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682Y1 - 모니터 보오드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모니터 보오드 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682Y1
KR930005682Y1 KR2019900018140U KR900018140U KR930005682Y1 KR 930005682 Y1 KR930005682 Y1 KR 930005682Y1 KR 2019900018140 U KR2019900018140 U KR 2019900018140U KR 900018140 U KR900018140 U KR 900018140U KR 930005682 Y1 KR930005682 Y1 KR 930005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oard
jaw
locking jaw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8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061U (ko
Inventor
김상일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8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682Y1/ko
Publication of KR9200100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0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682Y1/ko

Link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니터 보오드 고정부재
제1도는 본 고안을 이용한 모니터 내부의 구성부재인 전면커버, 보오드 및 브라운관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제1도 "A"부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전면커버 1B : 베이스
3 및 30 : 고정부재 4 : 보오드 수용홈
6A 및 6B : 고정턱 7A 및 7B : 고정턱 수용홀
8 : 걸림턱 8A : 경사부
8B : 수직부 9 : 걸림턱 수용홀
10 : 보오드 11 : 브라운관
본 고안은 모니터용 보오드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오드가 수용,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별도의 부재없이 커버에 결합함으로서, 보오드의 고정기능 까지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모니터용 보오드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 내부에 장착되는 보오드를 커버에 결합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스크류 및 금속체결물(브라켓트등)을 이용하여 커버에 보오드를 직접 결합하게 되나, 결합작업시 스크류 및 금속체결물을 통하여 보오드를 결합 및 분리하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토오크(Torque)가 클때 보오드 자체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며, 분해, 조립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된다.
본 고안에 따른 보오드 고정부재는 1쌍의 ㅣ자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내측면에는 부재의 전길이에 걸쳐 소정높이의 보오드 수용홈(4)이 구성되며, 그저면의 선단 및 중앙부에는 1쌍의 고정턱(6A, 6B)을 돌출되게 구성하고, 상기 고정턱(6A, 6B) 중앙부에는 하부에 상향경사부(8A) 및 수직부(8B)가 형성된 걸림턱(8)을 구성하여, 상기 각 보오드 수용홈(4)에 보오드(10)양측단을 각각 수용한 상태에서 전면커버(1A) 베이스(1B) 양측단에 각각 구성한 1쌍의 고정턱 수용홀(7A, 7B)에는 각 고정턱(6A, 6B)을, 걸림턱 수용홀(9)에는 걸림턱(8)을 각각 대응, 삽입시켜 상기 전면커버(1A) 베이스(1B)상에 결합시키되, 상기 걸림턱(8)의 경사부(8A)상단의 수직부(8B)는 걸림턱 수용홀(9) 저면 연변에 밀착되어 상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한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을 이용한 모니터 내부의 구성부재인 전면커버, 보오드 및 브라운관(CRT)의 분리사시도로서, 편의상 후면커버는 도시하지 않았다.
먼저, 1쌍으로 구성되는 보오드 고정부재(3 및 30)의 구성을 살펴보면, 각각의 보오드 고정부재(3 및 30)는 전면커버(1A)와 동일부재인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ㅣ자형 부재로서, 각 내측면 중앙부에는 부재의 전길이에 걸쳐 소정높이의 요홈(4)이 구성되며, 그저면의 전단 및 중앙부에는 소정높이를 갖고 하향돌출된 1쌍의 고정턱 (6A 및 6B)이 부재와 일체로 각각 구성된다. (편의상 이하 요홈(4)을 보오드 수용홈으로 칭한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3 및 30)와 연동하는 전면커버(1A)의 구성을 제 2도를 통하여 설명하면, 제2도는 제1도"A"부의 상세도로서, 전면커버(1A)의 베이스(1B)양측단부에는 상술한 각 고정부재(3 및 30)와의 대응 위치에 각각 2개의 고정턱 수용홀(7A, 7B)이 구성되며, 그 간격은 각 고정부재(3 및 30)저면에 구성된 각 고정턱(6A, 6B)의 간격과 동일하다. 또한 각각의 평면적은 각 고정턱(6A, 6B)이 억지끼워 맞추어 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각 고정부재(3 및 30)저면에 구성된 1쌍의 고정턱(6A, 6B) 중간에는 하향돌출된 걸림턱(8)을 고정부재(3 및 30)저면과 일체로 구성하며, 역시 전면커버(1A) 베이스(1B)양측단의 1쌍의 고정턱 수용홀(7A, 7B) 중간부에도 걸림턱(8)과 연동하는 걸림턱 수용홀(9)을 걸림턱(8)의 규격과 동일한 규격으로 구성한다.
걸림턱(8)은 하단부에 상향 경사부(8A)를 구성하며, 경사부(8A) 상부는 부재와 수직(8B)을 이룬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결합과정을 설명하면, 1쌍의 고정부재(3 및 30) 내측면에 구성한 보오드 수용홀(4)에 보오드(10, 기판)의 양측단부를 수용한후, 각 고정부재(3 및 30)선단의 각 고정턱(6A, 6B)을 전면커버(1A) 베이스(1B) 양측단 구성한 고정턱 수용홀(7A, 7B)에 대응시킨 상태에서 각 고정부재(3 및 30)를 가압시키면, 각 고정턱(6A, 6B)은 베이스(1B)의 양측면의 고정턱 수용홀(7A, 7B)에 억지끼워 맞추어진 상태로 삽입된다.
한편, 걸림턱(8)은 그 경사부(8A)가 걸림턱 수용홀(9) 내면을 따라 내측으로 밀려진 상태로 하향이동되며, 고정턱(6A, 6B) 및 걸림턱(8)이 각대응홀(7A, 7B 및 9) 내로 완전 삽입되면, 걸림턱(8)은 부재자체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최초위치로 복원되면서 걸림턱(8) 하단의 경사부(8A)에 구성한 수직부(8B)는 걸림턱 수용홀(9)저면 연변에 밀착되어 고정부재(3 및 30)의 상향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분리과정은 걸림턱(8) 하부의 경사부(8A)를 걸림턱 수용홀(9) 내측으로 잡아 다닌 상태에서 힘을 가하여 고정부재(3 및 30)를 상향으로 잡아다니면 쉽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전면커버(1A) 베이스(1B)상에 보오드(10)가 고정되고 브라운관이 체결된 상태에서 후면커버를 전면커버에 결합하면, 각 고정부재의 후단부는 후면커버 베이스 상에 안착되므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각 고정부재의 1쌍씩의 고정턱으로 인하여 전면커버에 완전 결합됨과 동시에 전후유동이 억제되며, 걸림턱으로 인하여 상향 이탈이 억제되어 보오드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체결물을 이용하지 않고 전면커버와 동일재질의 고정부재 및 고정턱, 걸림턱을 이용하여 보오드를 결합하므로서 보오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쌍의 ㅣ자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내측면에는 부재의 전길이에 걸쳐 소정높이의 보오드 수용홈(4)이 구성되며, 그저면의 선단 및 중앙부에는 1쌍의 고정턱(6A, 6B)을 돌출되게 구성하고, 상기 고정턱(6A, 6B) 중앙부에는 하부에 상향경사부(8A) 및 수직부(8B)가 형성된 걸림턱(8)을 구성하여, 상기 각 보오드 수용홈 (4)에 보오드(10) 양측단을 각각 수용한 상태에서 전면커버(1A) 베이스(1B) 양측단에 각각 구성한 1쌍의 고정턱 수용홀(7A, 7B)에는 가 고정턱(6A, 6B)을, 걸림턱 수용홀(9)에는 걸림턱(8)을 각각 대응, 삽입시켜 상기 전면커버(1) 베이스(1B)상에 결합시키되, 상기 걸림턱(8)의 경사부(8A) 상단의 수직부(8B)는 걸림턱 수용홀(9) 지면 연변에 밀착되어 상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보오드 고정부재.
KR2019900018140U 1990-11-24 1990-11-24 모니터 보오드 고정부재 KR930005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8140U KR930005682Y1 (ko) 1990-11-24 1990-11-24 모니터 보오드 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8140U KR930005682Y1 (ko) 1990-11-24 1990-11-24 모니터 보오드 고정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061U KR920010061U (ko) 1992-06-17
KR930005682Y1 true KR930005682Y1 (ko) 1993-08-27

Family

ID=19305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8140U KR930005682Y1 (ko) 1990-11-24 1990-11-24 모니터 보오드 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6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061U (ko) 199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3153A (en) Strip clamp
US4687276A (en) Connector clip for ribbon cable connector
GB2272479A (en) Substrate fixing apparatus
KR930005682Y1 (ko) 모니터 보오드 고정부재
US3088992A (en) Holder for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batteries
JP2513163B2 (ja) 可動間仕切壁
KR200193419Y1 (ko) 평판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부에서 보텀커버에 균형유지부재를장착하는 구조
JP3038289B2 (ja) 椅子への脚カバーの取付方法および椅子の脚カバー
JP3030198B2 (ja) 陳列壁面用の支持部材
JPH0342249Y2 (ko)
JPH0344023Y2 (ko)
JP3798241B2 (ja) 部材取付構造
JPH0112010Y2 (ko)
KR900005929Y1 (ko) 핸들 고정장치
JPH0614636Y2 (ja) 額縁の裏板掛止具
JP2616304B2 (ja) 可動間仕切壁
JPH0333091Y2 (ko)
JPH0734989Y2 (ja) 天井板保持装置
JP2557965Y2 (ja) 家具における棚板の仮止め具
JPH07261A (ja) 什 器
KR200149491Y1 (ko) 기판 고정용 홀더
KR960003692Y1 (ko) 지적도면 보관틀
KR910009588Y1 (ko) 모니터 스탠드 착탈장치
KR200155471Y1 (ko) 컴퓨터의 덮개 조립장치
KR910009586Y1 (ko) 모니터와 스위블의 고정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