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408Y1 - 승강식 약재 절단기 - Google Patents

승강식 약재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408Y1
KR930008408Y1 KR2019910002102U KR910002102U KR930008408Y1 KR 930008408 Y1 KR930008408 Y1 KR 930008408Y1 KR 2019910002102 U KR2019910002102 U KR 2019910002102U KR 910002102 U KR910002102 U KR 910002102U KR 930008408 Y1 KR930008408 Y1 KR 9300084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edicine
shaft
cutting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2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6396U (ko
Inventor
윤병현
Original Assignee
윤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현 filed Critical 윤병현
Priority to KR2019910002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408Y1/ko
Publication of KR9200163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63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4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41Feed means of conveyor bel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승강식 약재 절단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약재 절단기의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측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약재 절단기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도면.
제 4 도는 본 고안에 관련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전동시키기 위한 기어군의 사시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기어군 회전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6 도는 본 고안의 관련하는 회전축과 레버의 분해 사시도.
제 7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약재 절단기의 절단부 정면도.
제 8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 조절부 측면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정면도.
제 10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승강 절단날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3 : 약재 공급부
4 : 절단부 5, 6 : 롤러
7, 8 : 축 10 : 컨베이어 벨트
12 : 제 1 기어 13 : 제 2 기어
14 : 제 3 기어 15 : 제 1 소기어
16 : 제 4 기어 17 : 제 2 소기어
18 : 제 5 기어 19 : 제 6 기어
20 : 제 3 소기어 21 : 제 7 기어
22 : 회전축 24 : 회전판
27 : 링부재 28 : 링크
29 : 요동부재 30 : 힌지축
31 : 절단날 32 : 레버
33 : 볼 베어링 37 : 고정 절단날
본 고안은 승강식 약재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약재의 공급을 자동으로 행함과 아울러 절단면이 직각으로 되어 깨끗이 절단할 수 있도록 한 승강식 약재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한약재를 절단하는 절단기들이 다수 제안되어 있는데 지금까지 제안된 절단기들은 약재의 자동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를 갖고 있거나 자동공급 수단을 갖고 있는 절단기의 경우에는 절단날과 이송부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이 각각 별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전력을 소모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절단기는 절단날이 약재와 직교상태를 이루며, 회전 또는 승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섬유질이 많은 약재의 절단을 효과적으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약재의 절단을 깨끗이 할 수 없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절단기로서는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고번호 제 91-2 호에서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 방안은 약재를 절단하는 기능에는 별다른 문제점이 없지만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고장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고 또 절단된 약재들이 아래측으로 떨어지게 되면 이곳의 기구적이 부품들과 간섭을 일으켜 원활한 작동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약재의 절단을 깨끗이 함과 아울러 절단날의 상태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승강식 약재 절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편심설치된 회전판 및 회전판의 외주에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링부재와, 이 링부재의 외주에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요동하는 요동부재에 의해 원운동을 하면서 상하로 이동하는 절단날을 포함하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날이 원운동하는 궤적에 근접하여 프레임에 설치되는 1쌍의 고정 절단날과, 프레임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와, 이들 롤러의 축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호 치차결합됨에 의해 상측에 위치하는 롤러들과 하측에 위치하는 롤러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측에 위치한 롤러에 감겨진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전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어들을 포함하는 약재 공급부와, 상기한 회전축의 일측단에 편심설치되어 회전축이 회전구동시 상기한 기어들중 어느 하나의 기어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레버에 의해 단일동력으로 약재 절단과 약재 공급을 동시에 행하는 승강식 약재 절단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약재 절단기의 평면도이고, 제 2 도는 측면도, 제 3 도는 측단면도로서 부호(1)은 프레임을 지칭한다.
프레임(1)은 한쌍이 나란히 배치되어 양 끝단에 배치되는 스페이서(2)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한 프레임(1)의 전방에는 약재 공급부(3)가 형성되고 있으며, 후방에는 절단부(4)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한 약재 공급부(3)는 상측에 다수개의 롤러(5)를 보유하고 있으며, 하측에 이와 대향하는 다수개의 롤러(6)를 보유하고 있다.
이들 롤러(5, 6)는 프레임(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7)(8)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축(7, 8)은 프레임(1)을 관통하고 있다.
이들 아래측 롤러중에서 좌측롤러는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에 설치된 텐션롤러(9)와 컨베이어 벨트(10)로 감겨져 벨트 전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축(7, 8)의 일측단에는 각각 기어가 설치되어 있는데,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군들은 서로 치차결합되어 동력전달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이들 기어군은 제 1 기어(12)가 제 2 기어(13) 및 제 3 기어(14)와 치차결합되고 있으며, 상기한 제 2 기어(13)와 축(8)에 함께 설치되어 회전하는 제 1 소기어(15)는 축(7)에 설치된 제 4 기어(16)와 치차결합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제 3 기어(14)는 축(8)에 함께 설치된 제 2 소기어(17)을 통하여 제 5 기어(18)로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제 3 기어(14)는 직접 제 6 기어(19)와 치차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제 6 기어(19)와 축(7)에 함께 설치되어 있는 제 3 소기어(20)는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축(8)에 설치된 제 7 기어(21)와 치차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 2 기어(13)와 제 3 기어(14) 사이에는 기어가 설치되고 있지 않은데, 그것은 제 1 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반대측에 기어(12a)(12b)가 상하로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절단부(4)는 별도의 구동모터(도시생략)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회전축(22)의 일측단에 풀리(23)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회전축(22)에는 회전판(24)이 편심설치되어 회전축(22)이 회전시 장경부(25)와 단경부(26)에 의해 캠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판(24)의 외주에는 링부재(27)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회전판(24)만 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판(24)이 캠 운동을 하게되면 링부재(27)는 회전판(24)의 장경부(25)와 단경부(26)의 직경차이만큼 상하로 변위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상하 변위를 일으키는 링부재(27)에는 링크(28)의 일단이 연결되어 함께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 링크(28)의 아래측단에는 요동부재(29)가 연결되어 있다.
이 요동부재(29)의 일측단은 프레임(1)에 가로질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30)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단에는 절단날(31)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축(22)은 프레임(1)을 관통하고 있는데, 이 관통부위에 레버(32)가 볼 베어링(33)이나 유니버셜 조인트로 결합되고 있다.
즉,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22)의 일측단에 볼 베어링(33)을 결합하기 위하여 홈(34)을 형성하고 이 홈(34)내로 볼 베어링(33)과 일체로 형성된 쐐기(35)를 삽입하여 볼트등으로 적당히 고정토록 하고 있으며, 이 볼 베어링(33)에 레버(32)를 끼워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홈(34)에 고정되는 쐐기(35)는 회전축(22)의 중심에서 편심되어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것은 레버(32)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변위를 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레버(32)의 타측단부는 상기한 기어군의 제 1 기어(12) 외측으로 연결되는데, 제 1 기어(12)가 설치되는 축(7)에는 라체트 레버(36)가 고정되어 상기한 레버(32)의 일측단부와 연결되고 있다.
이 레버(36)는 상기한 레버(32)의 길이방향 변위를 축(7)에 고정된 제 1 기어(12)로 절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도 및 제 2 도에서 레버(32)가 우측으로 이동시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좌측으로 이동시에는 제 1 기어(12)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축(7)과 제 1 기어(12) 사이에는 라체트 휘일(도시생략)이 설치된다.
이 라체트 휘일은 일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통상의 구조를 갖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데, 실질적으로 자전차의 후륜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전달하고, 후방으로는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그러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라체트 수단은 당분야에서 관용화된 기술이므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 라체트 수단의 실질적인 구조가 본 고안의 주요 기술이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약재 공급부(3)와 절단부(4) 사이에는 약재가 통과하는 개구를 이루면서 상기한 절단날(31)과 약재를 절달하는 고정 절단날(37)이 위치되어 있다.
이 고정 절단날(37)은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일정한 거리를 띄우고 프레임(1)에 고정설치되어 절단날(31)과 함께 약재를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1 쌍의 고정 절단날(37) 사이에는 출구(38)가 형성되어 상기한 컨베이어 벨트(10)를 타고 이송되는 약재가 진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컨베이어 벨트(10)는 사용중에 길이가 신장되면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텐션롤러(9)가 설치된 브라켓트(39)가 나사봉(40)에 나사결합되어 이 나사봉(4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컨베이어 벨트(1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제 9 도 참조)
도면중 미설명 부호 41은 절단된 약재가 담겨지는 저장용기를 지칭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약재 절단기는, 먼저 절단코자 하는 약재를 컨베이어 벨트(10)에 올려 놓은 다음, 모터를 구동시키게 되면 이 모터의 회전동력이 회전축(22)의 일단에 부착된 풀리(23)로 전달되어 회전축(22)을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축(22)이 회전을 하게 되면 이 축(22)에 편심설치되어 있는 회전판(24)이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때 이 회전판(24)의 회전중심은 회전축(22)이 되므로, 이 회전판(24)의 장경부(25)와 단경부(26)에 의해 이 회전판(24)의 외주에 끼워진 링부재(27)는 회전판(24)의 회전을 안내하면서 상하로만 이동을 하게 된다.
즉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a)의 상태에서 회전축(22)이 회전작동으로 회전판(24)이 회전을 하게되면 b)의 상태로 되면서 링부재(27)가 아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이 링부재(27)에는 링크(28)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28)도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 링크(28)의 아래측에 연결된 요동부재(29)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요동부재(29)는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태가 되므로 요동부재(29)의 선단부에 설치된 절단날(31)이 아래측으로 이동하면서 프레임(1)에 설치된 고정 절단날(37)의 전방으로 지나가게 된다.
그리고 회전축(22)이 더욱 회전하게 되면 회전판(24)의 장경부(25)와 단경부(26)의 위치가 바뀌면서 제 10a 도의 상태로 돌아가게 되므로 절단날(31)은 다시 상승하게 된다.
이때 회전축(22)의 일측단에 중심이 어긋난 상태로 고정된 볼 베어링(33)은 회전축(22)이 회전할 때 편심회전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 볼 베어링(33)에 레버(32)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레버(32)는 볼 베어링(33)의 편심량 만큼 레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 레버(32)의 타측단이 라체트 레버(36)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라체트 레버(36)를 밀거나 당기게 되는데, 이 라체트 레버(36)는 제 1 기어(12)가 설치된 축(7)과의 사이에 일방향으로만 동력전달할 수 있는 라체트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32)가 후방으로 이동할때만 라체트 레버(36)는 축(7)을 돌려 제 1 기어(12)에 회전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으로 제 1 기어(12)가 회전하는데,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기어(12)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 기어와 치차결합되어 있는 제 2 기어(13)와 제 3 기어(14)는 제 1 기어(12)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 2 기어(13)가 회전함에 의해 축(8)에 함께 설치된 제 1 소기어(15)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4 기어(16)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이 제 4 기어(16)는 제 1 기어(12)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 1 기어(12)에 의해 회전하는 제 3 기어(14)는 축(8)에 함께 설치된 제 2 소기어(17)를 통하여 제 5 기어(18)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므로 제 1 기어(12)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또 제 3 기어(14)는 직접 제 6 기어(19)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축(7)에 설치된 모든 기어들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 3 기어(1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은 제 6 기어(19)는 축에 함께 설치된 제 3 소기어(20)를 통하여 제 7 기어(21)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므로 축(8)에 설치된 제 2 기어(13)와 제 3 기어(14), 그리고 제 7 기어(21)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즉 축(7)에 설치된 기어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축(8)에 설치된 기어들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축(8)에 설치된 롤러(6)들과 축(7)에 설치된 롤러(5)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 5 도에서 화살표 A방향으로 약재가 공급된다면 이 약재는 롤러(6)에 감겨진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반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10)의 벨트 전동은 간헐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그것은 라체트 레버(36)가 후방으로 이동할때만 제 1 기어(12)에 동력을 전달하고 전방으로 이동할 때는 슬립되어 동력을 전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10)의 전동은 이곳에 실려진 약재를 절단코자하는 길이만큼 이동시키는 결과가 되는데, 이때 이동되는 약재는 1쌍의 고정 절단날(37) 사이로 들어가게 되므로 상기한 1쌍의 절단날(31)의 상하운동에 의해 절단이 된다.
이곳에서 절단된 약재는 아래측으로 떨어져 저장용기(41)에 담기게 된다.
이러한 작동이 연속반복되면서 컨베이어 벨트(10)는 일정한 거리로 이동하고 동시에 절단날(31)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약재를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약재 절단기는 볼 베어링(33)의 쐐기(35)를 회전축(22)의 홈(34)에서 어느 위치에 고정시키냐에 따라 편심량이 다르게 되므로 레버(32)의 전후변위량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것은 결국 컨베이어 벨트(10)의 전동량에 관계하게 되므로 약재의 이송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절단날은 원운동을 하면서 고정 절단날과의 사이에서 약재를 절단하는 것이므로 약재와 접촉하는 절단날은 초기 절단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되어 어떠한 성분의 약재라도 깨끗이 절단할 수 있으며, 또 이러한 절단방식은 절단날의 마모가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약재절단기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단일동력으로 약재를 절단하고 절단할 약재를 이송시킬 수 있어 동력소모를 종래의 것에 비하여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1)

  1.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2)과, 이 회전축(22)에 편심설치된 회전판(24) 및 회전판(24)의 외주에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링부재(27)와, 이 링부재(27)의 외주에 링크(28)에 의해 연결되어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상하로 요동하는 요동부재(29)에 의해 원운동을 하면서 상하로 이동하는 절단날(31)을 포함하는 절단부(4)와, 상기한 절단날(31)의 원운동하는 궤적에 근접하여 프레임(1)에 설치되는 1쌍의 고정 절단날(37)과, 프레임(1)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5)(6)와, 이들 롤러(5)(6)의 축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호 치차결합됨에 의해 상측에 위치하는 롤러(5)들과 하측에 위치하는 롤러(6)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측에 위치한 롤러(6)에 감겨진 컨베이어 벨트(10)의 벨트전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어들을 포함하는 약재 공급부(3)와, 상기 회전축(22)의 일측단에 편심설치되어 회전축(22)이 회전구동시 상기한 기어들중 어느 하나의 기어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레버(32)에 의해 단일동력으로 약재 절단과 약재 공급을 동시에 행하는 승강식 약재 절단기.
KR2019910002102U 1991-02-12 1991-02-12 승강식 약재 절단기 KR9300084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2102U KR930008408Y1 (ko) 1991-02-12 1991-02-12 승강식 약재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2102U KR930008408Y1 (ko) 1991-02-12 1991-02-12 승강식 약재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396U KR920016396U (ko) 1992-09-16
KR930008408Y1 true KR930008408Y1 (ko) 1993-12-22

Family

ID=1931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2102U KR930008408Y1 (ko) 1991-02-12 1991-02-12 승강식 약재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4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396U (ko) 199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2362A (en) Apparatus for coal mining in-cutting and out-cutting
KR930008408Y1 (ko) 승강식 약재 절단기
EP1167245B1 (en) Device for changing the conveyance direction of a conveying roller
KR930008407Y1 (ko) 회전식 약재 절단기
US6644154B2 (en) Apparatus for transverse cutting
GB2091702A (en) Angular-linear sheet transportation
KR930008409Y1 (ko) 승강식 약재 절단기
KR102410434B1 (ko) 냉동육 절단기
US20040108398A1 (en) Drum shredder
CN211020831U (zh) 用于棒糖机的糖杆防卡输送机构
KR0140392Y1 (ko) 육절기의 고기이송콘베이어 구동장치
SU90325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ачи предметов
JPH0715750Y2 (ja) 可変裁ち代装置
US5890709A (en) Document picker apparatus
KR200306782Y1 (ko) 낚시미끼용 오징어 세절기
JP3039905U (ja) 濡れナプキン取出し装置
KR940008165B1 (ko) 재봉틀의 봉재물 이송장치
JPH071275Y2 (ja) 食品スライサの給送装置の連動機構
KR880001716Y1 (ko) 포대 절단기
KR930007470Y1 (ko) 오징어 절취장치
KR200179595Y1 (ko) 톱밥 제조장치
JP3887470B2 (ja) 播種箱用土均平機
KR890000876Y1 (ko) 포대 인쇄기
JPS581451Y2 (ja) 自動充填機における袋供給送り装置
JPH052136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