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421B1 - 동기회로 - Google Patents

동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421B1
KR930008421B1 KR1019910001049A KR910001049A KR930008421B1 KR 930008421 B1 KR930008421 B1 KR 930008421B1 KR 1019910001049 A KR1019910001049 A KR 1019910001049A KR 910001049 A KR910001049 A KR 910001049A KR 930008421 B1 KR930008421 B1 KR 930008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signal
primary
input
signals
reference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1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717A (ko
Inventor
윤성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1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421B1/ko
Publication of KR920015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기회로
제 1 도는 본 발명의 동기회로를 보인 블록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동기회로의 실시예를 보인 상세회로도.
제 3 도의 (a)-(f)는 제 2 도의 각부의 동작 파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2차 펄스신호 발생부 2 : 기준 펄스신호 발생부
3 : 동기 제어부 31, 32 : 플립플롭
IV1-IV4: 인버터 EOR :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
PS1, PS2: 1차 및 2 차 펄스신호 PS11, PS12: 펄스신호
REF : 기준 펄스신호
본 발명은 하나의 펄스신호와 그 하나의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또 하나의 펄스신호를 상호간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동기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을 비롯한 각종 제어회로들은 입력되는 하나의 펄스신호 즉, 클럭신호에 동기되어 제어부가 동작 및 각 부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각각의 제어부들은 상호간의 동작속도가 상이하다. 그러므로 입력되는 하나의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주기가 다른 여러가지의 펄스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발생시킨 펄스신호를 필요로 하는 각각의 제어부에 공급하여 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하나의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주기가 다른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는 주로 분주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종래에는 분주기에서 소정의 분주값으로 분주되어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각 제어부에 직접 공급하여 동작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펄스신호가 분주기에서 분주되면서 분주기의 특성상 일정시간씩 지연되고, 이로 인하여 각 제어부에서 공급되는 펄스신호가 상호간에 정확히 동기되지 않으므로 제어부의 제어동작이 느리게 됨은 물론 오동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펄스신호와, 그 하나의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또 하나의 펄스시호를 동기시켜 출력하는 동기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논리회로는, 입력되는 하나의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그 하나의 펄스신호보다 높은 주파수의 기준 펄스신호를 발생시킨다. 발생시킨 펄스신호로는 입력되는 하나의 펄스신호와 그 펄스신호로 발생시킨 또하나의 펄스신호의 출력을 제어하여 두 펄스신호를 동기시킨다.
기준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는, 입력되는 하나의 펄스신호를 지연시키고, 그 지연시킨 펄스신호와 입력되는 하나의 펄스신호를 배타적으로 조합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기회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동기회로를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1차 펄스신호(PS1)를 이용하여 2차 펄스신호(PS2)를 발생하는 2차 펄스신호 발생부(1)와, 입력되는 1차 펄스신호(PS1)를 이용하여 그 1차 펄스신호(PS1)보다 높은 주파수의 기준 펄스신호(REF)를 발생하는 기준 펄스신호 발생부(2)와, 상기 기준 펄스신호(REF)에 따라 상기 1차 및 2차 펄스신호(PS1)(PS2)의 출력을 제어하여 상호 동기된 펄스신호(PS11) (PS21)를 출력하는 동기 제어부(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기회로는, 1차 펄스신호(PS1)가 입력되면, 입력된 1차 펄스신호(PS1)는 동기 제어부(3)로 입력됨과 아울러 2차 펄스신호 발생부(1)로 입력되므로 2차 펄스신호 발생부(1)는 그 1차 펄스신호(PS1)에 따라 2차 펄스신호(PS2)를 발생하여 출력하고, 출력한 2차 펄스신호(PS2)는 동기 제어부(3)로 입력된다.
그리고, 1차 펄스신호(PS1)는 기준 펄스신호 발생부(2)로 입력되므로 기준 펄스신호 발생부(2)는 1차 펄스신호(PS1)를 이용하여 그 1차 펄스신호(PS1)보다 높은 주파수 즉, 예를들면 2배의 주파수를 갖는 기준 펄스신호(REF)를 출력하고, 출력한 기준 펄스신호(REF)는 동기 제어부(3)로 입력된다.
그러면 동기 제어부(3)는 입력되는 기준 펄스신호(REF)를 기준으로 하여 두 펄스신호(PS1)(PS2)를 동기시키고, 동기된 펄스신호(PS11) (PS21)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제 2 도는 본 발명의 동기호로의 실시예를 보인 상세도이다.
여기서, 분주기(1)는, 플립플롭(11, 12)을 직렬로 접속하여 플립플롭(11)의 클럭단자(CK11)에는 1차 펄스신호(PS1)가 인가되게 하고, 플립플롭 (11,12)의 입력단자(T11,T12)에는 전원(B
Figure kpo00001
)이 인가되게 하며, 플립플롭(12)의 출력단자(Q12)에서 4분주된 2차 펄스신호(PS2)가 출력되게 구성하였다.
기준 펄스신호 발생부(2)는, 다수의 인버터(IV1-IV4)를 직렬로 접속하여 1차 펄스신호(PS1)를 지연시키는 지연부를 구성하고, 그 지연부의 출력신호와 1차 펄스신호(PS1)를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EOR)가 배타적으로 논리합하여 기준 펄스신호(REF)를 출력하게 구성하였다.
동기 제어부(3)는, D형 플립플롭(31)(32)의 입력단자(D31)(D32)에 1차 및 2차 펄스신호(PS1)(PS2)가 각기 입력되게 하고, 클럭단자(CK31)(CK32)에는 기준 펄스신호(REF)가 입력되게 하여 플립플롭(31)(32)의 출력단자(Q31)(Q32)에서 동기된 펄스신호(PS11) (PS21)가 각기 출력되게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기회로의 실시예는 동작전원(B
Figure kpo00002
)이 인가된 상태에서 제 3 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펄스신호(PS1)가 입력되면, 입력된 1차 펄스신호(PS1)는 동기 제어부(3)의 플립플롭(31)의 입력단자(D31)에 인가됨과 아울러 2차 펄스신호 발생부(1)로 입력되므로 1차 펄스신호(PS1)는 2차 펄스신호 발생부(1)의 플립플롭(11)(12)을 통해 제 3 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주되면서 일정시간(t1) 지연되어 출력되고, 2차 펄스신호 발생부(1)에서 출력되는 2차 펄스신호 (PS2)는 플립플롭(32)의 입력단자 (D32)에 입력된다.
또한, 입력되는 1차 펄스신호 (PS1)는 기준신호 발생부(2)의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EOR)로 입력됨과 아울러 인버터(IV1-IV4)로 된 지연부를 통해 제 3 도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시간(t2) 지연되어 익스클루시브 아오게이트(EOR)로 입력되므로 익스클루시브 아오게이트(EOR)는 제 3 도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펄스신호(PS1)의 주파수의 2배 주파수를 갖는 기준 펄스신호(REF)를 출력하고, 출력한 기준 펄스신호(REF)는 플립플롭(31)(32)의 클럭단자(CK31)(CK32)에 클럭신호를 인가된다.
그러므로, 플립플롭(31)(32)은 기준 펄스신호(REF)에 따라 동작되면서 1차 및 2차 펄스신호(PS1)(PS2)의 출력을 제어하여 출력단자(Q31)(Q32)로 제 3 도의 (e) 및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동기되는 펄스신호(PS11) (PS21)를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1차 펄스신호와 그 1차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2차 펄스신호를 상호 동기시켜 출력하므로 펄스신호가 공급되는 각 제어부들의 동작이 동기되어 제어속도가 빠르게 되고, 오동작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입력되는 1차 펄스신호(PS1)에 따라 분주된 2차 펄스신호(PS2)를 발생하는 2차 펄스신호 발생부(1)와, 상기 1차 펄스신호(PS1)를 입력하여 이 신호보다 2배 높은 기준 펄스신호(REF)를 발생하는 기준 펄스신호 발생부(2)와, 상기 기준 펄스신호(REF)와 상기 1차 및 2차 펄스신호(PS1)(PS2)를 받아 상기 기준 펄스신호에 동기하여 상호 동기된 제1 및 제 2 펄스신호(PS11) (PS12)를 출력하는 동기 제어부(3)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2차 펄스신호 발생부(1)는 입력신호를 4분주시키기 위한 분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펄스신호 발생부(2)는, 1차 펄스신호(PS1)를 지연시키는 지연부(IV1내지 IV4)와, 상기 지연부의 출력신호와 1차 펄스신호(PS1)를 배타적 논리합하여 기준 펄스신호(REF)를 출력하는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EOR)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제어부(3)는, 상기 기준 펄스신호(REF)를 각각의 클럭신호로 하고, 상기 1차 및 2차 펄스신호(PS1)(PS2)를 각각의 입력신호로 하여 상기 클록신호에 서로 동기된 펄스신호(PS11)(PS12)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D형 플립플롭(31)(32)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회로.
KR1019910001049A 1991-01-22 1991-01-22 동기회로 KR930008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1049A KR930008421B1 (ko) 1991-01-22 1991-01-22 동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1049A KR930008421B1 (ko) 1991-01-22 1991-01-22 동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717A KR920015717A (ko) 1992-08-27
KR930008421B1 true KR930008421B1 (ko) 1993-08-31

Family

ID=19310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1049A KR930008421B1 (ko) 1991-01-22 1991-01-22 동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4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29520B (en) * 1996-05-16 1998-04-11 Texas Instruments Inc Integrated circuit with speed de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717A (ko) 199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5524A (en) Glitch free clock select
US5345109A (en) Programmable clock circuit
KR970028922A (ko) 퍼스컴을 사용한 수치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00007189A (ko) 논리 집적회로
US5006979A (en) Phase synchronization system
KR100230120B1 (ko)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JP2015148889A (ja) クロック生成方法およびクロック生成回路
US51174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t fractional speeds in synchronous systems
KR970031357A (ko) 소수배 시스템에 있어서 클록 동기 체계(clock synchronization scheme for fractional multiplication systems)
US63237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clock signal without producing a glitch
JPH10222243A (ja) データ転送の間にサブシステム・クロックに一時的に同期される自由走行クロックを有するプロセッサを含むシステム
US665386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mooth transition between two clock signals
KR930008421B1 (ko) 동기회로
US4654599A (en) Four phase clock signal generator
US4977581A (en) Multiple frequency clock system
KR100212063B1 (ko) 클럭 스위칭동안 셀 데이터 손실 방지를 위한장치 및 방법
JPS63232615A (ja) クロツク切替回路
EP0461291A1 (en) Clock generation in a multi-chip computersystem
KR100328757B1 (ko) 전송시스템의 클럭신호 전환에 의한 오류방지 장치
KR100282486B1 (ko) 반도체 장치의 클럭 발생 회로
JPH0282812A (ja) クロック切換方式
KR960012943A (ko) 동기 회로
KR200212806Y1 (ko) 주파수 10 분주회로
JPH03227111A (ja) ドライバ出力回路
JPH04251312A (ja) クロツク供給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