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588Y1 - 모니터 스탠드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 스탠드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588Y1
KR910009588Y1 KR2019890002282U KR890002282U KR910009588Y1 KR 910009588 Y1 KR910009588 Y1 KR 910009588Y1 KR 2019890002282 U KR2019890002282 U KR 2019890002282U KR 890002282 U KR890002282 U KR 890002282U KR 910009588 Y1 KR910009588 Y1 KR 910009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base plate
locking
top plate
mounting 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22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332U (ko
Inventor
박상봉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22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588Y1/ko
Publication of KR9000163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3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5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니터 스탠드 착탈장치
제1도는 종래 모니터 스탠드의 본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스탠드 착탈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모니터 스탠드 착탈장치의 평면도로서 모니터 탑재용 상판과 모니터 밑판이 결합된 상태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모니터 스탠드의 걸림편과 결속홈을 발췌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a와b는 결합된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모니터 스탠드 착탈장치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모니터 탑재용 상판 25 : 걸림편
40 : 모니터 밑판 41 : 결속홈
42 : 탄성편 43 : 스톱퍼
본 고안은 모니터와 모니터 스탠드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수 있도록 구성된 모니터 스탠드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모니터 스탠드의 고정구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니터 스탠드 밑판(11)에 반구형의 네크부재(13)가 나사로서 고정되어서 스탠드기부(15)중앙에 형성된 반구형의 내측면을 가진 회전시이트(14)에 밀착 결합되는바, 상기 네크부재(13)에 형성된 장공(13a)과 상기 회전시이트의 바닥면 중앙의 관통공을 관통 하는 나사(l2)로서 고정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모니터 스탠드는 경사각도 및 회전각도를 사용자의 뜻대로 조절할수 있는 것이나 모니터스탠드기부(15)와 모니터 본체(l0)가 나사로서 완진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결합 및 해체가 어렵도록되어있다. 따라서 포장이나 운송함에 있어서 여러가지 번거로운 해체 및 결합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는바, 사용자가 모니터의 사용 용도 및 점유면적에 따라 모니터화 모니터 스탠드를 분리하여 사용하고자 할때에도 마찬가지 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모니터와 모니터 스탠드 간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모니터 스탠드 착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니터 밑에 체결 볼트가 설치된 네크부재를 고착하고 이를 스탠드 시이트부가 마련된 스탠드기부와 상기 체결볼트에 의하여 결합된 모니터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네크 부재에 모니터 탑재용 상판을 고착하고 그 상면에 네크부와 걸림부로된 ㄱ 자형의 걸림편을 복수개로 형서하며 상기 모니터 밑판에는 상기 걸림편과 대웅되는 곳에 개구부와 슬릿부로된 결속홈을 형성하되, 개구부는 걸림편의 걸림부가 관통될 수 있는 크기이며 상기 슬릿부는 걸림편의 네크부의 두개와 같게 형성하여 상기 모니터 탑재용 상판의 걸림편과 모니터 밑판의 결속공을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대 이동시켜 장착 할수 있도록 한것에 그 특징이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예시된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스탠드 착탈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모니터 탑재용 상판(21)저면에 네크부재(22)를 마련하여 고착하고, 이를 스탠드시이트(23)가 마련된 모니터 스탠드 기부(24)와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 탑재용 상판(21)의 상면에 네크부(25a)와 걸림부(25b)로된 ㄱ 자형의 걸림편(25)을 복수개 형성하며 상기 모니터의 밑판(40)에는 상기 걸림편(25)과 대웅되는 부위에 개구부(41a)와 슬릿부(41b)로된 결속홈(41)을 형성하되, 개구부(41a)는 걸림편(25)의 걸림부가 관통될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며 슬릿부(41b)는 걸림편(25)의 네크부(25a)두께와 같은 폭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 밑판(40)에 일정돌기(42a)를 갖는 탄성편(42)을 복수개 형성하되 이는 외곽부의 일측을 제외하고 천공하여 모니터 밑파(40)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모니터 밑판(40)에는 걸림턱(43a)을 갖는 스톱퍼(43)를 형성하는데 이 스톱퍼(43)는 상기 모니터 밑판(40)과 모니터 탑재용 상판(21)이 결합되었을 때 모니터 탑재용 상판(21)의 가장자리에 걸릴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모니터 스탠드와 모니터를 결합하고자 할때에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니터탑재용 상판(21)에 형성된 걸림편(25)을 상기한 모니터 밑판(40)에 형성된 결속홈(41)의 개구부(41a)에 삽입한후 걸림판(25)의 네크부(25a)가 결속홈(41)의 슬릿부(41b)에 끼워져 걸리도록 결합한다. 따라서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니터 밑판과 일체로 형성된 스톱퍼(43)의 걸림턱(43a)이 모니터 탑재용 상판(21)의 일측면(45)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 밑판과 모니터 스탠드를 분리 하고자 할때에는 상기 모니터 탑재용 상판(21)의 일측가장자리(45)에 걸려 있는 스톱퍼(43)의 걸림턱(43a)을 위로 밀어 젖힌 후에 모니터 밑판(40)을 모니터 탑재용 상판(21)에 대해 제3도의 좌측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면 상기한 걸림편(25)이 결속공(41)의 슬릿부(41b)로부터 벗어나 개구부(41a)로 이탈됨으로써 모니터 탑재용 상판(21)과 모니터 밑판(40)이 분리될수 있계된다.
이때 걸림편(25)이 개구부(41a)로 벗어나게되면, 소정의 돌출부(42a)을 가지고 모니터 밑판(40)메 일체로 형성된 탄성편(42)의 탄성력에 의해 모니터 스탠드 탑재용 상판(21)은 모니터 밑판(40)으로부터 자동분리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모니터와 모니터 스탠드를 모니터의 사용용도에 따라 편하게 분리 또는 결합할수 있도록되어 사용자의 여러가지 편의를 도모한다.

Claims (3)

  1. 네크부재(22)에 모니터 탑재용 상판(21)을 고착 또는 일체로 형성하고 그 상면에 네크부(25a)와 걸림부(25b)로된 ㄱ자형의 걸림편(25)을 복수개 형성하며 상기 모니터 밑판(40)에는 상기 걸림편과 대응되는 곳에 개구부(41a)와 슬릿부(41b)로된 결속홈(41)을 형성하되 개구부(41a)는 걸림편(25)의 걸림부(25b)가 관통될수 있는 크기이며, 상기 슬릿부(41b)는 걸림편(25)의 네크부(25a)두께와 같게 형성하여 상기 탑재용 상판(12)에 형성된 걸림편(25)이 모니터 밑판의 결속홈(41)의 개구부(41a)에 끼워진 상태에서 서로 상대운동시켜 결합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스탠드 착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밑판(40)에는 돌출부(42a)을 가지는 탄성편(42)을 모니터 밑판(40)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모니터 탑재용 상판(21)과 모니터 밑판(40)의 결합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모니터 스탠드 착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밑판의 일측에 걸림편(43a)을 갖는 스톱퍼(43)을 형성하여 모니터 밑판(40)과 상기 모니터 탑재용 상판(21)의 결합할때에 상기 걸림턱(25)이 모니터 탑재용 상판(21)의 일측단과 접촉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모니터 스탠드 착탈장치.
KR2019890002282U 1989-02-28 1989-02-28 모니터 스탠드 착탈장치 KR910009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282U KR910009588Y1 (ko) 1989-02-28 1989-02-28 모니터 스탠드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282U KR910009588Y1 (ko) 1989-02-28 1989-02-28 모니터 스탠드 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332U KR900016332U (ko) 1990-09-03
KR910009588Y1 true KR910009588Y1 (ko) 1991-12-13

Family

ID=19284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2282U KR910009588Y1 (ko) 1989-02-28 1989-02-28 모니터 스탠드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5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332U (ko) 199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588Y1 (ko) 모니터 스탠드 착탈장치
JP3006114U (ja) 結合止め金及び結合止め金を有する引出し
US4019221A (en) Pan handle
US6074231A (en) Connector structure holding central processing units of both cartridge type and card type
JP4161332B2 (ja) クリップ付ハンガー
JPH0217207Y2 (ko)
USD402778S (en) Clothes pin
JP3956038B2 (ja) 部品取り付け装置およびこの部品取り付け装置を有する照明器具
JPS6118247Y2 (ko)
JPH0521910Y2 (ko)
KR200155471Y1 (ko) 컴퓨터의 덮개 조립장치
EP0194976B1 (en) Device for rapid connection of two elements on nonparallel planes
KR101136283B1 (ko) 스크류 체결구조
KR910003690Y1 (ko) 가방용 괘정구
JPS63610Y2 (ko)
KR930005682Y1 (ko) 모니터 보오드 고정부재
JPH0542761Y2 (ko)
JPS6142459Y2 (ko)
JP3798241B2 (ja) 部材取付構造
JPH0741064Y2 (ja) スライドスイッチ
KR890004869Y1 (ko) 스피커 고정장치
KR900003190Y1 (ko) 소형 t. v의 회전 받침대 장치
JP2524064Y2 (ja) 蓋付容器
KR920002000Y1 (ko) 모니터 캐비넷 결합장치
KR0126119Y1 (ko) 세탁기의 마스코트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