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175B1 - 영상신호를 위한 방식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신호를 위한 방식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175B1
KR930008175B1 KR1019900006781A KR900006781A KR930008175B1 KR 930008175 B1 KR930008175 B1 KR 930008175B1 KR 1019900006781 A KR1019900006781 A KR 1019900006781A KR 900006781 A KR900006781 A KR 900006781A KR 930008175 B1 KR930008175 B1 KR 930008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video signal
circuit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6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9508A (ko
Inventor
나가무라 가주미
Original Assignee
샤프가부시끼가이샤
쓰지 하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가부시끼가이샤, 쓰지 하루오 filed Critical 샤프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9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9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2Systems in which the television signal is transmitted via one channel or a plurality of parallel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televis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2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one of the standards being a high definition stand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Conversion between an interlaced and a progressive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신호를 위한 방식변환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방식변환장치의 회로 블록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을 표시하는 방식변환 회로의 회로 블록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표시한 신호처리회로(4)에 의해 변환된 주사선의 위치 관계를 표시하는 모식도.
제 4 도는 제 2 도에 표시한 위치맞춤처리부(5)에서 출력되는 주사선의 위치관계를 표시하는 모식도.
제 5 도는 제 2 도에 표시한 신호처리부(4)의 예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 6 도는 제 2 도에 표시한 위치맞춤처리부(5)의 타의 예(5')를 표시하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34, 36 : 신호처리회로 5 : 위치맞춤처리부
6, 39 : 필드판별회로 51, 57 : 동기신호발생회로
72 : 기록어드레스카운터 73 : 판독어드레스카운터
74 : 카운터제어부 75, 76 : 타이밍신호발생기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영상신호를 위한 방식변환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뛰어듬 주사방식에 따른 영상 신호를 순차주사방식에 따른 영상신호에 변환하기 위한 방식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MUSE 방식에 따른 영상신호를 NTSC 방식에 따른 영상신호에 전환하기 위한 방식변환장치에 특별한 적응성을 가진다. 고품위 텔레비젼 방식에는 주사선수가 1개의 프레임당 1125개, 인터레이스(interlace)비가 2 : 1, 애스팩트(aspect)비가 16 : 9로 정해져 있다. 위성 방송의 1개의 채널은 27메가헬쯔의 대역폭을 가진다. 위성 방송에서는 고품위 텔레비젼 방식에 따른 영상신호는 8.1 메가헬쯔에 대역압축된 후 1개의 채널을 통하여 전송된다. 이 전송 방식은 Multiple Sub-Nyquist Sampling Encoding(이하 [MUSE]라 한다) 방식으로 불리운다.
이 MUSE 전송 방식은 필드(field)간 및 프레임간의 오프셋서브 샘플링을 사용한 다중 서브 샘플링 전송 방식으로서 알려져 있다. MUSE 전송 방식에서는 선순차시간축다중(TC1)이 채용되어 적색차신호 R-Y 및 청색차신호 B-Y가 1/4로 시간축압축되어 압축된 신호가 휘도신호(Y)의 수평블랭킹 기간에 시간축다중된다.
즉 압축된 적색차신호 R-Y는 홀수라인상에 다중되어 압축된 청색차신호 B-Y는 짝수라인 상에 다중된다. 일반적으로 MUSE 전송방식과 같은 고품위 텔레비젼방식에 따른 영상신호에 의거하여 재생 화상이 예를들면 주사선수가 1개의 필드 당 525개, 애스펙트비가 4 : 3의 순차주사방식의 텔레비젼수상기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종래에는 우선 고품위텔레비젼 방식의 영상신호가 일단 NSTC 방식의 영상신호에 변환되어 다음에 이 변환된 영상신호가 순차주사변환되어 있다.
제 1 도에 종래의 방식변환장치의 예가 표시된다. 제 1 도를 참조하여 안테나(31)에 의해 수신되는 위성 방송신호는 튜너(32)에서 출력된 MUSE 신호가 A/D 변환기(33)에 제공된다. A/D 변환기에 제공된 MUSE 신호는 디지탈 신호에 변환된 후 신호처리회로(34)에 제공된다. 신호처리회로(34)에서는 MUSE 신호의 짝수 째의 수평주사선 데이터에 의거하여 525개의 주사선데이터가 형성된다.
이것에 가하여 이 신호처리회로(34)에 있어서 NTSC 방식에 있어 요구되는 4 : 3의 애스펙트비를 얻기위해 각 주사선 신호에서 휘도신호(Y) 및 청색차신호 B-Y의 일부가 발취되어 애스펙트비의 변환이 행하여진다. 더욱 이 신호처리회로(34)에서는 발취된 휘도신호(Y) 및 청색차신호 B-Y의 화상 데이터가 MUSE방식에 연관된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신호에 응답하고 도면에 표시되어 있지않은 메모리 내에 기억되어, 기억된 데이터가 NTSC 방식에 관련한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신호에 응답하고 판독된다.
그 결과 각 주사선의 수평 기간이 MUSE 신호의 29.6μsec에서 NTSC 방식의 63.5μsec에 시간축신장된다. A/D 변환기(33)에서 출력된 MUSE 신호는 1수평기간(이하 [1H]라 한다)의 지연시간을 가지는 지연소자(35)를 통하여 신호처리회로(36)에도 제공된다. 따라서 지연소자(35)에 의해 적색차신호 R-Y가 다중되어 있는 주사신호의 타이밍의 일치된다. [1H]는 고품위 텔레비젼 방식에 있어서 1개의 수평기간에 상당하고 그의 시간길이는 29.6μsec이다. 신호처리회로(36)는 MUSE 신호의 홀수째의 주사선데이터에 의거하여 525개의 주사선 데이터를 형성한다. 이것에 가하여 이 신호처리회로(36)에서는 NTSC 방식에 있어 요구되는 4 : 3의 애스펙트비를 얻기 위하여 각 주사선 신호에서 휘도신호(Y) 및 적색차신호 R-Y의 1부가 발취되어 애스펙트비의 전환이 행하여진다. 더욱 이 신호처리회로(36)에서는 발취된 휘도신호(Y) 및 적색차신호 R-Y의 화상데이터가 도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메모리 내에 기억되어 기억된 데이터가 NTSC방식에 관련한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신호에 응답하고 판독된다.
그 결과 각 주사선의 수평 기간이 MUSE 신호의 29.6μsec에서 NTSC 방식의 63.5μsec에 시간축신장된다. 계수전환가산회로(37)는 신호처리회로(34)에서 출력되는 청색차신호 B-Y가 다중되어 있는 주사선신호를 받는다. 이것에 가해서 이 주사선 신호는 1개의 수평기간(1H')의 지연시간을 가지는 지연소자(38)를 통하여 계수전환가산회로(37)에 제공된다. 여기서 [1H']는 NTSC 방식에 따른 1개의 수평기간을 표시하고 그의 시간길이는 63.5μsec에 상당한다. A/D 변환기(33)에서 출력된 MUSE 신호는 필드판별회로(39)에도 제공되어 이 필드판별회로(39)에서 출력되는 판별 신호는 계수전환가산회로(37)에 제어신호로서 제공된다.
이 계수전환가산회로(37)는 판별신호에 응답하고 홀수 필드의 처리에 있어 현재의 신호에 1/4의 계수가 승산된 신호와 1H' 지연신호에 3/4의 계수가 승산된 신호를 가산한다. 짝수필드의 처리에 있어서 현재의 신호에 3/4의 계수가 승산된 신호와 1H'지연신호에 1/4의 계수가 승산된 신호가 가산된다. 각 계수기(40,41)는 계수전환가산회로(37)에서 출력되는 청색차신호 B-Y의 다중되어 있는 주사선신호 및 신호 처리회로(36)에서 출력되는 적색차신호 R-Y의 다중되어 있는 주사선신호에 1/2의 계수를 각각 승산한다. 계수기(40, 41)의 출력신호는 가산기(42)에 의해 가산되는 것에 의해 휘도신호(Y)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계수전환가산회로(37)는 홀수필드 및 짝수필드마다에 현재의 신호와 1H' 지연된 신호에 승산되어야 할 계수를 전환하기 때문에 가산기(42)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Y)는 서로 인접한 홀수필드 및 짝수필드의 사이에 인터레이스의 위치관계를 가진다. 가산기(42)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Y)는 D/A 변환기(43)에 의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 후 NTSC 인코더(encoder)(44)에 공급된다.
신호처리회로(34)의 출력신호는 시간축신장회로(45)에도 공급되어 1/4의 시간길이에 시간축압축되어 있는 청색차신호 B-Y의 부분이 신장된다. 신장된 청색차신호 B-Y는 필드 내 내삽회로(46)에 공급되어 거기서 2개의 주사선신호 간의 가중평균처리가 행하여진다. 필드내 내삽회로(46)의 출력신호는 D/A 변환기(47)에 의해 아날로그신호에 변환된 후 NTSC 인코더(44)에 제공된다. 신호처리회로(36)의 출력신호는 시간축신장회로(48)에도 공급되어 1/4의 시간길이에 시간축입축되어 있는 적색차신호 R-Y의 부분이 신장된다. 신장된 적색차신호 R-Y는 필드내 내삽회로(49)에 공급되어 거기서 2개의 주사선신호 간의 가중평균 처리가 행하여진다. 필드내 내삽회로(49)의 출력신호는 D/A 변환기(50)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NTSC 인코더(44)에 공급된다. A/D 변환기(33)에서 출력된 MUSE 신호는 동기신호발생회로(51)에도 공급된다.
이 동기신호발생회로(51)는 MUSE 신호에 포함된 동기신호에 응답하여 NT SC 방식에 따른 동기신호를 발생한다. 이 NTSC 방식의 동기신호는 인코더(44)에 제공된다. 인코더(44)는 휘도신호(Y)에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한편 색차신호 R-Y 및 B-Y의 직각 2상 변조에 의해 반송색신호(C)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들 휘도신호(Y) 및 색신호(C)의 가산에 의해 NTSC 방식에 따른 영상신호(SV)가 발생된다. 인코더(44)에서 발생되는 영상신호(SV)는 A/D 변환기(52)에 의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 후 Y/C 분리회로(휘도신호/색신호 분리회로)(53)에 제공된다. 이 Y/C 분리회로(53)에 의해 분리된 휘광신호(Y)는 주사로 보간회로(53)에 공급된다. Y/C 분리회로(53)에 의해 분리된 색신호(C)는 색복조회로(55)에 공급된다. 이 색복조회로(55)에서 출력되는 색차신호 R-Y 및 B-Y는 주사선보간회로(54)에 제공된다. 주사선보간회로(54)는 각휘도신호(Y), 색차신호 R-Y 및 B-Y는 주 주사선신호에 의거하여 보간주사선신호를 각각 발생한다. 그리고 이 주사선보간회로(54)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Y), 색차신호 R-Y 및 B-Y의 주 주사선신호 및 보간주사선 신호는 배속변환회로(56)에 공급되어 거기서 배속변환처리가 행하여진다.
즉 각 보간주사선신호가 주 주사선신호의 사이에 삽입된다. 그 결과 1 수평기간이 H'/2로 압축된 순차주사선방식(525개/필드)의 휘도신호(Y'), 색차신호 R'-Y' 및 B'-Y'가 발생된다. 인코더(44)에서 출력된 영상신호(SV)는 동기신호발생회로(57)에 제공된다. 이 동기신호발생회로(57)는 NTSC방식에 따른 동기신호에 응답하고, 순차주사방식에 따른 동기신호를 발생한다. 이 순차주사방식의 동기신호는 가산기(58)에 공급된다. 배속변환회로(56)는 휘도신호(Y')를 D/A 변환기(59)에 제공하고, 휘도신호(Y')는 아날로그신호에 변환된다. 가산기(58)는 변환된 휘도신호(Y')에 동기신호를 부가한다. 배속변환회로(56)에서 출력되는 각 색차신호 R'-Y' 및 B'-Y'는 D/A 변환기(61, 62)에 의해 각각 아날로그신호에 변환된 후 변조회로(63, 64)에 제공된다. 각 변조회로(63, 64)에서는 서로 90°의 위상차를 가지는 2개의 색부반송파가 색차신호 R'-Y' 및 B'-Y'에 응답하고 평형변조된다.
이들 변조회로(63, 64)의 출력신호는 가산기(65)에 의해 가산되어 반송색신호(C')가 발생된다. 모니터수상기(60)는 가산기(58)에서 동기신호의 부가된 휘도신호(Y') 및 가산기(65)에서 출력되는 색신호(C')를 받는다. 따라서 모니터수상기(60)의 화면상에는 주사선수가 525개/필드의 순차주사방식(년인터레이스방식)에 의거한 화상이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제 1 도에 표시한 회로에서는 MUSE 신호의 1125개의 수평주사선 이 525개로 일단 감하게 한후 배속 변환처리에 의해 1050개로 증가된다.
이와 같은 처리는 표시된 화상의 화질열화를 일으키고 가해서 회로구성의 증대 및 복잡화를 일으키고 있다. 더욱 MUSE 신호는 선순차 TC1이기 때문에 분리되어 있는 휘도신호(Y)와 색차신호 R-Y 및 B-Y가 NTSC 방식의 영상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혼합된다. 그 혼합의 후 각 신호를 재분리하는 것에 의해 순차주사 변환처리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이 처리가 화질열화를 일으키고 있는 것이 지적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영상신호 때문에 방식변환장치에 있어서 변환에 의해 영상신호의 열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영상신호 때문에 방식변환 장치의 회로구성을 간단화하는 것이다. 간단히 말하면 본 발명에 관한 방식변환장치는 뛰어넘는 주사방법에 따라 또한 미리 정해진 제 1 의 복수의 주사선을 가지는 제 1 의 영상신호를, 순차주사방식에 따라 또한 미리 정해진 제 2 의 복수의 주사선을 가지는 제 2 의 영상신호에 변환한다. 이 방식변환장치는 제 1 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회로와 제 1 의 영상신호에 포함되는 각 필드의 주사선신호의 수를 제 2 의 복수로 변환하는 변환회로와 연속하는 2개의 필드에 대해 변환된 주사선신호의 위치를 맞추는 위치맞춤회로를 포함한다. 동작에 있어 변환회로가 제 1 의 영상신호에 포함되는 각 필드의 주사선신호의 수를 제 2 의 복수로 변환한 후 위치맞춤회로가 연속한 2개이 필드의 주사선신호의 위치를 맞춘다. 주사선신호의 수가 제 1 의 복수에서 제 2 의 복수로 직접 변환되므로 영상신호의 열화가 방지된다. 이것에 가해 이 방식변환장치를 구성하기 위해서 회로도 간단화된다.
[실시예]
제 2 도에 표시한 예에서는 1개의 프레임당 1125개의 주사선을 가지고 또한 뛰어넘는 주사방식에 따른 영상신호로서 위성방송을 통하여 전송되는 MUSE 신호가 사용된다. 제 2 도를 참조하여 영상신호 수신수단으로서의 안테나(1)에 의해 수신된 위성방송신호는 튜너(2)에 제공된다. 튜너(2)에서 출력된 MUSE 신호는 A/D 변환기(3)에 의해 디지탈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디지탈 MUSE 신호는 변환수단으로서의 신호처리회로(4)에 제공된다. 신호처리회로(4)의 예가 제 5 도에 표시된다. 제 5 도를 참조하여 신호처리회로(4)는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으로서의 랜덤액세스메모리(Random Access Memory)(이하 [RAM]이라 한다)(71)과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수단으로서의 기록어드레스카운터(72), 데이터신호를 판독하는 판독수단으로서의 판독어드레스카운터(73), 카운터(72)가 간헐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간헐정지수단으로서의 카운터제어부(74)를 포함한다. 각 카운터(72, 73)은 클록신호발생수단으로서의 타이밍신호 발생기(75, 76)에서 소정의 클럭신호(
Figure kpo00001
1,
Figure kpo00002
2)를 각각 받도록 접속된다. 클럭신호(
Figure kpo00003
1)는 1125개의 뛰어넘는 주사방식에 따른 8.1 메가헬쯔의 주파수를 가진다. 클럭신호(
Figure kpo00004
2)는 525개 순차주사방식에 따른 5.67 메가헬쯔의 주파수를 가진다.
이 신호처리회로(4)는 MUSE 신호의 1125개의 주사선중의 75개를 삭제하는 것에 의해 1050개의 주사선신호를 발생한다.
즉 각 홀수필드 및 짝수필드의 주사선수가 525로 되도록 각각 변환된다. 주사선의 수의 변환을 설명하기 위해서 모식도가 제 3 도에 표시된다. 제 3 도를 참조하여 변환 후에 있어 남겨져 있는 주사선은 실선에 의해 표시되어 타방삭제될 주사선은 파선에 의해 표시된다. 이것에 가해서 이 신호처리회로(4)에서는 4 : 3의 애스펙트 비에 대응하도록 각 주사선신호에서 휘도신호(Y) 및 색차 신호 B-Y, R-Y의 1부가 발취된다. 즉 애스펙트비의 변환이 행하여진다. 더욱 이 신호처리회로(4)에서는 발취된 각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 B-Y, R-Y의 화상 데이터는 제 5 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카운터(72)에서 제공되는 기록어드레스신호(
Figure kpo00005
3)에 응답하고 RAM(71)에 기억된다. 기억된 데이터는 카운터(73)에서 제공되는 판독어드레스신호(
Figure kpo00006
4)에 응답하고 판독된다.
그 결과 각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 B-Y,R-Y는 각 신호의 수평기간이 MUSE 신호의 29.6μsec에서 순차주사방식의 H'/Z 즉 63.5/2μsec로 되도록 시간축신장된다.
제 3 도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처리회로(4)에 의해 주사선수가 변환된 각 홀수필드 및 짝수필드의 주사선신호는 서로 인터레이스의 위치관계를 가진다. 기록동작에 있어서 카운터제어부(74)는 기록어드레스 카운터(72)를 간헐적으로 동작하게 한다.
즉 카운터(72)는 카운터제어부(74)에서의 제어신호에 응답하고 1125개의 주사선 중의 삭제될 75개에 상당하는 시간 길이(즉 1개의 수직기간에 있어 75수평기간의 시간길이)만 정지한다.
이것에 가해서 애스펙트비를 5 : 3에서 4 : 3으로 변환하기 위해 각 수평주사선의 양측에서 수평주사기간의 1/5의 시간 길이에 상당하는 기간에 있어 카운터(72)는 정지한다. 반면에 판독동작에 있어 기록된 데이터는 카운터(73)에서 출력되는 판독어드레스신호(
Figure kpo00007
4)에 응답하고 연속적으로 판독된다.
제 4 도를 참조하여 1개의 필드당 525개의 주사선을 가지고 또한 순차주사방식에 따른 수평주사선이 표시된다. 홀수필드 및 짝수필드의 주사선의 위치는 제 4 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서로 일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신호처리회로(4)에서 출력되는 각 홀수필드 및 짝수 필드의 한쪽의 주사선신호의 위치를 다른쪽의 위치에 맞출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신호처리회로(4)의 출력신호는 위치맞춤처리부(5)에 제공된다. 승산수단으로서의 계수기(5b)는 신호처리회로(4)의 출력신호에 1/2의 계수를 승하여 승하여진 데이터가 가산수단으로서의 가산기(5c)에 제공된다. 동시에 신호처리회로(4)의 출력신호는 1수평기간(H'/2)의 지연시간을 가지는 지연수단으로서의 지연소자(5d)를 통하여 승산수단으로서의 계수기(5e)에 제공되어 거기서 1/2의 계수가 곱하게된다. 곱하게 된 데이터는 가산기(5c)에 제공된다. 이 가산기(5c)의 출력신호는 선택수단으로서의 셀렉터(5a)에 제공된다. 가산기(5c)의 출력신호는 현재의 신호와 1라인 전의 신호와의 가중평균치를 표시하고 있는 그 주사선은 현재의 신호와는 인터레이스의 위치관계를 가진다. A/D 변환기(3)에서 출력된 MUSE 신호는 필드판별회로(6)에도 제공된다.
이 필드판별회로(6)에서 발생된 판별신호는 셀렉터(5a)에 제어신호로서 공급된다. 셀렉터(5a)는 예를 들면 홀수필드에서 신호처리회로(4)의 출력신호를 선택하고 짝수필드에서 가산기(5C)의 출력신호를 선택한다. 따라서 셀렉터(5a)에서 출력되는 홀수필드의 주사선신호의 위치는 현재의 신호의 위치와 일치하고, 짝수필드의 주사선신호의 위치는 현재의 신호의 위치와는 인터레이스의 위치관계가 된다.
그 결과, 홀수필드 및 짝수필드의 주사선신호의 위치는 제 4 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일치하게 된다. 1개의 필드당 525개의 주사선을 가지는 신호는 셀렉터(5a)에서 출력되어 블랭킹부가회로(7)에 공급된다. 셀렉터(5a)의 출력신호는 수평블랭킹기간에 색차신호 R-Y 또는 B-Y가 다중된 TC1신호이다.
이 부가회로(7)는 색차신호의 부분을 포함하는 이 출력 신호에 수평 및 수직의 블랭킹을 부가한다. 이 부가회로(7)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Y')는 525개/필드의 주사선을 가지고 순차주사방식에 따르고 있다. 휘도신호(Y')는 지연소자(8)에 의해 색신호와 동기된 후 D/A 변환기(9)에 의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신호는 가산기(10)에 제공된다. 이 동기신호발생회로(11)는 MUSE 신호의 동기신호에 응답하고 순차주사방식에 따른 동기신호를 발생한다. 발생된 동기신호는 가산기(10)에 제공되어 거기서 'Y'에 부가된다. 셀렉터(5a)에서 출력되는 주사선신호는 시간축신장회로(12)에도 공급되어 1/4에 시간축압축되어 있는 색차 신호 R-Y 및 B-Y의 부분이 4배로 신장된다. 이 신장회로(12)에서 출력된 적색차신호 R-Y 및 청색차신호 B-Y의 선순차신호는 1수평기간(H'/2)의 지연시간을 가지는 지연소자(13)를 통하여 크로스전환회로(14)의 제 1 의 입력단자에 제공된다. 신장회로(12)의 출력신호는 계수기(15)에 의해 1/2의 계수가 승해진 후 승하게 된 신호가 가산기(16)에 제공된다. 지연소자(13)의 출력신호는 1수평기간(H'/2)의 지연시간을 가지는 지연소자(17)를 통하여 계수기(18)에 제공되어 거기서 1/2의 계수가 승하게 된다. 승하게 된 신호는 가산기(16)에 공급된다. 가산기 (16)의 출력신호는 크로스전환회로(14)의 제 2 의 입력단자에 제공된다.
A/D 변환기(3)에서 출력된 MUSE신호는 라인판별회로(19)에 공급되어 라인판별회로(19)는 셀렉터(5a)에서의 주사선신호의 라인(제 3 도에 있어 괄호에 의해 표시된다)을 판별한다. 이 라인판별회로(19)에서 출력된 판별신호는 크로스전환회로(14)에 제어신호로서 공급된다.
크로스전환회로(14)는 판별신호에 응답하고 제 1 및 제 2 의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홀수라인에 있어서의 신호를 각각 제 1 및 제 2 의 출력단자를 통하여 출력한다. 반면에 제 1 및 제 2 의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짝수라인에 있어서의 신호는 각각 제 2 및 제 1 의 출력단자를 통하여 출력된다.
즉 크로스전환회로(14)는 제 1 의 출력단자를 통하여 홀수 라인의 현재의 신호와 홀수라인의 신호에서 형성된 보간신호를 교호로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의 출력단자를 통하여 525개/필드의 순차주사방식에 따른 적색차신호 R'-Y'가 출력된다. 크로스전환회로(14)는 제 2 의 출력단자를 통하여 짝수라인의 현재의 신호와 짝수라인의 신호에서 형성된 보간신호를 교호로 출력한다.
즉 이 제 2 의 출력단자를 통하여 525개/필드의 순차주사 방식에 다른 청색차신호 B'-Y'가 출력된다. 이 크로스전환회로(14)에서 출력되는 색차신호 R'-Y' 및 B'-Y'는 각 블랭킹부가회로(20,21)에 각각 공급되어 거기서 수평 및 수직의 블랭킹이 부가된다. 더욱 D/A 변환기(22,23)로 아날로그신호에의 변환 후 변환된 아날로그신호는 변조회로(24,25)에 제공된다. 변조회로(24,25)는 서로 90°의 위상차를 가지는 색부 반송파를 색차신호 R'-Y' 또는 B'-Y'에 의해 평형변조한다. 이들 변조회로(24,25)의 출력신호는 가산기(26)에 의해 가산되어 반송색신호(C')가 출력된다.
가산기(10)에서 출력된 휘도신호(Y') 및 가산기(26)에서 출력되는 색신호(C')는 모니터수상기(27)에 공급된다.
따라서 모니터수상기(27)의 화면상에는 주사선수가 525개/필드의 순차주사방식(년인터레이스 방식)의 화상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제 2 도에 표시한 예에서는 신호처리회로(4)에 있어서 1125개/프레임의 MUSE신호의 각 홀수필드 및 짝수 필드의 주사선수가 각각 525개로 변환된다. 이것에 가해서 위치맞춤처리부(5)에서는 홀수필드 및 짝수 필드의 주사선 신호의 위치가 서로 일치되어 따라서 525개/필드의 주사선을 가지는 순차주사방식에 따른 영상신호를 얻게 된다.
제 1 도에 표시한 종래의 회로와 같이 일단 감소된 주사선이 또 다시 증가된다고하는 처리가 행하여지지 않기 때문에 변환에 의해 영상신호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즉 변환될 영상신호에 의거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가 있다. 이것에 가해서 제 2 도에 표시한 회로에서는 휘도신호(Y)와 색차 신호 R-Y 및 B-Y가 혼합되는 일 없이 처리가 되기 때문에 제 1 도에 표시한 종래의 회로에 있어서와 같은 이들의 신호의 혼합 및 분리에 의해 생기는 영상신호의 열화를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 제 2 도에 표시한 방식변환장치는 NTSC 방식에 따른 영상신호를 형성하기 위해서의 과정을 필요로하지 않기 때문에 회로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이것은 회로규모를 대폭으로 축소할 수 있고 그리고 회로를 구성하는데 요하는 코스트가 감소되는 것을 뜻한다.
제 2 도에 표시한 위치맞춤처리부(5)에서는 주사선신호의 위치맞춤 때문에 현재의 신호 및 1수평기간 늦음의 신호만으로 의해 보간신호가 형성되어 있으나 회로 (5)에 바꾸어 제 6 도에 표시한 회로(5')도 적용할 수 가 있다. 제 5 도를 참조하여 이 위치맞춤처리부(5')는 각각이 1수평기간(H'/2)의 지연시간을 가지는 복수개의 지연소자(5f1~5fn)(n은 정(正)의 정수)와 계수기(5g1~5gn+1)와 가산기(5c), 셀렉터(5a)를 포함한다.
이 위치맞춤처리부(5')의 적용에 의해 각 필드마다의 주사선위치를 맞출 수가 있다. 이 위치맞춤처리부(5')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보다 화질이 개선된 영상신호를 얻을 수가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대역압축처리된 MUSE 신호에서 1개의 필드당 525개의 주사선을 가지는 순차주사방식에 따른 영상신호가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고품위 텔레비젼방식에 따른 영상신호에서 순차주사방식에 따른 영상신호를 형성하는데에 적용할 수가 있다.

Claims (6)

  1. 뛰어넘는 주사방식에 따라 1개의 프레임당 미리 정해진 제 1 의 복수의 주사선을 가지는 제 1 의 영상신호를, 순차주사방식에 따라 1개의 프레임당 미리 정해진 제 2 의 복수의 주사선을 가지는 제 2 의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방식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수단(1)과, 상기 제 1 의 영상신호 수신 수단(1)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의 영상신호에 포함되는 각 필드의 주사선 신호의 수를 제 2 의 복수로 변환하는 변환수단(4)과, 상기 변환수단(4)에 접속되어 상기 변환 수단(4)에 의해 변환된 연속하는 2개의 필드의 주사선신호의 위치를 맞추는 위치맞춤수단(5)을 구비하되, 상기 위치맞춤수단(5)은 상기 변환수단(4)의 출력에 접속되어, 상기 변환수단(4)에 의해 변환된 홀수 및 짝수 중의 한쪽의 필드의 신호를 소정의 시간길이만을 지연하도록 하는 적어도 1개의 지연수단(5d)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지연수단(5d)에 의해 지연된 신호와 상기 홀수 및 짝수 중의 다른쪽의 필드의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수단(5c)과, 상기 변환수단(4)의 출력 및 상기 가산수단의 출력에 접속되어 상기 변환수단(4) 및 가산수단(5c)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각 필드마다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수단(5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위한 방식변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4)은 상기 제 1 의 영상신호에 포함되는 각 필드의 주사선신호 중에서 상기 제 2 의 복수의 주사선 신호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영상신호를 위한 방식변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맞춤수단(5)은 상기 변환수단(4)의 출력에 결합되어 상기 변환수단(4)에서 출력된 각 필드의 신호에 소정의 계수를 승산하는 승산수단(5e,5b)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위한 방식변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4)은 상기 제 1 의 영상신호수신수단(2)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의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71)과, 상기 뛰어넘기 주사방식에 따른 제 1 의 주파수를 가지는 제 1 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수단(75)과, 상기 순차주사방식에 따른 제 2 의 주파수를 가지는 제 2 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수단(76)과, 상기 제 1 의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억수단(71)에 상기 제 1 의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기록수단(72)과, 상기 제 2 의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억수단(71)에 기록된 데이터신호를 판독하는 판독수단(73)과, 상기 기록수단(72)에 접속되어 상기 기록수단 (72)에 의한 기록동작을 간헐적으로 정지하게 하는 간헐정지수단(7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위한 방식변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뛰어넘기 주사방식은 MUSE 전송방식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의 복수는 1125를 포함하고, 상기 순차주사방식은 NTSC 방식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의 복수는 5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위한 방식변환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길이는 상기 순차주사방식에 따른 수평주사기간의 반분의 시간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계수는 1/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를 위한 방식변환장치.
KR1019900006781A 1989-05-13 1990-05-12 영상신호를 위한 방식변환장치 KR930008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0128 1989-05-13
JP89-120128 1989-05-13
JP1120128A JP2889276B2 (ja) 1989-05-13 1989-05-13 映像信号の方式変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508A KR900019508A (ko) 1990-12-24
KR930008175B1 true KR930008175B1 (ko) 1993-08-26

Family

ID=1477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6781A KR930008175B1 (ko) 1989-05-13 1990-05-12 영상신호를 위한 방식변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49994A (ko)
JP (1) JP2889276B2 (ko)
KR (1) KR9300081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0684A (ja) * 1989-08-23 1991-04-05 Nec Home Electron Ltd テレビジョン信号変換方式及び時間軸変換回路
JPH03258177A (ja) * 1990-03-08 1991-11-18 Sony Corp ノンインターレース表示装置
US5305112A (en) * 1990-06-29 1994-04-19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Video signal recording/reproducing system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video signals in high quality picture television system
US5488389A (en) * 1991-09-25 1996-01-30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KR0155688B1 (ko) * 1991-09-28 1998-11-16 강진구 텔레비젼신호 변환장치
KR0146695B1 (ko) * 1991-09-30 1998-09-15 강진구 텔레비젼신호 변환방식 및 장치
TW232739B (ko) * 1991-12-16 1994-10-21 Sony Co Ltd
JPH08228359A (ja) * 1995-02-22 1996-09-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画像表示装置
KR0182930B1 (ko) * 1996-02-17 1999-05-01 김광호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사 방식 변환 장치 및 변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9092B2 (ja) * 1985-04-15 1994-08-03 ソニー株式会社 フレ−ムシンクロナイザ−
US4791487A (en) * 1985-06-28 1988-12-13 Canon Kabushiki Kaisha Picture signal conversion device
JPH0754966B2 (ja) * 1985-12-09 1995-06-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輪郭補正回路
GB8628813D0 (en) * 1986-12-02 1987-01-07 British Broadcasting Corp Video display system
JP2527233B2 (ja) * 1989-03-31 1996-08-21 三菱電機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方式変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89276B2 (ja) 1999-05-10
KR900019508A (ko) 1990-12-24
JPH02299376A (ja) 1990-12-11
US5049994A (en) 199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655B1 (ko) 합 및 차 성분을 갖는 순차 주사 텔레비젼 시스템
EP0221086B1 (en) Compatibility of widescreen and non-widescreen television transmissions
US4415931A (en) Television display with doubled horizontal lines
EP0076547B1 (en) Television system for high-definition television and a television transmitter and receiver suitable therefor
US4567508A (en) Two-channel compatible television transmission system for wide picture formats
US5144427A (en) Television receiver decoder apparatus for bandwidth-compressed high definition television signal
GB2115640A (en) Compatible wide-screen color television system
JPH02237280A (ja) 標準/高品位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CA2230081C (en) Receiver
US4621287A (en) Time-multiplexing of an interleaved spectrum of a television signal
US5561467A (en) Receiver and channel compatible encoding/decoding system for high definition video
KR930008174B1 (ko) 영상신호를 위한 방식 변환장치 및 그 방법
US5365274A (en) Video signal converting apparatus with reduced processing for aliasing interference
KR930008175B1 (ko) 영상신호를 위한 방식변환장치
KR930012088B1 (ko) 순차 주사 텔레비젼
US4635098A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reconstruction of video images in line sequential chroma format
US5327241A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reducing aliasing interference
KR930004822B1 (ko) 텔레비젼 신호 변환장치
EP0293987A2 (e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bining a main panel component with an augmentation panel component to create a wide aspect ratio television display
US5029002A (en) High definition television system
KR920007606B1 (ko)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4953009A (en) Signal separator having function of subsampling digital composite video signal
US5191415A (en) Still image transmitting method
JP2514434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5128761A (en) Method and apparatus from transmitting augmentation panel components on one channel of a two channel wide aspect ratio television signal transmis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