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437B1 - Pcs 장치 - Google Patents

Pcs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437B1
KR100228437B1 KR1019960033818A KR19960033818A KR100228437B1 KR 100228437 B1 KR100228437 B1 KR 100228437B1 KR 1019960033818 A KR1019960033818 A KR 1019960033818A KR 19960033818 A KR19960033818 A KR 19960033818A KR 100228437 B1 KR100228437 B1 KR 100228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onvergence
pcs
inductance value
induc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3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4724A (ko
Inventor
구기훈
임범식
유헌상
Original Assignee
구기훈
삼화고분자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기훈, 삼화고분자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기훈
Priority to KR1019960033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437B1/ko
Publication of KR19980014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5Dynamic converg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2Conductor design and distribution

Landscapes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S(Precise Convergence System)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초정세도 섀도우 마스크형 수상관에서 3개의 전자총으로부터 나오는 R.G.B 3색 전자 비임을 갖고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라스터 디스토션(Raster Distortion)의 특성을 조정한 후에 한 점에 집중시키는 컨버어전스를 완벽하게 조정하기 위해, 수직 보정 코일의 중첩 특성에 의한 두 개의 수평 보조 코일 인덕턴스 차의 절대값으로 컨버어전스 양을 결정하는 PCS장치에서 인덕턴스 값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마그네트를 소결 마그네트에서 러버 마그네트로 변경하여 제조함으로써 인덕턴스 값의 편차를 크게 줄여 컨버어전스 조정을 정밀하게 보정할 수 있고, 마그네트 완성 후에도 2차 가공을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한 인덕턴스 값을 가변시킬 수 있어 원가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PCS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PCS 장치
본 발명은 PCS(Precise Convergence System)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초정세도 섀도우 마스크형 수상관에서 3개의 전자총으로부터 나오는 R.G.B 3색 전자 비임을 갖고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라스터 디스토션(Raster Distortion)의 특성을 조정한 후에 한 점에 집중시키는 컨버어전스를 완벽하게 조정하기 위해, 수직 보정 코일의 중첩 특성에 의한 두 개의 수평 보조 코일 인덕턴스 차의 절대값으로 컨버어전스 양을 결정하는 PCS 장치에서 인덕턴스 값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마그네트를 소결 마그네트에서 러버 마그네트로 변경하여 제조함으로써 인덕턴스 값의 편차를 크게 줄여 컨버어전스 조정을 정밀하게 보정할 수 있고, 마그네트 완성 후에도 2차 가공을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한 인덕턴스 값을 가변시킬 수 있어 원가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PCS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버어전스란 섀도우 마스크형 컬러 수상관에서 3개의 전자총으로부터 나오는 3색(Red,Green,Blue)의 전자 비임이 형광면의 정해진 형광체에 충돌하도록 이들 3개의 전자 비임을 한 점에 모이게 하는 것을 말하며 컨버어전스가 나쁘면 R,G,B 삼색이 서로 벗어나게 되고 이때 컨버어전스 보정이 필요하다.
컨버어전스 조정에는 정(스태틱) 컨버어전스와 동(다이나믹) 컨버어전스가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인 PCS 장치는 동 컨버어전스를 보정하는 데 필요한 것으로서 특히 수상관의 수평 해상도가 0.31피치(pitch) 이하로 고해상도화 되면서 이에 부응하기 위해 정밀한 컨버어전스를 요하는 곳에서 필요한 것이다.
PCS 장치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 PCS 장치에 내장된 코일 및 마그네트의 평면도이고, 제2도는 종래 PCS 장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제3도는 수직 보정 코일과 수평 보정 코일의 중첩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중첩도이다.
수용홈(61)의 길이 반대 방향 양측으로는 소결 마그네트(20,21)가 그 내측으로는 드럼 코아((11a,11b),(11c,11d))에 와이어(70)를 권선한 수평 보정 코일(40a,40b)이 대향되게 내장되고 중앙에는 드럼 코아(10)에 와이어(70)를 권선한 수직 보조 코일(30)이 내장된 베이스(60)에 케이스(50)가 조립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구성된다.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베이스(60) 상부에는 수용홈(61)이 형성되어 보정 코일(30,40a,40b) 및 소결 마그네트(20,21)가 수용홈(61)이 안착된다.
베이스(60)와 케이스(50)는 조립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베이스(60)와 케이스(50)는 서로 개폐가 가능하다.
수직 보정 코일(30)은 페라이트 재질의 드럼 코아(10)에 와이어(70)를 권선하여 구성하고 베이스(60)의 중앙 부위에 위치한다.
수평 보정 코일(40a,40b)은 각각 한쌍의 드럼 코아((11a,11b),(12a,12b))에 와이어(70)를 권선하여 구성하되 하나의 와이어(70)로 하나의 드럼 코아(11a 또는 12a)에 권선한 후 연속하여 타 드럼 코아(11b 또는 12b)에 권선하기 때문에 수평 보정 코일(40a)은 각각의 드럼 코아(11a,11b)에 권선한 와이어(70)를 직렬 연결한 형성이며 이는 타수평 보정 코일(40b)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때 각각의 수평 보정 코일(40a,40b) 인덕턴스(Inductance)값은 동일 권선수에서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극히 미세하여야 양호한 컨버어전스 보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평 보정 코일(40a,40b)은 베이스(60)의 수평홈(61) 중앙 부위에 위치된 수직 보정 코일(30) 외측에 대향되게 위치한다.
소결 마그네트(20,21)는 수평 보정 코일(40a,40b)의 외측에 대향되게 위치하여 PCS 장치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베이스(60) 상부의 수용홈(61)에 위치된 보정 코일(30,40a,40b)과 소결 마그네트(20,21)의 배열 순서를 보면 소결 마그네트(20), 수평 보정 코일(40a), 수직 보정 코일(30), 수평 보정 코일(40b), 소결 마그네트(21)순이고 이의 전기적 작용에 의하여 컨버어전스를 보정할 수 있다.
제3도에서 수직 보정 코일(30)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수평 보정 코일(40a,40b)의 인덕턴스 값은 드럼 코아의 초기 투자율(μi) 및 마그네트 자계의 세기에 큰 영향을 받는다.
여기에서 투자율 및 자계의 세기가 동등하거나 근사(근사(近似))하면 각각의 수평 보정 코일(40a,40b) 인덕턴스 값은 9{A)에서 동등하거나 근사치가 된다.
더 나아가 제3도에서 수직 보정 코일(30)에 전류가 흐르면 이에 의해서 수평 보정 코일(40a,40b)의 인덕턴스 값이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되는데 수평 보정 코일(40a,40b)의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방향을 다르게 할려면 와이어(70)의 권선 방향, 소결 마그네트(20,21) 자계의 방향, 전류가 흐르는 방향등을 반대로 하면 된다.
이때 포화되었을 때의 인덕턴스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ΔL=Ih2-Ih1)에 의해 화면을 보정해주는 양이 결정된다.
이때, 사용되는 소결 마그네트(20,21)의 자속 밀도(단위; 가우스(gauss))는 소결시 주위의 환경 변화(소결 온도, 습도, 시간) 뿐만 아니라 소결 후에도 주위의 환경에 민감하게 작용한다.
이러한 이유로해서 소결 마그네트(20,21)의 자계의 세기 편차는 기준치(STD)±30%로 매우 커서 PCS 장치에 적용하면 0(A)에서 인덕턴스 값이나 중첩시 ΔL의 불량이 다량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단 소결하여 소결 마그네트(20,21)가 완성되면 2차 가공이 불가능하여 본 발명의 PCS 장치에 적용하여 사용시 불량이 발생하며 불량난 소결 마그네트를 꺼내 타 소결 마그네트로 교체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바 이에 의해 걸리는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또한 불량난 소결 마그네트는 폐기 처분하여야 하는 원자재의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베이스에 수용홈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에는 드럼 코아에 와이어를 권선한 수직 보정 코일이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수직 보정 코일 양측으로는 한쌍의 드럼 코아에 와이어를 권선한 수평 보정 코일이 위치되며 그 양측으로는 러버 마그네트가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와 케이스가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PCS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 PCS 장치에 내장된 코일 및 마그네트의 평면도.
제2조는 종래 PCS 장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수직 보정 코일과 수평 보정 코일의 중첩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중첩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PCS 장치에 내장된 코일 및 마그네트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a,11b,11c,11d : 드럼 코아 20,21 : 소결 마그네트
22,23 : 러버 마그네트 30 : 수직 보정 코일
40a,40b : 수평 보정 코일 50 : 케이스
60 : 베이스 61 : 수용홈
70 : 와이어
본 발명을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되었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베이스(60)에 수용홈(61)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61)에는 드럼 코아(10)에 와이어(70)를 권선한 수직 보정 코일(30)이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수직 보정 코일(30) 양측으로는 한쌍의 드럼 코아((11a,11b),(12a,12b))에 와이어(70)를 권선한 수평 보정 코일(40a,40b)이 위치되며 그 양측으로는 러버 마그네트(22,23)가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60)와 케이스(50)가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PCS 장치는 다음의 공정으로 완성된다.
본 발명 PCS 장치의 구조가 종래의 PCS 장치 구조와 크게 다른 것은 소결 마그네트(20,21) 대신에 러버 마그네트(22,23)를 사용한다는 것이고, 그외의 보정 코일(30,40a,40b)과 보정 코일(30,40a,40b)에 사용되는 드럼 코아((10,(11a,11b),(12a,12b)) 및 와이어(70)는 종래의 기술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고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약한다.
상술한 공정으로 이루어진 PCS 장치에 사용되는 러버 마그네트(22,23)의 제조 방법은 그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라면 알고 있는 주지의 사실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즉, PCS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러버 마그네트(22,23)의 제조 공정이나 방법 또는 조건이 특별한 것이 아니고 러버 마그네트(22,23)의 제조 공정이나 방법은 종래와 같다.
상기한 러버 마그네트(22,23) 자계의 세기 편차를 줄일 수 있어 PCS 장치에 적용하면 0(A)에서 인덕턴스 값이나 중첩시의 ΔL의 불량률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컨버어전스 보정을 정밀하게 할 수 있고, 2차 가공이 가능하여 러버 마그네트(22,23)를 PCS 장치에 안착하여 사용시 인덕턴스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2차 가공을 하여 인덕턴스 값을 변화시켜 양품을 만들 수 있으므로 폐기 처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원자재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불량이 발생시 소결 마그네트(22,23)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서 종래 소결 마그네트(20,21)를 사용할 때에 발생하는 교체에 따른 시간 소비가 없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덕턴스 값의 편차를 크게 줄여 컨버어전스를 정밀하게 보정할 수 있고, 마그네트의 2차 가공이 가능하여 인덕턴스 불량시에도 마그네트를 폐기 처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인덕턴스 값을 가변시킬 수 있어 원가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베이스(60)에 수용홈(61)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61)에는 드럼 코아(10)에 와이어(70)를 권선한 수직 보정 코일(30)이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수직 보정 코일(30) 양측으로는 한쌍의 드럼 코아((11a,11b),(12a,12b))에 와이어(70)를 권선한 수평 보정 코일(40a,40b)이 위치되며 그 양측으로는 러버 마그네트(22,23)가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60)와 케이스(50)가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PCS 장치.
KR1019960033818A 1996-08-16 1996-08-16 Pcs 장치 KR100228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818A KR100228437B1 (ko) 1996-08-16 1996-08-16 Pcs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818A KR100228437B1 (ko) 1996-08-16 1996-08-16 Pcs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724A KR19980014724A (ko) 1998-05-25
KR100228437B1 true KR100228437B1 (ko) 1999-11-01

Family

ID=19469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3818A KR100228437B1 (ko) 1996-08-16 1996-08-16 Pcs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4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498B1 (ko) * 2000-12-18 2003-09-02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의 정밀 컨버젼스 시스템
JP2003070012A (ja) * 2001-08-24 2003-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可飽和リア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724A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20996A (en) Magnetizing method for use with a cathode ray tube
JPH0140463B2 (ko)
KR100481259B1 (ko) 권선 공간을 구비한 새들형 편향 권선
JPH0433197B2 (ko)
KR100228437B1 (ko) Pcs 장치
KR930002657B1 (ko) 음극선관내의 복수의 전자빔을 수속하는 장치
JP3835875B2 (ja) コンバーゼンス装置及び偏向ヨーク
KR930007126B1 (ko) 칼라수상관의 제조방법
FI106893B (fi) Värinäyttöjärjestelmä, joka sisältää itsekonvergoivan, rasterivääristymän korjauksella varustetun poikkeutuskelayksikön
US6107904A (en) Asymmetry forming arrangement in a deflection winding
KR0154175B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JPH0865691A (ja) 偏向ヨーク及び陰極線管装置
KR100376995B1 (ko) 인어 핀 개선 회로
KR0116742Y1 (ko) 피.씨.에스를 이용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JPH0364835A (ja) 偏向ヨーク
KR0137179Y1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20040060610A (ko) 피씨에스의 코어장치
KR0120082Y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US5173644A (en) 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JPH0237750B2 (ko)
EP1158561B1 (en) Asymmetric shunt for deflection yoke for reducing diagonal symmetric defects
JP2001076933A (ja) 磁気変調トランス
KR100410950B1 (ko) 편향 요크
JPS61250938A (ja) カラ−受像管用偏向ヨ−ク
KR19980011431U (ko) 편향 요크용 코마 코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