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091Y1 - 필기구용 캡 - Google Patents
필기구용 캡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08091Y1 KR930008091Y1 KR2019910011145U KR910011145U KR930008091Y1 KR 930008091 Y1 KR930008091 Y1 KR 930008091Y1 KR 2019910011145 U KR2019910011145 U KR 2019910011145U KR 910011145 U KR910011145 U KR 910011145U KR 930008091 Y1 KR930008091 Y1 KR 93000809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
- rib
- groove
- grooves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43K23/12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with means for preventing choking
- B43K23/124—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with means for preventing choking comprising an air passage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Jib Crane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 내지 제 4 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정면도, 양단부의 단부도 및 제 1 도 A-A에서 취한 단면도.
제 5 도 내지 제 7 도는 제2실시예의 정면도 및 양단부의 단부도.
제 8 도 내지 제 13 도는 제3실시예의 사시도,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캡본체 2 : 개구부
3 : 리브 4 : 홈
4' : 고리홈 6 : 결합부
8 : 연결지지부
본 고안은 잘못하여 삼키더라도 질식을 초래하지 않는 필기구용 캡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필기구 선단부를 기밀(기밀)시켜 잉크의 증발을 방지하는 형의 필기구용 캡에 있어서, 잘못하여 삼킨 경우에도 축방향으로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외통내에 내통을 구성하고, 내통으로 필기구의 선단부를 덮어 기밀시키는 한편, 내통과 외통간의 간격에 의해 축방향으로 통기성을 확보하는 것(실개평 1-139595호, 실개평 1-169385호)이 있으며, 또한 외주에 세로홈을 나란하게 형성하고, 캡내부로 연통시켜, 잘못하여 삼킨경우에도 이들 홈을 통하여 축방향의 통기성을 유지하게 구성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것에서, 내통과 외통을 분리하여 복수의 캡 본체를 특히 일체로 형성하는데는 그 제조 공정이 복잡하게 되고 부품수도 증가하여, 예로서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하더라도 높은 비용을 초래하며, 또한 외주면에 축방향, 폐쇄단 모서리에서 캡본체내부를 지나 개구부단 모서리에 이르는 공기 통로를 설치하는 것은 제조상, 설계상 사용하는데 제약이 초래되고, 아울러 주면에 설치하는 리브에 의하여 캡내면의 기밀부분에 성형시 싱크 마크가 발생하여 기밀이 불완전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결점을 개선하고, 일체 성형이 용이하여 가격을 저감하고, 나아가서는, 수축에 의한 기밀의 불완전을 개량함과 아울러 삼킴에 의한 질식을 완전하게 방지하려는 것이다.
그때문에, 일단을 개구하는 캡본체의 타단의 폐쇄단 모서리에서 축방향으로 홈을 나란하게 형성하고, 상기 홈단부에 임하여 일단부가 상기 홈위에서 연장하고 타단부는 개구 모서리 부근까지 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캡본체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서, 아울러 리브를 지지하는 연결지지부를 결합부 외면 근방을 피한 위치에 형성함에 의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갖춤으로서, 이 캡을 성형하는 경우, 뽑기형 다이로서 간단히 금형으로 일체로 성형할 수 있고, 아울러, 이 캡을 잘못하여 삼킨 경우에도, 홈을 나란하게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리브의 일단부가 홈위로 연장 돌출하고 타단부는 개구 모서리부근에 이르기까지 연장하여 있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축방향에 공기통로가 형성되므로, 캡에 의한 질식을 면하게 되고, 아울러, 연결지지부를 결합부 외면근방을 피함으로써, 성형시 리브에 의한 수축이 결합부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하여, 기밀을 완전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부호는 동일 부품을 나타내며, 제 1 도 내지 제 4 도는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1은 캡본체로서, 한쪽을 개구부(2), 다른쪽을 폐쇄부로하여, 이 개구부(2)부터 필기구 선단부(제 10 도 참조)를 삽입하면, 필기구 선단부를 기밀상태로 덮는바, 3은 캡 본체(1)의 개구부(2)에 이르기까지 축방향으로 연장하며 캡본체의 외주로부터 돌출하여 캡 본체(1)에 대향 설치되는 리브로서, 이 리브(3)의 개구부와 반대측의 단부는 상기 캡 본체(1)의 폐쇄단 모서리에서 거의 중앙까지 형성되는 홈(4)의 단부근처에서 그 홈(4)위로 연장돌출하게 형성된다.
5는 홈(4)사이의 캡 본체 표면이다.
제1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므로, 그 일체 성형이 용이하고, 금형도 간단하며, 잘못하여 삼키는 경우도, 홈(4)과, 홈(4)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캡 본체(1) 표면에서 돌출하는 리브(3)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연속한 필요단면을 가지는 공기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제 5 도 내지 제 7 도에 나타내는 것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 홈(4)을 그 단부에서 고리홈(4')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제2실시예이고, 그외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 구성을 갖춘다.
제2실시예는 상기 고리홈(4')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홈(4)들중 하나가 막히더라도 다른 홈(4)에서 유입하는 공기는 고리홈(4')에 의하여 캡본체(1)표면으로 안내되어, 리브(3)의 주위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축방향으로 연결한 공기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제 8 도 내지 제 13 도에 나타내는 것은 제3실시예로서, 비교적 긴 홈(4)사이에 폭이 좁은 리브상의 격벽(5)을 갖추고, 상기 홈(4)에 임하여 이 홈(4)상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캡 본체(1)표면에서 돌출하는 1개의 리브(3)를 단부를 거의 개구부(2)부근까지 연장하게 일체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 12 도 및 제 13 도는 홈(4)과 격벽(5)의 변형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 8 도의 2점 쇄선부분(금형패턴)에서 좌우로 금형을 빼내면, 쉽게 캡을 성형할 수 있고, 그 금형도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리브(3)를 캡 본체에 연결지지부(8)가 결합부(6) (기밀링)외면 근방을 피하는 위치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성형시 리브(3)의 수축에 의한 왜곡 변형이 결합부(6)에 영향을 주지않아, 필기구 선단부의 기밀이 완전하게 행해지며, 이 구성에 의하여 잘못하여 삼키게 되는 경우 질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7은 필기구 선단부에 결합했을때의 흔들림 방지부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일체 성형이 용이하고, 기밀부에 수축에 의한 왜곡변형을 초래하지 않고, 가격을 저감하며, 홈과 리브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임의로 설계할 수 있으며, 폭넓은 설계가 가능하게되고, 잘못하여 삼킴에 의한 질식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Claims (2)
- 일단부에 개구부(2)가 있는 캡 본체(1)의 타단부의 폐쇄단 모서리에서 축방향으로 홈(4)들을 형성하고, 상기 홈 단부에 임하여 그 홈위로 일단부가 연장하고 개구부의 모서리까지 도달하는 리브(3)를 캡 본체 표면(5)으로부터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홈들(4)을 그 단부에서 고리홈(4')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캡.
- 제 1 항에 있어서, 리브(3)를 지지하여 캡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지지체(8)가 결합부(6) 외면 근방을 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0802990 | 1990-10-17 | ||
JP108029 | 1990-10-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07769U KR920007769U (ko) | 1992-05-19 |
KR930008091Y1 true KR930008091Y1 (ko) | 1993-12-08 |
Family
ID=14474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10011145U KR930008091Y1 (ko) | 1990-10-17 | 1991-10-16 | 필기구용 캡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0481479B1 (ko) |
KR (1) | KR930008091Y1 (ko) |
DE (1) | DE69108340T2 (ko) |
ES (1) | ES2071186T3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738080B (zh) * | 2013-12-25 | 2016-04-13 | 宁波江北瑞臣工艺品设计有限公司 | 防止小孩开启的笔 |
DE202015004739U1 (de) * | 2015-07-02 | 2016-10-05 |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Kg | Schoner für einen Stift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E906095A (fr) * | 1986-12-30 | 1987-04-16 | Aermi Internat S A | Stylo a jeter. |
IT213920Z2 (it) * | 1988-02-29 | 1990-03-01 | Dobell Spa | Cappuccio per strumenti di scrittura atto a consentire il passaggio di un flusso d'aria attraverso di esso. |
DE3920463C1 (en) * | 1989-06-22 | 1991-01-31 | J. S. Staedtler Gmbh & Co, 8500 Nuernberg, De | Suffocation preventer for pen cap - consists of sleeve or ring with air passage |
ES2111222T3 (es) * | 1989-12-16 | 1998-03-01 | Tombow Pencil | Una tapa para instrumentos de escritura que contengan tinta. |
-
1991
- 1991-10-16 KR KR2019910011145U patent/KR93000809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1-10-17 DE DE69108340T patent/DE69108340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1-10-17 EP EP91117739A patent/EP048147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1-10-17 ES ES91117739T patent/ES2071186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S2071186T3 (es) | 1995-06-16 |
EP0481479B1 (en) | 1995-03-22 |
DE69108340T2 (de) | 1995-09-28 |
KR920007769U (ko) | 1992-05-19 |
DE69108340D1 (de) | 1995-04-27 |
EP0481479A1 (en) | 1992-04-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51015A (en) | Protective cap for a writing, drawing or applicator implement | |
JP2631391B2 (ja) | フイルター付きタンク | |
CA2051472C (en) | Writing instrument's cap | |
KR930008091Y1 (ko) | 필기구용 캡 | |
EP0477316A1 (en) | Writing instrument cap | |
JP3793930B2 (ja) | 筆記具用キャップ | |
JP3769074B2 (ja) | ガスケット付き成形キャップ | |
US5316402A (en) | Penholder cap | |
JP2542049Y2 (ja) | 筆軸キャップ | |
JP2552154Y2 (ja) | 筆記具のキャップ | |
JP2528460Y2 (ja) | 筆軸用キャップ | |
JP3582158B2 (ja) | 筆記具のキャップ | |
JP3756247B2 (ja) | 筆記具等のキャップ | |
JPH0864301A (ja) | 防水コネクタ | |
JP3939845B2 (ja) | 筆記具のキャップ | |
JPH077199Y2 (ja) | 筆記具等のキャップ | |
WO1991008115A1 (en) | Cap | |
JPH0712061Y2 (ja) | 筆記具等のキャップ | |
JPH10166785A (ja) | 筆記具等のキャップ | |
JP2579707Y2 (ja) | 筆記具のキャップ | |
JP2640169B2 (ja) | 筆記具用キャップ | |
JPH04104490U (ja) | 筆記具のキヤツプ | |
JP3865902B2 (ja) | 筆記具等のキャップ | |
JP4367159B2 (ja) | 車両用灯具 | |
JPH0629887U (ja) | 筆記具等のキャッ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927 Year of fee payment: 13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