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617B1 - 체결류 부품이나 전자부품 등의 단조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체결류 부품이나 전자부품 등의 단조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617B1
KR930007617B1 KR1019910017118A KR910017118A KR930007617B1 KR 930007617 B1 KR930007617 B1 KR 930007617B1 KR 1019910017118 A KR1019910017118 A KR 1019910017118A KR 910017118 A KR910017118 A KR 910017118A KR 930007617 B1 KR930007617 B1 KR 930007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am
die
wir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7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693A (ko
Inventor
임정환
Original Assignee
임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환 filed Critical 임정환
Priority to KR1019910017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617B1/ko
Priority to JP3344483A priority patent/JPH0767594B2/ja
Publication of KR930005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6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44Making machine elements bolts, studs, or the like
    • B21K1/46Making machine elements bolts, studs, or the like with heads
    • B21K1/48Machines working with hammers, e.g. beating in a radial direction, for forming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체결류 부품이나 전자부품 등의 단조성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기계본체에서 승하강되는 다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일부 발취사시도.
제3도 (a)∼(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일부 횡단면도.
제4도는 절단칼날 작동용 캠판이 종동축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제5도 (a)(b)(c)는 캠판이 1회 왕복될 때 절단칼날이 철선을 2회 절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평단면도.
제6도 (a)(b)는 주동축에 설치된 철선 휘드용 링크의 작동상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구성중 타격핀이 설치된 다이의 요부확대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서 기계본체내에 설치된 상하 타격간 사이의 중심라인 선상에 철선진입공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주동축 4 : 왕복대
5 : 타격금형대 6 : 제 1 타격금형
7a, 7b : 제 2 타격금형 8 : 소재
9 : 다이 10, 11 : 상하 성형공
13 : 종동축 14, 22 : 캠
20 : 절단칼날 24 : 레버
25 : 철선 30, 31 : 상하타격간
Y : 상하타격간 사이의 중심라인 32 : 철선진입공
본 발명은 리빗트 등의 체결류부품이나 릴샤프트와 같은 전자부품을 2공정으로 단조 성형하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타격금형대의 중앙에는 1차 타격금형을, 그 상하에는 2차 타격금형을 설치하여 왕복대를 따라 전, 후진만이 되도록 하고, 2개의 소재 성형공이 형성된 다이는 상하로 승하강되게 하여 타격금형대와 소재의 공급이 1 : 1로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종래의 단조 기계장치에 비하여 2배의 생산능률을 올릴수 있도록 한 발명으로서, 특히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한 1991년 특허출원 제2515호의 개량 발명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부품들을 2공정으로 타격하여 단조 성형하는 종래의 기계장치는 상하로 제1, 제2 타격금형이 나란히 설치된 타격금형대가 왕복대로부터 승, 하강되면서 타격하도록 되어 있고 소재 성형공이 형성된 고정다이는 고정되어 있어 소재가 공정다이의 일측 성형공으로 밖에 공급이 안되므로서 2공정에 의한 제품을 형성하려면 왕복대가 2회 왕복되어야만 1개의 제품이 성형되었기 때문에 작업시간에 비해 생산량이 적은 결점이 있다.
따라서 생산량을 배가하기 위해 타격금형대와 소재의 공급이 1 : 1로 이루어지면서 타격금형대가 1회 작동할 때 1개의 제품이 성형되도록 본원 출원인이 발명하여 특허출원 제91-2515호 선출원한 것이 있는데, 이는 절단 칼날을 작동시키는 캠판이 주동축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것이기 때문에 캠판의 작동속도가 굉장히 빠르게 됨에따라 기계적소음과 진동이 심해 작업자의 청각장애를 유발시키고 기계자체에 무리를 주어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캠판의 작동속도를 1/2로 줄여서 기계적소음과 진동을 약하게 하면서도 소재공급은 타격금형대와 1 : 1로 작동되게 한 것인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동축(2)와 크랭크암(3)에 의해 작동되는 왕복대(4)를 따라 전후진만이 되도록 설치한 타격금형대(5)의 중앙에는 제1타격금형(6)을 설치하고 그 상하에는 제2타격금형(7a)(7b)을 설치하며, 다이(9)는 상하에 성형공(10)(11)을 형성하여 종동기어(21)의 캠(22)으로 작동되는 링크(23) 및 이의 레버(24)에 의해 상하 타격간(30)(31)이 설치된 기계본체(1)로부터 승하강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하 타격간(30)(31) 사이의 중심라인(Y) 선상에 철선 진입공(32)을 형성한후 다이(9)의 상승시에는 상측 성형공(10)과 상측 타격간(30)이, 하강시에는 하측 성형공(11)과 하측 타격간(31)이 일치되도록 설치하고, 종동축(13)과 회전비율이 1 : 2인 주동축(2)의 일단에는 캠(14)에 의해 작동되는 철선 휘드용 링크(15)를 설치하고 절단칼날(20)을 작동시켜 주는 캠판(17)에는 "" 형으로 후진궤도홈(16) 양측에 전진궤도홈(19)(19a)을 형성한후 종동기어(21)에 크랭크간(18)으로 연설하여 캠판(17)이 1회 왕복될때 절단칼날이 2회 전진 작동되도록 하므로서 철선(25)의 진입과 절단에 의한 소재(8)의 공급이 1 : 1이 되도록 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부호(4a)는 로드이며, (40)(41)은 상하 성형공(10)(11)내에 설치된 타격핀, (50)(51)은 타격간(30)(31)의 링크(60)(61)를 각각 작동시키기 위해 종동축(13)에 대향 축설된 캠이며, (27)은 철선(25)을 일정길이로 진입시키는 이송로울러(26)와 동일축상에 설치된 래칫기어, (28)은 철선휘드용 링크(15)에 의해 래칫기어(27)를 회전시켜주는 제어구이며, (M)은 모우터, (29)는 풀리, (80)은 성형완료된 제품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발명은 제3도 (a)에서와 같이 종동기어(21)의 캠(22)으로 작동되는 링크(23) 및 레버(24)에 의해 다이(9)가 하강된 상태에서 종동기어(21)가 1/2바퀴 회전되는 동안(다이(9)가 하강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주동축(2)이 1회전하여 캠(14)에 연설된 철선휘드용 링크(15)를 1회 작동시키면 이에 기계적으로 연설된 이송로울러(26)가 철선(25)을 일정 길이만큼 철선진입공(32)으로 진입시킨다.
이때 제5도 (a)와 같이 종동기어(21)의 크랭크간(18)으로 작동되는 캠판(17)이 전진하여 전진궤도홈(19)에 절단칼날(20)의 후미가 위치되면 절단칼날(20)이 전진하면서 진입된 철선(25)을 절단하여 철선진입공(32)과 일직선상에 위치한 상측 성형공(10)으로 소재(8 : 철선(25)을 절단한 것임)를 공급하는 것이며, 그 즉시 왕복대(4)가 전진하여 제3도 (a)와 같이 타격금형대(5)의 중앙에 위치한 제1타격금형(6)이 동일선상에 위치한 소재(8)를 상측 성형공(10)으로 밀어 넣으면서 1차 성형할 때 캠판(17)이 제5도 (b)와 같이 후진됨에 따라 후진궤도홈(16)에 의해 절단칼날(20)은 후진되며 이때 하부에 위치한 제2타격금형(7b)은 처음 가동시에는 동일선상에 위치한 하측 성형공(11)에 소재(8)가 없으므로 공타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그후 왕복대(4)가 후진될 때 캠(51)으로 작동되는 타격간(31)이 제3도 (a)와 같이 동일선상에 위치한 하측 성형공(11)내의 타격핀(41)을 전진시키게 되나 이때 역시 하측 성형공(11)에는 처음 가동됨으로 인해 소재(8)가 없으므로 공타를 하게된다.
이와같이 된 후 타격핀(41)을 전진시킨 타격간(31)이 후진되면 종동기어(21)의 회전에 의해 캠(22) 위치가 바뀌면서 제3도 (b)상태와 같이 다이(9)가 상승되며 이와같이 다이(9)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종동기어(21)가 1/2바퀴 회전되는 동안) 또다시 주동축(2)이 1회전되면서 캠(14)에 의해 철선휘드용 링크(15)가 작동되어 철선(25)이 제5도 (b)와 같이 재진입되는 것과 동시에 캠판(17)이 더욱 후진됨에 따라 절단칼날(20)은 다시 진입된 철선(25)을 절단하여 제5도 (c)와 같이 상승된 하측 성형공(11) 앞으로 새로 절단된 소재(8)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때 후진되었던 왕복대(4)가 전진하여 제3도 (c)와 같이 타격금형대(5)의 상부에 위치한 제2타격금형(7a)은 상측 성형공(10)내의 1차 성형된 소재(8)를 2차 성형하는 것이고, 중앙부의 제1타격금형(6)은 하측성형공(11)에 공급된 새소재(8)를 1차 성형하게 된다.
그후 제3도 (d)와 같이 왕복대(4)가 후진되면 상측 성형공(10)과 일치된 상측 타격간(30)이 작동하여 상측 성형공(10) 후미의 타격핀(40)을 밀어주므로 타격핀(40)은 전진하여 상측 성형공(10)내의 2차 타격되어 성형완료된 제품(80)을 외부로 낙하시켜 준다.
이와 같이 된후 제3도 (d)와 같이 종동기어(21)의 캠(22) 위치가 또다시 변함에 따라 다이(9)가 하강되고 이와 같이 다이(9)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종동기어(21)가 1/2바퀴 회전하는 동안) 주동축(2)이 1회전되면서 전술한 작동과정에 의해 철선(25)의 진입과 절단칼날(20)의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면서 제3도(d)에서와 같이 새로운 소재(8)가 하강된 상측 성형공(10) 앞으로 공급되며 이와동시에 왕복대(4)가 전진하여 중앙부의 제1타격금형(6)은 새로운 소재(8)를 비어있는 상측 성형공(10)으로 밀어넣어(이때 전진되었던 타격핀(40)은 진입되는 소재(8)에 밀려 들어가게 되나 스프링에 의해 타격핀(40)이 타격작업후 원위치로 미리 후진되게 할수도 있음) 1차 성형을 하고 하부의 제2타격금형(7b)은 하측성형공(11)내의 1차 성형된 소재(8)를 2차 성형하여 주는 것이다.
그후 왕복대(4)가 후진되면 즉시 타격간(31)에 의해 타격핀(41)이 전진하여 성형완료된 하측 성형공(11)의 제품(80)을 낙하시켜줌과 동시에 또다시 종동기어(21)의 캠(22)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다이(9)는 또다시 상승되며 그후 전술한 작동과정을 반복하면서 연속적으로 제품(80)을 성형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주동축(2)으로 작동되는 타격금형대(5)와 철선휘드용 링크(15)가 2회 작동될때 캠판(17)은 주동기어(12)와 회전비율이 2 : 1인 종동기어(21)에 의해 1회 왕복되면서도 ""형으로 형성된 전,후진 궤도홈(19)(19a), (16)에 의해 절단칼날(20)을 2회 작동시켜 주는 것이기 때문에 캠판(17)이 작동될때의 기계적 소음이 매우적은 것이며, 타격금형대(5)의 왕복운동과 철선(25)의 진입 및 절단에 따른 소재(8)의 공급이 1 : 1로 이루어지되 공급되는 소재(8)가 승하강되는 다이(9)의 상하 성형공(10)(11)에 교대로 공급되게 하므로서 주동축(2)과 종동축(13)의 회전비율은 종래와 같이 2 : 1이면서도 타격금 형대(5)가 설치된 왕복대(4)가 1회 왕복운동 할때마다 2공정으로 타격성형된 제품이 1개씩 완성되어 낙하되기 때문에 종래의 기계장치에 비해 2배의 생산능률을 올릴수가 있으며, 이러한 생산성 향상에 의해 상당히 낮출수가 있으므로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향상시킬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중앙에는 제1타격금형(6)을 그 상하에는 제2타격금형(7a)(7b)이 설치된 타격금형대(5)를 주동축(2)의 크랭크암(3)으로 왕복 작동되는 왕복대(4)에 설치하고, 기계본체(1)에는 상하에 성형공(10)(11)이 형성된 다이(9)를 종동축(13)의 캠(22)에 의해 승강되게 설치한 것에 있어서 절단칼날(20)을 작동시키는캠판(17)에 ""형의 전,후진 궤도홈(19a)(19b)(16)을 형성한 후 주동축(2)과 회전비율이 2 : 1인 종동축(13)의 종동기어(21)에 크랭크간(18)으로 연설하여 타격금형대(5)의 타격작동과 소재(8)의 전단공급이 1 : 1비율로 행하여 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류 부품이나 전자부품 등의 단조성형장치.
KR1019910017118A 1991-09-30 1991-09-30 체결류 부품이나 전자부품 등의 단조성형장치 KR930007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7118A KR930007617B1 (ko) 1991-09-30 1991-09-30 체결류 부품이나 전자부품 등의 단조성형장치
JP3344483A JPH0767594B2 (ja) 1991-09-30 1991-12-26 締結類部品や電子部品等の鍛造成型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7118A KR930007617B1 (ko) 1991-09-30 1991-09-30 체결류 부품이나 전자부품 등의 단조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693A KR930005693A (ko) 1993-04-20
KR930007617B1 true KR930007617B1 (ko) 1993-08-14

Family

ID=1932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7118A KR930007617B1 (ko) 1991-09-30 1991-09-30 체결류 부품이나 전자부품 등의 단조성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67594B2 (ko)
KR (1) KR9300076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420B1 (ko) * 2000-06-19 2003-12-31 주식회사 인터씰 충격단조 성형기
KR100497642B1 (ko) * 2001-12-29 2005-07-01 (주)신명산업 리벳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20030095043A (ko) * 2002-06-11 2003-12-18 한국화학연구원 할로게나이드계 청색 형광체의 조성 및 제조방법
KR20030095041A (ko) * 2002-06-11 2003-12-18 한국화학연구원 할로게나이드계 녹색 형광체의 조성 및 제조방법
CN105170867B (zh) * 2015-10-14 2017-06-06 嘉善宝拓机械设备有限公司 螺钉头打弯装置及加工弯头螺钉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53761A (ko) * 1974-05-31 1975-12-11
JPS609544A (ja) * 1983-06-27 1985-01-18 Joto Kikai Kogyo Kk パ−ツフオ−マ−
JPS62101339A (ja) * 1985-10-29 1987-05-11 Asahi Okuma Ind Co Ltd 2ダイス3ブロ−式ヘツ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693A (ko) 1993-04-20
JPH0767594B2 (ja) 1995-07-26
JPH05104189A (ja) 199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1710B1 (ko) 양방향 단조 성형장치
KR930007617B1 (ko) 체결류 부품이나 전자부품 등의 단조성형장치
US3938208A (en) Knockout mechanism for a high-speed automatic cold heading machine
US4272978A (en) Progressive stage forging machine
US3919874A (en) Heading machines
US2747205A (en) Heading machines for bolts, screws, rivets, and the like
US6751997B1 (en) Stamping press arrangement and method
KR100196347B1 (ko) 헤딩머신
KR930004504B1 (ko) 단조기의 양측 가공물 연속 제조장치
KR100512264B1 (ko) 헤딩머신에 의한 슬리브핀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530312A (en) Wire stitching mechanism
US3381513A (en) Rod heading and trimming method and machine
KR920004841Y1 (ko) 헤딩 머신
KR930004506B1 (ko) 단조 성형되는 체결류 부품이나 전자부품등의 제조장치
KR850001295Y1 (ko) 쇠톱날 성형장치
US4170123A (en) Convertible multiple blow two die cold header
CN1400069A (zh) 全自动打箔机
US2763878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cut nails
US4091486A (en) Punch knock-out mechanism for header
KR930007073B1 (ko) 2-다이 3-브로우 헤더장치
KR790001848Y1 (ko) 다단식 헤딩머신(多段式 Heading Machine)
SU963666A1 (ru) Холодновысадочный пресс-автомат
CA1048210A (en) Automatic high-speed cold heading machine
SU1139551A1 (ru) Гибочно-штамповочный автомат
USRE25676E (en) Cold header dr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1

Year of fee payment: 1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