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287B1 - 가열가능한 방풍창 노치 밀봉재 - Google Patents

가열가능한 방풍창 노치 밀봉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287B1
KR930009287B1 KR1019900009936A KR900009936A KR930009287B1 KR 930009287 B1 KR930009287 B1 KR 930009287B1 KR 1019900009936 A KR1019900009936 A KR 1019900009936A KR 900009936 A KR900009936 A KR 900009936A KR 930009287 B1 KR930009287 B1 KR 930009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bus
sealant
coating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9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232A (ko
Inventor
안토니 윈터 죤
알랜 바트러그 부르스
Original Assignee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헬렌 앤 파블릭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헬렌 앤 파블릭크 filed Critical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10003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93Edge features, e.g. inserts or holes
    • B32B17/10302Edge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74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05B3/86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the heating conductors being embedded in the transparent or reflec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열가능한 방풍창 노치 밀봉재
제 1 도는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시킨 가열가능한 방풍창을 도시하되, 명료성을 위해 일부를 제거하여 도시한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방풍창의 노치구역을 도시하되, 명료성을 위해 일부를 제거하여 도시한 확대도.
제 3 도는 방풍창의 노치구역에 있어서의 밀봉재를 보이는 제 2 도의 선 3-3을 다라 절취한 단면도.
제 4 도는 방풍창의 노치구역에 있어서의 밀봉재를 보이는 제 2 도의 선 4-4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빙풍창(투명체) 12 : 외측유리층
14 : 중간층 16 : 내측유리층
18 : 피복물 20 : 외측유리층의 내면
22 : 전원 24 : 하부전열선
26 : 상부전열선 28,30 : 상부전열선의 연장부(리이드)
32 : 종단구역 34 : 하부전열선의 연장부(리이드)
36,38,40,42,54,56,58 : 와이어 46 : 노치구역
48,50,52 : 리이드 노출부분 60 : 내측유리층의 내면
62 : 밀봉재
본 발명은 적층 투명체의 밀봉모서리부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층중에 공기가 방풍창 내부로 확산되지 못하도록 가열가능한 적층 방풍창의 노치 구역을 밀봉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투명체 상의 투명한 전도성 피복물을 통해 전류를 흘려 투명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은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투명체는 전도성 피복물로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는 한쌍의 이격된 버스전열선을 포함한다. 버스전열선을 통상 리이드에 의해 전원에 접속되어, 전원으로부터의 전류를 피복물에 통해 분포시킨다. 투명체가 적층 방충창인 경우, 피복물을 통해 전류를 흘려 적층물의 온도를 충분히 높히면, 방풍창의 노출표면에 쌓인 눈이나 얼음이 녹게 된다.
가열가능한 방풍창은, 통상, 방풍창을 이루는 층들중의 어떤것의 한쪽모서리를 따라 절결구역 또는 노치구역을 갖게되는데, 이 구역을 통해, 버스전열선의 라이드 부분이 노출케 되며 방풍차에 전원을 연결할 수 있는 장소가 제공된다. 적층후에, 노치구역 근방의 방풍창에서 기포가 관찰되는데, 이같은 결함은 적층중에 버스전열선 리이드를 통해 방풍창 내부로 공기가 확산된 결과라 생각된다. 이같은 기포는 눈에 보여 바람직하지 못한 결함으로 될 뿐만 아니라, 이같은 기포가 방풍창에 과다하게 존재하면 그 기포부분의 방풍창 강도가 떨어질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적층중에, 특히 노치구역에서 공기가 방풍창 내부로 확산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스핀들러의 미국 특허 제 3, 789, 191호 및 제 3, 789, 192호에서는, 온도센서에 이르는 전기 리드를 유리의 프라스틱 중간층내에 매설시킨 온도감지 장치를 구비한 가열유리를 개시하고 있다.
보아즈외 수인의 미국특허 제 3, 790, 752호에서는 위에 전도성 피복물을 갖는 투명한 중간층에 대한 전기 접속을 방풍창내에서 행하고, 그 접속을 밀봉시켜 습기가 적층물내로 침투할 수 없게 한 가열가능한 적층방풍창을 개시하고 있다.
백크의 미국 특허 제 3, 794, 809호 ; 라무스의 미국특허 제 4,543,466호 ; 및 니코뎀외 수인의 미국 특허 제 4, 789, 784호에서는 방풍창 내면상의 전기전도성 피복물에 의해 전기적요로 상호 접속되는 서로 대향하는 버스전열선을 가진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방풍창을 개시하고 있다. 백크의 특허에서는, 버스전열선에 대한 리이드를 방풍창 어셈블리의 외부로 연장시킨다. 라무스 및 니코뎀 외 수인의 특허에서는, 리이드콜 방풍창의 한 모서리를 따라 절결부분 또는 종단 구역으로 연장시킨다.
보우접 외 수인의 미국 특허 제 4, 593, 175호에서는, 건출물의 전기 가열식 유리제품의 전선을 따라 습기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피복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층물의 층들 중의 하나를 넘어 연장하는 기체 투과성 물질의 노출표면을, 층들을 접착시켜 단일 어셈블리로 하기 전에 밀봉시키는 적층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특정 실시태양에 있어서는, 적층물의 제 1 층의 일표면에 전기전도성 피복물에 의해 상호접속되는 대향하는 버스전열선이 제공된다. 상기 버스절연선을 기체 투과성 물질로 제조되며 제 1 층의 표면에 접착된다. 또한 버스전열선을 적층물의 주변 모서리를 따라 전기접속구역으로 연장한다. 상기 제 1 층 위에는 제 2 층이 놓이게 되는데, 이 제 2 층은 버스전열선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절결부분을 상기 접속구역에 갖는다. 버스전열선의 노출부분은, 버스전열선을 통해 적층물 내부로 기체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층들의 접착전에 밀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 있어서는, 적층물이 가열가능한 방풍창으로, 버스전열선을 상기 방풍창의 유리층들중의 하나의 내면에 접착되는 전도성 세라믹 에나멜이며, 전체 전기 접속구역은 부틸-기재 밀봉재 또는 실리콘 탄성중합체 밀봉재와 같은 밀봉재로 밀봉된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중간층에 의해 서로 접착되는 두개의 유리층과 이들 유리층들간에 위치하는 전기전도성 피복물로 이루어진 가열가능한 적층투명체와 연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성은 전형적인 가열가능한 방풍한 구성을 보이나, 둘 이상의 유리나 프라스틱층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을 가진 가얼가능한 투명체의 어떤 구성을 만드는 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을 알아 주길 바란다. 게다가, 본 발명은 자동차 방풍창의 제조에 국한하지 않고, 적층 투명체의 내부로 기체가 확산되는 문제를 안고 있는 어떤 투명체의 제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 1, 3 및 4로를 참조하면, 투명체(10)는 외측 유리층(12), 즉, 차량 내부로부터 가장 먼곳에 있는 층과, 프라스틱 중간층(14)으로서, 적층 방풍창에 흔히 사용되는 폴리비닐부틸랄 일 수도 있는 층과, 내측 유리창(16)을 포함하는 가열가능한 방풍창이다. 본 발명에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에서, 방풍창(10)은 외측 유리창(12)의 내면(20)에 바람직하게 위치하는 전기 전도성 피복물(18)을 포함하는 가열구조를 갖는다. 각종 피복물은 투명체(10)의 가열요소로서 작용하는데 필요한 전기 전도도와 투명도의 조합을 보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피복물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되는 길러리의 미국 특허 제 4, 610, 770호에서 개시된 것과 유사하다. 이들 피복물은, 일반적으로, 제각기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에 의해 순차적으로 도포될 수도 있는 아연 주석산염 필름쌍들간에 하나 이상의 은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특정 실시태양에서, 미국 특허 제 4, 610, 770호에 개시된 피복물은 단일의 은 필름층이 약 110 옴그스트롱의 두께를 갖는 상태에서 약 7 내지 8 옴/스퀘어의 근사 접항률을 나타낸다.
전원(22)으로부터의 전력은 버스전열선 및 리이드 구조를 통해 전기전도성 피복물(18)에 공급된다. 버스 전열선 및 리이드 구조는, 본 발명에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나,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되는 길러리의 미국 특허 제 4,870,902호에 개시된 이중 피이드 버스전열선 구조와 유사하다. 제 1 도를 참조하면, 하부 버스 전열선(24) 및 상부절연선(26)은 피복물(18)과 접촉하는 상태로 유리층(12)의 표면(20)상에 위치된다. 상부 버스전열선(26)에 대한 전기접속은 버스전열선(26)의 한쌍의 연장부, 즉, 리이드(28) 및 (30)에 의해 행해진다. 리이드(28) 및 (30)의 각각은 방풍창(10)의 대향하는 양측부분 및 하부 모서리를 따라 종단구역(32)으로 연장한다. 하부 버스전열선(24)에 대한 전기접속은 버스전열선(24)으로부터 종단구역(32)으로 연장하는 리이드(34)에 의해 행해진다. 본 발명에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나, 리이드(28) 및 (30)를 통한 하부버스전열선(24) 및 상부버스전열선(26)에 대한 접속은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방풍창(10)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종단구역(32)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같은 접속은 소정의 편리한 장소에서 방풍창에 대해 행해질 수도 있음을 알아 둘 필요가 있다.
제 1 도를 계속 참조하면, 외이어(36)는 전원(22)의 한 극에 하부버스전열선(24)을 접속한다. 상부버스전열선(26)에 이르는 리이드(28) 및 (30)는 와이어(38) 및 (40) 및 점퍼와이어(42)에 의해 전원(22)의 반대극에 공통접속된다.
제 2 도를 참조하면, 리이드(28) 및 (30)는 당업계에 알려진 어떤 편리한 방법으로 피복물(18) 및 하부버스전열선(24)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피복물(18)에 대한 전력이 버스전열선(24) 및 (26)을 통해 전달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나, 피복물(18)의 모서리는 투명체(10)의 모서리로부터 이격되며, 제 1 및 제 2 도에 선(44)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리이드(28) 및 (30)는 피복되지 않은 여백구역내에 위치된다.
버스전열선 및 리이드는,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같이 은 함유 세라믹 유리원료물질로 제조하여, 어떤 편리한 방법, 예로서, 스크린 인쇄법으로 유리층(12)의 유리표면상에 도포할 수도 있다. 인쇄후, 유리원료물질을 가열하거나, "소성"하여 유리원료물질이 유리표면상에 녹게한다. 불투명한 세라믹 에나멜경계부재(도시않함)를 유리층(12)의 표면(20)에 선택적으로 도포시켜 버스전열선(24) 및 (26)과 리이드 (28) 및 (30)를 가리도록 한다.
버스절연선 및 리이드를 유리층(12) 및 피복물(18)상에 소성시킨 후, 중간층(14)을 유리층(12)와 (16)사이에 위치시키고, 그 전체 어셈블리를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어떤 편리한 방법으로 적층시켜 단일 구조체, 즉, 적층방풍창을 형성한다. 제 2, 3 및 4 도를 참조하면, 내측 유리층(16)은 리이드(34)의 연장부분(48)과 리이드(28) 및 (30)의 부분(50) 및 (52)를 노출시키고, 전원(22)(제 1 도에만 도시함)으로부터 버스전열선(24) 및 (26)으로의 전기접속을 위한 접근로를 제공하는 절결 또는 노치구역(46)을 포함한다. 특히, 제 2 도를 참조하면, 와이어(54), (56) 및 (58)는 당업계에 알려진 어떤 편리한 방법, 예로서, 납땜으로 리이드(48), (50) 및 (52)에 제각기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노치구역(46)근방의 하부버스절연선과 리이드(28), (30) 및 (34)를 따라 내측유리층(16)의 내면(60)상에서 기포가 관찰되었다. 이들 기포는 적층중에 은세라믹 리이드(28), (30) 및 (34)의 노출표면(48), (50) 및 (52)의 각각을 통해 방풍창(10)의 내부로 공기가 확산함으로써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 기포는 방풍창의 품위를 손상시키며 과다한 기포발생은 노치구역(46)에 있는 방풍창의 강도를 떨어뜨릴 수도 있다.
이같은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제 2 내지 4 도를 참조해 볼때, 노치구역(46)에 불투수성 밀봉재(62)를 채워넣어 리이드부분을 통해 방풍창(10)의 내부로 공기가 확산되지 못하도록 한다. 밀봉재(62)는 적층사이클의 높은 온도 및 압력을 견뎌낼 수 있어야만 한다. 자동차 방풍창의 경우, 상기 온도 및 압력은 전형적으로 약275oF(135℃) 및 200psi(1.38×106Pa)이다. 또한, 밀봉물질은 적층중에 유독가스 또는 기타 가스를 발산하지 않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밀봉물질은 노치구역(46)내의 은 라이드 부분(48), (50) 및 (52), 또는 어떤 노출된 피복물(18)에 악영향을 끼쳐서는 안된다. 특히, 황함유 밀봉물질은 사용되지 말아야 한다. 그 이유는 황 또는 황화합물은 은과 번응하여 황화은을 발생하는데, 이 황화은은 노치구역(46)에 있는 리이드 및/또는 피복물의 전기 전도도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방풍창(10)에 대한 전력은 노치구역(46)을 통해 제공될 것이므로, 밀봉물질은, 리이드부분(48)이 인접하는 리이드부분(50) 및 (52)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됨으로써 방풍창 회로망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비-전기전도성이어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밀봉물질은 노치구역(46)내의 방풍창에 어떤 부적당한 응력이 유기되지 못하도록 충분한 탄성을 가져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사용한 밀봉재는 실리콘 탄성중합체, 특히, 미국 미시간주의 다우코딩 코포레이션(Dow Corning Corp.)으로부터 구입가능한 탄성중합체물질로서 상표면 "DOW CORNING 732TM" 다용도 밀봉재 및 "DOW CORNING
Figure kpo00001
982" 실리콘 절연유리 밀봉재를 포함한다. DOW CORNING 732TM밀봉재는 약 20분에 걸쳐말라 점성이 없어지고 질긴 고무와 같은 고체를 형성하는 단일 성분물질이다. 이 밀봉재에 대한 재료 참고자료서에 의하면, 이 물질이 구리 및 구리함유 합금, 마그네슘과 아연 및 아연함유 합금을 부식시킬 것으로 말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DOW CORNING 732TM이들을 금속과 더불어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DOW CORNING 732TM밀봉재가 방풍창 구성 부품의 적층동안 오치구역(46)을 만족스러울 정도로 밀봉한다고 할지라도, 외관을 원하는 수준보다 낮은 수준으로 떨어뜨리는 기포가 발생됨을 관찰했다. DOW CORNING
Figure kpo00002
982 밀봉재는 피복되지 않은 유리 및 피복된 유리에 대한 접착이 양호한 두가지 상분으로 되고 경화속도가 가변적이며 높은 계수를 갖는 탄성중합체성의 밀봉재로서, 적층중에 DOW CORNING 732TM처럼 심하에 기포를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 밀봉재는 그의 기본성분과 경화성분들간의 비율에 따라 15 내지 60분내에 경화될 것이다. 또한, 기본성분의 양에 비해 경화성분의 양을 증가시키면 기포발생량이 감소되고 경화시간이 감소된다는 것을 알았다. DOW CORNING 732 및 982밀봉재 모두는 자체중량에 의해서는 유동하지 않으므로, 노치구역(46)에 두껍게 밀봉재를 채워도 노치구역(46)밖으로 밀봉재가 흘러나오지 않게 될 수 있다. 이들 밀봉재는 노치구역(46)에 소정의 편리한 방법으로 도포되는데, 본 발명에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밀봉재를 코킹건(caulking gun)을 사용하여 도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시키전에 밀봉재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퍼티 나이프(putty knife)를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되는 보우접 외 수인의 미국특허 제 4, 593, 175호에 개시된 것들과 유사한 부틸-기재 피복조성물을 밀봉재로서 사용했다. 특히, 표 1에 기술한 바와같은 부틸-기재 조성물은 상기 특허의 기술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방풍창(10)의 노치구역(46)을 밀봉하는데 사용된다.
[표 1]
Figure kpo00003
(1) BUTYL 165는 이소부틸렌-이소프렌 탄성중합체(11R)에 대한 액손 케미칼사의 등록상표이다.
(2) VISTANEX LM, MS는 고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 수지에 대한 액손 케미칼사의 등록상표이다.
3. STATEX N-550은 범용 아몰포스 퍼니스 블랙(furnace black)에 대한 콜럼비안 케미칼사의 등록상표이다.
4. ZnO xx4 급은 뉴접지 징크사가 제조한다.
5. HI SIL EP는 수소 아몰포스 실리카에 대한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의 등록상표이다.
6. UNION CARBIDE A-174는 실란 커플링제 ; 감마-메타크릴옥스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에 대한 유니온 카바이드사의 등록상표이다.
7. ESCOREZ 1315는 포화탄화수소 수지에 대한 액손 케미칼사의 등록상표이다.
8. VM & P NAPHTHA는 와니스 도료용 나프타(varnish makers'naphtha) ; 비점 범위가 좁은 용매이다.
이 밀봉재는 대략 5분간에 걸쳐 마르나 여전히 점성을 유지한다. 예로서, 수화 실리카와 같은 부가적인 카본 블랙 및/또는 충진물질을 상기 배합물에 첨가시켜 점성을 줄일 수 있다. 피복물을 당업계에 알려진 어떤 편리한 방법, 예로서, 브러쉬(brush), 도버(dauber) 또는 로울러(roller)로 도포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밀봉재의 두께는 약 1밀(0.25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틸 피복물이 노치구역(46)을 채우는 것은 아니므로, 방풍창(10)과 노치구역(46)을 동평면으로 해야만하는 경우에는 부가적인 충진재를 사용해야만 한다.
밀봉재(62)를 실리콘 탄성중합체 또는 부틸-기재 조성물인 것으로 하고 있으나, 노치구역(46)의 리이드 부분(48), (50) 및 (52)을 밀봉시키기 위해 다른 물질, 예로서, 남땜 용제 및 에폭시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상기 물질에 국한하지는 않는다.
작업에 있어서, 방풍창 어셈블리(10)를 적층전에 예비가압한 후, 중간층(14)을 노치구역(46)으로부터 제거하고, 전지접속(54), (56) 및 (58), 또는 어떤 다른 잘 알려진 접속기를 리이드부분(48), (50) 및 (52)에 어떤 편리한 방법으로 제각기 접속한다. 대안으로서, 중간층(14)을 미리 절결하여 그것이 노치구역(46)내로 연장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다음, 밀봉재(62)는 노치구역(46)에 도포하고 건조 또는 경화될 수 있게 한다. 그 다음, 조립체(10)를 적층한다.
제 1 내지 4 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체 노치구역(46)이 밀봉재(62)로 완전히 채워진 것으로 되어 있으나, 리이드 부분(48), (50) 및 (52)의 노출 표면만을 밀봉재(62)로 피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게다가, 밀봉재(62)로 리이드(48), (50) 및 (52)의 더 많은 노출표면을 피복하면 할수록, 공기가 리이드를 따라 방풍창내로 들어갈 수 있게 하는 표면구역이 줄어들기 때문에 밀봉이 더욱 효과적으로 된다는 것은 분명하다.
이 같은 개시에 근거해 볼때, 밀봉재의 형태는 물론이거니와, 리이드물질 다공성 및 노출리이드구역의 크기와 적층중의 온도/압력상태는 제각기 밀봉구조의 효율성에 영향을 끼친다. 특히, 예로서, 적층물을 전술한 것 보다 낮은 온도 및/또는 압력상태에서 제조하게 되면, 밀봉물질의 상기 요인들에 대한 감성이 작게될 수 있어 노치구역은 여전히 적정하게 밀봉된다. 게다가, 노출리이드구역을 줄이고/줄이거나 리이드물질의 다공성을 줄이면, 효율이 떨어지는 밀봉물질을 사용하여 노치구역을 적정히 밀봉시킬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하고 설명한 본 발명의 형태들은 예시적인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보인 것으로, 청구한 주제로 규정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각종 변경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Claims (15)

  1. 제 1 시이트의 주표면에 기체투과성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와 ; 상기 제 1 시이트에 중첩하는 관계로 제 2 시이트를 위치시키되, 상기 물질의 선택된 부분은 상기 제 1 및 제 2 시이트사이에 위하고 상기 물질의 다른 부분은 노출되게 위치시키는 단계와 ; 상기 제 1 시이트를 상기 제 2 시이트에 고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착단계중에 상기 물질의 상기 노출부분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시이트 사이로 기체가 이동하는 적층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착단계중에 상기 물질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시이트들 사이로 기체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물질의 노출부분을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물은 제 1 시이트의 상기 주표면상의 전기전도성 피복물과, 상기 피복물을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하는 수단과, 상기 전류를 흐르게 하는 수단에 전기적인 접근로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기체 투과성 물질은 상기 전기적인 접근로 수단이며, 상기 밀봉단계는 상기 고착단계 이전에, 상기 기체 투과성물질의 상기 노출 부분을 피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단계는 부틸기재 밀봉재 및 실리콘 탄성중합체 밀봉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밀봉재로 상기 노출된 물질을 피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전기전도성 피복물을 제 1 시이트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시이트에 제 2 시이트를 중첩하는 관계로 위치시키되 상기 피복물이 상기 제 1 및 제 2 시이트 사이에 있도록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시이트를 상기 제 2 시이트에 고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층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복물에 전기적인 접근로를 제공하는 단계와 ; 상기 전기적인 접근로의 적어도 일부분의 노출을 위해 상기 제 2 시이트에 개구를 제공하는 단계와 ; 상기 고착단계중에 상기 전기적인 접근로의 근방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시이트사이로 기체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인 접근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피복물의 대향하는 모서리를 따르며 상기 피복물에 의해 제 2 전기전도성 버스전열선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전열선 각각의 일부분을 상기 제 1 시이트의 주변모서리로 연장하며, 상기 개구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후에 상기 버스전열선의 상기 부분들이 노출되도록 상기 버스전열선의 상기 부분들의 근방에 상기 제 2 시이트의 주변모서리를 따라 노치구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 단계는 상기 고착단계에 앞서 상기 노출된 버스전열선부분들의 적어도 일부분을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단계는 온도 및 압력에 견딜 수 있는 비전기 전도성의 밀봉재를 상기 버스절연선 부분위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단계를 상기 노출된 버스전열선 부분을 전체적으로 덮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단계는 상기 노치구역을 상기 밀봉재로 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단계를 상기 노출된 버스전열선부분에 부틸기재 밀봉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단계는 상기 노출된 버스전열선부분에 실리콘 탄성중합체 밀봉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전열선은 은 함유 물질이고, 상기 밀봉 단계는 기본적으로 황이 없는 밀봉재로 상기 노출된 버스전열선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피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단계를 상기 노출된 버스전열선 부분에 부틸 기재 밀봉재를 도포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단계는 상기 노출된 버스전열선에 실리콘 탄성중합체 밀봉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따라 제조한 적층물.
KR1019900009936A 1989-07-03 1990-07-02 가열가능한 방풍창 노치 밀봉재 KR930009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7509089A 1989-07-03 1989-07-03
US375090 1989-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232A KR910003232A (ko) 1991-02-27
KR930009287B1 true KR930009287B1 (ko) 1993-09-25

Family

ID=2347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9936A KR930009287B1 (ko) 1989-07-03 1990-07-02 가열가능한 방풍창 노치 밀봉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406746A3 (ko)
JP (1) JPH0643124B2 (ko)
KR (1) KR930009287B1 (ko)
CA (1) CA2020172C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0752A (en) * 1973-03-26 1974-02-05 Ford Motor Co Heatable laminated windshield construction
US4294867A (en) * 1980-08-15 1981-10-13 Ford Motor Company Method for developing a pattern on a ceramic substrate
DE3227647A1 (de) * 1982-07-23 1984-01-26 Ver Glaswerke Gmbh Verbundglasscheibe
DE3402518C2 (de) * 1984-01-26 1986-01-02 VEGLA Vereinigte Glaswerke GmbH, 5100 Aachen Verbundglasscheibe mit einem in der thermoplastischen Zwischenschicht angeordneten Draht und wenigstens einem Anschlußkabel,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43124B2 (ja) 1994-06-08
EP0406746A3 (en) 1992-05-06
KR910003232A (ko) 1991-02-27
JPH0343248A (ja) 1991-02-25
CA2020172C (en) 1993-11-30
CA2020172A1 (en) 1991-01-04
EP0406746A2 (en) 1991-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55960B (zh) 包括集成带状线缆的用于绝缘玻璃窗的间隔件
JP7032551B2 (ja) 中空チャンバーに統合された電気供給ラインを有する、絶縁グレージングのためのスペーサ
JP7023768B2 (ja) 窓の電気的接続用の流体的にシールされた囲い
US4721845A (en) Electrically heatable vehicle glass pane
KR100847025B1 (ko) 적층 글레이징 및 글레이징의 제조 방법
US5099104A (en) Electrically heatable laminated glass plates hav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surface coating
KR102471390B1 (ko) 전기적 연결소자를 구비한 단열 글레이징
US11713613B2 (en) Corner connector for insulating glazing units with an electrical supply line
EP0391165A2 (en) Windshield edge seal
JP2009544997A (ja) 可変エネルギー/光伝送特性を有する能動素子
JP2009533248A (ja) 積層グレージングおよびその封止と周辺にある補強手段
US20130269990A1 (en) Contact making arrangement for conductors provided on flat structures, namely panes of glass
JP7322162B2 (ja) 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EP3468794B1 (en) Heatable glazing
US4593175A (en) Electrical conduit with integral moisture-vapor barrier
RU2765961C1 (ru) Стекло со сборными шинами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таким стеклом
CN113227891A (zh) 电致变色窗中的粘合剂汇流条
JP7483901B2 (ja) 平坦伝導体接続要素
KR930009287B1 (ko) 가열가능한 방풍창 노치 밀봉재
EP0435144A1 (en) Notch sealant for heatable windshield
GB2281683A (en) A laminated glazing assembly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uch an assembly
CN212478951U (zh) 一种可均匀加热的中空镀膜加热玻璃
US20230065516A1 (en) Method for busbar hiding of a laminated glazing
CN111764794A (zh) 一种可均匀加热的中空镀膜加热玻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