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386B1 - 테스트 용이화 회로 - Google Patents

테스트 용이화 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386B1
KR930010386B1 KR1019900019271A KR900019271A KR930010386B1 KR 930010386 B1 KR930010386 B1 KR 930010386B1 KR 1019900019271 A KR1019900019271 A KR 1019900019271A KR 900019271 A KR900019271 A KR 900019271A KR 930010386 B1 KR930010386 B1 KR 930010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main module
module
main
tes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0695A (ko
Inventor
도시유끼 야구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10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3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81Functional testing
    • G01R31/3185Reconfiguring for testing, e.g. LSSD, partitioning
    • G01R31/318505Test of Modular systems, e.g. Wafers, MC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st And Diagnosis Of Digital Computers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스트 용이화 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테스트 용량화 회로를 설치한 논리 회로의 개략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논리 회로에 있어서의 테스트 모드시의 동작을 표시한 플로우챠트.
제3도는 제1도의 테스트 용이화 회로를 설치하지 않은 논리 회로의 개략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OR 게이트 11, 12, 13 : 인버터
14 : 선택기 15, 16 : 3상 버퍼
17 : AND 게이트 11: 테스트 I/O(제어선,테이타선)
12, 13, 1ACK1, 1ACK2: 제어선 14: R/W : 제어선
15: 어드레스 제어선 16: 데이타 제어선
1S: 통상동작 모드 제어선 1T: 테스트 모드 제어선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시스템 LSI 내에 설치되는 테스트 용이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세히는 복수의 주 모듈이 복수의 종속 모듈을 억세스하는 구성의 시스템 LSI에 설치되는 테스트 용이화 회로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주 모듈이 복수의 종속 모듈을 억세스하도록 접속된 공유버스를 가진 시스템 LSI를 테스트 할 때에 각 모듈의 기억요소로의 데이터의 설정/독출을 행할 필요가 있지만, 종래는, 논리 회로의 테스트 용이화 수법으로써, 전체의 모듈에 대하여 병렬 주사(parallel scan) 방식 또는 직렬 주사 방식이 이용되고 있었다.
병렬 주사 방식은, 논리 회로내에 있어서의 각 모듈, 예를 들면 레지스터의 어드레스를 선택하여 논리 회로의 테스트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직렬 주사 방식과 비교하여 테스트 효율은 높다. 그러나, 모듈마다 테스트 용이화 회로(예를 들면,어드레스 버스,데이터 버스,선택기 등)을 설치해야 하며, 그부분 테스트 용이화 회로의 수가 많이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시스템 LSI 전체의 규모가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직렬 주사 방식은, 병렬 주사 방식과 비교하여 테스트 용이화 회로의 수가 적은 반면, 보다 긴 테스트 시간을 필요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병렬 주사 방식은 직렬 주사 방식과 비교하여, 효율이 좋은 테스트를 행할 수 있는 반면에, 필요하게 되는 테스트 용이화 회로의 수가 많고, 그 때문에 회로 규모가 커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 직렬주사 방식에서는 테스트 시간이 길게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결점은, LSI의 집적도가 커짐에 따라서 현저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비추어 된 것으로, 그 목적하는 바는 테스트 모드시의 기억요소로의 데이터의 설정/독출하는데 있어서, 통상 동작시의 회로동작을 이용함으로써, 회로규모가 작고 또한 테스트 효율이 좋은 테스트 용이화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테스트 용이화 회로는, 주로 복수의 주 모듈과 복수의 종속 모듈, 상기 주 모듈과 상기 종속 모듈을 접속하는 공유버스, 및 상기 공유버스의 사용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에 설치되고, 테스트 모드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주 모듈내의 제1주 모듈로 송신되는 확인 신호의 송신을 테스트 모드시에 금지시키고, 상기 제1주 모듈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상기 복수의 종속 모듈의 확인 신호 입력으로 출력하기 위한 접속 수단, 테스트 모드시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주 모듈 이외의 주 모듈로 송신된 상기 확인 신호를 마스크하는 마스크 수단, 테스트 모드시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내의 기억부로의 초기 설정을 행하고 상기 기억부 내의 데이터를 독출하는 입출력 수단, 및 테스트 모드시에 있어서, 상기 제1주 모듈내의 공유버스 제어회로 및 상기 종속 모듈내의 기억부를 통상 동작시키는 통상 동작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테스트 용이화 회로는, 테스트 모드에 있어서 접속 수단을 이용하여 조정 수단으로부터 제1주 모듈에 송신되는 인식신호의 송신을 금지시킨다. 그리고, 제1주 모듈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종속 모듈의 확인 신호 입력으로 출력하고, 다음에 조정 수단으로부터 제1주 모듈 이외의 주 모듈로 송신되는 인식신호를 마스크 수단에 의해 마스크하고, 그 후, 테스트 데이터를 입출력 수단을 통해 주 모듈내의 기억부로 초기 설정한다. 최후로, 통상 동작 수단에 의해 시스템 전체를 동작시켜 테스트를 실행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시스템 LSI의 한 예로서, 논리 회로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논리 회로의 개략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1도는 제3도의 논리 회로에 본 실시예의 테스트 용이화 회로를 설치한 경우의 개략 구성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제1주 모듈, (2)는 제2주 모듈, (3)은 주 모듈(1 및 2)가 공유버스(40)를 사용할때의 사용권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으로서의 버스 중재자(bus arbiter), (4 및 5)는 종속 모듈이다. 종속 모듈(4 및 5)내에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4a 및 5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 모듈(1)내에는 기억부로서, 스테이트 머신(state machine,la) 및 버스 인터페이스(1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테이트 머스(1a)내에는 명령을 격납하는 명령 레지스터(IR;1C)가 구비되어 있다. 또, 버스 인터페이스(1b)내에는 데이터 레지스터(DR;1e) 및 어드레스 레지스터(AR;1d)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 모듈(1)내에는, 기억부로서 IR(1c), DR(1e) 및 AR(1d)가 구비되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논리 회로에 있어서, 아래에 도시하는 본 실시예의 테스트 용이화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즉, 테스트 용이화 회로의 요소로서, 논리 회로를 테스트 모드로 전환하는 테스트 모드 제어선 1T는, 인버터(11) 및 OR회로(10)를 통하고, 또한 논리 회로를 통상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통상 동작 모드 제어선 1s는 OR회로(10)를 통하여 제1주 모듈(1)내의 스테이트 머스(1a)에 접속되었다. 더욱이, 버스 중재자(3)으로부터 주 모듈(1)로 송신되는 확인 신호를 정지하는 3상(tri-state) 버퍼(16)은, 제어선 1ACK1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다. 이 3상 버퍼(16)는 테스트 모드시에 인버터(12)를 통해 3상으로 제어된다. 주 모듈(1)로부터 종속 모듈(4 및 5)로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기 위한 3상 버퍼(15)의 출력측은, 제어선 1ACK1과 접속되어 있다. 주 모듈(1)로부터 출력된 억세스 신호는, 테스트 모드시에, 3상버퍼(15) 제어선 1ACK1및 제어선 12를 통해 기억부(4a)로 송신되고, 또한, 제어선 12, 선택기(14) 및 제어선 13를 통해 기억부(5a)로 송신된다. 또한, 선택기(14)는 인버터(13)에 의해 제어되고, 테스트 모드시에는 주 모듈(1)로부터의 억세스 신호를 선택하며, 보통 모드시는 버스 중재자(3)으로부터의 확인 신호를 선택한다. 더구나, 테스트 모드시에 버스 중재자(3)으로부터 출력된 확인 신호는 마스크 수단인 AND 게이트(17)에 의해 마스크되므로, 주 모듈(2)로는 송신되지 않는다. AND 게이트(17)의 동작은 테스트 모드 상태를 전하는 인버터(13)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접속 수단은, 3상 버퍼(15 및 16), 제어선 12및 13, 및 선택기(14)로 구성되어 있고, 마스크 수단은 AND 게이트(17)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출력 수단은 테스트 I/O 버스(제어선,데이터 11)로 구성되어 있고, 통상 동작 수단은 통상 동작 제어선 1s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테스트 용이화 희로에서의 테스트 동작순서를 설명한다.
제2도는 테스트 동작순서를 표시한 플로우챠드이다. 즉, 제2a도는 기억부(4a 및 5a)로의 서입 테스트 플로우챠트, 제2b도는, 기억부(4a 및 5a)로 부터의 독출 테스트의 플로우챠트이다.
우선, 기억부(4a 및 5a)로의 데이터 서입 테스트에에 관하여 설명한다. 테스트 모드 제어선 1T에 있어서 TMOD를 레벨1로 한다. 이로 인해, 논리 회로내의 통상 동작은 정지하여 테스트 모드로 된다. 이 테스트 모드에서는 3상 버퍼(15), 인버터(12 및 13)를 통하여 3상 버퍼(16), AND 게이트(17), 선택기(14), 그리고 주 모듈(2)를 테스트 모드로 한다. 또한, 인버터(11) 및 OR 게이트(10)를 통해, 주 모듈(1), 종속 모듈(4 및 5)를 테스트 모드로 한다. 더욱이, 버스 중재자(3)로부터 제1주 모듈(1)로 송신되는 확인 신호는 3상 버퍼(16)에 의해 금지된다. 그리고, 각 종속 모듈(4 및 5)의 확인 신호 입력으로는, 주 모듈(1)로부터의 억세스 신호가 선택된다. 더구나, 버스 중재자(3)으로부터 주 모듈(1) 이외의 주 모듈, 즉, 본 실시예에서는 주 모듈(2)로 송신되는 확인 신호가 AND 게이트(17)에 의해 마스크 된다(스텝 S4). 상기 상태를 보존하면서, 테스트 I/O 제어선 11을 통해 DR(1c)로 공유버스 제어 데이터[공유버스(40)으로의 서입 명령]를 셋트한다(스텝 S2). 그리고, 테스트 I/O 제어선 11를 통해 기억부(4a 및 5a)의 어드레스를 AR(1d)로 서입한다(스텝 S3). 다음에, 테스트 I/O 제어선 11를 통해 DR(1e)내로 데이터를 서입하다(스텝 S4). 최후로, 통상 동작 제어선 1s를 통해 SICLK를 레벨1로 한다. 이로 인해, 주 모듈(1) 및 종속 모듈(4 및 5)의 기억부는 통상의 동작을 행하고, 3상 버퍼(15), 제어선 1ACK1및 12, 선택기(14), 제어선 13을 통해 확인 신호가 기억부(4a 및 5a)로 송신된다. 그후 DR(1e)내의 테스트 데이터는, 공유버스(40)를 통해 AR(1d)내의 어드레스 값이 지시하는 기억부로 서입한다(스텝 S5).
다음에, 기억부(4a 및 5a)로부터의 데이터의 독출 테스트에 관하여 설명한다. 테스트 모드 제어선 1T를 통해 TMOD를 레벨1로 하여 테스트 모드로 한다. 이로 인해 통상의 동작은 정지하다. 이 동작은 전술한 서입 테스트와 같은 것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스텝 S10). 다음에 테스트 I/O 제어선 11를 통해, IR(1c)로 공유버스 제어 데이터[공유버스(40)으로부터의 독입 명령]을 셋트한다(스텝 S11). 다음에, 테스트 I/O 제어선 11을 통해 독입처의 기억부(4a 또는 5a)의 어드레스를 AR(1D)로 독입한다(스텝 S12). 다음에, 통상 동작 제어선 1s를 통해 SICLK를 레벨1로 한다. 이로 인해, AR(1d)내의 어드레스가 지시하는 기억부는 통상 동작을 개시하고, AR(1d)내의 어드레스가 지시하는 기억부의 데이터는 공유버스(40)을 통해 DR(1e)내로 독입된다(스텝 S13).
최후로, 테스트 I/O 11로부터의 DR(1e)의 데이터를 독출한다(스텝 S14).
이상과 같이, 테스트 모드의 동작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테스트 용이화 회로는 복수의 주모듈 및 복수의 종속 모듈에 의해 구성된 논리 회로에 있어서, 각 모듈마다 테스트 용이화 회로를 설치할 필요는 없고, 주 모듈(1)과 관계하는 모듈 전체에 1개 설치하면 좋고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또, 테스트 동작에 관해서도 주 모듈(1)만을 중심으로 하여 테스트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므로 동작 효율이 높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 모듈 및 종속 모듈은 각각 2개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주 모듈 및 종속 모듈은 각각 복수개의 경우라도 같은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LSI인 논리 회로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공유버스를 구비한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등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테스트 용이화 회로는 주 모듈 및 종속 모듈의 수가 증가하는 시스템 LSI에 있어서도 테스트 용이화 회로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효율이 높은 테스트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고집적도의 시스템 LSI에 탑재할 수 있고 또한 테스트 효율이 높으므로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2)

  1. 테스트 모드에 있어서, 조정 수단으로부터 복수의 주 모듈내의 제1주 모듈로 송신되는 확인 신호의 송신을 테스트 모드시에 금지시키고, 상기 제1주 모듈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복수의 종속 모듈의 확인 신호입력으로 출력하기 위한 접속 수단(14-16,12,13), 테스트 모드시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주 모듈 이외의 주 모듈로 송신된 상기 확인 신호를 마스크하는 마스크 수단(17), 테스트 모드시에 있어서, 상기 제1주 모듈내의 기억부로의 초기 설정을 행하고, 상기 기억부내의 데이터를 독출하는 입출력 수단(11), 및 테스트 모드시에 있어서, 상기 제1주 모듈내의 공유버스 제어 회로 및 상기 종속 모듈내의 기억부를 통상 동작시키는 통상 동작 수단(1s)를 구비하고, 주로 복수의 주 모듈(1,2), 복수의 종속 모듈(4,5), 상기 주 모듈과 상기 종속 모듈을 접속하는 공유버스(40), 및 상기 공유버스의 사용을 조정하는 조정수단(3)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용이화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이 3상 버퍼(15,16) 및 선택기(14)로 구성되고, 상기 마스크 수단이 AND 게이트(1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용이화 회로.
KR1019900019271A 1989-11-28 1990-11-27 테스트 용이화 회로 KR930010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306442 1989-11-28
JP1-306442 1989-11-28
JP1306442A JPH07113655B2 (ja) 1989-11-28 1989-11-28 テスト容易化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695A KR910010695A (ko) 1991-06-29
KR930010386B1 true KR930010386B1 (ko) 1993-10-23

Family

ID=1795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9271A KR930010386B1 (ko) 1989-11-28 1990-11-27 테스트 용이화 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59263A (ko)
EP (1) EP0430128B1 (ko)
JP (1) JPH07113655B2 (ko)
KR (1) KR930010386B1 (ko)
DE (1) DE69017367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821Y1 (ko) * 2017-06-23 2018-11-07 김은기 티슈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217B2 (ja) * 1990-04-24 1995-03-06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JPH04328476A (ja) * 1991-04-30 1992-11-17 Toshiba Corp Lsi
US5513190A (en) * 1991-10-28 1996-04-30 Sequoia Semiconductor, Inc. Built-in self-test tri-state architecture
US5534774A (en) * 1992-04-23 1996-07-09 Intel Corporation Apparatus for a test access architecture for testing of modules within integrated circuits
JP2861973B2 (ja) * 1996-10-11 1999-02-2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集積論理回路のテスト回路
US6282600B1 (en) * 1998-08-14 2001-08-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resolving conflicting register access requests from a service processor and system processor
DE19911939C2 (de) * 1999-03-17 2001-03-22 Siemens Ag Verfahren für den eingebauten Selbsttest einer elektronischen Schaltung
JP3293813B2 (ja) * 1999-11-25 2002-06-17 エヌイーシーマイクロシステム株式会社 通信用lsi
US20040117708A1 (en) * 2002-12-16 2004-06-17 Ellis David G. Pre-announce signaling for interconnect built-in self test
FR2854967B1 (fr) * 2003-05-13 2005-08-05 St Microelectronics Sa Procede et dispositif d'identification d'un mode de fonctionnement d'un dispositif controle, par exemple un mode test d'une memoire eeprom
JP2005141532A (ja) * 2003-11-07 2005-06-02 Kawasaki Microelectronics Kk システムデバッグ装置
WO2006061668A1 (en) 2004-12-07 2006-06-15 Infineon Technologies Ag Test time reduction for multi-chip modules (mcm) and for system-in-packages (sip)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1940A (en) * 1978-02-28 1980-01-01 Westinghouse Electric Corp. Multiprocessor for providing fault isolation test upon itself
US4342084A (en) * 1980-08-11 1982-07-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in storage validation means
US4371754A (en) * 1980-11-19 1983-02-01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Automatic fault recovery system for a multiple processor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control
JPS60223250A (ja) * 1984-04-19 1985-11-07 Toshiba Corp 情報伝送装置
JPH0746120B2 (ja) * 1986-03-10 1995-05-17 株式会社東芝 テスト容易化回路及びテスト方法
US4821269A (en) * 1986-10-23 1989-04-11 The Grass Valley Group, Inc. Diagnostic system f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US4970454A (en) * 1986-12-09 1990-11-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ackaged semiconductor device with test circuits for determining fabrication parameters
KR910006241B1 (ko) * 1988-12-14 1991-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 테스트모드 선택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821Y1 (ko) * 2017-06-23 2018-11-07 김은기 티슈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17367D1 (de) 1995-04-06
KR910010695A (ko) 1991-06-29
EP0430128A2 (en) 1991-06-05
JPH03167487A (ja) 1991-07-19
DE69017367T2 (de) 1995-07-27
US5159263A (en) 1992-10-27
JPH07113655B2 (ja) 1995-12-06
EP0430128A3 (en) 1992-05-06
EP0430128B1 (en) 1995-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0386B1 (ko) 테스트 용이화 회로
US5509019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test control circuit in input/output area
JP3478033B2 (ja) フリップフロップ回路
US8185790B2 (en) Resynchronization memory in series/parallel with control/output data scan cells
US5911039A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functional modules each performing predetermined function
US5528610A (en) Boundary test cell with self masking capability
JPH11238399A (ja) 半導体メモリ装置
KR960004457B1 (ko) 데이터 전송장치
US4500953A (en) Data transfer abnormality processing system
US4707833A (en) Fault-compensating digital information transfer apparatus
JPH11153650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6611904B1 (en) Memory access address comparison
JPS6242306B2 (ko)
EP0565866B1 (en) Large-scale integrated circuit device
EP0344677A2 (en) Microprocessor system
US5537355A (en) Scheme to test/repair multiple large RAM blocks
EP0929042B1 (en) Bus controller in a data processor
JP2737932B2 (ja) 画像データ縮小装置
JPS638497B2 (ko)
JP2642132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
JPH1115794A (ja) 並列データ処理装置
JPH056181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H0343850A (ja) データ転送装置
JPH0721054A (ja) 半導体集積回路のテスト方法
KR19990011185A (ko) 입출력보드의 데이터 버퍼 메모리 확장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