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170A - 웨브재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웨브재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170A
KR20080033170A KR1020077029697A KR20077029697A KR20080033170A KR 20080033170 A KR20080033170 A KR 20080033170A KR 1020077029697 A KR1020077029697 A KR 1020077029697A KR 20077029697 A KR20077029697 A KR 20077029697A KR 20080033170 A KR20080033170 A KR 20080033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material
winding
core
log
rewi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베르토 모렐리
마우로 겔리
Original Assignee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20080033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6Cutting-off the web running to the wound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238The web roll being driven by a winding mechanism of the nip or tangential drive type
    • B65H19/2269Cra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6Cutting-off the web running to the wound web roll
    • B65H19/267Cutting-off the web running to the wound web roll by tearing or bur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30Lifting, transporting, or removing the web roll; Inserting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4Winding
    • B65H2301/41419Starting winding process
    • B65H2301/41425Starting winding process involving blowing means, e.g. air bl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3Air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2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web(s)
    • B65H2408/23Winding machines
    • B65H2408/235Cradles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리와인딩머신은 감기시스템(1, 2, 3)과 상기 감기 시스템을 향하는 웨브재(N)용 공급 통로로 이루어진다. 공급 통로를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에어제트 절단 부재(23)가 위치 결정되며, 각각의 로그(R)의 감기가 종료된 후 웨브재를 절단하게 한다.

Description

웨브재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및 방법{REWINDING MACHINE, METHOD FOR PRODUCING LOGS OF WEB MATERIAL}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배타적이지 않은, 화장실 페이퍼, 키친 타올 등의 소형 롤을 제조하는 로그를 형성하는 웨브재를 감는 리와인딩 머신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배타적이지 않지만, 발명은, 즉, 로그의 외부 표면에 접촉하는 감기 부재를 구성하는 감기 크래들에서 웨브재를 감음으로써 로그가 형성되는, "주변" 리와인딩 머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발명은, 감기 방법 및 더욱 구제척으로는, 배타적이지 않지만, "주변" 감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상태>
페이퍼, 티슈 페이터 또는 다른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기 위하여, 리와인딩머신은, 감긴 재료가 공급되고, 미리 계획된 감긴 재료의 양을 가진 로그를 제조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웨브재는 리와인더, 즉, 예를 들면, 제지공장으로부터 오는 대형의 직경을 가진 1이상의 릴을 푸는 머신으로 부터 공급된다.
로그는 "현상 대로" 판매될 수 있거나, 다른 전환 동작, 즉, 일반적으로 더욱 작은 축 길이의 롤, 판매될 소형 롤의 최종 크기와 동일하게 절단되는 동작을 겪을 수 있다.
몇몇의 경우에 있어서, 감기는 중앙 리와인딩 머신에 의하여 행해지며, 즉, 로그는 자동화된 스핀들 주변에서 형성되고, 스핀들 위에, 감기코어는 카드보드 또는 유사한 재료로 만들어져서, 스핀들에 삽입될 수 있으며, 그 코어는 로그의 내부에 남아 있다.
최신 리와인딩 머신은 주변 또는 표면 감기 컨셉에 의거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로그는, 회전 감기 롤러 또는, 벨트 또는 롤러 및 벨트의 조합 등의, 다른 감기 부재에 의하여 형성된 감기 크래들로 형성된다.
또한 공지된 결합 시스템에 있어서, 감기는 주변 부재에 의하여 얻어지며, 형성 동안 로그의 축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결합된다. 중앙 감기 시스템과 주변 감기 시스템 양자에 있어서, 머신은, 스핀들 또는 감기 코어가 종료된 로그로부터 제거되어 때때로 이용되며, 최종 제품은, 축 코어가 결여된, 중앙 홀로 형성된 로그의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타입의 주변 감기 머신의 예에 대하여, WO-A-0172620호에 개시되어 있다.
주변 또는 중앙 타입의 양자의 리와인딩 머신은, 자동 및 연속적인 모드에서 동작하는 머신이며, 웨브재가 중단하지 않으면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그 가운데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의미한다. 웨브재는, 재료를 각각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횡단 천공 라인으로 형성되며, 최종의 이용을 위하여 롤로부터 분할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상기 부분 또는 시트의 구체적이고 정밀한 수로 롤을 제조하기 위하여 힘쓴다.
롤 또는 로그가 완성되는 경우, 교환단계가 실행되어야 하며, 로그가 내려지 고 웨브재가 절단되는 동안, 완성된 로그의 최종 끝과 이어진 로그의 최초 끝을 형성한다. 최초 끝은 새로운 로그를 형성하기 위하여 감기 시작한다. 절단은, 천공 라인 레벨에서 발생하여서, 최종 제품은 완전하고 웨브재의 부분의 미리 결정된 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동작은 웨브재의 공급 속도에 있어서 실질적인 변화없이 일어나며 감기 사이클의 가장 결정적인 순간을 표시한다. 티슈 페이퍼를 제조하기 위하여 최후의 감기 머신에 있어서, 1초 미만의 시간의 감기 사이클로, 1000m/min 정도의 웨브재 공급 속도가 도달하여 초과한다.,
그러므로, 각각의 롤 또는 로그의 감기가 종료된 후, 웨브재의 절단을 행하기 위하여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으며 가용성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GB-A-1435525호는, 웨브재의 절단이, 감기크래들로 삽입된 새로운 감기 코어와 감기 롤러의 하나 사이에 고정시키는 루프를 생산하거나 웨브재를 찢는 압축된 에어의 제트 또는 블레이드에 의하여 일어나는 리와인딩 머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에어의 제트를 생산하는 노즐은 코어의 삽입을 위하여 니프의 하류측에 위치결정되며, 두 개의 대향하는 감기 롤러에 의하여 형성되며, 주변 감기 클래들에 속한다.
US-A-4327877호는 웨브재의 절단이, 감기 크래들 내로 삽입된 새로운 코어와 흡입 감기 롤러 사이의 웨브재의 핀칭 및 감기 롤러중 하나의 표면을 통하여 흡입의 결합작용을 개재하여 일어나는 리와인딩 머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흡입은, 도착이 완료된 로그 주변에서 감긴 웨브재의 공급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핀치되고 끌어당겨지는 재료의 루프를 형성한다.
GB-A-2150536호 및 US-A-5368252호는 감기를, 감기 롤러 중 하나의 가속을 제어함으로써만 종료시킨 후 웨브재가 찢어지는 방법 및 리와인딩 머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감기 롤러 중 하나의 가속에 의하여 천공 라인을 따라서 웨브재를 찢는 원칙에 의거한 동일한 시스템에 대하여 EP-A-1,219,555호에 개시하고 있다.
GB-A-2105687호는 감기 롤러 중 하나의 채널의 블레이드에 의거하여 행해지는 절단에 의하여 웨브재의 절단이 일어나는, 방법 및 리와인딩 머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US-A-5137225호 및 EP-A-0199286호는 코어가 웨브재를 핀치하고 코어를 정지하게 하거나 일시적으로 감속하게 하는 고정된 표면과 감기 코어 사이에서 협력에 의하여 찢어짐이 발생하는 방법과 리와인딩 머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IT-B-1,275,313호는 웨브재의 찢어짐이, 주요 감기 롤러와 협력하는, 코어 삽입기에 의하여 달성되는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US-A-6,056,229호는 웨브재가 고정 표면과 이동 부재 사이에서, 웨브재를 핀칭함으로써 웨브재를 절단하며, 머신 내로 감기 코어를 또한 삽입하는, 리와인딩 머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US-A-5979818호에는 특히 신뢰성 있고 가요성있는 머신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찢어짐은, 웨브재가 구동되는 감기롤러 중 하나와 협력하는 이동부재에 의하여 행해지거나, 또는 벨트가 상기 롤러 주변에서 구 동되면서 행해지며, 감기 롤러는 감기 크래들을 향하여 공급하는 동안 웨브재를 지지한다. 감기 롤러와 한편으로 웨브재 및, 다른 한편으로는 이동부재와 감기롤러와의 속도의 차이는 천공 라인을 따라서 웨브재를 찢어지게 한다. 이전의 찢음 시스템에 관하여, 이러한 공지된 리와인딩 머신은 매우 높은 감기 정밀도를 달성할 수 있게 하며, 고속인 경우라도, 비교적 단순하고 경제적인 구성으로, 탄력성있는 고생산성을 또한 달성하게 한다.
WO-A-2004/096684호는 영국 특허 1,435,525호에서 이미 개시된, 즉, 웨브재의 작용에 의하여, 압축된 에어 제트가 천공 라인을 따라서 그 웨브재의 찢어짐을 야기하는, 웨브재의 동일한 감기 시스템을 이용하는 리와인딩 머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압축된 에어의 제트는 주된 감기 롤러의 원통형 표면의 내부에 위치결정된 채로, 감기롤러 주변에서 웨브재는 구동된다. 이러한 구성은 제조하기에 특히 복잡하고 곤란하여, 흠결을 피할 수 없다. 첫 번째로, 압축된 에어 노즐의 시스템이 롤러의 원통형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 결정하는 경우, 후자는 넓은 천공 영역을 가지며 웨브재에 영향을 끼치는 적절함 찢어짐을 달성한다. 또한, 노즐로부터 운반되는 에어의 제트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감기 롤러의 천공 벽을 통과하는 때에, 매우 높은 공기 가압이 필요하다. 에어의 제트가 이러한 벽을 통과함은 그 운동 에너지의 대부분을 상실한다. 수정된 실시예에 있어서, 감기 롤러는 환형상의 홈을 가지며, 블로잉(blowing) 노즐에서 종료되는 곡선 튜브의 내부에 위치결정된다. 이러한 구성은 복잡하고 매우 비효율적이다. 또한, 양 실시예에 있어서, 감기롤러는 매끄럽고 균형잡힌 표면을 갖지못하지만, 홀 또는 환형상의 홈 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감기 동안 웨브재를 손상시켜서 완성품의 질을 저감시킨다.
전술한 특허에서 개시된 머신과 방법에 의하여 표현된 전개로부터, 고속인 경우라도, 감기가 증가하는 효율성과 신뢰성이 있으며, 높은 수준의 적응성을 달성하고, 특히 웨브재 위의 이어진 천공 라인 사이에서의 거리 또는 각각의 로그에 감긴 웨브재의 길이에 있어서, 즉, 감기 파라미터의 용이한 변동을 허용하는 감기를 개시하고 찢기 위한 시스템을 제조하는 필요성이 있음이 명백하다.
<발명의 목적과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며 신뢰성있으며, 높은 수준의 생산 적응성을 보증하는 감기방법 및 리와인딩 머신을 제조하는 데 있다.
이들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이하의 텍스트의 판독으로부터 숙련된 이러한 기술 분야에서 명백하며, GB-A-1435525호에 개시된 타입 중,
웨브재를 공급하는 니프를 그들 사이에 형성하는 적어도 제 1감기롤러와 제 2감기롤러를 가진 감기 시스템과;
상기 감기 시스템을 향하는 웨브재의 공급통로와;
각각의 로그의 감기가 종료된 후 웨브재를 절단하기 위하여 에어의 제트를 제조하는 절단부재로 이루어진,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머신으로부터 출발하여 실제로 달성된다. 특징적으로, 에어의 제트에 의하여 동일한 찢어짐 원칙에 의거하여 다른 머신에 관하여 구조상의 단순성을 증가를 달성하고, 고속인 경우라도 보다 큰 효율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니프의 상류 측에, 절단부재는 웨브재의 공급 통로를 따라서 위치결정된다. 남아있는 머신 상관요소와 동기하는 방식으로 단기간 동안, 공급 통로를 따른 웨브재에 분사된 에어의 제트가 웨브재에 직각하도록 하며, 감음으로 인한 장력 하에 있어 결과적으로 찢어진다. 에어의 제트를 생산하는 노즐은, 탄력성있는 부재의 벨트가 정지하고 작동하는 대항하는 표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찢어짐은 상기 웨브재의 통로를 따라서 통상적으로 형성되는 웨브재 위에 형성된 천공라인을 따라서 발생한다. 절단부재는 1개 이상의 개구와, 일련의 정렬된 노즐, 슬롯 마다 단일의 노즐 또는 슬롯 마다 복수의 노즐로 이루어지며, 개구는 홀, 윈도우, 슬롯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성의 형태이며, 노즐은 웨브재에 1이상의 압축된 에어의 제트를 분사한다.
에어의 제트는, 각각의 로그의 감기가 종료된 후 웨브재가 절단되는 천공 라인의 위치와 일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천공 라인의 수가 얻어지므로, 각각의 로그 위의 웨브재의 각각의 시트의 수는 정밀하게 결정된다. 또한, 천공라인은 압력 상승 점을 표시하며, 장력 강도를 감소시키면서, 찢어짐을 용이하게 한다.
이렇게 제조된 리와인딩 머신은 공지된 장치에 관하여 상당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US-A-5,979,818호에 개시된 머신과 동일한 동작 적응성과 동일한 신뢰성으로 특징 되지만, 웨브재의 찢어짐을 실행하는, 회전하는 기계적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기계적 부품의 보다 적은 개수는 동작시 더욱 경제적이며 더욱 용이하고 또한 더욱 신뢰성이 있다. 또한, 웨브재를 찢기 위한 장치의 기계적 작용의 삭제는 마모,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킨다. 웨브재의 찢어짐이 감기 롤러 중 하나의 가속에 의하여 실행되는 공지된 시스템에 관하여, 본 발명에 의한 머신은 가격, 신뢰성 및 생산 속도의 이점을 가지며, 증가된 감기 정밀도 이외에, 매우 고속인 경우에도, 웨브재의 찢어지는 점 또는 절단 위치의 조정을 더욱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다.
가압된 에어의 제트를 통하여 찢어짐을 행하는, 공지의 머신에 대하여, 매우 복잡한 구조적 해결책을 이용하지 않으면서, 웨브재의 절단 점을 동일시함에 있어서 더욱 큰 정밀도를 달성한다. 웨브재가 구동되는 주요한 감기 롤러는 홀이 없는 매끄러운 표면을 구비할 수 있거나, 환형상의 홈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롤러와 함께, 웨브재를 가진 연속적인 원통형 접촉 표면을 형성하는 매끄러운 외부를 가진 벨트는 환형상의 홈 내부에서 구동될 수 있다. 감기 롤러의 벽은 압축된 에어 노즐과 웨브재 사이에서 더 이상 개재되지 않으며, 에어의 영향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몇몇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러한 기술분야에서 숙력된 자에게 명백한 일련의 이점을 가진, 발명에 의한 찢어짐 시스템에 의하여, 필요한 경우, 각각의 코어 또는 감기 스핀들에 웨브재의 감기를 개시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접착제를 제거할 수 있다. 접착제 없이 감기를 개시하는 다른 공지의 장치와는 상이하게,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여, 양질의 완성품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매우 고속으로 현저한 신뢰성으로 도달할 수 있으며, 공지의 시스템에서 흔히 있는 일이지만, 접어진 자국에 의하여 특징되는 내부 턴이 없다.
상기 형성된 발명적인 컨셉은, 카드 보드 또는 플라스틱 코어 등, 완성된 제품의 내부에 남겨진 감기 코어를 가진 롤 또는 로그를 제조하는 감기 머신과, 감기 코어가 없는 롤 또는 로그를 제조하는 머신, 양자에 있어서 적용될 수 있으며, 소형의 롤로 절단되기 전 감긴 제품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제거되는 코어 또는 스핀들 주변에 로그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완성된 제품은 중앙 코어가 없지만 축 홀을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와인딩 머신은, 감기 크래들을 향하여 공급 통로에 감기 코어를 공급하는, 감기 코어 공급기를 구비한다.
리와인딩 머신이 감기 코어 주변에서 로그를 생산하기 위하여 설계되는 경우, 상기 코어용 공급 부재는 감기 코어의 공급 통로를 따라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공급 부재는 밀폐된 통로를 형성하는 1개 이상의 벨트를 구성하는 가요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단 부재의 노즐은 평행한 벨트 사이 공간에서 위치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벨트는 서로로부터 상당한 거리에서 위치결정될 수 있어 웨브재의 절단 시스템은 약간의 중단만을 가진 압축된 에어 노즐의 상당한 큰 규모의 라인으로 구성되므로 매우 효율적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발명에 의한 머신의 동작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
도 2a 내지 도 2d는 제 2실시예에 있어서 발명에 의한 머신의 동작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발명에 의한 머신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
도 4a 내지 도 4e는 접착제없이 에어의 제트의 도움으로, 웨브재를 찢거나 절단하고 새로운 코어 주변에 새로운 로그의 제 1턴의 형성을 개시하는 단계의 시퀀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도 5a 내지 도 5d는 도 2a 내지 도 2d에 있어서 실시예의 변형의 동작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도 6은 도 3의 실시예의 변형을 도시하는 도;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실시예의 두 개의 변형을 도시하는 도;
도 9 및 도 10은 웨브재의 절단이 일어나는 천공을 "따르는" 이동으로 형성되는 구성에 있어서 절단 부재의 두 개의 실시예의 변형을 도시하는 도.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코어에 대한 롤링 표면은 그 공급 통로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급 부재와 함께 감기 코어의 삽입용 채널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어는, 공급 부재와 고정 롤링 표면 사이의 공급 통로 롤에 공급한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코어가 공급통로 내에 있는 경우, 감기 코어의 삽입용 채널을 형성하는 코어의 공급 부재와 롤링 표면은 위치결정되어 웨브재는 코어와 공급 부재 사이에서 공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어는 공급 통로를 따라서 구르기 시작하고, 웨브재가 절단 되면, 생산된 최초 자유 끝이 벌써 차례로 코어 주변에 감긴다. 압축된 에어 절단 장치는 이러한 채널을 따라서 위치결정될 수 있으며 코어의 정면 즉, 공급 방향에 관하여 그 하류 측에, 웨브재를 절단하기 위하여 동기화할 수 있다. 웨브재를 절단하기 위하여 압착된 에어의 제트를 이용하는 종래의 시스템과는 대조적으로, 에어의 제트는 김기 롤러 주변에 근접하게 놓여지며, 몇몇의 경우에 있어서, 거기 사이에 있는 니프에 있어서 작용하는 경우라도, 발명에 의한 구성으로, 노즐 또는 다른 동등한 블로잉 부재는, 감기 롤러로부터 떨어져서 놓여질 수 있다. 실시예의 몇몇의 예를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것은 접착제 보다 오히려 대안적인 시스템, 예를 들면, 감기 코어 주변에 웨브재의 최초 자유 끝을 감기 위하여, 에어의 제트 또는 정전 전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것은, 가장 깊은 턴은 증가된 규칙성 및 보다 적은 주름 또는 심지어 주름이 없이 감기는, 보다 양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소모성 재료의 비용이 절감된다.
가능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감기 머신은 웨브재와 코어의 공급부재가 슬라이드하고, 그곳을 따라서 절단 부재가 위치 결정할 수 있는 대향 표면으로 이루어진다.
감기 크래들은 적어도 제 1감기 롤러와 제 2감기 롤러를 형성하는 바람직한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부재 위에서, 상기 감기 크래들에 공급되는 웨브재는 접촉 상태에 있으며, 제 1감기 롤러 주변에서 구동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의하면, 발명은 감긴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적어도 제 1감기 롤러(1)와 제 2감기 롤러(2)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기 롤러(1, 2) 사이에서 니프를 통과하는 웨브재를, 감기 크래들로 공급하는 단계와;
웨브재의 제 1로그(R)를 감는 단계와;
상기 제 1로그의 감기가 종료된 후 에어의 제트로 웨브재를 절단하고, 제 2로그(R)를 감는 상기 제 1로그의 최종 자유 끝(Lf)과 초기 자유 끝(Li)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감긴 웨브재의 로그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에어의 제트는 제 1 및 제 2감기 롤러 사이에 상기 니프의 상류 측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감기 코어의 삽입용 채널에 있어서, 코어가 구르는 고정 표면과 코어의 공급 부재 사이에서, 코어와 공급 부재 사이에서 위치 결정되는 웨브재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리와인딩 머신과 감기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과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청구항에서 개시하고 실시예의 몇몇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서 표시하는, 수반되는 발명의 비제한적이고 실제적인 기술과 실시예의 바람직한 예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a, 1b 및 1c에서 개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감기 머신은 3개의 감기 롤러로 형성되는 감기 크래들로 이루어지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 1감기 롤러(1), 제 2감기 롤러(2)와 제 3감기 롤러(3)로 이루어진다. 3개의 롤러(1)(2)(3)는, 감기 롤러(1)(2) 사이에서 형성된 니프를 통하여, 이어진 로그의 감기가 개시되는 주변에서, 완성된 로그를 내리고 및/또는 새로운 코어를 삽입하는 감기의 끝에서, 공지된 자체의 방식으로, 변할 수 있지만, 감기 사이클 동안, 서로 실제적으로 동일한 주변속도로 서로 평행한 축을 회전한다.
감기 롤러(3)는 오실레이션 축(7A)에 대하여 힌지되는, 한 쌍의 오실레이팅 아암(7)에서 지지된다. 오실레이팅 이동은 감기 크래들 (1)(2)(3) 내부에서 형성되고 롤에 있어서 증가를 허용하며 슈트(chute)(9)를 따라서 완성된 롤을 내려지게 한다.
로그(R)를 형성하기 위하여 감긴 웨브재는 (N)으로 표시된다. 천공기 유닛(도시하지 않음)을 통과하는 공급통로를 따라서 공급되며, 공지된 방식으로, 재료(N)의 공급의 방향(fN)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천공 라인을 따라서 재료(N)를 천공한다. 천공기 유닛의 하류 측에, 웨브재(N)는 가이드 롤러(11) 주변에서 구동되며, 감긴 롤러(1)(2)(3)의 축에 평행하는 축을 회전한다. 그 다음, 웨브재의 공급 통로는 롤러(1)(11)에 접하는 부분을 따라서 계속되며, 복수의 벨트로 구성된, 바람직하게는, 평평하고 서로 평행하며, 롤러 (1)(11) 주변에서 구동되는, 가요성 공급 부재(13)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특히, 공급 부재의 목적은, 로그(R)가 감긴 감기 코어(A)에 삽입되고 공급하는 데 있다. 공급 부재를 형성하는 벨트가 롤러 (1)(11) 주변에서 구동할 때, 그들은 웨브재(B)와 동일한 속도로 공급되므로 상기 재료와 벨트 사이에 상관적인 이동은 없다. 각각의 벨트에 대한 하나의 대향하는 슈(shoe)는 벨트의 하부 부분 위에 위치결정되며, 벨트의 변형을 방지하고, 그 이동하는 동안 채널에 있어서 코어의 구동영향을 없게 한다.
웨브재에 평행한 공급 부재의 부분 아래에서의 연장 부분은, 시트 또는 접힌 섹션에 의하여, 복수의 시트 또는 서로 평행 하는 접힌 섹션에 의하거나, 또는 빗 구조체에 의하여 형성된, 굴곡진 롤링 표면(15)이다. 롤링 표면(15)과 공급 부 재(13) 사이에 형성된 것은 삽입용 채널이며, (17)로 표시되는, 감기 코어의 공급은 감기 롤러(1), (2) 사이의 실질적으로 니프(5)의 레벨에서 출구와 도면에서 왼쪽에 입구를 갖는다. 따라서 채널의 터미널 부분은, 공급 부재(13)가 구동되는 감기 롤러(1)의 외부 측면과 롤링 표면(15) 사이에 형성되며, 롤링 표면은 롤러(1)의 표면에 거의 같은 축으로 굴곡진다. 표면(15)의 터미널 부분은 감기 롤러(2)에서 생산된 환형상의 홈을 관통하며, 니프(5)를 향하는 표면(15) 위 및 이것으로부터 감기크래들(1)(2)(3)로의 코어 롤링의 공급을 용이하게 한다.
코어 삽입기는 채널(17)의 입구 부근에서 형성되며, 정확한 순간에, 채널(17)로 감기 코어(A)가 삽입되는 회전 요소(19)로 구성된다. 코어는 체인 컨베이어(21)에 의하여 삽입기(19)에 운반된다. 코어 삽입 메카니즘의 동작은 이들 기술 분야,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도입부에서 인용된 1이상의 특허에서 공지되어 있어, 더욱 상세하게 개시하지 않는다. 도 1a 내지 도 1c에서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코어 삽입 메카니즘은, 도 6을 참조하면서 도시되고 개시하는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채널(17)의 높이는 감기 코어(A)의 외부 직경 보다 약간 작거나 동일하므로, 삽입기(19)에 의하여 상기 채널에 삽입되는 경우 각을 이루어 가속되며 공급 부재(13)의 이동에 의하여 공급된 표면(15) 위에서 구른다. 웨브재(N)는 공급 부재(13)를 형성하는 벨트와 채널 내에 삽입된 코어 사이에서 핀치된 채로 있다.
삽입기 부재(13)의 하부 브랜치 위에, (23)으로 표시되는, 웨브재의 절단부재가 형성되고, 예를 들면, 도면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 즉 웨브재의 공급 방향 에 직교하고 상기 재료에 평행하는 방향에 따라서 정렬된 일련의 블로잉 노즐을 포함한다. 각각의 노즐은 감기 코어(A)의 공급 부재(13)를 형성하는 인접하는 벨트 사이에서 자유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비교적 좁은 벨트의 제한된 수가 고정된 표면(15)을 따라서 롤링에 의하여 코어를 공급하므로, 이들 벨트는 서로로 부터 상대적으로 떨어진 공간에 있을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노즐은 벨트의 레벨에서 또한 연속적 열로 형성될 수 있다. 노즐은 원형 또는 타원형 홀을 가진 노즐일 수 있으며, 또한 어떠한 경우에도, 적당한 치수의 압축된 에어의 흐름을 생산하기 위하여 적합하거나, 본래의 상태로 얇은 판을 이룰 수 있으며 좁거나 연장된 제트를 생산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연장된 노즐이 제공될 수 있다.
에어의 제트를 생산하는 부재(23)의 노즐은, 가요성 부재의 벨트가 정지하고 동작하는 대향 표면(24)과 결합할 수 있다. 대향 표면(24)는 벨트의 전체 자유 하부 부분에 대하여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벨트의 레벨에서 각각의 부분 또는 서로 인접하는 벨트(13)의 전체 폭과 동일한 폭의 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벨트의 가이드 홈으로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대향 표면(24)은, 웨브재와 평행하고 그것을 따라서 작동하는 웨브재와 접촉하지 않도록 제조되며, 그 이동의 방해를 피한다.
절단 부재(23)는, 교환스텝에 있어서, 즉 로그(R)가 거의 완료되는 경우, 웨브재(N)에 대하여 가압된 에어의 제트를 생산하며, 웨브재(N)는 종료된 로그(R)에 감긴 최종 자유 끝과 채널(17)에 삽입된 새로운 코어(A)에 감긴 초기 자유단을 제 조하기 위하여 절단하여야 하며 새로운 로그를 감기 시작한다. 에어의 제트의 제조는 천공 라인의 통과와 동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에어의 제트는 가장 약한 점에 있어서 웨브재에 힘을 가한다. 통상적으로 웨브재는 이미 롤러 (1)(2)(3)의 회전을 통하여 단독으로 길이방향으로 팽팽하게 하며, 절단부재(23)의 노즐 또는 노즐에 의하여 생산된 고속의 에어의 제트는, 웨브재를 찢어지게 한다.
전술한 머신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1a는 웨브재의 찢어짐 또는 절단의 바로 직전의 순간에 대하여 도시한다. (A1)로 표시되는 감기 코어 주변에 감긴 로그(R)는 감기 크래들로부터 배출할려고 하지만, 새로운 코어(A2)는 삽입기(19)에 의하여 채널(17) 내로 막 삽입된다. 삽입되자 마자, 코어는 신속하게 각을 이루어 가속되며 웨브재와 동일한 공급 속도로 웨브재와의 그 접촉 점을 취한다.
롤링 표면(15)은 삽입기(19)가 회전 축에 회전을 완료하고 이어진 코어의 삽입을 위하여 위치가 정해지도록 하는 적어도 일련의 노치 또는 빗 구조체를 갖는다.
문자(P)는 가로 천공 라인의 위치를 표시하며, 천공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웨브재(N) 위에서 제조되며, 천공 라인을 따라서 웨브재의 찢어짐에 의한 절단이 발생한다. 천공(P)은 절단 부재(23)의 레벨에 있다. 천공 라인(P)이 도 1a에서 표시하는 위치 내에 있거나 또는 웨브재(N)의 공급 방향에서 약간 하류 측 또는 약간 상류 측에 있는 경우 에어 제트가 제어되고 조정되어 작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어 제트가 활성화되는 경우, 웨브재가 찢어진다.
코어(A2)는 찢어지는 영역의 상류 측에 웨브재(N)와 이미 접촉하여 이미 회 전한다. 공급부재(13)를 형성하는 벨트에 대하여 웨브재(N)를 압박하여 찢어짐에 의하여 형성되는 웨브재(N)의 최초 자유 끝(Li)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로그(R)의 최종 자유 끝(Lf)은 상기 로그에 감겨서 종료되며, 공지된 방식 그 자체로, 롤러(2) 및/또는 롤러(3)의 주변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배출된다. 에어의 제트에 의하여 웨브재의 찢어짐 또는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절단 부재(23)의 노즐을 활성화하기 전에 감기 롤러(3)를 일시적으로 가속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별로 많지 않은 값인 경우라도, 이러한 가속은, 웨브재를 미리 팽팽하게 하여 노즐이 활성화되자 마자 찢어짐을 보증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접착제 라인은 상기 코어의 축에 평행하게 코어(A2)의 표면에 도포된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이러한 접착제의 라인은 웨브재(N)의 핀칭 포인트의 약간 상류 측에 있으며, 코어가 단거리 동안 구른 후 재료가 거기에 붙는다. 서로로부터 각을 이루어 스태거(stagger)되는 두 개의 접착제의 라인으로 형성되는 코어에 대하여 가능할 수 있으며, 하나는 종료된 로그의 꼬리 끝에 대한 것이며 하나는 감기 코어에 새로운 로그의 선두 끝을 부착한 것에 대한 것이다.
롤러(1)과 (11)이 계속해서 회전하는 때, 웨브재가 찢어진 후, 공급부재(13)는 연속적으로 굴러서 채널(17)을 따라서 코어(A2)에 공급된다. 코어와 공급 부재(13) 사이의 접착점은 부재(23)의 노즐의 영역을 넘어서 이동하며 그 사이 제거되며(도 1b) 웨브재(N)의 최초 자유 끝(Li)은 거기에 도포된 접착제의 라인 때문에 코어에 연속적으로 부착하며, 새로운 로그의 감기를 개시한다. 종료된 로그(R)는 여전히 감기 크래들 내에 있지만, 그 언로딩 이동은 개시한다. 이러한 단계에 있어서, 압축된 에어의 제트는 이미 차단된다.
도 1c에 있어서, 감기 코어(A2)는 도 1b의 위치에 관하여 약 90°개재하여 다른 회전을 완료하며, 코어에 접착된 초기 자유 끝(Li)의 영역은 거기 주변을 회전하기 시작하며, 코어와 롤링 표면(15) 사이의 가압 영역에 위치결정된다. 코어(A2)의 롤링은 니프(5)를 통과하는 감기 크래들(1)(2)(3)이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감기 크래들에 있어서, 코어(A2) 주변 이어진 로그의 형성이 완료되며, 그 때 로그(R)는 감기 크래들로부터 내려진다.
코어(A2) 주변 새로운 로그의 감기가 종료된 후, 상기 설명된 교환 사이클을 반복한다.
코어 주변의 초기 자유 끝(Li)의 접착과 코어 주변의 제 1턴의 형성을 얻기 위하여 접착제를 이용하는 대신, 1이상의 일련의 블로잉 노즐을 이용할 수 있으며, 코어는 자유 끝을 수령하는 영역 주변에서 적절하게 위치결정된다. 한편 다른 공지된 머신에 있어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해결책은, 웨브재를 찢기 위하여 롤링 표면(15) 아래 기계적 부재가 없는 사실에 의하여 특히 용이하다. 또한, 그 블로잉 노즐을 갖는 절단 장치 또는 부재(23)는 감기 롤러(1)(2)로부터 떨어져서 위치결정되어 웨브재의 제 1턴이 코어 주변에서 감기게 하기 위하여 접착제 이외의 수단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이 있다. 다른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노즐은 채널(17) 위 및/또는 아래 위치결정되도록 제공되며, 적절하게 적응시켜서 자유 끝이 제 1턴을 형성하는 코어 주변에 감기게 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각각의 동작 시퀀스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머신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다. 동일한 번호는 이전의 도면 1a 내지 1c의 것과 동일하거나 상당하는 부분을 표시한다. 이전의 실시예의 예에 관한 주요 차이점은 롤러 (1)(11) 사이의 증가된 간격과, 표면(15)의 증가된 길이 및 롤링 표면에 평행하는 벨트(13A)의 부분과 대향 표면(24)의 증가된 연장부로 구성된다. 나머지 구성과 동작 시퀀스에 대하여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도 2a 및 도 2c를 비교함으로써 관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웨브재를 절단하기 전에 코어는 채널(17)의 완전한 회전을 행한다. 접착제의 라인은 (C)로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코어는 도 6에 도시된 타입의 장치로 삽입되며, 코어(A2)는, 삽입 이동으로 인한 그 자체 주변의 회전을 금지하며, 웨브재에 관한 접착제의 라인의 각도 위치를 보장한다. 코어가 채널(17) 내로 삽입하려고 하는 경우(도 2a), 코어가 약간 회전한 후 이에 의하여 채널(17) 내로 그 제한된 공급 후 웨브재와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 있다. 도 2b는 접착제(C)의 라인이 웨브재와 접촉하는 순간에 대하여 도시한다. 문자(P)는, 웨브재의 찢어짐이 일어나는 천공 라인의 위치를 다시 표시한다. 도 2a 및 도 2b에 있어서, 이러한 천공라인은 코어(A2)의 상류 측에 있다.
감기 코어(A2)가 도 2b의 위치에 있는 경우, 웨브재가 이어서 절단되고 상기 라인에 근접하는 천공 라인(P)의 하류 측의 웨브재(N)의 부분에 접착제(C)의 부분을 내어준다. 결과적으로, 접착제의 부분(이어진 도면에서 (C1)으로 표시)은 로 그(R)의 최종 자유 끝에 운반된다.
도 2c는 천공 라인(P)를 따라서 웨브재(N)가 찢어지는 에어의 제트에 대하여 도시하며, 이러한 점은 감기 코어(A2)의 위치 넘어서 이동하며, 웨브재의 공급 방향에 관하여 그 하류 측에 있다. 코어(A2)의 축은 웨브재의 공급 속도 1/2에서 채널(17)을 따라서 움직여서 코어(A2)와 웨브재(N) 사이의 접촉 점이 또한 천공 라인(P)의 공급 속도의 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에서 채널을 따라서 공급된다. 도 2c의 레이아웃에 있어서, 접착제(C)의 라인은 코어의 아래 부분에 있다. 접착제가 이러한 이동 동안 롤링 표면(15)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러한 표면은 서로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는 섹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착제(C)의 라인은 섹선의 레벨에서 끊어질 수 있다.
도 2c에 있어서, 접착제 저장기(22) 내에서 담글 수 있는 오실레이팅 요소(20)로 구성된 보조의 접착제 현탁액은, 파선으로 표시된다. 소망하는 위치에 접착제(C)의 라인을 도포하기 위하여 표면(15)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들 사이에 오실레이팅 구성요소를 삽입하여 코어(A2)와 접촉하도록 오실레이팅 구성요소가 구체화되며, 완료된 단계에 있어서 롤의 최종 자유 끝에 미리 도포되고 부분적으로 이동된 라인(C1)을 포개 놓을 수 있다(또는 거기에 관하여 각도를 이루어 스태거될 수 있음). 이러한 방식으로 두 개의 결과, 즉 미리 도포된 접착제에 관하여 상이한 질과 최종 자유 끝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접착제의 양이 미리 계획되며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은, 로그의 최종 자유 끝이 개방되도록 최종 이용자에게 편리할 수 있게 가볍게 접착되어야 하지만, 접착제는 가능하 면 끈끈한 상태로, 좀 더 양호한 끌어당김을 보장하기 위하여 새로운 로그에, 로그의 최초 자유 끝은 단단하고 순식간에 접착되어야 한다. 또한, 상이한 질과 양으로 구성되는, 접착제의 두 개의 라인은, 삽입기(19)의 하류 측에 도포될 수 있어 코어는 채널(17)로 삽입되고, 천공 라인(P) 위에서,예를 들면 상기 라인의 각각의 측에 접착제의 두 개의 라인을 각각 있는 상태에서, 찢어짐이 발생하는 웨브재(N)와 접촉한다.
찢어짐 시스템(23)의 하류 측에, 흡입 시스템은 벨트(13A)와 각각의 대향 부재(24) 사이에서 실행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에어의 제트에 의하여 행해지는 찢어짐 단계 동안 웨브재가 벨트(13)에 부착하며, 찢어진 후에도 벨트(13A)와 접촉하는 최종 끝을 압박하여, 접은 자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최종 끝을 제어할 수 없음을 방지한다. 이러한 흡입시스템은 본 발명의 머신의 실시예의 모든 예에 대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명세서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도시된다. 도 2c에 있어서, 흡입시스템은 파선으로 표시되며 (26)으로 표시되지만, 다른 도면에 있어서 단순성을 위하여 생략된다. 예를 들면, 시스템(26)은 인접하는 벨트(13) 사이의 자유 공간을 통하여 실행한다.
도 2d에 있어서, 찢어짐에 의하여 형성되고 코어(A2)로부터 운반되는 접착제(C1)의 라인을 제공하는 최종 자유 끝(Lf)은, 감기 크래들로부터 언로딩 단계 동안 로그(R)에 감기는 것이 종료되지만, 코어(A2)는 채널(17)을 따라서 또한 공급되고, 접착제(C)의 라인은 두 번째로 웨브재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에, 웨브재(N)는 이미 절단되므로, 최초 자유 끝(Li)은 코어에 접착되고 새로운 로그의 감기가 개시 한다. 코어(A2)는 연속적으로 구르고 채널(17)을 따라서 공급되며 니프(5)에 도달한 다음 그것을 넘어서 이동하여 감기 크래들(1)(2)(3)에 진입한다.
도 3은 도 2a 내지 도 2d의 실시예와 유사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한다. 동일한 번호는 두 개의 구성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동등한 부분을 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채널(17)과 롤링표면(15)은 직선으로 연장하고 감기 롤러(1)(2)는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것은 감기코어가 직선의 통로를 취하게 한다. 이러한 것은 특히 예를 들면, WO-A-02055420호에 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코어 내부에 삽입된 스핀들에 의하여 코어의 이동이 제어되는 경우 바람직하다.
도 4a 내지 도 4e는, 웨브재의 찢어짐에 의하여 제조되는 최초 자유 끝(Li)의 새로운 코어(A2)의 주변에서의 감기가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일어나는, 웨브재(N)의 찢음 영역을 제한하는, 실시예의 예에 대하여 도시한다. 절단부재(23)는 이미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다. 그 자체에 의하여 제조된 에어의 제트들 또는 제트는, 새로운 코어 주변에 최초 자유 끝(Li)을 감기위하여 시작을 용이하게 하는 요소를 형성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다른 일련의 노즐은 (85)로 표시되며, 롤링 표면(15) 아래에 위치결정된다. 절단 부재(23)의 노즐은 고정되지만, 일련의 노즐(85)은, 웨브재(N)의 공급의 방향에 관하여 가로질러서, 수평 축을 오실레이트한다. 오실레이팅 이동은 도 4a 내지 도 4e의 시퀀스에 있어서 표현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예에 있어서 머신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코어(A2)가 절단부재(23)를 형성하는 노즐의 하류 측에 있으며, 이들이 활성화되고 웨브재는, 거의 상기 노즐의 레벨에 있는, 천공 라인의 레벨에서 찢어지거나 절단된다. 절단부재(23)에 의하여 제조된 제트는, 아래를 향하여, 즉, 롤링표면(15)을 향하여 자유 끝(23)을 밀어낸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유 끝(Li)은 코어(A2) 주변에서 감기려고 한다.
노즐(85)에 의하여 제조된 에어의 제트는 코어(A2)와 표면(15) 사이에서 억지로 고정되게 한다. 그 롤링 이동 동안, 코어(A2)는 오실레이팅 하부 노즐(85)의 오실레이션의 축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을 넘어서 이동하며, 이들은 시계방향으로 오실레이트를 개시함으로써, 제조된 에어의 제트는 회전하고, 최초 자유 끝(Li)을 정확하게 밀어내기 위하여 조정되어 코어(A2) 주변에서 제 1턴의 형성을 완성한다. 더욱 기울어진 노즐(81)(82)(도 4b에 도시되고 도면의 단순성과 간략성을 위하여 남아있는 도면에서 생략됨)은 새로운 코어 주변에서 웨브재의 초기 부분의 감기를 용이하게 한다.
제 1턴이 완료하는 경우, 웨브재(N)는 새로운 코어와 정확하게 맞닿으며 새로운 롤의 감기를 개시한다.
도 4a 내지 도 4e에서 도시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이전의 예에서 개시된 실시예에의 경우와 같이, 제 1턴, 즉 형성된 로그의 내부 턴은, 접힘을 피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하며, 즉, 웨브재의 잔류하는 부분의 감기의 방향에 관하여 반대하는 방향으로 뒤에서 접히지 않는다. 즉, 제거 가능하고 재순환 가능한 코어를 제거함으로써 홀이 잔류한 상태인, 중앙 코어가 결여된 로그의 경우와, 로그가 내부에 남아 있는 코어 주변에서 남아있는 코어 주변에 형성된 로그의 경우의 양자에 있어서 이상적이다. 또한, 이러한 로그의 바람직한 구조는 접착제와 에어 노즐의 이용을 결합하는 경우에 있어서 또한 얻을 수 있으며, 접착이 접착제의 길이방향 라인으로 행해지는 경우 이전에 불가능했던 바람직한 결과에서 달성된다.
상기 설명한 이점 이외에, 에어의 제트를 가진 절단 시스템으로, 머신은 또한 감기 코어의 상이한 직경에 더욱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실제, 감기 코어는, 대개 직선이며 선택적으로 터미널 부분 내에서만 굴곡을 가지는 롤링 표면(15)에 의하여 범위가 정해지는 채널(17) 내로 삽입된다. 그러므로, 예에서 도시된 하부 롤러와 함께, 특히 도 6, 7 및 8의 구성에 있어서 롤링 표면(15)을 형성하는 섹선을 병진함으로써 단순하게 변화가능한 직경의 코어에 머신을 개조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및 특히 도 1a 내지 도 1c에 있어서 하나에 있어서, 롤링표면(15)은 단일의 시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삽입기(19)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선택적으로 차단되지만, 그 전체 연장부에 대하여 빗형상의 구조체를 구비할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러한 것은 또한, 빗 형상의 구조체의 플레이트에 의하여 남아 있는 마크에 의하여 야기되는, 웨브재의 제 1턴에 손상을 방지한다.
웨브재의 압축공기를 넣은 절단 시스템의 이용은, 웨브재가 웨브재의 공급 속도에 대한 상이한 속도로 기계적 부재 이동에 의하여 감기 롤러 또는 벨트에 재료를 핀칭함으로써 절단되는 것에 관하여, 더욱 규칙적으로 동작하며, 마모, 소음 및 떨림을 더욱 적게 한다. 또한, 이전의 시스템의 신뢰성과 가요성의 모든 이점은 유지된다. 부재(23)의 노즐에 대하여 이용할 수 있는 광대한 공간은 에어의 흐름 속도와 가압을 감소시키며, 감기 롤러의 원통형 표면 내부의 웨브재의 절단 노즐을 내장하는 시스템에 관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소음과 떨림을 감소시킨다. 웨브재의 표면은 감기 롤러에 있어서 홀 또는 홈의 존재에 의한 손상되지 않는다.
절단부재는 채널(17)의 연장부를 따른 위치에서 규제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더욱 단순하게 천공 라인의 위치에 관한 블로잉 시스템의 작용을 조정하는 바와 같이 머신의 규제와 측정을 용이하게 한다. 절단부재(23)의 위치는 블로잉 노즐의 개방과 밀폐의 조정에 관하여 부가된 규제 파라미터를 형성한다. 이러한 것은 롤러(1)(11) 사이에 거리가 절단장치(23)의 블로잉 노즐의 매우 짧은 활성화 시간 동안 웨브재에 의하여 이동되는 부분에 관하여 많을 때 달성된다. 이어지는 이점은, 에어의 제트가 감기 롤러 내부에 있는 경우 종래의 해결책에 관하여 달성된다.
가압된 에어의 제트가 통과하는 슬롯 또는 홀은 그 공급 방향으로 웨브재에점진적으로 또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절단 부재에 의하여 제조되는 에어의 제트를 웨브재의 공급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달성되며, 에어의 제트는 웨브재(N)와 벨트(13A)의 공급의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얇은 라인을 따라서 작용하고, 상기 에어의 제트를 집중된 영역에서 장시간 동안 작용하게 한다.
도 9 및 10은 이러한 작용으로 형성된 절단 부재의 두 개의 가능한 구성에 대하여 도시한다.
도 9는, 절단부재(23)가 제 1쳄버(51)에 의하여 형성된 블록에서 제조되고 가압된 에어가 함유되는 다이어그램에 대하여 도시하며, 슬롯 또는 홀(62)로 형성되는 벽(61)에 의하여 아래쪽에 범위가 정해지며, 슬라이딩 벨브(67)에 의하여 개방되고 밀폐될 수 있으며, 슬롯 또는 홀(68)로 형성되며, 홀 또는 슬롯(62)의 레벨 에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거나 거기에 관하여 스태거될 수 있다. 슬라이딩 벨브(67) 아래에, (연속적이거나 또는 비연속적인), 웨브재의 공급 방향에 대하여 가로질러서 연장하고 이중 화살(f54)를 따르는 선택적인 이동으로 형성된 플레이트(54)에 의하여 아래쪽에 밀폐되는, 개구부(53)가 있다. 플레이트(54)는 웨브재(54)의 공급의 방향에 가로지르는 슬롯(55)을 구비하며, 절단부재(23)가 절단을 행하여하는 경우 웨브재(N)의 동시 작용으로 앞쪽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절단부재(23)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웨브재가 절단되는 레벨에서 천공라인(P)이 개구부(53)의 거의 아래에 있는 경우, 슬롯(55)은 상기 개구부의 거의 좌측 끝(도면에서)에 있으며, 선택적으로, 바깥 측과 개구부(53)의 전달을 차단하는 위치에 있다. 벨브(67)는 열리며(도면에서 도시된 위치), 그러므로 쳄버(51)(53) 내의 에어는 가압된다. 천공라인(P)은 앞쪽을 향하여 계속적으로 이동하지만, 플레이트(54)는 웨브재와의 동시 작용으로 앞쪽으로 이동하여, 일정량의 시간 동안, 에어의 블레이드(천공 라인(P)의 레벨 또는 근접하여 인접한)는, 재료를 가지고 진행하는, 웨브재에 대하여 작용하고, 그러므로 에어의 고정된 제트를 이용하는 경우 얻어진 시간 보다 특히 천공라인(P)과 웨브재에 대하여 좀 더 긴 작용시간 만큼 특징된다. 그러므로 웨브재의 절단은 낮은 에어 가압 및 유속으로 달성될 수 있다.
슬롯(55)은 일련의 정렬된 홀에 의하여 대체되거나 비연속적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절단 후, 벨블(67)는 슬로(62)를 밀폐하며, 플롯(54)이 웨브재(N)에 대하여 작용하는 가압된 에어 없이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도 10은 가로 축(A)를 오실레이팅하고 웨브재(N)의 공급의 방향에 가로로 정렬된 복수의 노즐(23A)로 이루어지는 절단부재(23)에 대하여 도시한다. 도 10은, 동작 단계에 있어서, 파선 및 연속적인 선으로 표시되는, 오실레이팅 노즐(23A)에 의하여 취해지는 3개의 명확한 위치에 대하여 도시한다. 오실레이션의 방향은 (f23)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방식도, 천공 라인 또는 거기에 근접하여 더욱 장시간 동안 작용하는 에어의 제트 또는 블레이드를 얻으며, 정확한 찢어짐을 더욱 보장한다.
웨브재(N)가 압착된 에어의 제트 또는 제트에 의하여 도달할 수 있는 속도보다도 고속으로 통상적으로 공급될 때, 그들을 항상 천공(P)에 대하여 정확하게 작용하지 않지만, 그 하류 측에 작용을 개시하고 그 상류 측에서 작용을 정지하며, 천공과 정렬되는 최대의 효율성의 위치를 통과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찢어짐 효과의 개선을 달성한다.
실제로, 도 9 및 도 10의 설명의 양자에 있어서, 웨브재(N) 앞쪽으로 이동하는 천공라인을 따르는 가압된 에어의 제트를 얻는다.
이러한 원칙은 또한 다른 타입의 리와인딩 머신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압착된 에어는 웨브재를 절단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예를 들면, 에어의 제트는, 웨브재가 구동되는 주변의 감기 롤러 내부에서 제조되며, 그것은, 일정한 커브에 대하여, 롤러의 회전 이동을 수반하는 제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감기 롤러 내부(천공되는 표면)에서 제조될 다른 수단 또는 노즐을 오실레이팅할 수 있다. 또 한, 롤러에 대한 동축으로, 상기 롤러에 있어서 제조되는 환형상의 홈 내부에 내장되며, 노즐은 천공 라인의 위치와 동기하는 진동 이동 또는 회전을 구비하여 형성되며, 그들이 행하여야 하는 천공 라인을 다시 따른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이것은 또한 고속에서 웨브재의 절단을 개선하고 에어의 소비를 선택적으로 감소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것은 경제적이며 머신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견지에서 또한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발명은, 또한 감기가 종료된 후에 웨브재를 절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에어의 제트를 제조하는 절단 부재로 감기가 종료된 후 웨브재를 절단하기 위한 시스템을 가진 주변형 감기 유닛으로 이루어진 리와인딩 머신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절단 부재는, 웨브재 절단 단계 동안 웨브재의 공급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트를 제조하며, 웨브재가 절단된 천공라인을 추적한다.
도 5a 내지 도 5d의 실시예는 도 2a 내지 도 2의 머신의 실행의 변이에 대하여 도시한다. 동일한 번호는 동일하거나 해당하는 부분을 표시한다. 동일성이 있는 머신의 부분은 다시 개시되지 않는다. 실제적인 차이점은, 당연히 접착제가 제거된 상태에서, 블로잉 노즐에 의하여 찢어진 웨브재의 초기 자유 끝(Li)을 새로운 감기 코어에 부착하게 하는 정전기 바(bar)의 존재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5의 구성에 있어서, 제 1턴, 즉 코어에 대하여 가장 깊은 부분의 턴이 접혀지지 않는 감긴 로그를 또한 얻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501)로 표시되는, 정전기 전하 바(bar)는 공급부재(13)에 의하여 형성되는 밀폐된 통로 내부의 공간에서 위치결정된다. (503)으로 표시되 는 두 번째 바는 롤링 표면(15) 아래에 위치결정된다. 이들 바와 거기에 접속된 고전압 발전기는 기술 그 자체에서 공지되었으며, 예를 들면, 정전기 전하 플라스틱 막에, 또는 대조적으로, 정전하를 플라스틱 막 또는 다른 제품으로부터 제거하는 이온화장치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특정의 용도에 이용될 수 있는 정전하 장치는, 코드 ALS-A 및 ALS-R을 가진 Haug Gmbh & Co KG(독일)과 Hung Biel AG(스위스)에 의하여 시판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바 (501) 및 (503)은 반대 사인의 전하를 부여하여, 웨브재는 하나의 사인의 전하로 하전되며, 코어는 반대 사인으로 하전된다. 전하의 사인은 웨브재(N)와 코어(A)가 구성되는 재료에 따라 달라진다.
단일의 바 또는 동일한 사인의 몇몇의 바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코어에만 또는, 이것이 덜 바람직하지만, 웨브재에 만, 하전하기 위하여 위치결정된다. 어떠한 경우에도, 코어와 웨브재 사이에 상호 접착제는 반대 사인의 정전기 전하의 결과로서 항상 일어난다.
상기 설명한 머신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5a는 채널(17)에 있어서 새로운 코어(A2)의 삽입의 초기 순간에 대하여 도시하며, 새로운 로그의 감기는, 코어(A1) 주변에 감긴 로그(R)의 완료 후에 개시한다. 도 5b는, 코어(A2)가 롤링표면(15)과 상기 코어와 부재(13) 사이에 핀치되는 웨브재와 접촉하는 이어진 순간에 대하여 도시한다. 코어는 표면(15) 위에서 구르고 상기 재료의 동일한 공급속도로 웨브재(N)와 그 접촉점을 취하기 위하여 각도를 이루어 가속된다.
도 5c는 웨브재의 찢어짐 또는 절단 직전 순간에 대하여 도시한다. 감기코어(A1) 주변에 감긴 코어(R)는 감기 크래들로부터 배출되기 쉽지만, 새로운 코 어(A2)는 두 개의 바(501)(503) 사이를 이동하며, 바(503)에 의하여 정전기적으로 하전되지만, 반대 사인을 가진 바(501)는 절단될 예정이며 새로운 코어(A2)에 부착되어야만 하는 초기 자유 끝이 형성될 예정인 영역에 인접하는 웨브재의 부분에 하전된다.
도 5c 및 도 5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롤링 표면(15)은 비금속 요소(또는 임의의 경우에 있어서 감기 코어의 롤링 표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절연물질로 피복됨)로 형성된 빗 형상의 구조체 또는 삽입기(19)가, 그 회전축을 회전을 완성하고 이어진 코어에 삽입하기 위하여 그 자체의 위치결정을 완성하게 하도록 하는 적어도 일련의 노치로 이루어진다.
문자(P)는 가로 지르는 천공 라인의 위치를 표시하며, 천공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웨브재(N)를 제조하며, 그 천공라인을 따라서 웨브재는 찢어짐에 의하여 절단된다. 천공(P)은 거의 절단 부재(23)의 레벨에 있다. 천공라인(P)이 도 5c에 표시된 위치에 있는 경우 또는 웨브재(N)의 공급의 방향으로 약간 하류 측 또는 약간 상류 측에 있는 경우, 절단 부재(23)의 노즐은 제어되며 실행하기 위하여 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트가 활성화되는 경우, 웨브재는 찢어지거나 절단된다.
도 5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어(A2)는 찢어짐 영역의 상류 측의 웨브재와 이미 접촉하며 이미 회전하여 바(501)(503)에 의하여 정전기적으로 하전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유도된 팽팽함은 웨브재가 천공라인(P)을 따라서 찢어지게되고, 코어(A2)는, 웨브재(N)를 공급부재(13)를 형성하는 벨트에 대하여 압박하므 로 절단에 의하여 형성된 웨브재(N)의 초기 자유 끝(Li)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로그(R)의 최종 자유 끝(Lf)은 그 위에서 감기를 종료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방출된다.
접착제가 코어에 도포되는 것 처럼, 웨브재가 찢어지기 바로 직전 또는 찢어지는 동안 코어(A2)에 주어진 정전기 전하(선택적으로 웨브재(N)에 주어진 반대 사인의 전하와 결합에 있어서)는, 웨브재의 초기 부분이 코어에 정전기적으로 끌려당겨지고 거기에 접착하게 한다. 코어의 정전기 전하와 웨브재(N)의 찢어짐 사이의 인접한 공간과 일시적인 접근은 정전기 전하의 분산을 방지하고 매우 효율적으로 정전기적으로 끌리게 한다.
롤러(1)(11)가 계속적으로 회전한 때, 웨브재의 절단 후, 공급부재(13)는 연속적으로 굴러서 채널(17)을 따라서 코어(A2)에 공급한다. 코어와 공급부재(13) 사이의 접촉 점은 절단 부재(23)의 영역을 넘어서 이동하며, 코어 위의 정전기 전하의 결과로서 웨브재의 초기 자유 끝(Li)은 코어에 접착하며, 새로운 로그를 감기시작한다.
코어(A2) 주변에서 새로운 로그의 감기가 종료한 후, 전술한 교환 사이클이 반복된다.
도 6은, 정전기 전하가 접착제와 결합하여 이용되는, 수정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한다. 동일한 번호는 이전의 도면에 있어서 도시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거나 상당하는 부분을 표시한다. 도 6의 예에 있어서, 감기 코어(A)에 대한 슈 트(601)의 터미널 부분은 채널(17)의 입구의 상류 측에 위치결정된다. 열의 제 1코어는 축(603A)을 회전하는 부재(603)를 구성하는 삽입기에 의하여 맞닿으며, 회전 부재(603)에 의하여 지지되는 엑츄에이터(609)에 의하여 동작되는 고정된 자(jaw)(605)와 이동 자(jaw)(607)를 지지하며, 그 동작에 대하여 후술한다.
슈트(601) 아래에서 위치결정되는 것은, 그 안으로 요소(615)를 담그며, 위치(Ax)에 있는 코어에 접착제의 라인을 도포하기 위하여 접착제로 담그거나 접착제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교대로 하는 이동으로 형성되는(예에 도시됨), 접착제 저장기(613)로 이루어진 접착제 애플리케이터(611)이다.
도 6의 구성에 있어서의 머신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로그(R)가 도착 완료점에 있는 경우, (연속적이거나 비연속적인) 접착제의 라인은 요소(615)에 의하여 위치(Ax)의 코어로 도포되며, 저장기(613)로부터 수집된다. 코어는 고정 자(605)와 회전 부재(603)에 의하여 지지되는 이동 자(607)에 의하여 맞닿는다. 새로운 코어가 채널(17)에 삽입되어야 하는 순간에, 회전부재(603)는 위치(Ax)에 있어서 코어를 픽업하기 위한 위치로부터 채널(17)로 상기 코어를 삽입하기 위한 위치로 자(jaw)를 취하기 위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가요성 부재(13) 위에서 구동되는 웨브재(N)와 롤링표면(15) 사이에서 코어를 밀어낸다. 이렇게 삽입된 코어는 표면 위에서 롤링를 회전하기 위하여 개시하려고 하며, 그 공급은 엑츄에이터(609)에 의하여 제어된 이동 자(607)의 개방에 의하여 허용된다.
자(605)(607)를 사용하기 때문에, 코어(A)가 채널(17)에 삽입되는 각도 위치와, 그 결과 코어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라인의 위치도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제어 되므로 정확하다. 접착제의 라인의 위치는, 웨브재(N)가 절단되는 천공 라인(P)에 관하여 조정되어, 코어가 표면(15) 위에서 구르기 시작하는 경우, 접착제의 라인은 천공라인(P)의 하류 측에 밀접하여 웨브재와 접촉하며, 절단 후, 재료의 영역의 레벨에서, 완성된 롤(R)의 최종 자유 끝(Lf)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착제의 라인은 최종 자유 끝(Lf)에 도포되어 리와인딩 머신의 하류 측에 접착하는 유닛이 필요하지 않으면서 최종 자유 끝을 밀봉한다. 자가 코어를 그리핑(gripping)하도록 최초 위치로 복귀하며, 이어진 코어는, 이동 정지 등의 압박시스템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압박될 수 있다.
한편, 코어에 웨브재(N)를 절단함으로써 얻어지는, 최초 자유 끝(Li)의 접착은, 실시예의 이전의 예를 관련하면서 이미 형성된 방법에 따라서, 초기 자유 끝(Li)와 코어 사이에 정전기 인력의 결과로서 일반적으로 일어난다.
웨브재의 절단은, 절단장치 또는 부재(23)를 형성하는 블로잉 노즐에 의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일어날 수 있다.
접착제는 또한, 스프레이 시스템 등과 같이, 직접 도포 등, 상이한 방법에 의하여 최종 자유 끝(Lf)의 레벨에서 웨브재에 도포할 수도 있다.
도 7은 머신부재의 구성의 수정으로, 도 6의 하나와 유사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한다. 동일한 번호는 도 6의 것과 동일하거나 동등한 부분을 표시한다. 삽입 단계에 있어서 새로운 감기 코어에 의하여 취해지는 상이한 연속적인 위치가 명백하다. 도 6에 구성에 관련하여 실질적인 차이점은, 부재(23)(501)의 위치가 전환되어 감기 코어는 찢어지는 동안 또는 그 전에 하전될 수 있지만, 웨브재는 찢어지는 동안 또는 찢어진 후 하전된다는 사실로 구성된다.
다른 상이한 실시예로서, 두 개의 정전기 바(501)는 블로잉 장치(23)의 각각의 상류 측과 하류 측 및 코어의 공급용 채널 위에서 위치 결정될 수 있으며 두개의 정전기 바(503)는 거기 아래에 위치결정된다. 이러한 것에 대한 설명은 도 8에 도시한다.
도 5, 6, 7 및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모든 예에 있어서, 정전기 바는 설명되지만, 정전기 바(bar)라는 용어는 서로 인접하여 놓여진 일련의 정전기 바 또는 단일의 바를 의미할 수 있다.
도면은 발명의 실제적인 실시예 만을 도시하며, 발명이 의거하는 개념의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형태와 구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첨부된 청구항에 있어서 임의의 번호는, 어떠한 방식으로 보호의 개념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명세서와 첨부된 도면에 비추어 그 판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순수하게 제공된다.

Claims (50)

  1. 감기 시스템(1, 2, 3)과;
    상기 감기 시스템을 향하는 웨브재(N)의 공급 통로와;
    적어도 제 1감기롤러(1)과 제 2감기롤러(2)를 포함하며, 웨브재(N)가 공급되는 니프를 제 1감기롤러(1)와 제 2감기롤러(2) 사이에 형성하는 상기 감기 시스템과;
    각각의 로그(R)의 감기가 종료된 후 웨브재를 절단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에어의 제트를 제조하는 절단부재(23)로 이루어진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으로서,
    상기 절단 부재는 상기 니프의 상류 측 공급 통로를 따라서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재는 실질적으로 고정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부재는 웨브재의 공급 통로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상이한 속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4.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감기 크래들(1, 2, 3)을 향하여 공급 통로(17)에서 감기 코어를 공급하기 위하여, 감기코어(A1, A2)의 공급기(19, 21; 60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5. 제 4항에 있어서,
    웨브재의 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나아가는, 적어도 상기 감기 코어용 공급부재(13, 13A)는, 상기 공급 통로(17)를 따라서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에 대한 롤링표면(15)은, 상기 공급부재(13)와 함께 감기코어에 대한 공급채널(17)을 형성하는, 상기 공급 통로(17)를 따라서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재(23)는 롤링표면(15)에 관하여 대향하는 측 위에 상기 공급통로(17)를 따라서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재는 상기 공급부재(13)의 측 위의 공급 채널(17) 바깥 측에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9. 제 6항, 제 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코어(A1, A2)가 상기 공급 통로(17)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코어와 상기 공급 부재(13) 사이에 상기 웨브재가 공급되도록, 상기 롤링 표면과 코어의 상기 공급 부재가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10. 전술항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니프의 하류 측에 위치결정되는 대향 표면(24)과 그 대향 표면을 따라서 절단 부재(23)가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11. 제 5항 및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부재는 상기 대향표면(24)을 따라서 코어의 공급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12. 제 6항 및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표면(24)는 상기 롤링 표면(15) 반대쪽에 위치결정되고, 웨브재(N)가 코어와 대향 표면 사이에 위치 결정된 채로, 코어(A1, A2)는 상기 대향 표면과 상기 롤링 표면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머신.
  13. 제 9항, 제 10항,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표면(24)는 고정 표면인 것을 특징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머신.
  14. 제 5항 내지 제 13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부재(13)로 이루어지며, 절단부재는, 가요성 부재의 측 위의 채널의 바깥 측 위에, 롤링 표면과 상기 가요성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채널을 따라서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머신.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니프를 향하여 공급되는 웨브재가 접촉하는, 상기 가요성 부재(13A)는 제 1감기 롤러(1)와 적어도 제 2접착제 롤러(11) 주변에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머신.
  1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공급 통로는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머신.
  17. 제 15항 및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감기 롤러와의 접촉에 있어서 감기 단계 동안 및 상기 통로를 따른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둘러싸인 궤도를 따라서 감기 코어가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통로, 상기 니프 및 상기 제 1 및 제 2감기 롤러가 배치되고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머신.
  18.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는 웨브재의 공급 방향으로 가로질러서 고속으로 에어의 제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블로잉 노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머신.
  19.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부재는, 웨브재의 공급 방향에 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적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된 노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머신.
  20.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부재는 웨브재의 공급 방향에 가로질러서 정렬된 복수의 노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머신.
  21.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애플리케이터수단은 상기 코어에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머신.
  22.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감기 코어 주변에서 자유 끝의 감기를 용이하게 하는 블로잉 노즐(8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머신.
  23. 제 22항에 있어서,
    웨브재의 절단부재(23)의 레벨에서 실질적으로 위치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일련의 블로잉 노즐(8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머신.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블로잉 노즐은, 웨브재의 공급 방향에 관하여 가로지르는 축을 오실레이트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머신.
  25. 제 22항 내지 제 24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블로잉 노즐(85)은 상기 제 1 및 제 2 일련의 블로잉 노즐(83, 85)에 관하여 코어의 공급 통로의 대향 측에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머신.
  26. 제 22항 내지 제 25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감기코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수단이 없으며, 각각의 로그의 감기는 상기 블로잉 노즐에 의하여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머신.
  27.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에 미리 도포된 접착제의 부분을, 로그(R)의 최종 자유 끝을 형성하는 웨브재의 일부에 운반하기 충분한 크기 만큼 코어의 공급 통로를 따라서 각각의 코어가 구르도록 코어의 공급 통로가 배치되고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머신.
  28.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각각의 로그의 감기를 개시하기 위한 감기코어 및/또는 웨브재에 정전기 전하를 부여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전기 장치(501, 50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머신.
  29.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의 제트는 웨브재를 따르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머신.
  30.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절단 부재의 하류 측에 위치결정되는 흡입부재(2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머신.
  31. 적어도 제 1감기 롤러(1)와 제 2감기 롤러(2)로 이루어지고, 감기 크래들에, 상기 감기 롤러(1, 2) 사이에 니프가 통과하는 웨브재를 공급하는 단계와;
    웨브재의 제 1로그(R)를 감는 단계와;
    상기 제 1로그의 감기가 종료하는 경우 에어의 제트로 웨브재를 절단하며, 상기 제 1로그의 최종 자유 끝(Lf)과 제 2로그(R)를 감는 초기 자유 끝(Li)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웨브재 로그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에어의 제트가 제 1 및 제 2감기 롤러 사이에 상기 니프의 상류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 로그의 제조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의 제트가 분사되는 레벨에서, 웨브재가 대향 표면(24)과 평행하게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 로그의 제조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표면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 로그의 제조방법.
  34.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표면은 웨브재의 공급 속도에 관하여 상이한 속도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 로그의 제조방법.
  35. 제 32항 내지 제 34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재의 로그는 감기 코어(A1, A2) 위에 감기며, 상기 코어는 상기 감기 크래들(1, 2, 3)을 향하여 삽입 통로(17)를 따라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 로그의 제조방법.
  36. 제 32항 및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표면은 상기 공급 통로를 따라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 로그의 제조방법.
  37. 제 35항 또는 제 36항에 있어서,
    감기 코어(A1, A2)는 상기 대향 표면을 따라서 공급되며, 웨브재가 대향 표면과 감기 코어 사이에 공급되면서, 코어는 웨브재와 동일한 속도로 웨브재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 로그의 제조방법.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의 제트는, 상기 코어의 하류 측에서 웨브재의 절단을 야기하는 공급 패드를 따라서 상기 코어의 위치의 하류 측에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 로그의 제조방법.
  39. 제 35항 내지 제 38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코어의 공급 부재는 상기 공급 패드를 따라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 로그의 제조방법.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공급 부재는 웨브재(N)의 공급 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에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 로그의 제조방법.
  41. 제 39항 또는 제 40항에 있어서,
    공급 부재에 대하여 웨브재가 통과하는 상기 공급 부재와 코어 사이에서 웨브재(N)가 통과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 로그의 제조방법.
  42. 제 35항 내지 제 41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접착제(C)는 상기 감기 코어(A1, A2)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 로그의 제조방법.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라인, 즉 상기 코어의 축 연장부를 따른 연장에 의하여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 로그의 제조방법.
  44. 제 42항 또는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C)의 적어도 일부분(C1)은 최종 자유 끝(Lf)에 속하는 웨브재의 일부에 운반되어 상기 로그의 최종 자유 끝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 로그의 제조방법.
  45. 제 35항 내지 제 44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감기 코어 주변에서 초기 자유 끝(Li)의 감기는 1개 이상의 에어 제트에 의하여 개시하거나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 로그의 제조방법.
  46. 제 31항 내지 제 45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웨브재는 정전기 전하에 의하여 감기 코어에 부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 로그의 제조방법.
  47. 제 31항 내지 제 46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웨브재의 최종 자유 끝(Lf)은 흡입 수단에 의하여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 로그의 제조방법.
  48. 감기가 종료한 후 웨브재를 절단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에어의 제트를 제조하는 절단부재를 가진 주변 감기 유닛으로 이루어진 리와인딩 머신으로서, 상기 절단부재는, 웨브재를 절단하는 단계 동안 웨브재의 공급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트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 머신.
  49. 공급 통로를 따라서 이동하고 가로 지른 천공라인으로 형성된 웨브재 절단 방법으로서,
    상기 가압된 에어의 제트는 상기 웨브재를 향하고, 상기 에어의 제트는 웨브재의 공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 절단 방법.
  50. 웨브재 로그의 제조방법으로서,
    제 1로그의 감기가 종료된 후, 웨브재는 가로 지른 천공 라인의 레벨에서 웨 브재를 대하여 향하는 가압된 에어의 제트에 의하여 절단되며, 상기 웨브재가 절단된 후, 이어진 로그의 감기가 개시되며, 상기 가압된 에어의 제트는 천공 라인으이 공급 방향으로 이동하며 천공라인에 근접하여 웨브재 상에 에어의 제트의 작용의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 로그의 제조방법.
KR1020077029697A 2005-05-23 2006-05-19 웨브재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및 방법 KR200800331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FI2005A000108 2005-05-23
IT000108A ITFI20050108A1 (it) 2005-05-23 2005-05-23 Macchina ribobinatrice e metodo per la produzione di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170A true KR20080033170A (ko) 2008-04-16

Family

ID=36869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697A KR20080033170A (ko) 2005-05-23 2006-05-19 웨브재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90302146A1 (ko)
EP (1) EP1888442A2 (ko)
JP (1) JP2008542151A (ko)
KR (1) KR20080033170A (ko)
BR (1) BRPI0611168A2 (ko)
CA (1) CA2608969A1 (ko)
IT (1) ITFI20050108A1 (ko)
WO (1) WO200612622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FI20030118A1 (it) * 2003-04-28 2004-10-29 Fabio Perini Dispositivo e metodo per provocare lo strappo di nastri cartacei in macchine ribobinatrici
JP4546984B2 (ja) * 2007-03-19 2010-09-22 田中技研株式会社 ウェブ材料の巻取り装置
IT1398969B1 (it) * 2010-03-24 2013-03-28 Studio Duebi S A S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di anime in una macchina ribobinatrice per la produzione di rotoli.
IT1401881B1 (it) 2010-09-28 2013-08-28 Perini Fabio Spa Macchina ribobinatrice e metodo per la produzione di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ITFI20120142A1 (it) * 2012-07-11 2014-01-12 United Converting Srl Macchina ribobinatrice
MX2017006360A (es) * 2014-11-18 2017-11-13 Sca Tissue France Maquina rebobinadora y un metodo de bobinado para una tela de sustrato absorbente.
ES2656713T3 (es) * 2015-02-10 2018-02-28 O.M.T. Di Giannini Graziano E Damiano & C. S.N.C. Máquina bobinadora
US9809417B2 (en) 2015-08-14 2017-1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rface winder
US10427902B2 (en) 2016-03-04 2019-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nhanced introductory portion for a surface winder
US10427903B2 (en) 2016-03-04 2019-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eading edge device for a surface winder
US10442649B2 (en) 2016-03-04 2019-10-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rface winder for producing logs of convolutely wound web materials
WO2019108480A1 (en) 2017-11-29 2019-06-06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Surface rewinder with center assist and belt and winding drum forming a winding nest
US11247863B2 (en) 2018-11-27 2022-02-15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Flexible drive and core engagement members for a rewinding machine
US11208282B2 (en) * 2018-12-06 2021-12-28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Method of initiating a web winding process in a web winding system
US11383946B2 (en) 2019-05-13 2022-07-12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Solid roll product formed from surface rewinder with belt and winding drum forming a winding nest
CN113636395B (zh) * 2021-07-30 2023-02-10 江苏坤泰机械有限公司 一种可自动调节幅宽的硅胶条开幅辊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35930C2 (de) * 1972-07-18 1986-05-28 Fabio Lucca Perini Wickelmaschine zum Aufwickeln einer Papierbahn, bspw. Toilettenpapierbahn o.dgl.
IT1165998B (it) * 1979-09-21 1987-04-29 Fabio Perini Dispositivo avvolgitore continuo per nastri di carta ed altro nella produzione di carta igienica e manufatti analoghi
JPS5777147A (en) * 1980-10-30 1982-05-14 Takayoshi Oma Winding apparatus of paper sheet perforated lengthwise at regular interval
IT1233708B (it) * 1989-07-11 1992-04-14 Perini Navi Spa Macchina ribobinatrice per la formazione di rotoli o bastoni, e metodo di avvolgimento
JPH04317946A (ja) * 1991-04-17 1992-11-09 Tokushichi Yamazaki トイレットペーパーの巻取装置
IT1240907B (it) * 1991-07-16 1993-12-21 Perini Fabio Spa Metodo per la produzione di rotoli o logs di materiale nastriforme,e macchina per l'esecuzione di detto metodo
IT1262046B (it) 1993-03-24 1996-06-18 Guglielmo Biagiotti Macchina ribobinatrice per la formazione di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con mezzi per l'interruzione del materiale nastriforme e relativo metodo di avvolgimento.
US6648266B1 (en) * 1993-03-24 2003-11-18 Fabio Perini S.P.A. Rewinding machine and method for the formation of logs of web material with means for severing the web material
US6056229A (en) * 1998-12-03 2000-05-02 Paper Converting Machine Co. Surface winder with pinch cutoff
IT1307820B1 (it) * 1999-12-02 2001-11-19 Perini Fabio Spa Macchina e metodo per la produzione di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impregnato.
DE10137252A1 (de) * 2001-07-31 2003-02-13 Voith Paper Patent Gmbh Verfahren zum Aufwickeln einer laufenden Materialbahn sowie Wickel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EP1431218B1 (en) * 2002-12-17 2005-09-07 A. CELLI NONWOVENS S.p.A. Winding or rewinding machine for producing rolls of web material around a winding spindle and relative winding method
ITFI20030118A1 (it) * 2003-04-28 2004-10-29 Fabio Perini Dispositivo e metodo per provocare lo strappo di nastri cartacei in macchine ribobinatrici
ITFI20030311A1 (it) * 2003-12-05 2005-06-06 Perini Fabio Spa Macchina ribobinatrice, metodo per la produzione di
ITFI20040028A1 (it) * 2004-02-09 2004-05-09 Perini Fabio Spa Metodo e dispositivo per produrre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avvol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FI20050108A1 (it) 2006-11-24
WO2006126228A3 (en) 2007-02-15
BRPI0611168A2 (pt) 2010-08-17
US20090302146A1 (en) 2009-12-10
WO2006126228A2 (en) 2006-11-30
EP1888442A2 (en) 2008-02-20
JP2008542151A (ja) 2008-11-27
CA2608969A1 (en)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3170A (ko) 웨브재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및 방법
US7896284B2 (en) Method and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logs of wound web material
EP1888441B1 (en) Machin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rolls of weblike material
RU2567202C2 (ru) Машина для перемотки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рулонов из рул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US7931226B2 (en) Method and machine for forming logs of web material, with a mechanical device for forming the initial turn of the logs
US7172151B2 (en) Rewinding machine for producing logs of wound web material and relative method
US8267344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logs of web material with a mechanism for interrupting the web material activated by passage of the winding cores
US5031850A (en) Rewinding machine for the formation of rolls of paper or the like
US7832676B2 (en) Rewind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logs of web material and logs obtained
WO2007083336A2 (en) Rewinding machine and winding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logs
JP4696073B2 (ja) ウエブ材料のログの製造方法及びその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