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009B1 - 엘리베이터카용 레일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카용 레일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009B1
KR930009009B1 KR1019910011328A KR910011328A KR930009009B1 KR 930009009 B1 KR930009009 B1 KR 930009009B1 KR 1019910011328 A KR1019910011328 A KR 1019910011328A KR 910011328 A KR910011328 A KR 910011328A KR 930009009 B1 KR930009009 B1 KR 930009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guide
car frame
elevator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1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2223A (ko
Inventor
김성열
Original Assignee
김성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열 filed Critical 김성열
Priority to KR1019910011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9009B1/ko
Publication of KR930002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0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2Mining-hoist operation installing or exchanging guide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카용 레일의 설치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일설치작업의 일예를 나타낸 일부 생략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일설치시 사용한 기존 엘리베이터에 갖추어진 안전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a)는 그에 대한 일부생략사시도, (b)는 정면도이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일설치시 사용되는 안내지그(Jig)를 나타낸 것으로, (a)는 그에 대한 사시도, (b)는 레일에 사용된 예를 위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 (c)는 안내지그의 다른 일예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제 4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일설치시 레일직선유지용 가이드라인을 보호해주는 보호관을 기존 카에 설치된 가이드 슈(Shoe)에 설치한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그에 대한 사시도, (b)는 레일에 사용된 경우의 평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엘리베이터카 플레임 16 : 안내지그(Jig)
16a : 지그몸체 20 : 안전장치
56 : 레일지지돌편 66 : 레일일압압구
70 : 부상기(Lift Machine) 84 : 가이드라인 보호관
86 : 레일삽입홈 88 : 가이드라인 안내홈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카용 레일의 설치방법,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실에 가설(假設)한 부상수단(Lifting Machine)과 부상수단에 의해 승강되게 한 엘리베이터카 프레임을 이용하여 카 운행에 필요한 레일을 적은 노력소모로써 단시간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카용 레일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고층아파트 또는 빌딩동에 엘리베이터카 주행에 필요한 레일을 설비함에는 후술하는 수순(手順)에 의거 작업을 행하므로 인해 많은 인력 및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안전사고 위험발생이 많다고 하는 폐단점이 있다. 즉, 기존에는
① 엘리베이터 실내의 저벽에서부터 천정벽 부위까지 대략 4-5m 정도의 금속봉을 일일이 사람손에 의해 연결구성하여, 레일설치에 필요한 작업대(Scaffold)를 사전조립설치한다.
② 레일을 직선상으로 설치키 위하여 레일설치위치인 양측벽에 천정에서부터 저벽에 이르기까지 가이드라인(piano wire)을 설치한다.
③ 가이드라인에 맞추어 조립설치하는 레일을 고정키위한 브래킷(Bracket)을 엘리베이터실 내벽의 상하부에서부터 상부에 걸쳐 일정거리를 두고 고정부착한다.
④ 가이드라인에 맞추어 레일을 조립설치한다.
⑤ 엘리베이터실 고층까지 일일히 사람에 의해 운반된 카부품을 기설치된 레일에 조립장착키 위하여, 엘리베이터실내에 설치한 작업대중 상단 일부위만을 먼저 철거한다.
⑥ 엘리베이터카 장착작업이 완료되면 전층에 걸쳐 설치한 작업대를 전부 철수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소키위하여 예의 연구결과 개발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실 저부에서 사전 조립한 카 프레임(Car frame)만을 천정벽으로부터 철수한 부상수단을 사용하여 승강시킴에 의해, 엘리베이터실을 승강하는 카 프레임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실 전층벽에 걸쳐서 작업대없이 레일을 설치하는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대의 설치없이 레일은 직접 엘리베이터실 내벽에 설치할 수 있게한 잇점을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사전 조립된 카프레임을 부상수단에 의해 상승시킴에 의해, 작업대 없이도 레일을 순차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한 잇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내겸용 지그수단을 이용하여 레일의 직선 유지작업을 용이하게 한 잇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설치시 사용하는 가이드라인의 안내수단을 이용하여, 라인이 레일설치수단과 레일 몸체사이에 끼이게 되거나 또는 이로인해 가이드라인이 절단되는 일이 없도록 한 잇점을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설치와 함께 직접 카프레임도 엘리베이터실 저부에 조립하여 운행할 수 있게 한 잇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과 그밖의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도면에 따른 하기 실시예에 의거 더욱 명료하게 될 것이다. 다음 실시예의 의거 본 발명이 결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설치 일예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써, 이에 의거 본 방법의 레일설치 공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레일은 총 4개가 실내에 설치되나, 4개 모두가 동일하므로 하기 실시예에서는 그중 1개만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레일조립예]
① 건물내의 엘리베이터(30)내에는 레일(40)이 설치될 장소에 맞추어 레일 일단은 천정(W)에 고정되고 타단은 저벽(L)에 고정되게 하는 레일(40) 직선유지 안내용 가이드라인(50)을 내벽(I)과 일정거리를 두고 긴장되게 설치한다.
② 엘리베이터실(30) 하부의 내벽(I)에는 가이드라인(50)에 맞추어 레일고정용 브래킷(60)을 고정설치한다(본 발명에서는 1개만을 예로 들었으나, 그 이상도 무방하다).
③ 브래킷(60)에는 우선 한 단위(unit)의 레일(40)만을 가이드라인(50)에 맞추어 세운후 브래킷(60)으로 하여금 견고히 고정시킨다.
④ 엘리베이터실(30) 양측내벽(2)에 입설된 레일(40)에 걸쳐서는 상면 양단부위에 안내지그(16)(16')가 착탈가능케 설치된 엘리베이터카의 상, 하부 프레임(10a)(10b)만을 우선적으로 조립설치함과 아울러 그 상, 하부 프레임(10a)(10b)을 연결고정하고 있는 기존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공지의 안전장치(20)는, 연결조임구(22)를 조임에 의하여 연결레버(26)가 잡아당겨져서 지지구(46) 사이에 있는 협지구(36)가 상방으로 올라가도록 하여 레일(40)을 협지토록 함에 의해 카프레임(10) 전체가 레일(40)을 타고 하방으로 미끄러지는 일이 없도록 한다. 상기 안전장치(20)는 기존 엘리베이터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그대로 이용한 것이다.
⑤ 카프레임(10)의 조립완료와 동시에 연결끈(C)을 개재하여 카프레임(10)의 상부 프레임(10a)을 공지의 부상기(Lift Machine)(70)에 견고하게 접속한다. 부상기(70)의 로우프(R)의 일단은 엘리베이터실(30) 천정(W)에 고정되며, 타단은 저벽(L) 부위에 자유로운 상태로 놓여지게 된다. 부상기(70)의 내부구조는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별도 설명은 생략한다.
⑥ 이 상태에서 카프레임(10)의 상부프레임(10a)에 작업자가 탑승 한후, 부상기(70)의 일측에 설치된 레버를 조적하면, 부상기(70)가 로오프(R)를 타고 상승됨과 아울러 부상기(70)에 연결끈(C)을 개재하여 연결된 카프레임(10) 역시 양측에 설치된 레일(40)을 따라 부상된다. 일정위치에서 부상기(70)의 레버조작을 종료하면 부상기(70)의 멈춤으로 카프레임(10) 역시 부상기(70)에 지지된 상태로 레일(40)에 정지된 상태로 있게 된다. 특히 카프레임(10)은 제 2 도에 표시한 안전장치(20)의 협지구(36)가 지지구(46) 사이에 협지된 상태로 레일(40)에 물려있기 때문에 부상기(70)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카프레임(10)이 레일(40)을 타고 하부로 떨어지는 일은 절대 없게 된다. 즉 안전장치(20)는 부에 이상이 있을 경우를 대비하여 사전에 협지구(36)가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상태로 조작하여 놓은 것으로, 안전장치(20)를 사용치 않아도 무방하다.
⑦ 부상기(70)에 의한 카프레임(10) 상승작업이 완료되면, 최초에 레일(40) 설치작업과 동일하게, 카프레임(10)에 싣고 올라간 레일(40) 설치도구들을 엘리베이터실(30) 내변(I)에 순차적으로 고정시키면 된다.
즉, 작업자가 상부프레임(10a)에 지지된 상태로 서브래킷(60)을 고정후 피설치용 레일(40)을 제 1 도의 1 단계로 사전설치한 레일(40)상에 연속하여 가이드라인(50)에 정확히 맞춘후 브래킷(60)에 고정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레일(40)위에 또 다른 레일(40)들의 설치가 완료되면, 다시 부상기(70)의 레버를 조작하여 카프레임(10) 전체를 상승시킨후, 또 다른 레일(40)을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작업은 부상기(70)에 의한 카프레임(10)의 상승으로 연속하여 실행된다.
한편, 상, 하부 프레임(10a)(10b)에 고정볼트(96)를 이용하여 착탈가능케 착설한 안내지그(16)(16')는 레일(40)설치시, 그 레일을 직선으로 설치되게끔 잡아주는 역활을 하는 것으로 제 3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지그몸체(16a) 전면 일측에 형성된 지지돌편(56)의 일측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레일압압구(66)를 설치하여 레일삽입홈(86)을 형성하고, 그 삽입홈(86)의 중앙인 지그몸체(16a)에는 레일직선유지용 가이드라인(50)의 안내홈(88)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레일 압압구(66)는 나선안내부재(66a)를 개재하여 좌, 우로 진행되는 나사몸체(66b)와, 레일(40) 일측면을 압압하도록 나사몸체(66b)에 착설한 압압편(66c)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안내지그(16)(16')의 압압구(66)와 지지돌편(56)사이의 삽입홈(86)와 지지돌편(56) 사이의 삽입홈(86)내로 삽입된 레일(40)을, 제 1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가이드라인(50)에 맞추어 정확히 직선유지토록 되게끔 잡아줌과 아울러 가이드라인(50)은 안내지그(16)(16')의 안내홈(88)내로 위치케하여, 가이드라인(50)에 맞추어 레일(40)을 설치시 가이드라인(50)이 레일(40)과 프레임(10)사이에 끼이게 되어 절단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제 3c 도는 상기 제일 압압구(66')를 지그몸체(16a')에 직접 나사공(76)을 개재하여 설치한 것을 표시한 것이다.
제 4 도는 카프레임(10)에 설치된 안내지그(16) 위치에 설치되어 있던 기존 가이드 슈(shoe)(80)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실시예의 안내지그(16)는 카프레임(10)에 기존 설치된 상기 가이드 슈(80)를 분리시킨후 설치하여 본 발명의 레일(40) 설치시에만 사용토록 된 것이다.
가이드 슈(80)는 카프레임(10)이 레일(40)을 따라 주행토록 하는 안내구 역할을 행하는 것으로, 가이드 슈(80)의 레일(40) 삽입안내홈(82)에는 보호관(84)을 설치한 것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레일(40)조립설치시 상기 안내지그(16)(16a)를 사용치않고 가이드 슈(80)를 이용시에는 레일 직선유지용 가이드라인(50)이 보호관(84)내로 삽입되게 하여, 가이드라인(50)이 가이드 슈(80)와 레일(40) 사이에 끼이게 되어 절단되는 일이 없도록 한것이다.
이렇게 하여 부상기(70)에 의한 카프레임(10)의 상승을 이용하여 카프레임(10)을 작업대로 삼아 레일(40) 설치작업이 종료되면, 건물의 천정(W) 부위에 사전설치한 엘리베이터 구동모우터의 호이스트 로오프(미도시)에 카프레임(10)을 연결후 부상기(70)를 제거하고, 이어서 레일직선유지용 가이드라인(50)을 제거함과 아울러 안전장치(20)의 조임구(22)를 해체하여 원래 상태로 회복되게 한후, 구동모우터를 가동시키어 카프레임(10)을 서서히 엘리베이터실(30) 저부로 하강시키면 된다. 안내지그(16)는 카프레임(10)을 하강시킨후 제 4 도의 가이드 슈(80)로 대치하면되고, 카프레임(10)에 대한 엘리베이터 케이지(Cage) 및 기타부품들로 이때 조립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레일설치는 부상기에 의한 프레임을 상승시킴에 의해, 프레임을 작업대로 이용하여 레일을 설치하므로 일일히 작업대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잇점이 있고, 또한 레일설치와 아울러 엘리베이터 조립설치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한 특장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Claims (7)

  1. 엘리베이터실(30) 내벽(I)측으로 설치된 레일 직선유지용 가이드라인(50)에는 일단위의 레일(40)만을 그 라인에 맞추어 견고히 입설하는 단계와, 내벽에 위치된 레일에는 안전장치(20)에 의한 상호 연결조립되는 안내지그(16)(16a) 또는 가이드 슈(shoe)(80)를 갖춘 카프레임(10)을 설치하는 단계와, 카프레임의 상부프레임에 엘리베이터실에 기설치한 부상기(70)를 접속하는 단계와, 부상기조작에 의한 카프레임을 부상시킴에 의해 카프레임을 작업대로 이용하여 가이드라인에 맞추어 기설치한 한 단위의 레일에 연속하여 레일을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단계와, 레일설치종료후 카프레임을 즉시 운행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레일설치종료후 카프레임을 즉시 운행할 수 있도록 한 단계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카용 레일의 설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부상기에 의한 카프레임을 부상시키면서 레일을 조립시, 카프레임에 착설된 안전장치는 록킹(Locking) 상태로 위치시키어 레일로부터 추락염려가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설치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카프레임에 착탈가능케 부착시킨 안내지그(16)는 레일을 직선으로 설치되게 유지토록하며, 지그몸체에 형성한 안내홈(88)은 레일조립시 가이드라인이 지그몸체와 레일사이에 기여서 절단되는 일이 없도록 보호해주는 역활을 행하게한 엘리베이터카용 레일설치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안내 지그몸체에 돌설된 지지돌편 옆에는 압압구(66)를 설치하여 레일삽입홈(86)을 형성하며, 레일삽입홈으로 삽입된 레일은 압압구로 레일몸체일측을 압압함에 의해 레일이 직선유지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의 설치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압압구는 지그몸체에 부착된 나사안내구(66a)와, 안내구에 나합되어 좌, 우로 이동되게 한 나사몸체(66b)와 나사몸체의 전단(前端)에 고착시킨 압압편(66c)으로 구성되는 레일의 설치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압압구는 지그몸체에 직접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의 설치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레일 가이드 슈에는 가이드라인 안내용 보호관을 개재하여, 레일설치시 가이드라인이 절단되는 일이 없게한 레일설치방법.
KR1019910011328A 1991-07-04 1991-07-04 엘리베이터카용 레일의 설치방법 KR930009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1328A KR930009009B1 (ko) 1991-07-04 1991-07-04 엘리베이터카용 레일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1328A KR930009009B1 (ko) 1991-07-04 1991-07-04 엘리베이터카용 레일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223A KR930002223A (ko) 1993-02-22
KR930009009B1 true KR930009009B1 (ko) 1993-09-18

Family

ID=1931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1328A KR930009009B1 (ko) 1991-07-04 1991-07-04 엘리베이터카용 레일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90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950B1 (ko) * 2014-08-28 2015-03-06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223A (ko) 1993-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9609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тажа лифта
KR930009009B1 (ko) 엘리베이터카용 레일의 설치방법
WO2002079067A1 (fr) Methode de montage d'un treuil
JPH05178561A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付設方法
KR20110077525A (ko)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출입 가이드장치
JPH09151053A (ja) エレベータの乗かごの固定装置
JP4047602B2 (ja) エレベータ用ユニット型昇降路の構築方法
JPH08245116A (ja) エレベータの据付工法
JPS58216877A (ja) エレベ−タ−昇降路の作業装置
JP5003539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据付治具及び据付治具の製造方法
JP2001335255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工法及びエレベーターの据付用ユニット
JPH09202563A (ja) 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
JPH07237848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け工法
CN220318893U (zh) 一种单元式幕墙竖拼系统
JP2930879B2 (ja) 乗かご枠の組立方法
JPH04223988A (ja) エレベータの昇降路内作業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674392B2 (ja) 油圧エレベーターの据付工法
JP2000026042A (ja) 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
JP2601921B2 (ja) つり合いおもりの支持方法および装置
JPH0250032B2 (ko)
JP2939064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用型板
JP2001122556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掛け方法
JPS60129355A (ja) エレベ−タ−昇降路内作業装置
CN118083742A (zh) 一种顶模体系用升降机搭建方法
JPH025003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1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