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370B1 - 요철모양도막의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요철모양도막의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370B1
KR930009370B1 KR1019910002918A KR910002918A KR930009370B1 KR 930009370 B1 KR930009370 B1 KR 930009370B1 KR 1019910002918 A KR1019910002918 A KR 1019910002918A KR 910002918 A KR910002918 A KR 910002918A KR 930009370 B1 KR930009370 B1 KR 930009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undercoat
solvent
coating
co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2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1265A (ko
Inventor
히로시 이가라시
오사무 테라오
노부히데 쓰쓰미
유끼오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다이닛뽕도료가부시끼가이샤
사사 다께지로
다이닛뽕인사쓰가부시끼가이샤
기따지마 요시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닛뽕도료가부시끼가이샤, 사사 다께지로, 다이닛뽕인사쓰가부시끼가이샤, 기따지마 요시또시 filed Critical 다이닛뽕도료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21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1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 B05D7/58No clear coat specified
    • B05D7/587No clear coat specified some layers being coated "wet-on-wet", the others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 B05D5/061Special surface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451/00Type of carrier, type of coating (Multi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2/00Acrylic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8/00Poly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요철모양도막의 형성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요철모양도막의 일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재 2 : 밑칠도막
3 : 중간칠도막 4 : 윗칠도막
본 발명은 의장성이 뛰어난 요철모양도막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소비자의 고급품 지향이나 요구의 다양화로 인하여, 가전제품, 건축자재 등의 각종 제품에 요철모양도막을 시행한 의장성이 있는 제품이 요망되고 있다.
종래, 그러한 제품에 요철모양도막을 시행하는 방법으로서는 다음의 방법이 대표적인 것으로서 알려지고 있다.
(a) 결합제인 수지와 상용성이 나쁜 첨가제를 배합한, 실리콘오일이나 알킬 비닐 에테르계 소포제와 같은 도료를 도포하는 방법(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 160670/1984 호).
(b) 발포제를 배합한 도료를 도포하는 방법(일본국 특허공고공보 제 6278/1988 호 및 제 11315/1990 호).
(c) 미경화도막을 엠보스판으로 엠보스 가공하는 방법(일본국 특허공고공보 제 40076/1987 호 및 제 59030/1989 호).
그러나, 상기 (a)의 방법은 시이징(cissing)을 이용하는 것이고, b)의 방법은 발포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어느것이나 반점상의 요철모양도막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의장성이 있는 도막을 얻을 수는 있으나, 소망하는 임의의 요철모양을 형성할 수는 없었다. 나아가서, 상기의 첨가제는 그 첨가량을 적량으로 조정하지 않으면 요철모양이 불균일하게 되므로 의장성이 손상되기 쉽고, 도막결함이 생기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c)의 방법은 소망하는 임의의 요철모양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수십 ㎛의 박막에는 적용할 수 없다. 또한, 이 방법은 여러 제품을 소량 생산하는데는 부적당하며, 더우기 공정의 단계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생산효율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현상을 감안하여 예의검토한 결과, 특수한 제 3 성분인 상기 언급된 첨가제를 배합하지 않고도 수십 ㎛의 박막에 있어서도 소망하는 임의의 요철모양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방법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을 근거로 하여 완성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재표면에 밑칠도료를 도포하여 경화 밑칠도막을 형성시킨 후, 그 밑칠도막상에 부분적으로 중간칠도료 또는 잉크(이하에는 모두 중간칠도료라 한다)를 소망하는 모양대로 도포 또는 인홰(이하에는 모두 도포라 한다)하고, 형성된 중간칠도막중의 용매의 양이 1~50중량%의 범위 이내가 되도록 부분적으로 건조시키고, 이어서 결합제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표면장력이 40dyn/㎝ 이상인 아미노 플라스트수지를 함유하는 윗칠도료를 전면에 겹쳐 칠한 다음, 베이킹하고 경화시켜서 중간칠도막의 가장자리를 따라 철부가 있는 윗칠도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모양도막의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1) 표면에 경화 밑칠도막(2)을 시행한 다음, 그위에 중간칠도료를 소망하는 모양대로 도포하고, 이러한 모양의 중간칠도막(3)이 미경화(즉, 소정량의 용매가 잔존하고 있는 상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 특정의 윗칠도료를 전면에 겹쳐칠하고, 베이킹함에 따라 뜻밖에도 중간칠도막(3)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윗칠도막(4)이 융기하여 철부가 형성되는 현상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중간칠도막(3)의 모양에 따라, 윗칠도막(4)의 그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부분에 따라서 철부를 형성하고, 소망하는 요철모양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원인은 확실치는 않지만, 아마도 밑칠도막(2)은 경화되어 있는 반면에 중간칠도막(3)은 경화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밑칠도막(2)가 보다 높은 표면장력을 가지며 보다 젖기 쉽고, 표면장력이 높은 아미노 플라스트수지를 함유하는 윗칠도료를 도포하면 그 도료가 표면장력이 높은쪽, 즉 밑칠도막(2)쪽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나타낸다. 또한 중간칠도막(3)은 용매가 휘발됨에 따라 체적수축이 일어난다. 이러한 작용들의 상승효과에 의하여 상기 언급된 현상이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밑칠도료는 상온에서 건조되는 타입의 도료일 수도 있으나, 베이킹 타입의 도료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널리 이용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수지, 아크릴레이트 알키드수지 또는 에폭시수지와 같은 히드록실기-함유 합성수지와, 블록화 폴리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아미노 플라스트수지와 같은 가교제를 결합제로서 함유하고, 그것에 용매, 착색 안료(금속성 안료, 진주광택성 안료를 포함함), 체질 안료, 각종 첨가제 등을 임의로 배합한 열경화성 수지도료를 대표적인 것으로서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윗칠도료와의 밀착성이 좋은 도료라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중간칠도료는 상기 언급된 밑칠도료와 같은 종류의 도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밑칠도료와의 밀착성이 좋은것, 즉 밑칠도료의 결합제와 같은 종류의 결합제 또는 밑칠도료의 결합제와의 상용성이 좋은 결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로서,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와 같은 글리콜 에테르계 용매, 솔벳소(Solvesso) 150 또는 200(이상은 Exon Chemical Co. 제품), 페가솔(Pegasol) R-150(Mobil Petroleum Co. 제품), 스와졸(Swazol) #1500(Maruzen Petrochemical Co. 제품)과 같은 방향족계 용매 또는 이소포론 같은 케톤계 용매와 같이 증발속도가 낮은 용매를 배합하여 사용하여 중간칠도막중의 용매가 급속히 휘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철모양 형성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윗칠도료는, 폴리에스테르수지와 그의 가교제인 아미노 플라스트수지를 함유하는 결합제 및 용매를 필수성분으로 하고, 나아가서 필요에 따라서는 착색 안료(금속성 안료, 진주광택성 안료를 포함한다), 체질 안료, 개질제, 각종 첨가제 등을 추가로 배한한 것이다. 상기 언급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공지의 방법에 따라서 다가 카르복실산을 다가 알코올과 중합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는 것이다.
다가 카르복실산으로서는 o-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아젤라산, 숙신산, 말레인산 또는 이들의 무수물을 예로 들수 있으며, 다가 알코올로서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트리메틸롤프로판, 1,6-헥산디올, 1,4-부탄디올,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또는 펜타에리트리톨을 예로 들수 있다.
그리고, 폴리에스테르수지의 히드록실값은 5~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평균 분자량은 통상적으로는 2,000~20,000, 바람직하게는 5,000~10,000인데, 이 범위보다 크면 철부가 가늘어지며, 반대로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철부의 샤아프성이 없어지며, 요철감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전기한 아미노 플라스트수지는 멜라민, 요소 또는 벤조구아나민 같은 아미노 화합물과 알데히드 화합물과의 축합생성물, 또는 이러한 축합생성물을 메탄올 또는 부탄올 같은 알코올로 더욱 에테르화하여 수득한 생성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미노 플라스트수지는 표면장력이 40dyn/㎝(20℃) 이상이어야 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소정의 표면장력을 갖는 아미노 플라스트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요철모양이 형성될 수 있다. 표면장력이 40dyn/㎝ 미만이 되면 요철감이 부족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폴리에스테르수지와 아미노 플라스트수지의 고형분 중량 배합비율은 60/40~90/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2종류의 결합제의 양이 총 30~60중량% 정도가 되도록 도료중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용매로서는 톨루엔, 크실렌, 메틸에틸케톤, 셀로솔브, 메틸아세테이트 또는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같은 통상의 도료용 용매를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용매를 윗칠도료의 점도가 약 20~100초(Fordcup #4/20℃)가 되는 양만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본 발명의 요철모양도막의 형성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피도포물인 기재로서는 갈바니 강판, 알루미늄판 및 스테인레스 강판 같은 각종 금속재료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내열성이 있는 플라스틱이나 무기질 재료와 같은 기타의 물질에도 적용가능하다.
이들 기재는, 필요에 따라서는 탈지처리 또는 연마처리 같은 전처리를 시행한것 또는 프라이머를 시행한 것이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는 먼저 필요에 따라 예열한 기재표면에 밑칠도료를 로울코우팅, 플로우코우팅, 스프레이코우팅, 정전코우팅 또는 침지코우팅 같은 통상의 도장 방법으로 도포하고, 상온 건조 혹은 베이킹-건조시켜 경화 밑칠도막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경화(밑칠)도막이란, 중간칠도료를 겹쳐 칠할 때 중간칠도료중의 용매에 의해 실질적으로 용해하지 않을 정도, 예를들면 겔 분률 90% 이상으로 충분히 건조경화시킨 도막을 말한다.
밑칠도막의 건조막 두께는 기재의 종류, 용도등에 따라 임의로 결정되지만, 통상 10~50㎛의 범위 이내이다.
이어서, 경화 밑칠도막상에 중간칠도료를 소망하는 모양대로 부분적으로 도포한다.
랜덤 모양을 형성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포수단으로서 스프레이코우팅 또는 브러쉬코우팅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망하는 특정한 모양을 형성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그라비아인쇄, 그라비아옵세트인쇄, 플렉소그래픽인쇄, 스크린인쇄 또는 철판인쇄(letterpress)인쇄 같은 인쇄 방법을 사용하도록 권장할만하다.
중간칠도료를 건조막 두께가 약 1~20㎛로 되도록 도포함으로써 요철감이 탁월한 도막을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윗칠도료를 전면에 겹쳐 칠한다. 겹쳐 칠하는 타이밍은 중간칠도막중의 용매량이 1~50중량%, 바람직하게는 1.3~20중량%로 되었을때에 겹쳐 칠하여야 한다.
사용하는 중간칠도료중의 용매 함량이 원래부터 상기의 범위에 있는 것이라면 중간칠도료의 도포 직후에 윗칠도료를 겹쳐 칠할수도 있다.
용매량이 상기의 범위보다 적으면 밑칠도막과의 차이가 적어지며, 그 결과 요철감이 탁월한 도막을 얻기가 어렵다. 한편 용매량이 상기의 범위보다 많으면 중간칠도막이 윗칠도료에 용해되고, 블리이드되어 도막외관이 손상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도막중의 용매량에 대해서는, 사용된 도료의 중량과 도막의 중량의 차이에 의해 계산할 수가 있으므로, 실제의 도장조건과 동일조건하에서 별도로 밀 일정 시간마다 도막의 중량을 측정해두면, 실제의 도장시에 있어서 도장후 경과된 시간으로부터 도막중의 용매량을 알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중간칠도막중의 용매량이 상기의 범위 이내이면 윗칠도료를 로울코우팅, 플로울코우팅 또는 스프레이코우팅 같은 방법으로 도포한다. 도포후, 도료를 필요에 따라서는 세팅한후, 베이킹하여 경화시킨다.
베이킹 조건은 사용되는 도료에 따라 임의로 결정되지만, 통상 150~250℃에서 30초~20분간이 베이킹한다.
윗칠도막의 평균 건조막 두게는 약 10~30㎛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막두께가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면 얻어지는 도막의 요철감이 불량해지기 쉽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결합제와의 상용성이 나쁜 첨가제나 발포제 같이 도막결합이 일으키기 쉬운 제 3 성분인 첨가제나 발포제를 배합하거나, 또는 엠보스 가공 등의 공정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소망하는 임의의 요철모양을 형성할 수가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밑칠도막과 소망하는 모양의 중간칠도막을 서로 다른 색으로 함으로써 다채 모양을 형성하며, 의정성이 탁월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주지하여야 한다. 하기의 실시예에서「부」 및「%」는 「중량부」 및 「중량%」이다.
밑칠도료, 중간칠도료 및 윗칠도료로서 하기의 조성을 갖는 도료가 사용되었다.
밑칠도료 A
폴리에스테르수지용액*1) 48.0부
멜라민수지*2) 6.4부
산화티탄 25.0부
경화촉매 0.5부
레벨링제 0.3부
솔벳소(Solvesso) #150 9.9부
시클로헥사논 9.9부
*1)「빌론(Vylon) 51CS」, Toyobo Co., Ltd 제품[고형분 : 40%]
*2)「시멜(Cymel)」, Mitsui-Cyanamid Ltd. 제품.
사용된 도료는 도장전에 희석용매(크실렌/솔벳소 #100/시클로헥사논/셀로솔브아세테이트=20/30/30/20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점도가 30초(Fordcup #4/20℃)가 되도록 조정한 것이다.
밑칠도료 B
아크릴레이트수지용액*3) 48.0부
멜라민수지용액*4) 11.4부
에폭시수지용액*5) 4.9부
산화티탄 30.0부
레벨링제 0.3부
크실렌 2.7부
n-부탄올 2.7부
*3)「알마텍스(Almatex) 781-26」, Mitsui Toatsu Chemicals, Inc. 제품(고형분 : 50%)
*4)「유반(Uvan) 20 SE」, Mitsui Toatsu Chemicals Inc. 제품(고형분 : 60%)
*5)「에피코우트(Epikote) 1001」, YuKa Shell Epoxy K.K. 제품(고형분 : 70%)
사용된 도료는 도장전에 희석용매(크실렌/솔벳소 #100/메틸이소부틸케톤/이소부탄올=20/65/10/5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점도가 30초가 되도록 조정한 것이다.
중간칠도료 Ⅰ
알키드수지용액*6) 40.0부
멜라민수지용액*7) 20.0부
산화티탄 23.0부
티탄옐로우 10.0부
부틸셀로솔브 7.0부
*6)「프탈키드(Phtalkyd) 133-60S」, Hitachi Kasei Chemical Co., Ltd. 제품(고형분 : 60%)
*7)「멜란(Melan) 28D」, Hitachi Kasei kogyo K.K. 제품[고형분 : 60%]
사용된 도료는 인쇄전에 희석용매(솔벳소 #100/부틸셀로솔브=40/60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점도가 20초가 되도록 조정한 것이다.
중간칠도료 Ⅱ
알키드수지용액*8) 74.6부
멜라민수지용액*7) 4.6부
진주광택안료 8.0부
솔벳소 #100 4.8부
부틸셀로솔브 8.0부
*8)「프탈키드(Phtalkyd) 804-70 A」, Hitachi Kasei Chemical Co., Ltd 제품[고형분: 70%]
사용된 도료는 중간칠도료 Ⅰ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희석용매를 사용하여 점도가 20초가 되도록 조정한 것이다.
중간칠도료 Ⅲ
아크릴레이트수지용액*9) 35.0부
아크릴레이트수지용액*10) 21.0부
멜라민수지용액*4) 11.7부
산화티탄 25.0부
시아닌블루 1.0부
부틸셀로솔부 6.3부
*9)「알마텍스(Almatex) 749-17AE」, Mitsui Toatsu chemicals Inc. 제품(고형분 : 50%)
*10)「알마텍스 748-16AE」, Mitsui Toatsu Chemicals Inc. 제품(고형분 : 50%)
사용된 도료는 중간칠도료 Ⅰ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희석용매를 사용하여 점도가 20초가 되도록 조정한 것이다.
윗칠도료 T-1~T-9
이들 도료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kpo00001
[표 1](계속)
Figure kpo00002
*11) : 히드록실값이 15, 유리전이온도가 12℃, 수평균 분자량이 10,00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50% 용액(용매 : 솔벳소 #150/시클로헥사논/셀로솔브 아세테이트=2/7/1의 혼합용매)
*12) : 히드록실값이 65, 유리전이온도가 20℃, 수평균 분자량이 3,00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60% 용액(용매 : 솔벳소 #100/메틸 이소부틸 케톤=9/1의 혼합용매)
*13) : 히드록실값이 80, 유리전이온도가 30℃, 수평균 분자량이 8,00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50% 용액(용매 : 솔벳소 #150/시클로헥사논/이소포론=6/3/1의 혼합용매)
*14) : "시멜(Cymel) 325", Mitsui-Cyanamid Ltd. 제품(고형분 : 80%, 용매 : 이소부탄올, 멜라민 수지의 표면장력 : 40.5dyn/㎝)
*15) : "시멜 303", Mitsui-Cyanamid Ltd. 제품(멜라민 수지의 표면장력 : 40.7dyn/㎝)
*16) : "시멜 232", Mitsui-Cyanamid Ltd. 제품(멜라민 수지의 표면장력 : 34.2dyn/㎝)
*17) : "유반(Uvan) 225", Mitsui Toatsu Chemicals, Inc. 제품(고형분 : 60%, 용매 : n-부탄올/크실렌=7/3의 혼합용매, 멜라민 수지의 표면장력 : 30.0dyn/㎝)
사용된 상기의 도료는 밑칠 도료 A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희석 용매를 사용하여 점도가 30초가 되도록 조정할 것이다.
[실시예 1~12 및 비교예 1~10]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프라이머를 시행한 전기적 갈바니 강판 표면에 표 2에 나타낸 밑칠도료를 플로우코우터로서 건조막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하고, 200℃에서 50초간 베이킹한다.
이어서, 판의 온도를 60℃로 냉각시킨 후, 표 2에 나타낸 중간칠도료를 그라비아 인쇄기에 의해 밑칠도막위에 부분적으로 반점모양상으로 인쇄하여 건조막 두께가 약 2㎛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반점 모양의 도막중의 용매량이 표 2에 나타낸 정도가 되면, 표 2에 나타낸 윗칠도료를 플로우코우터로 평균 건조막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하고, 230℃에서 3분간 베이킹한다.
생성된 도막판의 요철감은 표 2의 하단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표 2에서도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실시예 1~12의 도막에서, 윗칠도막은 반점모양인 중간칠도막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융기부를 형성함으로써 반점모양의 형상을 갖는 철부를 형성한다. 즉, 입체적인 의장성이 있는 도막이 수득된다.
한편, 중간칠도막중의 용매량이 50중량%보다 많은 경우에 윗칠도료를 도포한 비교예 1,3 및 9에 있어서는 도막에 블리이딩이 발생하고, 외관이 불량하였다.
반대로 중간칠도막중의 용매량이 1중량%보다 적은 경우에 윗칠도료를 도포한 비교예 2,4 및 10에 있어서는 요철감을 갖는 것이 없었다.
또한, 표면장력이 40dyn/㎝ 미만인 멜라민 수지를 윗칠도료의 구성 성분으로서 배합한 비교예 5,6,7 및 8에서는 요철감을 갖는 것이 없었다.
[표 2]
Figure kpo00003
*18) : 유안 측정
◎ : 요철감 탁월 ○ : 요철감 양호
Figure kpo00004
: 요철감이 다소 있으나 샤아프하지는 않음.
× : 요철감 없음.
×× : 블리이드가 발생하며, 마무리 외관이 불량함.
*19) : 윗칠도료를 도포하기 직전의 중간철 도막중의 용매의 양(%)

Claims (10)

  1. 기재표면에 밑칠도료를 도포하여 경화 밑칠도막을 형성하고, 이러한 밑칠도막상에 소망하는 모양대로 중간칠도료를 부분적으로 도포한 후, 형성된 중가칠도막중의 용매량이 1~50중량% 범위 이내가 되도록 건조시키고, 이어서 폴리에스테르수지와 표면장력이 40dyn/㎝ 이상인 아미노 플라스트수지를 결합제로서 함유하는 윗칠도료를 전면에 겹쳐 칠한 다음, 베이킹하고 경화시켜서 윗칠도막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모양도막의 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밑칠도료와 중간칠도료가 각각 폴리에스트수지, 아크릴레이트수지, 알키드수지 및 에폭시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히드록실기-함유 합성수지, 및 블록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아미노 플라스트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가교제를 결합제로서 함유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칠도료가 글리콜 에테르계 용매, 방향족계 용매 또는 케톤계 용매를 함유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윗칠도료중의 폴리에스테르수지가 o-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아젤라산, 숙신산, 말레인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가 카르복실산 및 그의 무수물과,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트리메틸롤프로판, 1,6-헥산디올, 1,4-부탄디올,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및 펜타에리트리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가 알코올을 중합시켜 수득한 것인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윗칠도료중의 폴리에스테르수지의 히드록실값이 5~150인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윗칠도료중의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이 2,000~20,000인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수지와 아미노 플라스트수지의 고형분 배합비율이 바람직하게는 60/40~90/10인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윗칠도료중의 폴리에스테르수지와 아미노 플라스트수지의 총량이 30~60중량%인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밑칠도막의 건조막 두께가 10~50㎛이고, 중간칠도막의 건조막 두께가 1~20㎛이며, 윗칠도막의 평균 건조막 두께가 10~30㎛인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밑칠도막상에 도포된 중간칠도막을, 형성된 중간칠도막중의 용매량이 1.3~20중량%범위 이내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방법.
KR1019910002918A 1990-02-22 1991-02-22 요철모양도막의 형성방법 KR930009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1553/1990 1990-02-22
JP2041553A JPH0653259B2 (ja) 1990-02-22 1990-02-22 凹凸模様塗膜の形成方法
JP2-41553 1990-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265A KR910021265A (ko) 1991-12-20
KR930009370B1 true KR930009370B1 (ko) 1993-10-02

Family

ID=1261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2918A KR930009370B1 (ko) 1990-02-22 1991-02-22 요철모양도막의 형성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147689A (ko)
JP (1) JPH0653259B2 (ko)
KR (1) KR9300093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513B1 (ko) * 2006-04-03 2007-04-13 김철진 알로이휠 표면처리방법 및 그 알로이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4263B2 (ja) * 1994-02-01 1998-09-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凹凸模様塗膜の形成方法
JP3713431B2 (ja) * 2000-10-24 2005-11-09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記録用シート
KR100792947B1 (ko) * 2006-09-19 2008-01-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열교환기용 튜브의 플럭스 코팅 방법 및 장치
KR100792946B1 (ko) * 2006-09-19 2008-01-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열교환기용 튜브의 플럭스 코팅 방법 및 장치
CN101282369A (zh) * 2007-04-06 2008-10-0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外壳及其制造方法
JP2008189943A (ja) * 2008-05-12 2008-08-21 Chugoku Marine Paints Ltd エンボス調意匠仕上げ塗装の可能な光硬化性塗料組成物、エンボス調意匠仕上げ塗装された基材、および基材表面にエンボス調意匠仕上げを施す塗装方法
CN115322651B (zh) * 2022-09-01 2023-04-14 浙江伟星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钮扣用凸纹效果喷涂液及凸纹效果钮扣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1915A (en) * 1971-04-27 1974-05-21 Inmont Corp Printing method for forming three dimensional simulated wood grain,and product formed thereby
US4233343A (en) * 1978-08-10 1980-11-11 J. J. Barker Company Limited Three-dimensional decorative surface
JPS5588882A (en) * 1978-12-28 1980-07-04 Eidai Co Ltd Preparation of decorative material
JPS6410272A (en) * 1987-07-02 1989-01-13 Minolta Camera Kk Operation display control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513B1 (ko) * 2006-04-03 2007-04-13 김철진 알로이휠 표면처리방법 및 그 알로이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53259B2 (ja) 1994-07-20
JPH03245877A (ja) 1991-11-01
US5147689A (en) 1992-09-15
KR910021265A (ko) 199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8803B2 (ja) 水性ベースコート塗料の塗装方法
JPH11503064A (ja) 多層コーティングの方法
KR930009370B1 (ko) 요철모양도막의 형성방법
JPH0342944B2 (ko)
CA2094778C (en) Process for making wrinkle-free coating using solventborne clearcoat composition over water-borne basecoat composition
JP3787215B2 (ja) プラスチック素材の塗装方法
JP2794263B2 (ja) 凹凸模様塗膜の形成方法
JP2883960B2 (ja) 水性中塗り塗料
JPS62174276A (ja) ちぢみ塗料
JPH06254484A (ja) メタリック塗膜形成法
CA2018587A1 (en) Coating material,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oatings and substrates coated therewith
JP2700048B2 (ja) プレプライムド亜鉛メッキ鋼板の製造方法
JP3675000B2 (ja) 加工性および塗料密着性に優れたプレプライムド亜鉛系めっき鋼板
JPH11172163A (ja) ちぢみ塗料組成物
JP2872761B2 (ja) 塗膜形成方法
JPH0144147B2 (ko)
JPS63258672A (ja) 2コ−ト1ベ−ク塗装系による塗膜形成方法
JP2909874B2 (ja) 塗料組成物及び該塗料を塗装した化粧金属板
JPS6391168A (ja) 粉体塗料による特殊模様塗膜の形成方法
JPH0341228B2 (ko)
JP2883699B2 (ja) 水性中塗り塗料
JPH0463108B2 (ko)
JPS6124060B2 (ko)
JP2005066440A (ja) ちぢみ模様塗膜形成方法及び塗装物品
JP2001046952A (ja) 塗膜形成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3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