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126B1 - 칼라수상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칼라수상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126B1
KR930007126B1 KR1019910003813A KR910003813A KR930007126B1 KR 930007126 B1 KR930007126 B1 KR 930007126B1 KR 1019910003813 A KR1019910003813 A KR 1019910003813A KR 910003813 A KR910003813 A KR 910003813A KR 930007126 B1 KR930007126 B1 KR 930007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agnetic field
color
pol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3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쯔에이 모로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3Static convergence systems

Landscapes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수상관의 제조방법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도로서,
제1도는 그 한 실시예에 관한 칼라수상관에 배치된 자성체에 자극을 형성하기 위한 자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그 다극자계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3도(a) 및 (b)는 각각 다극자계발생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지자기의 분포 및 다극자계발생장치가 존재하는 경우의 지자기 분포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제4도(a) 및 (b)는 각각 지자기에 대한 다극자계발생장치의 영향을 보정하기 위한 자극형성체에 형성시키는 자계 및 보정된 자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종래의 정(static)컨버젼스 및 색순도 조정용 자석이 장착된 칼라 수상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종래의 자성체가 배치된 칼라수상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형광면 5 : 넥
6B,6G,6R : 3전자비임 7 : 전자총
20 : 자성체 21 : 다극자계발생장치
24 : 고주파 가열코일 27a - 27h : 자극형성체
28 : 코어 29 : 코일
본 발명은 칼라수상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개의 전자비임을 방출하는 전자총이 내장된 넥의 내부 및 외부의 적어도 한쪽에 자성체를 배치하고 이 자성체에 자극을 형성하므로서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를 조정하는 칼라수상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수상관은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일체로 접합된 패널(1) 및 퍼넬(2)로 구성된 외각용기를 가지며 그 패널(1)안쪽에 장착된 새도우 마스크(3)에 대향하여 패널(1) 내면에 적, 녹, 청으로 발광하는 3색 형광체층으로 된 형광면(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퍼넬(2)의 넥(5)안에는 3전자비임(6A)(6G)(6R)을 방출하는 전자총(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 퍼넬(2)의 외부쪽에 상기 전자총(7)에서 방출되는 3전자비임(6A)(6G)(6R)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하는 편향자계를 발생하는 평향요크(8)가 또한 네크(5)외부쪽에 상기 전자총(7)에 대한 소정위치에 전자총(7)에서 방출되는 3전자비임(6A)(6G)(6R)의 형광면(3)상에서의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용 자석(9)이 장착되어 있다.
통상 이 조정용 자석(9)은 2매 1조의 2극, 4극 및 6극의 고리형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며 각각 관축(Z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자극의 위치를 변화시키므로서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 조정용 자석(9)에 의한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의 조정은 수작업으로 실행되고 또한 번잡하므로 숙련된 작업자가 하더라도 상당히 시간이 걸릴뿐만 아니라 충분하고도 정확하게 조정하기가 곤란하다.
이 조정용 자석(9)에 의한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의 조정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6도에 나타낸 것처럼 넥(5)안에 있는 전자총(7)의 주위에 1개 이상의 자화 가능한 고리형의 자성체(11)를 배치하고 칼라수상관 조립에서의 최종 공정으로 실행되는 시험, 조정시에 그자성체(11)를 2극, 4극, 6극, 12극 등으로 분극 착자하여 자극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조정용 자석과 같은 작용을 갖도록 한 칼라수상관이 있다.
상기 자성체의 분극 착자(着磁) 방법으로서 일본 특개소 52-117517호 공보, 일본 특개소 54-18235호 공보 및 일본 특공소 63-7420호 공보등에 나타낸 방법이 있다.
그중 일본특개소 52-117517호 공보에 나타낸 방법은 조정용 장치에 의해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를 조정하고 이 조정용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자화전류 및 자화코일을 이용하여 직류자계를 발생시키고 그에 따라 자성체를 착자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자성체를 다극으로 자화하는 경우 그 자화를 엄밀하게 제어할 수 없다.
이것은 가령 2극, 4극, 6극의 자극을 조합하는 경우에 자화되는 자극이 변화되기 쉬우며, 또한 자성체의 자회특성 때문에 필요로 하는 자극의 자화 강도가 자극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자화 자계와 직선적인 관계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방법에서는 자성체에 2극, 4극, 6극의 자극을 조합시켜서 자화시키기 곤란하다. 또한 각 자극의 자화시에 자성체외의 부분에서 자화특성이 변화되므로 2극, 4극, 6극의 자극을 순차 변화시킬 수 없다.
또한 넥내에 있는 자성체에 대해서는 자성체와 이것을 자화하는 자화용 자극의 거리가 크므로 자속이 넓어져서 전술한 것같은 자화를 엄밀히 제어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일본 특개소 54-18235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방법은 자성체를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양쪽에서 자화 포화시키는 감쇠교류 자계에 의해 강화시키는 방법이다.
이처럼 감쇠 교류 자계에 의해 자성체를 자화하면 그 교류 자계에 의해 자성체를 자화하면 그 교류자계에 감쇠후에 자성체에 경질자화가 남아서 이 경질자화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자계를 반대방향으로 향하게하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자계를 제거한뒤 자성체에 필요로 하는 자극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자계와 직선적인 관계에 있는 자화부를 자성체에 잔존시키기 위해 자성체 전체에 대하여 엄밀하고 균등하게 변화하는 감쇠 교류자계를 만들어야만 한다.
또한 이 감쇠고류 자계의 초기 최대치를 보자력 이상으로 해야만 한다. 따라서 보자력이 큰 자성재료로 자성체를 만든 경우에 이 자성체를 완전히 자화시킬 수 없다. 즉 이 방법에서는 외부에서의 교란자게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큰 보자력을 가진 자성체를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일본 특공소 63-7420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방법은 자성체를 그 자기 변태점 이하 또는 자발자화가 소멸할 정도의 고온으로 하고 그후 이 자성체에 소정방향의 작극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복수개의 자극 형성체를 구비한 다극자계 발생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를 가하여 소정위치에 자극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따르면 자성체에 경질자화를 남길 수 있어서 칼라수상관의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를 조성하는데 필요한 강도의 자극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해 자성체에 필요한 강도의 자극을 형성하더라도 그 칼라 수상관을 TV수상기에 조립하면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에 오차가 생기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부터 칼라수상관의 넥 내부의 전자총 주위에 자화가능한 고리형의 자성체를 배치하고 그 자성체를 2극, 4극, 6극, 12극 등으로 분극 착자하여 자극을 형성하므로서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를 조정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으로는, 첫째, 조정용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자화전류 및 자화 코일을 사용하여 직류 자계를 발생시켜서 자성체를 자화하는 방법과, 둘째, 자성체를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양쪽에서 자화 포화시키는 감쇄 교류자계에 의해 자화시키는 방법과, 세째, 자성체를 그 자기변태점 이하 또는 자발자화가 소멸할 정도의 고온으로 하고 그후 이 자성체에 자계를 가하여 소정위치에 자계를 가하여 소정위치에 자극을 형성하는 방법등이 있다.
이중 특히 세째 방법인 자성체를 그 자기변태점 이하 또는 자발 자화가 소멸할 정도의 고온으로 하고 그후 이 자성체에 자계를 가하는 방법은 소정의 자극형성에 유효하지만 이 방법에 의해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를 조정하더라고 그 칼라수상관을 TV수상기에 조립하면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에 오차가 생긴다.
또한 그 오차는 다극자계 발생장치에 의해 자성체에 자극을 형성하는 단게에서는 존재하지 않으며 소정의 자극을 형성한 뒤에 다극자계 발생장치를 떼어내면 발생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오차 발생원인에 대하여 추구한 결과, 그 원인은 강자성 재료로 된 다극자계 발생장치의 자극 형성체가 칼라수상관 근방의 지자기 분포를 흐트려 다극자계 발생장치를 사용하여 정 컨버젼스 및 색순도를 정확히 조정하더라도 그 다극자계 발생장치를 떼어내면 칼라수상관에 대한 지자기의 분포가 변화되기 때문이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즉 통상의 칼라수상관은 그 사용되는 지역 가령 북반구, 남반구 또는 적도지역등으로 분류되며 각각의 지역에서 바른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조정되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칼라수상관은 지자기의 영향을 가능한 적게하기 위해 관내 또는 관밖으로 자성재료로 된 자기 시일드가 배치되는데 칼라수상관의 구성상 지자기의 영향을 완전히 제거하도록 배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칼라수상관의 제조설비, 특히 그 시험조정 장치에 대해서는 비자성 재료를 많이 사용하며 자성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자기를 흐트리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칼라수상관 전체에 균일하게 자계를 가하여 예기치 못한 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다극 자계발생장치와 같이 칼라수상관의 외부에서 자계를 발생시켜서 자성체에 자극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자극 형성체를 자성체에 가깝게 배치해야만 되며 또한 자성체에 경질의 자기를 남기려면 강자계를 발생하도록 강자성 재료로 된 코어를 가진 자극형성체가 필요하여 칼라수상관 근방에서 자성재료를 배제하는 것은 어려워서 지자기에 대한 그 자극형성체의 영향은 피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되어진 것으로서 칼라수상관의 전자총에 대하여 소정위치에 배치된 자성체에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를 조정하기 위한 자극을 형성할때 그 자성체에 대응하여 다극자계발생장치를 배치하더라도 칼라수상관 근방의 지자기분포를 흐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전자비임을 방출하는 전자총이 내장된 넥의 내부 및 외부의 적어도 한쪽의 상기 전자총에 대한 소정위치에 1개이상의 자성체를 배치하고 칼라수상관 조립종료 후 상기 넥 밖으로 상기 자성체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자극형성체를 구비한 다극자계발생장치를 배치해서 상기 전자비임의 형광면상에서의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를 조정하도록 이 다극자계발생장치의 선택된 자극형성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에 의해 상기 자성체에 소정의 자극을 형성하는 자극형성단계를 포함하는 칼라수상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극형성단계는 다극자계발생장치가 외부자계에 대하여 상기 자성체에 부여하는 자기적 영향을 해소시키는 자계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자성체에 소정의 자극을 형성하는 단계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전자총에 대한 소정위치에 배치된 자성체에 소정의 자극을 형성할때 다극자계발생장치의 소정의 자극형성체에 이 다극자계발생장치가 외부자계에 대하여 상기 자성체에 부여하는 자기적영향을 해소하는 자계를 발생시키면 칼라수상관근방의 외부자계분포를 다극자계발생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분포와 대략 동등하게 할 수 있으며 자성체에 대응하여 그 근처에 다극자계발생장치를 배치하덜도 외부자계의 변화를 없앤 상태로하여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조정을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그 실시예에 관한 칼라수상관에 배치된 자성체를 자화하기 위한 자화장치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칼라수상관은 패널(1) 및 이 패널(1)에 일체로 접합된 나팔모양의 퍼넬(2)로 된 외각용기를 가지며 그 패널(1) 내면에 청,녹,적으로 발광하는 도트형 또는 스트라이프형의 3색형광체층으로 된 형광면(4)이 형성되고 이 형광면(4)에 대향하고 또한 접근하여 그 내면에 다수의 전자비임 통과구멍이 형성된 새도우마스크(3)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퍼넬(2)의 넥(5)내부에는 3전자비임(6B)(6G)(6R)을 방출하는 전자총(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퍼넬(2)의 외부쪽에는 이 전자총(7)에서 방출되는 3전자비임(6B)(6G)(6R)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하는 편향자계를 발생하는 편향요크(8)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넥(5)안쪽의 전자총(7) 주변의 소정위치에, 자화 가능한 한개 이상의 고리형 자성체(2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넥(5)내에 배치된 자성체(20)를 자화하기 위한 자화장치로서 상기 자성체(20)에 대응하여 넥(5)에 근접하여 그 외부쪽에 자성체(20)를 2극, 4극, 6극등의 다자극 및 그 조합을 형성하기 위한 다극자계발생장치(21)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다극자계발생장치(21)에 자화용 직류전원(22)이 접속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접속되는 자화용 고주파전원(2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극자계발생장치(21)의 가까이 또는 이것과 합체하여 자성체(20)를 가열 또는 이 자성체(20)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고주파가열코일(24)이 배치되고 이 고주파가열코일(24)에 고주파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가열용 고주파 전원(2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다극자계발생장치(21)는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넥(5)의 외주를 따라 같은 간격이며 또한 자성체(20)에 대하여 같은 거리(넥(5)의 중심에 대하여 같은 거리)가 되도록 배치된 8개의 자극형성체(27a)-(27h)로 구성되어 있다.
그 각 자극형성체(27a)-(27h)는 연동, 퍼멀로이(Permalloy), μ-메탈등의 강자성재료로 된 가운데가 채워진 원주형코어(28)에 코일(29)을 감은 구조로 형성되고 그 코어(28)의 길이방향이 자성체(20)에 대하여 방사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자극형성체(27a)-(27h)는 구체적으로 넥(5)의 바깥지름이 22.5∼36.1mm인 통상의 칼라수상관에 대해서는 직경 10mm, 길이 50mm정도 크기의 코어(28)에 직경 0.5mm정도의 피복동선을 50∼100회정도 감아서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이 자화장치에 의해 자성체(20)를 자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우선 조립을 종료한 칼라수상관을 동작시켜서 3전자비임(6B)(6G)(6R)이 형광면(4)을 랜딩하는 상태(landing)로 해두고 고주파가열코일(24)에 소정의 고주파전류를 흐르게하여 자성체(20)를 가열한다.
이 경우 스피노달 및 바이칼로이등을 석출하는 석출경화 재료로된 자성체에 대해서는 자기변태점 이하의 온도, 또는 스트론튬 페라이트등으로 된 자성체에 대해서는 자발자화가 소멸될 정도의 온도 Tt로 한다.
자성체(20)를 이러한 온도로하면 보자력이 작아져서 자화되기 쉬우므로 자성체(20)를 자화하기 위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자계를 상온에서 보다 작게 하더라도 소정의 자극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온도 Tt로 가열된 자성체(20)에 대하여 사전에 측정된 칼라 수상관의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가 적어도 한쪽의 특성데이터에 의거하여 다극자계발생장치(21)의 8개의 자극형성체(27a)-(27h)에서 선택된 두개이상의 자극형성체에 자화용 직류전원(22)에서 -5∼+5A정도의 전류를 공급하여 정자계를 발생시켜 이 정자계에 의해 자성체(20)를 자화시킨다.
이 경우 그 선택된 자극형성체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후술하는 지자기에 대한 다극자계발생장치(21)의 영향을 보정하기 위해 특정의 자극형성체에 흐르는 전류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즉 제3도(a)에 나타낸 것처럼 칼라수상관의 넥 내부에 배치되는 자성체(20)는 비교적형성이 작으므로 가령 이 자성체(20)를 바이칼로이, 큐니코, 큐니폐등의 경질자성재료로 구성하면 칼라수상관 주위에 자성재료를 코어로하는 자극형성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지자기의 분포는 거의 균일해져서 칼라 수상관에 대한 지자기의 수직방향(Y축방향)의 자계는 북반구에서는 그 자력선(31)이 수직방향으로 위에서 아래로 대략 균일하게 분포하는 자계가 된다.
그러나 제3도(b)에 나타낸 자성체(20)에 대응하여 그 근처에 자극형성체(27a)-(27h)가 배치되면 자력선(31)은 자기저항이 작은 부분을 통하여 특히 8개의 자극형성체(27a)-(27h)중 그 길이방향이 자력선(31)의 방향과 일치하는 자극형성체(27a)(27e)에 자력선(31)이 집중하여 칼라수상관에 대한 지자기의 분포가 변화된다.
따라서 이 지자기의 분포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즉 전자총에서 방출되는 전자비임이 이 통상의 동작시와는 다른 지자기의 영향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를 조정하면 그 칼라수상관을 통상의 동작상태로 했을때에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에 오차가 생기게 된다.
그래서 다극자계발생장치(21)를 사용하여 자성체(20)에 자극을 형성할때 제4도(a)에 나타낸 것처럼 지자기의 자력선(31)과 방향이 일치하는 자극 형성체(27a)(27e)의 각 코일(29)에 지자기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자계(32)를 발생하는 전류(Ia)(Ie)를 흐르게 한다.
통상 일본국내에서 지자기는 0.3가우스 정도이므로 상기 지자기를 해소하기 위해 자형성체(27a)(27e)의 코일(29)에 흐르는 전류(Ia)(Ie)는 10mA정도의 미소전류고 충분하다. 이처럼 자극형성체(27a)(27e)에 의해 지자기를 해소하는 자계(32)를 발생시키면 제4도(b)에서 자력선(33)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칼라수상관에 대한 자계분포는 제3도(a)에 나타낸 자극형성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대략 동등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지자기에 대한 다극자계발생장치(21)의 영향을 보정하여 칼라수상관의 정컨버젼스와 색순도를 측정하여 그 특성데이타를 취하고 그 특성데이터에 의거하여 자성체(20)를 자화하면 다극자계발생장치(21)를 배치하더라도 외견상 통상의 칼라수상관의 동작상태에서의 지자기의 분포와 동일한 자계분포로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를 조정할 수 있어서 실제로 칼라수상관을 통상의 동작상태에 동작시킨 경우의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 오차를 없앨 수 있다.
또한 특히 자극형성체(27a)(27e)의 코일(29)에 전류를 흐르게하여 자성체(20)에 자극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가령 지자기에 대한 다극자계발생장치(21)의 영향을 보정하기 위해 그 자극형성체(27a)(27e)의 코일(29)에 흐르는 전류 Ia, Ie를 각각 Ia=0.01A, Ie=-0.01A로 하고 또한 지자기에 대한 다극자계발생장치(21)의 영향을 보정하지 않고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를 조정하는 경우에 그 자극형성체(27a)(27e)의 코일(29)에 흐르는 전류가 각각 +2A, -2A라고 하면 이 예의 자화방법에서는 자극형성체(27a)에 (+2 +a×0.01)A 자극형성체(27e)의 코일(29)에 (-2 -a×0.01)A의 전류를 흐르게 하므로써 소요의 자극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a"는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계수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다극자계 발생장치의 각 자극형성체의 코어를 단면이 원형인 원주형으로 했는데 이 코어는 단면이 직사각형등의 다른 형상인 기둥형상으로 해도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그 코어의 동일 직경의 원주형으로 했는데 이 자극 형성체로 형성되는 자계를 칼라수상관의 넥 내부에 배치된 자성체에 대하여 좁은 영역으로 집중시키려면 자성체 쪽을 지름을 작게하는 테이퍼 기둥형등으로 하면 좋으며 그에 따라 자극형성체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를 좁은 영역으로 집중하여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를 보다 양호하게 조정하는 자극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자성체를 가열하여 자화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했는데 본 발명은 회전 감자계에 의해 착화된 자성체를 감자하는 방법과 상기 실시예의 자화장치(제1도 참조)의 자화용 고주파 전원에 의해 펄스자계를 발생시켜서 자화하는 방법등 다른 방법에 의해 자화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칼라수상관의 넥 내부에 배치된 자성체에 자극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했는데 본 발명은 자성체를 칼라수상관의 넥 밖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다극자계 발생장치의 코일을 이용하여 컨버젼스 및 색순도의 변화에 대한 보정을 하고 있는데 이밖에 지자기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자계를 발생하는 보정장치를 상기 다극자계 발생장치와는 별도로 설치하여 보정할 수도 있다.
복수 전자비임을 방출하는 전자총에 대하여 소정위치에 자성체를 배치하고, 이 자성체에 대응하여 넥 밖으로 복수개의 자극형성체를 구비한 다극자계 발생장치를 배치하고 이 다극자계 발생장치가 형성하는 자계에 의해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를 조정할대 그 다극자계 발생장치의 소정의 자극형성체에 이 다극자계 발생장치가 외부자계에 대하여 자성체에 부여하는 자기적 영향을 해소하는 자계를 발생시키면 칼라수상관 근방의 외부자계의 분포를 다극자계 발생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분포와 거의 동등하게 할 수 있어서 다극자계 발생장치를 배치하더라도 외부자계의 변화가 거의 없게하여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 조정할 수 있어서 소정의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를 구비한 칼라수상관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

  1. 복수전자비임을 방출하는 전자총(7)이 내장된 넥(5)의 내부 및 외부의 적어도 한쪽의 상기 전자총에 대한 소정위치에 한개 이상의 자성체를 배치하고 칼라수상관 조립종료 후 상기 넥(5) 밖에 상기 자성체(20)에 대응하여 소정방향으로 자극을 선택적으로 형성가능한 복수개의 자극형성체(27a)-(27h)를 구비한 다극자계발생장치(21)를 배치해서 상기 전자비임을 형광면(4)상에서의 정컨버젼스 및 색순도를 조정하도록 상기 다극자계발생장치(21)의 선택된 자극형성체(27a)-(27h)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에 의해 상기 자성체에 소정의 자극을 형성하는 자극형성단계를 포함하는 칼라수상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극형성단계는 상기 다극자계발생장치가 외부자계에 대하여 상기 자성체(20)에 부여하는 자기적영향을 해소하는 자계(32)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자성체(20)에 소정의 자극을 형성하는 단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수상관의 제조방법.
KR1019910003813A 1990-03-08 1991-03-07 칼라수상관의 제조방법 KR930007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57682A JP2937386B2 (ja) 1990-03-08 1990-03-08 カラー受像管の製造方法
JP??02-57682 1990-03-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126B1 true KR930007126B1 (ko) 1993-07-30

Family

ID=13062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3813A KR930007126B1 (ko) 1990-03-08 1991-03-07 칼라수상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76556A (ko)
EP (1) EP0445815B1 (ko)
JP (1) JP2937386B2 (ko)
KR (1) KR930007126B1 (ko)
DE (1) DE6912776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33368U (en) * 1992-04-21 1998-06-01 Toshiba Co Ltd Image tube apparatus
DE4219517A1 (de) * 1992-06-13 1993-12-16 Nokia Deutschland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agnetisieren eines Magnetrings im Hals einer Farbbildröhre
JP3135421B2 (ja) * 1993-07-06 2001-02-13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ラー陰極線管
EP0950255A1 (en) * 1997-11-05 1999-10-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manufacturing a cathode ray tube
US6741296B1 (en) * 2000-01-04 2004-05-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hemisphere color CR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1960A (en) * 1976-03-19 1980-07-08 U.S. Philips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static convergence unit, and a color display tube comprising a convergence unit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ethod
DE2612607C3 (de) * 1976-03-25 1984-01-12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Statische Konvergenzkorrekturvorrichtung in Farbfernsehbildwiedergaberöhren
NL7707476A (nl) * 1977-07-06 1979-01-09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kleuren- beeldbuis en kleurenbeeldbuis vervaardigd vol- gens die werkwijze.
JPS56128542A (en) * 1980-03-12 1981-10-08 Hitachi Ltd Electron tube
FR2545264B1 (fr) * 1983-04-26 1985-12-13 Videocolor Sa Procede et appareil de reglage de la convergence statique et de la purete de tubes de television en couleurs
FR2545265B1 (fr) * 1983-04-26 1985-12-13 Videocolor Sa Procede et appareil de reglage rapide, a l'aide d'un aimant permanent, de la convergence statique et de la purete d'un tube de television en couleurs
NL8403112A (nl) * 1984-10-12 1986-05-01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kleurenbeeldbuis en inrichting voor het uitvoeren van deze werkwijze.
NL8500862A (nl) * 1985-03-25 1986-10-16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kleurenbeeldbuis en inrichting voor het uitvoeren van deze werkwijze.
JPH0689544B2 (ja) * 1986-06-27 1994-11-09 丸藤シ−トパイル株式会社 山留用裏込め具
JPH02206297A (ja) * 1989-02-06 1990-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陰極線管の磁気キャンセ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261037A (ja) 1991-11-20
EP0445815B1 (en) 1997-10-01
EP0445815A1 (en) 1991-09-11
DE69127762D1 (de) 1997-11-06
JP2937386B2 (ja) 1999-08-23
DE69127762T2 (de) 1998-03-12
US5176556A (en) 199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089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or display tube and color display tube manufactured according to said method
FI70758B (fi) Anordning foer instaellning av statisk konvergens hos ett katodstraolroer
US4138628A (en) Magnetizing method for use with a cathode ray tube
KR930007126B1 (ko) 칼라수상관의 제조방법
SE428739B (sv) Sett att uppretta fergrenhet hos tre in-line-elektronstralar hos ett katodstraleror samt magnetiseringsanordning for att genomfora settet
US4189659A (en) Color-television picture tube with internal permanent magnets for convergence correction
JPH01217839A (ja) 補償コイルを有する磁化可能なコアをそなえた画像表示装置
US4894593A (en) Method of correcting electron beam misconvergence in a color display tube and a color display tube system
US6218773B1 (en) Deflection yoke for color cathode ray tube
JPH0515715Y2 (ko)
JPS637419B2 (ko)
JPH0132620B2 (ko)
US3555473A (en) Convergence apparatus
KR100228437B1 (ko) Pcs 장치
KR820001110B1 (ko) 색순도 보정용 자화장치
JP2557854B2 (ja) カラ−陰極線管用偏向装置
JPH03269932A (ja) カラー受像管の製造方法
JPS637420B2 (ko)
EP1152449A2 (en) Cathode ray tube device
JPH0419905Y2 (ko)
US6586893B2 (en) 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for electron beams in color picture tube and process of using
JP3160943B2 (ja) 偏向ヨーク
JPS61138433A (ja) 受像管装置
JPS62290034A (ja) 陰極線管の磁気転写方法
JPS62254343A (ja) カラ−ブラウン管装置およ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