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669B1 - 두루마리지류 형성용 권취기 및 두루마리지류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두루마리지류 형성용 권취기 및 두루마리지류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669B1
KR930008669B1 KR1019900003120A KR900003120A KR930008669B1 KR 930008669 B1 KR930008669 B1 KR 930008669B1 KR 1019900003120 A KR1019900003120 A KR 1019900003120A KR 900003120 A KR900003120 A KR 900003120A KR 930008669 B1 KR930008669 B1 KR 930008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paper
winding
cylinders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237A (ko
Inventor
비아지오띠 구리엘모
Original Assignee
페리니나비 에스. 피. 에이
알프레도 푸치넬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리니나비 에스. 피. 에이, 알프레도 푸치넬리 filed Critical 페리니나비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900014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4Winding
    • B65H2301/41419Starting winding process
    • B65H2301/41421Starting winding process involving electrost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4Winding
    • B65H2301/41419Starting winding process
    • B65H2301/41424Starting winding process involving use of g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71Handling web roll
    • B65H2301/4172Handling web roll by circumferential portion, e.g. rolling on circumfer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8Changing web roll
    • B65H2301/4181Core or mandrel supply
    • B65H2301/41814Core or mandrel supply by container storing cores and feeding through wedge-shaped slot or elongated cha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8Changing web roll
    • B65H2301/4182Core or mandrel insertion, e.g. means for loading core or mandrel in winding position
    • B65H2301/41826Core or mandrel insertion, e.g. means for loading core or mandrel in winding position by gripping or pushing means, mechanical or suction gri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2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web(s)
    • B65H2408/23Winding machines
    • B65H2408/235Cradles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두루마리지류 형성용 권취기 및 두루마리지류 형성방법
제 1 도 내지 제 4 도는 한 코어상의 롤(두루마리)권취의 완료와 다음 코어상의 다른 롤권취개시의 네연속 단계를 표시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설명도.
제 5 도 및 제 6 도는 제 4 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또다른 실시예들의 부분설명도.
제 7 도는 제 1 내지 6 도의 실시예의 변형예의 설명도.
제 8 내지 11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네연속단계들을 표시하는 설명적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천공부 3 : 저장소
5 : 안내장치 7 : 권취기
9 : 접착제도포장치 11 : 제 1 상부권취원통
13 : 제 2 하부권취원통 15 : 제 3 권취원통
15A : (왕복)요동아암 17 : 방향전환용롤러
18 : 압입기 18A : 드러스트롤러
19 : 노즐 21 : (탄성)벨트
23 : 경사면 25 : 장벽
117 : 매니포울도 217 : 봉
A : 관형코어 B : 롤 또는 록
N : 원지
본 발명은 지류의 롤 또는 록형성용 권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장지, 주방용 타일등의 종이의 시트 또는 절취가능 지편(紙片)으로 만들어진 작은 롤의 형성을 위한 권취기 및 두루마리지류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권취기는 상부 권취원통과 상부원통과 더불어 "닢"(nip)을 형성하는 하부권취원통과, 상기 두원통과 더불어 로울의 권취공간을 형성하는 제 3가동롤러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닢속으로 개개의 코어를 삽입하기 위한 수단과 코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원통들간의 상대적 원주속도는 주기적으로 변동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확한 수자의 종이시트와 매우 규칙적인 권취개시특성을 갖는, 록, 즉 소형롤의 형성을 위한 신속하고 신뢰성있는 권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및 기타 목적 및 이점들은 다음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 들어오는 원지(原紙)가 두권취원통 사이의 닢을 횡단하고 ; - 상기 닢에 도달하는 원지의 공급방향은 상기 닢속으로의 코어의 삽입중에 접촉하는 권취원통의 회전방향과 반대됨으로써, 상기 삽입중에 원자의 파열을 일으키며 ; - 원지의 선단부는 접착제에 의하여 코어에 고정되어서 코어와 상기 권취원통들중의 다른것 사이에 끼어 들어감으로써 접혀진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실제적이고,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표시한다. 도면중 동일참조번호는 동일부픔을 표시한다.
이제 특히 제 1 도를 참조하고 또한 제 2 도 내지 4 도도 역시 참조하면, N은 원지(原紙)를 표시하며 공급롤(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코어(A)상의 롤 또는 록(B)에 연속적으로 권취된다. 원지모양재료는 코어의 교체중에 계속적으로 공급되어, 새 권취작업이 개시될 또다른 코어로 원지재료의 소정량이 권취된다. 원지(N)는 천공부(1)를 통과하여 일정거리로 횡으로 천공되어서 종이의 개별시트를 형성한다(화장지를 또는 주방용 타월롤에서와 같은). (3)은 관형코어(A)의 저장소를 표시하며, 이 저장소(3)는, 코어를 접착제도포장치(9)를 통과해서 권취기(7)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안내장치(5)와 결합되어 있으며, 접착제도포장치(9)는, 예를들면, 반작용롤러(9c)밑에 놓인 용기(9B)속의 액체접착제욕조속에서 회전하는 롤러(9A)를 가질 수 있다. 이것은 권취기(7)에 카드보드 또는 유사한 재료로 만들어진 관형코어를 공급하는 공지의 장치의 예시적 표시일 뿐이다.
권취기(7)는 제 1 상부권취원통(11) 및 제 2 하부권취원통(13)을 구비하며, 그들사이에 가장 좁은 영역에서, 관형코어(A)의 외경보다 약간 좁은 닢(nip)이 형성된다. (15)는 제 3 권취롤러를 표시하며, 예를들면 왕복요동아암(15A)에 의하여 롤(B)쪽으로 또는 그 반대쪽으로 움직인다.
형성과정에 있는 롤(B)은 두원통(11) 및 (13)과 롤러(15)와 접하며, 원지(N)의 권취를 위하여 도면에 표시된 화살표에 따라서 회전한다. 원지(N)는 천공부(1)를 통과한 후에, 방향전환용롤러(17) 둘레를 통과하고, 상기 롤러(17)를 넘어서, 하부권취원통(13)에 접하도록 도달함으로써 닢(Ⅰ)을 가로지르는 궤도(N1)를 그리며 록(B)위에 그 자체를 권취한다. 따라서 원지 (N)는, 이미 제 1 도에서 명확하게 볼수 있듯이, 권취원통(11) 밑에 약간 떨어져 있으며, 이 권취원통(11)은 공급되는 원지(N)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소정길이의 원지(N)로(특히 천공부(1)에 의하여 형성된 연속적인 절취선 사이에 형성된 소정수의 시트로) 록(B)가 형성된 후에 형성된 록(B)으로부터 원지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록(B)위에 감긴 원지모양재료의 말단과 닢(Ⅰ)속으로 삽입될 새코어위에 감길 원지의 선단사이의 원지를 찢음으로써 달성되며, 이와같이 하여 권취싸이클을 다시 시작한다.
공급장치들(3),(5) 및 (9)로부터 도착하는 코어는 공지된 방법으로 Ao에 위치해서, 적당한 압입기(18)에 의해 화살표(f1)방향으로 이동되어 닢(Ⅰ)속으로 삽입될 준비를 한다. 원지(N)의 일부(N1)가, 삽입되는 코어와 상부권취원통(11)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코어가 위치(Ao)로부터 닢(Ⅰ)속으로 이동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와같이, 원지는 상기 코어(Ao)의 삽입중에만 원통(11)과 접촉하게 된다.
코어는 닢(Ⅰ)속으로 삽입되어, 부분(N1)의 원지와 경합하고, 상,하부 권취원통(13) 및 (11)과 접촉한다. 그 위치에서 (제 2 도의 A1), 코어는 반시계방향으로(도면에서 보아서), 즉, 두원통(11) 및 (13)의 회전표면에 의하여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것은 먼저 원통(11)과 위치(A1)에서의 코어(A) 사이의 종이압박선과 록(B)고 권취원통(13) 사이의 압박선 사이의 부분에서 종이를 찢도록 한다. 이것은 원지(N)가 공급되는 방향에 대하여 종이가 원통(11) 및 코어(회전하기 시작하는)에 의하여 뒤로 잡아당겨지기 때문이다. 다음에 , 상술한 파열에 의하여 형성된 원지의 선단은, 제 2 도에 도시된 방향으로, 위치(A1)에 있는 코어에 눌려져서, 위치(A1)에 있는 상기 코어의 표면상에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된다. 다음, 방금 형성된 록(B)은 제 3 도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떨어져 나간다. 위치(A1)에 있는 코어에는,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궤도(N1)로부터 오는 종이가 최초로 감겨진다. 종이는, 제 3 도에서 볼 수 있고 제 4 도에서도 잘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최초로 접혀지며(P), 이 접힘은 위치(A1)에 있는 코어와 하부권취원통(13) 사이에 원지(N1)의 선단부재료가 삽입됨으로써 완료된다.
위치(A1)에 있는 새코어위에 종이재료의 권취는 이와같이 하여 개시된다. 코어는 그다음에 위치(A1)로부터 롤러(15)쪽으로 서서히 진행하며, 한편으로 이미 형성된 록(B)의 떨어져 나감과 아울러(제 3 도 참조), 로울러(15)가 권취원통(11) 및 (13)사이의 닢에 가깝게 이동함으로써, 새코어(A1)가 또한 점진적으로 롤러(15)와 접촉하게 된다. 이것은 코어(A) 및 새 록(B)의 형성을 위하여 이미 제 1 도에 참고로 표시된 상태하에서 권취를 개시한다.
천공부(1)에서 천공된 구멍들의 위치에 대하여 위치(A0)로부터 위치(A1)로 코어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원통(11)과 코어(A1) 사이의 압박점과, 롤(B)과 원통(13) 사이의 압박점 사이의 부분에서 원지의 파열이 가능하다. 이것은 주어진 수의 종이시트가 록(B)위에 감기고 쌓일 수 있게 하며 , 파열이 일어나는 간격은 비교적 짧아서 단지 하나의 절취선만이 파열의 순간에 가로방향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록 또는 롤(B)의 형성을 위하여, 감긴 재료의 양속에 포함되는 정확한 수의 종이시트를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한 천공부에 대응하는 파열위치를 사전설정할 수 있다.
종이재료가 귀도(N1)를 따라서 권취원통(11)과 접촉하게 되는 순간에, 닢(Ⅰ)속으로 삽입되는 코어(A1)의 그에 대한 압입으로 인하여, 원지는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원통(11)과 코어(A1) 사이의 접촉에 의하여 초래되는 진행방향에 대하여 역으로 움직임으로 인하여, 이 궤도(N1)내에서 늘어지게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코어 교체싸이클의 이 단계중에 원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제 1 내지 4 도에 의하면, 일열의 노즐(19)로부터 적당한 비율로 조정가능한 공기추력에 의해 종이재료에 약간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공기를 분출하는 노즐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장치는 특히 융통성이 있으며 실제로 어떤 관성효과도 받지 않는다.
제 6 도에 개략적으로 표시된 또다른 해결방법에 의하면, 앞의 예의 일열의 노즐(19)에 의하여 얻는 것과 유사한 공기작동 인장효과뿐만 아니라 구도(N1)쪽으로 원지(N)의 방향전환역할도 하는 매니포울드 주위로 공기쿠션을 생성하기 위하여 압력공기가 공급되는 매니포울드(117)에 의하여 방향전환용롤러(17)가 대체된다. 매니포울드(117)에는 궤도(N1)쪽으로 원지(N)의 방향전환영역에만 배치된 구멍들이 고정되어 있으며, 또는 그의 전체 원통표면에 걸쳐서 배치된 구멍들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회전할 수도 있다.
제 5 도에 도시된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봉(217)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것은 방향전환용롤러(17)를 대체한 것으로서, 예를들면, 궤도(N1)쪽으로 그의 접촉의 영역에서 슬라이딩하는 원지(N)의 견인을 위하여 정전기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원지는 그의 궤도(N1)에서 봉(217)(상기 정전기적 효과로 인하여 원지가 떨어져나가는데 대한 장애가 되는)을 따르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궤도(N1)에서 원지에 약간의 인장력을 확보한다. 또는, 정전기적효과가 반발효과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제 6 도의 설명도에서 매니포울드(117)에 의하여 분출된 공기로써의 결과와 같은 결과를 발생하는 인장력이 획득될 것이다.
(19) 또는 기타에 의하여 표시되는 것과 같은, 인장력장치는 방향전환용원통(17) 또는 천공부(1)의 상류에서 작용하기 위하여도 배치될 수 있다.
제 7 도의 실시예에 의하면, 원지모양재료의 인장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술한 가동장치중의 하나 또는 다른것 대신에, 아이들러 롤러인장기의 수단에 의하여 인장을 달성하도록, 요동아암(317A)에 장착되는 방향 전환용로울러(317)등이 설치될 수 있다.
제 7 도는 또한 원통들(11) 및 (13)과 롤로(15) 사이에 형성된 권취영역으로부터 록(B)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표시한다. 록(B)을 제거하기 위하여 권취원통(13) 및/또는 롤러(15)의 회전속도에 대하여 일시적으로 속도변화를 받더라도, 원통(13)은 도면에서 표시한 화살표방향으로 항상 회전한다는 것을 지적하는 것은 유용하다. 형성된 록(B)의 외경보다 약간 더 작도록 조정될 수 있는, 하부권취원통(13)의 외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탄성벨트(21)가 설치된다. 록(B)은 화살표(fB)의 방향으로 권취공간으로부터 원통(13)과 상기 벨트(21) 사이의 공간으로 떨어져 내려가서, 더욱 회전하고 구르도록 되어 있어 구름의 방향이 코어상의 원지모양재료의 감김과 같은 방향으로 된다.
(B1)으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록은 경사면(23)위에 떨어져서 장벽(25)에 의하여 (B2)위치에 일시적으로 유지되며, 그후 적당한 시기에 그로부터 이동되어서 또다른 처리 및 작업공정으로 향한다. 롤 또는 록(B1)의 낙하속도를 감소 또는 제어하기 위하여, 일련의 폐쇄링 모양벨트들이 탄성벨트(21) 대신에 일점쇄선으로 제 7 도의 (21X)로 표시된 것과 같이 록의 접촉부분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 8 내지 11 도는 선행도면에 도시된 것과 동작상에서는 동등하나 반전된 권취기의 개략적표시를 나타낸다. 원지(N)는 종이의 개별시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횡방향의 천공을 행하는 천공부(51)를 통과한다. (53)은 코어(A)의 저장소를 표시하며, (59)로 표시되는 접착제도포부를 통과한 후에, 안내장치(55)를 따라서 권취그룹(57)으로 안내된다. (61) 및 (63)은 두개의 상부 및 하부권취원통을 표시하며(선행예의 (11) 및 (13)으로 표시된 것과 유사함), 코어가 체류위치(Ao)로부터 화살표(f1)방향으로 삽입되는 닢(Ⅰ)을 그들 사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지궤도(N1)는 닢(Ⅰ)을 통하여 들어가서, 원지가 상부권취원통(61) 및 형성과정에 있는 록(B)와 접촉하도록 한다. 원지(N1)는 권취원통(63)의 표면과는 약간 거리를 두고 유지되어 있으며, 이 권취원통(63)은 도면에 표시된 화살표를 따라 회전하며, 원지(N1)의 공급방향과는 반대인 회전방향을 갖는다. 이 상태는 제 1 내지 4 도의 예에서 원통(11)과 원지(N1)간의 그것들과 정확히 동등하다.
(65)는 원통(61) 및 (63)과 더불어 권취공간을 형성하는 가동권취롤러를 표시한다. (67)은 궤도(N1)를 따라서 원지를 진행시키는 원지방향전환장치를 표시한다. 번호(68)은 코어를 닢(Ⅰ)속에 삽입하는 장치를 표시한다. 이 경우에, 닢(Ⅰ)속에 삽입된 코어는 원통(63)에 대하여 원지부분(N1)을 이동시킴으로써, 원통(61)과 록의 접촉영역과 코어(A1)와 원통(63)간의 접촉영역과의 사이에서 원지의 파열을 일으킨다. A1위치에 삽입된 코어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 9 및 10 도를 보는 관측자에 대하여), 접착제의 존제로 인하여, 상기 코어는 원지의 선단과 결합하므로, 원지는 상기 코어위에 감기게 된다. 궤도(N1)를 따르는 원지의 선단은 원통(63)에 의하여 가해진 압력에 의하여 가압되어 코어위에 접착되고, A1위치(제 10 도)에서 코어의 회전에 의하여 최초로 접혀진다. 접힘은 코아(A1)와 상부권취원통(61) 사이에 원지를 삽입함으로써 완료된다. 이 위치로부터, 방금 삽입된 코어(A1)위에 원지 모양재료의 권취가 시작되는 한편, 록(B)은 통상의 방법으로 떨어져나간다. 선행예들에서 기술된 것들과 유사한 장치들이 제 10 및 11 도에 도시된 단계중에 두원통들(61) 및 (63)간의 닢(Ⅰ)에 도달하는 원지모양재료의 궤도(N1)의 긴장성 (팽팽함)을 확보하기 위하여 채택될 수 있다.
변형실시예에 의하면, 압입기(18)가 성형된 부재를 구비하고, 또한 제 7 도의 (18A)로 표시된 것들과 같은 드러스트 롤러를 구비함으로써, 새로 삽입된 코어(A1)위에 원지의 권취가 개시될 때, 상기 원지는, 점진적으로 이동하는 동압입기에 의하여 이동되고 안내된다. 이것은 종이인장력의 급작스런 변동을 피할 수 있도록 한다.
종이 궤도의 긴장성을 확보하기 위한 또다른 방법은, 상기 장치들(19),(117) 또는 (217)의 보조로서, 또는 대안으로서 롤러(13) 또는 (63)의 일시적가속을 통하여 더 큰 범위까지 인장될 수 있는 종이의 탄성을 이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이 가속은 이미 방금 형성된 롤(B)을 제거하기 위해 요구된 것이다. 이 더큰 인장은 코어와 원통(11) 또는 (61)간의 접촉에 의하여 결정되는 늘어짐을 보상한다.
접착제는 코어위에 원지의 선단을 확실히 접착시키기 위하여, 각 코워위에 적당히 간격을 띄운 환형상영역의 형태로, 또는 길이방향 연속띠의 형태로 또는 간격을 띄운 영역에 적당히 간섭된 띠의 형태로, 그룹(9) 도는 그룹(59)등에 의하여 코어위에 도포된다. 닢(Ⅰ)속으로의 코어의 삽입을 위한, 코어삽입위치 및 압압기(18)의 적당한 위치의 변경은 코어위에 도포되는 접착제와 접촉하게 되는 압입기상의 접착제의 누적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된 방법으로 채택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장치의 이점은 명백하다. 코어위에 원지의 선단을 압박하거나 붙잡는한, 비교적 높은 작동율에서도 고신뢰성이 획득된다. 원지모양재료의 파열은, 원지모양재료의 공급방향과 반대로 회전하는 롤러부재를 통하여 달성될 때는 매우 규칙적 방법으로 행해진다. 원지모양재료상에 행해진 횡방향의 천공은 코아진압과 용이하게 등기할 수 있으므로써, 소정천공구를 따라서 원지를 파열시키도록 하며, 따라서 각 록상의 천공구에 의하여 형성된 원지 모양재료의 부분 또는 시트의 소정의 정밀하고 일정한 수의 권취를 얻게되는 것이다.
작업중일지라도 천공구들간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천공구들의 수도 역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즉, 각 록상에 감길 수 있는 재료의 시트의 수도 역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같은 록상에 감기는 시트의 수, 즉, 각 록속에 존재하는 천공구의 수는 현재 시판되는 권취기에서의 제한 및 그룹들에 의하지 않고 하나하나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해 둔다. 이들 및 기타 목적들 및 이점들은 상기 설명을 읽으므로써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상기 도면들은, 본 발명이 근거하는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형태 및 배치를 변경시킬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계적인 예로써만 주어진 예시를 표시한 것이다. 첨부된 청구범위속의 참조번호의 존재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며, 명세서 및 도면에서 설명이 행해졌지만, 청구범위에 의하여 표현되는 보호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9)

  1. 원지재료의 소형롤 또는 록의 형성을 위한 권취기에 있어서, 상부권취원통(11,61)과, 하부권취원통(13,63)과, 상,하부원통사이의 닢(Ⅰ)과, 상기 두원통과 더불어 롤(B)의 권취용공간을 형성하는 제 3 롤러(15,65)와, 각 개별코어(Ao)를 상기 닢(Ⅰ)속으로 삽입하기 위한 압입기수단(18,68)과, 접착제를 코어에 도포하기 위한 수단(9,59)를 구비하고, 상기 권취기는 원지(N1)가 두 권취원통(11,13,61,63) 사이의 닢(Ⅰ)을 가로질러서 공급되며, 상기 닢(Ⅰ)에 도달할때의 원지(N)의 이동방향은 상기 닢(Ⅰ)속으로의 코어(A1)의 삽입중에 접촉되는 원통(11,63)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며, 그에 의해 상기 삽입시에 원지를 파열시키도록 하며, 원지의 선단은 수단(9,59)에 의하여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코어에 도포되어서, 코어(A1)과 하부권취원통(13,16) 사이에 그것을 삽입함으로써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지류 형성용 권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들간의 상대적 원주속도는 주기적으로 변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두루마리지류 형성용 권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원통들(11,13,61,63)간의 닢속으로의 코어의 삽입을 위한 수단(18,68)은, 삽입된 코어(A)위에 그것이 감기기 시작할때 원지를 이동시킬 수 있는 롤러(18A) 또는 선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지류 형성용 권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의 개시시에 원지를 파열시키기 위하여 상기 두 권취원통들간의 닢(Ⅰ)속의 원지모양재료(N1)위에 작용하는 인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지류 형성용 권취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수단은 닢앞의 원지위에 작용하는 압축공기수단(19,117)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지류 형성용 권취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수단 (217)은 닢앞의 원지위에 흡인 또는 반발의 정전기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지류 형성용 권취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수단은 이이들러롤러(317)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지류 형성용 권취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원통(13)은 방금 형성된 록(B)을 제거하기 위하여 가속되어서, 원지의 인장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원지의 늘어짐을 해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지류 형성용 권취기.
  9. 코어(A,A1)위에 원지모양재료의 롤을 권취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회전권취원통(11,13 : 61,63) 및 가동권취롤러(19,65)와 그들간에 형성된 권취공간을 구비하는단계, 코어(A1)의 삽입을 위하여 제 1 및 제 2 회전권취원통들간에 닢(Ⅰ)을 형성하는 단계, 닢(Ⅰ)을 통하여 리본모양의 원지를 공급하는 단계, 원지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그 표면이 회전하는 제 1 권취원통의 표면에 코어를 밀접하게 이동시키는 단계, 접착제를 코어위에 도포하는 단계, 코어를 닢속으로 삽입하는 단계, 코어와 제 1 권취원통의 표면 사이에 원지를 압박함으로써 원지를 파열시키는 단계, 파열된 원지의 선단을 접힌 상태로 코어와 제 2 권취 원통사이에 통과시키는 단계, 파열된 원지의 선단을 방금 형성된 록으로부터 잡아당기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지류 형성방법.
KR1019900003120A 1989-03-09 1990-03-09 두루마리지류 형성용 권취기 및 두루마리지류 형성방법 KR930008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9363A/89 1989-03-09
IT8909363A IT1233170B (it) 1989-03-09 1989-03-09 Macchina ribobinatrice per formare rotoli di carta od altr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237A KR900014237A (ko) 1990-10-23
KR930008669B1 true KR930008669B1 (ko) 1993-09-11

Family

ID=11129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120A KR930008669B1 (ko) 1989-03-09 1990-03-09 두루마리지류 형성용 권취기 및 두루마리지류 형성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031850A (ko)
EP (1) EP0387214A3 (ko)
JP (1) JPH02291344A (ko)
KR (1) KR930008669B1 (ko)
BR (1) BR9001106A (ko)
CA (1) CA2011701A1 (ko)
IL (1) IL93673A0 (ko)
IT (1) IT12331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2533A (en) * 1990-10-15 1992-03-03 Beloit Corporation Method for effecting a set change in a winder
US5104055A (en) * 1991-02-05 1992-04-14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convolutely wound logs
JPH0815966B2 (ja) * 1991-12-21 1996-02-21 川之江造機株式会社 ウエブ巻取り装置
US5346150A (en) * 1992-01-21 1994-09-1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ail gap winder
IT1265841B1 (it) * 1993-02-15 1996-12-12 Perini Fabio Spa Macchina ribobinatrice perfezionata per l'avvolgimento senza nucleo centrale con superficie di appoggio per il rotolo in formazione.
US5505405A (en) * 1993-02-18 1996-04-09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Surface rewinder and method having minimal drum to web slippage
US5370335A (en) * 1993-02-18 1994-12-06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Surface rewinder and method
DE4342277C2 (de) * 1993-12-11 1996-02-08 Beiersdorf Ag Revolverkopf-Tragwalzenwickler
WO1996002449A1 (en) * 1994-07-13 1996-02-01 C.G. Bretting Manufacturing Co., Inc. Rewinder log control
IT1278644B1 (it) * 1995-04-14 1997-11-27 Perini Fabio Spa Macchina ribobinatrice per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con controllo dell'introduzione dell'anima di avvolgimento
US6000657A (en) * 1996-09-18 1999-12-14 C.G. Bretting Manufacturing Company, Inc. Winding control finger surface rewinder with core insert finger
US5772149A (en) * 1996-09-18 1998-06-30 C. G. Bretting Manufacturing Company, Inc. Winding control finger surface rewinder
US5820064A (en) * 1997-03-11 1998-10-13 C.G. Bretting Manufacturing Company, Inc. Winding control finger surface rewinder with core insert finger
ITMI981515A1 (it) * 1998-07-01 2000-01-01 Italconverting Srl Sistema di introduzione anime nella culla di avvolgimento di una ribobinatrice di materiale in foglio
US6145777A (en) * 1999-04-28 2000-11-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ingle station continuous log roll winder
IT1313815B1 (it) * 1999-11-03 2002-09-23 Giovanni Gambini Dispositivo di introduzione di un'anima di avvolgimento in unamacchina ribobinatrice
ITMI20010764A1 (it) * 2001-04-10 2002-10-10 Gambini Giovanna Apparecchiatura per applicare colla ad un'anima da inserire in un riavvolgitore per avvolgere log
ITFI20010120A1 (it) * 2001-06-29 2002-12-29 Perini Fabio Spa Dispositivo per il controllo dello scarico dei rotoli da un ribobinatrice e ribobinatrice comnprendente detto dispositivo
DE10321599A1 (de) * 2003-05-13 2004-12-30 Windmöller & Hölscher Kg Wickelvorrichtung mit elektrostatischen Auflademitteln und Verfahren zum Festlegen mehrlagiger Folie
ITFI20030311A1 (it) * 2003-12-05 2005-06-06 Perini Fabio Spa Macchina ribobinatrice, metodo per la produzione di
ATE387394T1 (de) * 2003-12-05 2008-03-15 Perini Fabio Spa Verfahren und maschine zur herstellung von rollen aus bahnmaterial
EP2045201A1 (en) * 2007-10-02 2009-04-08 M T C - Macchine Trasformazione Carta S.r.l. Rewinding method and rewinding machine that carries out this method
DE102008029379A1 (de) * 2008-06-23 2009-08-13 Von Ardenne Anlagentechnik Gmbh Anordnung zum Beschichten bandförmiger Foliensubstrate
EP2626144A1 (en) * 2012-02-07 2013-08-14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Roll to roll manufacturing system having a clean room deposition zone and a separate processing zone
US9809417B2 (en) 2015-08-14 2017-1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rface wind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4380B2 (ja) * 1974-11-13 1983-07-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マキトリマタハ マキモドシホウホウ
DE2522011A1 (de) * 1975-05-17 1976-11-25 Hobema Maschf Hermann Einrichtung zum aufwickeln von bahnen aus papier, zellstoff o.dgl.
IT1165998B (it) * 1979-09-21 1987-04-29 Fabio Perini Dispositivo avvolgitore continuo per nastri di carta ed altro nella produzione di carta igienica e manufatti analoghi
DE3404225A1 (de) * 1983-04-22 1984-10-25 Paper Converting Machine Co., Green Bay, Wis. Wickelvorrichtung
US4828195A (en) * 1988-02-29 1989-05-09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Surface winder and method
US4909452A (en) * 1988-02-29 1990-03-20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Surface winder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291344A (ja) 1990-12-03
IT8909363A0 (it) 1989-03-09
CA2011701A1 (en) 1990-09-09
IT1233170B (it) 1992-03-14
EP0387214A2 (en) 1990-09-12
BR9001106A (pt) 1991-03-05
IL93673A0 (en) 1990-12-23
KR900014237A (ko) 1990-10-23
JPH0583465B2 (ko) 1993-11-26
US5031850A (en) 1991-07-16
EP0387214A3 (en) 1991-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8669B1 (ko) 두루마리지류 형성용 권취기 및 두루마리지류 형성방법
US536825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nding rolls of web material with severing of web by roll acceleration
KR930011434B1 (ko) 두루마리 형성용 권취기 및 권취방법
US7172151B2 (en) Rewinding machine for producing logs of wound web material and relative method
KR860001993B1 (ko) 웨브의 스냅파단장치
US6488226B2 (en) Web rewinder chop-off and transfer assembly
US6729572B2 (en) Mandrelless center/surface rewinder and winder
KR20080033170A (ko) 웨브재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및 방법
EP0853060B1 (en)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logs of sheet material
JP2012503582A (ja) 巻き直し機及び巻取り方法
EP1888441A2 (en) Machin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rolls of weblike material together with a winding core and roll thus obtained
JP4696073B2 (ja) ウエブ材料のログの製造方法及びその機械
KR100548751B1 (ko) 단일 스테이션의 연속 로그 롤 와인더
KR910019882A (ko) 코어에 웨브 재료를 감아서 로울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연속해서 공급되는 웨브를 찢는 방법
EP033165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rolls of perforated paper strips, a roll manufactured in this way and a dispenser for dispensing sheets from said roll
JPH11114881A (ja) スリッタ装置
CA20401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orarily accumulating an excess of a paper web
MXPA01008021A (es) Unidad rebobinadora, punteadora y de transferencia de trama continu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