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514Y1 - 석재원판의 외경연삭가공기 - Google Patents

석재원판의 외경연삭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514Y1
KR930007514Y1 KR2019910018138U KR910018138U KR930007514Y1 KR 930007514 Y1 KR930007514 Y1 KR 930007514Y1 KR 2019910018138 U KR2019910018138 U KR 2019910018138U KR 910018138 U KR910018138 U KR 910018138U KR 930007514 Y1 KR930007514 Y1 KR 930007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outer diameter
stone
stone disc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8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405U (ko
Inventor
강용
Original Assignee
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용 filed Critical 강용
Priority to KR2019910018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514Y1/ko
Publication of KR9300084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4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5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석재원판의 외경연삭가공기
제 1 도는 종래 석재원판의 가공된 상태로 보인 몇가지 실시예를 보인 일부구성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해 가공되는 석재원판의 외경부를 보인 일부단면 구성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보인 평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보인 정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가공물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구성도.
제 6 도는 본 고안에 고나한 가공물의 외연을 파지하는 파지수단을 보인 사시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작동상태를 보인 설명도로서 (a)는 가공물을 파지한 상태의 작동도이고, (b)는 가공물의 파지를 해지한 상태의 작동도이다.
제 8 도는 본 고안에 관한 가공물의 외경을 가공하는 연삭수단을 보인 구성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요부를 보인 단면구성도.
제 10 도는 제 9 도의 요부를 보인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회전수단 200 : 누름수단
300 : 파지수단 400 : 연삭수단
1 : 지지대 2 : 턴테이블
3, 32 : 모우터 13 : 실린더
14 : 피스톤로드 15 : 누름구
17 : 힌지축 18, 26 : 가이드레일
19 : 고정핀 20, 27, 30 : 조절핸들
25 : 파지로울러 29 : 지지부재
31 : 슬라이더 33 : 연삭부
34 : 스핀들 35 : 스핀들헤드
37 : 연산공구 46 : 로울러
47 : 안내부재 48 : 분사노즐
51 : 배수받침대
본 고안은 원형테이블등에 사용되는 석재원판의 외경을 단턱을 갖도록 연삭가공된 석재원판의 외경 연삭가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기기장치에 의해 선절단가공된 석재원판의 외경을 자동으로 연삭가공하도록 하므로서 석재원판의 크기에 관계없이 가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석재원판의 외경을 다양한 형상으로 손쉽게 가공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형의 테이블등에 주로 사용되는 석재원판은 대리석등과 같은 자연석을 일정한 두께의 판체형으로 절단한 후, 이를 필요한 크기의 원형으로 재절단 가공하여 자연석이 갖는 고유의 질감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석재원판(A)의 판재형의 석재판으로 부터 수직으로 절단됨에 따라 제 1a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경이 그 두께만큼의 직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접촉이 있을 경우 부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제품의 미감이 떨어지게 되므로서 필수적으로 석재원판의 외경을 후가공, 즉 라운드지게 연삭가공을 하여야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외경 연삭가공은 자연석이 갖는 고유의 강도나 중량등으로 인한 특수성 때문에 작업의 어려움이 따랐을 뿐 아니라 석재원판의 외경을 다양한 형태의 형상으로 가공할 수가 없어 제품의 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것이었다.
즉,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작업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대부분 석재원판의 외경을 단순히 라운드가공하는 정도, 즉 제 1 도의 (b) 및 (c)에서와 같은 단순한 형상으로 가공하는데 불과하므로서 그 형상이 지극히 단순하여 제품의 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었고, 나아가 이와같은 문제점을 다소나마 보완하고자 제 1c 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크기가 서로 다른 두개 또는 두개이상의 얇은 석재원판을 접착제로서 상호 접착고정하여 외경에 단턱을 갖도록 하므로서 제품을 다양화하도록 한 것도 알려져 있었으나, 이 또한 제품의 미감은 사소 향상될지언정 가공의 어려움은 여전히 남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무엇보다도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공방법은 여러가지의 간단한 연삭기계들을 이용한 사람의 수작업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량산이 되지 못하거나 작업이 어려운등, 그 작업성 및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작업공정을 기계적인 장치로서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증대시킨 석재원판의 외경 연삭가공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석재원판의 외경을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하여 제품의 미감을 향상시킨 석재원판의 외경 연삭가공기를 제공함에도 있다.
이러한 목적은 석재원판, 즉 가공물이 올려져 고정되는 턴테이블을 회전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공대상물의 양측면에서 고속으로 회전되는 연삭부재를 접면시켜 이의 예리한 첨담으로 가공대상물의 외경을 깍아내도록 하므로서 달성되는데, 즉 상기 연삭부재의 형상에 따라 그 상대되는 형상으로 가공대상물의 외경이 연삭가공되어지는 것이며, 또한 이러한 구동장치들이 콘트롤부의 제어에 따라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계속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제 3 도 및 제 4 도는 본 고안에 관한 전체구성을 보인 구성도로서, 이는 크게 나누어 가공물(A)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00)과, 가공물(A)의 상, 하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가공물(A)을 눌러주는 누름수단(200)과, 또한, 가공물(A)의 전, 후 또는 좌, 우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파지되는 파지수단(300)과, 그리고 가공물(A)의 외경을 연삭가공하는 연삭수단(4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의 제 5 도는 가공물(A)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00)을 보인 구성도이다.
이는 본체의 지지대(1)내의 상부에 구비되고 그 상면에 가공물(A)이 안착되는 턴테이블(2)과, 상기 지지대(1)의 후방위치에 구비되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우터(3)와, 그리고 지지대(1)의 내부중앙에 구비되어 모우터(3)의 회전동력을 턴테이블(2)로 감속전달하는 동력전달부(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4)는 지지대(1)내의 하우징(7)에 구비되고 턴테이블(2)의 회전축(6)에 구비되는 종동베벨기어(8)와 모우터(3)의 구동축(9)에 구비되는 구동베벨기어(10)가 서로 이맞물림되어 회전동력을 직각방향으로 전달하면서도 가속을 하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도면의 제 3 도 및 제 4 도에 나타낸 누름수단(200)은 다른 기기장치에 관섭을 주지않는 소정위치에 일정높이만큼 수직방향으로 고정대(11)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대(11)의 상단에는 턴테이블(2)의 중심을 향해 가로지르는 지지아암(12)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아암(12)에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실린더(1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13)는 지지아암(12)의 상부에 구비됨과 동시에 그 중심이 턴테이블(2)의 중심과 일치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고, 이의 피스톤로드(14)의 끝단에는 가공물(A)의 중심을 눌러주기 위한 누름구(15)를 갖추어 구성된 것이다.
도면의 제 6 도는 가공물(A)이 회전될시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가공물(A)을 파지하는 파지수단(300)을 보인것이며, 제 7 도는 이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파지수단(300)은 제 3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대(1)에 적어도 세군데 이상 다수로 구비되는 것이고, 이들은 상호 동일한 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하나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이는 지지대(1)의 상단 외연에 고정된 브라켓트(16)에 힌지축(17)으로 체결되는 가이드레일(18)이 이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토록 구비되고, 이의 힌지축(17) 일측에는 고정핀(19)이 삽탈가능토록 구비되어 가이드레일(18)을 고정 또는 회동자재토록 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18)에는 전단에 구비되는 조절핸들(20)의 조작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는 스크류(21)가 구비되고, 이의 스크류(21)에는 가이드레일(18)을 따라 안내되는 이송부재(22)가 결합되어 스크류(21)의 나선운동에 의해 진퇴작동 되도록 구비된다.
또, 상기 이송부재(22)에는 고정보울트(23)가 수직방향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고정보울트(23)에는 체결너트(24)로 체결되어 그 높낮이가 조절가능토록 되는 파지로울러(25)가 구비된다.
이때 파지로울러(25)는 공회전되도록 구비되면서 가공물(A)의 외경을 파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의 제 8 도는 본 고안의 연삭수단(400)을 보인 것이며, 또한 제 9 도 및 제 10 도는 이에 따른 요부의 구성을 상세히 보인 구성도이다.
이러한 연삭수단(400)은 제 3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본체의 양측면에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는 것이며, 여기서도 이들은 상호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지지대(1)의 상단외연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26)에 안착되어 조절핸들(27)의 조작에 따라 회전구동되는 스크류(28)에 의해 진퇴작동되는 지지부재(29)와, 상기 지지부재(29)에 체결되어 그 상단의 또 다른 조절핸들(30)의 조작에 따라 상, 하 작동되는 슬라이더(31)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슬라이더(31)의 일측면에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우터(32)가 구비됨과 동시에 그 전단에는 상기 모우터(32)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가공물(A)을 연삭가공하는 연삭부(33)가 구비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연삭부(33)는 스핀들(34)이 내부에 체결지지되는 시핀들헤드(35)가 슬라이더(31)에 고정되며, 상기 스핀들(34)은 제 9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상단에 풀리(36)가 구비되어 모우터(3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고속으로 회전가능토록 구성되고, 또 하단에는 연삭공구(37)가 착탈가능토록 너트(38)로 체결된다.
이때, 스핀들(34)의 하단부에는 제 10 도에서도 보는 바와같이 단턱을 가지면서 하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테이퍼면(39)을 갖추어 구성됨과 동시에 단턱의 양측면에는 체결공을 갖는 돌기(40)를 갖추어 구성되고, 또한 이에 체결되는 연삭공구(37)는 이와 상대되는 삽입홀(41)과 상기 삽입홀(41)의 양측에 전술한 스핀들(34)의 돌기(40)가 끼워져 체결되는 체결홈(42)이 구비되어 스핀들(34)과 함께 유동없이 회전가능토록 구비된다.
또한, 전술한 스핀들헤드(35)의 일측에는 브라켓트(43)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이의 브라켓트(43)에는 저절보울트(44)가 너트(45)로 고정됨과 동시에 조절보울트(44) 하단에는 가공물(A)의 상면을 눌러주는 로울러(46)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스핀들헤드(35)의 하부에는 연삭공구(37)가 가공물(A)을 연삭가공할시 발생되는 석분과 연삭수를 배출안내하는 안내부재(47)가 가공물(A)측으로 개구부를 가지면서 연삭공구(37)를 감싸는 식으로 체결되고, 이의 안내부재(47)에는 별도의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연삭수의 분사노즐(48)이 구비된다.
또, 안내부재(47)에는 자바라관(49)이 체결되고, 이의 자바라관(49)은 본체의 지지대(1) 하부에 구비되는 연삭수 및 석분배출관(50)과 연결됨로 미도시된 배출펌프에 의해 폐수가 외부로 강제 배출될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의 중간 소정위치에는 가공물(A)을 연삭가공할시 전술한 배출펌프로 미처 배수되지 못하고 지지대(1)의 상부로부터 하부 측으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받침대(51)가 구비되어 폐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52는 본 고안을 제어하는 콘트롤부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지지아암(12)의 끝단에 구비되는 콘트롤부(52)의 조작에 의해 모든 동작이 대부분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턴테이블(2)의 상면에 선가공된 원형의 석판, 즉 가공물(A)을 올려놓고, 콘트롤부(52)의 조작버튼을 누르게되면, 먼저 누름수단(200)의 실린더(13)가 작동되어 피스톤로드(14)가 전진되므로서 누름구(15)가 하강하여 가공물(A)의 중심을 눌러주게 된다.
그러므로 가공물(A)은 턴테이블(2)에 완전히 밀착되어 상, 하 유동없이 안착되어 지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각 파지수단(300)의 조절핸들(20)을 정회전하여 주면 스크류(21)의 나선운동에 의해 제 7a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이송부재(22)가 전전되어지는 것이고, 이에 따라 그 상단에 구비된 파지로울러(25)가 전진되어 가공물(A)의 외경에 밀착되어 지므로서 가공물(A)의 수평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가공물(A)의 두께에 따라 체결너트(24)를 고정보울트(23)로 부터 풀고 조임에 의해 파지로울러(25)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또 가공물(A)의 크기에 따라 전술한 바와같이 조절핸들(20)을 정, 역회전하여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가공물(A)을 가공하기 위해 턴테이블(2)에 올려놓거나, 또는 가공이 완료되어 가공물(A)을 회수할 때에는 상기한 파지수단(300)이 다수로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장애를 받게 되는데, 이때에는 가이드레일(18)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핀(19)을 빼게되면, 파지수단(300)의 전체가 자중에 의해 힌지축(17)을 지점으로 제 7b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회동되므로서 작업을 원활히 할 수가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가공물(A)에서 파지가 완료되면, 계속해서 연삭수단(400)의 조절핸들(27)을 정회전하여 주면 제 8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지지부재(1)가 가이드레일(26)에 안내되면서 저닌되어 연삭공구(37)가 가공물(A)의 외경에 접면됨과 동시에 스핀들헤드(35)가 고정된 로울러(46)가 가공물(A)의 외연상면을 눌러주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연삭공구(37)가 체결되어 있는 연삭부(33)는 지지부재(29)에 체결되어 있는 슬라이더(31)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31)의 상, 하 승강작동에 따라 승강작동 되어지는 것이며, 상기 슬라이더(31)는 지지부재(29)의 상단에 구비되는 조절핸들(30)의 정, 역회전에 의해 승강작동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연삭공구(37)의 전, 후 또는 상, 하 조절이 임의대로 가능하게 되므로서 가공물(A)의 두께와 크기등에 따라 조절을 완료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고, 또한 가공물(A)의 두께에 따라서 너트(45)를 조절보울트(44)로 부터 풀고 조임에 의해 가공물(A)의 외연을 눌러주는 로울러(46)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가공물(A)의 외경을 연삭가공하기 위한 조절이 완료되면, 회전수단(100)의 모우터(3)와 연삭수단(400)의 모우터(32)가 회전구동됨과 동시에 미도시된 연삭수 공급펌프 및 폐수배출펌프도 구동이 된다.
따라서 제 5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회전수단(100)의 모우터(3) 회전동력이 동력전달부(4)를 거쳐 감속되어지면서 턴테이블(2)로 전달되어져, 턴테이블(2)의 회전되어지는 것이고, 이에 따라 가공물(A)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된다.
이때, 누름수단(200)의 누름구(15)는 피스톤로드(14)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토록 구비되므로서 가공물(A)의 회전에 장애를 주지않게 되는 것이며, 또한 파지수단(300)의 각 파지로울러(25) 및 연삭수단(400)에 구비된 로울러(46)들도 공회전이 되도록 구비되므로서 가공물(A)의 회전에 장애를 주지않는 상태로 가공물(A)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이와동시에 회전구동되는 연삭수단(400)의 모우터(32) 회전동력은 제 8 도에서도 보는 바와같이 풀리와 벨트를 통해 스핀들(34)의 풀리(36)로 전달되로서 스핀들(34)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핀들(34)의 하부에 체결고정된 연삭공구(37)가 가공물(A)의 외경을 연삭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연삭수의 공급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연삭수는 제 9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사노즐(48)을 통해 연삭가공부위로 분사공급되는 것이고, 계속해서, 연삭가공될시 발생되는 폐수 및 석분은 배출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안내부재(47) 및 자바라판(49)과 배출관(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지는 것이며, 또한 가공물(A)의 외경으로 흘러내리는 폐수와 석분은 지지대(1)의 배수받침대(51)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공물(A)의 외경을 일정한 형상으로 연삭가공하는 것은 연삭공구(37)의 형상에 따라 좌우되는데, 즉 연삭공구(37)의 형상에 따라 가공물의 외경이 이와 상대되는 형상으로 가공이 되는 것이며, 이에따라 여러종류의 연삭공구(37)를 구비하여 이를 간단히 교체사용하므로써 원판석재를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가 있게 되는데, 이때에는 제 10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스핀들(34)의 하단에 나사체결된 너트(38)와 측면의 보울트를 풀면, 연삭공구(37)는 쉽게 하향으로 빠지게 되는 것이며, 연삭공구(37)의 체결은 이와 역순으로 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선가공된 석재원판의 외경을 가공함에 있어, 그 작업공정을 자동화하므로서, 작업성은 물론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고, 더우기 이에 따라 량산이 가능하게 되는등 구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며, 또한, 연삭공구만을 간단히 교체사용하므로서 석재원판의 외경을 다양한 형상으로 연삭가공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원형으로 선가공된 석재원판의 외경을 연삭가공하는 것에 있어서, 석재원판을 본체지지대의 턴테이블에 안착시켜 이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수단(100)과, 상기 지지대의 상단외연에 다수로 구비되고 힌지축을 지축으로 회동가능토록 구비되면서 파지로울러를 전, 후 및 상, 하 조절토록 하여 석재원판의 외경을 파지하는 파지수단(300)과, 본체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대의 지지아암에 체결되고 공기압에 의해 진퇴작동되는 피스톤로드에 구비되어 석재원판의 중심부를 눌러주는 누름구를 갖는 누름수단(200)과,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고, 가이드레일에 체결되어 전, 후진퇴 작동되는 지지부재 및 이의 지지부재에 구비되어 승강작동되는 슬라이더와, 이의 슬라이더 전면에 일체형으로 체결되고 모우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구동되면서 석재 원판의 외경을 연삭가공하는 연삭부를 갖는 연삭수단(4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원판의 외경 연삭가공기.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수단(300)은 지지대(1)의 상단외연에 고정된 브라켓트(16)에 힌지축(17)으로 체결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토록 되는 가이드레일(18)과, 상기 가이드레일(18)을 고정하는 고정핀(19)과, 스크류(21)의 나선운동에 의해 전, 후작동되는 이송부재(22)에 구비되고 체결너트(24)이 풀고 조임에 따라 상, 하조절이 가능토록 구비되는 파지로울러(25)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원판의 외경 연삭가공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수단(400)의 연삭부(33)는 모우터(32)이 회전동력으로 회전 구동되는 스핀들(34)이 체결된 스핀들헤드(35)가 슬라이더(31)에 고정되고 상기 스핀들(34)의 하부에는 일정한 형상을 가지면서 석재원판의 외경을 연삭가공하는 연삭공구(37)가 착탈가능토록 구비되고, 상기 스핀들헤드(35)의 일측에는 석재원판(A)의 외연부를 파지하는 로울러(46)가 상, 하 조절가능토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원판의 외경 연삭가공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헤드(35)의 하부에는 폐수와 석분을 배출안내하는 안내부재(47)가 일측으로 개구부를 가지면서 연삭공구(37)를 감싸는 식으로 구비되고, 이의 안내부재(47)에는 연삭수를 석재원판측으로 분사 공급하는 연삭수 분사노즐(1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원판의 외경 연삭가공기.
KR2019910018138U 1991-10-29 1991-10-29 석재원판의 외경연삭가공기 KR930007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8138U KR930007514Y1 (ko) 1991-10-29 1991-10-29 석재원판의 외경연삭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8138U KR930007514Y1 (ko) 1991-10-29 1991-10-29 석재원판의 외경연삭가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405U KR930008405U (ko) 1993-05-24
KR930007514Y1 true KR930007514Y1 (ko) 1993-11-03

Family

ID=1932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8138U KR930007514Y1 (ko) 1991-10-29 1991-10-29 석재원판의 외경연삭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5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405U (ko) 199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33493B (zh) 一种砧板打磨装置
US5807166A (en) Glass-plate working machine
KR930007514Y1 (ko) 석재원판의 외경연삭가공기
CN116787302A (zh) 一种联轴器加工用抛光设备及其抛光方法
KR20170139834A (ko) 선반(旋盤)용 동환봉 연삭장치
CN205438155U (zh) 变频调速研磨机
CN213498350U (zh) 自动去熔渣毛刺抛光设备
CN212096734U (zh) 一种高效节能的木材旋切机的切断机构
CN213440145U (zh) 一种竹木加工机械用切割装置
CN114603445A (zh) 一种基于轴侧加工的自动化控制式磨削一体化装置
CN211103142U (zh) 一种贝雷片阳接头件的倒角加工设备
CN209831761U (zh) 一种双转盘切边机
CN210060802U (zh) 抛光轮修正机构
CN219853640U (zh) 一种液压元件边角打磨机构
CN2289789Y (zh) 多头玻璃异形磨边机
CN206912871U (zh) 一种打磨装置
CN110303391A (zh) 圆口刀开刃机床
EP0673715B1 (en) Machine for processing glass plate
CN219275425U (zh) 一种锥形刹车片外弧磨床
CN218194208U (zh) 一种高效修边机
CN210115783U (zh) 一种塑料板自动修边机
CN220498773U (zh) 一种多工位抛光机
CN220944514U (zh) 一种医疗康复器材加工用磨边装置
CN212145833U (zh) 一种可移动式砂带机
CN214771136U (zh) 一种小型瓷套专用连续砂坯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