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716Y1 - 포대 절단기 - Google Patents

포대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716Y1
KR880001716Y1 KR2019850004591U KR850004591U KR880001716Y1 KR 880001716 Y1 KR880001716 Y1 KR 880001716Y1 KR 2019850004591 U KR2019850004591 U KR 2019850004591U KR 850004591 U KR850004591 U KR 850004591U KR 880001716 Y1 KR880001716 Y1 KR 880001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roller
gear
bag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45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3144U (ko
Inventor
안순석
Original Assignee
안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순석 filed Critical 안순석
Priority to KR20198500045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716Y1/ko
Publication of KR8600131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31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7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70/14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using tools mounted on belts or chain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대 절단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개념을 나타낸 로울러 배치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각 로울러의 구동기어 배치도.
제3도는 본 고안중 캇팅속도 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중 캇팅속도 조절기어의 회전속도가 조절되는 원리를 보여주는 요부작동상태도로서, 제4(a)도의 상태를 기준으로 해서 제4(b)도는 보다 느리게, 제4(c)도는 보다 빠르게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5도는 본 고안중 캇팅포인트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제6도는 제5도중 요부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 5 : 절단인 로울러
6 : 절단인받이 로울러 7 : 절단인
8 : 절단인 받이부 9,9' : 이송로울러
10 : 분리구 11 : 분리봉
12 : 캠 14 : 구동기어
15,16 : 중간기어 17 : 캇팅속도 조절기어
17',23',32' : 축핀 18 : 절단인 로울러 구동기어
19 : 절단인 받이 로울러 구동기어 23 : 작동레버
24,42,44 : 회전축 25,26,27 : 지지판
28 : 새들 28' : 장공
29 : 지지구 30 : 조절노브
31 : 나사봉 32 : 가이드
33 : 안내홈 34,35 : 활주구
36 : 조정핸들 37 : 체인
38,39 : 스프로킷 40 : 워엄
41 : 워엄휠 45 : 선기어
46 : 유성기어 47 : 환기어
48 : 함체 49 : 캇팅포인트 고정기어
본 고안은 아직 절단가공되기전 그 외면에 대한 인쇄공정만이 종료된 띠상의 포대를 개개의 일정길이 포대들로 절단 성형하는데에 사용되는 포대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포대 절단기는 통상 일정속도로 회전하는 한쌍의 절단인 로울러 및 절단인받이 로울러 사이로 인쇄 공정이 종료된 직후의 띠상 포대를 고속으로 통과시키면서 상기 절단인 로울러의 1회전, 또는 ""회전마다 이를 연속적으로 절단토록 구성하고 있는데,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포대 절단기에 있어서 소정의 인쇄공정을 통해 일정길이마다 동일한 문도가 연속 반복해서 인쇄된 상기 띠상의 포대에 대한 절단인 로울러의 캇팅포인트가 목적한 바의 정확한 절단위치로부터 다소간씩 어긋나 불량품의 포대를 만들어 내게 될 때 이를 절단기의 가동을 멈추지 않고 이의 가동중에 간편 정확하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에 있으며, 동시에 포대의 진행속도에 대한 상기 절단인 로울러의 캇팅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포대절단기로 여러가지 상이한 길이의 포대를 편리하게 절단성형해 낼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절단인 로울러가 특히 합성수지제 포대를 절단하는 순간에 소기의 히이터를 통해 미리 가열된 상태의 그 절단인으로 인해 절단인 받이 로울러의 날받이부에 순간적으로 열융착케 되는 포대의 단부를 상기 날받이부로부터 적의 분리시켜 주는 수단을 구비토록하여 포대의 절단이송 공정이 매우 빠르고 원활한 그러한 포대절단기를 제공코자 함이다.
종래 이러한 류의 포대절단기들은 대부분 하나의 절단기로 길이가 일정한 한 종류의 포대만을 절단성형토록 하고 있기 때문에 그 길이가 더 길거나 짧은 다른 종류의 포대를 절단성형코자 할 때에는 이에 맞추어 절단인 로울러의 직경이 각각 상이한 또다른 포대절단기로 교체 사용하거나 혹은 기존의 절단인 로울러를 성형코자 하는 포대길이에 맞는 다른 직경의 로울러로 교체설치해 주어야 함으로써 매우 번거롭고 경제적 부담이 큰 난점이 있었으며, 또 절단공정중 인쇄된 띠상의 포대에 대한 절단인로울러의 캇팅포인트가 정상위치로 부터 어긋나 있거나 또는 절단된 포대가 절단인받이 로울러로부터 미처 분리되지 않은 채로 이에 감기어 붙게 될 때에는 절단기 전체의 가동을 일단 멈추어 상기 절단인 로울러 및 절단인받이 로울러의 연결기어들을 풀어 해체시키고 이들 로울러를 역회전시켜 그 캇팅포인트를 교정해 주거나 감긴 포대를 제거 분리시킨 다음 다시 절단기를 가동시켜야 함으로써 그 시정작업이 매우 어렵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정작업때마다 기기의 가동을 멈추어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대폭 저하되는 것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폐단들을 일소하여 보다 편리하고 작업능률이 뛰어난 포대절단기를 제공코자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본 고안은 도면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1)에 평행축설된 인출로울러(2)(2')(3)(3')들을 통해 기대(1) 후방으로 부터 인출 이송된 띠상의 포대(4)가 일정속도로 회전하는 한쌍의 절단인 로울러(5) 및 절단인받이 로울러(6)사이로 통과하면서 그 절단인(7) 및 절단받이부(8)의 교합시마다 하나씩의 독립된 포대로 절단성형되고 이와 같이 절단성형된 개개의 포대(4')는 이송로울러(9)(9')에 의해 기대(1) 전방의 최종 장소로 적의 이송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절단공정에 있어서 절단인(7)은 그 절단인 로울러(5)내부에 장착한 소기의 히이터에 의해 미리 적당한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되는데, 이와 같이 가열된 상태의 절단인(7) 및 절단받이부(8)의 교합에 의해 절단되어지는 포대는 그 절단부가 상기 절단인(7)의 열로 인해 절단받이부(8)에 일시적으로 열융착케 되므로 본 고안에서는 소정의 분리구(10)를 절단인받이 로울러(6) 축상에 유설하되 상기 분리구(10)가 이 절단인받이로울러(6)와는 별개의 속도로 회전토록 설치하여 그 양단부에 상기 절단인받이로울러(6)의 외주면과 근접시켜 평행형성한 분리봉(11)으로 하여금 띠상 포대(4)의 절단된 선단부를 절단받부(8)로부터 적시에 분리시켜 주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띠상포대(4)로부터 절단성형되는 개개의 독립포대(4')는 절단되어지는 순간에 그 선단부가 이송로울러(9)(9')사이에 압지되어 포대의 진행방향으로 포대진행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절단융착된 그 후단부를 절단받이부(8)로부터 적의 분리시켜주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송로울러(9)(9')는 상기와 같이 절단성형된 독립포대(4')의 인출 이송동작을 무리없이 수행하기 위해 어느 일측 로울러의 축단에 형성한 캠(12)에 의해 그 상축로울러(9)가 기대(1)의 홈(13)을 따라 적시에 상하로 승강자재토록 설치되고 그 회전속도가 포대를 절단인 로울러(5) 및 절단인받이 로울러(6)사이로 진행시켜 주는 인출 로울러(2)(2')(3)(3')들보다 훨씬 빠르며, 실질적으로 이러한 이송로울러(9)(9')는 절단인 및 절단인받이 로울러(5)(6)로부터 이들 이송로울러(9)(9')에 다다르기까지의 포대의 처짐량을 고려하여 다소간 낮은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도면 제2도는 이와 같은 본 고안을 구동시켜주는 기어배치를 보여 주고 있는데, 구동기어(14)의 회전력이 중간기어(15)(16)들을 통해 캇팅속도 조절기어(17)에 전달되고 상기 캇팅속도 조절기어(17)는 절단인 로울러 구동기어(18)와 연동하는 절단받이 로울러 구동기어(19)에 치합되어 있으며, 동시에 상기 중간기어(15)가 돌면 이에 치합된 소치차(20)와 일체로 회전하는 대치차(21)가 상기 절단인받이 로울러 구동기어(19)와 동일축상에 유설된 분리구 구동기어(22)를 돌려 주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절단 성형되는 포대(4')의 길이을 더 길게 혹은 더 짧게 해줄 필요가 있을시는 띠상 포대(4)의 진행속도에 대한 상기 절단인 로울러(5) 및 절단인받이 로울러(6)의 캇팅속도를 더 빠르게 혹은 더 느리게 조절해주면 되는데, 본 고안은 이를 위해 도면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술한 캇팅속도 조절기어(17)를 중간기어(16) 및 작동레버(23)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24)상에 유설하되 축핀(17')이 형성된 그 일측부를 상기 작동레버(23)에 당접시키고 이 작동레버(23)의 말단부에 상기 축핀(17')과 같은 양상의 축핀(23')을 외측으로 돌설하며, 상기 회전축(24)이 설치된 기대(1)외측에 지지판(25)(26)(27)을 가진 새들(28)을 착설하고, 이 새들(28)의 상면에 그 장공(28')을 따라 전후로 이동자재토록 지지구(29)를 구속설치하되 상기 지지구(29)와 지지판(25)사이에 조절조브(30)를 가진 나사봉(31)을 축설하여 이 조절노브(30)의 회전에 따라 지지구(29)가 새들(28)상에서 전후진 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지지구(29)의 내측중심부에 축핀(23')을 가진 가이드(32)를 회동자재토록 구속 설치하되 이 가이드(32)에는 상기 축핀(32')이 형성된 반대쪽면에 전기 캇팅속도 조절기어(17)쪽으로 개활되게 안내홈(33)을 요설하고, 상기 안내홈(33)에 핀공(34')(35')을 천공한 한쌍의 활주구(34)(35)를 그 내면을 따라 습동자재토록 끼워 설치하되 이 활주구(34)(35)의 핀공(34')(35')을 전기 캇팅속도 조절기어(17)의 축핀(17')및 작동레버(23)의 축핀(23')에 각각 끼워 유착토록 하였다.
한편, 인쇄된 띠상 포대(4)에 대한 절단공정중 절단인 로울러(5)의 캇팅포인트가 포대의 앞쪽이나 뒷쪽으로 치우쳐 어긋나게 될 때에는 그 절단인(7)이 포대의 인쇄된 부분에 너무 근접해서 포대를 자르게 되거나 혹은 심한 경우 문도가 인쇄된 부분을 직접 절단하여 불량품의 포대를 만들어내게 되는데, 이러한 캇팅포인트의 어긋남은 기기의 가동 중에 소기의 장치를 통해 포대진행속도에 대한 전기 절단인 로울러(5) 및 절단인받이 로울러(6)의 회전속도를 일시적으로 가감시켜줌으로써 간편하게 교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포대 절단기에서는 도면 제7도 및 제8도에서 보는 바와 같은 캇팅포인트 조절장치를 이에 적의 설치하여 어긋난 캇팅포인트를 기기의 가동중에 간편 정확하게 교정해 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의 캇팅포인트 조절장치는 일측기대(1)에 설치된 조정핸들(36)의 회전력이 체인(37) 및 스프로킷(38)(39)을 통해 그 반대편기대(1) 외측에 설치된 워엄(40)에 전달되고, 상기 워엄(40)은 이에 치합된 워엄휠(41)을 통해 회전축(42)을 돌려주며, 축카플링(43)으로써 상기 회전축(42)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44)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축(44)의 중심부에 고착된 선기어(45)와 이 선기어(45)의 외주연에 치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유성기어(46)들 및 상기 유성기어(46)들의 외측에서 이들에 치합된 환기어(47)를 통해 함체(48)에 전달되고 상기 함체(48)의 외주연 일측에 캇팅포인트 교정기어(49)를 형성하여 이를 전술한 절단인받이 로울러(6)축상에 적의 설치된 소기의 종동기어에 치합시켜서 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유성기어(46)들은 회전축(44)상에 유설되어 보울트(50)로써 상호 체결되는 호울더(51) 및 하우징(52) 사이에서 전기선기어(45) 및 환기어(47)에 각각 동시에 치합토록 유착되며, 함체(48) 역시 소정의 베어링을 통해 회전축(44)상에 유설된다.
미설명 부호 53은 스프링, 54는 카핀, 55는 베어링, 56은 스페이서, 57은 워엄(40)축 고정구, 58과59는 지지구(29)를 새들(28)의 장공(28')에 구속시켜주는 긴 볼트 및 그 체결나사이고, 60은 부싱, 61과 62, 63은 각종의스피어 기어들, 64는 브래킷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기어(14)가 돌면 이에 치합되어 있는 중간기어(15)가 돌고, 상기 중간기어(15)는 그 회전력을 소기어(20) 및 대기어(21)를 통해 절단인받이 로울러(6) 축상에 유설된 분리구 구동기어(22)에 전달함과 동시에 중간기어(16)와 작동레버(23) 및 가이드(32) 등을 통해 상기 회전축(24)상에 유설된 캇팅 속도 조절기어(17)에 전달케되고, 상기 캇팅속도 조절기어(17)가 돌면 이와 연동하는 절단인로울러 구동기어(18) 및 절단인받이 로울러 구동기어(19)에 의해 절단인 및 절단인받이 로울러(5)(6)가 회전케됨으로써 인출로울러(2)(2')(3)(3')에 의해 기대(1)후방으로부터 인출 이송된 띠상의 포대(4)가 상기 절단인 및 절단인받이 로울러(5)(6)사이로 통과하면서 그 절단인(7) 및 절단받이부(8)의 한번 교합시마다 일정길이의 독립포대(4')들로 절단성형되어지는 것이며, 이때 상기 절단인(7)은 전술한 바와 같이 로울러(5)내부에 장착한 소기의 히이터를 통해 미리 가열된 상태로 있게 되므로 절단순간 이 절단인(7)을 중심으로 띠상 포대(4)의 절단된 선단부와 독립포대(4')의 절단된 후단부가 상기 절단인(7)의 열로 인해 절단받이부(8)에 동시에 열융착되는데, 이를 방치해두면 상기 띠상포대(4) 및 성형된 독립포대(4') 모두가 상기와 같이 열융착된 채 절단인받이 로울러(6)에 감기어 붙어 고속으로 진행되는 포대의 연속절단 공정이 원활치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심하면 고장의 원인이 되는 수가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전술한 분리구 구동기어(22)로 하여금 분리구(10)의 분리봉(11)을 절단인받이 로울러(6)의 외주면과 근접해서 이와는 별도의 회전속도로 선회시켜 상기 분리봉(11)이 열융착된 띠상포대(4)의 선단부를 절단받이부(8)로부터 적시에(바람직하게는 절단인(7)이 포대를 절단한 직후) 분리시켜 주도록 함과 동시에, 이송 로울러(9)(9')는 캠(12)에 의해 그 상측 로울러(9)가 기대(1)의 홈(13)을 따라 상하 운동하면서 이들 사이에 소정간격의 틈새를 형성한 연후 이 틈새 내로 진입한, 절단형성되어 지는 순간의 독립포대(4')선단부를 상기 로울러(9)(9') 사이에 압지함과 동시에 이 포대(4')전체를 기대(1) 전방으로 빠르게 잡아당겨 주는 동작을 적시에 (바람직하게는 역시 절단인(7)이 포대를 절단한 직후)수행토록 하여 열융착된 독립포대(4')의 후단부를 절단받이부(8)로부터 적의 분리시켜 주도록 함으로써 띠상포대(4)에 대한 고속절단 공정을 빠르고 원활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포대절단 공정중 만일 소정의 문도가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 반복해서 인쇄된 띠상포대(4)에 대한 상기 절단인 로울러(5)의 캇팅포인트가 맞지 않아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불량품의 포대를 만들어내게 될 때에는 기대(1) 외측에 적절히 설치된 조정핸들(36)을 돌리면 그 회전력이 스프로킷(38)(39) 및 체인(37)을 통해 반대편 기대(1) 외측의 워엄(40)을 돌려주고, 이 워엄(40)은 이에 치합된 워엄휠(41)을 통해 회전축(42)(44)을 돌려주며, 상기 회전축(44)의 중심부에 고착되어 이와 일체로 회전하는 선기어(45)는 그 주위의 유성기어(46)들 및 환기어(47)를 통해 함체(48)를 돌려 주고, 상기 함체(48)상의 캇팅포인트 교정기어(49)는 전기 절단인받이 로울러(6) 축상에 적의 설치된 종동기어를 통해 상기 절단인받이 로울러(6)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감속, 또는 가속시켜주게 됨으로써 어긋난 캇팅포인트를 기기의 가동중에 간편정확하게 고정시켜줄 수가 있다.
이러한 캇팅포인트 교정작업에 있어서 절단인 로울러(5)의 캇팅포인트가 진행되는 띠상포대(4)의 앞쪽으로 치우쳐 있을 때, 즉 절단인(7)이 인쇄된 문도의 밑부분에 근접해서 독립포대(4')를 절단 형성케 될 때에는 상기와 같은 조작을 통해 절단인받이 로울러(6) 및 이와 연동하는 절단인 로울러(5)의 회전속도를 캇팅포인트가 포대의 뒷쪽 정확한 위치에 올때까지 일시 감속시켜 이를 교정하고, 반면에 뒷쪽으로 치우치게 될 때에는 조정핸들(36)을 상기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캇팅포인트가 포대의 앞쪽 정확한 위치에 올때까지 절단인받이 로울러(6) 및 절단인 로울러(5)의 회전을 그 회전방향으로 일시 가속시켜 이를 교정해주면 된다.
한편, 본 고안의 포대절단기를 통해 절단성형되는 독립포대(4')의 길이를 앞서의 경우보다 더 길게, 혹은 더 짧게 해줄 필요가 있을시는 포대진행속도에 대한 절단인 로울러(5)및 절단인받이 로울러(6)의 캇팅속도를 더 느리게, 혹은 더 빠르게 조절해 주면 되므로 절단인 로울러 구동기어(18) 및 절단인받이 로울러 구동기어(19)와 연동하는 캇팅속도 조절기어(17)의 회전속도를 느리고 빠르게 조절해주면 될 것이다.
이러한 캇팅속도의 조절은 조절노브(30)의 회전조작을 통해 지지구(29)를 새들(28)상에서 적절히 전후진 시켜 줌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데, 캇팅속도 조절기어(17)에 대한 회전축(24)의 회전력 전달은 상기 회전축(24)의 회전에 따라 이에 고착한 작동레버(23)가 돌면 이 작동레버(23) 말단부의 축핀(23')에 유착한 활주구(35)가 안내홈(33)을 따라 습동자재하면서 축핀(32')을 중심으로 가이드(32)를 돌려주고, 상기 가이드(32)는 다시 그 안내홈(33)에 끼워져 있는 활주구(34) 및 축핀(17')을 통해 캇팅속도 조절기어(17)을 돌려 주게 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므로, 도면 제4(a)도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축(24)과 가이드(32)의 축핀(32')이 상호 동일 축선상에 일치된 정상상태에서 조절노브(30)를 돌려 그 나사봉(31)을 통해 지지구(29)를 새들(28)의 앞쪽으로 전진시키면 이에 따라 상기 지지구(29)의 내측 중심부에 구속 설치 되어 있는 가이드(32) 역시 앞쪽으로 전진 그 축핀(32')이 회전축(24)으로부터 도면(제4도)상 좌측으로 편심되어 도면 제4(b)도의 예와 같은 상태로 되고, 이러한 도면 제4(b)도의 상태에서는 가이드(32)의 회전중심인 축핀(32')이 상기 가이드(32)를 돌려 주는 레버(23)의 축핀(23')으로부터 도면 제4(a)도의 정상상태 보다 더욱 멀어져 있게 되므로 축핀(32')을 중심으로 한 가이드(32)의 회전속도가 더 느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가이드(32)를 통해 회전되는 캇팅속도 조절기어(17)의 회전속도가 느리게 조절되고, 반면에 지지구(29)를 새들(28)상에서 후진시켜 가이드(32)의 축핀(32')이 도면 제4(c)도에서와 같이 회전축(24)으로부터 도면상 우측으로 편심된 상태에서는 가이드(32)의 회전중심인 축핀(32')이 상기 가이드(32)를 돌려주는 레버(23)의 축핀(23')에 더욱 가까워져 가이드(32)의 회전속도가 도면 제4(a)도의 정상상태보다 더 빨라지게 됨으로써 캇팅속도 조절기어(17)의 회전속도 역시 빠르게 조절되는 것이며, 이로써 본 고안의 포대절단기는 이를 통해 절단성형되는 포대의 길이를 사용자 임의로 극히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포대절단기는 인쇄공정에 종료된 띠상의 포대에 그 캇팅포인트가 어긋나게 될 때 이를 기기의 가동중에 간편정확하게 교정할 수 있고, 포대 진행속도에 대한 절단기의 캇팅속도를 기기의 가동전후를 불문하고 극히 간편히 조절할 수 있어 하나의 포대절단기로 여러가지 상이한 길이의 포대를 임의로 편리하게 절단성형해 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포대가 합성수지재인 경우 절단순간 로울러에 열융착케 되는 그 절단부를 로울러로 부터 적시에 분리시켜 주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고속으로 진행되는 띠상포대에 대한 연속절단 공정이 매우 원활하고 빠른 것 등의 효과를 지닌 것이다.

Claims (3)

  1. 기대(1)에 평행축설된 인출로울러들을 통해, 소정의 문도가 연속 반복해서 외면에 인쇄된 띠상의 포대를 기대(1)후방으로부터 인출 이송하여 절단인 로울러(5) 및 절단인받이 로울러(6)사이로 통과시키면서 그 절단인(7) 및 절단받이부(8)의 한번 교합시마다 하나씩의 독립된 포대로 연속 절단성형하고, 절단 성형된 개개의 독립포대는 캡(12)에 의해 그 상측 로울러(9)가 개대(1)의 홈을 따라 상하 운동하면서 전기 인출로울러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한쌍의 이송로울러(9)(9')에 의해 기대(1) 전방으로 적시에 분리 이송됨과 동시에 상기 절단인받이 로울러(6) 축상에 유착한 분리구(10)의 분리봉(11)이 절단인받이 로울러(6)의 주위를 이와는 별도의 속도로 선회하면서 절단인(7)의 절단 순간 절단받이부(8)에 일시 융착되는 전기 띠상 포대의 절단된 선단부를 이 절단받이부(8)로부터 적의 분리시켜 주도록하는 한편, 상기 띠상포대의 진행속도에 대한 절단인 로울러(5) 및 절단인받이 로울러(6)의 캇팅포인트가 어긋나게 될 때 이를 기기의 가동중에 교정시켜 줄 수 있는 캇팅포인트 고정장치와, 상기 띠상 포대의 진행속도에 대한 절단인 로울러(5) 및 절단인받이 로울러(6)의 캇팅속도 조절장치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절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캇팅포인트 고정장치는, 일측 기대(1)에 소정의 조정핸들(36)을 설치하여 그 회전력이 체인(37) 및 스프로킷(38)(39)을 통해 그 반대편 기대(1)외측에 설치된 워엄(40)에 전달되게 하고, 상기 워엄(40)은 이에 치합된 워엄휠(41)을 통해 회전축(42)(44)을 돌려주며, 상기 회전축(44)의 중심부에 고착된 선기어(45)가 그 주위의 유성기어(46)들 및 환기어(47)를 통해 회전축(4)의 회전력을 함체(48)에 전달하고, 상기 함체(48)상의 캇팅포인트 고정기어(49)는 전기 절단인 로울러(5)축, 또는 절단인받이 로울러(6)축상에 적의 설치된 종동기어에 치합시킴으로써 절단인 로울러(5) 및 절단인받이 로울러(6)의 회전속도를 상기 조정핸들(36)의 회전을 통해 기기의 가동중에 일시 감속, 또는 가속시켜 주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절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캇팅속도 조절장치는, 중간기어(15)(16)를 통해 구동기어(14)의 회전력을 전달 받음과 동시에 축핀(23')을 가진 작동레버(23)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24)상에 캇팅속도 조절기어(17)를 유설하되 축핀(17')이 형성된 그 일측 부를 상기 작동레버(23)에 당접시키고, 상기 회전축(24)이 설치된 기대(1)외측에 지지판(25)(26)(27)을 가진 새들(28)을 착설하고, 이 새들(28)의 상면에 그 장공(28')을 따라 전후로 이동자재토록 지지구(29)를 구속 설치하되, 상기 지지구(29)와 일측지지판(25)사이에 조절노브(30)를 가진 나사봉(31)을 연설하여 이 조절노브(30)의 회전에 따라 지지구(29)가 새들(28)상에서 전후진되게 하며, 상기 지지구(29)의 내측중심부에 축핀(32')을 가진 가이드(32)를 회동자재토록 구속 설치하되 이 가이드(32)에는 상기 축핀(32')이 형성된 반대쪽면에 전기 캇팅속도 조절기어(17) 쪽으로 개활되는 안내홈(33)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33)에 한쌍의 활주구(34)(35)를 그 내면을 따라 습동자재토록 끼워 설치함과 동시에 이들 활주구(34)(35)를 전기 캇팅속도 조절기어(17)의 축핀(17') 및 작동레버(23)의 축핀(23')에 각각 유착시키는 한편, 이 캇팅속도 조절기어(17)를 절단인 로울러 구동기어(18) 및 절단인받이 로울로 구동기어(19)와 상호 연동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절단기.
KR2019850004591U 1985-04-20 1985-04-20 포대 절단기 KR880001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4591U KR880001716Y1 (ko) 1985-04-20 1985-04-20 포대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4591U KR880001716Y1 (ko) 1985-04-20 1985-04-20 포대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3144U KR860013144U (ko) 1986-11-08
KR880001716Y1 true KR880001716Y1 (ko) 1988-05-06

Family

ID=19241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4591U KR880001716Y1 (ko) 1985-04-20 1985-04-20 포대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71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880B1 (ko) * 1999-05-03 2001-09-13 김용성 자동 포장 시스템의 위치 보정장치
KR100398796B1 (ko) * 2001-06-18 2003-09-19 손명국 크리스마스 트리 장식줄,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3144U (ko) 198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3416A (en) Labelling equipment
US3074214A (en) Rotary type packaging machine
KR970005777B1 (ko) 웨브재료의 로그절단기계 및 그 방법
US4448629A (en) Cutter assembly
US3750511A (en) Tape severing device
DE2941458A1 (de) Etikettiermaschine
GB2027407A (en) Heatseal wrapping apparatus
CN112550823B (zh) 一种围巾包装机
EP0115208B1 (en) Card feeder control
JP3320032B2 (ja) モジュール式自動封筒挿入機械
JPS62168832A (ja) 帯状材料の選択−送り装置
WO1997015439A1 (en) Box blank printer/slotter apparatus
US6523331B1 (en) Machine for setting heat-shrinkable sleeves on objects from a continuous sheath
KR880001716Y1 (ko) 포대 절단기
JPS5656321A (en) Tubing cutter
US4098173A (en) Automatic compensating register
US2233922A (en) Sheet cutoff and feeding mechanism
US3825044A (en) Drive apparatus for metering apparatus
US5699710A (en) Slotter wheel mechanism having selectively rotatable slotter blade
US4045275A (en) Machine for applying tapes to moving product
US2586462A (en) Machine for cutting lengths from strips of thin material
CA1101780A (en) Rotatable cutter mechanism for cutting different length notches in a moving web
US54435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master plate on a printing drum having an integral cutter
CN2490065Y (zh) 套标签机热收缩膜输送导送装置
US3687347A (en) Quick change labeling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9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