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283B1 - 스크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스크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283B1
KR101136283B1 KR1020050033267A KR20050033267A KR101136283B1 KR 101136283 B1 KR101136283 B1 KR 101136283B1 KR 1020050033267 A KR1020050033267 A KR 1020050033267A KR 20050033267 A KR20050033267 A KR 20050033267A KR 101136283 B1 KR101136283 B1 KR 101136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fastening
coupling member
brid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0993A (ko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3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283B1/ko
Publication of KR20060110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 결합부재(20,34)를 서로 결합시키는 스크류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20,34)중 어느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관통공(24)이 구비되는 체결브릿지(22)와; 상기 체결브릿지(22)의 관통공(24)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선단에 소정 구간에 걸쳐 나사부(31)가 형성되는 몸체부(30)와 상기 몸체부(30)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머리부(28)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브릿지(22)가 형성된 상대 결합부재(34)의 체결공(36)에 체결되는 스크류(26)와; 상기 스크류(26)의 몸체부(30)에 체결되어 상기 체결브릿지(22)에 상기 스크류(26)가 설치되어 있도록 하는 걸이링(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 체결구조에 의하면 스크류가 어느 일측 결합부재에 분리되지 않아 스크류를 분실하거나, 결합부재에서 분리되어 해당 제품의 외관을 손상시키거나 기판 등에 단락을 발생시키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체결, 스크류

Description

스크류 체결구조{Screw fastening structur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크류 체결구조가 채용된 컴퓨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 체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절결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크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결합부재가 체결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작업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결합부재가 스크류에 의해 체결된 상태를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제1결합부재 22: 체결브릿지
24: 관통공 25: 관통부
26: 스크류 28: 머리부
29: 공구홈 30: 몸체부
31: 나사부 32: 걸이링
34: 제1결합부재 36: 체결공
38: 버링부
본 발명은 스크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류를 사용하여 두개의 부재를 서로 결합시키는 스크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스크류 체결구조가 채용된 컴퓨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컴퓨터의 외관을 케이스(1)가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는 대체로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그 내부에 컴퓨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1)는 일반적으로 그 일측면이 분리가능하게 구성되어 내부와 외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킨다.
상기 케이스(1)의 배면 외관을 배면판(3)이 형성한다. 상기 배면판(3)은 상기 케이스(1)와 별도로 또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배면판(3)이 상기 케이스(1)와 별도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배면판(3)과 케이스(1)는 스크류(5)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의 배면판(3)에는 카드슬롯(7)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드슬롯(7)은 배면판(3)을 관통하여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카드슬롯(7)에는 최초에 더미플레이트(8)가 구비된다. 상기 더미플레이트(8)는 상기 배면판(3)에서 제거되어 카드슬롯(7)이 개구되게 한다. 상기 더미플레이트(8)가 제거된 카드슬롯(7)에는 옵션카드(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카드슬롯(7)이 형성된 배면판(3)의 일측에는 체결플랜지(9)가 배면판(3)에서 수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플랜지(9)에는 옵션카드 브라켓(10)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9')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플랜지(9)에는 옵션카드브라켓(10)이 체결된다. 상기 옵션카드브라켓(10)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체결플랜지(9)와 대응되는 면적으로 일측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체결플랜지(9)의 형성을 위해 제거된 배면판(3)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옵션카드브라켓(10)에는 상기 체결플랜지(9)의 일측 체결공(9')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10')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0')을 관통하여 스크류(11)가 상기 체결플랜지(9)에 체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스크류(5,11)가 케이스(1)와 배면판(3) 그리고 체결플랜지(9)와 옵션카드브라켓(10)에서 완전히 분리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5,11)가 분리되어 바닥에 놓여 있게 되어 상기 케이스(1)등의 외관이 손상되거나, 분리된 스크류(5,11)가 컴퓨터의 내부에 들어가 메인기판에 단락을 일으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5,11)가 상기 케이스(1)와 배면판(3) 그리고 체결플랜지(9)와 옵션카드브라켓(10)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빠질 수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1)와 배면판(3), 체결플랜지(9)와 옵션카드브라켓(10)을 서로 분리하게 위해 스크류(5,11)를 제거하였다가, 이를 분실할 위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크류(5,11)를 사용하지 않고 기구적인 구조를 이용하여 케이스(1)와 배면판(3), 체결플랜지(9)와 옵션카드브라켓(10)을 분해가능하게 결합하기도 하나, 이와 같은 구조를 채용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및 제2 결합부재를 서로 체결하는 스크류가 적어도 일측 결합부재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 및 제2 결합부재를 서로 결합시키는 스크류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중 어느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관통공이 구비되는 체결브릿지와; 상기 체결브릿지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선단에 소정 구간에 걸쳐 나사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머리부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브릿지가 형성된 상대 결합부재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몸체부에 체결되어 상기 체결브릿지에 상기 스크류가 설치되어 있도록 하는 걸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브릿지는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을 소정 폭으로 잘라 돌출시켜 형성된다.
스크류의 머리부에는 공구와의 결합을 위한 공구홈이 형성되거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철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브릿지가 형성된 상개 결합부재에는 상기 체결공의 가장자리에 체결력보강구조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력보강구조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버링부나 너트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 체결구조에 의하면 스크류가 어느 일측 결합부재에 분리되지 않아 스크류를 분실하거나, 결합부재에서 분리되어 해당 제품의 외관을 손상시키거나 기판 등에 단락을 발생시키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 체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 체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부분절결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크류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결합부재(20)의 일측에는 체결브릿지(2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브릿지(22)는 상기 제1결합부재(20)의 일부를 잘라 가압하여 돌출되게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제1결합부재(20)의 일측을 소정폭이 되게 나란히 일정 구간만큼 자르고, 이 부분이 제1결합부재(20)의 표면보다 돌출되게 한 것이다. 실제로 이와 같은 과정은 프레스장치에서 제1결합부재(20)의 형상을 제작할 때,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경우는 상기 제1결합부재(20)가 금속재질인 경우이다. 하지만, 상기 제1결합부재(20)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체결브릿지(22)는 제1결합부재(20)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브릿지(22)는 상기 제1결합부재(20)와는 별개로 만들어져 제1결합부재(2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브릿지(22)를 관통하여서는 관통공(2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스크류(26)가 관통하여 위치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브릿지(22)의 도면상 하부에 해당되는 상기 제1결합부재(20)의 부분은 관통부(25)로서, 대략 상기 체결브릿지(22)의 평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다. 물론 상기 체결브릿지(22)가 상기 제1결합부재(20)와 일체가 아니고, 별도로 만들어져 장착되는 경우라면, 상기 관통부(25)는 적어도 상기 관통공(24)의 크기보다는 크게 만들어져야 한다.
상기 체결브릿지(22)에는 스크류(26)가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26)는 크게 머리부(28)와 몸체부(30)로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28)는 상기 몸체부(30)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28)의 상단면에는 공구홈(29)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공구없이 작업자나 사용자가 손으로 스크류(26)를 직접 돌릴 수 있도록 일정 이상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머리부(28)의 외주면에는 요철을 형성하여 작업자나 사용자의 손과의 마찰력이 최대가 되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30)는 상기 머리부(28)보다는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24)의 직경과 거의 같거나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진다. 상기 몸체부(30)의 선단 일부 구간에는 나사부(31)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31)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결합부재(34)의 체결공(34)과 체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스크류(26)의 몸체부(30)에는 걸이링(32)이 설치된다. 상기 걸이링(32)은 상기 몸체부(30)가 관통하는 원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이링(32)은 상기 몸체부(30)중 상기 나사부(31)가 형성되지 않은 구간에서는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고, 하지만 상기 몸체부(30)의 선단에서는 상기 나사부(31)에 걸려 몸체부(30)에서 빠지지 않는다.
제2결합부재(34)는 상기 제1결합부재(20)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1결합부재(34)와 제2결합부재(20)는 예를 들면, 각각 컴퓨터의 케이스와 배면플레이트, 체결플랜지와 옵션카드브라켓이다. 상기 제2결합부재(34)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20)의 체결브릿지(22)에 형성된 관통공(24)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3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6)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26)의 나사부(31)가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34)중 상기 제1결합부재(20)와 접촉되는 반대면에는 상기 체결공(36)의 가장자리를 둘러 버링부(38)(도 4참고)가 형성된다. 상기 버링부(38)는 상기 제2결합부재(34)에 상기 체결공(36)을 형성할 때, 제2결합부재(34)의 살이 밀려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버링부(38)의 내면에도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버링부(38)는 상기 스크류(26)가 제2결합부재(34)와 결합되는 결합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링부(38)를 형성하는 대신에 별도의 너트와 같은 체결력보강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 체결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에는 본 발명의 스크류 체결구조에서 스크류(26)가 제2결합부재(34)에 체결되지 않은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때에는 상기 체결브릿지(22)의 관통공(24)에는 상기 스크류(26)의 몸체부(30)가 유동가능하게 관통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26)의 몸체부(30)가 상기 관통공(24)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브릿지(22)의 하부에 위치한 몸체부(30)에 걸이링(32)이 체결됨에 의해 스크류(26)가 체결브릿지(22)에서 빠지지 않으면서, 소정 거리(상기 몸체부(30)중 나사부(31)가 형성되지 않은 폭)만큼 이동될 수 있다.
물론, 도 4의 상태에서는 상기 스크류(26)가 상기 체결브릿지(22)에 대해 최고로 돌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26)의 몸체부(30) 선단이 상기 제2결합부재(34)의 체결공(36) 입구 위치에 있게 될 때까지 움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26)를 회전시켜 상기 몸체부(30)의 나사부(31)가 상기 제2결합부재(34)의 체결공(36)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스크류(26)의 회전은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하거나 별도의 공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34)에 상기 스크류(26)가 체결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20)와 제2결합부재가 서로 결합된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크류(26)의 머리부(28)는 상기 체결브릿지(22)의 상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재(20)와 제2결합부재(34)가 서로 밀착되게 체결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결합부재(20)에 체결브릿지(22)가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제2결합부재(34)에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결합부재(20)에는 체결공만이 형성되면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 체결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크류가 제1 또는 제2 결합부재중 어느 하나에서 분리되지는 않으면서 소정 구간만큼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서로 체결되어 있던,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를 분해하더라도 스크류가 어느 일측 결합부재에 남아 있게 되어 스크류를 분실할 염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에서 분리된 스크류가 작업장의 근처에 있어 해당 제품의 외관을 손상시키거나, 해당 제품의 기판에 낙하되어 단락을 발생시키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제1결합부재 및 제2결합부재를 서로 결합시키는 스크류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 또는 제2결합부재 중 어느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관통공이 구비되는 체결브릿지와;
    상기 체결브릿지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선단에 소정 구간에만 나사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머리부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브릿지가 형성된 상대 결합부재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몸체부에 체결되어 상기 체결브릿지에 상기 스크류가 설치되어 있도록 하는 걸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이링은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몸체부에서는 자유롭게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체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릿지는 상기 제1결합부재 또는 제2결합부재중 어느 일측을 소정 폭으로 잘라 돌출시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체결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스크류의 머리부에는 공구와의 결합을 위한 공구홈이 형성되거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철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체결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릿지가 형성된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체결공의 가장자리에 체결력보강구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체결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력보강구조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버링부나 너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체결구조.
KR1020050033267A 2005-04-21 2005-04-21 스크류 체결구조 KR101136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267A KR101136283B1 (ko) 2005-04-21 2005-04-21 스크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267A KR101136283B1 (ko) 2005-04-21 2005-04-21 스크류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993A KR20060110993A (ko) 2006-10-26
KR101136283B1 true KR101136283B1 (ko) 2012-04-19

Family

ID=37619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267A KR101136283B1 (ko) 2005-04-21 2005-04-21 스크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2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94489A (zh) * 2017-08-10 2017-11-24 中山市中法维能电气有限公司 一种开关插座面板与底盒的高效安装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623U (ja) * 1991-07-02 1993-01-19 市光工業株式会社 部品の取付構造
JP2000074032A (ja) * 1998-06-19 2000-03-07 Hitachi Ltd ネジの保持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623U (ja) * 1991-07-02 1993-01-19 市光工業株式会社 部品の取付構造
JP2000074032A (ja) * 1998-06-19 2000-03-07 Hitachi Ltd ネジの保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993A (ko) 200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0575B2 (en) Computer case retention structure
US762863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package retention device
US20130174712A1 (en) Quick-release cymbal felt locating device
US5071099A (en) Wall fixture
US5623124A (en) Wall switch housing
KR101136283B1 (ko) 스크류 체결구조
US6669500B1 (en) Central processing unit socket assembly
US10388588B2 (en) Heast sink fastening seat for use with electrical connector
US20070039807A1 (en) Panel unit, and switch-mounting assembly having the same
US6074231A (en) Connector structure holding central processing units of both cartridge type and card type
US6566597B2 (en) Shield assembly for computer enclosure and pressing machine for making it
TW201417679A (zh) 固定件
JP6306549B2 (ja) 締結補助部品の装着構造、それを備えた装置および締結補助部品の装着方法
JP4366302B2 (ja) 取着体およびビス固定部材
JP4688002B2 (ja) 遊技機
JP2020085113A (ja) ボックス固定具
JP3835837B2 (ja) 遊技機の構成部品取付構造
JP5908219B2 (ja) テンションメンバ固定具
KR102028344B1 (ko) 체결부재 조립방법
KR102028343B1 (ko) 체결부재 조립장치
JP5709590B2 (ja) 脆弱壁面に対するピン止具
JP2006174632A (ja) 分電盤
JP2007333030A (ja) 取付具
KR200194098Y1 (ko) 고정체에피고정체의분리결합을용이하게할수있는체결구
KR910009588Y1 (ko) 모니터 스탠드 착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7