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677B1 - 유동상 반응기 및 그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유동상 반응기 및 그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677B1
KR930006677B1 KR1019860004692A KR860004692A KR930006677B1 KR 930006677 B1 KR930006677 B1 KR 930006677B1 KR 1019860004692 A KR1019860004692 A KR 1019860004692A KR 860004692 A KR860004692 A KR 860004692A KR 930006677 B1 KR930006677 B1 KR 930006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fluidized bed
solid
inlet
reac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411A (ko
Inventor
엘. 홀름 에엘러
크리스티안 클라우센 옌스
Original Assignee
아알보르그시서브 인터내셔널 에이/에스
이브 라스무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06653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3000667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DK268885A external-priority patent/DK268885D0/da
Application filed by 아알보르그시서브 인터내셔널 에이/에스, 이브 라스무쎈 filed Critical 아알보르그시서브 인터내셔널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870000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10J3/54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uels by the Winkler technique, i.e. by fluidisation
    • C10J3/56Apparatus;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23C10/005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comprising two or more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B01J8/2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B01J8/2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 B01J8/2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with two or more fluidised beds, e.g. reactor and regeneration installations
    • B01J8/2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with two or more fluidised beds, e.g. reactor and regeneration installations the one above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B01J8/2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 B01J8/3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with introduction into the fluidised bed of more than one kind of mov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B01J8/2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 B01J8/3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with fluidised bed containing a rotatable device or being subject to rotation or to a circulatory movement, i.e. leaving a vessel and subsequently re-entering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B01J8/2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 B01J8/3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with fluidised bed containing a rotatable device or being subject to rotation or to a circulatory movement, i.e. leaving a vessel and subsequently re-entering it
    • B01J8/38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with fluidised bed containing a rotatable device or being subject to rotation or to a circulatory movement, i.e. leaving a vessel and subsequently re-entering it being subject to a circulatory movement only
    • B01J8/38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with fluidised bed containing a rotatable device or being subject to rotation or to a circulatory movement, i.e. leaving a vessel and subsequently re-entering it being subject to a circulatory movement only externally, i.e. the particles leaving the vessel and subsequently re-entering 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23C10/02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or promoting a circulating movement of particles within the bed or for a recirculation of particles entrained from the bed
    • F23C10/04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or promoting a circulating movement of particles within the bed or for a recirculation of particles entrained from the bed the particles being circulated to a section, e.g. a heat-exchange section or a return duct, at least partially shielded from the combustion zone, before being re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zone
    • F23C10/08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or promoting a circulating movement of particles within the bed or for a recirculation of particles entrained from the bed the particles being circulated to a section, e.g. a heat-exchange section or a return duct, at least partially shielded from the combustion zone, before being re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zone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separation apparatus, e.g. cyclon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the flue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2206/00Fluidised bed combustion
    • F23C2206/10Circulating fluidised bed
    • F23C2206/101Entrained or fast fluidised b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 Fluidized-Bed Combustion And Resonant Combustion (AREA)
  • Crucibles And Fluidized-Bed Furnace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Catalyst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동상 반응기 및 그 운전 방법
제1도는 3개의 반응기 연장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기의 태양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1개의 반응기 연장부를 가지고 있으며 운전 상태 중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대응 반응기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응실 2 : 저부 실
3a,3b,4 : 반응기 연장부 5,12,28 : 배출관
6 : 밸브 7,8,20,23,24 : 유입구
9 : 제1유입구 10,22a,32 : 도관
11 : 유동상 냉각기 13,19 : 저장부
15 : 입자 분리기 16 : 사이클론내 가스 배출관
17 : 사이클론내 저부 배출관 21 : 열 교환기
22 : 제2유입구 25,26 : 노즐
29 : 냉각 나선부 30 : 유동상
본 발명은 유동상(流動床) 반응기 및 그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동상 시스템은 고체 미립자 물질과 가스간의 양호한 접촉을 필요로 하는 여러 공정에서 사용된다. 그 전형적인 예로서는 열 교환 공정, 불균일 촉매 반응 및 고형물과 가스류 간의 직접 반응을 들 수 있다. 최근에 와서, 유동상 시스템은 고체 연료의 연소 장치로서 특별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 이유는 특히 종래의 연소기에서 야기되고 있는 환경 문제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종래의 연소기는 특히 이산화황(SO2) 및 질소 산화물(NOx)로 인한 대기오염을 허용치 이하로 억제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뿐더러 복잡한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정 및 반응기는 특히 고체 연료의 연속 장치로서 적합하나, 미립자 형태이거나 이러한 형태로 될 수 있는 고체 물질을 가스와 발열 또는 흡열 반응시키는 것과 같은 경우를 포함하여 상(床) 물질을 가열하거나 냉각시킬 필요가 있는 모든 경우에도 유리하다.
유동상 시스템은 유동 작용의 종류에 따라 세가지 유형, 즉 "기포상(bubble bed)"형, "난류상(turbulent bed)"형 및 "고속상(fast bed)"형으로 분류된다. 전자의 두가지 형에서는 유동화 가스의 속도가 매우 낮아서(전형적으로 1-3m/초), 반응기내 고체 물질이 필연적으로 상 중에 남게되므로, 이를 "저속상"이라고도 한다. 고속상에 있어서는 유동화 가스 속도가 반응기내 고체 물질의 말단 속도 보다 높은데(전형적으로, 6m/초 이상), 이는 상 미립자가 가스 흐름에 담지되어 상기 상의 외부로 운반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속상에서는 상 미립자가 재순환되므로, 이러한 시스템에 대해서는 "순환상"이란 용어가 또한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유동 상태가 미립자의 운반에만 관련될 때까지 미립자가 반응기내 유동 방향으로 그 밀도가 감소되면서 분배된다는 것이다.
고속 유동상 또는 순환상을 갖는 시스템이 연소 공정에 이용될 경우, 미립자 덩어리 중 최대 약 5%만이 연료로 되는 반면에, 나머지는 불활성 물질, 특히 모래, 회분 및 황 흡수물질로 될 것이다. 이와같은 시스템에서는 상 미립자를 냉각시켜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고온이 발생하여 이들 미립자를 소결시키게 된다. 이러한 냉각은 반응기 벽을 냉각시킴으로써 또는 반응기 내에 설치한 보일러관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미합중국 특허 제 4,084,545호 참조). 또다른 냉각 방법으로서 순환하는 미립자 물질이 반응기로 되돌아가기 전에 외부에 있는 입자 냉각기에서 냉각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다(국제 특허 출원 제 PCT/US80/01737호 참조). 또한 이들 2가지 냉각 시스템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중 어느 것도 최적의 운전 상태를 실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만족할 만한 것이 못된다. 냉각 표면 또는 반응기 내의 보일러관만을 사용하면, 특히 냉각된 반응기 벽의 경우에 반응기의 횡단면 전체에 걸쳐 반경 방향으로 불균일한 온도 분포가 생기게 되므로, 공정의 수행을 최적 상태로 만들 수 없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내부 냉각 표면의 냉각 효과는 조절 능력이 낮은 시스템의 다른 작동 매개 변수와는 무관하게 거의 일정하므로, 최적 상태의 실현성이 희박하다. 순환하는 반응기 물질의 외부를 냉각시키면, 크게 뭉친 괴상 입자가 일정하게 냉각되고, 그로 인하여 유동 속도를 제한시키게 된다. 더우기, 외부 냉각은 사용 가능한 반응기 압력을 제한시킨다. 반응기 압력에 있어서는 고압이 특히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특정 유동 속도에서 반응기로부터의 방출 효과가 압력 증가에 따라서 급속히 증가되기 때문이다.
또한, 순환상은 부분적으로 불활성인 물질과 부분적으로 내화성인 라이닝의 큰 부피로 인하여 비교적 긴 시동 기간을 가진다.
본 발명은 고속 유동상 반응기 및 소형 유동상 반응기의 운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고속상에 비해 고압에서의 운전을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개선된 공정 최적화를 실현시킨다. 본 발명을 연소 공정에 사용할 경우, 이 공정은 열전달과는 별도로 진행된다. 탈황 반응에 사용하면 특히 유리하고, 개선된 공정 최적화의 실현성으로 인하여 연소 가스 중의 NOx 함량의 조절이 촉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응기의 시동에 유리하다. 기타의 잇점은 다음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공정의 측면에서 볼 때, 본 발명은 순환하는 유동상 반응기의 운전 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이 공정에서는 고체 반응 물질로 이루어지는 고체 미립자 물질을 반응기의 하부로 도입하고, 반응기의 하부로 도입된 가스상 반응 물질을 함유하는 유동화 가스에 의해 고속상을 형성하는 한편, 미반응 미자는 반응기의 상부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고속상으로 재순환시킨다. 이 공정은 반응기 중에 존재하는 고체 미립자 물질의 소정 분획을 반응기의 정부 아래에 위치한 상기 고속상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부터 제거하여 열처리한 후에, 상기 고속상 하부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재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정에 있어서, 임의 개의 분리 순환로를 설치함으로써, 소정량의 고체 미립자 물질을 제거하거나, 냉각 또는 가열하고, 상기 상 하부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분획"이란 표현은 그 양이 상의 해당 부위에 항상 존재하는 물질의 총량보다 적은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는 가장 중요한 분야는 연소 공정에 있지만, 기타 어떠한 발열 반응에서 고체 물질의 분획을 냉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흡열 반응에서 외부열을 공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정의 고체 반응 물질로서는 유동을 위해 적당하게 미분된 형태로 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연소 공정의 경우, 고체 반응 물질은 연료로서 제공되는데, 이는 전형적으로 갈탄 또는 무연탄을 포함하는 석탄 뿐만 아니라, 바이오 매스(bio mass), 폐물, 목재, 토탄 및 석유코우크스와 같은 기타 탄소질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연료의 분쇄 정도는 중요하지 않으나, 전형적으로 0 내지 약 40㎜까지, 특히 약 0 내지 10㎜까지 변화시킬 수 있다. 연료는, 예를 들면 모래와 같은 불활성 미립자 물질과의 임의 혼합물 중에 유입시켜도 좋고, 물 중의 현탁액, 즉 페이스트 또는 슬러리로서 유입시켜도 좋다. 전형적으로, 반응기내의 고체 물질 중 2 내지 5%가 연료이고, 나머지는 황 흡수제를 비롯한 불활성 미립자 물질이다.
석탄은 원산지에 따라 황 함유량이 상이하지만, 대체적으로 1 내지 3% 정도의 황이 함유되어 있다. 연소공정에서의 탈황 반응은 통상적으로 석회석을 이산화탄소의 방출 하에 하소시킨 후, 생성된 산화칼슘을 이산화항 및 산소와 반응시켜서 황산칼슘을 얻는 방법에 의해 행해진다. 하소 공정은 흡열 반응이지만, 황산칼슘의 생성 반응은 발연 반응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서의 이러한 조건들은 석회석을 하소시키는데 필요한 열에너지를 상으로부터 고체 물질의 순환 분획에 의해 제공받을 수 있을 때에 특히 유리하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는데, 그 이유는 열 처리를 위해 입자가 제거되는 위치에서 순환하고 있는 고체 미립자 물질과 직접 혼합되도록 석회석을 유리하게 도입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석회석은 반응기를 고압에서 운전하더라도 이산화탄소의 분압이 낮은 지역에서 하소되므로, 고도의 하소화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하는 산화칼슘과 이산화황간의 반응에서, 유용한 열이 발생되고, 생성된 황산칼슘은 연도 가스로부터 사용후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정에서 유동화 가스로서는 가스상 반응 물질이 함유된 가스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해도 좋다. 연소 공정에서, 유동화 가스는 공기인데, 이는 1차 공기로서 일부 도입되고 나머지는 2차 공기로서 도입된다. 1차 공기는 휘발성 물질의 연소와 탄소에서 일산화탄소로의 산화의 대응하는 양으로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도입량은 또한 공형물 장입량에 따라서도 달라지는 것이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정에서는 고속 유동상 또는 순환상을 갖는 시스템이 마련된다. 실제로, 이 시스템은 유동 가스, 특히 1차 공기를 입도 분포에 따른 속도, 바람직하기로는 0.4 내지 3m/초, 전형적으로는 0.6 내지 2.0m/초의 속도로 반응기의 저부에 도입하여 초기에 기포상 또는 난류상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입도가 바람직하기로는 2000μ미만이고, 전형적으로는 300μ미만인 미립자 중 일부가 이상의 표면으로부터 유동화 가스에 의해 분출된 후, 상승한 미립자는 도입되는 2차 공기에 의해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300㎏/㎡초, 전형적으로는 15 내지 70㎏/㎡초의 양으로 유동화 가스와 함께 운반된다. 이어서 이들 미립자는 고속상으로서 반응기를 통하여 상방향으로 운반된다.
각기 분리된 소정 분획의 양은 해당 반응기 단면에서의 미립자양 중 30 내지 7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분획은 열처리 후 상기 상 하부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재순환하여 추가의 미립자를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상 하부의 위치로 도입되는 미립자의 양은 위에서 분리된 양과 동일할 수 있으나, 전형적으로는 상내로 유입되어 있는 반응기 단면에서의 미립자 양 중 30 내지 70중량%이다. 또한, 반응기 시스템의 아래쪽에 미립자를 축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내에 보다 많은 양의 미립자를 도입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불안정한 미립자의 축적은, 장입량을 적게하고 이에 비추어서 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경우에 통상 발생된다.
또한, 각기 분리된 소정 분획의 양은 주어진 입자의 총량과 가스 속도와의 관계에서 운전이 안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반응기 용적에 따라 정해진다. 단위 시간당 반응기의 저부로 도입되는 고체 반응 물질의 양이 변화되면, 이에 따라 유동화 가스의 속도도 변하게 되므로, 새로운 안정 상태가 얻어진다. 장입률이 증가되는 연소 공정의 경우, 1차 공기의 양은 전형적으로 해당 장입량에 따라 안정된 운전에 대응하는 공기양의 1.1 내지 1.3배까지 서서히 증가된다. 새로운 안정점에 도달했을때, 1차 공기는 운전 수준과 일치하도록 조절된다. 장입률이 저하되면, 1차 공기의 양은 이에 대응하여 새로운 평형 상태에 도달할때까지, 전형적으로 안정된 운전에 대응하는 공기 양의 1.1 내지 1.3배까지 다시 서서히 감소되고, 이어서 1차 공기는 운전 수준과 일치하도록 조절된다. 가속 및 감속 도중의 공기 양은 실제로 고체 반응 물질 중 휘발성 물질양의 함수로서, 특히 2차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조절할수 있다.
2차 공기의 양은 실제로 이 2차 공기가 대기중으로 배출되기 전에 연소 가스 중에서 산소 측정기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2차 공기의 양은, 난류상으로부터 순환 고속상까지 변화가 없게 하고, 이와 동시에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산화시켜며 남아있는 휘발성 일산화황을 CaSO4로 산화시키는 방법으로 조절한다.
화석 NOx는 난류 영역에 존재하고 있는 연료중의 탄화수소류에 의해 질소로 환원되며, 특히 2차 공기와 함께 NH3를 도입시킴으로써 환원을 더욱 촉진시킬 수도 있다.
안정된 운전, 특히 감속 운전 중에 연소 공정을 이론적으로 필요한 공기의 양보다 낮거나 높은 평형점에서 유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탈황 물질을 0 내지 2.5의 몰비, 전형적으로는 1.2의 몰비로 첨가하여, 대기압에서의 운전시 연도 가스 중에서 200ppm 미만의 SOx, 200ppm 미만의 NOx 및 20ppm 미만의 COx를 얻을 수 있다. 고압에서 운전하면, 이들 값을 더욱 작게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조건하에서, 유해한 폴리방향족 탄화수소는 연도 가스 중에서 측정되지 않거나, 또는 무시할 정도의 양이 측정된다.
또다른 면으로서, 본 발명은 수직 반응실, 고체 미립자 물질의 도입을 위한 반응실 하부의 제1유입구 및 유동 가스의 도입을 위한 반응실 하부의 제2유입구와, 반응기 물질의 제거를 위한 반응실 상부의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유동상 반응기에 있어서, 고체 미립자 물질을 위한 1개 이상의 추가 배출관이 상기 고체 미립자 물질의 도입을 위한 제1유입구와 상기 반응기 물질의 제거를 위한 배출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추가 배출관을 고체 미립자 물질의 도입을 위한 1개 이상의 추가 유입구로서 냉각 또는 가열 부재를 통하여 반응기에 다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기를 제공한다.
이와같은 반응기는 전술한 본 발명의 공정을 행하는데 적합하며, 그 결과 추가 배출관(들)에 의해서 고체 미립자 물질의 소정 분획을 제거하여 그의 가열 또는 냉각을 조절하고, 이와같은 방식으로 처리한 미립자 물질을 하부에 있는 1개소 이상의 상 위치로 되돌려 보내어, 상내에 미립자 덩어리가 체류하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기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미립자 물질의 제거를 위한 추가의 배출관(들)은 반응실 상의 1개 이상의 연장부를 구성한다. 이와같은 반응기의 연장부에다 배출된 고체 미립자 물질과의 열 교환을 위한 열 교환기를 설치하면, 목적하는 열 처리를 이 열 교환기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고체 미립자 물질을, 예를들면 열 교환기와 같은 외부의 열 처리 유니트로 운반한 후, 그로부터 다시 반응기로 운반시킬 수 있다.
유동된 고체 미립자와 함께 유동화 가스가 반응기 연장부를 통과하는 동안, 유동 속도는 반응기 벽을 따라 상의 최외부에서 자동적으로 감소된다. 유동 속도의 변화는 대체로 반응기 단면 변화율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반응기 단면이 2배로 되면 유동 속도는 1/4로 감속된다. 반응기 연장부를 적당히 배열함으로써, 유동 속도를 가장 큰 미립자 및 작은 미립자의 입상(粒狀) 축적물이 중력 효과에 의해 침강될 수 있는 정도까지 감소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이들을 전술한 배출관을 통하여 반응기 연장부의 하부로부터 상의 하부 위치까지 운반할 수 있다. 배출관에는 재순환되는 고체 미립자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적당한 밸브 부재를 마련한다. 그 외에, 침강되는 미립자를 반응기의 연장된 부분에 2차 공기 또는 재순환된 연도 가스와 같은 보충용 가스를 도입하여 재유동시킬 수 있으므로, 반응기의 연장부는 기포상으로서도 작용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같이, 전형적으로는 석회석으로 될 수 있는 탈황 물질을 포함해서, 고체 첨가 물질용 유입구를 반응기의 연장부에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기는 열 처리 및 미립자 물질의 분획을 반응기로 복귀시키기 위한 부속 도관을 갖는 임의 개의 반응기 연장부로 구성될 수 있다. 부속 도관을 갖는 상기 반응기 연장부는 반응기 원가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연장부의 수는 통상 최소로 되어야 하며, 따라서 반응기 연장부는 3개 이하, 특히 2개가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1개의 반응기 연장부를 마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고체 미립자 물질의 보충열 처리를 위해서는 열 처리용의 추가 유니트를 반응실의 배출 단부 또는 최종 반응기 연장부에 마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유니트로서는 특히 축적된 고체 물질의 배출관 또는 열 교환기, 특히 냉각 나선부를 가진 유동상 냉각기를 이용할 수 있다. 반응기의 정부에 위치한 냉각 나선부는 통상적으로 격심한 마모를 받게되나, 본 발명에 따른 반응기에서는 다량의 입자가 전 단계의 분리기 내에서 제거되므로 입자 속도가 급격히 감소된다. 그 결과, 냉각 나선부는 이 경우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마모(침식)되지 않는다. 가스 및 입자의 온도는 상 냉각기 또는 냉각 나선부 내에서 통상의 탄소강으로 된 사이클론을 사용할 수 있는 온도까지 강하시킬 수 있으므로, 부적합한 내화성 라이닝을 방지할 수 있다.
반응기 내에서 반응을 개시하지 않는 고체 반응 물질 중 일부는 불활성 미립자 물질, 회분 등과 함께 반응실의 상부에서 배출관을 통해 배출 가스에 의해 배출되고, 그 후 고체 미립자들은 공지된 방법으로 입자 분리기, 특히 사이클론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이어서, 회수된 고체 미립자는 사이클론의 저부로부터 저장부까지 운반되거나, 반응기로, 바람직하기로는 1개 이상의 유입구를 통하여 반응기로부터 제거된 미립자 물질의 분획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반응기에는 그 상부에 다수의 입자 분리기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분리기는 반응기 주위를 대칭으로 감싸는 사이클론, 예를들면 2개의 직경 방향 대향 사이클론으로서 배치될 수 있다. 1개의 사이클론만을 설치하는 경우와, 특히 다수의 사이클론을 설치하는 경우 모두, 반응기로부터의 고체 미립자 배출관(들)은 그 상부에서 반응기의 측면부를 통하여 도입되는데, 이들 배출관(들)중 일부를 모래 입자가 사이클론(들)내로 도입되는 것을 가능한 방지하기 위해서 반응기내로 돌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정은 정상 대기압에서 행할 수도 있으나, 전술한 바와같이, 방출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고압에서 행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고압에서의 운전을 위해서는 정제된 연도 가스로 터빈 충전기를 작동시켜서, 대기 중의 공기와 같은 가스상 반응 물질을 소망하는 운전 압력, 바람직하기로는 약 0.99 내지 약 3.45기압(1 내지 3.5바) 또는 약 11.84 내지 약 15.79기압(약 12 내지 16바) 이상까지 압축시킬 수 있다.
대기압 하에서 시동 또는 운전하는 동안에는 터빈 충전기는 분리되어 있거나 또는 정지 상태로 있으며, 공기 공급은 전형적으로 전기로 구동되는 공기 압축기에 의해서 제공되거나 유지된다.
가스상 반응 물질을 가열 또는 예열하기 위해서 시동 기간중에 보일러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보일러는 전형적으로 가스 또는 오일로 가열될 수 있는 것이다. 연소 공정에 있어서 이 시동 보일러를 1차 공기 순환로 내에 연결하여 공정이 진행되거나 소망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공기를 가열 또는 예열하고, 그 후에 고체 연료를 추가 가열을 위해 반응기 내에 투입시킬 수 있다. 시동 보일러는 운전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전형적으로 650℃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단지 공기 예열기로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정 및 반응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반응기는 일반적으로 저부 실(2), 중간 반응기 연장부(3a) 및 (3b)와, 최상부 반응기 연장부 또는 정부 실(4)로 구성되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반응실(1)로 이루어진다. 반응기 연장부(3a), (3b) 및 (4)는 조절 밸브(6)을 갖는 전형적으로 1 내지 6개의 수준에서 1 내지 12개로 된 소정 수의 하류 파이프(5)를 통하여 반응기 각각의 저부와 연통된다. 조절 밸브(6)은 입자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L-밸브, 혼합 조절기 또는 이에 유사한 것으로 될 수 있다. 부호(7)은 각 반응기 연장부의 저부로 도입되는 2차 공기의 유입구를 나타낸다. 탈황 물질을 포함한 첨가 물질은 도관(8)을 통하여 반응기 연장부(3a) 및 (3b)로 도입되고, 1차 고체 반응 물질, 예를들면 연료 및 불활성 미립자 물질은 저부 실(2)로 도입되는 관(9)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고체 물질은 필요에 따라서, 저부 실(2)내의 관(10)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도시한 태양에 있어서, 유동상 냉각기(11)은 정부 실(4)내에 있으며, 이 냉각기에 축적된 물질은 배출관(12)를 통하여 저장부(13)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관(14)를 경유하여 저부 실(2)로 이동한다. 부호(15)는 가스 배출관(16)과 저부 배출관(17)을 갖는 사이클론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는 적당한 밸브(18)을 갖는 분지관을 통하여 저장부(19)로 연결되거나 관(20)을 통하여 하류 파이프(5)에 연결된다. 반응기 연장부(3a), (3b) 및 (4)에서 부호(21)은 외부로부터 도입되는 열 교환 매질과의 열 교환을 위한 관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반응기 저부에 유동화 가스의 유입관(22)가 마련되는데, 이 유입관은 2차 공기를 전술한 유입구(7)을 통하여 각 반응기 연장수부(3a), (3b) 및 (4)의 저부에 공급하기 위한 분지관(23)을 가진다. 유입구(7)을 통과하는 보충용 가스는 사이클론(15)에서의 배출 가스와 배출관(16), 터빈 충전기 및 분지관(24)를 통하여 혼합될 수 있다. 모든 관들에는 도시 여부에관계없이, 모든 수송량을 조절하는 적당한 밸브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시된 반응기의 운전법을 연소 공정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1차 공기는 관(22)를 통해 쇄선으로 표시한 노즐(25)를 거쳐서, 저부 실(2)로 도입되는 연소 공정에 필요한 총량의 50 내지 100%의 양으로 존재한다. 적합한 미립자 고체 연료, 불활성 물질 및 경우에 따라서는 탈황 물질이 함께 또는 별도로 유입구(9)를 통해 저부 실(2)로 운반되어 유동상을 형성한다. 가스와 고체입자는 반응실(1)에서 소정 길이의 통로를 통과한 후, 제1반응기 연장부(3a)를 통과하여, 여기서 소정량의 반응기 물질이 제거된다. 이러한 제거는 중력 효과에 의한 유동 속도의 감속으로 인하여 행해질 수 있으나, 부호(26)으로 표시한 수단에 의해 원칙적으로 촉진될 수도 있으며, 그 수단으로서는 공기 역학적, 기계적 또는 전기적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반응기 연장부(3a)로부터 제거된 물질의 양은, 열 교환기(21)에 의해 냉각된 후 하류 파이프(5)를 통과하는 양에 의해 측정된다. 분지관(23)으로부터의 2차 공기 또는 분지관(24)로부터의 재순환 가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유입구(7)을 통해 반응기 연장부(3a)의 저부로 도입되어 유동상(30)을 형성하는데, 전형적으로 이 유동상은 기포상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서 탈황 물질은 유입구(8)을 통해 이 상에 공급된다.
반응기 연장부(3a)를 통한 1차 분리 단계 후, 가스 및 상 물질 중 분리되지 않은 부분 및 가능하다면 인접한 분리 단계로부터의 재순환 상 물질은 유입구(7)을 통해 도입되는 2차 공기 또는 재순환된 가스와 함께 다음 반응기 연장부(3b)로 운반된다. 여기에서 물질은 반응기 연장부(3a)의 분리 단계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2차로 분리된다. 이 2차 분리 단계로부터 냉각된 상 물질은 반응기 저부 또는 반응기의 다른 선택된 위치로 재순환된다.
2차 분리 단계로부터 상 물질과 함께 가스는 정부 실(4)로 운반되며, 여기에서 상 물질은 상기 반응기 연장부(3a) 및 (3b)와 동일한 원리로 냉각된다. 그 외에 상 물질은 유동상 냉각기(11)에 의해 냉각될 수도 있으며, 노즐(27)을 통해 가스 및 남아있는 상 물질이 통과한다. 상 냉각기(11) 중에 축적된 물질은 배출관(12)를 통해 제거되어, 저장부(13)으로 운반된 후, 저부 실(2)로 재도입된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냉각 나선부(29)에 의해 냉각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냉각 나선부에 의해 보충 냉각을 행할 수도 있다.
배출 가스는 남아있는 상 물질과 함께, 반응기 저부로부터 배출관(28)을 거쳐 사이클론(15)로 도입되고, 여기에서 가스가 최종 목적을 위해 정제되며, 분리된 물질은 도관(17)을 통해 배출되어 반응기(1)로 재순환되거나 저장부(19)로 운반된다.
반응기를 시동시킴으로써, 적당한 제어 조치에 의해 제1반응기 연장부(3a)에서 상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소량의 미립자 물질에 대한 시동 기간을 신속하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기의 또 다른 태양을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의 부호들은 제1도의 부호에 대응한다. 이 태양은 1개의 반응기 연장부(4)만을 갖는 것으로서, 제1도의 것에 비하여, 관의 배열을 다소 변경시킨 것이다. 그리하여, 도관(10)은 저부 중앙에 위치한 고체 물질의 제거를 위한 것이고, 보충용 유동화 가스는 관(32)를 거쳐 도관(10)내에 도입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노즐(22)는 1차 공기를 도입시키기 위해서 반응기 저부에 배열되어 있고, 보충용 도관(22a)는 2차 공기를 도입시키기 위해 배열되어 있으며, 배출관(28)은 연결 피스에 의해 반응기 연장부(4)의 상부쪽으로 연결된다. 또한, 쇄선은 배출관(16) 쪽으로의 가능한 추가 사이클론(15)를 나타낸다. 실제 반응기(1)의 직경을(d)로 표시하였고, 반응기 연장부의 직경을(D)로 표시하였다. 가스 순환로는 점선과 화살표로 표시하였고, 입자 순환로는 실선과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Claims (17)

  1. 고체 반응 물질로 이루어지는 고체 미립자 물질을 반응기의 하부로 도입하고, 반응기의 하부로 도입된 가스상 반응 물질을 함유하는 유동화 가스에 의해 고속상(高速床)을 형성하는 한편, 미반응 미립자를 반응기의 상부로부터배출하여 상기 고속상으로 재순환시키는 순환 유동상 반응기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 반응기 내에 존재하는 고체 미립자 물질의 소정 분획을 반응기의 정부 아래에 위치한 상기 고속상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부터 제거하여 열 처리한 후에 상기 고속상 하부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재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고체 반응 물질이 탄소질 연료이고, 가스상 반응 물질이 산소이며, 열 처리가 냉각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탈황 물질, 바람직하기로는 석회석을 상기 제거된 미립자 분획의 냉각 공정과 관련하여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반응기 배출관 단부 내의 반응기 물질을 추가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반응기의 배출 가스 중의 고체 물질을 상기 제거된 고체 미립자 물질의 분획과 혼합시키기 위해 재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대기압 또는 고압, 바람직하기로는 약 0.99 내지 약 3.45기압(약 1 내지 약 3.5바) 또는 약 11.84 내지 약 15.79기압(12 내지 16바) 이상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보충용 가스상 반응 물질을 상기 제거된 고체 미립자 물질의 분획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수직 반응실(1), 고체 미립자 물질의 도입을 위한 반응실 하부(2)의 제1유입구(9), 유동화 가스의 도입을 위한 반응실 하부의 제2유입구(22), 및 반응기 물질의 제거를 위한 반응실 상부(4)의 배출관(28)으로 이루어지는 유동상 반응기에 있어서, 고체 미립자 물질을 위한 1개 이상의 추가 배출관(5,3a,3b,4)을 상기 고체 미립자 물질의 도입을 위한 제1유입구(9)와 반응기 물질의 제거를 위한 배출관(28) 사이에 제공하고, 이들 추가 배출관을 고체 미립자 물질의 도입을 위한 1개 이상의 추가 유입구로서 냉각 또는 가열 부재(21)를 통하여 반응기로 다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상 반응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배출관(5)이 반응실의 연장부(3a,3b,4)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상 반응기.
  10. 제9항에 있어서, 열 교환기(21)가 상기 제거된 고체 반응 물질과의 열 교환을 위해 반응기의 연장부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상 반응기.
  11. 제10항에 있어서, 반응기 연장부에 가스상 반응 물질을 보충하기 유입구(7,23,24)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상 반응기.
  12. 제11항에 있어서, 가스상 반응 물질을 보충하기 위한 유입구(7)가 반응기 연장부 내에서 별개의 유동상을 형성하도록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상 반응기.
  13. 제9항에 있어서, 추가 유입구(8)가 탈황 물질을 포함한 고체 첨가물을 위해 반응기 연장부와 관련하여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상 반응기.
  14. 제8항에 있어서, 축적된 고체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2)을 갖는 유동상 냉각기(11)가 반응실의 배출관 단부 또는 최종 반응기 연장부(4)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상 반응기.
  15. 제8항에 있어서, 열 교환기, 특히 냉각 나선부(29)가 반응실의 배출관 단부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상 반응기.
  16. 제8항에 있어서, 반응실의 배출관(28)이 입자 분리기(15), 특히 사이클론과 연통되고, 이것으로부터 1개 이상의 유입구(20)가 고체 반응 물질의 배출관 또는 추가 배출관(들)(5)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상 반응기.
  17. 제8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반응실(1)에 반응기의 주 반응실(1)로부터 분리된 유동상(30) 형성실을 각각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대칭형 반응기 연장부(3a,3b,4)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상 반응기.
KR1019860004692A 1985-06-13 1986-06-13 유동상 반응기 및 그 운전 방법 KR930006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268885A DK268885D0 (da) 1985-06-13 1985-06-13 Fluidiseret bed-reaktor og fremgangsmaade til drift deraf
DK2688 1985-06-13
DK2425 1986-05-23
DK242586A DK158531C (da) 1985-06-13 1986-05-23 Fremgangsmaade til kontinuerlig drift af en cirkulerende fluidiseret bed-reaktor samt reaktor til anvendelse ved udoevelse af fremgangsmaad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411A KR870000411A (ko) 1987-02-18
KR930006677B1 true KR930006677B1 (ko) 1993-07-22

Family

ID=26066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692A KR930006677B1 (ko) 1985-06-13 1986-06-13 유동상 반응기 및 그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4788919A (ko)
EP (1) EP0211483B1 (ko)
JP (1) JPH0631293Y2 (ko)
KR (1) KR930006677B1 (ko)
CN (1) CN1016231B (ko)
AT (1) ATE67101T1 (ko)
AU (1) AU587466B2 (ko)
BR (1) BR8602780A (ko)
CA (1) CA1261593A (ko)
DE (1) DE3681372D1 (ko)
DK (1) DK158531C (ko)
ES (2) ES8800567A1 (ko)
FI (1) FI85344C (ko)
IE (1) IE59048B1 (ko)
NO (1) NO167008C (ko)
PT (1) PT827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85375C (en) * 1986-01-21 1991-07-02 Takahiro Ohshita Thermal reactor
US5108713A (en) * 1986-10-15 1992-04-28 The Carborundum Company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high ultra-fine, aluminum nitride powder by the carbo-nitridization of alumina
DE68911549T2 (de) * 1988-02-09 1994-06-23 Ube Industries Verfahren zur Verbrennung von feuchtem Abfall.
DK120288D0 (da) * 1988-03-04 1988-03-04 Aalborg Boilers Fluidbed forbraendigsreaktor samt fremgangsmaade til drift af en fluidbed forbraendingsreaktor
DE3835172A1 (de) * 1988-10-15 1990-04-19 Babcock Werke Ag Wirbelschichtfeuerung mit feststoffrueckfuehrung
US5091156A (en) * 1989-02-13 1992-02-25 A. Ahlstrom Corporation Waterwalls in a fluidized bed reactor
FR2661113B1 (fr) * 1990-04-20 1993-02-19 Stein Industrie Dispositif de realisation d'une reaction entre un gaz et un materiau solide divise dans une enceinte.
FI87147C (fi) * 1990-07-13 1992-12-10 Ahlstroem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behandling av gaser och/eller fast material i en reaktor med cirkulerande fluidiserad baedd
FI89944C (fi) * 1990-12-21 1993-12-10 Ahlstroem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reglering av temperaturen i en reaktor med cirkulerande fluidiserad baedd
TR26264A (tr) * 1991-05-02 1995-02-15 Stein Industrie Kapatilmis bir mekan icinde bir gaz ve bir tane- cikli maddenin tepkimeye sokulmasi icin tertibat.
FI91800C (sv) * 1991-09-12 1994-08-10 Imatran Voima Oy Förfarande och anordning vid avkylning av cirkulationsmassan i en svävväddspanna
FR2690512B1 (fr) * 1992-04-27 1994-09-09 Stein Industrie Réacteur à lit fluidisé circulant comportant des échangeurs extérieurs alimentés par la recirculation interne.
US5394937A (en) * 1993-03-05 1995-03-07 Nieh; Sen Vortex heat exchange method and device
US5682828A (en) * 1995-05-04 1997-11-04 Foster Wheeler Energy Corporation Fluidized bed combustion system and a pressure seal valve utilized therein
US5964085A (en) * 1998-06-08 1999-10-12 Siemens Westinghouse Pow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gaseous fuel from a solid fuel for use in a gas turbine based power plant
CZ296229B6 (cs) * 1999-02-18 2006-02-15 Psp Engineering A. S. Snízený výmeník tepla
KR200285515Y1 (ko) * 2002-05-08 2002-08-13 버그토이 주식회사 다변형 조립완구
US7402188B2 (en) * 2004-08-31 2008-07-22 Pratt & Whitney Rocketdyn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al gasifier
CN100491824C (zh) * 2007-11-02 2009-05-27 清华大学 低床压降循环流化床锅炉燃烧工艺方法
US8069824B2 (en) * 2008-06-19 2011-12-06 Nalco Mobotec, Inc.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and method of operation
FR2936301B1 (fr) * 2008-09-23 2010-09-10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et dispositif optimises de combustion par boucle chimique sur des charges hydrocarbonees liquides
CN101986030B (zh) * 2009-07-29 2012-10-03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一种具有分选功能的物料循环装置
FR2960940B1 (fr) 2010-06-02 2015-08-07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combustion en boucle chimique avec une zone de reaction integrant une zone de separation gaz-solide et installation utilisant un tel procede
FR2960941B1 (fr) * 2010-06-02 2014-11-14 Inst Francais Du Petrole Dispositif de separation de particules pour une boucle de combustion chimique
CN102425788B (zh) * 2011-08-30 2014-03-12 东南大学 加压双回路循环流化床煤化学链燃烧分离co2的装置
FR2980258B1 (fr) * 2011-09-20 2017-12-29 Ifp Energies Now Procede de combustion en boucle chimique avec elimination des cendres et fines dans la zone de reduction et installation utilisant un tel procede
FR2983489B1 (fr) 2011-12-02 2013-11-15 IFP Energies Nouvelles Procede de combustion en boucle chimique avec elimination en phase diluee des cendres et finess dans la zone d'oxydation et installation utilisant un tel procede
CN104470875B (zh) * 2012-05-09 2016-08-17 链解决方案公司 一种通过非催化的化学反应生成含氧化合物的方法
US8968693B2 (en) * 2012-08-30 2015-03-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ternal cyclone for fluidized bed reactor
DE102015107435A1 (de) * 2015-05-12 2016-11-17 Outotec (Finland) Oy Verfahren zur partiellen Röstung von kupfer- und/ oder goldhaltigen Konzentraten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5717A (en) * 1975-09-05 1979-08-28 Metallgesellschaft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burning carbonaceous materials
GB1523500A (en) * 1975-10-21 1978-09-06 Battelle Development Corp Method of operating a fluidized bed system
DE2624302A1 (de) * 1976-05-31 1977-12-22 Metallgesellschaft Ag Verfahren zur durchfuehrung exothermer prozesse
US4103646A (en) * 1977-03-07 1978-08-01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usting carbonaceous fuels employing in tandem a fast bed boiler and a slow boiler
US4154581A (en) * 1978-01-12 1979-05-15 Battelle Development Corporation Two-zone fluid bed combustion or gasification process
DE2801574B1 (de) * 1978-01-14 1978-12-21 Davy Powergas Gmbh, 5000 Koeln Wirbelschichtschachtgenerator zum Vergasen feinkörniger Brennstoffe
DE2839541A1 (de) * 1978-09-12 1980-03-20 Rothemuehle Brandt Kritzler Verfahren zur abscheidung von gasfoermigen schadstoffen, wie chlorwasserstoff, fluorwasserstoff und schwefeloxyd, aus rauchgasen, insbesondere von muellverbrennungsanagen, sowie abscheideanlage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JPS5843644B2 (ja) * 1978-11-11 1983-09-28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多段流動層式燃焼方法およびそれを実施する多段流動層式燃焼炉
US4219442A (en) * 1978-12-14 1980-08-26 Uop Inc. Fluid coke contaminated catalyst regeneration process
US4303023A (en) * 1979-11-08 1981-12-01 Wormser Engineering, Inc. Fluidized bed fuel burning
US4704084A (en) * 1979-12-26 1987-11-03 Battelle Development Corporation NOX reduction in multisolid fluidized bed combustors
US4312301A (en) * 1980-01-18 1982-01-26 Battelle Development Corporation Controlling steam temperature to turbines
US4419965A (en) * 1981-11-16 1983-12-13 Foster Wheeler Energy Corporation Fluidized reinjection of carryover in a fluidized bed combustor
US4410420A (en) * 1982-01-15 1983-10-18 Hri, Inc. Multi-zone conversion process and reactor assembly for heavy hydrocarbon feedstocks
CA1225292A (en) * 1982-03-15 1987-08-11 Lars A. Stromberg Fast fluidized bed boile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such a boiler
FR2526182B1 (fr) * 1982-04-28 1985-11-29 Creusot Loire Procede et dispositif de controle de la temperature d'un lit fluidise
DE3230472A1 (de) * 1982-08-16 1984-02-16 Deutsche Kommunal-Anlagen Miete GmbH, 8000 Münch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pyrolysegasen
US4424766A (en) * 1982-09-09 1984-01-10 Boyle Bede Alfred Hydro/pressurized fluidized bed combustor
US4580503A (en) * 1983-07-15 1986-04-08 Gotaverken Energy Systems Ab Apparatus for the combustion of carbonaceous material
US4473033A (en) * 1983-08-01 1984-09-25 Electrodyne Research Corp. Circulating fluidized bed steam generator having means for minimizing mass of solid materials recirculated
US4594967A (en) * 1985-03-11 1986-06-17 Foster Wheeler Energy Corporation Circulating solids fluidized bed reactor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H102008A (ja) * 1996-06-12 1998-01-06 Daiwa House Ind Co Ltd ユニットボックスフレームの接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E59048B1 (en) 1993-12-15
JPH04100616U (ko) 1992-08-31
NO167008B (no) 1991-06-17
BR8602780A (pt) 1987-02-10
DE3681372D1 (de) 1991-10-17
EP0211483B1 (en) 1991-09-11
IE861586L (en) 1986-11-14
PT82751A (en) 1986-07-01
ATE67101T1 (de) 1991-09-15
CN86104626A (zh) 1987-05-27
FI85344B (fi) 1991-12-31
DK158531B (da) 1990-05-28
JPH0631293Y2 (ja) 1994-08-22
DK242586A (da) 1986-12-14
US4788919A (en) 1988-12-06
ES557607A0 (es) 1987-10-16
DK242586D0 (da) 1986-05-23
PT82751B (pt) 1992-07-31
KR870000411A (ko) 1987-02-18
ES8800066A1 (es) 1987-10-16
EP0211483A3 (en) 1988-09-28
FI85344C (fi) 1992-04-10
EP0211483A2 (en) 1987-02-25
DK158531C (da) 1990-10-29
ES556850A0 (es) 1987-11-01
CN1016231B (zh) 1992-04-15
AU587466B2 (en) 1989-08-17
US4896631A (en) 1990-01-30
AU5850686A (en) 1986-12-18
FI862473A0 (fi) 1986-06-10
NO167008C (no) 1991-09-25
CA1261593A (en) 1989-09-26
NO862281D0 (no) 1986-06-09
NO862281L (no) 1986-12-15
FI862473A (fi) 1986-12-14
ES8800567A1 (es) 198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677B1 (ko) 유동상 반응기 및 그 운전 방법
US380460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ulfurizing and completely gasifying coal
RU2341729C2 (ru)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выделений диоксида серы из бойлера с циркулирующим псевдоожиженным слоем
CA2835419C (en) Systems for converting fuel
US9726369B2 (en) Chemical-looping combustion method with ashes and fines removal in the reduction zone and plant using same
EP0384454A2 (en) Apparatus for gasifying or combusting solid carbonaceous material
US4085707A (en) Combustion or part-combustion in fluidized beds
IE52546B1 (en) Process of simultaneously producing fuel gas and process heat from carbonaceous materials
US4476816A (en) Staged cascade fluidized bed combustor
JP2693864B2 (ja) エンクロージャ内で気体と粉粒体を反応させる装置
EP0634470A1 (en) Transport gasifier
JP4085239B2 (ja) ガス化方法、及びガス化装置
EP0634471A1 (en) Coal gasification and sulfur removal process
GB2178674A (en) A method of operating a fluidized bed reactor
JPS6229886A (ja) 流動床反応炉及びその操作方法
JP2641826B2 (ja) 循環流動床における液体燃料の燃焼方法
JP2023520042A (ja) 炭素質材料の変換のための反応器及び方法
JPS59100205A (ja) 塊状鉄鉱石から海綿鉄粒子および液状銑鉄を直接製造する方法および設備
JPS6014808B2 (ja) 流動化媒体の循環する単一反応塔を用い粉状酸化鉄と重質油混合物の焼結・還元と重質油のガス化を同時に生起させる操業法
CS260507B1 (cs) Způsob cirkulačního spalováni a odsiřování nízkovýhřevného simáho uhl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