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127B1 - 칼라현상장치 - Google Patents

칼라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127B1
KR930008127B1 KR1019890017605A KR890017605A KR930008127B1 KR 930008127 B1 KR930008127 B1 KR 930008127B1 KR 1019890017605 A KR1019890017605 A KR 1019890017605A KR 890017605 A KR890017605 A KR 890017605A KR 930008127 B1 KR930008127 B1 KR 930008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olor
magnetic
unit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7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0235A (ko
Inventor
남기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7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127B1/ko
Publication of KR91001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9/00Diffusion development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현상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칼라현상장치에 대한 구성도.
제 2 도는 제 1 도와 다른예의 구성도.
제 3 도는 본발명에 따른 칼라현상장치의 구성도.
제 4 도는 제 3 도중 현상기유닛트의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광드럼 2 : 회전체
3 : 현상기유닛트(unit) 4 : 주극자성체
5, 6 : 자성체 7 : 현상제(토너)
8 : 전사드럼 9 : 중심축
10 : 정착기히트로울러 11 : 정착기프레셔로울러
12 : 노광 13 : 대전기
14 : 전사용지 15 : 현상제용기
16 : 회전슬리이브 17 : 현상제낙하방지브레이드
18 : 크리닝브레이드
본발명은 회전체형식의 칼라현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회전체의 동일원주상에 4색(Yellow, Magenta, Cyan, Black ; 이하 Y.M.C.B로 약칭함)의 현상기유닛트를 고정시켜 각색의 현상기가 감광드럼에 대하여 항시 동일조건으로 위치시켜 정전잠상이 전사용지에 프린팅되도록 하는 칼라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칼라현상장치는, 제 1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감광체드럼의 원주를 따라 4색의 현상기유닛트가 시계방향으로 배치되거나, 제 2 도에서와 같이 4색의 현상기 유닛트 자체를 회전시켜주되, 드럼을 향하는 주극이 항상 윗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설치공간을 줄인 것도 있으나, 제 1 도에서와 같이 감광드럼 원주상에 4색 현상기유닛트인 Y.M.C.B가 배치되는 경우 현상기유닛트가 차지하는 공간이 많이 필요하며, 따라서 전체 기계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콤팩트화 실행에 한계가 있고, 특히 노광부에서 Y.M.C.B 각각의 현상영역까지 거리가 달라 색상 및 농도 대조에 문제가 있고, 제 2 도의 경우 현상제 낙하는 방지할 수 있으나 구동기구가 복잡하고 현상제의 비산이 발생하는 문제가 남아 있었다.
이에 본발명에서는 회전체 둘레에 현상기유닛트인 Y.M.C.B를 등간격으로 배설하되, 각 현상기유닛트에는 현상제공급용의 회전가능한 슬리이브를 장착하고, 슬리이브내에는 주극과 자성체 및 자기브러시를 고정배치하여 현상제의 공급 및 낙하를 방지시키도록 구성시켰다.
따라서, 설치공간이 작아 칼라현상장치의 소형화에 부응할 수 있고,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현상제가 교반되어 응고를 막아주며 구동구조가 간단함은 물론 색상 및 농도대조문제를 해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본발명의 1실시예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발명은 감광드럼(1)의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회전체(2)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2) 둘레에는 서로다른 칼라를 갖는 현상기유닛트(3)가 현상제용기(15)내에 현상체(7) 및 회전슬리이브(16)를 내장한 구조를 이루고, 상기 회전슬리이브(16)에는 주극을 이루는 자성체(4)와 두개의 자성체(5, 6)가 180°의 위상차를 가지고 설치되며, 현상제용기(15) 일단에는 현상제낙하방지브레이드(17)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0은 정착기히트로울러, 11은 정착기프레셔로울러, 12는 노광, 13은 대전기, 14는 전사용지, 18은 크리닝브레이드이다.
첨부도면 제 3 도는 본발명의 구성원리도로써, 감광드럼(1)과 전사드럼(8)이 연동되도록 조합되고, 상기 감광드럼(1)과 소정의 위치에서 중심축(9)을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체(2)가 설치된 예를 보여준다.
상기한 발명의 도면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감광드럼(1)과 전사드럼(8)의 구동방식은 종래의 것과 같으며, 전사용지(14)가 정착기히트로울러(10)와 정착기프레셔로울러(11) 사이에서 압출되어져 감광드럼(1)의 칼러화상이 인쇄되도록 전사드럼(8) 둘레에 감겨져 배출되는 원리도 같다.
다만, 회전체(2) 둘레에 설치되는 현상기유닛트(3)는 각각의 색별로(본발명에서는 Y.M.C.B의 4색) 현상제용기(15)내에 회전슬리이브(16)가 장착되고, 이 회전슬리이브(16)내에 각 자성체(4, 5, 6)가 배치되어지되, 상기 회전슬리이브(16)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 자성체(5, 6)는 180°의 위상차를 갖도록 배치되고, 감광드럼(1)의 중심과 수직을 이루는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는 주극자성체(4)는 상기 자성체(6)와 50°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주극자성체(4)와 자성체(5)사이의 현상제용기(15) 일단에는 현상제낙하방지브레이드(17)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자성체(6)는 현상제(7)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자속밀도 300∼1000가우스 정도의 자력을 가지며, 상기 현상제용기(15)는 회전체(2)에 고정설치되어진다.
따라서, 전사용지(14)에 원하는 칼러가 전사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Y.M.C.B의 각각의 토너(현상제)를 대전(13)→노광(12)→현상(3)→전사(8)→크리닝(18)의 순서대로 전사용지(14)에 전사시켜 합성하여 칼러화상을 얻게된다.
즉, 제 1 분해색인 Y(Yellow)색상이 먼저 대전→노광→현상을 거쳐 전사드럼(8)에 전사되면 이 전사드럼(8)을 거치는 전사용지(14)상에 Y색토너가 전사되며, 크리닝을 거쳐 제 2 분해색인 M(Magenta)색상이 대전→노광→현상의 과정을 거쳐 1분해색이 전사되어 있는 전사드럼(8)상의 전사용지(14)에 중복전사되어 M색토너의 화상이 맺혀진다.
같은 방식으로 제 3 분해색상인 C(Cyan), 제 4 분해색상인 B(Black)가 중복혼합 전사된후 전사용지는 정착기로 이동하여 히트로울러(10)와 프레셔로울러(11) 사이에서 열과 압력을 받아 전사된 혼합 토너가 용융되어지면 전사용지상에는 완전한 칼러화상(full-color)이 고착된다.
특히, 각색별로 토너가 들어있는 현상제용기(15) 회전체(2)가 회전할때에 거꾸로 배치되는 수가 있는데(제 3 도의 C용기), 이때 현상제(7)가 낙하하지 않도록 자성체(6)에 자력(300∼1000가우스)을 갖도록 설계되며, 현상제(7)가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현상제낙하방지브레이드(17)도 설치되어 자성체(5, 6)의 자력과 협동으로 현상제 낙하를 방지해 주게 된다.
한편, 본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회전체에 4색의 현상유닛트가 장착된 예를 기술하였으나 전사량이나 장치의 구성에 따라 증감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각 자성체의 배치위치도 칼라현상장치의 특성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과 작용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현상장치가 차지하는 설치공간이 1/N(N : 색상수) 밖에 되지않아 감광드럼(1) 주변의 대전기, 노광, 전사, 크리닝 및 제전부등의 설계자유도가 높아지고, 제품 소형화에 부응할 수 있게 된다.
2. 현상기유닛트가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현상제가 응고되지 않으면서 교번하는 효과가 있다.
3. 회전체에 현상기유닛트가 고정장착되므로 종래의 자전되는 현상기유닛트 보다 구동구조가 간단해진다.
4. 현상제규제브레이드와 자성체에 자속을 부여하여 현상기유닛트 회전시 현상제의 낙하를 방지해준다.
5. 노광시점에서 현상시점까지의 거리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색상 및 농도대조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칼라현상장치에 있어서, 색상별 현상기유닛트(3)가 회전체 둘레에 소정의 등간극을 두고 동일반지름상에 고정설치되어 회전체(2)의 회전에 의해 각 색상별 현상기유닛트(Y.M.C.B)의 현상제(7)가 감광드럼(1)상에 선택적으로 현상되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현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현상기유닛트(Y.M.C.B)는 그 내부에 현상제(7)의 회전슬리이브(16)가 내장되는 구조를 이루되, 회전슬리이브(16)내에는 주극자성체(4)와 자성체(5, 6)가 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현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체(2)의 회전시 현상기유닛트(3)로부터 현상제(7)가 낙하되지 않도록 현상제규제브레이드(17)가 갖추어짐과 동시에 자성체(6)에는 300∼1000가우스의 자력이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현상장치.
KR1019890017605A 1989-11-30 1989-11-30 칼라현상장치 KR930008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7605A KR930008127B1 (ko) 1989-11-30 1989-11-30 칼라현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7605A KR930008127B1 (ko) 1989-11-30 1989-11-30 칼라현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235A KR910010235A (ko) 1991-06-29
KR930008127B1 true KR930008127B1 (ko) 1993-08-26

Family

ID=19292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7605A KR930008127B1 (ko) 1989-11-30 1989-11-30 칼라현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1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376B1 (ko) * 2004-09-30 2005-01-13 주식회사 학산 후족 통제형 고기능성 안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235A (ko) 199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116969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20640B1 (ko) 전자사진장치
KR970071166A (ko) 칼라 전자사진 장치
KR930008127B1 (ko) 칼라현상장치
US20130034372A1 (en) Method and system to reduce high-frequency banding for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stations
US5008691A (en) Multi-color electrophotograph apparatus
JP334722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02891A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87267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06273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333726A (ja) 画像形成装置
JPS5983176A (ja) 静電潜像現像装置
JPS61254959A (ja) 画像形成装置
US8224209B2 (en) High-frequency banding reduction for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100228700B1 (ko) 전자사진 방식의 프린터 및 복사기에서의 칼라 화상형성 장치
JPH0540406A (ja) 画像形成装置
JPH06161254A (ja) 現像装置
JPS6355572A (ja) 二成分現像装置
JP4555792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3140461A (ja) 現像装置
JPH05119602A (ja) 電子写真装置
JP2004333725A (ja) 画像形成装置
JPH11249424A (ja) 現像装置
JPH0625880B2 (ja) カラ−複写機の現像装置
JPH1130554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