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164Y1 - 카메라 일체형 vtr - Google Patents

카메라 일체형 vt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164Y1
KR950004164Y1 KR2019860007394U KR860007394U KR950004164Y1 KR 950004164 Y1 KR950004164 Y1 KR 950004164Y1 KR 2019860007394 U KR2019860007394 U KR 2019860007394U KR 860007394 U KR860007394 U KR 860007394U KR 950004164 Y1 KR950004164 Y1 KR 950004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amera
case
clip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7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5502U (ko
Inventor
신사꾸 이나다
히데아끼 이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155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55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1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Viewfin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메라 일체형 VTR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 일체형 VTR을 우측 전방에서 본 사시도.
제2도는 좌측 전방에서 본 사시도.
제3도는 우측 후방에서 본 사시도.
제4도는 본체만을 우측 후방에서 본 사시도.
제5도는 클립체만을 좌측 후방에서 본 사시도.
제6도는 본체와 클립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일부분의 단면도.
제7도는 광학 뷰파인더를 들여다 보았을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8도는 방진 커버와 카메라부의 렌즈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
제9도는 컴퓨터에 대한 제어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클립체
3 : 본체 케이스 4 : 클립 케이스
5 : 카메라부 6 : VTR부
9 : 방진 커버 12 : 광학 뷰파인더
20 : 후크 31 : 광학 모드 표시부
34 : 광도부 45 : 링크
본 고안은 카메라 일체형 VTR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부 및 VTR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뷰파인더를 포함하는 클립체가 착탈이 자유롭게 구성된 경우에 있어서, 본체의 카메라부의 전면의 방진 커버가 열였을때에, 이것을 감지하는 스위치를 설치하므로서, 클립체의 뷰파인더에서는 판단할 수 없는 반진 커버의 상태를 알수가 있고, 오 기록을 방지할수가 있다.
종래의 카메라 일체형 VTR은, 그 카메라의 광학계의 일부를 광학 뷰파인더로 유도하거나, 또한 카메라로 촬상된 신호를 전자 뷰파인더를 공급하여 카메라 그 자체로 찍혀지는 피사체상을 직접 감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카메라 일체형 VTR에서는, 일반적으로 클립부분이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므로, 전체의 두께가 커지며, 휴대가 불편해진다. 따라서, 본체부분과 클립부분으로 나누어지므로서, 양자의 분리상태에 있어서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휴대에 편리해진다.
그러나 클립부분은, 촬상자의 손바닥과 잘맞는 정도의 크기가 필요하며, 따라서 이것에 뷰파인더를 조립하면 클립부분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만큼 본체부분이 소형화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뷰파인더를 본체부분과 별도의 부분으로 조립하면, 본체부분의 카메라부의 전방에 설치한 방진 커버의 개폐상태를, 뷰파인더만으로는 감시할 수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방진 커버를 닫은채로 촬상 해버릴 우려도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본체 부분의 카메라부의 전면에 설치된 방진커버(9)를 열었을때, 이것을 감지하는 감지스위치를 설치하고, 이때 감지스위치에서의 기록 가능한 신호에 의해서만 기록이 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방진 커버가 카메라부의 전면을 차폐하고 있을때는, 기록 버턴을 눌러도 촬상 상태로 되는 일은 없다.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 일체형 VTR은 본체(1)와 클립체(2)로 분리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1) 및 클립체(2)와 함께 그들의 케이스(3 및 4)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본체 케이스(3)는 거의 직방체 형태로 형성되고, 클립 케이스(4)도 거의 직방체 형태를 이루나, 윗면(4c)에서 우측면(4f) 및 아래면(4d)에 걸쳐서, 촬상자의 오른 손바닥과 잘 어울리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3)내에는 카메라부(4) 및 VTR(6)가 각가 수납되어 있으며, 또 다시, 본체(3)의 전면(3a)의 상부에 형성된 4각 형태의 창구멍(8)에 대향하여, 전면(3a)보다 약간 후퇴한 위치에 창틀(47)이 고정되고, 카메라부(5)의 대물 렌즈(7)는 그 창틀판(47)에 형성된 창틀(47a)보다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그 전면(3a)의 배면측에는 창틀판(47)과의 사이에 있어서, 적당한 수단에 의해 방진 커버(9)가 상하로 이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그 상단 가장자리가 전면(3a)의 창구멍(8)보다 약간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서 커버(9)의 손잡이(10)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커버(9)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한 상태 즉, 덮개가 열린 상태와,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윗쪽으로 슬라이드한 상태 즉, 닫힌상태와의 2개의 위치에서 클릭 형태로 유지된다.
본체 케이스(3)의 윗면(3c)에서 좌측면(3e)에 걸쳐서, 본체 케이스(3)와동일 윤곽이 되도록 덮개(11)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는 그 아래 가장자리를 힌지로서 본체 케이스(3)에 대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으며, 덮개(11)가 열린 상태에서, VTR(6)의 카셋트 장착부(도시하지 않음)에 대해서 데이트 카셋트(도시하지 않음)를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한편, 클립체(2)에 있어서, 그 클립 케이스(4)내의 상부에 광학 뷰파인터(12)가 조립되어 있다. (13)은 그 대물 렌즈로서 클립 케이스(4)의 전면(4a)의 상부에 있어서, 이것에 형성된 창구멍(14)에서 외부로 이르게 되어 있다. 그래서, 그 클립 케이스(4)의 후면(4b)의 상단에는 탄성 재료로 형성된 아이 캡(15)이 고정되고, 이 아이 캡에는 전압 렌즈(도시하지 않음)가 고정되어, 대물 렌즈(13)로부터 접안 렌즈 사이에서 광학계가 형성되고, 광학 뷰파인더(12)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광학 뷰파인더(12)는 상기 카메라부(5)의 대물 렌즈(7)에 의한 광학계와는 완전히 독립되어 있다.
클립 케이스(4)내에는 배터리(16)가 착탈이 자유롭게 수납된다. (17)은 그 배터리(16)의 출입구이며, 클립 케이스(4)의 전면(4a)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출입구로부터 배터리를 끄집어낸 상태에서는 그 출입구(17)과 폐쇄되도록 덮개(18)(제2도 참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배터리를 수납할때에 그 선단에서 덮개(18)를 밀어 그 배터리를 내부로 집어 넣고, 배터리를 뽑아냄으로써 덮개(18)가 자동적으로 일어나서 출입구(17)룰 덮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제2도에서는 덮개(8)가 일어나는 중간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그 클립 케이스(4)에는 그 우측면(4f)에 대향하도록 밴드(19)가 고정되어 있으며, 촬상자는 그 밴드(19)와 클립 케이스(4)사이에 오른손을 끼워 넣어서 그 클립 케이스(4)를 잡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3)의 우측면(3f)과 클립 케이스(4)의 좌측면(4e)은 그들 양자가 서로 대접하는 결합 측면으로 되어져 있으며, 그들 각각의 면에 결합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을 하면, 본체 케이스(3)의 우측면(3f)에는 복수개의 위치(도면에서는 4개위치)에 L자 형태의 후크(20)가 각각 전방을 향한 상태로 고정되어져 있으며, 한편, 클립 케이스(4)의 좌측면(4e)에는 상기 각각의 후크(20)와 대향하여 오목부(21)가 형성되어있고, 또한, 이들 각각의 오목부(21)에 연속하여 클립 케이스(4)내를 전방으로 진행하는 걸어 맞춤 오목부(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제 본체 케이스(3)의 각각의 후크(20)를 클립케이스(4)의 각각의 오목부(21)내에 끼워 넣을때에는, 본체케이스(3)의 우측면(3f)과 클립 케이스(4)의 좌측면(4e)이 서로 접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본체 케이스(3)를 전방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서 각각의 후크(20)의 선단이 각각의 오목부(21)내의 걸어 맞춤 오목부(22) 내에 삽입되어, 본체케이스(3) 및 클립 케이스(4)가 결합된다. 즉, 본체(1)와 클립체(2)가 결합하게 된다.
그 결합 상태에서 로크를 하기위해 아래에 설명하는 로크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클립 케이스(4)의 후면(4b)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는 레버(23)가 고정되어 있으며, 한편,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스프링(24)에 의해 항상 본체 케이스(3)측으로 미끄러져 치우치게 되고, 레버(23)에 연결되어 접한 걸림부(25)의 선단이 오목부(21)내에 돌출되어, 그 걸림부(25)로 인하여 후크(20)가 오목부(21)내를 이동하는(미끄러지는) 거울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 케이스(3)와 클립 케이스(4)의 결합시에, 후크(20)가 오목부(21)내에 들어갔을때, 걸림부(25)는 스프링(24)에 대향하여 후퇴하고, 또 다시,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그 후크(20)가 걸어 맞춤 오목부(22)내까지 일단 들어가면 걸림부(25)가 오목부(21)내에 돌출하여 후크(20)를 로크하게 된다. 이와같은 로크수단(26)은 어느 1개의 오목부(21)내에 설치하면 된다.
제6도의 상태에 있어서, 레버(23)를 스프링(24)에 대향하여 본체 케이스(3)와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본체 케이스(3)는 후방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본체 케이스(3)와 클립 케이스(4)를 서로 분리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3)의 상술한 결합 측면 즉, 우측면(3f)에는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전기적 접점(27)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편, 클립 케이스(4)의 좌측면(4e)에는 각각의 접점(27)과 대향하여 도전핀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전기적 접점(28)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술된 바와같이 본체 케이스(3) 및 클립 케이스(4)가 결합되었을때, 각각의 접점(27, 28)이 전기적으로 서로 접촉하고, 클립 케이스(4)내의 배터리(16)로부터, 본체 케이스(3)내의 카메라부(5) 및 VTR(6)에 전원 전류가 각각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클립 케이스(4)의 후면(4b)에는 트리거 스위치용의 푸시 버턴(30)을 가지고, 여기에서의 신호도 상술한 접점(27 및 28)의 어느것을 통하여 본체(1)내에 신호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실제로, 이 푸시버턴(30)은 최초의 제1회째의 푸시로 대기 상태로 되고, 다음 제2회째의 푸시로 테이프가 주행하고, 기록이 행해진다.
본체 케이스(3)의 우측면(3f)(결합 측면)에는, 제4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복수(본예에서는 4개)의발광 소자로 구성되는 광학적 모드 표시부(31)가 설치되어 있으며, 한편, 클립 케이스(4)의 좌측면(4e)(결합 측면)에는, 제5도에 명백한 바와같이, 상술한 본체 케이스(3)의 광학적 모드 표시부(31)와 대향한 위치에 광도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즉, 광학 모드 표시부(31)의 각각의 발광 소자에 대향하여 복수(본예에서는 4개)의 창구멍(32)이 설치되고, 또 다시, 광학 뷰파인더(12)의 광학계 내의 초점 위치에, 사각 형태의 마스크(33)가 배치되어 있으며(제3도 참조), 이 마스크(33)의 4모서리 부분과, 상술한 각각의 창구멍(32) 사이에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되는 각각의 광도관(35)(광파이버)이 설치되어 있다. 즉, 광도부(35)의 일단은 창구멍(32)내에 꼭 끼워 맞물려 그단면이 직접 본체케이스(3)의 광학적 모드 표시부(31)와 대향되고, 타단이 마스크(33)의 4모서리에 형성된 창구멍내에 꼭 끼워 맞물려 있다. 제7도는 광학 뷰파인더(12)를 들여다 보았을때 보이는 화상의 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마스크(33)의 시야 데두리(36)밖에 각각의 광도관(35)의 단면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체(1)내의 카메라부(5) 및 VTR(6)의 각각의 모드 상태에 따라 본체(1)의 광학 모드 표시부(31)를 구성하는 LED 등의 발광 소자가 점등하였을대, 그 점등이 광학뷰파인더(12)내에서 각각 표시된다.
다음에, 모드 표시의 예를 설명하나, 설명에 펴리하도록 제7도에 있어서 특히, 부호(a 내지 d)를 붙여서 표시한다.
먼저, (a)는 실내등에서 촬상시와 같이 색 온도가 낮은 경우에 점등시킨다. 이 경우는 본체(1)내의 카메라부(5)에서 광학계내의 색 필터를 전환하면 된다. 제2도에 있어서, 도시된 (37)은 그 전환 레버를 표시하고, 상하로 이동한다. (b)는 대기 상태의 표시이다. 즉, 사술한 푸시 버턴(30)을 1회 푸시하면 (b)가 점등한다. 그 푸시 버턴(30)을 다시 한번 더 푸시하면 (b)는 소등하고, (c)가 점등하여 촬상중(기록중)임을 표시한다. (d)는 광량 부족 상태를 표시한다. 이 경우에, 조명을 하면 된다. 또한, 본체(1)내에서 카메라부(5) 및 VTR부(6)의 상술한 각각의 모드를 광학 모드 표시부(31)에서 각각의 발광 소자로 발광 표시를 위한 수단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그들의 발광 소자로서는 서로 색이 다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체(1)에 있어서, 카메라부(5)는 대물렌즈(7)를 진퇴시킴으로써, 망원, 표준 및 광각의 3개의 위치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그 렌즈(7)의 전퇴는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렌즈(7)의 경동(38)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홈(39)내에, 그 경동(38)을 수납하여, 또한, 이것을 전후로 안내하는 고정통의 내면에 돌출시킨 돌기(어느것이나 도시하지 않음)가 걸어 맞추어지고, 한편,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3)의 좌측면(3e)의 전면부에 있어서, 상하로 미끄러지는 초점 전환 레버(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그 전환 레버(40)의 후면에 고정된 연결판(41)의 일부가 경동(38)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부(42)에 형성된 잘린 부분(43)에 대해서, 경동(38)의 전면에 돌출시킨 돌기(44)가 걸어 맞추어지고, 따라서, 절환 레버(40)의 상, 중, 의 이동에 의해 경동(38)은 진퇴하고, 카메라부(5)의 광학계는 말하자면 광각, 표준, 망원 상태로 된다.
이같은 경동(38)의 아래쪽에는 링크(45)가 설치되고, 그 링크(45)가 축(46)을 거쳐서, 본체 케이스(3)의 창구멍(8)의 후방으로 끼워 맞물린 창틀(47)[이 창틀(47)은 제1도에서 도시된다]의 후면에 대해서 자유롭게 고정되어져 있다. 그래서, 그 링크(45)의 일단은 구부려지고, 그 절곡부(45c)가 연결판(41)의 연장부(42)의 투과구멍(42a)에 가볍게 걸어 맞추어져 있으며, 전환 레버(40)가 중립(표준) 위치에 있을때, 링크(45)는 제8도에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것과 같이 거의 수평 상태에 있다.
한편, 방진 커버(9)에는,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그 하단의 좌우에 있어서 맞붙임부(48a 및 48b)가 형성되어 있으며, 방진 커버(9)를 윗쪽으로 이동시켜서,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렌즈(7)의 전방을 차폐하였을때, 이들 두 맞붙임부(48a 및 48b)가 각각의 링크(45)의 좌우의 하단(45a, 45b)과 접하거나, 약간의 간격을 자기고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제 전환 레버(40)를 표준(중립) 위치에서 윗쪽으로 이동시킨때에는 광각 상태로 되고, 링크(45)는 일정 쇄선으로 표시하는 것과 같이 경사진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커버(9)를 닫으면, 그 맞붙임부(48a)가 링크(45)의 하단(45a)과 맞붙게 되고, 이거슬 실선 도시하는 거의 수평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연결판(41), 즉, 전환 레버(40)는 중립 위치로 복귀하고, 즉, 렌즈(7)도 표준 위치로 되돌아간다.
또한, 커버(9)의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 전환 레버(40)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링크(45)는 상술한 것과는 역방향으로 기울어져, 망원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9)를 닫을때는 그 받붙임부(48b)가 링크(45)의 하단(45b)과 맞붙게 되고, 이 링크(45)를 거의 수평상태로 되돌린다. 즉, 전환 레버(40)가 중립 위치로 되돌아 간다. 이 경우는 맞붙임부(48b)에 의해, 연결판(41)의 연장부(42)의 하단 가장자리를 밀어올리듯이 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사용하지 않는 커버(9)가 닫힘으로써 카메라부(5)의 광학계를 표준 상태로 세트할 수 있고, 따라서, 그후의 촬상시에는 전환 레버(40)를 조작하지 않는 한 표준 상태로 촬상하게 된다.
본체 케이스(3)내에는,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방진 커버(9)의아래쪽에서 공지 형태의 커버 열림 감지용 스위치(5)가 부착되어 있으며, 커버(9)가 열린 상태에서 그 스위치(50)가 돈 되도록 되어 있다.
그 스위치(5)는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다른 스위치(51a, 51b, 51c…)가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의 스위치(51a, 51b, …)는, 예컨데, 테이프의 잘못된 소거 방지 검출용 스위치, 먼저 설명한 푸시 버턴(30)에 의해 조작된 스위치 등이다. 그래서 직류 전원 단자(52)가 저항기(53) 및 상술한 각각의 스위치(50, 51a, 51b, …, 51n)의 직렬 회로를 통해 접지되고, 각각의 스위치의 직렬 회로와 저항기(53)과의 접속점이 컴퓨터(54)에 제어 단자(55)에 접속되어 있다. 그 컴퓨터(54)는 카메라부(5) 및 VTR(6)의 여러 종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며, 그 제어 단자(55)에 직류 전위(전압)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1)에 있어서 방진 커버(9)가 닫혀져 있을때는, 푸시버턴(30)을 눌러도, 기록되지 않고, 특히 카메라 일체형 VTR이 기록전용과 같은 경우, 재생시가 아니면 기록상태가 알수없으나, 본 고안에서는, 이같은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Claims (1)

  1. 배터리(16)를 수납하며, 좌측면(4e)을 가진 클립체(2)와, 상기 클립체(2)의 상기 좌측면(4e)과 서로 대접하는 우측면(3f)을 가진 전기적 설비를 수납한 본체 케이스(3)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 케이스(3)내에는 그 전방에 방진 커버(9)가 설치된 카메라부(5) 및 VTR(6)가 수납된 카메라 일체형 VTR에 있어서, 상기 방진 커버(9)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방진커버 열림감지용 스위치(50)와, 상기 방진 커버(9)의 열린상태에서 작동하는 초점 전환레버(40)와, 상기 초점 전환 레버(40)의 후면에 고정된 연결판(41)과, 상기 연결판(41)의 연장부(42)의 잘린 부분(43)에서 전면에 돌출된 돌기(44)로 걸어 맞추어지는 경동(38)을 구비하여, 상기 전환 레버(40)의 상, 중, 하의 이동에 의해 경동(38)이 진퇴됨으로써 초점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VTR.
KR2019860007394U 1985-05-27 1986-05-27 카메라 일체형 vtr KR95000416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5078898U JPS61195599U (ko) 1985-05-27 1985-05-27
JP85-78898(??) 1985-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5502U KR860015502U (ko) 1986-12-30
KR950004164Y1 true KR950004164Y1 (ko) 1995-05-22

Family

ID=1367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7394U KR950004164Y1 (ko) 1985-05-27 1986-05-27 카메라 일체형 vt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195599U (ko)
KR (1) KR9500041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195599U (ko) 1986-12-05
KR860015502U (ko) 198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03783B1 (en) Video tape recorder having built-in camera
US4041507A (en) Camera for underwater and above water use
KR100824588B1 (ko) 비디오스틸카메라
US20050179783A1 (en) Electronic image pickup apparatus
KR950004164Y1 (ko) 카메라 일체형 vtr
KR930002363Y1 (ko) 카메라 일체형 vtr
US6721014B1 (en) Internal arrangement and body of image sensing apparatus
KR930006846Y1 (ko)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카메라
US6322259B1 (en) Camera provided with slide cover
KR930005435Y1 (ko) 불사용시에 카메라 렌즈가 자동으로 표준 위치로 복귀되는 카메라
JP2000029104A (ja) ストロボ内蔵型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US4571043A (en) Dustproofing device for thin vertically disposed camera
US5565942A (en) Camera with built-in flash
JPH0591398A (ja) カメラ
JPH05225965A (ja) バッテリー装着装置
JP2007088666A (ja) 撮像装置
JPH0451025A (ja) 液晶ディスプレイ
JP2756286B2 (ja) カメラ
JP3825880B2 (ja) ビデオカメラ
JPH10208574A (ja) スイッチ装置
JP3374517B2 (ja) ビデオカメラ用防水パック
JP4586458B2 (ja) 撮像装置
JP4178298B2 (ja) カメラ
JPS6377038A (ja) カメラ装着型照明装置
JPH11231376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22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