482)와 이 서어보 실린더(482)내에서 이동하는 서어보 피스톤(484)과 서어보 피스톤(484)에 고정된 시프트 서어보 로드(486)와 시프트 서어보 로드(486)에 고정된 후술하는 전후진 전환기구(516)를 작동하는 시프트 포오크(488)를 갖고 있다.
또, 상기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와 매뉴얼 시프트 밸브(472)와는 클러치압이 작용하는 제16통로(490)와 제17통로(492)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제9통로(450)와 제10통로(454)와의 접속부(456)에는 클러치 솔레노이드(476)에 연통하는 제18통로(484)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제18통로(494)에는 레이시오압제어밸브(428)에 연락하는 제19통로(496)와 솔레노이드 레귤레이터 밸브(436)에 연통하는 제20통로(498-1, 498-2)와 라인압 제1제어밸브(420)에 연통하는 제21통로(500)와, 클러치압제어밸브(432)에 연통하는 제22통로(502-1, 502-2)가 연통되어 있다
또 상기 오일펌프(412)와 라인압 제2제어밸브(424) 사이에는 루우프 압퉁로(504)가 연통되어 있다. 이 루우프 압통로(504) 도중에는 루우프압 레귤레이터 밸브(506)가 개설되어 있다. 그리고 루우프압 통로(504)에는 각부의 윤활이나 냉각을 위하여 오일을 송급하는 제23통로(508)가 접속되어 제24통로(510)를 사이에 두고 클러치 압제어밸브(432)가 연락되고, 제25통로(512)를 사이에 두고 냉각제어밸브(456)가 연통되어 있다.
또 상기 라인 솔레노이드(444), 레이시오 솔레노이드(448), 클러치 솔레노이드(476)는 무단변속기(402)의 제어수단(ECU)(도시하지 않음)에 연락하여 이 제어수단에 의하여 작동제어 되는 것이다.
더욱, 상기 유압클러치(410)의 도시하지 않는 최종출력 축은, 제1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축(514)을 사이에 두고 도시하지 않는 구동차량에 연락되어 있다. 최종출력 축과 중간축(514)과의 사이에는, 전후진 걸어맞춤 상태를 전환하는 전후진 전환기구(5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후진 전환기구(516)는, 전진기어(518)와 후진기어(520)와 전환부재인 전환슬리브(522)를 갖고 있다. 전진기어(518)는 최종출력 축에 고정된 전진용 출력기어(524)와 전진용 출력기어(524)에 맞물리도록 중간축(514)에 회전자유로이 축박이된 전진용 전환기어(526)로 이루어진다.
또 후진기어(520)는, 최종출력 축에 고정된 후진용 출력기어(528)와 중간축(514)에 회전이 자유로이 축받이된 후진된 후진용 전환기어(530)와 후진용 출력기어(528) 및 후진용 전환기어(530)를 맞물림 연결시키는 도시하지 않는 아이들러 기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환 슬리브(522)는 중간축(514)에 축방향 이동가능 그리고 회전불가능하게 장착되고, 축방향 이동에 의하여 전진용 전환기어(526)와 후진용 전환기어(530)와의 어느 한편을 중간축(514)에 회전불가능으로 연결하고, 전후진 걸어맞춤 상태를 전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에는 클러치압니나 구동축 회전수 및 피구동측 회전수 신호와 같이 카브레이터 드로틀 개도, 카브레이터 이이들위치 액슬페달신호, 브레이크신호, 파워모우드옵션신호, 시프트레버 위치등의 각종 신호를 입력한다.
이 제어수단은, 입력하는 각종 신호에 의하여 무단변속기(402)의 벨트레이시오나 클러치 단속상태등을 각종 제어모우드에 의하여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전후진 전환기구(516)를 전환동작 시키기 위하여, 유압을 급배시키는 상기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는, 제19-2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보디(532)의 서어보 실린더(482) 내에 접동이 가능한 서어보 피스톤(484)를 설치하고 이 서어보 피스톤(484)에 시프트 서어보 로드(486)의 일단축을 연결하여 설치하고, 시프트 서어보 로드(486)에 전후진 전환기구(516)의 전환슬리브(522)에 걸어맞춤되는 시프트 포오크(488)를 고정설치하고 있다.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는 서어보 실린더(482) 내에 서어보 피스톤(484)에 의하여 구획형성된 제1실(534)에 유압이 공급됨과 동시에 제2실(536)의 유압이 배출되면 서어보 피스톤(484)이 시프트 서어보 로드(486)를 제18, 21도에 있어서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시켜 시프트 포오크(488)에 의하여 전환슬리브(522)를 전진용 전환기어(526)측으로 이동시켜, 전진용 전환기어(526)를 중간축(514)에 회전가능에 연결하고, 전진 걸어맞춤 상태로 전환한다.
한편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는 서어보 실린더(482) 내에 피스톤(484)에 의하여 구획형성된 제2실(536)에 유압이 공급됨과 동시에 제1실(534)의 유압이 배출되면 서어보 피스톤(484)이 시프트 서어보 로드(486)를 제18, 20도에 있어서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시켜 시프트 포오크(488)에 의하여 전환슬리브(522)를 후진용 전환기어(530)측으로 이동시켜 후진용 전환기어(530)를 중간축(514)에 회전불가능으로 연결하고, 후진 걸어맞춤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유압클러치(410)에 유압을 공급배출함과 동시에 상기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에 유압을 공급배출하기 위하여 무단변속기(402)의 시프트 기구(538)의 작동로드(540)에 의하여 전환동작되는 상기 매뉴얼 시프트 밸브(472)를 설치한다.
매뉴얼 시프트 밸브(472)는, 제19-2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보디(542)의 접동구멍(544) 내에 스푸울 밸브체(546)를 접동가능으로 내장하고 있다. 상기 밸브보디(542)에는 접동구멍(544) 내 주면에 환상의 제1흉부(548)~제7흠부(560)를 설치하고 있다. 또 상기 스푸울 밸브(546)는, 일단측을 상기 시프트 기구(538)의 작동로드(540)에 연속되고 접동구명(544)의 내주면에 미끄럼접촉하는 제1대경부(562)~제5대경부(570)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들 제1~제5대경부(562~570) 사이에 각각 제1소경부(572)~제4소경부(578)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매뉴얼 시프트 밸브(472)의 밸브보디(542)에 설치한 제1흠부(548)는, 제31통로(580)에 연통되어 있다.
이 제31통로(580)는 상기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의 제1실(534)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매뉴얼 시프트 밸브(472)의 밸브보디(542)에 설치한 제2흠부(550)는, 상기 제13통로(470)에 연통되고 유압클러치(410)에 작용하는 유압인 클러치압이 공급된다. 상기 매뉴얼 시프트 밸브(472)의 밸브보디(542)에 설치한 제3흠부(552)는 제32통로(582)에 연통되어 있다. 제32통로(582)는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의 제2실(536)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매뉴얼 시프트 밸브(472)의 밸브보디(542)에 설치한 제4흠부(554)는 도시하지 않는 오일팬에 연통되어 있다.
또 매뉴얼 시프트 밸브(472)의 밸브보디(542)에 설치한 제5흠부(556)는, 상기 제17통로(492)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매뉴얼 시프트 밸브(472)의 제6흠부(558)는, 상기 제12통로(468)에 연통되고, 유압클러치(410)에 작용하는 유압인 클러치압이 공급된다. 상기 매뉴얼 시프트 밸브(472)의 제7흠부(160)는, 제16통로(490)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유압클러치(410)는, 상기 제16, 17통로(490, 492)에 의하여 제15통로(487)를 사이에 두고 유압인 클러치압이 공급배출된다. 또, 제15통로(478) 도중에는 클러치압을 검출하는 압력센서(584)가 설치된다.
상시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의 불작동시에 상기 유압클러치(410)의 걸어맞춤을 저지하기 위하여 이 유압클러치(410)로의 유압인 클러치압의 공급을 정지하는 유압공급 정지기구(586)를 설치한다.
유압공급 정지기구(586)는, 상기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유압공급 정지기구(586)는,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의 밸브보디(532)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밸브보디(588)의 접동구멍(590) 내에 스푸울 밸브체(592)를 접동가능으로 내장하고 있다. 이 스푸울 밸브체(592)는, 상기 시트 서어보 로드(486)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보디(588)의 접동구멍(590)의 내주면에는 원환상의 제1흠부(594)~제6흠부(604)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스푸울 밸브체(592)는 접동구멍(590)의 내주면에 미끄럼접촉하는 제1대경부(606)~제3대경부(610)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들 제1~제3경대부(606~610) 사이에 제1소경부(612), 제2소경부(614)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유압공급 정지기구(586)의 밸브보디(588)에 설치한 제1흠부(594)는, 도시하지 않는 오일팬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유압공급 정지기구(586)의 제2흠부(596)는 제33통로(616)에 의하여 상기 제15통로(478)에 연통된다. 상기 유압공급 정지기구(586)의 제3흠부(598)는, 상기 제16통로(490)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유압공급 정지기구(586)의 제4흠부(600)는, 상기 제17통로(492)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유압공급 정지기구(586)의 제5흠부(602)는, 제 34통로(618)에 의하여 상기 제15통로(478)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유압공급 정지기구(586)의 제6흠부(604)는, 도시하지 않는 오일팬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무단변속기(402)의 유압제어회로(404)는 예를들면 2개의 제1, 제2라인압제어밸브(420, 424)를 갖고 있다.
상기 무단변속기(402)의 전후진 전환기구(516)를 전환동작시켜 유압을 공급배출하기 위하여 클러치압을 서어보 실린더압으로 하는 상기 시프트 서어보 밸브(490)을 설치함과 동시에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의 시프트 서어보 로드(538) 단부에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의 위치를 확인하는 확인스위치(62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전후진 전환기구(516)의 전진기어(518) 또는 후진기어(520)의 어느 한편의 기어와 전환슬리브(522)와의 걸어맞춤 상태가 확인스위치(620)에 의하여 걸어맞춤 불량인 것이 확인되었을 때에는 적어도 상기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의 서어보 실린더압을 일단 저하시켜 재차 서어보 실린더압을 상승시켜 전후진 전환기구(516)의 전진기어(518) 또는 후진기어(520)의 어느 한편의 기어와 전환슬리브(522)와의 걸어맞춤 상태의 불량을 해소하도록 구성한다.
상술하면 제1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진기어(518) 또는 후진기어(520)의 어느 한편의 기어, 예를들면 전진기어(518)의 전단 맞물림부(518a)와 전환슬리브(522)의 선단 맞물림부(522a)와의 각각의 단부가 당접하여 거이 일직선상에 정지하는 걸어맞춤 불량, 즉 포텐시오 메타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확인스위치(620)에서 위치를 확인한 경우에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의 시프트 서어보 로드(486)가 바른 위치에 없는 경우에는 클러치압을 일단 저하시켜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의 서어보 실린더압을 일단 저하시켜, 재차 클러치압을 상승시켜 서어보 실린더압을 상승시켜, 상기 전후진 전환기구(516)의 전진기어(518) 또는 후진기어(520)의 어느 한편의 기어와 전환슬리브(522)와의 걸어맞춤상태의 불량을 해소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더욱,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의 시프트 서어보 로드(486)가 바른 위치란, 제23~2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위치(N.D.L)에서 시프트 서어보 로드(486)가 A위치에 있음과 동시에, 조작위치(P. R)에서 시프트 서어보 로드(486)가 B위치에 있는 것이다.
다름에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량에 탑재된 내연기관의 구동력은, 무단변속기(402)에 의하여 소망의 토오크ㆍ회전수에 변환되어 인출되고 도시하지 않는 구동차륜을 구동한다.
이와 같은 무단변속기(402)에서 시프트 기구(538)에 의하여 무단변속기(402)를 주차위치(P)에 시프트하면 제19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매뉴얼 시프트 밸브(472)는 스푸울 밸브제(546)의 제1소경부(572)에 의하여 제31통로(580)를 도시하지 않는 오일팬 측에 연통하고, 제2소경부(574)에 의하여 제32통로(582)를 제13통로(470)에 연통하고, 제4대경부(568) 및 제5대경부(570)에 의하여 제12통로(468)를 폐쇄하고, 제3소경부(576)에 의하여 제17통로(492)를 오일팬 측에 연통함과 동시에 제5대경부(570) 외단에 의하여 제16통로(490)를 오일팬 측에 연통한다.
이것으로,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는, 제1실(534)의 클러치압이 배출됨과 동시에 제2실(536)에 클러치 압이 공급되고, 서어보 피스톤(484)이 시프트 서어보 로드(486)를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시켜 시프트 포오크(488)에 의하여 전환슬리브(522)를 후진용 전환기어(530) 측으로 이동시켜 후진용 전환기어(530)를 중간축(514)에 회전불가능으로 연결하고, 후진 걸어맞춤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유압공급 정지기구(586)는 스푸울 밸브체(592)의 제1밸브체(592)의 제1소경부(612)에 의하여 제16통로(490)와 제33통로(616)를 연통하고 있지만 매뉴얼 시프트 밸브(472)가 제12통로(468)를 폐쇄하여 제17통로(492) 및 제16통로(490)를 오일팬 축이 연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유압클러치(410)에 클러치압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유압클러치(410)가 걸어맞춤되지 않고 무단변속기(402)의 출력하는 구동력이 차단되고, 차량은 후진 불능으로 되어 있다.
상기 시프트 기구(538)에 의하여 무단변속기(402)를 후진주행위치(R)에 시프트하면, 제20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매뉴얼 시프트 벨브(472)는, 스푸울 밸브체(546)의 제1소경부(572)에 의하여 제31통로(580)를 오일팬 측에 연통하고, 제2소경부(574)에 의하여 제32통로(582)를 제13통로(470)에 연통하고, 제3소경부(576)에 의하여 제17통로(492)를 오일팬 측에 연통함과 동시에 제4소경부(578)에 의하여 제16통로(490)를 제12통로(468)에 연통한다.
이로서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는, 제1실(534)의 클러치압이 배출됨과 동시에 제2실(536)에 클러치압이 공급되고, 서어보 피스톤(484)이 시프트 서어보 로드(486)를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시켜 시프트 포오크(488)에 의하여 전환슬리브(522)를 후진용 전환기어(530) 측에 이동시켜 후진용 전환기어(530)를 중간축(514)에 회전불가능으로 연결하고, 후진 걸어맞춤 상태로 전환한다.
이때 유압공급 정지기구(586)는, 스푸울 밸브체(592)의 제1소경부(612)에 의하여 제16통로(490)와 제33통로(616)를 연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2통로(468)의 유압인 클러치압이 제16통로(490), 제33통로(616), 제15통로(478)를 사이에 두고 유압클러치(410)에 공급되고, 유압클러치(410)를 걸어맞추어 무단변속기(402)의 출력하는 구동력이 접속되고, 차량은 후진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기 시프트 기구(538)에 의하여 무단변속기(402)를 전진주행위치(D)에 시프트하면, 제2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매뉴얼 시프트 밸브(472)는, 스푸울 밸브체(546)의 제1소경부(572)에 의하여 제31통로(580)를 제13통로(470)에 연통하고, 제2소경부(574)에 의하여 제32통로(582)를 오일팬 측에 연통하고, 제3소경부(576)에 의하여 제17통로(492)를 제12통로(468)에 연통하고, 제4소경부(578)에 의하여 제16통로(490)를 오일팬 축에 연통한다.
이로서 시프트 서어보 배르(480)는, 제1실(534)에 클러치압이 공급됨과 동시에 제2실(536)의 클러치압이 배출되고 서어보 피스톤(484)이 시프트 서어보 로드(486)를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시켜 시프트 포오크(488)에 의하여 전환슬리브(522)를 전진용 전환기어(530) 측으로 이동시켜, 전진용 전환기어(530)를 중간축(514)에 회전가능으로 연결하고, 전진 걸어맞춤 상태로 전환한다.
이때 유압공급 정지기구(586)는, 스푸울 밸브체(592)의 제2소경부(614)에 의하여 제17통로(492)와, 제34통로(618)와를 연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12통로(468)의 유압인 클러치압이 제17통로(492), 제34통로(618), 제15통로(478)를 사이에 두고 유압클러치(410)에 공급되고, 유압클러치(410)를 걸어맞춤시켜 무단변속기(402)의 출력하는 구동력이 접속되고, 차량은 전지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기 시프트 기구(538)에 의하여 무단변속기(402)를 저속 주행위치(L)에 시프트하면, 제2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매뉴얼 시프트 밸브 (472)는, 스푸울 밸브체(546)의 제1소경부(572)에 의하여 제31통로(580)를 제13통로(470)에 연통하고, 제2소경부(574)에 의하여 제32통로(582)를 오일팬 측에 연통하고, 제3소경부(576)에 의하여 제17통로(492)를 제12통로(468)에 연통하고, 제4소경부(578)에 의하여 제16통로(490)를 오일팬 측에 연통한다.
이로서,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는, 제1실(534)에 클러치압이 배출됨과 동시에 제2실(536)의 클러치압이 배출되고, 서어보 피스톤(484)이 시프트 서어보 로드(486)를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시켜 시프트 포오크(488)에 의하여 전환슬리브(522)를 전진용 전환기어(530) 측으로, 이동시켜, 전진용 전환기어(530)를 중간축(514)에 회전가능으로 연결하고, 전진 걸어 맞춤상태로 전환한다.
이때, 유압공급 정지기구(586)는, 스푸울 밸브체(592)의 제2소경부(614)에 의하여 제17통로(492)와 제34통로(618)를 연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2통로(468)의 유압인 클러치압이 제17통로(492), 제34통로(618), 제15통로(478)를 사이에 두고 유압클러치(410)에 공급되고, 유압클러치(410)를 걸어맞춤시켜 무단변속기(402)의 출력하는 구동력이 접속되고 차량은 전진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술의 상기 시프트 기구(538)에 의하여 무단변속기(402)를 시프트 동작하는 경우에, 제1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들면 전진기어(518)의 선단 맞물림부(518a)와 전환슬리브(522)의 선단 맞물림부(522a)와 각각의 단부가 당접하여 거의 일직선상에 정지하고 걸엄맞춤 불량으로 되었을 경우에는 클러치압을 일단 저하시켜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의 서어보 실린더압을 일단 저하시킨다. 그리고 재차 클러치압을 상승시켜 서어보 실린더압을 상승시켜, 상기 전후진 전환기구(516)의 걸어맞춤 상태의 불량을 해소하는 것이다.
즉, 제14도의 시프트 제어용 플로우 챠아트에 따라 설명하면 차량의 도시하지 않는 내면기관의 구동에 의하여 시프트 제어용 플로우 챠아트의 프로그램이 스타트(300)한다.
그리고 시프트 동작이 예를들면 전진주행위치(D)로의 시프트 동작인가 아닌가의 판단(302)을 행한다. 이판단(302)이 NO의 경우에는 D위치 이와의 R,N,P의 각 위치를 위한 도시하지 않는 시프트 제어용 플로우 챠아트로 이행하고(304), 판단(302)이 YWS인 경우에는, 클러치압을 상승시킨다.(306). 클러치압을 상승시킨 후에 서어보 시린더압도 상승시킨다(308).
이 전진주행위치(D)로의 시프트 동작시에, 상기 확인스위치(620)에 의하여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의 시프트 서어보 로드(486)의 위치를 확인하고, 시프트 서어보 로드(486)의 위치가 바른 위치인가 아닌가를 확인스위치(620)에 의하여 판단(310)한다.
이 판단(310)이 YES인 경우에는, 리턴(324)으로 이행시켜 판단(310)이 YES인 경우, 즉 상기 시프트 서어보 로드(486)의 위치가 바른 위치에 없는 경우에는, 클러치압을 일단 저하시켜(312),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의 서어보 실린더압을 일단 저하시킨다(314). 그후, 재차 클러치압을 상승시켜(316), 시프트 서어보밸브(480)의 서어보 실린더압을 상승시켜(318), 전진기어(518)와 전환슬리브(522)와의 걸어맞춤 상태를 확실한 것으로 하고, 전진기어(518)와 전환슬리브(522)와의 걸어맞춤 상태의 불량을 해소한다.
그리고 상기 확인스위치(620)에 의하여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의 시프트 서어보 로드(486)의 위치를 확인하고, 시프트 서어보 로드(486)의 위치가 바른 위치인가 아닌가를 확인스위치(620)에 의하여 판단(320)한다.
이 판단(320)이 NO인 경우에는, 시프트 루우틴(322)을 경우하여 클러치압의 저하(312)로 이행시켜 판단(320)이 YES의 경우에는, 리턴(324)으로 이행시킨다.
이로서, 상기 시프트 서어보 로드(486)의 위치가 바른 위치에 없는 경우에는, 클러치압을 일단 저하시켜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의 서어보 실린더압을 일단 저하시켜, 전진기어(518)와 전환슬리브(522)와의 적어도 어느 한편을 약간 회전시켜, 그후, 재차 클러치압을 상승시켜 시프트 서어보 밸브(480)의 서어보 실린더 압을 상승시켜, 전진기어(518)와 전환슬리브(522)와의 걸어맞춤 상태를 확실한 것으로 할 수가 있고, 전진 기어(518)와 전환슬리브(522)와의 걸어맞춤 상태의 불량을 해소할 수 있어서 시프트 동작시의 차량의 발진 불능이나 챔퍼부위에 있어서 제동음의 발생, 전진기어(518)나 후진기어(520) 또는 전환슬리브(522)의 적어도 한쪽이 손상된다고 하는 좋지못한 상황을 회피할 수 있어서 실용상 유리하다.
또, 상기 유압제어회로(404)를 약간 변경할 뿐, 전진기어(518)나 후진기어(520), 그리고 전환슬리브(522)에 제작상 특별히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구성을 간략히 유지할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하고, 코스트를 저렴으로 할 수 있어서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다.
(발명의 효과)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변속기에 설치한 전후진 전환기구의 전환동작이 불량하게 되었을 때 시프트 기구를 한번 중립위치에 조작한 후에 재차 전진주행위치 또는 후진주행위치로 조작함으로서 유압공급 배출 기구에 의하여 전후진 전환기구를 후진 걸어맞춤상태 또는 전진 걸어맞춤 상태로 한번 되돌린 후, 재차 전진 걸어맞춤상태 또는 후진 걸어맞춤 상태로 전환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전환동작의 불량을 해소하는 조작이 행해지는 것으로 된다. 또 중립위치로부터 전진주행위치 또는 후진주행위치로 조작되면, 유압공급 배출 기구에 의하여 전후진 전환기구를 전진 걸어맞춤상태 또는 후진 걸어맞춤 상태로 전환동작되므로, 중립위치에서 이탈되어 있는 유압클러치가 시프트 기구의 전진주행위치 또는 후진주행위치로의 조작에 의하여 걸어 맞춤되는 상태에 있어서 즉, 유압클러치가 완전히 걸어맞춤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전후진 전환기구의 전환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한번 중립위치로 되돌림으로서 전환동작의 불량을 해소하는 조작을 행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전후진 전환기구의 전환동작의 불량해소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또, 유압클러치가 완전히 걸어맞춤 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전후진 전환기구의 전환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전후진 전환기구의 특히 저온시에 있어서 전환동작음의 발생을 감소할 수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무단변속기의 전후진 걸어맞춤 상태를 전환하는 전후진 전환기구를 전환동작시켜 유압을 공급배출하기 위하여 클러치압을 서어보 실린더압으로 하는 시프트 서어보 밸브를 설치하고, 시프트 서어보 밸브의 시프트 서어보 로드 단부에 시프트 서어보 밸브위치를 확인하는 확인스위치를 설치하고, 전후진 전환기구의 걸어맞춤 상태가 확인스위치에 의하여 걸어맞춤 불량이라고 확인된 경우에 서어보 실린더압을 일단 저하시켜 재차 서어보 실린더압을 상승시켜 전후진 전환기구의 걸어맞춤 상태의 불량을 해소하기 위하여 구성하였으므로, 시프트 서어보 로드등의 위치가 바른 위치에 있지 않는 경우에, 서어보 실린더압을 일단 저하시켜, 그후 재차 서어보 실린더압을 상승시켜 전진기어 또는 후진기어와 전환슬리브와의 걸어맞춤 상태를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고, 전후진 전환기구의 걸어맞춤 상태의 불량을 해소할 수 있어서 시프트 동작시의 차량의 발진불능이나 챔퍼부위에 있어서 제동음의 발생전진기어, 후진기어 또는 전환슬리브의 적어도 한쪽이 손상된다고 하는 단점을 회피할 수 있어서, 실용상 유리하다.
또 상기 전진기어나 후진기어, 그리고 전환슬리브에 제작상 특별히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구성을 간략히 유지할 수 있어서 제작이 용이하고 코스트를 저렴으로 할 수 있어서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Claims (2)

  1. 유압에 의하여 걸어맞춤 이탈동작되는 유압클러치와 전후진 걸어맞춤 상태로 전환동작되는 전후진 전환기구를 갖는 변속기의 시프트 기구에 의하여 전환동작되어 유압을 공급배출하는 매뉴얼 시프트 밸브를 설치하고, 이 매뉴얼 시프트 밸브에 의한 유압의 공급배출에 의하여 전환동작되어 상기 유압클러치에 유압을 공급배출함과 동시에 상기 전후진 전환기구를 전환동작하는 시프트 서어보 밸브를 설치한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기구가 후진주행위치로부터 중립위치를 지나 전진주행위치에 조작될때는, 상기 전후진 전환기구를 중립위치까지 후진 걸어맞춤 상태로 유지시켜 전진주행위치로 조작되면 전진 걸어맞춤 상태로 전환동작됨과 동시에 상기 시프트 기구가 전진주행위치로부터 중립위치를 지나 후진주행위치로 조작되었을 때에는 상기 전후진 전환기구를 중립위치까지 전진 걸어맞춤 상태로 유지시켜 후진 주행위치로 조작되면 후진 걸어맞춤 상태로 전환동작 되도록 상기 시프트 서어보 밸브에 유압을 공급배출하여 전환동작되는 유압공급 배출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
  2.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내연기관의 구동력을 소요의 변속비로 변환하여 인출함과 동시에 출력하는 구동력을 단속하기 위하여 유압의 공급배출에 의하여 걸어맞춤 또는 이탈동작되는 유압클러치를 갖는 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무단변속기의 전후진 걸어맞춤 상태를 전진기어와 후진기어와 양기어 사이의 전환부재에 의하여 전환되는 전후진 전환기구를 설치하고 이 전후진 전환기구를 전환동작시켜 유압을 공급배출하기 위하여 클러치압을 서어보 실린더압으로 하는 시프트 서어보 밸브를 설치하고, 시프트 서어보 밸브의 시프트 서어보 로드 단부에 시프트 서어보 밸브위치를 확인하는 확인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전후진 전환기구의 전진기어 또는 후진기어의 어느 한편의 기어와 전환 부재와의 걸어맞춤 상태가 확인스위치에 의하여 걸어맞춤 불량이라고 확이되었을 때에는 적어도 상기 시프트 서어보 밸브의 서어보 실린더압을 일단 저하시켜 재차 서어보 실린더압을 상승시켜 전후진 전환기구의 전진기어 또는 후진기어의 어느 한쪽의 기어와 전환부재와의 걸어맞춤 상태의 불량을 해소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
KR1019910011035A 1990-06-30 1991-06-29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 KR930010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73496A JP3035998B2 (ja) 1990-06-30 1990-06-30 変速機のシフト制御装置
JP2173494A JP3013398B2 (ja) 1990-06-30 1990-06-30 変速機のシフト制御装置
JP2-173494 1990-06-30
JP2-173496 1990-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451B1 true KR930010451B1 (ko) 1993-10-25

Family

ID=2649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1035A KR930010451B1 (ko) 1990-06-30 1991-06-29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134903A (ko)
KR (1) KR930010451B1 (ko)
DE (1) DE4121774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3878A (en) * 1992-06-01 1993-08-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Closed loop control for transmission shift fork position
GB9221205D0 (en) * 1992-10-08 1992-11-25 Massey Ferguson Sa Transmission units
WO1994015809A1 (en) * 1992-12-30 1994-07-21 Hyundai Motor Company A shift control device of a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5655993A (en) * 1995-04-17 1997-08-12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Shift control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KR0154049B1 (ko) * 1995-08-22 1998-10-15 전성원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CA2250978A1 (en) 1997-10-25 1999-04-25 Bombardier Inc. Transmission system for a straddle type vehicle
DE502005006512D1 (de) * 2004-05-15 2009-03-12 Luk Lamellen & Kupplungsbau Vorrichtung zum Ansteuern einer Mehrzahl von hydraulischen Schaltzylindern sowie Hydraulikversorgungssystem für ein Doppelkupplungsgetriebe
DE102006014946A1 (de) * 2006-03-31 2007-03-29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utomatgetriebes
DE102006014947A1 (de) * 2006-03-31 2007-10-04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utomatgetriebes
DE102006014941A1 (de) * 2006-03-31 2007-05-24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utomatgetriebes
DE102014218311A1 (de) * 2014-09-12 2016-03-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Zwischenrad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getrieb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6990A (en) * 1979-01-02 1981-01-27 Westinghouse Air Brake Company Remote control system for an automotive transmission in an earth-moving vehicle
JPS57144338A (en) * 1981-02-26 1982-09-06 Nissan Motor Co Ltd Shifter for automatic gear change
JPS57144339A (en) * 1981-02-28 1982-09-06 Nissan Motor Co Ltd Shifter for automatic gear change
JPS58156754A (ja) * 1982-03-10 1983-09-17 Nissan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バルブ
JPS58211060A (ja) * 1982-06-01 1983-12-08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変速制御装置
JPS60159452A (ja) * 1984-01-31 1985-08-20 Fuji Heavy Ind Ltd 無段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JPS60159453A (ja) * 1984-01-31 1985-08-20 Fuji Heavy Ind Ltd 無段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JPS62196443A (ja) * 1986-02-21 1987-08-29 Toyota Motor Corp 車両用変速装置のシフト制御方法
JPS631840A (ja) * 1986-06-23 1988-01-06 Toyota Motor Corp 副変速機を備えた車両用変速装置
JPS6474344A (en) * 1987-09-17 1989-03-20 Honda Motor Co Ltd Controller for hydraulic operation type transmission for vehicle
GB2210120B (en) * 1987-09-17 1991-09-04 Honda Motor Co Ltd A hydraulically operated vehicular transmission
JPS6474345A (en) * 1987-09-17 1989-03-20 Honda Motor Co Ltd Controller for hydraulic operation type transmission for vehicle
JPH0198741A (ja) * 1987-10-13 1989-04-17 Daihatsu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H0289865A (ja) * 1988-09-22 1990-03-29 Toyota Motor Corp 車輌用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2755367B2 (ja) * 1988-09-16 1998-05-2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における油圧制御装置
JP2923953B2 (ja) * 1988-09-16 1999-07-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121774A1 (de) 1992-01-09
US5134903A (en) 1992-08-04
DE4121774C2 (de) 199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6503B2 (en) Speed-changing device
CN101936388B (zh) 采用双轴线链条的dct变速器
KR930010451B1 (ko) 변속기의 시프트 제어장치
US4709793A (en) Parking mechanism for transmissions
RU2310117C2 (ru) Автомобильная многоступенчатая коробка передач
US4790215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 of two part type transmission providing limited time for auxiliary transmission overdrive engagement with main transmission speed reduction engagement
JP4515592B2 (ja) 車両の自動変速装置
JP3674253B2 (ja) 同期装置付き変速機
US6732601B2 (en) Control apparatus of an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KR100446989B1 (ko) 수동변속기 장착용 자동변속장치
EP0451271B1 (en) Automatic transmission equipped with auxiliary hydraulic speed-changing gears
US4462276A (en)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with overdrive device
JP3035998B2 (ja) 変速機のシフト制御装置
JP2699328B2 (ja) 車両用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変速比制御方法
JP3013398B2 (ja) 変速機のシフト制御装置
CN213479072U (zh) 重载车辆变速箱
CN206112053U (zh) 一种自动换挡变速箱的控制结构
KR0136140B1 (ko) 수동변속기 차량을 위한 자동변속장치
JP7024404B2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制御装置
JP3035997B2 (ja) 変速機のシフト装置
JPH0237322Y2 (ko)
JP6206319B2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制御装置
JP2004003674A (ja) 車両用変速機の制御装置
JP2764190B2 (ja) 無段変速機のシフト制御装置
JPH05248533A (ja) 自動変速機のワンウェイクラッチフリクション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