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432Y1 - 전자펌프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전자펌프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432Y1
KR950005432Y1 KR92016685U KR920016685U KR950005432Y1 KR 950005432 Y1 KR950005432 Y1 KR 950005432Y1 KR 92016685 U KR92016685 U KR 92016685U KR 920016685 U KR920016685 U KR 920016685U KR 950005432 Y1 KR950005432 Y1 KR 950005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ump
pump
transistor
trigger
photo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6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965U (ko
Inventor
서문호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 엘지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 엘지전자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92016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432Y1/ko
Publication of KR9400079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9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4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F04B17/04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using solenoid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펌프 구동회로
제 1 도는 종래 전자펌프 구동회로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입력되는 트리거펄스 파형도.
제 3 도는 본 고안 전자펌프 구동회로도.
제 4 도는 제 3 도에 입력되는 트리거펄스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 평활부 2, 20 : 전자펌프
3, 30 : 전자펌프 제어부 BD1: 브리지다이오드
PC1: 포토다이오드 St : 트리거 입력단자
Q1, Q2: 트랜지스터 D1∼D3: 다이오드
본 고안은 전자펌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펌프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인 트리거펄스의 인가시점에 따라 전자펌프의 출력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전자펌프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는 종래 전자펌프 구동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되는 전원(AC)을 반파정류하는 다이오드(D1)와, 그 다이오드(D1)에서 정류된 신호를 평활하는 평활부(1)와, 그 평활부(1)에서 평활된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전자펌프(2)와, 트리거 입력단자(St)에 인가되는 트리거 펄스에 따라 상기 전자펌프(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펌프제어부(3)로 구성되며, 상기 전자펌프제어부(3)는 트리거펄스에 따라 스위칭되는 포토커플러(PC1)와, 그 포토커플러(PC1)의 출력에 따라 전자펌프(2)의 구동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전자펌프 구동회로의 동작과 문제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AC)이 인가되면, 다이오드(D1)는 이 전원(AC)을 반파정류하고, 이 반파정류된 신호는 평활부(1)의 저항(R1)과 콘덴서(C1)에 의해 직류(DC)로 평활되어 전자펌프(2)에 인가된다.
이대 트리거 입력단자(St)에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기 T와 (약20Hz)와 펄스폭 W(3∼7msec)을 갖는 트리거 펄스가 인가될시 트리거 입력단자(St)가 저전위로 유지되면, 전자펌프 제어부(3)의 포토커플러(PC1)가 턴-온된다. 이에따라 그 포토커플러(PC1)의 수광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저전위신호가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되므로 전자펌프(2)는 동작을 하지 않는다.
반대로, 일시적으로 상기 트리거 입력단자(St)가 고전위로 유지되면 포토커플러(PC1)가 턴-오프되어 그의 수광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고전위신호가 출력된다.
이에따라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므로 전저펌프(2)는 일시적으로 왕복운동을 한다.
따라서, 트리거 입력단자(St)로 제 2 도와 같은 트리거 펄스가 인가되면, 전자펌프(2)는 주기적으로 왕복운동을 한다.
이때 주기 T가 8.33msec의 배수인 경우 운전스위치가 온되는 시점에 따라 트리거되는 시점은 +반파이든지, -반파이든지 어느하나가 계속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종래 전자펌프 구동회로는 반파정류를 이용하므로 트리거펄스가 +반파에서 일어나느냐, -반파에서 일어나느냐에 따라서 전자펌프에 전달되는 전력이 차이가 발생되어 전자펌프의 출력이 변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트랜지스터(Q2)의 보호용 다이오드와 콘덴서(C1)의 방전루우프가 없어 상기 구성소자(C1, Q2)가 파손될 우려가 있고, 포토커플러(PC1)의 온-오프에 상관없이 저항(R4)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그 저항(R4)의 용량이 비경제적으로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을 전파정류하여 이를 사용함으로써 트리거가 어느시점에서 일어나든 관계없이 전자펌프에 같은 전력이 인가되도록 하고, 전자펌프가 오프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게 하는 전자펌프 구동회로를 안출할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는 본 고안 전자펌프 구동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을 전파 정류하는 브리지다이오드(BD1)와, 그 브리지다이오드(BD1)에서 정류된 신호를 직류(DC)로 평활하는 평활부(10)와, 그 평활부(10)의 출력전원을 구동전원으로 공급받는 전자펌프(20)와, 트리거입력단자(St)에 인가되는 트리거 펄스에 따라 상기 전자펌프(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펌프 제어부(30)로 구성하며, 상기 전자펌프 제어부(30)는 트리거 입력단자(St)에 인가되는 트리거 펄스에 따라 스위칭되는 포토커플러(PC1)와, 그 포토커플러(PC1)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자펌프(20)의 구동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Q2)와, 그 트랜지스터(Q2)를 보호하는 다이오드(D3)로 구성되며, 상기 포토커플러(PC1)와 트랜지스터(Q2)는 다알링톤 구조로 조합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전원(AC)이 브리지다이오드(BD1)에 인가되면, 그 브리지다이오드(BD1)는 교류전원(AC)을 전파정류하며, 이 전파정류된 전원은 평활부(10)의 저항(R1)과 콘덴서(C1)에 의해 직류(DC)로 평활되어 전자펌프(20)에 인가된다. 이때 저항(R2)은 상기 콘덴서(C1)와 방전 루우프를 형성한다.
이때 트리거 입력단자(St)로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기 T(약 20Hz)와 펄스폭 W(3∼7msec)를 갖는 트리거 펄스가 압력되는데, 만일 트리거 입력단자(St)가 고전위로 유지되면, 포토커플러(PC1)가 턴-오프되므로 저항(R3)에 전압일 걸리지 않게 된다.
이에따라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되므로 전자펌프(20)는 동작을 하지않게 된다.
반대로, 일시적으로 트리거 입력단자(St)가 저전위로 유지하면, 포토커플러(PC1)가 턴-온되므로, 저항(R3)에 전압이 걸리게 된다.
이에따라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므로, 전자펌프(20)는 일시적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트리거 입력단자(St)로 제 4 도와 같은 트리거 펄스가 인가되면, 전저펌프(20)는 주기적으로 왕복운동을 한다.
특히, 평활부(10)의 전파정류에 의해 트리거시점에 관계없이 전력이 일정하게 전자펌프(20)에 전달되며, 또한 포토커플러(PC1)와 트랜지스터(Q2)를 다알링톤으로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저항없이 전류를 제한 증폭할 수 있다.
한편, 다이오드(D3)는 트랜지스터(Q2)에 과전류가 흘러 트랜지스터(Q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저항(R2)에 의해 콘덴서(C1)의 방전 루프를 형성하여 주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전파정류를 이용함으로써 트리거가 어느시점에서 일어나든 관계없이 전자펌프에 같은 전력이 공급되고, 포토커플러(PC1)와 트랜지스터(Q2)를 다알링톤으로 접속하여 전자펌프 구동부를 구성함으로써 원가와 전력손실을 줄일수 있음과 아울러, 저항(R2)에 의해 콘덴서(C1)의 방전루프가 형성되어 구성소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입력 교류전원(AC)을 전파정류하는 브리지다이오드(BD1)와, 상기 브리지다이오드(BD1)의 출력전원을 저항(R1)과 콘덴서(C1)에 의해 직류(DC)로 평활하는 평활부(10)와, 그 평활부(10)의 출력전원을 구동전원으로 공급받는 전자펌프(20)와, 트리거 입력단자(St)에 인가되는 트리거 펄스에 따라 상기 전자펌프(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펌프 제어부(30)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저펌프 구동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자펌프 제어부(30)는 트리거 펄스에 따라 스위칭되는 포토커플러(PC1)와, 그 포토커플러(PC1)와 다알링톤 접속되어 그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자펌프(20)의 구동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Q2)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펌프 구동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평활부(10)의 콘덴서(C1) 양단에 방전루프용의 저항(R2)을 접속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펌프 구동회로.
  4. 제 2 항에 있어서,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콜렉터 사이에 과전류에 의한 파손방지용의 다이오드(D3)를 접속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펌프 구동회로.
KR92016685U 1992-09-02 1992-09-02 전자펌프 구동회로 KR950005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6685U KR950005432Y1 (ko) 1992-09-02 1992-09-02 전자펌프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6685U KR950005432Y1 (ko) 1992-09-02 1992-09-02 전자펌프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965U KR940007965U (ko) 1994-04-15
KR950005432Y1 true KR950005432Y1 (ko) 1995-07-10

Family

ID=1933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6685U KR950005432Y1 (ko) 1992-09-02 1992-09-02 전자펌프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4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965U (ko) 199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01987B2 (ja) 電源供給装置
US6949889B2 (en) Wide input voltage range light emitting diode driver
US20020011602A1 (en) Switching power supply unit
EP0854563A2 (en) Low power and wide input voltage range DC to DC switching converter
KR950005432Y1 (ko) 전자펌프 구동회로
EP0259889A2 (en) Switching regulator type power supply circuit
EP1221759A3 (en) DC/DC converter and self-luminous display apparatus
JPH0429482A (ja) 低出力対応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US7224087B2 (en) Circuit for the control of a triac without galvanic isolation
KR0128665Y1 (ko) 전원공급장치의 출력회로
EP1081837A1 (en) Power supply circuit
JPH0747992Y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KR900001905Y1 (ko) 리모콘 사용기기의 전원릴레이 구동회로
KR0124736Y1 (ko) 에미터 초퍼 전원장치에서 대기 전원의 전력 절전회로
KR910006692Y1 (ko) 메인 전원을 이용한 대기 전원 공급회로
KR100521130B1 (ko) 스위치선로 제어전원회로
KR930007535Y1 (ko) 초기 전원 구동 회로
KR950003871B1 (ko) 부하변화에 따른 모터전원 조정회로
KR100279629B1 (ko) 소프트 스위칭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의 스위칭 회로
KR0147222B1 (ko) 전원제어장치
KR100297001B1 (ko) 전열기기제어회로
KR930001700Y1 (ko) 텔레비젼 수평 발진기의 초기 전원 공급 회로
KR950003488Y1 (ko) 돌입 전류(Inrush current)제한회로
JP3005228B2 (ja) 充電回路
KR100437664B1 (ko) 재봉용 솔레노이드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