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671Y1 - 라이터 겸용 점화기 - Google Patents

라이터 겸용 점화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671Y1
KR0120671Y1 KR2019950003742U KR19950003742U KR0120671Y1 KR 0120671 Y1 KR0120671 Y1 KR 0120671Y1 KR 2019950003742 U KR2019950003742 U KR 2019950003742U KR 19950003742 U KR19950003742 U KR 19950003742U KR 0120671 Y1 KR0120671 Y1 KR 01206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turbo
hole
ejection hole
igni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3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059U (ko
Inventor
기창서
Original Assignee
기창서
신명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창서, 신명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창서
Priority to KR2019950003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671Y1/ko
Publication of KR9600320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0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6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671Y1/ko

Links

Landscapes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보(TURBO)와 플레임(FLAME)이 접목된 점화기로써의 기능과 아울러 터보라이타의 기능도 갖춘 라이타 겸용 점화기에 관한 것이다.
외부케이싱(1)의 손잡이(5)는 적어도 사람이 쥐었을때 점화가 이루어지는 분출공과 소정간격 떨어지도록 구성하고, 하나의 연료탱크(9)에서 연결되어진 플랜지관(31)은 그 내부가 2개의 구멍으로 나뉘어져 그 일단은 플레임 분출공(42)과 튜브(44)로써 연결되어지고, 또다른 한편은 터보분출공(51)쪽으로 연결되어져, 외부케이싱(1)의 절개부(2)를 따라 슬라이드 하도록 된 슬라이드판(3)에 의해 압전유니트(19)가 작동 고압전류가 방전되어지면 상기 플레임 분출공(42) 터보분출공(51)에서 분출된 가스연료가 동시에 점화되도록 하여 터보불꽃과 플레임 불꽃이 동시에 발생, 불꽃이 바람등에 쉽게 꺼지지 않음과 동시에 점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터보라이타 기능도 병행할 수 있도록 된 것임.

Description

라이타 겸용 점화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라이타 겸용 점화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라이타 겸용 점화기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라이타 겸용 점화기를 확대 도시한 상태의 결합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라이타 겸용 점화기의 플래지관에 조절나사가 결합되어지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라이타 겸용 점화기의 조절나사를 이용하여 플레임 분출공으로 배출되는 가스 분출량을 조절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a)도는 조절나사를 전진시켜 플레임 분출공으로 배출되어지는 가스분출량을 억제시킨 상태이고,
(b)도는 조절나사를 후퇴시켜 플레임 분출공으로 배출되어지는 가스분출량을 증가시킨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라이타 겸용 점화기
1: 외부케이싱 2: 절개부
3: 슬라이드 판 4: 돌출부
5: 손잡이 6: 버너유니트 상면
7: 연료분출량 조절레버 8: 하부구멍
9: 연료탱크 10: 고정판
11: 압전유니트 결합판 12: 연료분출노즐
13: 스냅링 14: 튜브
15: 만곡홈 16: 돌출핀
17: 금속단자 18: 단자결합구멍
19: 압전유니트 20: 금속기초대
21: 고무판 22: 결합돌기
23: 작동부재 24: 만곡홈
25: 제1가로벽 26: 제2가로벽
27: 요홈 28: 돌기
29: 결합구멍 30: 연결구
31: 플랜지관 32: 삽입구멍
33: O링 34: 조절나사 결합구멍
35: 금속망 36: 다공성필터
37: 조절나사 38: 절개홈
39: 연결구 40: 상부구멍
41: 버너유니트 42: 플레임 분출공
43: 점화노즐 44: 튜브
45: 연결구 46: 가스혼합관
47: 결합링 48: 공기유입구멍
49: 요입부 50: 점화노즐
51: 터보분출공 52: 촉매와이어
53: 절연체통 54: 구멍
55: 방전팀 56: 고압리이드
57: 결함홈 58: 결합링
59: 금속단자 60: 공간부
본 고안은 라이타 겸용 점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보(TURBO)와 플레임(FLAME)이 접목된 점화기로써의 기능과 아울러 터보라이타의 기능도 갖춘 라이타 겸용 점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연료를 연소시켜 점화시키고자 하는 대상에 불꽃을 점화시키도록 하는 종래의 점화기에 있어서, 단순히 가스연료가 분출되는 순간 고압리이드의 방전에 의해 불꽃이 점화되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방출되는 불꽃이 플레임형태, 즉 불꽃과 같은 일반불꽃이므로, 불꽃이 솟아오르는 세기가 비교적 약하여 바람이 불면 불이 붙자마자 불꽃이 꺼져버리는 폐단이 있었으며, 따라서 음식점등과 같은 실내공간에서는 사용되고 있지만 낚시터 등과같이 바람이 부는 실외 장소에서는 불꽃을 붙이기가 까다로워 점화기가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담배에 불을 붙이기 위한 라이타에서는 최근에 라이타 불꽃이 바람에 의해 쉽게 꺼지지 않도록 된 일명 터보 라이타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데, 이는 담배에 불을 붙이기 위한 개념에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버너등과 같은 곳에 불을 붙이는 점화기의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있다.
즉, 가스라이타는 손잡이와 몸체의 구분이 없고 일반적으로 몸체가 한손에 잡힐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가스불꽃이 점화되는 점화노즐이 라이타를 쥔 손에 근접되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가스버너등에 불꽃을 점화시킬때, 이 가스버너에서 미리 유출된 가스가 순간적으로 점화되면서 이 점화된 불꽃이 손등에 접촉되므로,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으며, 또한 점화시키고자 하는 버너노즐이 외부가 아닌 깊숙한곳(예를 들어 버너에 조리용기를 얹혀논 상태)에 위치할때에는 불꽃을 점화시키기가 매우 까다로우며, 이밖에도 터보 불꽃은 잘꺼지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점화시키고자 하는 대상에 점화시키는 효력은 플레임 불꽃보다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가스라이타가 아닌 또다른 수단, 즉 얇고 긴 나뭇가지등을 이용하여 불을 붙이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에서 열거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의 점화기에 있어서는, 바람이 부는 실외에서도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된 것이 고안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람이 부는 실외에서도 점화불꽃이 쉽게 꺼지지않도록 하여, 실내만이 아닌 실외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점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점화기의 기능만이 아닌 터보라이타의 기능도 병행할 수 있도록 된 라이타 겸용 점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라이타 겸용 점화기는, 외부케이싱은 적어도 사람이 쥐었을때 점화가 이루어지는 분출공과 소정간격만큼 떨어지도록 구성하고, 하나의 연료탱크에서 연결되어진 플랜지관은 그 내부가 2개의 가스배출구로 나뉘어져, 그 일단은 플레임 분출공과 튜브로써 연결되어지고, 또다른 한편은 터보분출공 쪽으로 연결되어져, 외부케이싱의 절개부를 따라 슬라이드 하도록 된 슬라이드판에 의해 압전유니트가 작동, 고압전류가 방전되어지면 상기 플레임 분출공과 터보분출공에서 분출된 가스가 동시에 점화되도록 하여 터보 불꽃과 플레임 불꽃이 동시에 발생; 불꽃이 꺼지지 않음과 동시에 점화 효율을 높이도록 한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라이타 겸용 점화기는 상기 플랜지관의 일측벽에 조절나사 결합구멍을 형성시키고, 이 조절나사 결합구멍에는 플래임 분출공으로 배출되어지는 가스의 분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나사를 나사결합시켜 필요에 따라 플레임 불꽃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에 또다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라이타 겸용 점화기의 구조를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라이타 겸용 점화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은 외부 케이싱(1)의 전체적인 형상이 타원형의 긴환봉형태로 되어 있으며, 그 중앙부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상, 하폭을 갖는 절개부(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외부케이싱(1)의 절개부(2)에는 이 절개부(2)보다 상, 하 길이가 짧은 슬라이드판(3)이 결합되어 지는데, 이 슬라이드판(3)의 일측면에는 돌출부(4)가 가로방향으로 돌출 성형된 구조이다.
이 돌출부(4)의 성형위치는 사용자가 외부케이싱(1)의 손잡이(5)를 쥔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이 이 돌출부(4)를 윗쪽으로 간편하게 밀어올릴 수 있는 위치가 바람직하며 또한, 외부케이싱(1)의 윗쪽으로는 버너유니트의 상면(6)이 일부 돌출되고, 아랫쪽으로는 연료 분출량 조절레버(7)가 외부로 노출되어진 구조로 되어있다.
제2도와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라이타 겸용 점화기의 전체분해 사시도와 본 고안의 요부인 점화부의 결합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은 외부케이싱(1)의 하부구멍(8)을 통하여 연료탱크(9), 고정판(10), 압전유니트 결합판(11)이 내장되어지는 구조인데 상기 3개의 부재가 상호 결합되어지는 관계는 다음과 같다.
연료탱크(9)에 있어서는 상부쪽으로 연료분출노즐(12)이 결합되어 있고, 이 연료분출노즐(12)의 상단은 스냅링(13)이 결합되면서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된 튜브(14)가 연결되어져 있다.
상기 연료탱크(9)와 결합되어지는 고정판(10)에 있어서는, 안쪽으로 만곡홈(15)이 구비되어, 이 만곡홈(15)에 연료탱크(9)가 수장되어지며 상기 만곡홈(15)의 소정위치에는 각각 다수개의 돌출면(16), 금속단자(17)를 수용하기 위한 단자결합구멍(18)(25), 지지판(19)이 각각 형성되어져 있는데, 상기 돌출핀(16)은 압전유니트(19)를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압전유니트(19)의 상단에 구비된 금속기초대(20)는 상기 단자 결합구멍(18)에 끼워진 금속단자(17)와 접촉되는 구조이며, 상기 지지판(19)은 금속기초대(20)와 접촉되는 금속단자(17), 이 금속단자(17)를 지지하기 위한 고무판(21) 그리고 압전유니트(19)등이 윗쪽으로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판(10)의 상단은 결합돌기(22)가 양측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압전유니트(19)의 하단은 상, 하로 작동되어지는 작동부재(23)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판(10)의 만곡홈(15)내에 압전유니트(19)와 연결탱크(9)가 각각 결합되어지면 다음은 압전유니트 결합판(11)을 결합시키게 되는데 압전유니트 결합판(11)의 구조에 있어서는 그 일측벽이 상기 고정판(10)과 같은 곡률의 만곡홈(24)으로 구성되며, 이 만곡홈(24)에는 소정의 높이에 각각 제1가로벽(25), 제2가로벽(26)이 돌설될 구조이다.
한편, 제1가로벽(25)의 상단벽은 상기 압전유니트(19)의 작동부재(23) 아래쪽을 지지해줌과 동시에, 제2가로벽(26)은 그 자체에 연료분출노즐(12)을 수용하기 위한 요홈(27)이 형성되어, 이 요홈(27)내에 연료 분출노즐(12)이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판(10)과 연료탱크(9) 그리고 압전유니트 결합판(11)이 상호 결합되어지면, 외부케이싱(1)내에 상기 3개의 각 부재를 삽입시킨다. 한편, 3개의 각 부재가 외부케이싱(1)내에 삽입되어지면, 상기 압전유니트 결합판(11)이 외부케이싱(1)의 절개부(2)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지며 이렇게 외부로 노출된 압전유니트 결합판(11)에는 슬라이드(3)을 결합시키게 되는데 상기 슬라이드판(3)의 내벽에는 다수개의 돌기(28)가 형성되어, 이 돌기(28)가 압전유니트 결합판(11)에 형성된 결합구멍(29)에 결합되어지는 구조이다.
한편, 연료탱크(9)의 상단에 결합된 튜브(14)는 그 선단에 연결구(30)가 결합되어 있고 이 연결구(30)는 플랜지관(31)의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삽입구멍(32)의 아래쪽에서 삽입되어 지는데, 상기 연결구(30)의 선단은 그 외벽둘레를 따라 O링(33)이 권취되어 플랜지관(31)의 삽입구멍(32)의 내벽과 밀봉되면서 삽입되어진다.
플랜지관(31)의 삽입구멍(32)은 그 내벽의 소정위치에 조절나사 결합구멍(34)이 가로방향으로 천공되어지는데, 이 조절나사 결합구멍(34)은 각각 다른직경을 갖는 2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좀더 큰 직경내에 SUS재질의 금속망(35)과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다공성필터(36)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지고, 이 다공성필터(36)는 조절나사(37)의 선단에 접촉되는 구조이다. 한편 이 조절나사(37)의 일측벽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절개홈(38)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나사 결합구멍(34)은 플랜지관(31)의 몸체 바깥쪽 상부에서 결합된 연결구(39)와 연통되어 있으며, 이 연결구(39)는 외부케이싱(1)의 상부구멍(40)에 결합되어지는 버너유니트(41), 즉, 버너유니트(41)의 플레임 분출공(42)에 삽입설치된 점화노즐(43)과 튜브(44)를 매개로하여 상호 연결되어져 있다.
상기 플랜지관(31)에 관통된 삽입구멍(32)의 상부쪽(터보 분출공(51)방향)으로는, 연결구(45)가 결합되어지는데, 이 연결구(45)는 절연체통(53)에 결합된 가스혼합관(46)과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결합링(47)에 의해 나사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스혼합관(46)은 그 일측벽에 다수개의 공기유입구멍(48)이 천공되어지며, 그 상면은 요입부(49)로 구성되며, 이 요입부(49)내에 점화노즐(50)이 결합된 구조이다.
점화노즐(50)의 상면으로는 버너유니트(41)의 터보분출공(51)이 위치하고 이 터보분출공(51)의 가로벽방향으로 촉매와이어(5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체통(53)의 일측벽은 구멍(54)이 천공되어 이 구멍(54)을 통하여 방전팁(55)이 삽입되어지며, 이 방전팁(55)은 상기 고압리이드(56)의 작동부재(23)에서 연결되어 나온 고압리이드(56)와 연결되어져 있다.
또한, 버너유니트(41)의 하부양단은 각각 결합홈(57)이 구비되어, 이 결합홈(57)이 외부케이싱(1)내에 삽입되는 고정판(10)의 상부 결합돌기(22)와 상호 결합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절연체통(53)과 가스혼합관(46)을 결합링(58)으로써 상호 연결시켜주기에 앞서, 가스혼합관(46)에 금속단자(59)가 우선 삽입되어진후 결합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절연체통(53)내에 수장되어진 점화노즐(50)을 그 원주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공간부(60)가 형성되고, 이 점화노즐(50)을 거쳐나온 불꽃은 터보형태로 분출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에 따른 라이타 겸용 점화기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예시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케이싱(1)의 절개부(2)를 따라 상, 하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된 슬라이드판(3)에 의해 불꽃의 점화가 이루어진다.
즉, 외부케이싱(1)의 손잡이(5)를 잡은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슬라이드판(3)을 윗쪽으로 상승시키게 되면 외부케이싱(1)의 절개부(2)를 따라 슬라이드판(3)이 상승되어진다.
한편, 슬라이드판(3)이 상승되면 이와 결합된 압전유니트 결합판(11)도 동시에 외부케이싱(1) 내에서 상승되어지는데, 이때 압전유니트 결합판(11)의 연료분출노즐(12)이 돌려지면서, 연료탱크(9)내에 수장된 가스연류가 튜브(14)를 통하여 플랜지관(31)의 삽입구멍(32)내에 유입되어진다.
한편, 플랜지관(31)에 유입된 가스연료는 양쪽으로 나뉘게 되는데, 그 일부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임 분출공(42)쪽으로 향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플랜지관(31)내에 유입된 가스연료의 일부가 플레임 분출공(42)과 연통된 조절나사 결합구멍(34)쪽으로 유입되어, 금속망(35)과 신축가능한 소재로 된 다공성필터(36)를 거쳐, 조절나사(37)의 절개홈(38)을 통과하게 된다.
이렇게 조절나사(37)의 절개홈(38)을 통과한 가스연료는 연결구(39)와 튜브(44)를 거쳐 플레임 분출공(42)내에 삽입설치된 점화노즐(43)밖으로 분출되어 진다.
한편, 상기 플레임 분출공(42)쪽으로 유입되지 않은 나머지 가스연료는, 플랜지관(31)의 삽입구멍(32) 방향을 따라 윗쪽으로 상승되어 터보분출공(51)과 연통된 연결구(45)안으로 유입되어지고, 이 연결구(45)를 통과한 가스연료는 가스혼합관(46)내에 유입되어 진다.
이 가스혼합관(46)내에 유입된 가스연료는 가스혼합관(46)의 일측에 천공된 공기유입구멍(48)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어지고, 이렇게 공기와 혼합된 가스연료는 점화노즐(50)의 공간부(60)를 거쳐 와류되면서 터보 분출공(51)으로 강력하게 배출되어 진다.
이와 동시에 절연체통(53)에 삽입된 방전팀(55)이 순간적으로 고압의 전류를 방전시켜 불꽃의 점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터보 분출공(51)에서 터보불꽃이 점화되어짐과 동시에 상기 플레임 분출공(42)도 동시에 점화가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라이타 겸용 점화기는 슬라이드판(3)의 상승 동작에 의해 압전유니트(19)가 작동하고, 동시에 플랜지관(31)에서 나뉘어진 가스연료가 버너유니트(41)의 플레임 분출공(42)과 터보분출공(51)쪽으로 각각 분출되어져 나와 동시에 플레임 불꽃과 터보불꽃이 점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실내가 아닌 야외에서 버너등에 불꽃을 붙일때에도 바람에 의해 불꽃이 꺼질염려가 전혀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라이타 겸용 점화기는 예시도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조절나사(37)를 조절하여 플레임 분출공(42)으로 배출되어지는 가스연료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가 있는데 이는 조절나사(37)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조절나사 결합구멍(34)의 나사홈을 따라 조절나사(37)가 앞으로 전진하게 되고, 따라서 조절나사(37)의 선단이 다공성필터(36)를 압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다공성 필터(36)가 압착됨에 따라 이 다공성필터(36)의 조직이 조밀하게 되어 가스연료가 통과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조절나사(37)를 조여주거나 풀어줌으로 해서 플레임 분출공(42)으로의 가스배출량을 차단 또는 증가시킬수 있도록 하여 두개의 불꽃을 동시에 사용(야외에서 불을 붙일때)할수도 있고 하나의 불꽃(라이타의 용도에 할때 터보불꽃만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인 것이다.
이 밖에도 본 고안에 따른 라이타 겸용 점화기는 외부케이싱(1)이 상, 하방향으로 길게 구성되어 있어 버너등에 점화시킬때, 미리유출된 가스연료가 순간적으로 점화되더라도 화상등을 당할 우려가 없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슬라이드판(3)과 같은 점화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연료탱크(9)의 가스연료가 점화노즐로 배출되어지고, 동시에 압전유니트(19)가 고압의 전류를 방지시켜 불꽃이 점화되도록 된 점화기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9)의 상단은 튜브(14)를 통하여 플랜지관(31)이 연결되어지고, 이 플랜지관(31)의 내부는 플래임 분출공(42)과 연결되어지는 조절나사 결합구멍(34)과 터보분출공(51)으로 연결되어지는 삽입구멍(32)을 각각 형성시키되, 상기 조절나사 결합구멍(34)내에는 금속판(35), 다공성필터(36) 그리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절개홈(38)이 형성된 조절나사(37)를 결합시켜, 이 조절나사(37)에 의해 플레임 분출공(42)으로의 나사 가스연료 분출량이 조절되어 터보와 플레임 불꽃을 동시에 또는 터보불꽃만을 선택적으로 점화시킬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기.
KR2019950003742U 1995-03-04 1995-03-04 라이터 겸용 점화기 KR01206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3742U KR0120671Y1 (ko) 1995-03-04 1995-03-04 라이터 겸용 점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3742U KR0120671Y1 (ko) 1995-03-04 1995-03-04 라이터 겸용 점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059U KR960032059U (ko) 1996-10-24
KR0120671Y1 true KR0120671Y1 (ko) 1998-08-01

Family

ID=19408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3742U KR0120671Y1 (ko) 1995-03-04 1995-03-04 라이터 겸용 점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6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136A (ko) * 2001-09-17 2003-03-26 김경헌 치아치료용 플러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136A (ko) * 2001-09-17 2003-03-26 김경헌 치아치료용 플러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059U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1592A (en) Handy gas torch
JP2633070B2 (ja) ダブル・フレイム防風ライター
KR970003612B1 (ko) 라이터
US4920952A (en) Heat processing apparatus using liquified gas
US6699033B2 (en) Piezoelectric lighter for cigar, pipe, and cigarette
US20030022119A1 (en) Multi-flame lighter
EP0259743A1 (en) Rod-shaped gas igniter
KR0120671Y1 (ko) 라이터 겸용 점화기
US6439879B1 (en) Safety gas burner
US5902100A (en) Gas lantern with ignition system
US20040202978A1 (en) Lighter nozzle system for producing stylish torch
US6929466B1 (en) Elevated candle lighter
US5550420A (en) Electronic ignition apparatus
US20020123017A1 (en) Piezoelectric lighter for cigar, pipe, and cigarette
US5062791A (en) Gas blowtorch
US20020064744A1 (en) Gas igniter with flexible extension
WO1998009114A1 (en) Ignition device for an outdoor stove
US6213760B1 (en) Burner for portable gas cooking stove
KR100300907B1 (ko) 고효율 가스버너
KR200249581Y1 (ko) 토치용 화구
JP2000205565A (ja) 携帯用ガスコンロのイグナイタ―支持構造
JPH10238773A (ja) シガレットライターのバーナーノズル
KR920004035Y1 (ko) 자동점화 가스토치
US20040209213A1 (en) Piezoelectric lighter for synchronous flat and torch flames
CA2488560C (en) Gas lighter having device for preventing flame from being extinguished by wi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