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846Y1 -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846Y1
KR930006846Y1 KR2019860007392U KR860007392U KR930006846Y1 KR 930006846 Y1 KR930006846 Y1 KR 930006846Y1 KR 2019860007392 U KR2019860007392 U KR 2019860007392U KR 860007392 U KR860007392 U KR 860007392U KR 930006846 Y1 KR930006846 Y1 KR 9300068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ase
battery
camera
batter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7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5500U (ko
Inventor
신사꾸 이나다
에이지 오시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155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55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8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Studio Devi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카메라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 일체형 VTR을 우측 전방에서 본 사시도.
제2도는 좌측 전방에서 본 사시도.
제3도는 우측 후방에서 본 사시도.
제4도는 본체만을 우측 후방에서 본 사시도.
제5도는 클립체만을 좌측 후방에서 본 사시도.
제6도는 본체와 클립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분의 단면도.
제7도는 광학 뷰파인더를 들여다보았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8도는 방진 커버와 카메라 부의 렌즈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
제9도는 컴퓨터에 대한 제어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본체 케이스
5 : 카메라부 9 : 방전커버
12 : 광학뷰파인더 20 : 후크
31 : 광학모드표시부 34 : 광도부
본 고안은 카메라 일체형 VTR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일체형 VTR에 있어서, 그 본체 부분과, 이 본체부분을 움켜쥐는 클립 부분을 양자 착탈이 자유롭게 함으로써, 카메라 일체형 VTR의 불 사용시 등에 있어서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하고, 가방등에 수납하기 쉽게하고, 운반에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 알려져 있는 가정용에서 사용되는 카메라 일체형 VTR은 일반적으로는 촬영자의 우측 어깨에 얹은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카메라 일체형 VTR의 클립부를 움켜쥐고, 이 상태로 촬상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카메라 일체형 VTR은 클립부가 이러한 VTR의 측면에 있는 등으로, 상기 VTR의 전체의 두께가 비교적 커져 있으며, 비 촬상시에 있어서 이것을 휴행하는 경우에, 서류 가방 등의 비교적 엷은 가방 등에는 수납할 수가 없고, 특히 이 VTR만을 별도로 휴행 하지 아니하면 아니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카메라부(5)와 VTR부(6)로서 본체(1)를 구성하고, 한편 클립체(2)를 설치하여 이 내부에 뷰파인더(12)와 배터리(16)를 짜넣고, 이런 본체(1)와 클립체(2)를 그들의 측면에 있어서 서로 착탈이 자유롭게 한 것이다.
비촬상시에는 본체(1)와 클립체(2)를 분리할 수 있고, 그 만큼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아래 도면에 대해서,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 일체형 VTR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 일체형 VTR은 본체(1)와 클립체(2)로 분리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1) 및 클립체(2)와 함께 본체 케이스 및 배터리 케이스(3 및 4)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본체 케이스(3)는 거의 직방체 형태로 형성되고, 배터리 케이스(4)도 거의 직방체 형태를 이루나, 윗면(4c)에서 제2측면(4f) 및 아래면(4d)에 걸쳐서, 촬상자의 오른 손바닥과 잘 어울리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3)내에는 카메라부(5) 및 VTR부(6)가 각각 수납되어 있으며, 또 다시, 본체(3)의 전면(3a)의 상부에 형성된 4각 형태의 창구멍(8)에 대하여 전면(3a)보다 약간 후퇴한 위치에 창틀판(47)이 고정되고, 카메라부(5)의 대물 렌즈(7)는 그 창틀판(47)에 형성된 창틀(47a)보다 외부에 위치 하고 있다.
그래서, 그 전면(3a)의 배면측에는 창틀판(47)과의 사이에 있어서, 적당한 수단에 의해 방진 커버(9)가 상하로 이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그 상단 가장자리가 전면(3a)의 창구멍(8)보다 약간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서 커버(9)의 적용부(10)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커버(9)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한 상태 즉, 덮개가 열린 상태와,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윗쪽으로 슬라이드한 상태 즉, 닫힌상태와의 2개의 위치에서 클릭 형태로 유지된다.
본체 케이스(3)의 윗면(3c)에서 제1측면(3e)에 걸쳐서, 본체 케이스(3)와 동일 윤곽이 되도록 덮개(11)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는 그 아래 가장자리를 힌지로서 본체 케이스(3)에 대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으며, 덮개(11)의 열린 상태에서, VTR부(6)의 카셋트 장착부(도시하지 않음)에 대해서 테이프 카셋트(도시하지 않음)를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한편, 클립체(2)에 있어서, 그 배터리 케이스(4)내의 상부에 광학 뷰파인더(12)가 조립되어 있다. (13)은 그 대물 렌즈로서 배터리 케이스(4)의 전면(4a)의 상부에 있어서, 이것에 형성된 창구멍(14)에서 외부로 이르게 되어 있다.
그래서, 그 배터리 케이스(4)의 후면(4b)의 상단에는 탄성 재료로 형성된 아이 캡(15)이 고정되고, 그 아이캡에는 전압 렌즈(도시하지 않음)가 고정되어, 대물 렌즈(13)로부터 접안 렌즈 사이에는 광학계가 형성되고, 광학 뷰파인더(12)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광학 뷰파인더(12)는 상기 카메라부(5)의 대물 렌즈(7)에 의한 광학계와는 완전히 독립되어 있다.
배터리 케이스(4)내에는 배터리(16)가 착탈이 자유롭게 수납된다. (17)은 그 배터리(16)의 출입구이며, 배터리 케이스(4)의 전면(4a)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출입구로부터 배터리를 끄집어낸 상태에서는 그 출입구(17)가 폐쇄되도록 덮개(18)(제2도 참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배터리를 수납할때에 그 선단에서 덮개(18)를 밀어 그 배터리를 내부로 집어 넣고, 배터리를 뽑아냄으로써 덮개(18)가 자동적으로 일어나서 출입구(17)를 덮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제2도에서는 덮개(18)가 일어나는 중간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그 배터리 케이스(4)에는 그 제2측면(4f)에 대향하도록 밴드(19)가 고정되어 있으며, 촬상자는 그 밴드(19)와 배터리 케이스(4) 사이에 오른손을 끼워 넣어서 그 배터리 케이스(4)를 잡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3)의 제2측면(3f)과 배터리 케이스(4)의 제1측면(4e)은 그들 양자가 서로 대접하는 결합 측면으로 되어져 있으며, 그들 각각의 면에 결합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을 하면, 본체, 케이스(3)의 제2측면(3f)에는 복수개의 위치(도면에서는 4개 위치)에 L자 형태의 후크(20)가 각각 전방을 향한 상태로 고정되어져 있으며, 한편, 배터리 케이스(4)의 제1측면(4e)에는 상기 각각의 후크(20)와 대향하여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들 각각의 오목부(21)에 연속하여 배터리 케이스(4)내를 전방으로 진행하는 걸어 맞춤 오목부(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제 본체 케이스(3)의 각각의 후크(20)를 배터리 케이스(4)의 각각의 오목부(21)내에 끼워 넣을때에는, 본체 케이스(3)의 제2측면(3f)과 배터리 케이스(4)의 제1측면(4e)이 서로 접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본체 케이스(3)를 전방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각각의 후크(20)의 선단이 각각의 오목부(21)내의 걸어 맞춤 오목부(22)내에 삽입되어, 본체 케이스(3) 및 배터리 케이스(4)가 결합된다. 즉, 본체(1)와 클립체(2)가 결합하게 된다.
그 결합 상태에서 로크를 하기 위해 아래에 설명하는 로크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배터리 케이스(4)의 후면(4b)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는 레버(23)가 고정되어 있으며, 한편,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스프링(24)에 의해 향상 본체 케이스(3)측으로 미끄러져 치우치게 되고, 레버(23)에 연결되어 접한 걸림부(25)의 선단이 오목부(21)내에 돌출되어 그 걸림부(25)로 인하여 후크(20)가 오목부(21)내를 이동하는(미끄러지는)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 케이스(3)와 배터리 케이스(4)의 결합시에, 후크(20)가 오목부(21)내에 들어갔을때, 걸림부(25)는 스프링(24)에 대향하여 후퇴하고, 또 다시,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그 후크(20)가 걸어 맞춤 오목부(22)내까지 일단, 들어가면 걸림부(25)가 오목부(21)내에 돌출하여 후크(20)를 로크하게 된다. 이와같은 로크 수단(26)은 어느 1개의 오목부(21)내에 설치하면 된다.
제6도의 상태에 있어서, 레버(23)를 스프링(24)에 대향하여 본체 케이스(3)와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 상태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본체 케이스(3)는 후방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본체 케이스(3)와 배터리 케이스(4)를 서로 분리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3)의 상술한 결합 측면 즉, 제2측면(3f)에는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전기적 접점(27)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편, 배터리 케이스(4)의 제1측면(4e)는 각각의 접점(27)과 대향하여 도전핀으로 구성된 복수의 전기적 접점(28)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술된 바와같이 본체 케이스(3) 및 배터리 케이스(4)가 결합 되었을때, 각각의 접점(27,28)이 전기적으로 서로 접촉하고, 배터리 케이스(4)내의 배터리(16)로부터, 본체 케이스(3)내의 카메라부(5) 및 VTR부(6)에 전원 전류가 각각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케이스(4)의 후면(4b)에는 트리거 스위치용 푸시 버턴(30)을 가지고, 여기에서의 신호도 상술한 접점(27 및 28)의 어느 것을 통하여 본체(1)내에 신호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실제로, 이 푸시 버턴(30)은 최초의 제1회째의 푸시로 대기 상태로 되고, 다음 제2회째의 푸시로 테이프가 주행하고, 기록이 행해진다.
본체 케이스(3)의 제2측면(3f)(결합 측면)에는, 제4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복수(본 예에서는 4개)의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광학적 모드 표시부(31)가 설치되어 있으며, 한편, 배터리 케이스(4)의 제1측면(4e)(결합 측면)에는, 제5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상술한 본체 케이스(3)의 광학적 모드 표시부(31)와 대향한 위치에 광도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즉, 광학적 모드 표시부(31)의 각각의 발광 소자에 대향하여 복수(본 예에서는 4개)의 창구멍(32)이 설치되고, 또 다시, 광학 뷰파인더(12)의 광학계 내의 초점 위치에, 사각 형태의 마스크(33)가 배치되어 있으며(제3도 참조). 이 마스크(33)의 4모서리 부분과, 상술한 각각의 창구멍(32)사이에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되는 각각의 광도관(35) (광 파이버)이 설치되어 있다. 즉, 광도관(35)의 일단은 창구멍(32)내에 꼭 끼워 맞물려 그 단면이 직접 본체 케이스(3)의 광학적 모드 표시부(31)와 대향되고, 타단이 마스크(33)의 4모서리에 형성된 창구멍내에 꼭 끼워 맞물려 있다. 제7도는 뷰파인더(12)를 들여다 보았을때 보이는 화상의 한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마스크(33)의 시야 테두리(36)밖에 각각의 광도관(35)의 단면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체(1)내의 카메라부(5) 및 VTR부(6)의 각각의 모드 상태에 따라 본체(1)의 광학적 모드 표시부(31)를 구성하는 LED등의 발광 소자가 점등하였을때, 그 점등이 광학 뷰파인더(12)내에서 각각 표시된다.
다음에, 모드 표시의 예를 설명하나, 설명에 편리하도록 제7도에 있어서 특히, 부호(a 내지 d)를 붙여서 표시한다.
먼저, (a)는 실내등에서 촬상시와 같이 색 온도가 낮은 경우에 점등시킨다. 이 경우는 본체(1)내의 카메라부(5)에서 광학계내의 색 필터를 절환 하면 된다. 제2도에 있어서, 도시된(37)은 그 절환 레버를 표시하고, 상하로 이동한다.
(b)는 대기 상태의 표시이다. 즉, 상술한 푸시 버턴(30)을 1회 푸시하면 (b)가 점등한다. 그 푸시 버턴(30)을 다시 한번 더 푸시하면 (b)는 소등하고, (c)가 점등하여 촬상중(기록증)임을 표시한다. (d)는 광량 부족상태를 표시한다. 이 경우에, 조명을 하면 된다. 또한, 본체(1)내에서 카메라부(5) 및 VTR부(6)의 상술한 각각의 모드를 광학적 모드 표시부(31)에서 각각의 발광 소자로 발광 표시를 위한 수단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그들의 발광 소자로서는 서로 색이 다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체(1)에 있어서, 카메라부(5)는 대물 렌즈(7)를 진퇴시킴으로써, 망원, 표준 및 광각의 3개의 위치로 절환하도록 되어 있다. 그 렌즈(7)의 진퇴는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렌즈(7)의 경동(38)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홈(39)내에, 그 경동(38)을 수납하여, 또한, 이것을 전후로 안내하는 고정통의 내면에 돌출시킨 돌기(어느 것이나 도시하지 않음)가 걸어 맞추고, 한편,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3)의 제1측면(3e)의 전부에 있어서, 상하로 미끄러지는 초점 절환 레버(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절환레버(40)의 후면에 고정된 연결판(41)의 일부가 경동(38)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부(42)에 형성된 잘린 부분(43)에 대해서, 경동(38)의 전면에 돌출시킨 돌기(44)가 걸어 맞추고, 따라서, 절환 레버(40)의 상. 중, 하의 이동에 의해 경동(38)은 진퇴하고, 카메라부(5)의 광학계는 말하자면 광각, 표준, 망원 상태로 된다.
이같은 경동(38)의 아래쪽에는 링크(45)가 설치되고, 그 링크(45)가 축(46)을 처쳐서, 본체 케이스(3)의 창구멍(8)의 후방으로 끼워 맞물린 창틀(47)[이 창틀(47)은 제1도에서 도시된다]의 후면에 대해서 자유롭게 고정되어져 있다. 그래서, 그 링크(45)의 일단은 구부려지고, 그 절곡부(45c)가 연결판(41)의 연장부(42)의 투과 구멍(42a)에 가볍게 걸어 맞춤되어 있으며, 절환 레버(40)가 중립(표준)위치에 있을때, 링크(45)는 제8도에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것과 같이 거의 수평 상태에 있다.
한편, 방진 커버(9)에는,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그 하단의 좌우에 있어서 맞붙임부(48a 및 48b)가 형성되어 있으며, 방진 커버(9)를 윗쪽으로 이동시켜서,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렌즈(7)의 전방을 차폐하였을때, 이들 두 맞붙임부(48a 및 48b)가 각각의 링크(45)의 좌우의 하단(45a,45b)과 접하거나, 약간의 간격을 가지고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제 절환 레버(40)를 표준(중립) 위치에서 윗쪽으로 이동시킨 때에는 광각 상태로 되고, 링크(45)는 일점 쇄신으로 표시하는 것과 같이 경사진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커버(9)를 닫으면, 그 맞붙임부(48a)가 링크(45)의 하단(45a)과 맞붙게 되고, 이것을 실선 도시하는 거의 수평 위치까지 회진시킨다. 이것에 의해 연결판(41), 즉, 절환 레버(40)는 중립 위치로 복귀하고, 즉, 렌즈(7)도 표준 위치로 되돌아간다.
또한, 커버(9)의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 절환 레버(40)를 아래쪽으로 이동 시켰을때에, 링크(45)는 상술한 것과는 역방향으로 기울어져, 망원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9)를 닫을 때는 그 맞붙임부(48b)가 링크(45)의 하단(45b)과 맞붙게 되고, 이 링크(45)를 거의 수평상태로 되돌린다. 즉, 절환 레버(40)가 중립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는 맞붙임부(48b)에 의해, 연결판(41)의 연장부(42)의 하단 가장자리를 밀어올리듯이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하지 않는 커버(9)가 닫힘으로써 카메라부(5)의 광학계를 표준 상태로 세트할 수 있고, 따라서, 그후의 촬상시에는 절환 레버(40)를 조작하지 않는 한 표준 상태로 촬상하게 된다.
본체 케이스(3)내에는,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진 커버(9)의 아래쪽에서 커버 열림 검지용 스위치(50)가 고정되어 있으며, 커버(9)가 열린 상태에서 그 스위치(50)가 켜지도록 되어 있다.
그 스위치(50)는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스위치(51a,51b,51c...)와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의 스위치(51a,51b...)와는, 예컨대, 테이프의 잘못된 소거 방지 검출용 스위치, 먼저 설명한 푸시버턴(30)에 의한 조작 스위치 등이다. 그래서, 직류 전원 단자(52)가 저항기(53) 및 상술한 각각의 스위치(50,51a,51b,...,51n)의 직렬 회로를 통해 접지되고, 각각의 스위치를 직렬 회로와 저항기(53)과의 접속점이 컴퓨터(54)의 제어 단자(55)에 접속되어 있다. 그 컴퓨터(54)는 카메라부(5) 및 VTR부(6)의 여러 종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며, 그 제어 단자(55)에 직류 전위(전압)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각의 스위치가 모두 켜지고, 즉, 모든 기록 조건이 만족되면, 컴퓨터(54)의 제어 단자(55)가 접지전위로 되며, 컴퓨터(54)가 동작 상태로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카메라 일체형 VTR에 관해서, 그 본체(1)와 일반적으로 이 본체(1)의 측면에 형성되는 클립체(2)를 서로 분리시켜서 구성하였으므로, 이 분리 상태에서는 전체의 두께가 거의1/2정도로 얇아지며, 따라서 예컨대 서류 가방과 같은 두께의 비교적 엷은 케이스 내에서도, 본체(1)와 클립체(2)를 서로 평면적으로 줄지어줌으로써 충분히 수납할 수가 있고, 따라서 비촬상시의 휴대하기에 편리한 특징을 갖는다.
물론, 촬상시에는 본체(1) 및 클립체(2)의 그들의 결합면을 서로 접촉시키도록 함으로써, 기계적으로 결합이 가능하며, 배터리(16)로부터의 전류를 본체(1)내에 공급하여 촬상 즉 기록을 할 수가 있다.

Claims (1)

  1. 배터리(16)를 포함함과 동시에 제1측면(4e)을 갖는 배터리 케이스(4)와 ; 상기 배터리 케이스(4)의 제1측면(4e)에 대응하는 제2측면(3f)을 갖는 비디오 카메라 본체 케이스(3)와 ; 상기 배터리 케이스(4)의 제1측면(4e)과 상기 비디오 카메라 본체 케이스(3)의 제2측면(3f)에 설치된 상호 걸어맞추는 후크 또는 오목부(20.21)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4)의 제1측면(4e)에 설치되고, 상기 베터리(16)에 접속하는 제1전기 접속부재(28) 및 : 상기 비디오 카메라 본체 케이스(3)의 제2측면(3f)에 설치되고, 상기 제1전기 접속부재(28)를 통해 상기 배터리(16)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기 접속부재(27)를 구비하는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카메라.
KR2019860007392U 1985-05-27 1986-05-27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카메라 KR93000684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78896 1985-05-27
JP1985078896U JPH0356948Y2 (ko) 1985-05-27 1985-05-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11813U Division KR940000158Y1 (ko) 1985-05-27 1992-06-29 비디오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5500U KR860015500U (ko) 1986-12-30
KR930006846Y1 true KR930006846Y1 (ko) 1993-10-07

Family

ID=136745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7392U KR930006846Y1 (ko) 1985-05-27 1986-05-27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카메라
KR9211813U KR940000158Y1 (ko) 1985-05-27 1992-06-29 비디오 카메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11813U KR940000158Y1 (ko) 1985-05-27 1992-06-29 비디오 카메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356948Y2 (ko)
KR (2) KR930006846Y1 (ko)
CA (1) CA1310116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717A (ko) * 2001-12-12 2003-06-25 박승식 수평기달린 바르는 흙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717A (ko) * 2001-12-12 2003-06-25 박승식 수평기달린 바르는 흙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56948Y2 (ko) 1991-12-24
KR940000158Y1 (ko) 1994-01-10
KR860015500U (ko) 1986-12-30
CA1310116C (en) 1992-11-10
JPS61195597U (ko) 198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03783B1 (en) Video tape recorder having built-in camera
KR101114133B1 (ko) 촬상 장치
US4041507A (en) Camera for underwater and above water use
KR930006846Y1 (ko)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카메라
KR930002363Y1 (ko) 카메라 일체형 vtr
KR950004164Y1 (ko) 카메라 일체형 vtr
US6322259B1 (en) Camera provided with slide cover
KR930005435Y1 (ko) 불사용시에 카메라 렌즈가 자동으로 표준 위치로 복귀되는 카메라
US20070126925A1 (en) Imaging apparatus
JPH10304229A (ja) 電子的撮像装置
US4571043A (en) Dustproofing device for thin vertically disposed camera
JPH05225965A (ja) バッテリー装着装置
JPH0591398A (ja) カメラ
JPH0248647A (ja) ビデオカメラ
JP4107880B2 (ja) 光透過面の埃除去機能を具えた光学機器
JPH0451025A (ja) 液晶ディスプレイ
JP2756286B2 (ja) カメラ
CN210609407U (zh) 一种双摄像头内窥镜
JP3825880B2 (ja) ビデオカメラ
JP2000111989A (ja) バリア付きカメラ
JPH10208574A (ja) スイッチ装置
JP4178298B2 (ja) カメラ
JPH06186522A (ja) ビデオプロジェクタ
JP4586458B2 (ja) 撮像装置
CN110830701A (zh) 一种双摄像头内窥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30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