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409Y1 - 승강식 약재 절단기 - Google Patents

승강식 약재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409Y1
KR930008409Y1 KR2019910003874U KR910003874U KR930008409Y1 KR 930008409 Y1 KR930008409 Y1 KR 930008409Y1 KR 2019910003874 U KR2019910003874 U KR 2019910003874U KR 910003874 U KR910003874 U KR 910003874U KR 930008409 Y1 KR930008409 Y1 KR 930008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gear
shaft
rollers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3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773U (ko
Inventor
윤병현
Original Assignee
윤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현 filed Critical 윤병현
Priority to KR20199100038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409Y1/ko
Publication of KR9200177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7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4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eciproc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57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movable axis
    • B26D1/1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movable axis mounted on a movable carr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승강식 약재 절단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약재 절단기의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측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약재 절단기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도면.
제 4 도는 본 고안에 관련하는 회전축과 회전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관련하는 절단날의 승강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6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절단부의 절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3 : 약재 공급부
4 : 절단부 5, 6 : 롤러
7, 8 : 축 9 : 제 1 기어
10 : 제 2 기어 11 : 제 3 기어
12 : 제 4 기어 13 : 제 5 기어
14 : 제 6 기어 15 : 제 7 기어
16 : 제 8 기어 17 : 소기어
19 : 회전축 23 : 회전판
24 : 링부재 25 : 링크
26 : 요동부재 27 : 절단날
32 : 볼 베어링 33 : 레버
본 고안은 승강식 약재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약재의 공급을 자동으로 행함과 아울러 절단면이 직각으로 되어 깨끗이 절단할 수 있도록 한 승강식 약재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한약재를 절단하는 절단기들이 다수 제안되어 있는데 지금까지 제안된 절단기들은 약재의 자동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를 갖고 있거나 자동공급 수단을 갖고 있는 절단기의 경우에는 절단날과 이송부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이 각각 별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전력을 소모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절단기는 절단날이 약재와 직교상태를 이루며, 회전 또는 승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섬유질이 많은 약재의 절단을 효과적으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약재의 절단을 깨끗이 할 수 없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절단기로서는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고번호 제 91-2 호에서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 방안은 약재를 절단하는 기능에는 별다른 문제점이 없지만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고장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고 또 절단된 약재들이 아래측으로 떨어지게 되면 이곳의 기구적이 부품들과 간섭을 일으켜 원활한 작동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약재의 절단을 깨끗이 함과 아울러 절단날의 상태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승강식 약재 절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편심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 및 이 회전판의 외주에 슬립 가능하게 끼워지는 링부재와, 이 링부재와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프레임에 일측단이 힌지결합됨과 아울러 타측단에 절단날이 부착된 요동부재와, 프레임에 상하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롤러 및 이들 롤러가 끼워진 축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상호 치차결합되는 기어군을 포함하며, 상기한 기어군의 어느 하나의 기어와 상기한 회전축에 편심설치된 볼 베어링을 연결하는 레버에 의해 모터의 구동력이 절단날을 승강시킴과 동시에 롤러들을 회전시키는 승강식 약재 절단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롤러들의 외주에는 약재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널링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약재 절단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약재 절단기의 평면도이고, 제 2 도는 측면도, 제 3 도는 측단면도로서 부호(1)은 프레임을 지칭한다.
프레임(1)은 한쌍이 나란히 배치되어 양 끝단에 배치되는 스페이서(2)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한 프레임(1)의 전방에는 약재 공급부(3)가 형성되고 있으며, 후방에는 절단부(4)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한 약재 공급부(3)는 상측에 다수개의 롤러(5)를 보유하고 있으며, 하측에 이와 대향하는 다수개의 롤러(6)를 보유하고 있다.
이들 롤러(5, 6)는 프레임(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7)(8)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축(7, 8)은 프레임(1)을 관통하고 있다.
상기한 축(7, 8)의 일측단에는 각각 기어가 설치되어 있는데, 축(7)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기어(9)(10)는 이와 대향하여 아래측에 위치하는 축(8)에 설치된 제 1 및 제 4 기어(11)(12)와 각각 치차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제 1 기어(9)와 제 2 기어(10) 사이에 위치하는 또 다른 축(7)의 반대측에는 제 5 기어(13)가 설치되어 각각 인접한 축의 제 6 기어(14), 제 7 기어(15), 제 8 기어(16)측으로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제 5 기어(13)와 제 8 기어(16)는 소기어(17)(18)와 각각 동일한 축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소기어(17)(18)는 이와 대향하는 아래측의 축(8)에 설치된 기어(도시생략)와 치차결합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한 절단부(4)는 프레임(1)을 가로질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9)을 갖고 있는데, 회전축(19)의 일단에는 풀리(20)가 설치되어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21)으로 부터 벨트(22)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축(19)에는 회전판(23)이 편심설치되어 있는데, 이 회전판(23)의 외주에는 링부재(24)가 미끄럼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고, 이 링부재(24)에는 링크(25)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 링크(25)의 타측단에는 요동부재(26)가 힌지결합되어 있는데, 이 요동부재(26)의 일측단은 프레임(1)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타측단에는 절단날(2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축(19)의 타측단에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3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홈(30)에는 슬라이더(31)가 끼워져 셋트 스크류등으로 적당한 위치에 고정된다.
이 슬라이더(31)에는 볼 베어링(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볼 베어링(32)에는 레버(33)의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한 레버(33)의 타측단은 라테트 레버(34)가 연결되고 있는데, 이 라체트 레버(34)는 일방향으로만 동력전달이 가능한 라체트 휘일(도시생략)에 의해 제 2 기어(10)측으로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은 일반적으로 자전차등에 설치되어 체인의 전달력을 전방으로만 전하고 후방으로는 전달하지 않는 그러한 구조를 갖는 것인데, 이러한 구조는 관용화된 기술이고 본 고안의 주요한 기술이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라체트 레버(34)와 축(7) 사이에 설치되는 라체트 휘일에 의해 레버(33)의 후진력이 제 2 기어(10)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상호 치차결합된 기어들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고, 전진시에는 레버(33)만이 이동하여 제 2 기어(10)에 어떠한 힘도 전달하지 않게 된다.
제 6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절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프레임(1)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1쌍의 고정 절단날(35)이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설치되어 출구(36)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 고정 절단날(35)의 앞쪽을 상기한 절단날(27)이 원운동을 하면서 지나가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롤러(6)의 전방에는 작은 롤러(37)가 다수개 설치되어 절단코자하는 약재를 올려 놓음으로서 상기한 구성에 의해 회전하는 아래측 롤러(6)로 약재를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롤러(5)(6)들은 외주면에 널링이 되어 있는데, 이것은 그 위에 올려지는 약재가 롤러회전시 슬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약재 절단기는, 먼저 절단코자 하는 약재를 작은 롤러(37)위에 올려 놓은 다음, 모터를 구동시키게 되면 이 모터의 회전동력이 벨트(22)를 통하여 풀리(20)로 전달되어 회전축(19)을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축(19)이 회전을 시작하게 되면 이 축의 일측단에 편심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더(31)가 함게 회전하게 되는데, 회전축(19)의 중심으로 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설치된 슬라이더(31)는 실질적으로 회전축(19)의 중심에서 볼때 공전을 하는 것이므로 이 슬라이더와 일체로 형성된 볼 베어링(32)도 함께 공전을 하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볼 베어링(31)에 연결된 레버(33)가 그 공정거리 만큼 당겨지거나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는데, 이 레버(33)의 후단부에는 라체트 레버(34)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라체트 레버(34)를 당기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라체트 레버(34)가 서치된 축(7)이 당겨지면서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 축에는 제 2 기어(1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축(7)의 회전력이 제 2 기어(10)로 전달되면서 각각의 기어들로 전달된다.
따라서 아래측의 롤러(6)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므로 작은 기어(37)에 올려진 약재를 전방으로 밀게 되면 이 약재는 롤러(6)의 회전에 의해 프레임(1)에 걸치된 고정 절단날(35) 사이의 출구(36)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회전축(19)이 회전함에 의해 이 축에 편심 설치되어 있는 회전판(23)이 회전하면서 제 5a 도의 상태에서 b)의 상태로 된다.
즉 회전축(19)이 자전을 하게 되는데, 이 축에 회전판(23)이 편심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회전판(23)은 회전에 의해 아래측으로 점점 변위를 발생하면서 이동하고 동시에 이 회전판(23)의 외중에 끼워진 링부재(24)는 회전을 하지 않고 아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 링부재(24)에 연결된 링크(25)도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 결국 이 링크(25)에 연결된 요동부재(26)는 프레임(1)에 결합된 힌지축(H)을 중심으로 원운동을 하면서 아래측으로 내려가게 된다.
그리고 더욱 회전축(19)이 회전함에 의해 회전판(23)의 장경부가 상측으로 가게되면 링부재(24)는 다시 상승하게 되므로 제 5a 도의 상태로 원위치되는데, 이러한 작동이 반복됨으로서 요동부재(26)가 상하로 요동운동을 하게 되므로 이 부재에 설치된 절단날(27)은 고정 절단날(35)의 전방으로 스쳐 지나가게 된다.
따라서 고정 절단날(35) 사이의 출구(36)로 빠져 나오는 약재는 절단되면서 아래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약재를 전달하는 본 고안의 약재 절단기는 상하로 배치된 롤러의 외주에 널링이 되어 있기 때문에 약재 공급시 마찰력을 증대시켜 약재 이송을 원활히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회전축의 홈에 설치된 슬라이더의 위치를 가변시키게 되면 레버의 전후 이동거리가 달라지게 되므로 결국 약재의 이송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절단날이 원운동을 하면서 승강하여 고정 절단날과의 사이에서 약재를 절단하는 것이므로 약재와 접촉하는 절단날은 초기 절단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되므로 어떠한 성분의 약재라도 깨끗이 절단할 수 있으며, 약재가 절단될 때 절단날의 거의 직교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절단면이 깨끗하고 또 이러한 절단방식은 절단날이 거의 마모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9)과, 이 회전축(19)에 편심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23) 및 이 회전판(23)의 외주에 슬립 가능하게 끼워지는 링부재(24)와, 이 링부재(24)와 링크(25)에 의해 연결되며 프레임(1)에 일측단이 힌지결합됨과 아울러 타측단에 절단날(27)이 부착된 요동부재(26)와 프레임(1)에 상하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롤러(5)(6) 및 이들 롤러(5)(6)가 끼워진 축(7)(8)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상호 치차결합되는 기어군을 포함하며, 상기한 기어군의 어느 하나의 기어(10)와 상기한 회전축(19)에 편심설치된 볼 베어링(32)을 연결하는 레버(33)에 의해 모터의 구동력이 절단날을 승강 시킴과 동시에 롤러(5)(6)들을 회전시키는 승강식 약재 절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롤러(5)(6)의 외주에는 약재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널링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약재 절단기.
KR2019910003874U 1991-03-22 1991-03-22 승강식 약재 절단기 KR930008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3874U KR930008409Y1 (ko) 1991-03-22 1991-03-22 승강식 약재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3874U KR930008409Y1 (ko) 1991-03-22 1991-03-22 승강식 약재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773U KR920017773U (ko) 1992-10-17
KR930008409Y1 true KR930008409Y1 (ko) 1993-12-22

Family

ID=19311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3874U KR930008409Y1 (ko) 1991-03-22 1991-03-22 승강식 약재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4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410B1 (ko) * 2007-03-05 2013-08-09 주식회사 대연 약재 자동절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410B1 (ko) * 2007-03-05 2013-08-09 주식회사 대연 약재 자동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773U (ko) 199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8643A (en) Curl type sandwich automatic cutting device
US4279281A (en) Automatic branch cut-off device
KR930008409Y1 (ko) 승강식 약재 절단기
EP1583434B1 (en) Cutting machine for organic plant materials, especially for tobacco
KR930008407Y1 (ko) 회전식 약재 절단기
CN211671441U (zh) 一种换向吐料装置
KR930008408Y1 (ko) 승강식 약재 절단기
CN201027217Y (zh) 一种开棉机
KR200230499Y1 (ko) 오징어 절취장치
CN220548340U (zh) 一种枳壳加工用切割装置
KR200262299Y1 (ko) 풋고추를 슬라이스형으로 절단하는 장치
ATE27969T1 (de) Trommelwurzelschneider.
KR910003069Y1 (ko) 볏짚 절단기의 인입로울러 정역회전장치
CN219599691U (zh) 一种批量切片装置
KR920006389Y1 (ko) 기록장치의 기록지 반송기구
KR940000463Y1 (ko) 오묵형성기
CN211267712U (zh) 一种草坪机的辊轮装置
KR900004939Y1 (ko) 사료절단기의 변속 절연장치
KR900003971Y1 (ko) 무우 절삭기
KR890004837Y1 (ko) 2대의 컨베이어가 부착된 분쇄기의 구동장치
KR830001563B1 (ko) 베니어판 선반
KR200197033Y1 (ko) 롤화장지 절단장치
JPH0521361Y2 (ko)
JPH034944A (ja) 文書細断機の細断装置
KR960005978Y1 (ko) 회절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