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427Y1 - 꺼짐 방지 가스 연소 장치 - Google Patents

꺼짐 방지 가스 연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427Y1
KR930008427Y1 KR2019930008299U KR930008299U KR930008427Y1 KR 930008427 Y1 KR930008427 Y1 KR 930008427Y1 KR 2019930008299 U KR2019930008299 U KR 2019930008299U KR 930008299 U KR930008299 U KR 930008299U KR 930008427 Y1 KR930008427 Y1 KR 930008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unit
insulator
gas
high voltage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8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아끼 세가와
Original Assignee
다까아끼 세가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2410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45017Y2/ja
Priority claimed from JP5358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4948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5357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00055U/ja
Application filed by 다까아끼 세가와 filed Critical 다까아끼 세가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4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30Lighters characterised by catalytic ignition of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16Lighters with gaseous fuel, e.g. the gas being stored in liquid ph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28Lighter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ignition of the fuel
    • F23Q2/285Lighter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ignition of the fuel with spark ignition
    • F23Q2/287Lighter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ignition of the fuel with spark ignition piezo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꺼짐 방지 가스 연소 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 2a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버너 유니트의 둘레의 구조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
제 2b 도는 지지아암의 선단부의 확대 평면도.
제 3 도는 제 2a 도의 Ⅲ-Ⅲ선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조립 완료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아암 1f : 아래 다리
1h : 구멍 2 : 버너 유니트
3 : 절연체 통 4 : 점화노즐
4h : 개구 4t : 방전용 앞끝단부
5 : 가스 혼합관 5f : 톱니 형상의 플랜지
5h : 공기 흡기구 5s : 다리 슬리이브
6s : 요홈 7 : 촉매 와이어
7a : 불꽃 개구 8 : 촉매 지지링
10 : 구멍판 10h : 중심구멍
11 : 워셔 12 : 필터
13 : 플랜지 관 14 : 냉열성의 O링
15 : 합성수지 튜브 16 : O링
17 : 연료탱크 17r : 구멍
18 : 지지부 18h : 축구멍
18r : 요홈 19 : 측면 받침
20 : 연료 노즐 20f : 플랜지
21 : 작동부재 21f1, 21f2: 다리
20p : 돌출부 21r : 걸어맞춤홈
22 : 받침판 23 : 고무판
24 : 고전압 발생장치 24c : 본체 케이스
24f : 받침대 24h : 고압 리이드
24i : 작동케이스 24w : 코일
25 : 조작부재
25f1, 25f2, f2r1, 25r2: 반원형상의 돌기
26 : 라이터 케이스 26b : 아래쪽 개구
26h : 윗쪽 개구 26r : 요홈
28 : 윗 덮개 28c : 상부 캡
28f1, 28f2: 다리부재 28h1, 28h2: 핀 구멍
29 : 중심핀 30 : 발톱부재
30h : 통공 30p : 돌기편
31 : 아래덮개 31h : 고정구멍
32 : 나사
본 고안은, 가스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담배에 불을 붙이기 위한 꺼짐 방지 가스 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들면, 일반적인 가스 라이터는, 연료 방출 노즐 등을 가지는 연료탱크, 가스를 점화하기 위한 고압방전장치, 또는 라이터돌 발화기구와 같은 점화장치 및 연료 방출 노즐을 위 또는 아래로 구동하고, 상기 점화장치를 점화구동하는 조작기구등을 구비하고 있다.
종래에는 통상 점화불꽃은, 라이터의 바깥 케이스, 또는 안쪽 케이스의 불꽃 구멍에서 솟아 오른다. 다른 형태의 것, 즉 노즐 그 자체를 노출시키는 형태의 것에서는 불꽃구멍이 없다. 이 경우에는 노즐 앞끝단의 개구에서 점화불꽃이 솟아 오른다.
이러한 가스 라이터들은, 가스 유속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불꽃의 솟아 오르는 세기가 비교적 약하여, 바람이 불면 불이 불자마자 불꽃이 꺼져 버린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불꽃측 주위를 원통체 등으로 둘러싸서, 불꽃에 바람의 직접 충돌을 감소하도록 한 꺼짐 방지 가스 라이터를 제안하고 있었다.
이러한 꺼짐 방지 가스 라이터에서는, 바람을 막기 위하여 원통체로 불꽃의 바깥둘레를 둘러 싸고 있는데, 노즐에서 방출되는 연료가스에 공기를 공급하고, 또 스파크, 또는 라이터돌의 점화불꽃을 닿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원통체가 공기 공급구나 불꽃 구멍을 뚫어 놓아야만 하고, 이것이 꺼짐 방지 효과를 감쇄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꺼짐 방지용 원통체가 있기 때문에, 노즐 주위의 청소가 곤란하여 보수성이 낮다.
더우기, 스파크 점화식의 것에 있어서는, 방전 전극의 배치가 곤란하여, 방전전극의 장착이나 방전전극에의 전기 공급선의 배선에 복잡한 요소들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내풍(耐風)효과가 높고, 또 가스착화용의 고압전기공급이 용이하며, 간단한 꺼짐방지 가스 연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꺼짐 방지 가스 연소장치는, 통형상의 절연체 통과 상기 절연체통의 바깥 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절연체 통의 상단보다도 윗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절연체 통의 바깥 플랜지에 고정된 버너 유니트와, 이 버너 유니트를 지지하는 도전체인 지지아암과, 이 버너 유니트의 위쪽 개구부에 장비된 촉매와, 상부가 상기 절연체 통의 하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절연체 통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의 측면에 공기 흡기구를, 또 그 하부에 연료가스 수취구를 가지며, 이들 공기 흡기구 및 연료가스 수취구와 연결되어 통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도전체인 가스혼합관과, 도전체인 점화노즐과, 이 점화노즐은, 상기 가스 혼합관(5)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어 통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그 위끝단에 방전용 앞 끝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너 유니트의 내부 공간에 혼합가스를 공급함과 동시에, 이 내부 공간에 연결되어 통하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절연체 통의 상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그 하부에서 상기 가스혼합관과 나사 결합하여 상기 가스혼합관과 함께 상기 절연체통(3)의 안쪽 플랜지를 조여 붙이도록 되어 있으며, 출력단자의 하나는 지지아암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하나의 출력단자는 상기 가스 혼합관에 접속되어, 이들 출력단자간에 점화 스파크 발생용의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 발생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버너 유니트(2) 및 지지아암(1)을 도전체로 하고, 점화수단을 고전압 발생장치(24)로서 그 출력단자의 하나를 지지아암(1)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다른 출력단자의 끝을 도전체의 가스 혼합관(5)에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상단에 방전용 앞끝단부(4t)를 가지는 도전체인 점화노즐(4)을 절연체 통(3)의 안쪽 공간에 삽입하여 가스 혼합관(5)과 결합하고 있다. 즉, 압전 유니트인 고전압 발생장치(24)의 출력단자의 하나가 지지아암(1)을 통하여 버너 유니트(2)에 접속되고, 다른 하나의 출력단자가 가스 혼합관(5)을 통하여 점화노즐(4)에 접속되어 있으며, 전자와 후자는 절연체 통(3)으로 절연되어 있다.
고전압 발생장치(24)가 점화용 고전압을 발생하면, 버너 유니트(2)와 점화노즐(4)의 방전용 앞끝단부(4t) 사이에 이 전압이 가해지고, 버너 유니트(2)의 안쪽 공간에 방전 스파크를 발생시키며, 이것이 점화노즐(4)의 개구(4h)로부터 버너 유니트(2)의 안쪽 공간에 공급되어 있는 혼합가스를 점화한다.
이 점화에 의하여 버너 유니트(2)내에서 연소하고, 버너 유니트(2)의 안쪽 공간을 윗쪽으로 통과하는 불이 발생한다. 촉매 와이어(7)는, 이 불에 의하여 가열되어 빨갛게 된다. 촉매 와이어(7)는 불을 방해하는 작용도 하기 때문에, 촉매 와이어(7)로부터 그 상부의 불은 색체가 엷어서 잘 보이지 않으나, 촉매 와이어(7) 위쪽에 불붙이고자 하는 담배의 끝을 갖다 대면 곧바로 발화가 되게 된다.
버너 유니트(2) 내에서, 연소가스는 공기와 혼합하고 있기 때문에, 불이 있고, 버너 유니트(2) 내의 불은 바람에 의하여 꺼지기 어렵게 된다.
비교적 강한 바람이 촉매 와이어(7)의 상부로부터 버너 유니트(2) 내로 들어가는 때에는, 이 불도 일시적으로 꺼진다.
그러나, 촉매 와이어(7)가 발열하고 있고, 이것이 고온 상태에 있으면, 그 산화 촉진작용에 의하여 혼합기(混合氣)가 닿을 때에 다시 불이 붙게 된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불이 꺼져도 다시 불이 살아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촉매 와이어(7)에 의한 연소 촉진 작용에 의하여 단순히 원통이 있는 경우보다도 내풍효과가 높다.
버너 유니트(2)가 고압방전의 하나의 전극(기기의 어어스극)으로 되고 가스 혼합관(5)이 다른 하나의 전극(고압극)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하게 방전 전극을 가공할 필요가 없고, 방전 전극을 버너 유니트(2) 내에 설치하기 위한 특별한 수단도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점화용 기구가 매우 간단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점화용 고전압 공급의 일극(一極)을 코일이 감긴 형상으로서 가스 혼합관(5)을 단순하게 코일이 감긴 형상부에 관통시키는 등, 단순한 접속작업으로 전기접속이 가능하며, 조립작업이 간단하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예]
이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에 본 고안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연료 탱크(17)에는 연료 노즐(20)이 장착되어 있고, 이 실시예에서는, 이 연료 노즐(20)을 위쪽으로 잡아당겨 올림으로서, 연료 탱크(17)내에서 가스방출밸브가 열리고, 연료 탱크(17) 내의 연료가 기화하여, 연료 노즐(20)로부터 나온다.
연료 탱크(17)는 투광성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져 있어, 그 내부의 액화연료의 잔존량을 탱크 외부에서 눈으로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연료 탱크(17)에는 고전압 발생장치(24)를 안내하는 측면 받침(19)과, 버너 유니트(2)를 지지하는 지지부(1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전압 발생장치(24)는 타격에 의해 고전압을 발생하는 압전소자와, 이것을 타격하는 기구를 가지는, 이른바 압전유니트로 불리워지는 것으로서, 절연체인 본체 케이스(24c) 내에 압전소자가 수납되어 있고, 이 압전소자의 한쪽 끝단을 금속제의 받침대(24f)가 지지하고 있다.
압전소자의 다른쪽 끝단에는 고압 리이드(24h)가 접속되어 있다.
고압 리이드(24h)의 앞끝단부는 절연 피막을 벗기고, 도선이 노출되어 소정 반경의 코일(24w)로 감겨져 있다.
본체 케이스(24c)에는 작동케이스(24i)가 장착되어 있고, 이 작동케이스(24i)에 충격용의 코일 스프링 및 플러져가 수납되어 있다.
작동케이스(24i)가 아래로 눌려지면,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고, 소정의 위치에서 플런져의 걸림이 해제되어 플런저가 스프링의 반발력으로 구동되어 압전소자를 때린다.
이때, 압전소자가 고전압을, 받침대(24f) 및 작동케이스(24i)(통상, 어어스라 칭함)와 코일(24w)(통상, 고압극이라 칭함)의 사이에서 발생시킨다.
라이터의 조립시에는, 연료 탱크(17)의 구멍(17r)에 받침판(22) 및 고무판(23)을 삽입한다.
이어서, 작동부재(21)를, 그 2개의 다리(21f1), (21f2)의 사이에 지지부(18)를 통과하여, 그 걸어맞춤 홈(21r)을 연료 노즐(20)의 플랜지(20f)의 아래에 끼워 넣고, 지지점용의 돌출부(21p)를 지지부(18)의 요홈(18r)에 걸어 맞춤시키는 형태로 지지부(18)에 장착한다.
고전압 발생장치(24)의 코일(24w)에 혼합관(5)의 다리 슬리이브(5s)를 통과시키고, 혼합관(5)의 다리 슬리이브(5s) 내에 구멍판(10), 워셔(11) 및 필터(12)를 기재된 순서대로 삽입하고, 다리 슬리이브(5s) 내의 암나사에 플랜지 관(13)의 앞 끝단 바깥 둘레의 숫나사를 나사 맞춤하여 조여 붙이고, 플랜지 관(13)의 하부에 고정부착된 신축성 있는 합성수지튜브(15)를, 고무제의 O링(16)에 끼워 넣는다.
이어서, 금속판을 프레스로 성형한 조작부재(25)를 고전압 발생장치(24)의 작동케이스(24i)에 덮어 씌우고, 버너 유니트(2)에 고정부착된 지지아암(1), 조작부재(25) 및 고전압 발생장치(24)를 한 조로 하여, 고전압 발생장치(24)의 받침대(24f)를 연료 탱크(17)의 구멍(17r)에 삽입하고, 지지아암(1)의 아래 다리(1f), 조작부재(25) 및 고전압 발생장치(24)를 , 연료 탱크(17)의 지지부(18)와 측면 받침(19)의 사이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하면, 조작부재(25)의 프레스 성형에 의한 반원형상의 돌기(25f1), (25f2)가 작동부재(21)의 다리(21f1), (21f2)에 위쪽으로부터 맞닿는다.
지지아암(1)의 구멍(1h)은 지지부(18)의 축구멍(18h)에 정렬되어 맞추어진다.
이 상태에서, 임시로 조작부재(25)를 내리 누르면, 고전압 발생장치(24)의 작동케이스(24i)가 내려 눌려짐과 동시에, 작동부재(21)가 돌출부(21p)[지지부(18)의 요홈(18r)에 지지되어 있음]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연료 노즐(20)을 위쪽으로 끌어 올린다[연료 노즐(20)로 붙터의 연료가스의 방출]
이어서, 신축성이 있는 합성수지 튜브(15)의 아래 끝단 개구는, 연료 노즐(20)에 덮어 씌워져 플랜지(20f)까지 끼워 넣어지고, O링(16)을 연료 노즐(20)의 플랜지(20f) 근처까지 내린다.
이것에 의하여, O링(16)이 신축성이 있는 합성수지튜브(15)의 아래 끝단을, 연료 노즐(20) 둘레면에 대해 조여 붙인다.
이상과 같이, 연료 탱크(17)에, 작동부재(21), 지지아암(1), 조작부재(25) 및 고전압 발생장치(24)를 조립하고, 이들을 라이터 케이스(26)에, 그 아래쪽 개구(26b)로부터 삽입시켜, 지지부(18)의 축구멍(18h)이 라이터 케이스(26)의 위쪽 개구(26h)보다 위쪽으로 나오도록 눌러서 밀어낸다.
그리고, 윗 덮개(28)에 고정 장착되어 있는 다리 부재(28f1), (28f2)를 지지부(18)에 걸쳐 올려놓고, 이들의 핀 구멍(28h1), (28h2)을 지지아암(1)의 구멍(1h) 및 지지부(18)의 축구멍(18h)와 정렬하여 맞추고, 이들 구멍에 중심핀(29)를 끼워, 윗 덮개(28)의 상부 캡(28c)을 라이터 케이스(26)를 향하여 눌러 내린다.
상부 캡(28c)이 라이터 케이스(26)의 윗쪽 개구(26h)를 확실히 덮으면, 이 상태에서 윗 덮개(28)의 다리 부재(28f1), (28f2)의 3각 형상으로 돌출한 끝단부가, 조작부재(25)의 프레스 성형에 의한 반원형상의 돌기(25r1), (25r2)의 윗 끝단에 맞닿는다.
이어서, 탄성재료로 만들어진 발톱부재(30)를 라이터 케이스(26)의 아래쪽 개구(26b)에 삽입하여, 발톱부재(30)의 돌기편(30p)를 라이터 케이스(26)의 요홈(26r)에 맞춤시키고, 이래쪽 개구(26b)를 아래덮개(31)로 덮고, 나사(32)를 아래덮개(31)의 고정구멍(31h) 및 발톱부재(30)의 통공(30h)을 통하여, 연료탱크 아래 바닥의 나사 구멍에 나사식으로 끼워 넣는다.
이상과 같이 하여 라이터가 조립되는 것이다.
조립을 끝낸 라이터의 내부 구조를, 윗 덮개(28), 라이터 케이스(26) 및 아래덮개(31)를, 종단면도로 제 4 도에 나타내었다.
이 라이터를 사용할 때에는, 엄지 손가락으로 윗 덮개(28)의 상부 캡(28c)을 눌러서 중심핀(29)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동작시킨다.
그러면, 윗 덮개(28)의 다리 부재(28f1), (28f2)가 조작부재(25)의 프레스 성형에 의한 반원형상의 돌기(25r1), (25r2)를 아래로 구동한다.
조작부재(25)가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고전압 발생장치(24)의 작동케이스(24i)가 아래로 구동되고, 그 내부의 코일 스프링이 압축됨과 동시에, 작동부재(2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연료 노즐(20)을 당겨 올린다.
이로인해 연료 노즐(20)로부터 연료가스의 방출이 시작되고, 방출된 연료가스는, 신축성이 있는(탄력성이 있음) 합성수지 튜브로 된 지지부(18), 필터(12), 워셔(11)의 중앙구멍 및 구멍판(10)의 중심구멍(10h)(제 2a 도 및 제 3 도 참조)을 통하여 혼합관(5)으로 들어가고, 이어서 윗쪽으로 진행한다.
이 연료가스의 흐름에 따라, 혼합관(5)의 둘레면에 열려진 공기 흡기구(5h) (제 2a 도 및 제 3 도 참조)로부터 공기가 혼합관(5)내로 흡인되어, 이 공기가 연료가스와 혼합되고, 혼합가스가 혼합관(5)으로부터 점화노즐(4) (제 2a 도 및 제 3 도 참조)로 들어가서, 점화 노즐 개구(4h)로 부터 버너 유니트(2)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 촉매 와이어(7)를 통과하여, 버너 유니트(2)의 윗쪽으로 나간다.
윗 덮개(28)가 더욱 회전운동되면, 고전압 발생장치(24)의 작동케이스(24i)내의 플런져의 걸림이 해방되어, 코일 스프링의 반발력으로 플런져가 압전소자를 타격하면, 고전압이 리이드(24h)의 코일(24w)로부터 혼합관(5)을 통하여 버너 유니트(2) 내의 점화노즐(4; 제 2a 도, 제 3 도)에 가해지고, 한편 고전압 발생장치(24)의 작동케이스(24i)의 도전층, 조작부재(25), 지지아암(1), 버너 유니트(2)를 통하여 촉매 지지링(8)(제 2a 도, 제 3 도 참조)이 고전압 발생장치(24)의 다른 쪽 전극(기기의 어어스)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점화노즐(4)과 촉매 지지링(6)의 사이에서 방전 스파크가 발생한다.
이 방전 스파크에 의해, 버너 유니트(2) 내의 혼합가스가 점화되어 불꽃을 발생하고, 이 불꽃에 의해 촉매 와이어(7)가 가열되어 벌겋게 달구어져서 혼합가스의 연소를 촉진한다.
이 상태에서, 불을 붙이고자 하는 담배의 앞끝단을 촉매 와이어(7)의 윗쪽으로 접근시키면 불이 붙게된다.
제 2a 도에서는 본 고안의 버너 유니트(2)의 내부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제 3 도에서는 그 Ⅲ-Ⅲ선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들 도면은 신축성이 있는 합성수지튜브(15)를 연료 노즐(20)에 결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2a 도 및 제 3 도를 참조하여, 버너 유니트(2) 부분의 구조를 설명한다.
금속제(도전성)의 버너 유니트(2)는, 대략 중간부에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한 안쪽 플랜지를 가지며, 이 안쪽 플랜지의 아래면이 세라믹으로 된 절연체 통(3)의 윗 끝단면에 맞닿고, 안쪽 플랜지의 윗면에 촉매 지지링(8)이 올려 놓여져 있다.
여기에서 절연체 통(3)은 세라믹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안쪽 플랜지의 아래쪽부는 두께가 얇고, 가장 아래 끝단부가 안쪽을 향하여 끼워져서, 절연체 통(3)의 바깥 플랜지의 아래면에서 돌출하여, 이와 같은 끼워 맞춤에 의해, 버너 유니트(2)는 절연체 통(3)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버너 유니트(2)의 안쪽 플랜지보다 윗 쪽의 부분도 두께가 얇고, 가장 윗 쪽 끝단부가 부분적으로 굽어져서, 촉매 지지링(8)을 유지하고 있다.
버너 유니트(2)의 안쪽 플랜지(두께가 두꺼운 부분)의 바깥 둘레면 자체에 걸쳐서, 고리형상의 요홈(2r)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금속제(도전체)의 지지아암(1)의 앞끝단의 반 링 형상의 부분이 걸어 맞춤되어 있다.
제 2b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아암(1)의 앞끝단의 반 링 형상의 부분의 요홈(2r)에 걸어 맞춤하는 안쪽면의 지름 D는, 요홈(2r)의 바닥 지름 D보다 약간 크고, 반(半)고리 형상부분의, 요홈(2r)을 향하여 열려진 부분의 가장 앞 끝단의 폭도, D보다 약간 크지만, 이렇게 열려진 부분의 가장 안쪽의 폭 d는, D보다도 작고, d보다 안쪽의 원호면은, 반원 보다도 약간 큰 원호이다.
제 2a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아암(1)을 버너 유니트(2)에 결합할 때에는, 아암(1)의 가장 앞 끝단의 D의 개구를, 버너 유니트(2)의 요홈(2r)에 대향시키고, 버너 유니트(2)를 아암(1)의 가장 앞 끝단의 D의 개구에 강하게 눌러 넣는다.
이때, 아암(1)의 가장 앞쪽 끝단의 D의 개구의 안쪽의 d인 부분이 약간 열려 아암(1)의 반링형상의 부분이 요홈(2r)에 끼워 맞추어지고, 열려진 d인 부분이 다시 좁혀져서, 이것에 의해 결합이 완료된다.
또, 그후, 개구 D가 닫아지도록 아암(1)의 반링형상의 부분을 프레스하여도 좋다.
다시 제 2a 도를 참조한다.
절연체 통(3)은, 윗 끝단에 바깥 플랜지를, 중앙부에 안쪽 플랜지를 가지는 형상이고, 바깥 플랜지에 버너 유니트(2)가 끼워 맞춤에 의해 고정 부착되어 있다.
절연체 통(3)의 안쪽 플랜지의 중앙 구멍에는 금속제(도전성)의 점화노즐(4)이 삽입되고, 또한 이 절연체 통(3)의 아래쪽 개구에는 금속제(도전성)의 혼합관(5)의 앞 끝단부가 삽입되어, 혼합관(5)의 안쪽 둘레면에 형성된 암나사에, 노즐(4)의 아래다리의 바깥 둘레면에 형성된 숫나사를 나사식으로 끼워 넣는 형태로, 점화노즐(4)에 혼합관(5)이 고정 부착되고, 또한 이들 점화노즐(4)과, 혼합관(5)이 절연체 통(3)의 안쪽 플랜지를 조여 붙이는 형태로, 양자가 절연체 통(3)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버너 유니트(2)의 상부 개구에 유지된 촉매 지지링(8)에는 미리 촉매 와이어(7)가 장착되어 있다.
버너 유니트(도전체)(2)에 지지아암(1)(도전체)이 기계적으로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양자는 전기적으로는 접속 상태로 되어 있고, 지지아암(1)이 조작부재(25)를 통하여 고전압 발생장치(24)의 작동케이스(24i)의 도전층(어어스 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버너 유니트(2)는 고전압 발생장치(24)에 접속된 하나의 방전 전극(어어스)으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고전압 발생장치(24)의 고압 리이드(24h)의 앞 끝단의 코일(24w)은, 고압 리이드(24h)의 절연막을 벗기고, 그 심선(도선)을 혼합관(5)의 다리 슬리이브(5s)의 바깥 지름보다 약간 작은 지름으로 감겨진 것으로서, 이 코일(24w)에 다리 슬리이브(5s)가 끼워 넣어져, 혼합관(5)의 나사 돌리개용의 톱니 형상의 플랜지(5f)로 눌려있다.
이에 따라, 점화노즐(4)은, 혼합관(5)을 통하여 고전압 발생장치(24)의 고압 리이드(24h)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약간의 틈새가 있더라도 고전압이 인가되면 이 틈새가 방전 파괴되어 도통한다.
점화노즐(4)의 앞 끝단부(4t)의 작은 지름의 원기둥 형상으로 가늘게 되어 있고, 가장 앞 끝단에는 원기둥 형상인, 비교적 예리한 테두리가 있다.
따라서, 고전압 발생장치(24)가 고전압을 발생하면, 이 원기둥 형상의 테두리와 촉매 지지링(8)의 아래 끝단의 안쪽 플랜지의 원기둥 형상의 테두리 사이, 즉 버너 유니트(2)의 내부에서 방전 스파크가 발생한다.
점화노즐(4)의 앞 끝단부(4t)의 작은 지름의 원기둥부의 아래쪽에는 개구(4h)가 있다.
혼합관(5)은, 중앙부에 혼합관(5)은 중앙부에 구멍판(10)을 받치기 위한 안쪽 플랜지가 있고, 그 윗쪽에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공기 흡기구(5h)가 있다. 중심구멍(10h)을 가지는 구멍판(10), 워셔(11) 및 필터(12)가, 이 기재의 순서대로, 아래 개구로 부터 혼합관(5)에 삽입되고, 플랜지 관(13)이 혼합관(5)의 아래 개구에 나사식으로 끼워져서, 판(10), 워셔(11) 및 필터(12)를 혼합관(15)의 안쪽 플랜지에 눌러대고 있다.
플랜지 관(13)의 옆 둘레면에는, 내열성의 O링(14)이 장착되어 있고, 이것이 혼합관(5)과 플랜지 관(13)과의 나사 맞춤부의 기밀성을 유지한다.
플랜지 관(13)에는, 신축성이 있는 합성 수지 튜브(15)의 앞 끝단부가 눌러 넣어지고, 그 신장력에 의해 플랜지 관(13)의 안쪽벽에 눌려 닿아 있다.
연료 노즐(20)이 윗 쪽으로 잡아 당겨져서 연료 노즐(20)로부터 연료 가스가 나오면, 이것이 합성 수지 튜브(15)를 통과하고, 이어서 필터(12), 워셔(11)의 중앙구멍 및 판(10)의 중심구멍(10h)을 통하여 혼합관(5)으로 들어가고, 이어서 점화노즐(4)로 나아간다.
이 연료가스의 흐름에 으해, 혼합관(5)의 공기흡기구(5h)를 통하여 관(5) 내부로 공기가 빨아 들여져서 연료가스와 썩이면서 점화노즐(4)로 나아간다.
공기와 연료가스가 혼합된 기체 즉, 혼합가스는, 점화노즐(4)의 개구(4h)로부터 절연체 통(3)의 상부 내부공간으로 나가고, 이어서 버너 유니트(2)의 내부공간으로 나아간다.
절연체 통(3)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버너 유니트(2)의 내부공간으로 나아갈 때에,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점화 스파크가 점화노즐(4)의 앞끝단 테두리와 버너 유니트(2)의 안쪽 플랜지의 둘레 가장자리 사이에서 발생하면, 이것에 의하여 혼합가스가 착화되어 불꽃으로 된다.
불꽃은 촉매 와이어(7)를 통하여 불꽃 개구(7a)로 솟아 오르는데, 이 불꽃에 의해 촉매 와이어(7)가 벌겋게 달구어지고, 촉매 와이어(7)의 연소 촉진 작용에 의해, 불꽃은 열은 청색으로 되거나 또는 투명해진다.
촉매 와이어(7)의 위쪽에 담배 끝을 가까이 하면 불이 붙게 된다.
촉매 와이어(7)가 달구어져 있을때에, 불꽃을 붙여 끌 정도의 강한 바람이 일시적으로 불꽃개구(7a)에 닿아 불꽃이 꺼지더라도, 이 바람이 지나가면 촉매 와이어(7)는 계속 달구어져 있고 연소가스는 흘러 나오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작용에 의해 불꽃은 완전히 꺼지지 않고 다시 불꽃개구(7a)로 부터 재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비교적 강한 바람에 대하여도 내풍 효과, 즉 불꽃이 꺼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제 4 도에 명확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버너 유니트(2)는 라이터 케이스(26)로부터 떨어져 있고, 윗 덮개(28)는 열려 있으며, 또한 버너 유니트(2)에서 떨어져 있기 때문에, 버너 유니트(2)의 열은, 주로 지지아암(1)을 통하여 라이터 케이스(26)로 전파된다.
지지아암(1)이 버너 유니트(2)의 하부를 지지하여, 버너 유니트(2)의 상부의 온도 상승이 크고, 하부의 온도상승은 낮기 때문에, 지지아암(1)을 통하여 라이터 케이스(26)에의 열 전파는 느리다.
따라서, 버너 유니트(2)는 온도가 잘 내려가지 않는다. 즉, 버너 유니트(2)에 의한 방열은 적다.
그 결과, 촉매 와이어(7)가 달구어져 있을 때에, 사람이 불꽃을 불어서 끌 정도로 강한 바람이 일시적으로 불꽃개구(7a)에 닿아 불꽃이 꺼지더라도, 버너 유니트(2)의 내부 공간의 온도는 비교적 오랫동안, 또 높게 유지되고, 촉매 와이어(7)의 냉각 속도가 느려져서, 이 바람이 지나가면 버너 유니트(2)내의 혼합가스기 비교적 빨리 가열되어, 촉매 와이어(7)에 의해 불꽃이 자연적으로 재생되어 내풍 효과가 높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윗 덮개(28)를 덮으면, 연료 노즐(20)이 내려가서 연료가스의 방출은 정지되고, 따라서 연소가 정지된다.
절연체 통(3)은 나사구멍 뚫기가 곤란하므로, 통상은 그 표면에 도금 또는 증착한 금속층을 형성하고, 여기에 금속을 용접함으로써 금속에 고정 부착하고 있으나,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버너 유니트(2)로 절연체 통(3)의 바깥 플랜지를 조여 붙이도록 하여, 절연체 통(3)에 버너 유니트(2)를 고정 부착하고 있다.
즉, 이것은 도금이나 증착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그 만큼 가공이 간단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 촉매 지지링(8)을 버너 유니트(2)상의 고정체로 버너 유니트(2)에 고정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촉매 지지링(8)의 장착작업도 간단하다.
고전압 발생장치(24)의 고압을 방전시키는 전극으로서는, 점화노즐(4) 및 촉매 지지링(8)을 그대로 사용하고, 점화노즐(4)과 고전압 발생장치(24)와의 접속은, 단순히 고전압 발생장치(24)의 고압리이드(24h)를 코일(24w)로 감고, 이 코일(24w)에 점화노즐(4)의 슬리이브(5s)만을 통과시킬 뿐으로, 납땜이나 나사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립이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의 라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 탱크(17)에 버너 유니트(2)를 장착하고, 이것을 라이터 케이스(26)에, 그 아래 개구로부터 삽입하고, 위쪽 개구로부터 나온 연료 탱크(17)에 윗 덮개(28)를 부착하고, 이어서 윗 덮개(28)를 아래쪽으로 누르고, 라이터 케이스(26)의 아래 개구로 아래 덮개(31)를 닿게하며, 나사(32)를 아래 덮개(31) 및 발톱부재(30)를 통하여 연료 탱크(17)의 아래 바닥에 나사식으로 끼워 넣기 때문에 그 조립이 간단한 작업으로 달성되며, 또 소형으로 조립된다.
라이터 케이스(26)는, 그 아래 개구 둘레부의 안쪽 벽면에 요홈(26r)을 갖도록 하여 연료 탱크(17)의 아래바닥과, 아래 덮개(31)의 안쪽벽면의 사이에, 발톱부재(30)를 끼우고, 이 발톱부재(30)를 요홈(26r)에 걸어 맞춤시키고 있기 때문에, 발톱부재(30)를 통하여 아래 덮개(31)에 라이터 케이스(26)가 잡아 당겨지고 또한 윗 덮개(28)는 연료 탱크(17) 및 발톱부재(30)을 통하여 아래 덮개(31)에 잡아 당겨지기 때문에, 발톱부재(30)의 탄성에 의하여 아래 덮개(31)가 항상 라이터 케이스(26)에 밀착함과 동시에, 라이터 케이스(26)의 위쪽개구 둘레와 윗 덮개(28)의 아래쪽 개구 둘레의 미끄럼 접촉 마찰 저항이 발톱부재(30)의 스프링 턱에 대응하는 실질상 일정치로 된다.
나사(32)에는, 발톱부재(30)의 탄성에 의해 연료 탱크(17)와, 아래 덮개(31)가 벗어나는 방향으로의 힘을 항상 받고 있기 때문에, 잘 회전하지 않고, 또한 잘 느슨해 지지 않는다.
또, 본 고안은 라이터의 발화기구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내풍효과가 높고, 더구나 가스 착화용의 고압 전기공급이 용이하며, 또 간단한 꺼짐 방지 가스연소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

  1. 통형상의 절연체 통(3)과, 상기 절연체 통(3)의 바깥 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절연체 통(3)의 상단 보다도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절연체 통(3)의 바깥 플랜지에 고정된 버너 유니트(2)와, 이 버너 유니트(2)를 지지하는 도전체인 지지아암(1)과, 이 버너 유니트(2)의 위쪽 개구부에 장비된 촉매(7)와, 상부가 상기 절연체 통(3)의 하부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절연체 통(3)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의 측면에 공기 흡기구(5h)를, 또 그 하부에 연료 가스 수취구를 가지며, 이들 공기 흡기구(5h) 및 연료 가스 수취구와 연결되어 통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도전체인 가스 혼합관(5)과, 도전체인 점화노즐(4)과, 이 점화노즐(4)은 상기 가스 혼합관(5)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어 통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그 윗 끝단에 방전용 앞 끝단부(4t)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너 유니트(2)의 내부 공간에 혼합가스를 공급함과 동시에, 이 내부 공간에 연결되어 통하는 개구(4h)를 가지며, 상기 절연체 통(3)의 상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그 하부에서 상기 가스 혼합관(5)과 나사결합하여 상기 가스 혼합관(5)과 함께 상기 절연체 통(3)의 안쪽 플랜지를 조여 붙이도록 되어 있으며, 출력단자의 하나는 지지아암(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하나의 출력단자는 상기 가스 혼합관(5)에 접속되어, 이들 출력단자 간에 점화 스파크 발생용의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 발생장치(24)를 구비한 꺼짐 방지 가스 연소장치.
KR2019930008299U 1988-02-25 1993-05-17 꺼짐 방지 가스 연소 장치 KR93000842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024100U JPH0345017Y2 (ko) 1988-02-25 1988-02-25
JP??63-24100 1988-02-25
JP535889U JPH0449484Y2 (ko) 1989-01-20 1989-01-20
JP535789U JPH02100055U (ko) 1989-01-20 1989-01-20
JP??1-5357 1989-01-20
JP??1-5358 1989-01-20
KR890002248 1989-02-25
KR2019930006980U KR930005877Y1 (ko) 1988-02-25 1993-04-29 꺼짐방지 가스 연소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2248A Division KR890013426A (ko) 1988-02-25 1989-02-25 꺼짐방지 가스 연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427Y1 true KR930008427Y1 (ko) 1993-12-22

Family

ID=275185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6980U KR930005877Y1 (ko) 1988-02-25 1993-04-29 꺼짐방지 가스 연소 장치
KR2019930008299U KR930008427Y1 (ko) 1988-02-25 1993-05-17 꺼짐 방지 가스 연소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6980U KR930005877Y1 (ko) 1988-02-25 1993-04-29 꺼짐방지 가스 연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300058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877Y1 (ko) 199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33070B2 (ja) ダブル・フレイム防風ライター
US4881894A (en) Self-igniting portable torch assembly
KR970003612B1 (ko) 라이터
KR930008427Y1 (ko) 꺼짐 방지 가스 연소 장치
US3843311A (en) Lantern with igniter
GB2216244A (en) Windshielded gas burner
JPH0449484Y2 (ko)
WO1998009114A1 (en) Ignition device for an outdoor stove
JPH06307638A (ja) 圧電着火ガスライターの延長着火装置
JPH0345017Y2 (ko)
CA2488560C (en) Gas lighter having device for preventing flame from being extinguished by wind
JP2744607B2 (ja) ガスライタ−
US7011515B1 (en) Gas lighter having device for preventing flame from being extinguished by wind
JPH0674446A (ja) ガス燃焼装置
KR200193832Y1 (ko) 휴대가스통용 토치
KR200230822Y1 (ko) 가스점화기
JPH0711323Y2 (ja) 耐風ガス燃焼装置
JPH0590156U (ja) 耐風ガス燃焼装置
FI72594B (fi) Likstroemsdriven styranordning foer en gasbraennare.
JP2947319B2 (ja) 石油燃焼器の放電電極取付構造
KR920004035Y1 (ko) 자동점화 가스토치
JPH0622754U (ja) ガスライター
JPH05312325A (ja) 液化ガスを用いた熱加工装置
KR200380477Y1 (ko) 가스레인지용 노즐 버너
KR920001095B1 (ko) 담배 자동 점화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