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535Y1 - 초기 전원 구동 회로 - Google Patents

초기 전원 구동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535Y1
KR930007535Y1 KR2019880012255U KR880012255U KR930007535Y1 KR 930007535 Y1 KR930007535 Y1 KR 930007535Y1 KR 2019880012255 U KR2019880012255 U KR 2019880012255U KR 880012255 U KR880012255 U KR 880012255U KR 930007535 Y1 KR930007535 Y1 KR 930007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diode
power
sc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2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876U (ko
Inventor
최병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80012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535Y1/ko
Publication of KR9000038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8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5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6Means for providing current step on switching, e.g. with saturable reac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초기 전원 구동 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초기 전원 구동 회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각부 전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 제어 IC PT : 포지티브 써어미스터
BD1: 브리지 다이오우드 D8, D9: 다이오우드
DG1: 디가우싱 코일 PC1: 포토 커플러
SCP1: 다이리스터 ZD1: 제너다이오우드
본 고안은 스위칭 전원 회로의 초기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가우싱(Degaussing)코일에 흐르는 전류 파형을 이용하여 스위칭 전원 회로가 고효율적으로 초기 구동 되도록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구성은 제 1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AC 전원의 다이오우드(D1~D4)로 구성된 브리지 다이오우드(BD1)와 콘덴서(C1)를 거쳐 전원 트랜스(T1)의 일차측에 연결되고, 상기 브리지 다이오우드(BD1)의 다이오우드(D3)(D4) 연결점은 다이오우드(D5)와 저항(R1)을 거쳐 전원 제어 IC(10)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제어 IC(10)는 일측으로 콘덴서(C2)와 다이오우드(D6)를 거쳐 전원 트랜스(T1)의 일차측에 연결되며 콘덴서(C3)와 저항(R3) 및 트랜지스터(Q1)를 통해 전원 트랜스(T1)의 일차측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스(T1)의 이차측은 다이오우드(D3)와 콘덴서(C4)를 거쳐 고압단(H)(V)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상기 회로 구성의 동작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서 전원 제어 IC(10)는 일반적으로 DC 12[V]를 전원으로 필요로 하므로, AC 12[V]전원이 인가되면 다이오우드(D5)로서 반파 정류하여 저항(R1)을 통해 전원 제어 IC(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에 따라 전원 제어 IC(10)가 동작하여 트랜지스터(Q1)를 구동시키게 되면 전원 트랜스(T1)가 구동되어 다이오우드(D6)를 통하여 전원 트랜스(T1)로 부터 나오는 전압을 정류하여 전원 제어 IC(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기존의 기술에 있어서는 전원부가 정상 동작을 계속 하더라도 다이오우드(D5)와 저항(R1)을 통하여 전류가 계속 흐르므로 저항(R1)에 의한 열손실이 크게 되었으며, 이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저항값이 큰 저항을 사용해야 하나 이때에는 낮은 AC 입력이 인가되면 전원 제어 IC(10)가 스타트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AC 리플 전류에 의해 전원부의 노이즈가 커지게 되어 전원부의 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시킨 본 고안의 기술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초기 전원 구동 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그의 연결 구성을 살펴보면, AC 전원이 브리지 다이오우드(BD1)와 콘덴서(C1)를 거쳐 전원 트랜스(T1)의 일차측 연결되고, 전원 제어 IC(10)의 전원단자(ts)는 콘덴서(C2)와 다이오우드(D6)를 거쳐 전원 트랜스(T1)의 내부 코일에 연결되며 그의 출력단자(ts)는 콘덴서(C3)와 저항(R3) 및 트랜지스터(Q1)를 거쳐 전원 트랜스(T1)의 일차측에 연결되는 기존의 회로에 있어서, 상기 AC 전원단에 포지티브 서어미스터(PT1)와 디가우싱 코일(DG1)을 각각 연결하여 공통 접속하고, 상기 디가우싱 코일(DG1)의 일단에는 포토다이오우드와 포토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포토 커플러(PC1)를 연결하여 포토 다이오우드의 캐소우드가 저항(R4)과 다이오우드(D8)를 거쳐 디가우싱 코일(DG1)과 포지티브 써어미스터(PT1)의 연결점에 접속하고, 상기 포토 커플러(PC1)의 포토 트랜지스터 콜렉터는 다이리스터(SCR1)의 애노우드와 연결되며 동시에 저항(R5)과 제너 다이오우드(ZD1)를 거쳐 AC 전원단에 접속하고 포토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접지된 저항(R6)과 연결되어 다이리스터(SCR1)의 게이트에 접속되고, 상기 다이리스터(SCR1)의 캐소우드는 다이오우드(D9)를 거쳐 전원 제어 IC(10)의 전원 단자(ts)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상기 회로 구성의 동작 상태 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동작은 제 2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AC 입력 전원이 브리지 다이오우드(BD1)를 통해 직류 전원으로 되어 전원 트랜스(T1)의 일차 코일에 각각 인가되게 되고, 전원 트랜스(T1)의 내부 코일에 인가된 전압은 다이오우드(D1)와 콘덴서(C2)를 거쳐 전원 제어 IC(10)의 전원 단자(ts)로 초기 스타링 전원 공급하며 전원 제어 IC(10)의 출력단자(tc)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트랜지스터(C1)를 온/오프시켜 전원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초기 스타링 전원 인가시에는 디가우싱 코일(DG1)에 제 3a 도와 같은 링잉 파형이 발생되는데, 이 링잉 파형은 초기치에 가장 크게 나타나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류가 흐르지 않는 특성을 갖고 다이오우드(D8)를 거쳐 반파 정류되어 제 3b 도와 같은 파형으로 된후, 포토 커플러(PC1)의 포토다이오우드 양단에 인가되게 된다.
상기에 따라 포토 다이오우드의 양단에 인가되는 신호의 변화 상태에 따라서 포토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에미터에 출력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때 에미터의 출력 신호는 다이리스터(SCR1)의 게이트에 인가되어 다이리스터(SCR1)를 구동시키므로 제너다이오우드(ZD1)에 의한 드롭(Drop) 전압이 생기면서 AC 전압성분이 다이오우드(D9)를 거쳐 제 3c 도와 같이 되어 초기 스타트 회로인 전원 제어 IC(10)의 전원단자(ts)에 인가되게 되고, 이로서 전원 제어 IC(10)가 동작하여 스타링 전압이 순간적으로 가해지다가 디가우싱 코일(DG1)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 다이리스터(SCR1)의 게이트에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므로 다이리스터(SCR1)가 오프되어 AC 전원을 차단시키며 다이오우드(D6)를 통한 전압만이 전원 제어 IC(10)에 인가되어 효율이 좋게 되며 초기 구동이 좋게 된다.
여기서 제너 다이오우드(ZD1)는 일정 전압을 다운시키면서 콘덴서(C2)에 충전되는 시간을 짧게 하는 효과가 있어 더욱 빠르게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초기 전원 구동 회로는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스위칭 전원이 정상 동작시에는 스타트 회로에 의한 전력 손실이 없게 되며 스타트시 짧은 기간중에만 제너다이오우드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다가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디가우싱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스위칭 전원 회로의 효율을 높이게 되며 초기 스타트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초기 스타트 회로인 전원 제어 IC(10)를 포함하는 스위칭 전원 제어 회로에 있어서, AC 전원단에 포지티브 써어미스터(PT1)와 디가우싱 코일(DG1)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디가우싱 코일(DG1)의 일단은 다이오우드(D8)와 저항(R4)을 거쳐 포토커플러(PC1)에 연결되고, 상기 포토 커플러(PC1)의 포토 트랜지스터와 콜렉터는 다이리스터(SCR1)의 애노우드와 연결되어 제너다이오우드(ZD1)를 거쳐 AC 전원단에 접속되고, 포토 트랜지스터에 에미터는 다이리스터(SCR1)의 게이트에 연결되며 다이리스터(SCR1)의 캐소우드는 다이오우드(D9)를 거쳐 전원 제어 IC(10)의 제어단자(ts)에 접속되어 디가우싱 코일에 흐르는 전류 파형을 이용하여 스위칭 전원 회로가 효율적으로 초기 구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전원 구동 회로.
KR2019880012255U 1988-07-28 1988-07-28 초기 전원 구동 회로 KR930007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2255U KR930007535Y1 (ko) 1988-07-28 1988-07-28 초기 전원 구동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2255U KR930007535Y1 (ko) 1988-07-28 1988-07-28 초기 전원 구동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876U KR900003876U (ko) 1990-02-08
KR930007535Y1 true KR930007535Y1 (ko) 1993-11-03

Family

ID=19277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2255U KR930007535Y1 (ko) 1988-07-28 1988-07-28 초기 전원 구동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5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876U (ko) 199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11769A (ja) スイッチモード電源
JP2005143287A (ja) 集積同期整流器パッケージ
US4300191A (en) Pulse width modulated current fed inverter power supply
US5406469A (en) Electronic switching power supply
KR930007535Y1 (ko) 초기 전원 구동 회로
US4656570A (en) Self-balancing push-pull square wave converter type of switched power supply
US6548983B2 (en) PWM-pulse control system
US20040174721A1 (en) Switching power supply unit
JP3487573B2 (ja) 整流平滑回路および整流平滑方法
JPH05176541A (ja) 補助電源回路
JP2687290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563385B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装置
KR200176401Y1 (ko) 캐패시터 돌입 전류방지 회로
CN209881396U (zh) 一种电机驱动芯片的防过流保护电路
US4602323A (en) Single-ended transformer drive circuit
KR100221455B1 (ko) 스위칭 로스 저감 전원장치
KR890002555Y1 (ko) 파우어 트랜지스터 구동 회로
KR920007538Y1 (ko) 초기 시동 회로
JP2977442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KR900001905Y1 (ko) 리모콘 사용기기의 전원릴레이 구동회로
KR950005432Y1 (ko) 전자펌프 구동회로
JP200201708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
KR100521130B1 (ko) 스위치선로 제어전원회로
KR930007547Y1 (ko) 고효율 직류-직류 변환기
KR950003488Y1 (ko) 돌입 전류(Inrush current)제한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